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1666A -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1666A
KR970061666A KR1019970006112A KR19970006112A KR970061666A KR 970061666 A KR970061666 A KR 970061666A KR 1019970006112 A KR1019970006112 A KR 1019970006112A KR 19970006112 A KR19970006112 A KR 19970006112A KR 970061666 A KR970061666 A KR 97006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support member
valve body
cell
pressed again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2041B1 (ko
Inventor
도오루 사토
마코토 와타나베
나오히토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도시오
지도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도시오, 지도샤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도시오
Publication of KR97006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9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piston details, e.g. construction, mounting of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요시에 자동브레이크로서 기능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다.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정압실내에 벨로즈를 설치하여 있고, 그전방측의 끝부는 제1지지부재에 의하여 셀의 축부에 설치된 돌출부에 연결하고 있다. 또, 제1지지부재의 외주에는 시일부재를 연결하고, 그 시일부재는 대기(공기)의 도입구 보다도 바깥측으로 되도록 셀의 벽면에 압접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셀의 벽면 및 돌출부와의 사이의 공간부등에 의하여 연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연통로를 통하여 벨로즈의 내부공간과 상기 도입구가 연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셀의 전방측 바깥쪽에 연통로용의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있었던 종래와 비교하면,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장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배력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 - 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주요부의 사시도.

Claims (5)

  1. 셀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밸브보디와, 이 밸브보디에 설치한 파워피스톤과, 파워피스톤의 전후에 형성한 정압실 및 변압실과, 상기 정압실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보디에 연결한 벨로즈와, 셀의 전방측의 축부에 형성되어 해당 셀의 후방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와, 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벨로즈의 내부공간에 부압 혹은 대기가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도입구와 를 구비하고, 또, 상기 셀의 돌출부는 후방측으로 향하여 뻗는 원통형상부와 이 원통형상부의 후방측 끝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는 단면과를 구비한 브레이트 배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압실내에 환상의 제1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이 제1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과 상기 도입구 보다도 반경방향 바깥측으로 되는 셀의 벽면과의 사이를 시일부재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또, 상기 제1지지부재의 내주측의 부분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의 기밀을 유지하고, 동시에, 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를 압접시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이에 대향하는 셀의 벽면 및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의 공간과,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에 형성한 반경방향의 틈새에 의하여, 상기 도입구와 벨로즈의 내부공간과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의 안쪽측에는 출력축을 배설하여 있고, 이 출력축의 후방측에 형성한 기부의 오목부를 상기 밸브 보디에 형성한 환상돌기에 미끄럼 자유로이 끼워 장착하고 있고, 상기 출력축의 기부에는 환상의 리테이너가 끼워 장착되어져 밸브 보디의 환상돌기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고, 또 상기 정압실 내에 환상의 제2지지부재를 배치하여, 이 제2지지부재의 내주부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유지하여, 해당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보디의 내주부에 끼워맞춤하고, 동시에 상기 리테이너에 전방축에서 압접시켜 있고, 더욱이 상기 정압실내에는 밸브보디를 비작동 위치로 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여 있고, 이 리턴 스프링의 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에 후방측에서 압접시킴과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에 전방측에서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가 맞닿는 반경 방향부와, 여기서 연속하여 축방향으로 퍼지는 원통상의 축방향부와, 더욱이 이 축방향부에 형성되어, 리테이너 전후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간격부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실내에는 환상의 제2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있고, 이 제2지지부재의 내주부에 의하여 상기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유지하여, 해당 벨로즈의 후방측의 끝부를 밸브보디의 내주부에 형성한 단부 단면에 전방측에서 압접시켜 있고, 더욱이, 상기 정압실내에는 밸브보디를 비작동 위치에 위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여 있고, 이 리턴 스프링의 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1지지부재에 후방측에서 압접시킴과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후방측의 끝부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주측의 부분에 전방측에서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플랜지상의 반경방향부를 갖는 전방부재와 이 전방부재의 반경방향부에 후방측에서 일체로 연결한 개략 원뿔상의 후방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부재의 반경방향부에는 그 전후를 연통시키는 관통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방부재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걸어맞춤 클릭을 설치하여 있고, 이들 전방부재의 걸어맞춤 클릭을 상기 돌출부의 원통형상부에 걸림시키므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를 상기 돌출부에 연결하여 있고, 더욱이,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후방부재의 외주부에 유지하여 셀의 벽면에 압접하고, 상기 벨로즈의 전방측의 끝부는 상기 후방부재의 내주부에 유지하여 상기 돌출부의 단면에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배력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6112A 1996-02-29 1997-02-27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0232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69345 1996-02-29
JP06934596A JP3526128B2 (ja) 1996-02-29 1996-02-29 ブレーキ倍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66A true KR970061666A (ko) 1997-09-12
KR100232041B1 KR100232041B1 (ko) 1999-12-01

Family

ID=1339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112A KR100232041B1 (ko) 1996-02-29 1997-02-27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02951A (ko)
JP (1) JP3526128B2 (ko)
KR (1) KR100232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5084B4 (de) * 1997-09-30 2006-05-18 Aisin Seiki K.K., Kariya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US6003425A (en) * 1998-03-27 1999-12-21 Jidosha Kiki Co., Ltd. Boost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0882A (en) * 1964-10-06 1967-11-07 Chrysler Corp Vehicle braking system
FR2535272B1 (fr) * 1982-10-29 1987-04-17 Dba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JPS6018439A (ja) * 1983-07-11 1985-01-30 Jidosha Kiki Co Ltd ブレ−キ倍力装置の間隙調整装置
JPH0439804Y2 (ko) * 1985-06-17 1992-09-17
JP2844809B2 (ja) * 1990-03-05 1999-01-13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976515B2 (ja) * 1990-10-12 1999-11-10 自動車機器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798806B2 (ja) * 1990-11-20 1998-09-17 トキコ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US5235897A (en) * 1991-02-14 1993-08-17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US5247868A (en) * 1991-02-21 1993-09-28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of tandem type
JP3085319B2 (ja) * 1991-07-19 2000-09-04 ボッシュ ブレーキ システム株式会社 ブレーキ倍力装置
JP2853721B2 (ja) * 1992-07-10 1999-02-03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041B1 (ko) 1999-12-01
JP3526128B2 (ja) 2004-05-10
US5802951A (en) 1998-09-08
JPH09226562A (ja) 1997-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53582B2 (ko)
US3954121A (en) Vent check valve
KR890004880A (ko) 내측 밀봉 밴드를 가진 공기 스프링 및 그 설치 방법
DE59706866D1 (de) Zweiteilige Ventilschaftdichtung
ATE98754T1 (de) Dichtungen.
KR920012758A (ko) 펌프용 라이너 링(Liner Ring)
CA2229669A1 (en) Bearing seal with uniform fluid purge
KR870003909A (ko) 진공작동식 브레이크 파워부우스터
ATE273737T1 (de) Filterpatrone
GB2096716A (en) Seal assembly comprising two lips one of which is axial and the other radial and a labyrinth
KR970061666A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2749156A (en) Seal
KR920016739A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H0139494B2 (ko)
KR960022032A (ko) 부스터 장치에서의 밸브 플런저 유지 구조체
KR960038197A (ko) 밀봉장치
KR920006887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시일장치
KR910008778Y1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US4423666A (en) Brake booster
JPH07243536A (ja) フローティングリングシール
KR960000679A (ko) 배력장치의 밸브기구
KR890001813A (ko) 브레이크 부스터의 동력 피스톤 조립체
GB2280018A (en) Bulb supporting device
KR920007875A (ko) 브레이크 배력장치
JPH04802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