KR100854408B1 -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408B1
KR100854408B1 KR1020060132889A KR20060132889A KR100854408B1 KR 100854408 B1 KR100854408 B1 KR 100854408B1 KR 1020060132889 A KR1020060132889 A KR 1020060132889A KR 20060132889 A KR20060132889 A KR 20060132889A KR 100854408 B1 KR100854408 B1 KR 10085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ule
tpeg
inform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786A (ko
Inventor
은원철
박헌주
김경원
Original Assignee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40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6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repeated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broadcasting computer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DMB 서비스 시스템은, TSP와 연결되어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반복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및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되어 반복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EPG CDM 채널로부터 TMGT 테이블을 추출하고, 추출한 TMGT 테이블을 이용하여 개별 TPEG 응용 서비스 단위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DMB 방송 서버, 단말기, DMB 서비스 시스템, TPEG 파일, 데이터 카루젤

Description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using data carouse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위성 DMB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DMB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수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NST, EPT 및 EST의 테이블에 대한 각각의 테이블 ID와 PID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정보와 TPEG 파일의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혼잡 및 여행시간 정보 수신파일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맵 업데이트 확인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이트 맵 정보 수신파일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 다.
도 12는 도 11의 맵 업데이트 확인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 수신파일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 방송 서버 120 :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
140 : 컨트롤 매니저 모듈 160 :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
180 :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200 : 채널 매니저 모듈
220 :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 240 :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
260 :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 280 :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
300 : 리먹스 320 : 로그 모듈
340 :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모듈 360 :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380 ; 로컬 로그 파일 400a, 400b : RF 블록
420 : CDM 복조기 440 : CAS 디스크램블러
460 :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461 : 수신용 데이터 카루젤
462 : 교통정보 컨텐츠 디코더 463a : 속도 DB
463b : 주요도로 DB 463c : 안전운전 도우미 DB
463d : 알람 DB 464 : 네비게이션/맵
480 : 스마트 카드 500 : 메모리
520 : 디스플레이 스피커 600 : 슈퍼 그룹
610a, 610b : 그룹 611a, 611b : 모듈
611aa, 611ba : 블록 700a, 700b : SDT/EIT
1000 : TSE
본 발명은 데이터 카루젤(data carousel)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에서 TPEG (Transfort Protocol Expert Group) 파일 형식의 실시간 교통 및 여행 정보를 데이터 카루젤에 로드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 DMB 서비스는 개인 휴대용 수신기나 차량용 수신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는 위성 방송 서비스이다. 현재까지의 TV 방송 서비스는 지상파나 케이블 TV, 그리고 위성방송 모두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TV 수상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위성 방송 사업자에 의해 차량용 안테나를 장착한 차량에 대해 방송 서비스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있으나, 이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이동형에 불과하다.
반면에, 위성 DMB 서비스는 휴대폰, PDA나 전용 단말기 또는 차량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개인에게 서비스한다는 측면에서 개인용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으며, 위성 DMB 방송센터에서 다채널 방송 데이터를 위성으로 전송하면, 위성에서 이를 수신하여 전파를 통해 전국의 DMB 단말기에 송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1은 종래의 위성 DMB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공급자(S1)가 방송 데이타 관련, 각종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에, 위성 DMB 방송센터(S2)는 프로그램 공급자(S1)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데이터(예를 들면, 다채널 오디오 방송 및 교통정보, 카 네비게이션 정보, 날씨정보 등의 정보)를 위성(S3)으로 전송하면, 위성(S3)에서는 위성중계를 통하여 S 밴드(2Ghz∼4Ghz), Ku 밴드(12Ghz∼14Ghz)의 대역 중에서 임의의 대역 주파수로 전환시켜 DMB 단말기들(S5) 중에서 임의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송 서비스이다.
위성 DMB 서비스는 고품질의 이동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목표로 하여 위성 DMB 규격 중에서 시스템 E 규격을 포함시킨 신개념 서비스이다. 다시 말하면, 위성 DMB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E는 위성과 상호 보완적인 지상파 갭필터(gap filler)(S4)를 통해서 DMB 단말기들(S5) 중에서 임의의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갭 필터(S4)는 데이터의 내용 중에서 누락이나 손실이 있는 경우에 데이터의 연속화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 E는 2.63Ghz∼2.65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위성 서비스 및 지상파 중계 서비스 모두에 대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RS 코드와 콘볼루션 에러 교정 코딩을 사용하는 연결코드와 함께 QPSK 변조를 기반으로 DS-CDM 방식을 통해 동작한다.
이와 같이, 위성 DMB 서비스에서는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CDM)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64비트의 월시 코드(walsh code)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월시 코드는 각종 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이며, 이 코드는 전송 대역폭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현재, 위성 DMB 서비스에서 30개의 CDM 채널을 사용할 예정이며, 이 CDM 채널당 256Kbps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25MHz 대역에 총 7.68Mbps의 페이로드(payload)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비디오 전송인 경우에는 2개의 CDM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며, 오디오 채널인 경우에는 1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최근에는,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전송 표준이 마련되어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전송시에 이를 따라야만 한다.
“교통 및 여행정보”라 함은 운전자 또는 대중교통 이용자 등이 필요로 하는 교통소통정보, 대중교통정보, 유고정보, 교통수단정보, 환승정보, 노선정보, 기상정보, 관심지점에 관한 정보 등을 말한다.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전송 표준에 있어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규격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정합규격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방송을 위하여 추가되어야 할 서술자나 테이블을 정의하고, 데이터 방송을 위한 전송기술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정합규격은 ETSI EN 301 192 DVB specif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여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적합하게 수정하였다. 세부 구현을 위한 가이드 라인으로는 ETSI TR 101 202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Data Broadcasting 규격을 따른다.
위성 DMB 서비스는 기존의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정합규격에서 정의된 비디오와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던 규격에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운 데이터 스택을 구현하여 제공한다. 위성 DMB 서비스는 ISO/IEC 13818-1 표준과 ISO/IEC 13818-6 표준에 준하여 데이터 파이핑(data piping), 데이터 스트리밍(data streaming), 다중 프로토콜 캡슐화(multiprotocol encapsulation), 데이터 카루젤(data carousel)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전송방식을 제공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전송 표준을 따르면서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전송 표준을 따르면서 위성 DMB 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Telematics Service Provider:TSP)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 및 여행정보의 각 어플리케이션과 채널 구성을 규정하는 TMGT를 작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방송 서버;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와 함께 상기 TMGT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반복 전송하는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를 포함하는 DMB 방송 서버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DMB 방송 서버로부터 DMB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되어 반복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EPG CDM 채널로부터 TMGT 테이블을 추출하고, 추출한 TMGT 테이블을 이용하여 개별 TPEG 응용 서비스 단위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TSP와 연결되어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반복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및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되어 반복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EPG CDM 채널로부터 TMGT 테이블을 추출하고, 추출한 TMGT 테이블을 이용하여 개별 TPEG 응용 서비스 단위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DMB 서비스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버가 TSP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가 교통 및 여행정보의 각 어플리케이션과 채널 구성을 규정하는 TMGT를 작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와 함께 상기 TMGT를 수신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가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반복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통 및 여행정보 채널은 다양한 TPEG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서비스 운용상에 필요한 관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는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별로 파일 형태로 만들어지며, 하나의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성하는 파일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파일 형태로 만들어진 데이터는 다중화되어 교통정보 채널에서 DSM-CC 카루젤 스트림(carousel stream)으로 전송된다. 수신단에서 교통 및 여행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EPG 정보와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를 위하여 추가로 정의된 TMGT(TPEG Master Guide Table)를 이용한다. TMGT 테이블은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별로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하여 정의되어 있다. 단말기에서 기존의 EPG 정보에서 서비스 형식(service type)이“위성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교통 및 여행정보데이터 서비스(0x84)”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찾으면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들에 대한 PID들을 얻어올 수 있다. 여기에 TMGT 테이블을 참조하면, 특정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PID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TMGT 테이블은 테이블 ID와 PID가 각각 0xA7, 0x1F로 고정되어 있으며, EPG CDM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TPEG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TMGT 테이블의 서비스 루프 (service loop)에서 TPEG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별 서비스 ID(ServiceID)를 얻어오 고,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ID를 이용하여 기존의 EPG 정보에서 해당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PMT 테이블의 엘리먼테리 스트림 루프(elementary stream loop)에서 PID를 얻어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 서버(100)로부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정보 및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350)에 전송하는 TSE(Traffic Service Encoder, 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SE(1000)는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 채널 매니저 모듈(200),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 및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Asychronous Serial Interface module, ASI module, 280), 로그 모듈(320) 및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데이터 방송 서버(100)와 인터페이스하여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정보 및 채널 관련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0)는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Telematics Service Provider:TSP)로부터 수신한 TPEG 데이터와 이에 대한 각각의 어플레이션과 채널을 규정하는 TMGT(TPEG Master Guide Table, 이하 TMGT)를 작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TSP)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정보에 관한 사항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0)와 인터페이스하여 방송을 시작 및 중지할 수 있게 제어한다.
상기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0)와 인터페이스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은 상기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로부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정보 및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에 전송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로부터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채널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은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시켜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에 전송한다.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은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생성하고 데이터 카루젤을 구동하여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에 전송한다. 데이터 카루젤은 DSI, DII, DDB로 구성되어 있고, 단말기의 성능을 고려하여 DSI, DII만 스크램블하는 부분 스크램블링 방식을 적용한다. DSI, DII를 스크램블할 경우에는 데이터 구성정보를 스크램블 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 여부에 따라 수신 제한이 가능하다. DSI, DII의 경우에는 그 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스크램블하더라도 성능상 단말기에 크게 부담을 주지 않는다. DSI, DII, DDB로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카루젤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은 상기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에서 생성된 테이블과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데이터 카루젤에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로드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에 다중 전송한다.
상기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은 상기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로부터 상기 데이터 카루젤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다중 전송받아, 내장되어 있는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카드를 제어하여 리먹스(300)에 전송한다. 상기 리먹스(300)는 다중 전송된 스트림을 단말기(350)에 전송한다.
상기 로그 모듈(320)은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의 내부 상태 및 상황을 감시하여 파일 형식, 날짜 및 시간별로 로컬 로그 파일에 저장한다.
상기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모듈(340)은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360)에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 듈(240),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360)으로부터 이들에 관한 제어 명령을 받는다.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데이터 방송 서버(100)와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인터페이스되어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정보 및 채널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0)와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이 인터페이스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0)와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되어 방송을 시작 및 중지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후,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이 상기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로부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정보 및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에 전송한다.
이후, 채널 매니저 모듈(200)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로부터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채널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후, 테이블 생성 및 전송모듈(220)은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시켜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에 전송하고,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은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 케이션 모듈을 생성하고 데이터 카루젤을 구동하여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에 전송한다.
이후,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은 상기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에서 생성된 테이블과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데이터 카루젤에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로드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에 다중 전송한다.
이후, 상기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이 상기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로부터 상기 데이터 카루젤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다중 전송받아, 내장되어 있는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카드를 제어하여 리먹스(300)에 전송한다. 상기 리먹스(300)는 다중 전송된 스트림을 단말기(350)에 전송한다.
로그 모듈(320)은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의 내부 상태 및 상황을 감시하여 파일 형식, 날짜, 시간별로 로컬 로그 파일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200),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220),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240),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260),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160), 컨트롤 매니저 모듈(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80),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280)의 상태를 전송하 고,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360)으로부터 이들에 관한 제어 명령을 받는다.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방법에서 TPEG 전송은 송수신 양단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동기화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따라서, 파일형식의 TPEG 전송은 "Guidelines for TPEG on the Internet(B/TPEG PG02/080)"에 정의된 파일생성 및 처리방법을 참조한다.
파일형식의 TPEG 스트림은 이진화일(bin) 또는 확장 마크업 언어(XML)로 구성하고, 전송파일은 *.bin 또는 *.xml 파일로 전송한다. 상기 *.bin 파일은 실제로 전달하고자 하는 TPEG 2진 데이터가 포함된 파일이며, TPEG 메시지 코딩방법은 TPEG 스트림과 동일하다. 다만, TPEG-SSF에서 기술하는 TPEG 프레임 구조에서 제외하는 데이터와, 그 제외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Sync Word(0xFFOF) 제외 : 파일전송에서는 스트리밍 동기화가 불필요하다.
Field Length 제외 : 파일 사이즈에 이미 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Header CRC 제외 : 파일전송을 수행하는 매체의 세그먼트화 전송과정에서 오류보호를 수행한다.
Frame Type 제외 : 전송파일명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SID, SCID 제외 : 전송파일명에 해당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Transport Frame의 Encryption ID 제외 : TPEG 파일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별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Transport Frame 정도의 Encryption ID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은 <intunti>로 정의된 Number of Message부터 시작하며, 정보통신단체표준 11 TTAS.KO-07.0041 필요에 따라 파일의 맨 앞에 관리를 위한 헤더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TPEG 파일의 명명법은 SID-A.SID-B.SID-C_SCID_FileNumber.bin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DMB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TPEG 규격에서와 같이,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의 결합체이다. 현재, 규격이 확정된 서비스도 있고, 규격작업이 진행 중인 서비스도 있으며, 서비스명만 가진 서비스도 존재한다. 위성 DMB에서는 다음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기에서는 위성 DMB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말기는, 안테나(400a, 400b)를 통하여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블록(410a, 410b)에 CDM 복조기(demodulator, 4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CDM 복조기(420)에서 전송 스트림 레벨로 수신신호가 나오면 CAS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440)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제한하기 위해 스크램블 (scramble)된 신호를 디스크램블(descramble)하는데, 상기 CAS 디스크램블러(440)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multimedia processor, 460)와 연결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460)는 스마트 카드(480), 메모리(500) 및 디스플레이 스피커(520)와 연결된다. 상기 CAS 디스크램블러(440)에서 디스크램블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수신용 데이터 카루젤부(461)를 교통정보 컨텐츠 디코더(462)로 디 코딩(decoding)하여 속도 DB(463a), 주요도로 DB(463b), 안전운전 도우미 DB(463c) 및 알림 DB(463d) 등과 같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DB를 업데이트한다.
속도 DB(463a), 주요도로 DB(463b) 및 안전운전 도우미 DB(463c)는 네비게이션 및 맵핑부(464)에서 맵으로 변환된다. 상기 맵으로 변환된 DB들(463a, 463b, 463c)과 알림 DB(463d)는 길 안내, 안전운전 도우미 및 알림 등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20)와 스피커(5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길 정보 및 주요도로 소통정보 등의 교통 여행자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혼잡교통정보는 도로의 구간(노드/링크(node/link) 체계에서의 링크)에 대한 평균속도, 통과시간 등 차량의 소통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기에서는 구간의 평균속도를 단말에 내장된 맵과 연동하여 고객에게 보다 효율적인 길 안내가 가능해진다. 혼잡교통정보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빠른 길 안내, 교통정보 채색서비스 등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이다.
안전운전정보는 운전자에게 도로의 위험요소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각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는 WGS84 경위도 좌표에 의해서 표현된다. 단말기에서는 안전운전정보를 최근의 정보로 유지해야 한다. 만약, 단말기에서 수신한 안전운전정보가 없으면 맵 제공시에 기본으로 제공된 안전운전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요소를 알려주어야 하고, 위성 DMB망을 통하여 수신한 안전운전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위성 DMB망에서 제공한 안전운전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제공되는 정보의 구성요소는 위험지점 ID, 안전운전 종별, 시설물 종별, 제한속도, 안내지점 통과, 실제지점 통과안내 등이 있다.
심플 맵(simple map) 소통정보는 고객이 주요 도로에 대한 소통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주요도로의 소통정보를 단순한 이미지 상에 표현해 주는 것이다. 주요도로에 대한 소통정보는 혼잡교통정보 규격에 준하여 제공되고, 단말 제조사나 맵 제조사에서는 심플 맵을 이용한 소통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구간 평균속도, 통행시간 및 혼잡도 정도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교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단말기 처리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단말기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이나 채널 가이드에 의해 교통 및 여행정보 채널을 선택한 경우에 서비스 형식(service type)이“교통 및 여행정보데이터 서비스”인 채널을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지정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구동시킨다. 교통 및 여행정보에 대한 서비스 형식은“교통 및 여행정보데이터서비스(0x0B)”이고, EPG의 서비스 관련 테이블에서 “교통 및 여행정보데이터서비스”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EPG CDM 채널 내에서 테이블 ID가 0xA7이고 PID가 0x1F인 TMGT을 수신하면 혼잡교통정보(CTT)나 관심지점정보(POI) 등 서비스별로 정보를 수신할 준비가 완료된다. 단말기에서 혼잡교통정보를 수신하고자 한다면, TMGT에서 애플리케이션 타입(AppType)이 혼잡교통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ID(ServiceID)를 가져와서 EPG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PID 값을 PMT의 엘리먼테리 스트림 루프(Elementary Stream Loop)에서 얻어온다. 해당 PID를 전송하는 MPEG-2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통하여 데이터 카루젤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 한 데이터 파일들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파일은 단말기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수신을 하더라도, 관리를 위한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정보(SNI) 어플리케이션 파일은 수신하도록 선택된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계없이 항상 수신하도록 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TPEG 서비스는 여러 가지의 서비스 정보가 다중화되어 구성되는데,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TPEG 서비스 컴포넌트라고 한다. 상기 TPEG 서비스 컴포넌트는 각각 하나의 PID로 전송한다.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를 처리하는 방법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단말이 각 서비스 컴포넌트의 위치를 알 수 있게 각각의 TPEG 서비스 컴포넌트의 이름과 서비스 ID(ServiceID)를 갖는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정의하며, 전송 주기를 1000ms로 설정한다. 테이블 ID는 0xA7로 고정되어 있고, PID는 0x1F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TMGT의 형태에 관련된 설명은 다음과 같다.
ServiceID : 각각의 TPEG 서비스 컴포넌트의 서비스 ID이다. 이 값을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의 PMT 테이블을 찾고, 해당 PMT 테이블에서 엘리먼테리 스트림 루프(elementary stream loop)에서 서비스 컴포넌트의 PID를 찾는다.
AppType : 각각의 TPEG 서비스 컴포넌트의 타입을 알려주며, TPEG의 애플리케이션 ID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다.
AppName : 서비스 컴포넌트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름으로 CTT, SDI 등 과 같이 TPEG의 애플리케이션 이름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3 바이트는 TPEG에서의 이름으로채우고, 나머지 한 바이트는‘\0’값으로 채운다.
Hidden : 이 서비스 컴포넌트가 나타내어야 할지 또는 나타내지 말아야 할지를 알린다. 1이면 나타내어야 하고, 0이면 나타내지 말아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의 구조도이다. DMB의 데이터 카루젤은 DSM-CC(Digital Storage Media - Command & Control) 데이터 카루젤 규격(ISO/IEC 13818-6)을 기반으로 한다. DSM-CC 데이터 카루젤의 규격은 수신기로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한다.
한 단계의 데이터 카우젤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카루젤의 형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모듈(611a)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611a)은 블록(611aa, block)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카루젤 내의 모든 모듈의 모든 블록은 마지막 블록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모듈(611a)은 데이터 카루젤 내의 데이터에 대한 논리적인 구분단위이다.
두 단계의 데이터 카우젤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모듈(611b)은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여 하나의 그룹(610b)이 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그룹(610b)도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하나의 슈퍼 그룹(600)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카루젤의 규격은 DSM-CC 다운로드 규격의 4가지 메시지를 이용한다. 데이터는 DownloadDataBlock(DDB) 메시지에 전송되고, 모듈에 대한 제어정보는DownloadInfoIndication(DII) 메시지, DownloadServerInitiate(DSI) 메시지 및 DownloadInfoIndicate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다. 상기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는 슈퍼 그룹(600) 내의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는 그룹 내의 모듈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수신기는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로부터 모듈의 부분집합을 얻어낼 수 있다.
데이터 카루젤은 한 단계 또는 두 단계의 제어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데이터 카루젤은 하나의 그룹을 기술하는 한 단계의 제어정보를 가진 데이터 카루젤이다. 이 경우에 SDT/EIT(700a, 700b) 테이블은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를 가리키는 data_broadcast_descriptor를 포함한다. 이 메시지는 ModuleInfoByte 필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카루젤 내의 모듈들에 대해 기술한다. 이 필드는 DownloadDataBlock 메시지에 대한 포인터와 같은 갖가지 정보를 가질 수 있는 서술자들의 루프를 포함한다.
두 단계 클러스터가 필요하다면,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를 이용하여 슈퍼 그룹(600)에 포함된 개별 그룹에 대해 기술한다.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는 한 단계의 데이터 카루젤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는 GroupInfoByte(gi) 필드를 사용하여 그룹에 대해서 기술한다. GroupInfoByte 필드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가질 수 있는 서술자들의 루프로 구성된다.
디코더는 상기 2가지 타입의 카루젤을 지원해야 한다. 서비스 사업자는 사용할 카루젤을 선택할 수 있다.
그룹과 모듈은 특정 PID나 공유 PID를 가지고 전송될 수 있다. 특별히 위치 참조정보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위치는 제어 메시지로부터 상속된다. 그림 7-1의 화살표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메시지를 얻어오기 위한 접근정보를 나타낸다. 데이터 카루젤 내에서 이 정보들은 다음으로 구성된다.
1) 구성 요소 태크 : 서비스 내의 특정 스트림에 대한 포인터
2) 작업/모듈 식별자 : 제어 메시지나 모듈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
수신기들은 스트림으로부터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 이 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DSM-CC에 기반하여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와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 내에 모듈과 블록의 크기가 명기되어 있다.
DSM-CC에 의해서 명기된 compatibilityDescriptor()의 사용은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에서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로의 순방향 참조수단으로 제한된다.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의 compatibilityDescriptor는 GroupInfoIndication 필드에 위치하고, groupCompatibility()로 불린다. 슈퍼그룹이나 그룹 내의 모든 DownloadDataBlock 메시지와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는 동일한 downloadid를 가진다.
각 제어 메시지는 유일한 식별자인 transaction_id를 갖는다. Transcation_id와 module_id는 다음의 의미에 따라 데이터 카루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필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두 단계 카루젤의 경우에 DownloadServerInitiate 메시지는 transactionId의 LSB(Least Significant Byte) 2 바이트가 0x0000~0x0001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같은 경우에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는 transactionId의 LSB 2 바이트가 0x0002~0xFFFF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한 단계 카루젤의 경우에 DownloadInfoIndication 메시지는 transactionId의 LSB 2 바이트가 0x0000~0x0001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수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EPG 메뉴의 교통정보 초기화면을 통하여 EST(Extended Service Table) 또는 NST(Network Structure Table)에서 서비스 형식(Service Type)이“0x84”임을 확인하면, 해당 서비스가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인 것을 알 수 있다. 단말기에서 해당 서비스가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인 것이 확인되면, EPG CDM 채널에서 테이블 ID가 0xA7로 고정되고, PID가 0x1F로 고정된 TMGT 테이블을 수신한다. TMGT 테이블로부터 개별적인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ID를 알 수 있고, 이것들을 이용하여 EPT(Extended Program Table), PMT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초기의 전송 스트림의 PID(Elementary_PID)를 추출하여 교통 여행자 정보수신이 이루어진다. NST, EPT 및 EST의 테이블에 대한 각각의 테이블 ID와 PID는 도 7과 같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해당 PID를 가진 MPEG-2 전송 스트림을 통하 여 데이터 카루젤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파일들을 수신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파일들을 수신해야 하지만, 데이터 파일을 원하는 어프리케이션별로 수신하더라도 관리를 위한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정보(Service and Network Information, 이하 SNI)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TPEG.txt 파일은 선택된 TPEG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계없이 항상 수신되도록 해야 한다. 데이터 카루젤의 구성은 두 단계 데이터 카루젤을 지원해야 하고, 하나의 모듈을 수신 완료하여 하나의 파일이 완성되면 다른 모듈을 수신하기 전에 처리 가능하게 구현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정보와 TPEG 파일의 업데이트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SNI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와 TPEG.txt 파일을 업데이트한다. 해당 데이터 카루젤에서 DSI (Download Server Initiate) 버젼 및 DII(Download Information Indication) 버젼을 확인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버젼과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정보의 반복된 전송으로 판단하고 파일을 수신하지 않는다. 만약, 버젼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SNI 및 TPEG.txt 파일 정보가 업데이트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파일들을 수신한다. 해당 파일들을 수신한 후에는 최근에 수신된 정보로 기존의 DB를 업데이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혼잡 및 여행시간 정보 수신파일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CTT(Congestion and Travel-Time Information) 정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파일을 수신하고, DB를 갱신한다. 해당 데이터 카루젤에서 DSI 버젼 및 DII 버젼을 확인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버젼과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정보의 반복된 전송으로 판단하고 파일을 수신하지 않는다. 만약, 버젼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변경된 파일을 수신하고, TPEG.txt 파일 및 SNI 정보를 참고하여 파일이 압축되었을 경우는 압축을 풀고 TPEG 디코딩을 한 후에 DB를 업데이트한다. 각각의 파일들은 개별적으로 수신 및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전체 파일의 개수는 TPEG 파일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전체 파일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CTT 정보의 경우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맵의 노드/링크 버젼과 방송에서 전송하고 있는 노드/링크 버젼이 동일해야만 정확한 정보의 반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노드/링크 버전을 확인하고, 버젼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가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고지해야 한다.
도 10은 도 9의 맵 업데이트 확인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TPEG.txt 파일에 있는 노드/링크 정보를 보고, 방송신호로 전송되는 CTT 정보가 기준으로 하고 있는 노드/링크 버전을 알 수 있다. 상기 노드/링크 버전을 단말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맵의 노드/링크 버전과 비교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공지하여야 한다. 일정한 시간 동안 공지한 후에 맵 상에 없는 노드/링크를 제외하고 길 안내 서비스를 해야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이트 맵 정보 수신파일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SMI 정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파일을 수신하고, DB를 갱신한다. 해당 데이터 카루젤에서 DSI 버젼 및 DII 버젼을 확인하고, 단말기에서 저장된 버젼과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정보의 반복 된 전송으로 판단하고 파일을 수신하지 않는다. 만약, 버젼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각각의 파일에 대해 수신하고, TPEG.txt 파일 및 SNI 정보를 참고하여 압축을 풀고 TPEG 디코딩을 한 후 DB를 업데이트한다. 각각의 파일들은 개별적으로 수신 및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전체 파일의 개수는 TPEG.txt 파일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전체 파일을 모두 업데이트하여야 한다.
도 12는 도 11의 맵 업데이트 확인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I 정보의 경우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사이트 맵의 맵 ID, 노드/링크 ID와 방송에서 전송하고 있는 사이트 맵의 맵 ID, 노드/링크 ID가 동일해야만 정확한 정보가 반영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사이트 맵 버젼을 확인하고, 버젼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이트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고지해야 한다.
단말기는 TPEG.txt 파일에 있는 사이트 맵 정보를 보고, 방송신호로 전송되는 SMI 정보가 기준으로 하고 있는 사이트 맵 버젼을 알 수 있다. 상기 사이트 맵 버전을 단말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 맵의 노드/링크 버전과 비교하여 맵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공지하여야 한다. 일정한 시간 동안 공지한 후에 사이트 맵 상에 없는 노드/링크를 제외하고 길 안내 서비스를 해야 한다.
사이트 맵을 이용한 주요도로 소통정보 서비스는 SMI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고, 빠른 길 안내를 위한 CTT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회사 자체적으로 사이트 맵을 구현하여 단말기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 수신파일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 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SDI 정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파일을 수신하고, DB를 갱신한다. 해당 데이터 카루젤에서 DSI의 버젼 및 DII 버젼을 확인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버젼과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정보의 반복된 전송으로 판단하고 파일을 수신하지 않는다. 만약, 버젼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각각의 파일에 대해 수신하고, TPEG.txt 파일 및 SNI 정보를 참고하여 압축을 풀고 TPEG 디코딩을 한 후에 DB를 업데이트한다. 각각의 파일들은 개별적으로 수신 하여 업데이트가 되어야 한다. 전체 파일의 개수는 TPEG.txt 파일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전체 파일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DMB 사업자에게는 서비스 다양화에 기여하게 하고, 고객에게는 기존의 오디오와 비디오 서비스에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하거나 새로운 데이터 채널에 의한 많은 유용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업적인 측면에서는 단말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위한 미들웨어 업체들에 사업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데이터 제공자들의 사업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Claims (12)

  1.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TSP)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교통 및 여행정보의 각 어플리케이션과 채널 구성을 규정하는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방송 서버;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와 함께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과 함께 반복 전송하는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
    를 포함하는 DMB 방송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는,
    해당 채널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채널 매니저 모듈;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시켜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에 전송하는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생성하고, 데이터 카루젤을 구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에 전송하는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 및
    상기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에서 생성된 테이블과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데이터 카루젤에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로드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
    을 포함하는 DMB 방송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와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및 채널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와 인터페이스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와 인터페이스하여 방송을 시작 및 중지할 수 있게 하는 컨트롤 매니저 모듈;
    상기 컨트롤 매니저 모듈로부터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및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에 전송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로부터 상기 데이터 카루젤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다중 전송받아, 내장되어 있는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카드를 제어하여 리먹스에 전송하는 비동기식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서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카루젤은, 데이터 카루젤 중에서 DSI, DII가 스크램블되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TS 패킷의 전송 스크램블링 컨트롤 필드를 이용하여 스크램블 여부를 나타내고, DSI, DII 섹션을 구성하는 패킷에 스크램블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서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에는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서비스 ID(ServiceID)가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방송 서버.
  7. DMB 방송 서버로부터 DMB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되어 반복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EPG CDM 채널로부터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추출하고, 추출한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개별 TPEG 응용 서비스 단위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8. 삭제
  9.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TSP)와 연결되어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의 각 어플리케이션과 채널 구성을 규정하는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작성하고, 상기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과 함께 반복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및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되어 반복 전송되는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고, EPG CDM 채널로부터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추출하고, 추출한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개별 TPEG 응용 서비스 단위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10. 데이터 방송 서버가 텔레메틱스 서비스 공급자(TSP)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공급되는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가 교통 및 여행정보의 각 어플리케이션과 채널 구성을 규정하는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TPEG 파일 형태의 교통 및 여행정보와 함께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을 수신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트래픽 서비스 인코더가 수신한 교통 및 여행정보를 데이터 카루젤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과 함께 반복 전송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채널 매니저 모듈이 해당 채널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
    테이블 생성 및 전송모듈이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에 관련된 테이블을 생성시켜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이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로부터 해당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생성하고, 데이터 카루젤을 구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 스트림 먹스 모듈이 상기 테이블 생성 및 전송 모듈에서 생성된 테이블과 상기 카루젤 관리 및 전송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데이터 카루젤에 로드하고, 어플리케이션 모듈 로드 작업에 관한 스트림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이 해당 채널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 이전에는,
    데이터 방송 서버와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이 인터페이스되어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및 채널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와 동적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이 인터페이스되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와 컨트롤 매니저 모듈이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되어 방송을 시작 및 중지할 수 있게 제어하는 단계;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컨트롤 매니저 모듈로부터 상기 TPEG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및 채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 매니저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방법.
KR1020060132889A 2006-12-22 2006-12-22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889A KR100854408B1 (ko) 2006-12-22 2006-12-22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889A KR100854408B1 (ko) 2006-12-22 2006-12-22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786A KR20080058786A (ko) 2008-06-26
KR100854408B1 true KR100854408B1 (ko) 2008-08-26

Family

ID=3980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889A KR100854408B1 (ko) 2006-12-22 2006-12-22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4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1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20060018789A (ko) * 2004-08-24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에서의 전송 코드 세트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20060063617A (ko) * 2004-12-06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 tti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1457A (ko) * 2005-02-15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을 위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1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20060018789A (ko) * 2004-08-24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에서의 전송 코드 세트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KR20060063617A (ko) * 2004-12-06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 tti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1457A (ko) * 2005-02-15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을 위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786A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578422B (zh) 发射/接收dmb服务的信息的装置及其方法
CN101278554B (zh) 用于接收电子服务指南数据的移动终端和用于发送电子服务指南数据的方法
US8155115B2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indicating hierarchical mode for transport streams carried in broadband transmission
US7584487B2 (en)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 sig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429767B1 (ko)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지털방송 시스템
US200601057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US5777997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udio-associated text information in a multiplexed transmission stream
JP2007043739A (ja) コンテンツ記述情報と接続情報とを提供する方法
JP2008085992A (ja) 交通情報を受信する方法及び端末機並びに交通情報の提供方法
CN101272205B (zh) 一种移动多媒体广播业务参数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00382602C (zh) 信号处理装置及信号处理方法
KR100700244B1 (ko) 파일 전송 방식을 통한 교통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19865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20060006490A (ko) 디지털 케이블 티브이의 긴급 경고 메시지 및 그 처리방법
JP2008084293A (ja) トラフィック情報の提供方法及び受信方法並びに端末
CN107430860B (zh) 用于对包括系统数据的音频比特流进行解码的方法和设备
KR100854408B1 (ko) 데이터 카루젤을 이용한 dmb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36565A (ko) 티팩 메시지를 이용한 부가 정보 제공방법과 엔코딩 및디코딩 장치 및 방법
EP199995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JP4099559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KR20080016399A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804483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JP4135241B2 (ja) 信号処理装置
KR19990028774A (ko) 트래픽 통신 중계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신기
KR100882508B1 (ko) 계층적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진화된 dmb 제한 수신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