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041B1 -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041B1
KR100232041B1 KR1019970006112A KR19970006112A KR100232041B1 KR 100232041 B1 KR100232041 B1 KR 100232041B1 KR 1019970006112 A KR1019970006112 A KR 1019970006112A KR 19970006112 A KR19970006112 A KR 19970006112A KR 100232041 B1 KR100232041 B1 KR 10023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valve body
cell
support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666A (ko
Inventor
도오루 사토
마코토 와타나베
나오히토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도시오
지도샤기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도시오, 지도샤기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도시오
Publication of KR97006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9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piston details, e.g. construction, mounting of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요시에 자동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다.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정압실내에 벨로즈를 설치하여 있고, 그 전방측의 끝부는 제1지지부재에 의하여 셀의 축부에 설치한 돌출부에 연결하고 있다. 또, 제1지지부재의 외주에는 시일부재를 연결하고, 그 시일부재는 대기(공기)의 도입구 보다도 바깥측으로 되도록 셀의 벽면에 압접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셀의 벽면 및 돌출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등에 의하여 연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연통로를 통하여 벨로즈의 내부공간과 상기 도입구가 연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셀의 전방측 바깥쪽에 연통로용의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있었던 종래와 비교하면,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장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소요시에 자동 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다.
(선행기술의 설명)
종래, 자동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것이 알러져 있다. 즉, 셀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밸브 보디와, 이 밸브 보디에 설치한 파워피스톤과,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한 정압실 및 변압실과, 상기 정압실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 보디에 연결한 밸로즈와, 상기 밸로즈의 내부공간에 부압 혹은 대기가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도입구와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알려져 있다(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4-185571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지금까지의 브레이크 배력장치 보다도 벨로즈의 직경을 작게함으로서, 벨로즈내에 압력유체를 도입하여 자동 브레이크로서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작동시켰을 때의 손실하중을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서는 벨로즈를 소경으로 한것에 동반하여, 상기 도입구를 셀의 전방측 축부에 돌출한 원통형상부와 이를 관통하는 출력축과의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 이에 동반하여, 셀의 전방측의 바깥쪽에 스페이서를 장치하여, 이 스페이서에 상기 도입구와 압력유체측의 도관과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로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브레이크 배력장치에서는 벨로즈를 소경으로 한것에 동반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셀의 전방측에 장치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장이 길어진다라고 하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었던 것이다.
(발명의 개요)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셀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밸브 보디와, 이 밸브 보디에 설치한 파워피스톤과,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한 정압실 및 변압실과, 상기 정압실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 보디에 연결한 벨로즈와, 셀의 전방측의 축부에 형성되어 해당 셀의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와, 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에 형성되어, 상기 벨로즈의 내부공간에 부압 혹은 대기가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도입구와를 구비하고, 또, 상기 셀의 돌출부는 후방측으로 향하여 신장하는 원통형상부와 이 원통형상부의 후방측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신장하는 단면과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압실내에 환상의 제1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이 제1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과 상기 도입구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측으로 되는 셀의 벽면과의 사이를 시일부재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또, 상기 제1지지부재의 내주측의 부분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를 기밀을 유지하고, 동시에, 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를 압접시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이에 대향하는 셀의 벽면 및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의 공간과,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에 형성한 반경방향의 틈새에 의하여, 상기 도입구와 벨로즈의 내부공간과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성한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통로를 셀내에 구성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종래와 같은 스페이서를 설피하는 일없이 벨로즈를 축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배력장치의 전장을 단축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도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에 있어서,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셀(2)내에는 원통형상의 밸브 보디(3)를 미끄럼 자유로이 설치하여 있고, 이 밸브 보디(3)의 전방측의 외주부에 파워 피스톤(4)을 연결하고 있다. 파워피스톤(4)의 배면에는 다이어프램(5)을 설치하여 있고, 이 다이어프램(5)의 전후에 정압실(A)과 변압실(B)을 형성하고 있다.
정압실(A)내에는 벨로즈(6)를 배설하여 있고,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는 환상의 제1지지부재(7)에 의하여 셀(2)의 벽면(2A)의 축부에 연결하여 있고, 다른 한편,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는 환상의 제2지지부재(9)에 의하여 벨브 보디(3)에 있어서 전방츠기의 내주부에 연결하여 있다. 그리고, 이 벨로즈(6)에 의하여 상기 정압실(A)내를 벨로즈(6)의 내부공간으로 되는 벨로즈실(c)과 그 바깥측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 벨로즈실(c)은 후술하는 연통로(8)를 통하여 셀(2)에 설치한 도입구(2B)과 연통시키고 있다.
밸브보디(3)내에는 정압실(A)과 변압실(B)과의 연통상태를 절환하는 종래 공지의 밸브기구(11)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밸브기구(11)는 밸브보디(3)에 형성한 환상의 제1밸브시이트(12)와, 이 환상의 제1밸브시이트(12) 보다도 안측에 상기 밸브보디(3)에 미끄럼 자유로이 설치한 밸브플런저(13)에 형성한 환상의 제2밸브시이트(14)와, 더욱이 양 밸브시이트(12, 14)에 스프링에 의하여 착좌되는 밸브체(15)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밸브시이트(12)과 그것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밸브체(15)의 환상시이트부에 의하여 진공밸브(16)를 구성하고 있고, 또, 제2밸브시이트(14)와 그것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밸브체(15)의 환상시이트부에 의하여 대기밸브(17)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진공밸브(16) 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한 정압통로(18)를 통하여 상기 벨로즈실(c)에 연통하고 있다.
벨로즈실(c) 보다도 바깥쪽측으로 되는 정압실(A)내는 도관(19)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부압실과 상기 연통하고 있고, 따라서 벨로즈실(c) 보다도 바깥쪽측으로 되는 정압실(A)내에는 항상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셀(2)의 전방측의 벽면(2A)에 있어서, 지지부재(7)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입구(2B)를 설치하여 있고, 또, 셀(2)의 벽면(2A)에 있어서 벨로즈실(c)의 바깥쪽으로 되는 정압실(A)에 향하는 위치에는 별도의 접속구(2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관(21)의 일단을 접속구(2c)에 접속함과 동시에, 도관(21)의 타단을 도입구(2B)에 접속하고 있다. 도관(21)의 도중에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자 절환밸브(22)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전자 전환밸브(22)의 비작동상태에서는 도관(21)를 통하여 벨로즈실(c)과 그 바깥측의 정압실(A)이 연통하므로, 벨로즈실(c)를 포함한 정압실(A)의 전역에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기구(11)의 진공밸브(1b) 보다도 내주쪽이고, 동시에 대기밸브(17) 보다도 외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에 형성한 반경방향의 변압통로(23)를 통하여 변압실(13)에 연통하고 있다.
더욱이 대기밸브(17) 보다도 내주측의 공간은 밸브보디(3)의 후방측의 내주면에 의하여 구성한 대기통로(24) 및 거기에 설치한 필터(25)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시키고 있다.
밸브플런저(13)의 우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통시킨 입력축(26)에 연결하여 있고, 밸브플런저(13)의 좌단부는 리액션디스크(27)에 대향시키고 있다. 이 리액션디스크(27)는 출력축(28)의 후방측의 기부에 형성한 오목부(28a)내에 수납하고 있다.
출력축(28)의 오목부(28a)는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전방측으로 향하여 돌출설치한 환상돌기(3a)에 미끄럼 자유로이 끼워 장착하고 있다. 오목부(28a)를 설치한 출력축(28)의 기부에는 전방측에서 환상의 리테이너(31)를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이 리테이너(31)를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끼워맞춤시키고 있다. 이로서, 오목부(28a)를 설치한 출력축(28)의 기부가 환상돌기(3a)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른 한편, 출력축(28)의 좌단부는 셀(2)의 벽면(2A)의 개구를 관통시킨 마스터실린더(32)의 피스톤(32a)에 연동시키고 있다.
또, 벨로즈실(c)의 바깥쪽측으로 되는 정압실(A)내에는 리턴 스프링(33)을 배설하여 있고, 이 리턴스프링(33)의 탄발력에 의하여 밸브보디(3)를 도시 비작동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는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 및 후방측의 끝부(6a)를 다음과 같이하여 셀(2) 및 밸브보디(3)에 연결함으로서, 벨로즈(6)로서 소경의 것을 채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셀(2)의 전방측의 벽면(2A)의 축부에는 후방측을 향하여 (안쪽을 향하여) 돌출시킨 돌출부(2D)를 형성하여 있고, 이 돌출부(2D)는 축방향 후방측으로 퍼지는 원통형상부(2a)와 이 원통형상부(2a)의 후방측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퍼지는 단면(2b)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2D)내에 전방측에서 마스터실린더(32)의 하우징을 끼워맞춤시키고 있고, 또 단면(2b)의 축부에 형성한 개구에 마스터실린더(32)의 피스톤(32a)을 관통시키고 있다.
도 2 내지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7)는 실질적인 전방측 끝부로 되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은 플랜지부(7a)와 실질적인 후방측 끝부로 되고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은 반경방향부(7b)와 이들 플렌지부(7a)와 반경방향부(7b)와를 접속하는 통상의 축방향부(7c)와를 구비하고 있다. 축방향부(7c)에는 원주방향 등간격 위치로되는 4개소에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확경부(7e)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서, 각 확경부(7e)의 안쪽측에 축방향부(7c)의 내주면 보다도 바깥쪽측에 위치하는 축방향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7a)에 있어서 외주부에 가까운 개소는 후방측에 돌출시킨 환상돌기(7a)로서 있고, 상기 반경방향부(7b)의 내주 가장자리는 반경방향 바깥측으로 되접어 꺽어 강성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7)에 있어서 내주 가장자리(반경방향부 7b의 내주 가장자리)에 의하여, 두껍게한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를 후방측에서 기밀을 유지하고, 그 상태의 제1지지부재(7)의 축방향부(7c)에 셀(2)의 돌출부(2D)에 있어서 원통형상부(2a)을 압입함과 동시에, 상기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를 셀(2)의 돌출부(2D)의 단면(2B)에 후방측에서 압접시키고 있다.
또 이때에는 제1지지부재(7)의 외주부(플랜지부 7a의 외주부)에 유지한 환상의 시일부재(34)가 상기 도입구(2B)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 측으로 되는 셀(2)의 벽면(2A)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34)에 의하여 셀(2)의 벽면(2A)과 제1지지부재(7)의 외주부(플랜지부 7a의 외주부)와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7)의 각 확경부(7e)와 셀의 원통형상부(2a)와의 사이에는 축방향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또 제1지지부재(7)의 플랜지부(7a)와 이에 대향하는 셀(2)의 벽면과의 사이에는 반경방향의 틈새가 유지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에는 원주방향 등간격 위치에 전방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6c)가 형성하여 있고, 이 돌기(6c)가 돌출부(2D)의 단면에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서, 이들 이웃하는 돌기(6c)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퍼지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셀(2)의 벽면(2A)과 제1지지부재(7)와의 사이의 틈새 및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에 형성되는 반경방향의 틈새에 의하여, 연통로(8)를 구성하여 있고, 상술한 바와같이, 이 연통로(8)에 의하여, 도입구(2B)와 벨로즈실(c)과를 연통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지지부재(7)의 외주부에 장치한 시일부재(34)도 셀(2)의 벽면(2A)에 밀착하고, 이로서, 제1지지부재(7)의 외주부와 셀(2)의 벽면(2A)과의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리턴 스프링(33)은 상기 벨로즈(6)를 둘레에 가요성 있게 배치하고 있고, 제1지지부재(7)의 환상돌기(7d)의 인접 안쪽 위치에 리턴스프링(33)의 전방측의 끝부를 압접시키고 있다. 이로서, 제1지지부재(7)의 외주부에 장치한 시일부재(34)는 셀(2)의 벽면(2A)에 강하게 압접되어 있고, 이로서, 셀(2)의 벽면(2A)과 제1지지부재(7)와의 사이의 기밀이 확실히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밸브보디(3)에 있어서 전방측의 내주부에는 상기 환상돌기(3a) 보다도 전방측에 차례로 전방측이 확경하는 환상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압통로(18)의 일부를 구성하고, 동시에 출력축(28)의 기부의 인접 바깥 위치로 되는 밸브보디(3)의 단부단면(3b)에, 출력축(28)용의 리테이너(31)의 후방측 끝부를 전방측에서 맞닿게 하고 있다.
도 4 부터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테이너(31)는 축방향으로 퍼지는 축방향부(31a)와 이 축방향부(31a)의 전방측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퍼지는 반경 방향부(31b)와를 구비하고 있다. 축방향부(31a)에 있어서 원주방향 4개소에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확경부(31c)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이웃하는 확경부(31c) 사이의 위치로 되는 축방향부(31a)의 전방측의 부분은 노치부(31a)로 하고 있다.
또 반경방향부(31b)의 축부에는 상기 출력축(28)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있고, 반경방향부(31b)에 있어서 각 확경부(31c)와의 인접위치에는 각각 사다리꼴의 관통구멍(31e)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리테이너(31)를 출력축(28)의 전방측의 외주부에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리테이너(31)의 축방향부(31a)를 출력축(28)의 기부에 끼워 장착하고, 그 상태에 있어서, 리테이너(31)의 축방향부(31a)의 후방측 끝부를 밸브보디(3)의 단부 단면(3b)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 이때에는 리테이너(31)의 확경부(31c)가 단부 단면(3b)의 전방측으로 되는 밸브 보디(3)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31)를 밸브보디(3)에 장치함으로서, 리테이너(31)의 확경부(31c)의 안쪽측의 공간부에 의하여 정압통로(18)의 일부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는 두껍게하여 있고, 그 끝부(6a)를 환상의 제2지지부재(9)에 있어서 내주부에 의하여 전방측에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이 제2지지부재(9)에 유지한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을 상기 리테이너(31)의 확경부(31c)를 끼워맞춤한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끼워맞춤함과 동시에, 상기 리테이너(31)에 있어서 관통구멍(31e) 보다도 바깥쪽 위치로 되는 반경방향부(31b)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로서, 밸브보디(3)의 내주부와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와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또, 이로서, 벨로즈실(c)과 진공벨브(1b)가 정압통로(18)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9)의 외주부에는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환상홈(9a)을 형성하여 있고, 또 그 인접 안쪽위치에는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환상홈(9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쪽측의 환상홈(9b)을 밸브보디(3)에 있어서 전방측의 끝부로되는 가장자리부에 전방측에서 걸어맞춤시키고 있고, 그 상태에 있어서 제2지지부재(9)의 환상홈(9a)에 상기 리턴스프링(33)의 후방측의 끝부를 맞닿게 하고 있다. 이로서, 제2지지부재(9)는 밸브보디(3)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가 밸브보디(3)의 내주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작동설명)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시 비작동상태에서는 도관(21), 도입구(2B) 및 연통로(8)를 통하여 벨로즈실(c)과 그 바깥쪽의 정압실(A)이 연통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내부에는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또, 비작동 상태의 브레이크 배력장치(1)는 종래공지와 같이, 진공밸브(16)가 개방되는 한편, 대기밸브(17)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변압실(B)내에도 부압이 도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 비작동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이 밟혀 입력축(26)이 전진되면,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대기밸브(17)가 개방되는 한편, 진공밸브(16)가 폐쇄되므로, 벨로즈실(c)을 포함한 정압실(A)과 변압실(B)과의 사이에 차압이 생겨, 종래 주지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힘에 따른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브레이크 배력장치(1)를 자동 브레이크로서 작동시킬 때에는 도시 비작동상태로부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전자절환밸브(22)를 작동시킨다. 그리하면, 벨로즈실(c)과 그것 보다도 바깥쪽측의 정압실(A)내의 연통은 차단되는 한편, 벨로즈실(c)내의 대기가 도입된다. 벨로즈실(c)내의 대기는 정압통로(18) 및 변압통로(23)를 경유하여 변압실(B)내로 도입되므로,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일없이 브레이크 배력장치(1)를 작동시켜 자동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얻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를 제1지지부재(7)에 의하여 셀(2)의 돌출부(2D)의 끝면(2b)에 맞닿게 함으로서, 상술한 연통로(8)를 구성하고 있다. 또,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도 상술한 연결구조에 의하여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입구(2B)의 위치 보다도 반경방향 안쪽측으로 되는 돌출부(2D)의 끝면(2b)의 위치에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를 위치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도입구(2B)의 위치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 위치에 벨로즈(6)의 전방측의 끝부(6b)를 위치시키고 있었던 종래와 비교하면, 벨로즈(6)의 외경을 대폭으로 축경시킬 수가 있다. 또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도 상술한 연결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축경한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6a)에 의하여 정압통로(18)가 폐쇄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벨로즈(6)로서 소경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었을 때에 밸브보디(3)의 전진작동에 대한 벨로즈(6)에 의한 저항을 작게할 수가 있고, 따라서, 브레이크 배력장치(1)가 작동되었을 때의 손실하중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벨로즈(6)의 후방측의 끝부는 제2지지부재(9)의 내주부에 에워쌓아진 상태로 밸브보디(3)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므로, 밸브보디(3)가 손상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로(8)를 셀(2)의 벽면(2A)과 제1지지부재(8)와의 사이에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연통로(8)는 셀(2)내에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종래와 같은 셀(2)의 전방측 바깥쪽으로 연통로용의 스페이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와 비교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1)의 전장을 단축할 수가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도 7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2실시예는 제1지지부재(107)의 구조를 변경함과 동시에, 벨로즈(106)의 후방측의 끝부(106a)의 연결구조등을 변경한 것이다.
즉, 이 제2실시예의 제1지지부재(107)는 대략 플랜지 형상을 한 전방부재(141)와 이 전방부재(141)에 일체로 연결한 대략 원불형상을 한 후방부재(142)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다.
전방부재(141)의 내주부에는 원주방향 등간격 위치에 복수의 걸어맞춤 클릭(141a)을 형성하여 있고, 또 전방부재(141)에 있어서 반경방향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41b)이 뚫어설치하여 있다. 다른 한편, 후방부재(142)에 있어서 실질적인 전방측 끝부로 되는 반경방향부를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141b) 보다도 바깥쪽측으로 되는 전방부재(141)의 반경방향부에 접합하는 것으로 양부재(141, 142)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 후방부재(142)의 외주에 시일부재(134)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방부재(142)의 내주 가장자리에 의하여 벨로즈(106)의 전방측의 끝부(106b)를 간직하고, 그 상태에 있어서, 전방부재(141)를 원통형상부(102a)에 끼워 장착하고, 걸어맞춤클릭(141a)을 원통형상부(102a)에 걸림시키고 있다. 또, 이것과 동시에 시일부재(134)를 셀(102)의 벽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셀(102)의 돌출부(102D)의 단면(102b)에 맞닿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에서는 셀(102)의 벽면(102A)과 제1지지부재(107)와의 사이의 공간부, 제1지지부재(107)의 전방부재(141)의 관통구멍(141b), 양부재(141, 142) 사이의 공간, 돌출부(102D)와 제1지지부재(107)의 후방부재(142)와의 사이의 공간 및 벨로즈(106)의 전방측의 끝부(106b)의 반경방향의 틈새에 의하여 연통로(108)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마스터실린더(32)의 피스톤(32a)을 돌출부(2D)에 끼워 통하고, 그 피스톤(32a)의 오목부에 출력축(28)의 전방측을 삽입하고 있었지만, 이 제2실시예에서는 출력축(128) 그 자체를 돌출부(102D)에 관통시켜 셀(102)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에 동반하여, 돌출부(102D)에는 종래 공지의 시일부재(143)를 장착하여 있고, 이로서, 출력축(128)과 돌출부(102D)와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또,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보디(103)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비교하면 전방측 내주부의 단부를 줄여서 간략화한 구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공지의 판상의 리테이너(131)를 출력축(128)에 전방측에서 끼워 장착한 후, 정압통로(118)의 인접 바깥쪽측으로 되는 밸브보디(103)의 단부단면(103b)의 내주측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한, 리테이너(131)의 소요 위치에는 관통구멍을 뚫어 설치하여, 정압통로(118)와 벨로즈실(c)의 연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벨로즈(106)에 있어서 후방측의 끝부(106a)를 제2지지부재(109)의 내주부에 의하여 전방측에서 유지하여, 상기 단부 단면(103b)의 외주측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 제1실시예와 꼭같이, 제2지지부재(109)의 외주부와 제1지지부재(107)에 걸처서 리턴 스프링(133)을 탄력장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일부재(134)를 셀(102)의 벽면에 압접시켜, 그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고, 동시에 벨로즈(106)의 후방측의 끝부(106a)를 단부 단면(3b)에 강하게 압접시켜, 그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밸브보디(103)의 전방측의 내주부를 간략화 한것에 동반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109)의 형상도,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간략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각각 100을 가산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실시예 일지라도, 상술한 제1실시예와 꼭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장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5)

  1. 셀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한 파워피스톤과,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한 정압실 및 변압실과, 상기 정압실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보디에 연결한 벨로즈와, 셀의 전방측의 축부에 형성되어 해당 셀의 후방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와, 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로즈의 내부공간에 부압 혹은 대기가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도입구와를 구비하고, 또, 상기 셀의 돌출부는 후방측으로 향하여 뻗는 원통형상부와 이 원통형상부의 후방측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는 단면과를 구비한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압실내에 환상의 제1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이 제1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과 상기 도입구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측으로 되는 셀의 벽면과의 사이를 시일부재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또, 상기 제1지지부재의 내주측의 부분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의 기밀을 유지하고, 동시에, 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를 압접시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이에 대향하는 셀의 벽면 및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의 공간과,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에 형성한 반경방향의 틈새에 의하여, 상기 도입구와 벨로즈의 내부공간과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의 안쪽측에는 출력축을 배설하여 있고, 이 출력축의 후방측에 형성한 기부의 오목부를 상기 밸브 보디에 형성한 환상돌기에 미끄럼 자유로이 끼워 장착하고 있고, 상기 출력축의 기부에는 환상의 리테이너가 끼워 장착되어져 밸브 보디의 환상돌기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고, 또 상기 정압실 내에 환상의 제2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이 제2지지부재의 내주부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유지하여, 해당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보디의 내주부에 끼워맞춤하고, 동시에 상기 리테이너에 전방축에서 압접시켜 있고, 더욱이 상기 정압실내에는 밸브보디를 비작동 위치로 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여 있고, 이 리턴 스프링의 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에 후방측에서 압접시킴과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에 전방측에서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가 맞닿는 반경 방향부와, 여기서 연속하여 축방향으로 퍼지는 원통상의 축방향부와, 더욱이 이 축방향부에 형성되어, 리테이너 전후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간격부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실내에는 환상의 제2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있고, 이 제2지지부재의 내주부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유지하여, 해당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보디의 내주부에 형성한 단부 단면에 전방측에서 압접시켜 있고, 더욱이, 상기 정압실내에는 밸브보디를 비작동 위치에 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여 있고, 이 리턴 스프링의 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에 후방측에서 압접시킴과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에 전방측에서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플랜지상의 반경방향부를 갖는 전방부재와 이 전방부재의 반경방향부에 후방측에서 일체로 연결한 개략 원뿔상의 후방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재의 반경방향부에는 그 전후를 연통시키는 관통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방부재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걸어맞춤 클릭을 설치하여 있고, 이들 전방부재의 걸어맞춤 클릭을 상기 돌출부의 원통형상부에 걸림시키므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기 돌출부에 연결하여 있고, 더욱이,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후방부재의 외주부에 유지하여 셀의 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는 상기 후방부재의 내주부에 유지하여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19970006112A 1996-02-29 1997-02-27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232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69345 1996-02-29
JP06934596A JP3526128B2 (ja) 1996-02-29 1996-02-29 ブレーキ倍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66A KR970061666A (ko) 1997-09-12
KR100232041B1 true KR100232041B1 (ko) 1999-12-01

Family

ID=1339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112A KR100232041B1 (ko) 1996-02-29 1997-02-27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02951A (ko)
JP (1) JP3526128B2 (ko)
KR (1) KR100232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5084B4 (de) * 1997-09-30 2006-05-18 Aisin Seiki K.K., Kariya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US6003425A (en) * 1998-03-27 1999-12-21 Jidosha Kiki Co., Ltd. Boost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0882A (en) * 1964-10-06 1967-11-07 Chrysler Corp Vehicle braking system
FR2535272B1 (fr) * 1982-10-29 1987-04-17 Dba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JPS6018439A (ja) * 1983-07-11 1985-01-30 Jidosha Kiki Co Ltd ブレ−キ倍力装置の間隙調整装置
JPH0439804Y2 (ko) * 1985-06-17 1992-09-17
JP2844809B2 (ja) * 1990-03-05 1999-01-13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976515B2 (ja) * 1990-10-12 1999-11-10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798806B2 (ja) * 1990-11-20 1998-09-17 トキコ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US5235897A (en) * 1991-02-14 1993-08-17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US5247868A (en) * 1991-02-21 1993-09-28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of tandem type
JP3085319B2 (ja) * 1991-07-19 2000-09-04 ボッシュ ブレーキ システム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853721B2 (ja) * 1992-07-10 1999-02-03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66A (ko) 1997-09-12
JP3526128B2 (ja) 2004-05-10
US5802951A (en) 1998-09-08
JPH09226562A (ja) 1997-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29B1 (ko) 다이어프램 밸브
JP3085319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2004231093A (ja) マスタシリンダ
KR100232041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5476029A (en) Pneumatic booster having vacuum and pressurized air sources
KR920005372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20010006676A (ko) 로크기구가 부착된 유체압 실린더
KR910008778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368770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960000779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2004513011A (ja) 真空ブレーキブースタ
KR100853650B1 (ko)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JP2856225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3526138B2 (ja) ブレーキ装置
KR100771014B1 (ko) 리턴스프링을 갖춘 차량용 부스터
KR960000251B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KR20020042429A (ko) 자동 브레이크 배력장치
KR910005204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2024066139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JPH0347962Y2 (ko)
JPH04307124A (ja) 油圧作動式クラッチ遮断装置
CN116025606A (zh) 阀门组件和方法
KR100402273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배력장치
JP3793949B2 (ja) 気圧式倍力装置
JP2023122706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