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27B1 -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027B1
KR100796027B1 KR1020060062236A KR20060062236A KR100796027B1 KR 100796027 B1 KR100796027 B1 KR 100796027B1 KR 1020060062236 A KR1020060062236 A KR 1020060062236A KR 20060062236 A KR20060062236 A KR 20060062236A KR 100796027 B1 KR100796027 B1 KR 10079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housing
terminal
fusion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946A (ko
Inventor
김창덕
석상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0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을 융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넥터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완전히 관통된 관통부(12)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각각 가지고 이격된 상태의 복수개의 단자만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와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의 융착시, 가열 및 가압을 위한 융착용 팁과 하부지그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융착용팁 또는 하부지그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 수납되는 골부분과, 상기 골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자를 서로 구획하는 산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12)에는 단자들만이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융착용 팁 또는 하부지그의 골부분 및 산부분에 의하여, 단자들이 서로 완전히 이격된 상태로 융착이 수행된다.
전기 컨넥터, 컨넥터 하우징, 융착, 플랫플랙시블케이블

Description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soldering flat flexible cable to the terminals in the connector housing}
도 1은 종래의 컨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컨넥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융착 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컨넥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컨넥터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융착 상태를 보인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관통부
20 ..... 단자 30 ..... 플랫플렉시블케이블
40 ..... 융착용 팁 50 ..... 하부지그
52 ..... 골부분 54 ..... 산부분
본 발명은 전기컨넥터 및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융착하는 컨넥터에서 융착에 의한 쇼트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넥터 및 융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컨넥터 및 융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컨넥터는, 내부에 인서트사출 성형된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단자에 플랫플렉시블케이블(FFC;이하 단순히 FFC라고도 칭함)을 융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넥터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 단자(4)를 구비하고 있다. 인서트사출 성형된 복수개의 단자(4)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2)은 상대 컨넥터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대 컨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2)은 상기 단자(4)를 인서트 한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있고, 상기 단자(4)는 도전성 패턴을 구비하고 있는 FFC(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FFC(8)와의 전기적 연결은, 융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 상기 단자(4)의 일부분은, 상술한 FFC(8)와의 전기적 연결, 즉 융착에 의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2)의 일부부에서 노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예에서, 상기 단자(4)는 도면상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렇게 노출되어 있는 상기 단자(4)에 FFC(8)의 도전선패턴부분이 융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컨넥터와 FFC(8)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단자(4)와 FFC(8)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쇼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출된 복수개의 단자(4)는 하우징(2)에 형성되어 있는 구획용리브(6)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4)의 노출된 부분은,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하우징(2)에서, 상기 구획용리브(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4)와 단자(4) 사이에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된 상기 그획용리브(6)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의 상면에 일부 노출된 상기 단자(4)를 FFC(8)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융착용 팁(7)과 하부지그(9)를 이용하여 융착을 수행한다. 즉, 상기 노출된 단자(4)를 구비하는 하우징(2)을 하부지그(9) 상에 올려놓고, FFC(8)를 상기 단자(4) 상면의 소정의 위치(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부에 위치하는 융착용 팁(8)을 하강시켜, 상기 융착용 팁(8)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상기 FFC(8)의 도전선 패턴이 상기 노출된 단자(4)에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된다. 여기서 융착을 위한 솔더(solder)와 플럭스는 상기 FFC(8)의 일측면에 도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제기된다.
상술한 융착용 팁(7)은 고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고열을 이용하여 상기 FFC(8)를 단자(4)에 융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팁(7)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우징(2)의 구획용리브(6)에 전도되면,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상기 구획용리브(6) 가 일부 녹게 되고 이와 동시에 융착을 위한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로 흘러가게 되어, 쇼트 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더욱이 융착시 사용되는 솔더가 녹은 구획용리브(6)를 넘어서 인접하는 단자와 연결되는 것은 특히 아주 미세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별하기가 힘들다. 육안으로 식별이 힘든 것은, 노출된 단자(4)와 단자(4) 사이에 구획용리브(6)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구획용리브(6)의 극히 일부분이 녹으면서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FFC(8)와 단자(4)의 융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하여 상기 구획용리브(6)의 극히 일부가 녹아버리고, 이러한 간격을 따라서 솔더가 이동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복수개의 단자(4)는, 복수개의 구획용리브(6)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단자(4) 사이에는 복수개의 구획용리브(6)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2)을 사출 성형하는 구조상으로도 복잡한 단점이 있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하우징 구조를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융착에 의한 쇼트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컨넥터와 그 융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컨넥터는, 합성수지재로 형 성되고, 완전히 관통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각각 가지고 이격된 상태의 복수개의 단자만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완전히 관통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부에 소정의 간격을 각각 가지고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 컨넥터에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자의 일측면에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정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단자와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가열 및 가압을 위한 융착용 팁과 하부지그를 이용하여 단자와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융착시키되, 상기 융착용팁 또는 하부지그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 수납되는 골부분과, 상기 골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자를 서로 구획하는 산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관통부에는, 복수개의 단자만이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플랫플랙시블케이블과의 융착시 단자가 산부분 또는 골부분에 의하여 완전히 구획되기 때문에, 융착시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로 흘러가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넥터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복수개의 단자(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대물과 결합되기 위한 외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20)는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단자(20)는,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 그리고 상대물의 사양에 따라서 그 형상 및 갯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20)는 하우징(10)의 저면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계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10)의 후면에도 노출된 단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에는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는 관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하우징(10)에 두 개의 관통부(12,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2)는 하우징(10)의 본체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완전히 비어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단자(20)는 상기 관통부(12)를 관통하여 내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하우징(10)의 내부에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상기 복수개의 단자(20)는 상기 관통부(12)에서 완전히 노출되도록 내장된다. 따라서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상기 관통부(1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단자(20)만이 노출되어 있을 뿐이고, 다른 부분은 완전히 비어있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10)은 상기 관통부(12)에는 어떠한 구조도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부(12)의 내부에는 노 출된 복수개의 단자 이외에는 어떠한 구조도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12)에 노출되어 있는 단자(20)는 서로 평행한 직선상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된 상기 단자(20)는, 상대 컨넥터 또는 외부의 결합체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관통부(12) 이외에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관통부(12)에 노출된 단자(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FFC(30)와 융착에 의하여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2a)도, 상술한 관통부(12)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관통부(12a)도, 하우징(10)에서 완전히 관통된 부분으로 하우징과 연결된 어떠한 구조물도 없고, 단순히 단자만이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컨넥터 하우징(10)의 단자(20)와 플랫플렉시블케이블(FFC:30)의 융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관통부(12)에는, 오직 단자(20)만이 노출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관통부(12)에 노출되어 있는 단자는, 융착에 의하여 FFC(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융착은, 상기 FFC(30)의 일측면에 솔더(solder)와 플럭스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융착용 팁(40)이 상기 FFC(30)와 단자(20)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관통부(12)에 복수개의 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하우징(10)을 소정의 하부지그(50) 상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FFC(30)를 정확한 위치에 세팅한다. 이 때 상기 FFC(30)의 도전성회로패턴도 노출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상기 단자(20)와 융착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정확한 상대위치를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용착용 팁(40)이 하강하면서, 상기 FFC(30)와 하우징(10)의 단자(20)를 서로 압착하면서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FFC(30)에 있던 솔더와 플럭스가 용융되면서, 상기 FFC(30)의 도전선 패턴과 상기 단자(20)는 융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그(50)의 상면은, 상기 단자(20)가 완전히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골부분(5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골부분(52)의 사이에는 산부분(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지그(50) 상에 상기 단자(20)가 올려지게 되면, 상기 단자(20)는 상기 하부지그(50)의 골부분(52)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산부분(54)은, 실질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단자(20)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단자(20)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착용 팁(40)이 하강하여 가열 및 가압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FFC(30)에 있던 솔더가 녹더라도 인접하는 단자(20) 측으로 흐르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지그(50)의 골부분(52) 및 산부분(54)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복수개의 단자(20)를 서로 구획하게 되어 융착시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로 흘러 쇼트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융착용 팁(40)과 하부지그(50)에서, 하우징(20)이 분리되더라도, 하나의 단자(20)에 남아있는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로 흐를 우려는 전혀 없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12)에는 복수개의 단자(20) 만이 구비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기 때문에, 솔더는 실제로 하방으로 흘러내릴 뿐이고, 인접하는 단자로 흐르는 것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따라서 융착과정에서 발생한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20) 측으로 흘러서 전기적으로 쇼트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12)에는 복수개의 단자(20) 들만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서로 관통하는 상태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술한 융착 과정에서 만일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로 흘러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고 하면, 상기 관통부(12)를 통하여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술한 구획리브의 존재로 인하여 솔더의 미세한 흐름으로 인한 쇼트 발생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부(12)에는 오직 단자(20) 들만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20) 들 사이에서 어떠한 솔더의 흐름(연결)이 있다면, 상기 융착용 팁(40) 및 하부지그(5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50)에, 단자(20)가 삽입되는 골부분(52) 및 상기 골부분(52) 사이에는 산부분(54)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골부분(52) 및 산부분(54)은, 융착과정에서 상기 FFC(30)에 있던 솔더가 녹아서 인접하는 단자(2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골부분(52)에 단자(20)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융착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산부분(54)은 상기 단자(20)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하부지그(50) 대신에, 상기 융착용 팁(40)에 산부분 및 골부분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하부의 지그(50)의 상면을 평면으로 구성하고, 상부의 융착용 팁(40)에, 상기 단자가 수납될 수 있는 골부분과, 골부분 사이에 산부분을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융착시 산부분이 각 단자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부(12)에 오직 복수개의 단자만을 노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융착용 팁 또는 하부지그에 의하여 융착될 때 어느 일측의 구조를 통하여 복수개의 단자 사이를 완전히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10)의 관통부(12)의 내부에는 종래의 구획용리브 등과 같은 구조물이 없고, 단순히 복수개의 단자들만이 배열되어 있고, 융착시 융착용 팁 또는 하부지그에 의하여 상기 단자들이 완전히 구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융착시 용융된 솔더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녹은 구획용리브를 통하여) 인접하는 단자로 흐를 우려는 완전히 해소되어 실질적으로 쇼트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더가 인접하는 단자로 연결되는 것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러한 점들에 의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은, 종래와 같은 구획용리브 등을 설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더욱 단순해 짐과 동시에 제품의 경량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완전히 관통된 관통부(12)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각각 가지고 이격된 상태의 복수개의 단자만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2.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완전히 관통된 관통부(12)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관통부에 소정의 간격을 각각 가지고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 컨넥터에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자의 일측면에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정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단자와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가열 및 가압을 위한 융착용 팁과 하부지그를 이용하여 단자와 플랫플렉시블케이블을 융착시키되, 상기 융착용팁 또는 하부지그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 수납되는 골부분과, 상기 골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자를 서로 구획하는 산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KR1020060062236A 2006-07-04 2006-07-04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KR10079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236A KR100796027B1 (ko) 2006-07-04 2006-07-04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236A KR100796027B1 (ko) 2006-07-04 2006-07-04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46A KR20080003946A (ko) 2008-01-09
KR100796027B1 true KR100796027B1 (ko) 2008-01-21

Family

ID=3921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236A KR100796027B1 (ko) 2006-07-04 2006-07-04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0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841A (ja) * 1995-05-26 1997-02-18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とリード線の接合部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H1041599A (ja) * 1996-07-23 1998-02-13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と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との接続方法
KR100231070B1 (ko) * 1996-01-23 1999-11-15 가타오카 마사타카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JP2005317702A (ja) * 2004-04-28 2005-11-10 Funa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841A (ja) * 1995-05-26 1997-02-18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とリード線の接合部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0231070B1 (ko) * 1996-01-23 1999-11-15 가타오카 마사타카 플랫케이블과 단자의 접속구조
JPH1041599A (ja) * 1996-07-23 1998-02-13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と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との接続方法
JP2005317702A (ja) * 2004-04-28 2005-11-10 Funa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取付構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310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177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0415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05084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46A (ko)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991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metal fittings and guide portions
CN101164200B (zh) 板对板连接器对
US5590463A (en) Circuit board connectors
KR102666966B1 (ko) 전기 접촉 엘리먼트, 및 경납으로 만들어진 압착된 납땜 바디에 의해 상대 접점에 대한 경납땜된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EP0650226B1 (en) A molded circuit component unit for connecting lead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470734B1 (ko)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US9105375B2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728518B (zh) 连接器
US8426752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CN101946367A (zh) 防爬越端子和连接器
JP2003188345A (ja) 電力を分配するためのプレス係合ブスバー
CN102668726A (zh) 注塑成型基板与实装零件的安装结构
CN1147708A (zh) 防止焊料流动的板到板连接器
KR100796027B1 (ko) 전기 컨넥터 및 플랫플랙시블케이블의 융착방법
KR102294963B1 (ko)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CN211605467U (zh) 插塞连接器
JP4289606B2 (ja) コネクタ
US888850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JP7065950B2 (ja) 電気的接続アセンブリ
CN108232497B (zh) 电子装置
JP5216378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JP4681910B2 (ja) 電気コネクタ
JP6743270B2 (ja) レーザー溶接接続部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構成部材複合体
US5830014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123104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