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070B1 -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070B1
KR100231070B1 KR1019970001688A KR19970001688A KR100231070B1 KR 100231070 B1 KR100231070 B1 KR 100231070B1 KR 1019970001688 A KR1019970001688 A KR 1019970001688A KR 19970001688 A KR19970001688 A KR 19970001688A KR 100231070 B1 KR100231070 B1 KR 10023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flat cable
terminal
terminals
lea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578A (ko
Inventor
겐이찌 사이소오
겐 도꾸나가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6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두께가 얇은 플랫케이블을 사용하였다고 하여도 도체를 단자에 확실하게 초음파용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리드블록(4)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6)의 각각에 돌기부(6a)를 형성하고, 초음파용접장치의 앤빌(9)상에 각 단자(6)와 플랫케이블(1)의 복수의 도체(3)를 중합 (重合)시켜두고 혼(10)으로 이들 단자(6)와 도체(3)의 겹침부분을 가압하면서 초음파진동을 가함으로써 각 단자(6)의 돌기부(6a)와 각 도체(3)에 고상(固相)접합을 일으키게 하여 복수조의 단자(6)와 도체(3)를 동시에 초음파용접한다.

Description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FLAT CABLE AND TERMINAL}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상대측의 단자에 초음파용접하는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플랫케이블은 PET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필름에 동박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체를 담지(擔持)한 띠상체이고, 예를 들어 에어백회로의 도통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회전커넥터에서는 회전자유롭게 연결된 한 쌍의 하우징내에 플랫케이블이 소용돌이모양등으로 감겨진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 플랫케이블의 양단은 하우징의 외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출되나, 후자의 간접적으로 도출하는 수단으로서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리드블록의 단자를 중계하여 외부의 리드선에 접속하는 접속구조가 알려져 있다.
종래부터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초음파용접을 사용하여 리드블록의 단자에 접속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용접을 사용한 접속방법은 초음파용접장치의 앤빌상에 리드블록의 단자와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얹어놓고, 이들 단자와 도체의 겹침부분을 혼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혼으로 초음파진동을 가함으로써 단자와 도체의 접합부에 고상접합을 일으키게 하며, 복수조의 단자와 도체를 한 번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이나 스폿용접 등의 다른 접속방법에 비하면, 접속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그런데 최근, 플랫케이블 도체의 두께는 얇아지는 경향이 있어, 예를 들어 35㎛정도의 극히 얇은 도체를 가지는 플랫케이블이 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얇은 도체를 단자에 초음파용접하는 경우, 초음파용접장치의 앤빌과 혼의 평행도가 엄밀하게 관리되어 있지 않으면 혼의 가압력이 단자와 도체의 접합부에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게 되어, 목적으로 하는 개소에 고상접합이 생기지 않게 된다. 특히, 플랫케이블의 복수 도체를 리드블록이 대응하는 각 단자에 동시에 초음파용접하는 경우, 각 조마다의 접합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여 모든 조의 도체와 단자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플랫케이블의 도체가 초음파용접되는 단자의 접합개소에 돌기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자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속불량의 원인이 되는 가압력의 흐트러짐을 해소하고, 도체와 단자를 확실하게 초음파용접할 수 있다.
도 1은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 및 리드선의 접속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단자의 돌기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플랫케이블과 리드블록 및 리드선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초음파용접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단자와 도체를 초음파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랫케이블 2 : 베이스필름
3 : 도체 4 : 리드블록
5 : 수지성형체 6 : 단자
6a : 돌기부 7 : 접속부
8 : 리드선 9 : 앤빌
10 : 혼
본 발명의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에서는 리드블록에 지지된 평판상의 단자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단자와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상기 돌기부를 거쳐 초음파용접한다.
상기 돌기부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나, 예를 들어 하프펀치를 행하여 반구상으로 형성하거나 편육가공(偏肉加工:thickness deviation process)을 행하여 단면사다리꼴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도체가 초음파용접되는 단자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리드블록에 복수의 단자가 소정 피치로 설치되고, 이들 단자에 플랫케이블이 대응하는 각 도체를 동시에 초음파용접하는 것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또 상기 단자에 초음파용접되는 부분의 도체는 적어도 단자와 대향하는 면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플랫케이블의 베이스필름을 제거하여 도체를 완전히 노출시키거나 라미네이트된 베이스필름의 한쪽을 벗겨내어 다른쪽의 베이스필름상에 도체를 노출시켜도 좋다.
(실시예)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케이블(1)은 PET등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베이스필름(2)과, 양 베이스필름(2)에 매설된 35㎛두께의 동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도체(3)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는 5개의 도체(3)가 사용되고 있다. 플랫케이블(1)의 일단부에 있어서 양 베이스필름(2)은 제거되어 있고, 해당 개소에서 각 도체(3)는 노출되어 있다. 리드블록(4)은 복수의 금속판을 수지성형체(5)에 인서트성형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각 금속판의 일단은 수지성형체(5)의 측면에서 돌출하여 단자(6)를 형성하고, 타단은 수지성형체(5)의 상면에서 노출되어 접속부(7)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플랫케이블(1)의 각 도체(3)에 맞추어 5개의 단자(6)가 사용되고 있고, 인서트성형시 각 단자(6)의 배열피치가 각 도체(3)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단자(6)에는 돌기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6a)의 형상이나 크기는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프펀치에 의한 반구형상이나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육가공에 의한 가늘고 긴 사다리꼴 등으로 적절히 설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블록(4)의 각 단자(6)에 후술하는 초음파용접장치를 사용하여 플랫케이블(1)의 각 도체(3)가 접속됨과 동시에 리드블록(4)의 각 접속부(7)에 리드선(8)이 스폿용접이나 초음파용접 등에 의하여 접속됨으로써 플랫케이블(1)과 각 리드선(8)은 리드블록(4)을 거쳐 일체화된다. 또한 도시생략하였으나, 이와 같이 일체화된 플랫케이블(1)과 리드블록(4) 및 각 리드선(8)은 회전커넥터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고, 리드블록(4)이 가동측 또는 고정측 하우징에 고정되게 되어, 양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플랫케이블(1)은 리드블록(4)을 거쳐 각 리드선(8)에 중계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음파용접장치는 워크가 얹어놓여지는 앤빌(9), 워크에 화살표 A방향의 초음파진동을 부여하는 혼(10), 혼(10)을 회전구동하여 워크에 화살표 B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에어실린더(11) 등을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워크는 도체(3)와 단자(6)이다. 도체(3)와 단자(6)를 초음파용접하는 경우는 앤빌(9)상에 리드블록(4)의 각 단자(6)와 플랫케이블(1)의 각 도체(3)를 중합시킨 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10)으로 이들 단자(6)와 도체(3)의 겹침부분을 가압하면서 초음파진동을 가하면, 각 단자(6)의 돌기부(6a)와 각 도체 (3)에 고상접합이 일어나고, 복수조의 단자(6)와 도체(3)가 동시에 접속된다. 그때, 앤빌(9)과 혼(10)의 평행도에 다소의 오차가 있었다고 하여도 각 단자(6)와 각도체(3)는 돌기부(6a)를 거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혼(10)의 가압력이 각 단자(6)와 각 도체(3)의 접합부에 균일하게 작용하고, 모든 조의 단자(6)와 도체(3)를 확실하게 초음파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효과는 각 도체(3)의 두께가 10 내지 50㎛인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그 이유는 각 도체(3)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면, 돌기부(6a)가 없어도 큰 문제없이 초음파용접할 수 있고, 10㎛두께보다 얇은 도체(3)를 작성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플랫케이블의 도체가 초음파용접되는 단자의 접합개소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속불량의 원인이 되는 가압력의 흐트러짐이 해소되고, 도체와 단자를 확실하게 초음파용접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체두께가 얇은 플랫케이블을 사용하였다고 하여도 초음파용접장치의 앤빌과 혼의 평행도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어져 초음파용접에 필요한 작업시간의 단축화 및 작업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드블록에 복수개의 단자가 소정의 피치로 설치되어 이들 단자에 플랫케이블에 대응하는 각 도체를 초음파용접하는 경우, 각 조의 단자와 도체를 동시에 그리고 확실히 초음파용접하는 데 특히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리드블록에 지지된 평판상의 도체단자에 플랫케이블의 도체 방향을 향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단자와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상기 돌기부를 거쳐 초음파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과 도체단자의 접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단자는 상기 리드블록에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고, 이들 도체단자와 상기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를 동시에 초음파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과 도체단자의 접속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상기 도체단자의 용접부에서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는 상기 도체단자와 대향하지 않는 측이 베이스필름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케이블과 도체단자의 접속구조.
  4. 상대적으로 회전자유롭게 연결된 한 쌍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소용돌이모양으로 감겨진 상태로 수납되는 플랫케이블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플랫케이블의 일단이 하우징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출부에 리드블록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블록에 지지된 평판상의 도체단자에 플랫케이블의 도체 방향을 향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도체단자와 플랫케이블의 도체를 상기 돌기부를 거쳐 초음파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단자는 상기 리드블록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설치되고, 이들 도체단자와 상기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를 동시에 초음파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와 상기 도체단자의 용접부에서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각 도체는 상기 도체단자와 대향하지 않는 측이 베이스필름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의 상기 도체단자의 일단에는 플랫케이블의 도체가 용접접속되고, 타단에는 리드와이어가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KR1019970001688A 1996-01-23 1997-01-22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KR100231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09347A JPH09199196A (ja) 1996-01-23 1996-01-23 フラットケーブルと端子の接続構造
JP8-009347 1996-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578A KR970060578A (ko) 1997-08-12
KR100231070B1 true KR100231070B1 (ko) 1999-11-15

Family

ID=1171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688A KR100231070B1 (ko) 1996-01-23 1997-01-22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24955A (ko)
JP (1) JPH09199196A (ko)
KR (1) KR100231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27B1 (ko) * 2006-07-04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644B2 (ja) * 1997-06-18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
JP3378175B2 (ja) * 1997-07-08 2003-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線接続構造
JPH11219757A (ja) * 1998-01-30 1999-08-10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及び端末処理方法
US6132236A (en) * 1999-05-14 2000-10-17 Methode Electronics, Inc. Flex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termination method
EP1061606A3 (en) * 1999-06-16 2004-05-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flat cable to bus bars
DE19944427A1 (de) * 1999-09-16 2001-03-22 Thomas & Betts Gmbh Kabelverbindung zwischen Flachbandkabel und Rundbandkabel bzw. Rundkab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20111337U1 (de) * 2001-07-07 2002-11-21 Bosch Gmbh Robert Universalstanzgitter für verschiedene Steckervarianten
WO2007004400A1 (ja) * 2005-06-30 2007-01-11 Saginomiya Seisakusho, Inc. 圧力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EP3243630A1 (en) 2009-01-20 2017-11-15 Gerald Roch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ook fasteners
JP5748189B2 (ja) * 2009-11-30 2015-07-15 矢崎総業株式会社 配索材の接続構造
MX2013000579A (es) 2010-07-16 2013-05-01 Gerald Rocha Cinta de sujetador tactil dimensionalmente flexible.
TWM496277U (zh) * 2014-07-21 2015-02-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卡持件及具有該卡持件之電連接器組合
JP6490465B2 (ja) * 2015-03-23 2019-03-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2939B2 (ja) * 2015-06-02 2017-03-0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平型導体及び端子と平型導体の接続方法
JP6675885B2 (ja) * 2016-03-03 2020-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該端子を有するケーブル接合体、接合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445A (en) * 1989-02-09 1989-08-29 Gte Products Corporation Method of mounting electrical contacts in connector bod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1363A (en) * 1988-06-23 1992-05-05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Mount for electronic parts
JPH06260218A (ja) * 1993-03-04 1994-09-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445A (en) * 1989-02-09 1989-08-29 Gte Products Corporation Method of mounting electrical contacts in connector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27B1 (ko) * 2006-07-04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24955A (en) 1998-10-20
JPH09199196A (ja) 1997-07-31
KR970060578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070B1 (ko)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KR100283850B1 (ko) 플랫케이블과단자의접속구조
KR950011617B1 (ko) 코넥터(Connector)의 제조방법 및 코넥터
US6247977B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6310296B1 (en) Multicore cab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6547606B1 (en) Termination assembly formed by diverse angularly disposed conductors and termination method
JPH05121139A (ja) フラツト導体の接続方法
US3252203A (en) Welding process
US6109942A (en) Rotary connector
JP3430634B2 (ja) テープ電線の接続方法
JP2001067952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作方法およびこの製作方法を用いて製作されるワイヤーハーネス
JPH0929445A (ja) 導線固定治具及びそれを含む溶着装置
JPH0634446B2 (ja) 回路基板のはんだ付方法
JP3787055B2 (ja) 可撓性ケーブルとリードブロックとの接続方法
JP200908783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子接続方法及びその端子接続装置
JP4855572B2 (ja) 平型シールドハーネス及び平型シールド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3013649B2 (ja) 接続金具
US6527161B2 (en)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 wires
JP334958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H11149951A (ja) フレキシブル配線体の接合体
JP2991324B2 (ja) 回路導体相互の接続体および回路導体の接続方法
JP2829402B2 (ja) チップキャリヤ用コネクタ
JP2002141660A (ja) 可撓性プリント基板同士の接続方法
JP200205672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7348221B2 (ja) 編組接続構造における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