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66B1 - 릴 본체 측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 - Google Patents

릴 본체 측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66B1
KR100222366B1 KR1019920018172A KR920018172A KR100222366B1 KR 100222366 B1 KR100222366 B1 KR 100222366B1 KR 1019920018172 A KR1019920018172 A KR 1019920018172A KR 920018172 A KR920018172 A KR 920018172A KR 100222366 B1 KR100222366 B1 KR 10022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tachable member
reel
reel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346A (ko
Inventor
준 사또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8079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076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444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37487A/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93000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01K89/0191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the drive mechanism reciprocating the guide

Abstract

본 발명은 양 축받이 릴에 관한 것으로, 스푸울(2) : 릴 본체(A) : 상기 릴 본체(A)의 측부에 배치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릴 본체(A)로부터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착탈부재(14)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 상기 스푸울(2)이 발취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착탈부재(14): 상기 착탈부재(14)를 분리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A)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그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부재(14)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는 복수의 결합기구(D)와, 이들 복수의 결합기구(D)를 동시에 회전조작하는 단일 조작기구(E)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릴 본체 측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
제1도는 본실시예에 관한 릴의 결합기구, 조작기구를 예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결합기구, 조작기구를 예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클러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릴의 전체 평면도.
제5도는 착탈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의 릴 평면도.
제6도는 계합편(係合片), 캠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계합편, 캠체의 단면도.
제8도는 별도 실시예에 관한 릴의 잠금상태의 착탈기구 단면도.
제9도는 비 잠금상태의 착탈기구 단면도.
제10도는 릴 우측부의 단면도.
제11도는 릴 좌측부의 단면도.
제12도는 전동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릴의 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푸울 13 : 착탈부재
22 : 계합편 23 : 캡체
24 : 조작구 A : 릴 본체
D : 결합기구 E : 조작기구
F : 프레임 H : 케이스
J : 착탈기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양 축받이 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릴 본체 측부에 배치된 혹은 그 일부를 이루는 착탈부재를 릴 본체로부터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하고, 이 착탈부재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 스푸울의 발취를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이 착탈부재의 분리 가능하게 릴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양 축받이 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양 축받이 릴로서는 일본국 실개평2-81172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착탈부재를 원반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릴 본체의 스푸울 측부에 위치를 설정하여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의 내주면 및 착탈 부재의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조작에 의해 걸거나 벗김을 행하는 클릭형의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 릴로서는 착탈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 착탈수단이 릴 본체로 부터의 분리 및 연결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릴 본체의 측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서, 시판되어 있는 것으로는 릴 본체 한쪽의 부재(착탈부재)를 레벨와인더의 위치에서 후단부까지 일체적으로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고, 릴 본체를 좌우로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고정수단)의 조작에 의해 이 부재의 착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도 있다.
상기한 공보번호를 예거한 종래기술의 것은 시판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단일 부재의 조작에 의해 착탈부재의 분리 및 고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분리 고정조작에 번거롭지않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유효한 면을 가진다.
그러나 이 구조의 것으로는 착탈부재를 원반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착탈부재가 안쪽 끼우기 가능한 개구를 릴 본체에 형성하고, 더구나 각각의 사이에 클릭형의 고정수단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는등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므로 원가면 제작정밀도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이 구조의 것으로는 착탈부재의 외경, 개구의 내경 각각을 회전조작할 수 있고, 더구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록 치수관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 고정수단도 착탈부재 소정량의 회전조작에 의해 분리 고정을 행할 수 있도록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보번호를 예거한 종래기술에서는 이 착탈부재의 분리에 의해 릴 본체에 형성되는 개방부의 개구형상을 원형이외로 하기가 곤란하다.
또 이 구조의 것으로는 예컨대 레벨와인더등, 스푸울이외의 부재점검을 행하기 어려운면도 있어 이 점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중 시판의 것으로는 착탈부재의 형상을 릴 본체측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하여도 볼트의 조작에 의해 무리없이 분리, 고정 조작을 행할 수 있게되나, 이 구조로서는 복수의 볼트헤드(조작용의 노브)가 릴 본체 측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되므로 촉감이 좋지 않다.
또 볼트가 릴 본체에 관통하는 구조이므로 볼트삽입공간을 필요로하는 불합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부재의 분리, 고정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유효한 면을 손상시킴이 없이, 너무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지 않아도 이 분리, 고정을 행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한 점 및 착탈부재의 분리 고정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유효한 면을 손상시킴이 없이 릴 본체 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합리적으로 구성한 점에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특징은 서두에 설명한 바와같이 착탈부재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 스푸울을 발취가능하게 구성하고, 착탈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릴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양축받이 릴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을 그 회전작동에 의해 착탈부재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는 복수의 결합기구와, 이들 복수의 결합기구를 동시에 회전조작하는 단일 조작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 점에 있다.
이 특징을 가령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하면 착탈부재(14)의 분리 혹은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기구(E)를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결합기구(D)가 동시에 결합상태와 분리상태로 전환되게되며, 또 이 구성에서는 공보번호를 예거한 종래기술과 같이 착탈부재(14)를 원반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위에 조작기구(E)는 결합기구(D)를 조작하도록 전동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면 되므로, 이 조작기구(E)와 결합기구(D)의 정밀도를 너무 높이지 않아도 되게 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상기 공보번호를 예거한 종래기술과 같이 단일조작계의 조작에 의해 번거롭지 않고 착탈부재(14)의 분리, 고정이 가능하게 되고, 또 이 구조의 조작기구(E)의 정밀도를 너무 높이지 않아도 되며, 그위에 릴 본체(A)의 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으로서 서두에 설명한 바와같이 착탈부재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 스푸울을 발취가능하게 구성하여 착탈부재를 분리가능하게 릴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양 축받이 릴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을 복수의 계합편과 그 작동에 의해 복수의 계합편과 동시에 걸거나 벗겨서 착탈부재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는 단일 캠체와 이 캠체를 조작하는 조작구를 구비하여 형성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특징을 가령 제6도 및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하면, 착탈부재(14)의 분리 혹은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구(24)를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계합편(22)과 캡체(23)가 동시에 계합 혹은 분리상태에 달하게 되며, 또 이 구성이라도 상기와 같이 착탈부재(14)를 원반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이 구성이라도 상기 공보번호를 예거한 종래기술과 같이 단일조작계의 조작에 의해 번거롭지 않고 착탈부재(14)의 분리, 고정이 가능하게 되며, 또 릴 본체(A)의 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착탈부재의 분리, 고정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유효한 면을 손상시킴이 없이 고정밀도를 유지하지않아도 이 분리 고정을 행하는 고정수단이 구성되며, 또 릴 본체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스푸울부위 이외의 부위점검등도 쉽게 행할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본발명에서는 릴 본체 내부에 볼트삽입용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더구나 측면에 복수의 볼트헤드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릴의 촉감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발명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즉 프레임과 프레임의 바깥쪽을 덮는 케이스와 핸들측의 프레임부를 구성하여 형성되는 양 축받이 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케이스를 스푸울축심 주위에서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동시에 이 프레임과 케이스의 상대회전에 의해 프레임과 케이스를 연결하거나 혹은 분리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와같이하면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특징을 가령 제8도 내지 제 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하면, 핸들(4)측의 릴 본체(A)를 분해하는 경우에는 프레임(F) 과 케이스(H) 를 상대적으로 회전조작시킴으로써, 착탈기구(j) 가 프레임(F) 과 케이스(H) 와의 분리를 허용하는 상태로 되고, 프레임(F) 으로부터 케이스(H)를 제거함으로써 이 릴 본체(A) 내부를 해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릴 본체(A) 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프레임(F) 과 케이스(H) 을 소정의 자세로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착탈기구(J) 가 프레임(F) 과 케이스(H)를 연결하게 된다.
즉 이 릴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착탈기구(J)를 프레임(F) 와 케이스(H) 로 형성된 클릭체(41)등과, 이것에 걸거나 벗기는 계합부(43)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예컨대 일본국 실공소 54-4303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가동형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이 클릭체(41)등과 계합부(43) 등을 프레임(F) 혹은 케이스(H)에 직접 형성할 수 있으므로 흔들림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고강도의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착탈을 행하기 위한 볼트헤드등이 릴 본체외면에 노출되는 일도없다.
따라서 대형으로서 고강도의 가동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또 릴 본체 외면의 촉감을 악화시킴이 없이 핸들측의 릴 본체도 원터치로 분해되며, 조정, 수리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는 양 축받이 릴이 합리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발명을 제 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릴 본체의 착탈조작시에 한쪽손으로 핸들과 함께 케이스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 좌측의 릴 본체와 함께 프레임을 잡고 조작을 행하므로, 작은 조작편 혹은 볼트 등을 조작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발명에 관한 양 축받이 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양 축받이 릴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베이트 캐스팅용의 양축받이 릴이다. 즉 좌우의 케이스부를 가지는 릴 본체(A)의 앞부분에 레벨와인더(1), 스푸울(2), 섬레스트(3)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A)의 우측부에 핸들(4)이 구비되어 있고, 또 우측의 케이스부 내부에 클러치기구(C)가, 좌측 케이스부 내부에 제동기구(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클러치기구(C)는 스푸울축(5) 끝부분에 형성된 핀(6)과 이 핀(6)과 걸거나 벗길수 있도록 스푸울축(5) 끝부분에 미끄럼 자유롭게 바깥끼움하는 슬리이브(7)로 이루어진다.
이 클러치기구(C)에서는 클러치 OFF의 상태로 스푸울축(5)과 슬리이브(7)가 될 수 있는대로 크게 이간하도록 스푸울축(5)의 외면, 슬리이브 (7)의 내면이 같이 테이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리이브(7)에는 핸들(4)로부터의 동력이 드랙기구(도시않음)의 출력기어(8)을 통하여 전달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동기구(B)는 스푸울축(5)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베어링(28)의 지지보스(9)에 감은 제동벨트(10)와 이 제동벨트(10) 외주에 고정설치한 나사축(11)에 나사맞춤하는 웨이트(12)와, 이 나사축(11)에 스푸울(2)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스푸울 (2) 측면에 세워 설치한 접촉편(13)으로 형성된다.
캐스팅시에는 접촉편(13)이 나사축(11)에 접촉하여 웨이트(12)를 회전시키고, 이 웨스트 (12)의 원심력에 의해 제동벨트(10)가 지지보스(9)에 압접함으로써 스푸울(2)에 제동력이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제동기구(B)에서는 나사축(11)에 대한 웨이트(12)의 위치조절에 의해 이 제동기구(B)의 제동력의 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릴에서는 좌측케이스부를 구성하는 덮개형상의 착탈부재(14)가 릴 본체(A)에 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통하여 연결지지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이 착탈부재(14)의 제거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의 스푸울(2)의 발취 및 상기 제동기구(B) 등의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수단은 제1도,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릴 본체(A) 측에 돌출 설치된 한쌍의 나사(15,15) 및 착탈부재(14)에 지지된 한쌍의 너트(16,16) 각각으로 이루어지는 결합기구(D)와 너트(16)의 기어부(16A)에 맞물리는 링기어(17), 이 링기어(17)를 조작기어(18)에 의해 회전조작하는 다이얼(19)각각으로 이루어지는 조작기구(E)로 구성되어있다.
착탈부재(14)의 고정, 분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이얼(19)의 회전조작에 의해 링기어(17)을 통하여 한쌍의 너트(16,16)가 동시에 조작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너트(16)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착탈부재(14)에 대하여 시르터(20), 스프링 (21)을 통하여, 릴 본체 반대측에 항상 가압됨으로써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별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A)의 기본적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와 변함이 없고, 고정수단이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수단은 릴 본체(A)측에 돌출설치한 한쌍의 계합편(22,22) 과 이 한쌍의 계합편(22,22)의 절결부(22A,22A)와 동시에 걸거나 벗겨 착탈부재(14)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는 링형상의 캠체(23)와, 이 캠체(23)를 조작하는 레버형상의 조작구(24)로 형성된다.
착탈부재(14)의 고정, 분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구(24)의 요동조작에 의해 캠체(23)의 캠면(23A,23A)에 대하여 계합편(22,22)을 동시에 걸거나 벗길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캠체(23)에서는 캠면(23A)이 둘레방향에 따라 그 면을 경사시키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비스(25,25)에 의해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이외에 가령 제1도에 가상선으로 예시한 바와같이 링기어(17)에 레버형상의 조작구(19) 를 구비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또 제7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캠체(23)의 외주에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다이얼형의 조작구(24')를 구비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핸들을 구비한 쪽에 착탈부재를 형성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복수의 결합기구를 동시에 회전조작하는 조작기구를, 가령 무단체인과 같은 케이블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복수의 게합편과 걸거나 벗기는 캠체를 미끄럼 조작형으로 구성하는등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다시 별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릴은 제 10,11,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성의 베이트 캐스팅용의 양 축받이 릴이다. 좌우의 릴 본체(A,A) 간의 앞부분에 나사축((1a)의 회전에 의해 좌우에 낚싯줄 안내구(1b)를 왕복구동시키는 구조의 레벨와인드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중앙부에 스푸울(2), 후방부에 클러치조작구(5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우측의 릴 본체(A)에는 핸들(4), 트랙조작구(56), 캐스트 콘트로울러(57)각각이 구비되어 있다.
이 릴에서는 좌측의 릴 본체(A)와 우측의 릴 본체(A)의 일부 및 각각의 릴 본체(A,A) 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섬레스트(58), 하부에 배치되는 전후 한쌍의 하부프레임(59,59) 각각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일체형성물의 우측끝부분에 연이어 설치된 프레임(F)에 대하여 케이스(H)가 연결되어 우측의 릴 본체(A)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59,59) 각각에 걸쳐서 다리부(61)가 설치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의 릴 본체(A)내부의 플레이트(62)에 세워 설치된 핸들축(53)에 대하여 상기 핸들(4), 트랙조작구(56) 각각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핸들축(53)의 안쪽끝부분에 드랙기구(D), 출력기어(14)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 핸들축(53)과 케이스(H) 사이에 로울러형의 1방향 클러치(55)를 구비하여 핸들(4)의 역전을 저지한다. 그위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들(4)로부터의 구동력을 출력기어(64) 및 중간기어(64A)를 통하여 상기 나사축(1a)의 입력기어(1A)에 전달된다.
또한 핸들축(53)의 안쪽 끝부분에는 고정링(66)으로 발출 방지된 베어링(67)을 구비하고, 이 베어링(67)의 탈락을 저지하는 리테이너(68)에 의해 핸들축(53)은 플레이트(62)에 지지되어 핸들축(53)의 축심방향에의 외부 압력에 걍력하게 견디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드랙조작구(56)의 핸들측면에는 핀(69)을 통하여 드랙조작구(56)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70)을 구비하고, 또 이 디스크(70)의 요철면(70A)과 걸거나 벗기는 스프링판재(71)를 핸들(4)에 구비하여, 드랙조작구(56)의 조작량을 클릭음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스푸울축(5)에 미끄럼 조작이 자유롭게 헐겁게 끼운 클러치 슬리이브(7)와 스푸울축(5)에 고정 설치된 핀(6)과의 계탈구조에 의해 클러치기구(C)가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슬리이브(7)의 입력기어(7A)와 드랙기구(G)의 출력기어(75)와의 맞물림에 의해 핸드(4)로부터의 회전조작력을 드랙기구(G), 클러치기구(C) 각각을 통하여 스푸울(2)에 전달하는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클러치 슬리이브(7)을 계합지지하는 시프터(26)가 한쌍의 지지축(27,27)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있다.
스푸울(2)의 축심과 동일 축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캠(60) 한쌍의 캠면(60A,60A)의 접촉에 의해 이 시프터(26)를 통하여 클러치 슬리이브(7)를 조작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또 상기 클러치조작구(54)의 조작핀(4A)에 접촉하여 조작되는 링크부재(29)를 회전캠(60)의 계합핀(60B)D에 걸어 맞추고 있다.
상기 지지축(27,27)에는 시프터(26)를 클러치기구(C)의 입구측에 조작하는 압축 스프링(30,30)이 바깥끼움되고 있다.
회전캠(60)에는 이 회전캠(60)의 회전자세를 클러치기구(C)의 ON 및 OFF 각각의 상태에 유지하는 토글스프링(31)을 작용시켜, 클러치기구(C)가 OFF 상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토글식의 스프링(32) 작용에 의해 그 끝부분을 리턴 조작용의 휘일(33)과 간섭하는 자세로 전화하는 리턴아암(34)을 구비한다.
또한 클러치기구(C)의 OFF조작시에는 클러치 조작구(54)의 밀어내리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클러치조작구(54)에 형성된 핀(54A)으로부터의 조작력으로 링크부재(29)가 아이드부재(35)와의 접촉에 의해 원호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캠(60)을 회전조작한다. 그 결과, 캠면(60A,60A)의 가압에 의해 상기 클러치 슬리이브(7)가 클러치 OFF 방향으로 작동한다. 또 클러치기구(C)를 ON조작하는 경우에는 핸들(4)을 감기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휘일(33)의 톱니부(33A)로부터의 가압력이 리턴 아암(34)을 통하여 회전캠(60)을 쿨러치 ON 방향으로 조작하고 시프터(26)가 압축스프링(30,30)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하여 클러치기구(C)는 ON 상태에 달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의 릴 본체(A)내부에는 스푸울축(5)에 고정된 홀더(36)에 구비된 축(37)에 대하여 미끄럼 자유롭게 칼라(38)가 바깥끼움되어 있다.
이 칼라(38)의 회전궤적 바깥쪽에 링 형상의 마찰재(39)가 배치되어 형성되는 원심형의 제동구기를 구비한다. 이 릴에서는 상기 프레임(F)과 케이스(H)가 스푸울(2)의 축심주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이 회전조작에 의해 이 케이스(H)를 프레임(F)으로부터 분리하는 착탈기구(J)를 구비한다.
즉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F)의 스푸울 삽입용 개구내주의 통형상부(40)에는 그 복수개소에 복수의 클릭체(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62)에는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절결부 (42)에 연결되는 상태로 플랜지형상의 계합부(43)가 형성되어 착탈기구(J)가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F)으로부터 케이스(H)를 분리할 경우에는 잠금편(44)의 걸어맞춤을 해제한후, 한쪽손으로 핸들(4)과 함께 케이스(HZ)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 좌측의 릴본체(A)와 함께 프레임(F)을 잡아 스푸울 축심주위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계합부(43)와 클릭체(4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케이스(H)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케이스(H)를 장착할 경우에는 반대조작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상대자세에 달하면 잠금편(44)이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 잠금상태에 달하여 장착이 완료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잠금편(44)은 가압조작형의 조작편(46)에 의해 잠금해제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잠금편(44)은 플레이트(62)에 형성된 계합구멍(62A)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잠금상태에 달하는 것이며, 이 잠금시의 흔들림을 저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62)와 클릭체(41)와의 사이에 0-링(47)이 장착되게 되어있다.
이 착탈조작중 분리는 핸들축으로부터의 방향에서 보아 케이스(H)측을 우회전(시계회전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 분리조작을 무리없이 행하도록 클러치 조작구(54)의 조작핀(54A)이 끼워서 통과하는 긴구멍 형상의 개구(48)는 윗쪽으로 향하여 융통(48A)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나사축(1a)의 입력기어(1A)는 착탈기구(J)의 회전중심(스푸울축5의 축심과 일치)과 중간기어(64A)를 연결하는 연장선상에서 중간기어(64A)와 맞물리도록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로서는 가령 핸들을 구비하지 않은 쪽의 릴 본체에 이 착탈기구를 구비하여도 되고, 또 좌우의 릴 본체 각각을 이 착탈기구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Claims (8)

  1. 스푸울(2) : 릴 본체(A) : 상기 릴 본체(A)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릴 본체(A)로부터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착탈부재(14)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 상기 스푸울(2)이 발취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착탈부재(14) : 상기 착탈부재(14)를 분리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A)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그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부재(14)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는 복수의 결합기구(F)와, 이들 복수의 결합기구(D)를 동시에 회전조작하는 단일 조작기구(E)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D)가 상기 릴 본체(A)축애 돌출설치된 한쌍의 나사(15,15) 및 상기 착탈부재(14)에 지지된 한쌍의 너트(16,16) 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E)가 상기 너트(16)의 기어부(16A)에 맞물리는 링기어(17), 이 링기어(17)를 조작기어(18)에 의해 회전조작하는 다이얼(19) 각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6)는 상기착탈부재(14)에 대하여 시프터(20), 스프링(21)을 통하여 릴 본체 반대측에 항시 가압됨으로써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5. 스푸울(2) : 릴 본체(A) : 상기 릴 본체(A)의 측부에 배치되어있는 동시에 상기 릴 본체(A)로부터 분리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착탈부재(14)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부로부터 상기 스푸울(2)의 발취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착탈부재(14) : 상기 착탈부재(14)를 분리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A)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복수의 계합편(22)과, 그 작동에 의해 복수의 상기 계합편(22)과 동시에 걸거나 벗겨서 상기 착탈부재(14)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는 단일 캠체(23)와, 이 캠체(23)를 조작하는 조작구(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편(22)과 상기 캠체(23)와의 걸고 벗김이 한쌍의 상기 계합편(22,22)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 절결부(22A, 22A)와 상기 링형상의 캠체(23)가 동시에 걸거나 벗겨서 상기 착탈부재(14)의 고정 및 분리를 행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7. 상기 스푸울(2)의 측부위치에 스푸울(2)측의 프레임(F)과, 이 프레임(F)의 바깥쪽을 덮는 케이스(H)로 이루어지는 릴 본체(A): 상기 릴 본체(A)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F) 상기 케이스(H)와의 사이에 핸들(4)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스푸울(2)에 전달하는 전동계: 상기 프레임(F)을 분리가능하게 상기 케이스(H)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F)과 케이스(H)가 스푸울축심 주위에서 상대회전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F)과 상기 케이스(H)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F)과 상기 케이스(H)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기구(J)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축받이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J)는 상기 프레임(F)의 스푸울 삽입용 개구내주부에 있어서의 통 형상부(40)의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클릭체(41)와, 상기 릴 본체(A)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62)에 설치된 절결부(42)와, 상기클릭체(41)와 걸어맞춤 가능한 또한 상기절결부(42)에 연결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플랜지 형상의 계합부(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받이 릴.
KR1019920018172A 1991-10-04 1992-10-05 릴 본체 측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 KR100222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80793U JP2570769Y2 (ja) 1991-10-04 1991-10-04 両軸受リール
JP??91-80793 1991-10-04
JP91-80793 1991-10-04
JP30444391A JPH05137487A (ja) 1991-11-20 1991-11-20 両軸受リール
JP??91-304443 1991-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46A KR930007346A (ko) 1993-05-20
KR100222366B1 true KR100222366B1 (ko) 1999-10-01

Family

ID=2642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172A KR100222366B1 (ko) 1991-10-04 1992-10-05 릴 본체 측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29318A (ko)
KR (1) KR100222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689A (ja) * 1995-08-02 1997-02-10 Daiwa Seiko Inc 両軸受型リール
US5673690A (en) * 1996-03-26 1997-10-07 Better Breathing, Inc. Breathing mask
US5839682A (en) * 1996-07-12 1998-11-24 Zebco Corporation Fishing reel with removable side cover assembly
US5810274A (en) * 1997-04-25 1998-09-22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to a fishing reel
US6032894A (en) * 1998-05-14 2000-03-07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KR200174209Y1 (ko) * 1999-05-21 2000-03-15 주식회사신아스포츠 스풀 착탈 기구를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KR100320405B1 (ko) * 1999-09-02 2002-01-15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카바 착탈구조
US6152389A (en) * 1999-12-10 2000-11-28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clutch
US6206312B1 (en) * 2000-06-22 2001-03-27 Shin A Sports Co., Ltd. Fly fishing reel with detachable spool shaft supporting plate
JP6072422B2 (ja) * 2012-03-12 2017-02-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7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697222B1 (ko) * 2014-10-22 2017-01-17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스플 잠금용 스냅버튼을 구비한 낚시릴
JP6691343B2 (ja) * 2016-10-31 2020-04-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7094690B2 (ja) * 2017-11-10 2022-07-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459A (en) * 1900-08-27 1902-02-18 William S Sutton Fish-reel.
US842551A (en) * 1904-09-24 1907-01-29 Robert L Hunter Fishing-reel.
US1005154A (en) * 1910-03-07 1911-10-10 A F Meisselbach & Bro Fishing-reel.
US1812220A (en) * 1928-10-01 1931-06-30 Shakespeare Co Fishing reel
JPS6027021B2 (ja) * 1977-09-10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静電像現像剤用キヤリア材
US4852826A (en) * 1986-12-28 1989-08-0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having improved cover and seal structure drag mechanism
JPH0281172A (ja) * 1988-09-19 1990-03-22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FR2644035B1 (fr) * 1989-03-10 1992-12-31 Cittadini Daniel Moulinet de peche electrique
JPH0810279Y2 (ja) * 1989-08-10 1996-03-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46A (ko) 1993-05-20
US5429318A (en) 1995-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366B1 (ko) 릴 본체 측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
JP2572095Y2 (ja) 両軸受リール
JP2575446Y2 (ja) 両軸受リール
TWI411392B (zh) The clutch operating member of the double bearing reel
US4259883A (en) Drop-out socket wrench
JPH0560272U (ja) 両軸受リール
KR20130033952A (ko) 듀얼 베어링 릴
US6126104A (en) Adapter for fishing reel drive motor
JPS6012925A (ja) 両軸受リ−ル
US6199782B1 (en)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JPH0531571U (ja) 両軸受リール
US5820051A (en) Spinning reel with spool that is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spool shaft during casting
US3979081A (en) Motorized fishing reel
JP3851731B2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着脱構造
US6293484B1 (en) Bait casting reel having spool detaching mechanism
US5529255A (en) Brake device for fishing reel
TW201922091A (zh) 雙軸承捲線器
JP2004514408A (ja) 釣り用リールのための遊星ギアアセンブリ
JPH05137487A (ja) 両軸受リール
JPS633836B2 (ko)
JP3017028B2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H0919247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238632Y2 (ko)
JPH04106983U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CA2172639C (en) Electric powered dive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