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386B1 -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386B1
KR100232386B1 KR1019960043701A KR19960043701A KR100232386B1 KR 100232386 B1 KR100232386 B1 KR 100232386B1 KR 1019960043701 A KR1019960043701 A KR 1019960043701A KR 19960043701 A KR19960043701 A KR 19960043701A KR 100232386 B1 KR100232386 B1 KR 10023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aqueous dispersion
aromatic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니찌로 오가다
마사유끼 후꾸다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86B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1) 백색 안료를 5 내지 20 중량%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비연신 또는 일축연신 필름의 양면에,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100㎚ 이하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50㎚ 이하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및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를 3 내지 50 중량%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도포하여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2)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건조시키면서 또는 건조후에, 이 필름을 이축 또는 단축으로 연신시켜 접착성 피막을 갖는 이축연신 필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접착성, 대전방지성 및 자성층의 비전사성을 갖는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록 산화티타늄과 같은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백색 필름은 자기 카드, 인쇄재료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플라스틱 필름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인, 쉽게 정전기를 발생하고, 제막 공정, 가공 공정 및 이의 제품의 사용시에 각종 문제점을 야기하기 쉬우며, 자기 도료 및 인쇄 잉크에 대한 열악한 접착성을 갖는 것과 같은 결점을 갖는다.
특히 두꺼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전화 카드, 선불 카드등과 같은 자기 카드에 사용되나, 이의 제조 공정 및 가공 공정에서의 결점 및 최종 제품으로서의 UV 잉크 및 자기 도료에 대한 대전방지성 및 접착성의 문제점을 갖어, 프라이머의 사용이 또한 제안되어있다.
지금까지는, 미리 필름의 표면상에 합성 수지의 프라이머 층(피막)을 형성시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제조 방법이 제안되었다.
JP-A 6-124651(여기에서 용어 “JP-A”는 “비심사 간행된 일본 특허 출원”을 의미한다)에는 (1)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2) 필름의 도막면에 형성된 자성층으로 구성된 자기 기록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JP-A 5-41655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스티렌 술폰산 또는 이의 염으로 구성된 비닐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제를 도포하고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JP-A 6-157790에는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두께 20㎛ 이상의 백색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1) 60 내지 20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80 중량%, (2) 아크릴계 공중합체 5 내지 80 중량%및 (3) 분자내에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물질 1 내지 30 중량%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액으로 도포하여 형성된, 두께(건조) 0.01 내지 5㎛의 접착성 피막을 갖는 접착성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로부터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접착성, 내블록킹성 및 대전방지성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는 도액의 구성성분의 도액에서의 물리적 상태에 관해서는 언급이 없다.
JP-A 7-132581에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피막을 적층시킨 필름에 있어서, (A) 40 내지 95℃의 2차 전이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20 내지 60 중량%, (B) 자기가교형 아크릴계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C) 분자내에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중합체 단위를 30 몰%이상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신장성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한후, 건조, 신장 및 열고정화시켜 형성된, 피막의 두께가 0.5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 카드용 대전방지 접착성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
[화학식 1]
(식중, R1및 R2는 각각 H 또는 CH3이고 X는 알칼리 금속이다).
상기 공보로부터 상기 필름은 자기 도료 및 인쇄 잉크에 대한 대전방지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는 도액의 구성성분의 도액에서의 물리적 상태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프라이머층에는 자기 카드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한면측에 자기 도료를 도포하고, 이것을 롤 상태로 에이징(aged) 처리하면, 자기층(자기 기록층)의 일부가 반대면의 프라이머층에 전사 또는 블록킹을 일으키어, 때때로 생산 효율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동시에 자성층에 대한 접착성 및 내블록킹성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일반적으로, 필름은 쉽게 대전되고, 제막공정, 가공공정, 및 또한 제품으로 사용시에 각종 어려움을 일으키기 쉬운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접착성, 대전방지성 및 자성층의 비전사성을 갖는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우수한 접착성, 대전방지성 및 자성층의 비전사성을 갖는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형성된 자성층을 갖으며, 정보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용 기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의 목적 및 이점은, 첫째로,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
(1) 백색 안료를 5 내지 20 중량%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비연신 또는 일축연신 필름의 양면에,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100㎚ 이하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50㎚ 이하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및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를 3 내지 50 중량%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도포하여 수성 분산액의 박막의 피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2)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건조시키면서 또는 건조후에, 이 필름을 이축 또는 단축으로 연신시켜 접착성 피막을 갖는 이축연신 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재 필름은 백색 안료를 5 내지 20 중량%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한다. 그러므로, 기재 필름은 이후로 “백색 필름” 또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백색 필름을 구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이염기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및 디올 또는 이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제조된 결정성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주성분으로 (50 몰%이상)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기타 수지를 소량 함유하는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내에 함유된 백색 안료의 바람직한 예로는 산화 티타늄 및 황산 바륨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백색 안료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백색 안료의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슘, 카올린 및 탈크와 같은 무기 충전제; 가교 폴리스티렌 수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우레아 수지 및 멜라민 수지와 같은 유기 충전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이오노머와 같은 기타 수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증백제등을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 있다.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10%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5%이하의 광투과율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부터 형성된 기재 필름은 비연신 필름 또는 단축연신 필름이다. 비연신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의 두께를 갖고 단축연신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계 (1)에서는,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기재 필름의 표면상에 도포하여 분산액의 박막을 형성시킨다.
수성 분산액을 구성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를 함유한다.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모든 산 성분의 50 몰%이상, 좀더 바람직하게는 65 몰%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몰%이상으로 함유한다.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산 성분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박산, 페닐린단디카르복실산, 이량체 산등을 들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소량의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과 같은 불포화 다염기산 또는 p-히드록시벤조산 및 p-(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상기 성분들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포와 다염기산 성분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의 비율은 전 성분의 10몰%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이하이다.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폴리올 성분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크실렌 글리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옥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글리콜 및 하기의 화학식 2, 3으로 나타낸, 비스페놀 A의 에틸렌 산화물 부가물 및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을 들 수 있다 :
[화학식 2]
[화학식 3]
(식중, n+m은 2 내지 10이고 ph는 페닐렌기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성분들중, 에틸렌 글리콜, 비스페놀 A의 에틸렌 산화물 부가물,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 및 1,4-부탄디올이 바람직하고, 에틸렌 글리콜, 비스페놀 A의 에틸렌 산화물 부가물 및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이 좀더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과 공중합되어 분산화를 개선시킨다.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술폰산 알칼리 금속 염- 및 술폰산아민 염계 화합물, 예컨대,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5-암모늄 술포이소프탈산, 4-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4-메틸암모늄 술포이소프탈산, 2-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5-칼륨 술포이소프탈산, 4-칼륨 술포이소프탈산, 2-칼륨 술포이소프탈산 및 나트륨 술포숙신산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에 카르복실레이트기를 제공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트리메스산, 시클로부탄 테트라카르복실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및 이의 모노알칼리금속 염을 들 수 있다. 중합체 사슬에 형성된 유리 카르복실기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또는 아민 화합물과 반응하여 카르복실레이트기로 전환될 수 있다.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로는, 상기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를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또는 페놀계 수지로 개질시켜 제조된 블록 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중합체와 같은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전성분에 대해 0.05 내지 6 몰%의 양으로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의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폴리에스테르 제조 기술로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특히 디메틸 에스테르), 이소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특히 디메틸 에스테르) 및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을 에틸렌 글리콜 및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과 반응시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진공하에서 중축합시켜 소정의 고유 점도(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o-클로로페놀을 사용하여 35℃에서 측정)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에, 반응 촉진용 촉매, 예컨대, 에스테르화 반응, 에스테르 교환 반응 또는 중축합반응 촉매가 바람직하게는 사용되고, 안정제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Tg)을 갖는다. Tg가 50℃ 이하인 경우, 자성층의 전사가 발생하기 쉽다. 바람직한 Tg의 범위는 60 내지 120℃이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100㎚ 이하의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로 수성 분산액에 분산된다. 평균 입자경이 100㎚ 이상인 경우에서는 자성층의 전사가 발생하기 쉽다. 바람직한 평균 입자경은 5 내지 80㎚이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평균 입자경”이라는 용어는 미립자 분석기(NICOMP MODEL 270, 퍼시픽 사이언티픽사제)를 사용하여 수성 분산액을 측정하여 얻은 측정치를 나타낸다.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성분으로,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소다 아크릴레이트,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소다 메타크릴레이트, 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 메타크릴레이트, 나트륨 메탈릴 술폰에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를 함유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디비닐 벤젠, 나트륨 비닐 술폰에이트 또는 나트륨 스티렌 술폰에이트와 같은 기타 불포화 단량체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구성 성분으로 C1-C4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단위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중합체 단위를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또는 페놀계 수지등으로 개질시켜 제조한 블록 중합체 또는그라프트 중합체와 같은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50 내지 120℃의 Tg를 갖는다. Tg가 50℃ 이하인 경우에는, 자성층의 전사가 발생하기 쉽다. 바람직한 Tg의 범위는 60 내지 120℃이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50㎚ 이하의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로 수성 분산액에 분산된다. 평균 입자경이 150㎚ 이상인 경우에서는, 불리하게는, 자성층의 전사가 발생하기 쉽다. 평균 입자경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다.
수성 분산액에 함유되어 있는 또 다른 성분인 유기 술폰에이트는 수용성이다. 유기 술폰에이트의 예로는 알킬 술폰산, 알킬 벤젠 술폰산 및 알킬 디페닐에테르 디술폰산의 금속염과 같은 저분자량 화합물; 술폰산 금속염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 공중합체 및 비닐 공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술폰산 염기를 갖는 수평균 분자량 1,000 내지 1,000,000의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30 내지 100몰%의 양으로 술폰에이트기를 갖고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0인 중합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유리하게는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수성 분산액은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미립자, 아크릴계 공중합체 미립자 및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의 총중량에 대해, 방향족 코폴리 에스테르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및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를 3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함유한다.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미립자의 양이 70 중량%이상인 경우에는, 인쇄 잉크에 대한 박막의 접착력이 불충분하게 되는 반면, 양이 5 중량%이하인 경우에는, 기재 필름에 형성된 접착성 박막의 접착력은 불리하게는 불충분하게 될 것이다.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의 비율이 3 중량%이하인 경우는, 대전방지성은 불만족스럽게 되는 반면, 비율이 50 중량%이상인 경우에는, 기재 필름에 형성된 접착성 박막의 접착력은 불리하게는 불충분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수성 분산액은 기재 필름에 대한 이의 습윤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습윤제를 함유할 수 있다. 습윤제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베타인형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다. 습윤제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산화물·폴리프로필렌 산화물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 비누, 알킬 술폰에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 벤젠 술폰에이트, 알킬디페닐 에테르 디술폰에이트, 알킬 술포숙신에이트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는 바람직하게는 고형분 총중향의 2 내지 30 중량%, 좀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비율은 수성 분산액의 표면장력이 바람직하게는 50dyne/㎝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40 dyne/㎝ 이하가 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안정성 및 도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수성 분산액은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산온,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등과 같은 수-혼화성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성 분산액은 본 발명의 목적에 해가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대전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의 예로는 사차암모늄염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와 같은 이온 전도성 화합물, 인산염 화합물 및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산화 주석 및 산화 안티몬과 같은 산화 금속; 알콕시실란, 알콕시티타늄 및 알콕시지르코늄와 같은 금속 알콕시드 및 이의 유도체; 코팅된 카본; 및 코팅된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성 분산액은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안료,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윤활제, 블록킹방지제 및 가교제(예, 멜라민, 에폭시 또는 아지리딘)와 같은 기타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술한 수성 분산액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에서, 전술한 수성 분산액은 결정 배향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기재 필름, 즉, 비연신 기재 필름 또는 단축연신 기재 필름의 양면에 도포되어 필름상에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형성시킨다.
수성 분산액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롤 코팅, 그레이브(gravure) 코팅, 마이크로그레이브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함침 및 커튼 코팅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포시킬 수성 분산액의 양은 주행(traveling) 필름의 1㎡당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g, 좀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g이다. 최종 건조 박막(피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 좀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이다. 피막의 두께가 0.02㎛ 이하인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방지성은 얻기가 어려우며, 반면에 두께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불리하게는 슬리퍼리성(slipperiness)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에서, 기재 필름상에 형성된 수성 분산액의 박막의 건조 동안 또는 건조 후에 수득한 건조중인 또는 건조된 박막을 갖는 기재 필름은 이축 또는 단축 연신되어 건조된 접착성 피막을 갖는 이축연신 필름이 형성된다.
단계 (2)는 유리하게는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갖는 필름을 예비가열하고, 연속하여 필름을 열적으로 연신시켜 실행한다.
예비 가열은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실행한다. 연신은 바람직하게는 기재 필름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2차 전이점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기재 필름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2차 전이점보다 70℃ 높은 온도에서 실행한다.
상기 연신은 유리하게는 7.8 내지 13.5배의 최종 면적 배율을 달성하고 이축방향에서 2.8배 이상의 각각의 연신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행한다.
단계 (2) 이후에,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2차 전이점보다 70℃ 높은 온도 내지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열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 필름은 하기의 식을 만족시키는 이축연신 기재 필름이다 :
(식중,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고, I(100)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100)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다).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을 갖는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내절강성을 갖으며 거의 파손되거나 금이가지 않는다.
X-레이 회절 강도비가 0.08 이하인 경우에는, 자기 카드의 가공시 자기 카드로서의 내절강성이 불충하게 되어, 제조된 자기 카드는 깨지거나 금이 갈 것이다. 그러므로, 필름은 자기 카드로서의 보존성 및 내구성의 면에서는 불만족스럽다. 한편, X-레이 회절 강도비가 0.15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은 강성면에서 불충분하여 가공 동안에 변형되거나 자기 카드용 리더/라이터(reader/writer)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백색 안료를 5 내지 20 중량%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부터 형성되고, 20 내지 500㎛의 두께 및 하기의 식을 만족시키는 X-레이 회절 강도비를 갖는 이축연신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
(식중,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고 I(100)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100)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다).
자기 기록층 및 인쇄 잉크층은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의 접착성 피막상에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의 접착성 피막의 어느 한 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기 기록층 및 인쇄 잉크층중의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양면의 접착성 피막의 한 면에는 주로 자기 기록층이 존재하고 다른 한면에는 주로 인쇄 잉크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자기 기록층은 예컨대, γ-Fe2O3, CrO2, Co-γ-Fe2O3, Fe3O4, BaO·6FeO3또는 금속 자성 분말와 같은 자성 분말,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VC와 같은 비닐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고무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와 같은 피브린, 에폭시 수지, 페놀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결합제, 및 필요에 따라, 분산제, 윤활제, 안정제, 카본과 같은 대전방지제, 가소화제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인쇄 잉크층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 인쇄 잉크, 전자선 경화형 잉크, 감열 기록형 잉크등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기재하였다. 이 실시예들에서의 특성들은 하기의 방법으로 얻었다.
1. 자성층의 전사성
평가용 하기 도료를 메이어 바아로 시료 필름상에 건조후 약 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3분간 건조시킨다. 이 자성면을 또 다른 시료의 프라이머 도포면에 적층하고, 생성된 적층물을 50㎘/㎠의 압력 및 50℃ 온도의 조건하에서 17시간동안 에이징시킨다. 프라이머 도포면의 착색은 이의 분리시에 육안으로 평가한다. 변화가 없는 표면은 ○, 약간의 착색은 △, 그리고 완전한 착색은 ×로 평가한다.
[평가용 도료]
우레탄 수지 25 중량부(Nipollan 2304, 니폰 폴리우레탄 공업사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50 중량부(Slec A, 세끼스이 플라스틱사제), 분산제 1 중량부(Recion P, 리껜 비타민사제) 및 자기화제 500 중량부(CTX-860, 토다 고오교사제)을 모두 고형분으로 메틸 에틸 케톤/톨루엔/시클로헥산온 혼합물 용매에 용해시켜 40%의 고형분을 갖는 용액을 제조하고, 샌드 그라인더로 2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이후에, 가교제(Coronate L, 니뽄 폴리우레탄 공업사제) 25 중량부(고형분으로)를 생성된 분산액에 첨가하고 잘 교반하여 자기 도료를 제조한다.
2. 자기 도료의 접착력
평가용 상기 도료를 메이어 바아로 시료 필름상에 건조후 5㎛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3분간 건조시킨다. 이후에, 피막을 60℃에서 24시간동안 에이징시키고, 넓이 12.7㎜, 길이 15㎝의 스카치테이프 No.600(3M사제)을 테이프와 필름사이에 기포가 없도록 필름에 부착한다.
이 테이프를 JIS C2701(1975)에 기재되어 있는 수동식 하중롤로 밀어 필름에 밀착되도록 만들고, 이를 테이프 넓이로 절단한다. 이 시료를 180°에서 박리시의 이의 강도를 측정한다.
3. UV 잉크의 접착력
자외선 경화형 잉크(Flash Dry FD Carton P Magenta □, 도요 잉크사제)를 RI 시험기(아끼라 세이사꾸쇼 사제)로 시료 필름상에 인쇄하고, 중압 수은 램프(80W/㎝, 단일 램프형, 니뽄 배터리사제) UV 경화 장치로 경화시켜 4㎛ 두께의 UV 잉크층을 형성시킨다.
15㎝ 길이의 셀로테이프(18㎜ 넓이, 니치반사제)를 상기 UV 잉크층에 부착시키고, 2㎘ 수동 하중 롤로 상기 테이프를 밀어 특정 하중을 부여한다. 필름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테이프의 한끝을 90°의 각도에서 박리하여 이의 박리 접착력을 평가한다. 접착성은 하기의 5등급으로 평가한다.
5 : 잉크층이 전혀 박리되지 않는다.
4 : 3%이하의 잉크층이 박리된다.
3 : 3 내지 10%의 잉크층이 박리된다.
2 : 10 내지 30%의 잉크층이 박리된다.
1 : 30%이상의 잉크층이 박리된다.
4. 대전방지성
대전방지성은 고유 저항 측정 기구(다께다 리껜사제)을 이용하여 23℃의 측정 온도 및 65%의 습도에서 500V의 전압을 가한 1분후 시료 필름의 표면 고유 저항(Ω/□)을 측정하여 얻는다. 표면 고유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1×1011Ω/□ 이하이다.
5. 내블록킹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프라이머 도포면과 다른 프라이머 도포면을 함께 적층시켜 제조된 적층물을 5㎝×10㎝ 조각으로 절단하고, 이어서 50℃ 및 70%RH의 대기압에서 6㎘/㎠의 압력을 17시간동안 가한다. 이어서, 이 5㎝ 넓이의 단편을 이의 박리력에 대해서 측정한다(100㎜/분의 박리속도). 박리력은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
4g/5㎝ 이하 : ○
4 내지 10g/5㎝ : △
10g/5㎝ 이상 : ×
6. X-레이 회절 강도비
X-레이원(原)으로, CuK-α를 이용하여, X-레이 회절 강도비를 1/2°의 발산 슬리트, 1/2°의 분산 슬리트, 0.15㎜의 수광 슬리트 및 1,000°/분의 스캔 스피드에서 측정한다. 비율 I(110)/I(100)[I(110) : 필름 표면에 평행인 표면(110)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 I(100) : 필름 표면에 평행인 표면(100)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을 슈도 보이트(Pseudo Voight)박리 모델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스 박리 분리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7. 충격 강도
JIS x6311에 따라, 필름을 수평 플레이트상에 위치시키고 500g의 강구를 30㎝ 높이에서 필름상에 낙하시켜 파손 및 갈라진 금이 있는지를 측정한다(부재 : ○, 존재 : ×)
8. 2차 전이점
2차 전이점을 SSC/580DS형 DSC(세이꼬 덴시 고오교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약 10㎎ 시료를 알루미늄 호올더내에 봉입하고, DSC로 100℃ 까지 가열하며, 이어서 서서히 0℃로 냉각시키고, 이후에 이의 2차 전이점을 측정한다. 온도를 10℃/분의 속도로 250℃로 상승시키고 열량의 변화로 Tg를 구한다.
9. 평균 입자경
200pp의 입자 농도를 갖는 수용액을 시료로 사용하고, 전체의 50 중량%를 차지하는 입자의 입자경은 Nicomp 모델 270 미립자 분석기(퍼시픽 사이언티픽사제)를 이용하여 광학 분산 방법으로 얻은 모든 입자의 등가 구형 직경으로부터 얻으며, 이를 평균 입자경으로 취한다.
[실시예 1]
(1)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아크릴계 중합체(Tg : 53℃, 평균 입자경 : 79㎚, 수평균 분자량 : 244,000)의 고형분 농도 10%의 수성분산액을 수용액 A로서 제조한다.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로부터 합성된 고유 점도 0.54의 코폴리에스테르(Tg : 74℃, 평균 입자경 : 51㎚)의 고형분 농도 10%의 수성 분산액을 수용액 B로 제조한다 :
(식중, n+m=4이고 ph는 페닐렌기이다).
(2) 별개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90 중량%(고유점도 : 0.63) 및 산화티타늄 10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20℃로 유지되는 회전 냉각 드럼상에서 용융 압출하고, 이어서 종방향으로 80℃에서 3.6배로 연신시켜 비연신 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수용액 A 40 중량%, 수용액 B 30 중량%, 대전방지제로 나트륨 폴리스티렌 술폰에이트의 수용액 20 중량%(농도 : 10 중량%) 및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의 수용액 10 중량%(농도 : 10 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수성 도액을 키스-롤 코팅 방법으로 2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한다. 이어서, 필름을 횡방향으로 140℃에서 3.6배로 연신시켜 188㎛ 두께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처리면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성, 및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대전방지제를 나트륨 알킬 디페닐에테르디술폰에이트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1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처리면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력, 및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아크릴계 중합체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아크릴계 중합체(Tg; 25℃, 평균 입자경 : 72㎚, 수평균 분자량 : 261,000)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2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처리면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력, 및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1,4-부탄디올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부터 합성된 고유 점도 0.52의 코폴리에스테르(Tg : 21℃, 평균 입자경 : 65㎚)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2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처리면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력, 및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아크릴계 중합체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아크릴계 중합체(Tg : 55℃, 평균 입자경 : 208㎚, 수평균 분자량 : 274,000)로 대체하고, 코폴리에스테르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디에틸렌 글리콜 및 비스페놀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로부터 합성된 고유점도 0.54의 코폴리에스테르(Tg : 75℃, 평균 입자경 : 146㎚)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20g/㎡(함수)의 양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처리면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력, 및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도액을 아크릴계 중합체의 수용액 A 45 중량%, 코폴리에스테르의 수용액 B 45 중량%및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의 수용액 10 중량%(농축 : 10 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수성 도액으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20g/㎡(함수)의 양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처리면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력, 및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프라이머 도료의 도포없이 수득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자기 도료의 접착력, 자성층의 전사력, UV 잉크의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성층의 비전사성, 접착력 및 내블록킹성에서 우수하고, 종래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비교한 대전방지성면에서 만족스럽기 때문에, 이는 자기 카드, 자기 디스크, 인쇄재료등으로 유용한다.
[실시예 3]
(1)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로부터 합성된 아크릴계 중합체(Tg : 53℃, 평균 입자경 : 79㎚, 수평균 분자량 : 244,000)의 고형분 농도 10%의 수성분산액을 수용액 C로서 제조한다.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로부터 합성된 고유 점도 0.54의 코폴리에스테르(Tg : 74℃, 평균 입자경 : 51㎚)의 고형분 농도 10%의 수성 분산액을 수용액 D로 제조한다 :
(식중, n+m=4이다).
(2) 별개로,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90 중량%(고유점도 : 0.63) 및 산화티타늄 10 중량%함유하는 조성물을 20℃로 유지되는 회전 냉각 드럼상에서 용융 압출하고 종방향으로 90℃에서 1.5배 연신하고, 이어서 2.0배 연신시켜 비연신 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수용액 C 40 중량%, 수용액 D 30 중량%, 대전방지제로 나트륨 폴리스티렌 술폰에이트의 수용액 20 중량%(농도 : 10 중량%) 및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의 수용액 10 중량%(농도 : 10 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수성 도액을 키스-롤 코팅 방법으로 2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한다. 이어서, 필름을 횡방향으로 140℃에서 3.2배로 연신시켜 접착성 및 대전방지성 도료로 도포된 188㎛ 두께의 이축연신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X-레이 회절 강도비, 충격강도, 도막면에 대한 자기 도료의 접착성 및 UV 잉크의 박리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사용된 코폴리에스테르를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 술포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및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 산화물 부가물로부터 합성된 고유 점도 0.56의 코폴리에스테르(Tg : 85℃, 평균 입자경 : 48㎚)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2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접착성 및 대전방지성 도료로 피복된 백색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
(식중, n+m=4이다).
상기 필름의 X-레이 회절 강도비, 충격강도, 도막면에 대한 자기 도료의 접착성 및 UV 잉크의 박리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사용된 대전방지제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나트륨 메타크릴 술폰에이트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2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접착성 및 대전방지성 도료로 피복된 백색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X-레이 회절 강도비, 충격강도, 도막면에 대한 자기 도료의 접착성 및 UV 잉크의 박리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사용된 대전방지제를 나트륨 알킬디페닐 에테르 디술폰에이트로 대체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도료를 10g/㎡의 양(함수)으로 필름의 양면에 도포하여 접착성 및 대전방지성 도료로 피복된 백색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X-레이 회절 강도비, 충격강도, 도막면에 대한 자기 도료의 접착성 및 UV 잉크의 박리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및 산화 티타늄로 구성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비연신 필름을 종방향으로 3.2배 및 도액 도포후 횡방향으로 3.4배 연신시켜 접착성 및 대전방지성 도료로 피복된 백색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필름의 X-레이 회절 강도비, 충격강도, 도막면에 대한 자기 도료의 접착성 및 UV 잉크의 박리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 3 내지 7에서 수득한 백색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기 카드로의 가공적성 및 자기 카드용 기제로서 우수하고, 자기 도료의 접착성 및 UV 잉크의 박리 접착력, 대전방지성 및 내블록킹의 수준에서 우수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접착성, 대전방지성 및 자성층의 비 전사성을 갖는다.

Claims (20)

  1.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 (1) 백색 안료를 5 내지 20 중량%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비연신 또는 일축연신 기재 필름의 양면에,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100㎚ 이하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 50 내지 120℃의 2차 전이점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50㎚ 이하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미립자를 5 내지 70 중량%및 수용성 유기 술폰에이트를 3 내지 50 중량%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도포하여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2)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건조시키면서 또는 건조후에, 이 필름을 이축 또는 단축으로 연신시켜 접착성 피막을 갖는 이축연신 필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중의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전(全)산 성분의 50 몰%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중의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는 술폰에이트기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전(全) 성분의 0.05 내지 6 몰%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중의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의 미립자는 5 내지 80㎚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중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C1-C4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중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미립자는 5 내지 120㎚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중의 유기 술폰에이트는 술폰에이트기 및 1,000 내지 1,0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10%이하의 광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은 200㎛ 이상의 두께의 비연신 필름 또는 70㎛ 이상의 두께의 단축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이 추가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베타인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습윤제를 고형분 총중량의 2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은 3 내지 30 중량%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을 단계 (2)의 연신 이후에 피막이 0.02 내지 2㎛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는 수성 분산액의 박막을 갖는 필름을 예비가열하고 연속적으로 필름을 열적으로 연신시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의 연신을 실행하여 7.8 내지 13.5배의 최종 면적 연신배율 및 이축 방향에서 2.8배 이상의 각각의 연신율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 이후에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2차 전이점보다 70℃ 높은 온도 내지 융점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열고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하기식을 만족시키는 이축연신 기재 필름으로 구성된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는 방법 :
    (식중,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고 I(100)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100)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다).
  17. 제1항의 방법으로 수득한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8. 제17항의 필름의 양면의 접착성 피막의 어느 한 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기 기록층 및 인쇄잉크층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9. 제17항의 필름의 양면의 접착성 피막의 한 면에는 주로 자기기록층이 존재하고 다른 한 면에는 인쇄잉크층이 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0. 백색 안료를 5 내지 20 중량%함유하는 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되고, 20 내지 500㎛의 두께 및 하기의 식을 만족시키는 X-레이 회절 강도비를 갖는 이축연신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 :
    (식중,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고 I(100)은 필름 표면에 평행인 면(100)에서의 X-레이 회절 강도이다).
KR1019960043701A 1995-12-19 1996-10-02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32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52695A JP3286139B2 (ja) 1995-12-19 1995-12-19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95-330526 1995-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386B1 true KR100232386B1 (ko) 1999-12-01

Family

ID=1823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701A KR100232386B1 (ko) 1995-12-19 1996-10-02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86139B2 (ko)
KR (1) KR100232386B1 (ko)
AU (1) AU712807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77B1 (ko) 2006-03-14 2008-08-14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캔용 도료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707B2 (ja) * 1992-11-16 2001-05-28 帝人株式会社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675956B2 (ja) * 1993-01-21 1994-09-28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積層物及びその製法
JP2954821B2 (ja) * 1993-11-10 1999-09-27 帝人株式会社 磁気カード用制電易接着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77B1 (ko) 2006-03-14 2008-08-14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캔용 도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2807B2 (en) 1999-11-18
JP3286139B2 (ja) 2002-05-27
JPH09169857A (ja) 1997-06-30
AU6796596A (en)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238B1 (en) Antistatic layered polyester film
JP2003292655A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764708A2 (en) Antistatic polyester film
JP2003292654A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32386B1 (ko) 이축연신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119218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193543A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079617A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101602B2 (ja)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169707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34266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
EP0835752A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ink jet printing sheet
JP3279974B2 (ja)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172044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10206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060315A (ja) 磁気カード用積層フィルム
JP3098395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198669B2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40347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1060257A (ja) Icカード用積層フィルム
JP3279966B2 (ja) プリペードカード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088180A (ja)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068955B2 (ja) 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AU5609299A (en) Biaxially oriented adhesive polyester film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JP2001064598A (ja) 感熱発色層支持体用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