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873B1 -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 Google Patents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873B1
KR100228873B1 KR1019970010114A KR19970010114A KR100228873B1 KR 100228873 B1 KR100228873 B1 KR 100228873B1 KR 1019970010114 A KR1019970010114 A KR 1019970010114A KR 19970010114 A KR19970010114 A KR 19970010114A KR 100228873 B1 KR100228873 B1 KR 10022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iaticoside
water
extract
washed
centella asiat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333A (ko
Inventor
김권
이승용
서성기
황병룡
박진규
Original Assignee
강재헌
동국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헌, 동국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재헌
Priority to KR101997001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873B1/ko
Priority to DE69711843T priority patent/DE69711843T2/de
Priority to EP97114291A priority patent/EP0867447B1/en
Priority to JP9260210A priority patent/JPH10279590A/ja
Priority to US08/957,958 priority patent/US6417349B1/en
Publication of KR1998007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8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Centella asiatica(L)Urb 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와 항섬유화 효과가 탁월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 및 그 분리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시료에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얻은 추출액에 염화메틸렌을 가하여 층분리하여 상등액에 노말부탄으로 추출한후 노말부탄층을 가성소다로 세척하고 물로 세척한다. 부탄올 층을 가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결정화한후 분리하여 세척, 건조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가 혼합된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시 수용성 추출물로 간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흰쥐의 간세포에 독성을 유발시켜 독성차단 및 회복효과를 실험한바 40-60

Description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본 발명은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일명 적설초)로부터 분리한 간세포 보호효과와 항섬유화 효과가 있는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섬과 인도등에서 자생하는 Centella asiatica(L.) Urb.은 미나리과(Umbelliferea)에 속하는 식물로 과거 오래전부터 국소상처치료에 사용되어져 왔으며(Poizot. A., Dumez. D., C.R. Acad. Sci. [D] 286, 1978), 이것의 정량추출물인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이하 TECA라함)는 효과가 인정되어 그 추출물은 Madecasso1(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
Figure kpo00002
4:3:3)로 상품화 되어, 피부와 위점막을 위시한 국소적 조직손상에 대한 치료효과가 이미 여러 연구자들의 보고에 의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주로 섬유화 과정을 변형시키고 조직내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이 원상에 가깝게 치유되는데 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외과적 상처치료에 국한되고 있으며, 그 추출방법은 한국특허공고 제 87-1458호, 제 87-1573호, 제 91-2518호 등에 게재된바와 같이 복잡한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서 수율과 순도가 좋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목적하는 주성분이 게닌(아시아틱한, 메테카식산, 마다시아틱산)과 아시아티코사이드로서 수불용성이므로 용도확대의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TECA는 항섬유화에 대한 탁월한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불용성의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분말형태로 외과적 상처치료로 그 응용 범위가 제한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TECA의 제제학적인 응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거듭한 끝에 TECA의 수용성을 극대화 하는데 착안하여 센텔라아시아티카로부터 기존의 TECA 추출법과는 다른 새로운 추출방법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간세포 보호효과와 항섬유화 효과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수용성 추출물을 분리하는 데 성공하였다.
1)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 추출물의 분리
센텔라아시아티카를 알콜성 수용액으로 추출한 다음 이액을 할로겐화 용매로 처리한 뒤 얻어지는 수층을 다시 알콜(Cn
Figure kpo00003
4)로 추출한다. 이어 알콜(Cn
Figure kpo00004
4) 층을 알카리수용액으로 수용액으로 수회 처리하고 얻어지는 알콜(Cn
Figure kpo00005
4)층을 감압농축하거나 알콜층으로부터 침전을 유도하여 고체를 얻는다.
이 고체는 Asiaticoside와 Madecassoside를 주성분으로 하며,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가진다.
그 구조는 식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kpo00006
식(1) : Asiaticoside (R
Figure kpo00007
H), Madecassoside (R
Figure kpo00008
OH)
본원 발명의 추출에 사용되는 알콜성 수용액은 메탄올, 에탄올의 알콜성수용액이며 알콜함량은 50-80
Figure kpo00009
의 것이다. 알콜성수용액을 처리하는 할로겐화용매는 염화메칠렌, 클로로폼,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텐을 사용할 수 있다. 할로겐화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지는 수층을 추출하는 용매는 Cn
Figure kpo00010
4의 알콜이며 이는 노말부탄올, 세크부탄올, 아밀알콜을 이용한다. 알콜(CN
Figure kpo00011
4)층을 처리하는 알카리수용액은 가성소다, 가성카리수용액을 사용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된 센텔라아시아티카의 신규추출물은 Asiaticoside (40-60
Figure kpo00012
), Madecassoside (40-60
Figure kpo00013
)의 조성이며 두 성분이 신규추출물의 97
Figure kpo00014
이상을 차지한다. 이 신규추출물은 물, 알콜, 식물유에 녹으며 특히 물에 대한 용해도는 이 신규 추출물의 중요한 물리적 성질이므로 이 신규추출물을 Water Soluble TECA 이하 WS-TECA로 약칭한다.
2) 간세포 보호효과 실험
일차 배양한 흰쥐의 간세포에 대표적 독성물질로 알려져 있는 사염화탄소(CC14) 및 Galactosamine로 간세포에 독성을 유발시켜 WS-TECA의 독성차단 및 회복효과를 확인하였다.
(가) 실험동물
흰쥐(Wistar, male, 150-200g)를 온도 22
Figure kpo00015
1
Figure kpo00016
, 습도 60
Figure kpo00017
5
Figure kpo00018
로 유지하면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바꿔주면서 사료와 물을 마음껏 섭취하도록 한다. 실험시에는 하루 전부터 굶겨 공복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나) 흰쥐의 간세포 배양
간세포를 Berry와 Friend의 방법을 약간 수정한 2단계 collagenase 관류법으로 분리하였다. 흰쥐를 urethane(1g/
Figure kpo00019
body weight)으로 마취시킨 다음 70
Figure kpo00020
ethano1로 복부를 소독한 후 개복하였다. 건문맥에 20 guage cathether를 삽관하고 15m1/min의 속도로 HBBS 150m1를 관류시키면서 하대정맥을 잘라 혈액을 제거하였다. 흉강을 열어 하대정맥에 18 guage catheter를 삽관한 다음 하대정맥을 묶은 후 소화용액을 재순환시켰다. 재순환은 37
Figure kpo00021
에서 CO2(5
Figure kpo00022
)와 O2(95
Figure kpo00023
)의 혼합기체를 공급해주면서 HBBS 95m1과 collagenase(최종농도 0.05
Figure kpo00024
)로 구성된 소화용액으로 10분간 수행하였다. 간세포가 분리되면 간을 몸체에서 적출하여 비이커에 옮긴 다음 HBBS 60m1를 가한 후 간막을 가위로 찢어서 간세포를 유리시킨 후 lens paper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50g에서 2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버리고 다시 배양액으로 같은 조건에서 원심분리한 후 간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간세포 현탁액은 5×105cells/ml의 농도로 collalgen이 도포된 배양 용기에 이식하였다. 배양액은 Waymouth's MB 752/1 medium, 10
Figure kpo00025
fetal calf serum, 2.0mg/ml bovine serum albumin(fraction V), 10-6M dexamethason, 10-7M insulin, 5.32 ×10-2M L-serine, 4.07×10-2M NaHCO3, 100IU/ml penicillin, 100ug/ml streptomycin과 5ug/ml amphotericin B로 구성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37
Figure kpo00026
배양기에서 공기(95
Figure kpo00027
)와 CO2(5
Figure kpo00028
)의 혼합기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다) 실험방법
간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mM 사염화탄소를 함유한 배양액으로 갈아준 다음 1.5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세포 독성을 유도하였다. Galactosamine에 의한 간세포 독성은 간세포를 배양한지 1.5시간 경과한 후에 배양액을 1.5mM galactosamine을 첨가한 배양액으로 갈아준 후 14시간 동안 더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유도되어 졌다.
배양액중의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와 Sorbitol dehydrogenase(SDH)는 Reitman-Frankel 의 방법과 약간 수정된 Gerlach의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Glutathione-S-transferase의 활성은 gluatathione, 1-chloro-2,4-dinitrobenzene, potassium phosphate buffer가 담기 시험관에 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즉시 340nm에서 흡광도 가 직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5분간 측정하여 mg 단백질이 매분당 생성하는 생성물의 양으로 나타내었다.
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는 간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용기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3ml의 66mM Tris-HCl buffer(pH 7.4)를 가하여 세포현탁액으로 만들어 이것을 15초간 균질화시킨 후 원심분리 (12500g, 15min)한 상등액을 이용하였다.
간세포내의 superoxide dimutase(SOD)의 활성은 McCord 와 Firvich 등의 방법을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에 100ul에 0.2ml의 reagent A, 500ul 의 DDW, 200ul 의 reagent B를 가한후 37
Figure kpo00029
에서 30분간 정치하여 반응시고 200ul의 reagent C를 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OD unit로 환산하였다.
GSSG reductase의 활성은 phosphate buffer 600ul, 10mM GSSG 100ul, ImM NADPH 100ul를 포함하는 시험관에 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 200ul를 가한 후 34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총 glutathione(GSH 및 GSSG)의 함량은 시험관에 0.3mM NADPH 700ul와 6mM DTNB 100ul를 넣고 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 200ul를 가한 후 30C로 유지되는 항온조에 방치한 후 여기에 50 units GSH reductase/ml 용액을 10ul 가하여 반응을 시작한 후 412nm에서 2분간 15초 간격으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Glutathione(oxidized form, GSSG)의 함량은 post mitochondrial supernatant 100ul당 2ul의 2-vinylpridine을 가하고 1분간 격렬히 반응 시키고 25
Figure kpo00030
에서 60분 방치하여 GSH의 유도체가 형성되면 GSH의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남아있는 GSSG의 양을 측정하였다.
RNA 생합성 측정은 [3H]-uridine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최종농도 IuCi/ml)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uridine이 배양세포의 RNA에 incoporation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HBSS로 3회 세척하고 10
Figure kpo00031
trichloroacetic acid를 1ml 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키고 1ml의 ethanol-ether(3:1)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잔존하는 trichloroacetic acid를 제거한 후 1N NaOH 200ul로 단백질을 용해시킨 후 그 중 100ul를 취하여 scintillation cocktail인 aquasol을 3ml 가한 후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라) 실험결과
WS-TECA는 사염화탄소로 유발시킨 일차배양한 흰쥐의 간세포에 1ug/ml 에서부터 300ug/ml까지증가시켜 투여하였을 때 WS-TWCA는 1ug/ml에서부터 100ug/ml까지 농도의존적으로 배양액중으로 유리되는 GPT 및 SDH의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100ug/ml의 농도에서 가장높은 간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세포내에 존재하는 여러효소들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GST 자유기 생성의 억제 및 생성된 자유기의 제거에 관여하는 GSSG reductase, SOD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자유기로 인하여 감소된 GSH의 양을 증가시켰다.
그 활성은 100ug/ml이 농도에서 가장 뛰어나 50-60
Figure kpo00032
이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1)
Galactosamine으로 유발시킨 일차배양한 흰쥐의 간세포에 WS-TECA를 1ug/ml에서부터 300ug/ml까지 농도를 증가시켜 투여하였을 때 배양액중으로 유리되는 GPT 및 SDH의 활성을 300ug/ml의 농도에서 가장 많이 차단하여 가장 높은 간세포 보호활성은 나타내었다. 또한 galactosamine으로 인하여 감소된 간세포 내의 RNA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WS-TECA는 300ug/ml의 농도에서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시킨 대조군에 비하여 RNA 생합성을 액 2배 증가시켜 galactosamine에의 간세포 독성을 정상상태때의 40
Figure kpo00033
정도까지 회복시킴을 알수있었다.(표 2)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다) 항간섬유화 효과
본 발명에서 얻어진 WS-TECA의 항섬유화 효과는 담도 결찰법 또는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한 실험동물에 WS-TECA를 투여하여 섬유화 과정의 주요원인인 콜라겐 생합성 및 조직내의 축적정도를 Serum procollagen N-terminal peptide (PIIIP)와 간의 hydroxyproline을 정량하여 측정할 수 있다. 각 시험방법 및 측정된 화합물의 항섬유화는 다음과 같다.
담도결찰법은 200-220g의 수컷의 SD계 랫트를 개복하여 담관을 double ligatiln한후 4주동안 섬유화를 유도하였다. 약물은 매일 1회 복강으로 투여하였으며 혈청내의 PIIIP는 rabbit anti PIIIP antibody를 이용하여 ELISA방법으로 정량하였다. 조직내 collagen량은 간 조직을 산가수분해하여 유리되는 hydroxyproline을 chloramine T와 ER 용액(P-dimethylaminobenzaldehyde, perchloric acid, isopropanol)을 이용하여 발색법으로 정량하였다.
담도결찰모델시험에서 항섬유화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간섬유화 지표인 hydroxyproline량을 WS-TECA 는 용량의존성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표 3)
또한 collagen 생합성지표인 혈청중 PIIIP농도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표 4) 이러한 사실로부터 WS-TECA는 간의 섬유화를 완화하는 효능약임을 알 수 있다.
carbon tetrachloride로 유도한 섬유화동물 모델 시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200-220g이 수컷의 SD계 랫드에 CCl4를 480mg/
Figure kpo00036
용량으로 1주 2회 4주동안 복강 투여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하였다. 시험약은 매일 1회생리 식염수에 녹여 복강으로 4주동안 투여하였다. 담도결찰 모델에서와 동일하게 혈청 PIIIP 농도와 간 조직내의 collagen양을 측정하였다.
CCl4처리시는 섬유화 유도정도가 담도결찰보다 완화된 모델로서 이때는 collagen 침착정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두배정도 증가되었다. WS-TECA 처리시 간 조직내의 collagen 침착이 용량 의존적으로 저해되었으며(표 5), 또한 혈청 PIIIP 농도도 저해함을 보여주었다.(표 6)
이러한 사실로부터 WS-TECA 95는 간 섬유화 원인에 관계없이 collagen의 합성 증가와 이들의 조직내의 침착으로 기인되는 간 섬유화 정도를 collagen합성 억제를 유도하여 섬유화를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약물임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실시예 1]
센텔라아시아타카 건조물 4.7
Figure kpo00041
에 70
Figure kpo00042
에탄올수용액 32L를 가하고 48시간 동안 냉침한다. 에탄올성추출액을 여과하여 하구병에 옭기고 여기에 염화메칠렌 17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완전히 층분리가 된 후 상층만을 취한다. 상층에 에탄올 5L, 염화메칠렌 7L를 넣고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완전히 층분리가 되면 상층을 취하고 얻어진 상층액을 노말부탄올 17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노말부탄올층은 0.1N NaOH용액으로 수회세척하고 다시 물로 수회세척한다. 부탄올층을 총 부피의 10분의 1정도로 감압 농축하여 5L의 에칠아세테트에 넣어 결정화한다. 생성된 결정을 흡인여과하고 얻어진 고체를 소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50
Figure kpo00043
에서 24시간 진공건조하여 미황색 고체 120g을 얻는다.
[실시예 2]
센텔라아시아티마 5
Figure kpo00044
에 70
Figure kpo00045
메탄올 수용액 35
Figure kpo00046
를 가하고 48시간동안 10
Figure kpo00047
로 냉각하여 추출시킨다.
메탄올성 추출액을 여과하여 하구병에 옮기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가 혼합된 추출물 (4:6) 125g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가 혼합된 추출물 (6:4) 118g을 얻었다.
[실시예 4]
실리카겔(70-230mesh)를 이동상 (노말부탄올 : 에틴올 : 암모니아수 : 물
Figure kpo00048
60 : 40 : 5 : 10)을 이용하여 직경 6
Figure kpo00049
, 길이 26
Figure kpo00050
가 되도록 충진한 다음 상층부에 1g의 WS-TECA를 최소량의 이동상에 녹여 loading하였다. 이동상을 일정한 속도로 흘려주며 25ml용기로 분취하여 순수한 Asiaticoside 400mg과 Madecassoside 400mg을 얻었다.
[시험예]
WS-TECA 5g을 메탄올 100ml에 녹이고 여기에 5N-NaOH 3ml를 가하고 12시간동안 가열환류한 다음 반응액과 TECA 표준품을 이동상(노말부탄올:에탄올:암모니아수
Figure kpo00051
60:40:5:10)와 고정상(실리카겔 판)에서 전개하고 무수초산과 황산혼합액(9:1)로 발색시켜 WS-TECA의 가수분해물은 Madecassic acid와 Asiatic acid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성분의 혼합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HLPC로 분석한 결과 아시아 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가 5:5의 비율로 혼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는 바이러스성 간염과 알콜성 간염등 만성간질환이 빈발하는 지역으로 매년 이로 인한 사망율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만성 간질환은 지속적인 간세포 손상과 이에 따르는 간섬유화를 유발하여 종국에는 간세포 부전증과 문맥압항진의 합병증으로 사망케 하는 질환으로 지금까지 Colchichine, UDCA 등이 간질환 치료의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이견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간세포 손상과 섬유화 과정을 감소시킬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사이드 혼합물의 추출에 관한 본 항간섬유화 효과실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만성간질환의 중증도를 경감은 물론 이로 인한 사망율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

  1.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 얻은 추출물 100중량
    Figure kpo00052
    를 기준으로 하여, 주성분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 40
    Figure kpo00053
    60중량
    Figure kpo00054
    및 마데카소사이드 40
    Figure kpo00055
    60중량
    Figure kpo00056
    로 구성되는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KR1019970010114A 1997-03-24 1997-03-24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KR10022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114A KR100228873B1 (ko) 1997-03-24 1997-03-24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DE69711843T DE69711843T2 (de) 1997-03-24 1997-08-19 Wasserlösliches Extrakt von Asiaticosid und Madecanoside von Centella asiatica und Verfahren zur Isolierung davon
EP97114291A EP0867447B1 (en) 1997-03-24 1997-08-19 Water-soluble extract of asiaticoside and madecassoside from centella asiatica and isolating method thereof
JP9260210A JPH10279590A (ja) 1997-03-24 1997-09-25 センテラアシアチカから分離したアシアチコサイド及びマデカソサイドを含む水溶性抽出物及びその分離方法
US08/957,958 US6417349B1 (en) 1997-03-24 1997-10-27 Water-soluble extract of asiaticoside and madecassoside from Centella asiatica and isol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114A KR100228873B1 (ko) 1997-03-24 1997-03-24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333A KR19980074333A (ko) 1998-11-05
KR100228873B1 true KR100228873B1 (ko) 1999-11-01

Family

ID=1950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114A KR100228873B1 (ko) 1997-03-24 1997-03-24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17349B1 (ko)
EP (1) EP0867447B1 (ko)
JP (1) JPH10279590A (ko)
KR (1) KR100228873B1 (ko)
DE (1) DE6971184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278B1 (ko) * 1997-02-28 2006-04-06 동국제약 주식회사 아시아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 보호 및치료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43318A0 (en) 2001-05-23 2002-04-21 Herbal Synthesis Corp Herb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cosal lesions
DE20109044U1 (de) * 2001-05-30 2001-08-09 Weber & Weber Gmbh & Co Kg Pharmazeutische Zubereitung
JP2004002335A (ja) * 2002-03-28 2004-01-08 Ortho Corporation 不定愁訴症状改善剤及び食品とその組成物
CN1951411B (zh) * 2002-08-23 2010-08-25 纽约州立大学研究基金会 一氧化氮及其生物医学重要作用
FR2848117B1 (fr) * 2002-12-10 2006-08-04 Roche Consumer Health Ltd Procede de preparation d'un extrait de centella asiatica riche en madecassoside et en terminoloside
WO2006012015A2 (en) * 2004-06-29 2006-02-02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nerve regeneration
CN1595147B (zh) * 2004-07-02 2010-04-28 桂林三金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金制剂中羟基积雪草苷和/或积雪草苷含量的检测方法
US20070010459A1 (en) * 2005-01-14 2007-01-11 Ying Liu Application of asiatic acid and its derivatives to treat pulmonary fibrosis
US20070071840A1 (en) * 2005-09-27 2007-03-29 Sridevi Dhanaraj Method for treatment of cartilage disorders with centella extract
TWI361074B (en) * 2005-12-22 2012-04-01 Dev Center Biotechnology Plant extracts for enhancing healing of wounds,and the preparation process and use thereof
EP1925310B1 (en) 2006-11-24 2015-03-25 Development Center For Biotechnology Plant extracts from Plectranthus and Centella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accelerating wound healing in diabetic patients
ATE495749T1 (de) * 2007-02-12 2011-02-15 Indus Biotech Private Ltd Zusammensetzung für selektive hemmung der serotoninwiederaufnahme und verfahren dafür
US8449924B2 (en) * 2007-08-29 2013-05-28 Development Center For Biotechnolog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lant extracts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enhancing healing of wounds
JP5539224B2 (ja) * 2008-01-11 2014-07-02 シャンハイ・インスティチュート・オブ・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インダストリー(エスアイピーアイ) アジアティック酸(asiaticacid)及びその選択される塩に基づく治療用製剤
US20110236324A1 (en) * 2010-03-23 2011-09-29 Namita Deo Plant extract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1632369B1 (ko) 2010-06-10 2016-06-21 인두스 바이오텍 프라이빗 리미티드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 고순도 아시아티코사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사용 방법
FR2964570A1 (fr) * 2010-09-09 2012-03-16 Burgundy Procede de preparation d'un extrait de centella asiatica
EP2708596B1 (en) 2012-09-14 2016-11-09 Casen Recordati, S.L. Centella genus plant cell cultures, method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PT2708232T (pt) 2012-09-14 2017-02-15 Casen Recordati S L Composição compreendendo uma cultura em suspensão de células da planta centela asiática
CA3030774A1 (en) 2016-07-17 2018-01-25 ONENESS BIOTECH CO., Ltd Topical formulation for promoting wound healing
WO2023036404A1 (en) 2021-09-07 2023-03-16 Symrise Ag Taste balancing botanical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458A (ko) 1985-07-01 1987-03-13 오수만 익차형 복갑식 수도미터
JPH0760544B2 (ja) 1985-07-17 1995-06-2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のテ−プガイド機構
US5166139A (en) * 1987-02-26 1992-11-24 Indena, S.P.A. Complexes of saponins and their aglycons with phospholipids an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2841080B2 (ja) 1989-07-22 1998-12-24 株式会社新川 版台固定構造
JPH10509959A (ja) * 1994-12-03 1998-09-29 ドング クック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シーオウ.,エルティーディー. アジア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治療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278B1 (ko) * 1997-02-28 2006-04-06 동국제약 주식회사 아시아트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 보호 및치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17349B1 (en) 2002-07-09
KR19980074333A (ko) 1998-11-05
EP0867447A1 (en) 1998-09-30
EP0867447B1 (en) 2002-04-10
DE69711843T2 (de) 2002-08-08
DE69711843D1 (de) 2002-05-16
JPH10279590A (ja) 199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873B1 (ko)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테카소 사이드의 수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간세포 및 항간섬유화 치료제
OA13357A (en) Azabenzofuran substituted thioureas as inhibitors of viral replication.
JP2003508501A (ja) 生物学的結合のための肺送達
EP1630160B1 (en) The isoflavone derivatives of tectoridin,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anti-virus medicines containing the same as the effective constituents
CA2539823C (en) Hemiasterlin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A2186486A1 (en) An equilin double bond isomer from the acid isomerization of equilin
CA2434670C (en) Dihydro-triterpenes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cardiovascular disease, inflammation, hypersensitivity or pain
JPS6039647B2 (ja) ガンマ−l−グルタミル−タウリンの単離方法
RU2485970C1 (ru) Композиция и применен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обладающего гепатопротектив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EP0420224B1 (en) Antihepatopathic composition
CA2087145C (en)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wound healing
JPH11209282A (ja) ベルゲニン及びその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改善剤
FI68220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nvaendbar n-(1-metyl-2-pyrrolidinylmetyl)-2,3-dimetoxi-5-metylsulfamoylbensamid
RU2401121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вирусных инфекций и сифилиса на основе экстрактов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вирусных инфекций и сифилиса
KR100191344B1 (ko) 간세포 보호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제제 및 그 제조방법
JPS6157594A (ja) ガラクトスフインゴ脂質及びその製造法
GB2108383A (en)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use against herpes virus
CN111700898B (zh) 巴戟甲素的应用
CN111617076B (zh) 一种含有盐酸阿比多尔的复方药物组合物及其用途
EP0710482B1 (en) Therapeutic agent for myocardial ischemic damages or reperfusion injuries
CA2061133A1 (en) Anticataract composition
WO2004001018A2 (en) Vacuolins
CN115417844A (zh) 一种环己乙醇化合物rengyolone及其制备方法与应用
ICHO et al. Inhibition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by neopterins
KR100332485B1 (ko) 마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b형 간염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