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757B1 - 스테핑모우터 - Google Patents

스테핑모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757B1
KR100230757B1 KR1019940016123A KR19940016123A KR100230757B1 KR 100230757 B1 KR100230757 B1 KR 100230757B1 KR 1019940016123 A KR1019940016123 A KR 1019940016123A KR 19940016123 A KR19940016123 A KR 19940016123A KR 100230757 B1 KR100230757 B1 KR 10023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eme
magnet
bobbin
stepping motor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682A (ko
Inventor
미노루 타카하시
죠오지 마쯔모토
마코토 후루이치
Original Assignee
후지무라 마사지카, 아키모토 유미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694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49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7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4986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무라 마사지카, 아키모토 유미,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무라 마사지카, 아키모토 유미
Publication of KR95000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5Annular coils, e.g. for cores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치 상호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것으로서, 샤프트(20)에 고정된 마그넷(22)의 양측에 보빈(26A),(26B)과 지지부재(40A),(40B)가 배치되어 있다. 보빈(26A),(26B)의 선단부에는,

Description

스테핑모우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극치(極齒), 보빈과 지지부재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극치, 보빈 및 지지부재의 조립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극치지지체 및 극치를 표시하는 (A)-(A), (B)-(B)의 단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보빈 및 지지부재의 종단면도.
제6도는, 동 실시예의 보빈 및 지지부재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는 조립에 있어서의 보빈을 지지부재에 압입하는 공정 및 단자절곡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는 조립에 있어서의 , 권선(卷線)공정과 납댐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a)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는 조립에 있어서의, 마그넷압입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0도(b)는, 와셔삽입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는 조립에 있어서의, 폴어셈블러를 보빈어셈블러에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는 조립에 있어서의, 로우터어셈블러에 장착하는 공정과 파이프 피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는 조립에 있어서의, 보빈어셈블러삽입공정과 파이프를 체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는, 제2실시예의 스테핑모우터의 조립공정도.
제15도는, 종래의 스테핑모우터를 표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마그넷 4 : 보빈
6A, 68 : 코일 8A,8B,10A,10B : 요크
20 : 샤프트 22 : 마그넷로우터
24 : 베어링 26A, 26B : 보빈
28 : 압입용 볼록부 30,32 : 플랜지부
30A : 극치 맞닿음면 33 : 계지부
34 : 요크 36 : 권선부
38A, 38B : 코일 39 : 피복선
40A, 40B : 지지부재 41 : 위치결정용 볼록부(위치결정용 계합부)
42 : 압입용 오목부 43 : 홈부분
44 : 케이스(파이프) 45 : 베어링압입용 오목부
46 : 통형상부재 48A, 48B : 긴 극치
50A, 50B : 짧은 극치 52 : 극치지지체
52A : 턱부분 53A, 53B : 극치수용부
본 발명은 시계, 카메라, 의료기기 등에 적당한 소경(小經)의 스테핑모우터에 관하며, 특히 모우터의 조립성 및 회전각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량에 관한다.
스테핑모우터의 외경을 작게하기 위한 기술로서, 본 발명자들은 앞서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스테핑모우터를 발안하였다. 이 모우터는, 샤프트(1)에 동축으로 고정된 마그넷(2)의 축선방향의 양측에 코일(6A),(6B)를 두루감은 보빈(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마그넷의 외주에 코일이 배치된 종래의 스테핑모우터에 비하여 외경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각 보빈(4)의 양 끝에는 각각자형상의 요크(8A),(8B),(10A),(10B)가 양측판 부분(극치에 상당된다)을 마그넷(2)의 외주에 대향시킨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같은 보빈(4)에 고정된 극치(極齒)가 긴 요크(8A),(8B)와 극치가 짧은 요크(10A),(10B)는 서로 90°위상이 엇갈리게 되어 있고, 축선방향으로 대향하는 요크의 극치끼리는 서로 45°위상이 엇갈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6A),(6B)에 대하여 서로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서 통전하므로써 마그넷(2)과 샤프트(1)로 구성되는 로우터가 45°씩 스텝구동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로된 스테핑모우터에서는 요크(8A),(8B),(10A),(10B)의 기단부가 보빈(4)에 고정되어 있을 뿐이므로, 극치의 선단상호의 위치결정 정밀도에는 한도가 있어서, 극치위치의 오차에 기인하는 로우팅정지위치의 오차가 발생하여서 로우터회전정밀도를 높이기 어렵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요크(8A),(8B),(10A),(10B)는 작은것이라는것 외에도, 그 조립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이유에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조립작업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므로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극치 상호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회전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스테핑모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는, 마그넷이 동축으로 고정된 샤프트와, 상기한 마그넷의 축선방향의 양측에 상기한 샤프트와 동축으로 배치된 한쌍의 연(軟)자성재료제의 보빈과, 이들 보빈에 각각 두루감긴 A상(相) 및 B상(相)코일과 상기한, 각 보빈의 마그넷측의 끝부에 그 저판(底板)부가 고정되고, 또 상기한 마그넷의 외주면의 일부와 대향하는 짧은 극치를 보유하는 연(軟)자성재료제의 요크와 상기한 각 보빈의 상기한 마그넷과 반대측의 끝부에 그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한 마그넷 외주면의 다른 부분과 대향하는 연자성재료제의 긴 극치와, 상기한 마그넷의 외주를 포위하여 동축으로 배치된 비(非)자성재료제의 극치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한 모든 긴 극치는, 이 극치지지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한 짧은 극치는 상기한 극치지지체에 형성된 극치수용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범위 제2항의 스테핑모우터에서는 상기한 각 요크의 상기한 저판부의 중심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각 보빈의 상기한 마그넷측의 끝부가 삽통되는 동시에 이 끝부에는, 반지름방향의 외부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계지부가 형성되고, 이들 계지부에 의해 상기한 요크의 저판부가 보빈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범위 제3항의 스테핑모우터에서는 상기한 요크의 외주면에 상기한 극치지지체가 맞닿게되어서 위치결정되는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에서는 긴 극치의 전부가 미리 원통형상의 극치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짧은 극치는 극치지지체에 형성된 극치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모든 극치가 극치지지체에 의해 서로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마그넷외주에 있어서의 극치 상호의 위치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으므로, 로우터회전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긴 극치는 미리 극치지지체에 고정되는 한편, 칫수가 작아서 극치지지체의 일체적 형성이 용이하지 않는 짧은 극치는 요크로서 하나의 부품으로 하여 보빈선단에 고정하므로써 모우터조립시에는, 보빈을 파지하면서 요크의 짧은 극치를 극치지지체의 극치수용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긴 극치를 보빈의 기단부에 결합시킬 수가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고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해서 조립작업성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극치지지체 내에 요크의 짧은 극치를 삽입하면 극치지지체가 요크의 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맞닿게하여 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중, 부호 20은 샤프트이고, 이 샤프트(20)의 중앙에는 둘레방향의 4극(極)에 착자(着磁)된 원주형상의 마그넷(22)이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마그넷(22)의 양측에 인접하여 서로 동일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보빈(26A(A상)), (26B(B상))이 각각 배치되어서, 샤프트(20)에 끼워져 있다. 또, 마그넷의 양측에는 회전접동성을 높이는 와셔(65A),(65B)를 샤프트(20)에 대하여 회전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들 보빈(26A),(26B)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샤프트(20)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의 권선부(36)와 이 권선부(36)의 기단부(마그넷(22)과는 반대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30)와, 기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되는 압입용 볼록부(28)를 보유하며, 전체가 순철 등의 연자성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26A),(26B)의 각 권선부(36)에는 각각 코일(38A), (38B)이 두루감겨 있다(제2도에서는 생략되어 있음).
보빈(26A),(26B)의 선단부에는자형상을 이루는 요크(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크(34)는 순철 등의 연자성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저판부 및 그 양끝으로부터 기립하는 한쌍의 짧은 극치(50A),(50B)로 구성되며 상기한 저판부의 중심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에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플랜지부(32)(계지부)가 미리 형성된 보빈(26A),(26B)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그 선단이 코킹(caulking)되어서 계지부(33)로 되어 있고, 요크(34)는 플랜지부(32)와 계지부(33)에 협지되어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코킹을 느슨하게 하므로써 조립시에 요크(34)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플랜지부(30)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원판의 양측을 평행하게 절결한 형상을 이루고, 그 장경(長徑)방향의 양 끝에는 긴 극치(48A),(48B)가 맞닿게하는 한쌍의 극치 맞닿음면(3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요크(34)는 플랜지(30)에 대하여 축선둘레의 각도가 90°엇갈리도록 고정되고, 보빈(26A),(26B)은 서로의 플랜지부(30)가 45°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압입용 볼록부(28)는 권선부(36)보다도 지름이 크고 또, 동축의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원환형상을 이루는 메탈축받이 등의 베어링(24)이 동축으로 압입되고, 이들 베어링(24)에 의해 샤프트(20)의 양 끝부가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마그넷(22)의 외주를 포위하여 제1도에 표시하듯이 비접촉이고, 또한 동축으로 통형상부재(4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통형상부재(46)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수지 등의 비자성재료제이고 원통형상을 이루는 극치지지체(52)의 의해 2세트의 긴 극치(48A),(48B)를 일체적으로 고정한 것으로서 극치지지체(52)의 외경은 케이스(44)의 내경에 대략 동등하고 통형상부재(46)는 케이스내부에서 요동없이 지지된다.
통형상부재(46)의 긴 극치(48A),(48A)와 긴 극치(48B),(48B)는 제4도에 표시하듯이 각각 180°간격이 두어져 있다. 또 극치지지체(52)에는 긴 극치(48A),(48A)사이와 긴 극치(48B),(48B)와의 사이에 요크(34)의 짧은 극치(50A),(50B)를 삽입하기 위한 극치수용부(53A),(5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동일한 상(相)에 있는 긴 극치(48A),(48B)와 극치수용부(53A),(53B)는 서로 위상이 90°엇갈리게 놓여 있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폭의 간극이 비워져 있다. 또, A상측의 극치(48A)와 극치수용부(53A)와, B상측의 극치(48B)와 극치수용부(53B)는 서로 45°위상이 엇갈리게 놓여 있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비워져 있다. 그리고, 극치수용부(53A),(53B)에 짧은 극치(50A),(50B)가 삽입되면, 긴 극치(48A),(48B)는 보빈(26A),(26B)의 플랜지부(30)의 극치 맞닿음면(30A)에 각각 간극없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 긴 극치(48A),(48B)와 짧은 극치(50A),(50B)는 그 두께와 폭 칫수가 동등하며, 마그넷(22)과의 대향면적이 모두 동등하다.
이 예의 극치지지체(52)에서는 극치수용부(53A),(53B)가 극치지지체(5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긴 극치(48A),(48B)의 내주면은 극치지지체(52)의 내주면과 면이 하나로 되어 있으므로 마그넷(22)과 각 극치의 이간량을 가급적 작게 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극치지지체(52)의 외주면을 따라서 긴 극치(48A),(48B)와 극치수용부(53A),(53B)를 형성해도 되고 혹은 극치지지체(52)의 주벽의 두께방향 중앙부에 긴 극치(48A),(48B) 및 짧은 극치(50A),(50B)가 삽입되는 극치수용슬릿을 각각 형성해도 된다.
또, 이 예에서는 동일한 상(相)의 극치가 각각 4매였지만, 본 발명은 4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매수라도 된다. 또, 케이스(44)의 재질로서는 구조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또 수용한 부품을 강고하게 소정부위에 유지가능한 조립성, 예를 들면 체결을 하는 가공 등의 공법을 채용할 수 있는 수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비자성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6A),(26B)의 더욱 외측(마그넷(22)과 반대측)에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지지부재(40A),(40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부재(40A),(40B)는 중심구멍이 있는 원주형상을 이루고, 보빈(26A),(26B)과 대향하는 쪽에는 중심선과 동축으로 압입용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압입용 오목부(42)에 보빈(26A),(26B)의 압입용 볼록부(28)가 압입되고, 지지부재(40A),(40B)와 보빈(26A),(26B)이 각각 동축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 이 예의 지지부재(40A),(40B)에서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압입용 오목부(42)의 안쪽에도 베어링수용부(45)가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압입용 볼록부(28)내에 베어링(24)을 압입하는 대신에 베어링수용부(45)에 베어링(24)을 압입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40A),(40B)의 보빈(26A),(26B)측의 끝면에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한쌍의 위치결정용 볼록부(41)가 형성되고, 제3도에 표시하듯이 이들 위치결정용 볼록부(41)의 측면이 플랜지부(30)의 측면에 맞닿게하므로써 보빈(26A),(26B)의 축선둘레의 각도가 정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긴 극치(48A),(48B)의 선단도, 위치결정용 볼록부(41)끼리의 사이에 협지되어서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위치결정용 볼록부(41)의 외주면은 케이스(44)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상대적으로 세경(細徑)화된 단(斷)부로 되어 있다.
지지부재(40A),(40B)의 외주면에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코일(38A),(38B)의 피복선(39)을 통과시키기 위한 한쌍의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40A),(40B)에는 단자(54A),(54B)가 각각 매설되어서, 이것들에 피복선(39)이 각각 접속된 다음 단자(54A),(54B)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같은쪽으로 굽혀져 있다. 이것은 공통적인 프린트기판에 모든 단자(54A),(54B)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구성으로된 스테핑모우터에 의하면 긴 극치(48A),(48B)의 전부가 미리 원통형상의 극치지지체(52)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짧은 극치(50A),(50B)가 극치 지지체(52)에 형성된 극치수용부(53A),(53B)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모든 극치가 마그넷(22)의 외주에 있어서 위치결정되어서, 마그넷외주에 있어서의 극치 상호의 위치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으므로 로우터회전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긴 극치(48A),(48B)는 미리 극치지지체(52)에 고정되는 한편, 칫수가 작기 때문에 극치지지체(52)의 일체적 성형이 용이하지 않는 짧은 극치(50A),(50B)는 요크(34)로서 하나의 부품으로한 다음, 보빈(26A),(26B)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우터조립시에는 보빈(26A),(26B)을 파지하면서 요크(34)의 짧은 극치(50A),(50B)를 극치지지체(52)의 홈(53A),(53B)에 삽입하는 동시에 긴 극치(48A),(48B)를 보빈(26A),(26B)의 극치 맞닿음면(30A)에 맞닿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간편한 작업으로 고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므로, 조립작업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각 요크(34)의 관통구멍에 보빈(26A),(26B)의 선단부를 삽통하고, 이들 선단부를 코킹하여 계지부(33)를 형성하므로써 요크(34)를 플랜지부(32)와 계지부(33)에 의해 협지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뿐 만아니라, 요크(34)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각 보빈(26A),(26B)의 끝부에 형성된 압입용 볼록부(28)를 각 지지부재(40A),(40B)의 끝부에 형성된 압입용 오목부(42)에 압입하고 각 보빈(26A),(28B)과, 각 지지부재(40A),(40B)를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베어링(24)을 압입용 볼록부(28)내에 압입해서 동축으로 위치결정하며 또 각 지지부재(40A),(40B)를 원통형의 케이스(44)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각 보빈(26A),(26B)과 샤프트(20)를 고도의 정밀도로 축심맞춤하기가 용이하며 또, 극치(48),(50)과 마그넷(22)의 에어갭(air gap)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각 보빈(26A),(26B)과 극치(48),(50)의 결합이 확보되므로써 자기밸런스의 불균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점에서도 로우터회전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보빈(26A),(26B)의 압입용 볼록부(28)내에 베어링(24)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스테핑모우터의 끝부로부터 베어링(24)까지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서 그만큼, 베어링(24)이 발생시키는 소음이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높을 뿐 아니라, 단자(54A),(54B)를 납땜할 때에 그 열과 페이스트 등의 물질이 베어링(24)에 잘 전달되지 않으므로 열의 영향이나 화학물질에 의한 작용으로 베어링성능이 열화될 우려가 적다. 또, 지지부재(40A),(40B)에 위치결정용 볼록부(41)를 형성하므로써 보빈(26A),(26B)의 각도맞춤이 용이하게되므로 이점에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따.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듯이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그 구성을 변경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1도와 제2도에 표시했듯이 극치지지체(52)의 내주면에 설치한 턱부분(52A)에 요크(34)의 짧은 극치(50A),(50B)를 맞닿음시켜서 극치지지체(52)를 위치결정한 것을 표시했다. 그러나, 이것은 극치지지체(52)내에 요크(34)의 짧은 극치(50A),(50B)를 삽입할 때에, 만약에 극치지지체(52)의 내주면과 짧은 극치(50A),(50B)의 외주면이 미끄럼접촉에 의한 극치지지체(52)의 내주면의 절삭 부스러기가 발생되고, 이 절삭부스러기가, 극치지지체(52)의 턱부분(52A)과 짧은 극치(50A),(50B)의 사이에 개재하여서 결과적으로 극치지지체(52)의 위치결정정밀도가 나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이하에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 해결했다.
[제2실시예]
제7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구조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했다.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턱부분(52A)(제1도 및 제2도참조)대신에 요크(34)의 저벽부의 외주면에는 극치지지체(52)의 끝면이 맞닿음되어서 위치결정되는 플랜지부(67A),(67B)(한쪽의 플랜지부(67A)는 도면표시하지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테핑모우터의 조립시에 극치지지체(52)내에 요크(34)의 짧은 극치(50A),(50B)를 삽입하면, 극치지지체(52)는 그 끝면이 상기한 플랜지부(67A),(67B)에 맞닿음하여 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스테핑모우터의 조립방법에 대해 제2실시예의 것을 예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7도에 표시하듯이 지지부재(40B)의 베어링수용부(45)내에 베어링(24)을 압입한다(제14도중, 스텝S1참조).
제8도(a)에 표시하듯이 보빈(26B)의 압입용 볼록부(28)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부재(40B)내에 압입하면, 제8도(b)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제14도중, 스텝 S2참조). 이 때, 제8도(a)에 있어서의 Z부와 짧은 극치(50B)는 상대적으로 90°엇갈리도록 압입한다. 여기에서 제8도(c)에 표시하듯이 2개의 단자(54B)를 절곡한다(제14도중, 스텝S3참조). 이 때 단자(54B)의 변형이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 다음에, 제9도(a)에 표시하듯이 보빈(26B)의 권선부에 코일(38B)을 감고 그 양 끝부(39)를 지지부재(40B)의 홈(43)에 끼워서 단자(54A),(54B)에 각각 걸어감는다(제14도중, 스텝S4참조). 또, 코일(38B)을 감는 방향은 화살표x로 표시한다. 이 때, 코일(38B)의 단선이나 이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제9도(b)에 표시하듯이 부호 63B, 64B와 같이 코일(38B)의 양 끝부를 단자(54A),(54B)에 각각 납땜한다(제14도중, 스텝S5참조). 이때, 납땜(63B),(64B)과 페이스트가 샤프트관통구멍(62B)의 내부에 비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 납땜 후의 도통(道通) 체크를 하여서 이물질부착 등의 외관검사를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빈 어셈블러를 얻는다.
상기한 스탭 S1 내지 S5와 병행하여 제10도(a)에 표시하듯이 샤프트(20)에 마그넷로우터(22)를 압입한다(제14도중, 스텝S6참조).
이 때, 샤프트(20)의 굽어진 것이나 마그넷로우터(22)의 균열, 홈, 이물질부착등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마그넷로우터(22)의 착자(제14도중, 스텝S7참조), 마그넷로우터(22)의 먼지제거(제14도중, 스텝S8참조) 및 그 확인 (제14도중, 스텝S9참조)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제10도(b)에 표시하듯이 샤프트(20)에 마그넷로우터(22)의 양측으로부터 와셔(65A),(65B)를 각각 삽입하여서 로우터어셈블러를 얻는다(제14도중, 스텝S10참조).
그 다음에, 제11도(a)에 표시하듯이 극치지지체(52)나, 4매의 긴 극치(48A)로 구성되는 폴어셈블러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1도(b)에 표시하는 상태를 경유하여 제11도(c)에 표시하듯이 극치지지체(52)의 끝면과 짧은 극치(50B)의 플랜지부(67B)를 맞닿음시켜서 축방향으로 위치결정한다. 이 때, 코일(38B)이 단선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때,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폴어셈블러의 회전요동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하여 코일과 폴어셈블러를 얻는다.
이어서 제12도(a)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로우터어셈블러를 상기한 코일 및 폴어셈블러에 삽입하여서 제12도(b)에 표시하는 조립체를 얻는다.
여기에서는, 마그넷로우터(22)에 균열, 홈 등을 입히지 않도록 또, 폴어셈블러와 마그넷로우터(22)가 서로 당기기때문에 폴어셈블러를 확실하게 유지하며 또, 와셔(65A),(65B)가 샤프트(20)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제12도(c)에 표시하듯이 커버(파이프)(44)를 그 일단측으로부터 상기한 조립체에 피복하면 제12도(d)에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제13도(a)에 표시하듯이 다른 보빈어셈블러를 단자(54A)의 방향이 단자(54B)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도록 커버(44)의 타단측으로부터 삽입해서 제13도(b)에 표시하는 가(假)조립체를 얻는다. 이 때, 양 끝의 지지부재(40A)(한쪽지지부재는 도면에 표시않음)가 커버(44)의 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제13도(c)에 표시하듯이 커버(44)의 양 끝부를 각각 2개소, 합계 4개소, 부호66A, 66B로 표시하듯이 체결한다(제14도중, 스텝S11참조).
이 때, 지지부재(40A)(한쪽지지부재는 도면에 표시않음)의 요동이 없는 것을 확인한 다음, 샤프트(20)의 드러스트요동이 규정치로 확보되어 있다는 것과, 샤프트(20)가 원활하게 회전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끝으로 동작확인, 토오크확인, 각도정밀도검사, 마아킹, 포장공정을 행한 후(제14도중, 스텝S12참조)에 출하한다(제14도중, 스텝S13참조).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보빈 및 요크가 각각 따로 성형된 다음 요크의 저판부를 보빈에 고정한 것을 표시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빈과 요크를 일체적으로 성형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테핑모우터에 의하면, 긴 극치의 전체가 미리 원통형상의 극치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짧은 극치는 극치지지체에 형성된 극치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모든 극치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마그넷외주에 있어서의 극치상호의 위치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으므로, 로우터회전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긴 극치는 미리 극치지지체에 고정되는 한편 치수가 작아서 극치지지체의 일체적으로 성형하기가 어려운 짧은 극치는 요크로서 하나로 부품화하여 보빈선단에 부착했으므로, 모우터 조립시에는 보빈을 파지하면서 요크의 짧은 극치를 극치지지체의 극치수용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긴 극치를 보빈의 기단부에 결합시킬 수가 있어서 간편한 작업으로 고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하므로 조립작업성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마그넷이 동축으로 고정된 샤프트와, 상기한 마그넷의 축선방향 양측에 상기한 샤프트와 동축으로 배치된 한쌍의 연자성재료제의 보빈과 이들 보빈에 각각 두루감긴 A상(相) 및 B상(相)코일과, 상기한 각 보빈의 마그넷측의 끝부에 그 저판부가 고정되고, 또, 상기한 마그넷의 외주면의 일부와 대향하는 짧은 극치를 보유하는 연(軟)자성재료제의 요크와 상기한 각 보빈의 상기한 마그넷과 반대측인 끝부에 그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이 상기한 마그넷의 외주면의 다른 부분과 대향하는 연자성재료제의 긴 극치와 상기한 마그넷의 외주를 포위하여 동축으로 배치된 비(非)자성재료제의 극치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한 모든 긴 극치는 이 극치지지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한 짧은 극치는 상기한 극치지지체에 형성된 극치수용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모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요크의 상기한 저판부의 중심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각 보빈의 상기한 마그넷측의 끝부가 삽통되는 동시에, 이 끝부에는 반경방향의 외부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계지부가 형성되며, 이들 계지부에 의해 상기한 요크의 저판부가 보빈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모우터.
  3. 제1항과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요크의 외주면에 상기한 극치지지체가 맞닿게되어서 위치결정되는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모우터.
KR1019940016123A 1993-07-08 1994-07-06 스테핑모우터 KR100230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69422A JP2734936B2 (ja) 1993-07-08 1993-07-08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93-169422 1993-07-08
JP94-011170 1994-02-02
JP1117094A JP2684986B2 (ja) 1994-02-02 1994-02-02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94-038916 1994-03-09
JP3891694 1994-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82A KR950004682A (ko) 1995-02-18
KR100230757B1 true KR100230757B1 (ko) 1999-11-15

Family

ID=2727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123A KR100230757B1 (ko) 1993-07-08 1994-07-06 스테핑모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23634A (ko)
KR (1) KR100230757B1 (ko)
AU (1) AU660249B2 (ko)
DE (1) DE4423952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10B1 (ko) 2006-12-20 2012-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핑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4889B2 (ja) * 1995-04-26 2004-06-07 ミネベア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構造
EP0748027B1 (en) 1995-06-07 2006-09-06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oelectric machine and rotor construction thereof
DE69707829T2 (de) * 1996-12-27 2002-04-04 Canon Kk Kompakter Schrittmotor
JP3517556B2 (ja) * 1997-07-17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ータ
SG94323A1 (en) * 1998-04-20 2003-02-18 Canon Kk Motor
JP3464443B2 (ja) 2000-10-26 2003-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機器
DE50209302D1 (de) * 2002-11-16 2007-03-08 Minebea Co Ltd Motorgehäuse
DE50211525D1 (de) * 2002-11-16 2008-02-21 Minebea Co Ltd Miniaturmotor mit dauermagnetischem Läufer
DE50211524D1 (de) * 2002-11-16 2008-02-21 Minebea Co Ltd Miniaturmotor mit Dauermagnetläufer
JP3825024B2 (ja) * 2003-09-02 2006-09-20 ミネベア株式会社 クローポール型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4195897B2 (ja) * 2006-05-26 2008-12-17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
DE102007031239B4 (de) 2007-07-05 2016-01-21 Compact Dynamics Gmbh Hilfsaggregat eines Verbrennungsmotors
CN101901661B (zh) * 2009-05-26 2011-12-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线圈装置
JP6284830B2 (ja) * 2014-06-09 2018-02-2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105762948A (zh) * 2014-12-19 2016-07-13 奇宏电子(成都)有限公司 马达定子结构及其定位方法
US20160261163A1 (en) * 2015-03-03 2016-09-08 Asia Vital Components (Chengdu) Co., Ltd. Motor stator structure
CN116760237B (zh) * 2023-08-18 2023-10-24 常州三协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两相步进电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3075A (en) * 1983-08-04 1985-11-12 Rotron Incorporated Simple brushless DC fan motor with reversing field
JPH04229065A (ja) * 1990-08-21 1992-08-18 Fuji Electric Co Ltd 小型モータ
JPH0576163A (ja) * 1991-09-12 1993-03-26 Seiko Instr Inc ステツピングモータ
US5406158A (en) * 1993-07-23 1995-04-11 Eaton Corporation Miniature synchronous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10B1 (ko) 2006-12-20 2012-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핑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612694A (en) 1995-01-27
AU660249B2 (en) 1995-06-15
DE4423952C2 (de) 1998-08-27
US5523634A (en) 1996-06-04
DE4423952A1 (de) 1995-01-12
KR950004682A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757B1 (ko) 스테핑모우터
JP2563243B2 (ja) ステツピングモ−タ
US7446442B2 (en) Stepping motor and drive device
JP2572319Y2 (ja) 磁歪式トルクセンサ
JP3748679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3099741B2 (ja) マイクロモータ
JP2573894Y2 (ja) Pm型ステッピングモ−タ
JP2703866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H11275848A (ja) スクリュー付きモータ
JP2684986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870001054Y1 (ko) 회전체의 지지장치
JP7130728B2 (ja) 回転子、ブラシレスモータ、回転子の製造方法
JP2008136302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3906101B2 (ja) 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4203A (ja) マイクロモータ
KR0125105Y1 (ko) 편평형 코어레스 모터의 구동코일
JPH0814978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軸受保持構造
JP2022154924A (ja) センサ装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センサ装置の製造方法
JPS6126452A (ja) モータ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734936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600602Y2 (ja) 回転子
JPH09289767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3069741U (ja) ステッピングモ―タ
JPH0725046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22056690A (ja)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