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544B1 -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544B1
KR100221544B1 KR1019970025078A KR19970025078A KR100221544B1 KR 100221544 B1 KR100221544 B1 KR 100221544B1 KR 1019970025078 A KR1019970025078 A KR 1019970025078A KR 19970025078 A KR19970025078 A KR 19970025078A KR 100221544 B1 KR100221544 B1 KR 10022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crane
vehicle
stage boom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770A (ko
Inventor
양창학
Original Assignee
양창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학 filed Critical 양창학
Priority to KR101997002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544B1/ko
Publication of KR97006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5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telescoped by 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짐받이를 덮어서 물품을 운송하도록 하는 탑자동차 내부에 크레인을 설치하는 것으로 탑자동차의 내부에서 짐받이의 크기에 따라서 높이와 폭이 가변되며, 외부에서 짐을 운반하여 차량의 내부에 옮겨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적재함에 탑이 설치된 탑자동차에 있어서, 탑의 내부에서 측면기둥의 높이와 상측기둥의 폭을 조절하여 탑크레인을 설치하는 크레인 설치장치와, 상기 상층기둥의 중앙에 설치되는 1단붐의 내부에서 2단붐을 입출시키는 입출장치와, 상기 2단붐을 통하여 안내되며 탑내측에 까지 물품이 이동되는 이송장치를 구성시켜 탑의 높이와 폭에 따라서 크레인을 편리하게 설치하며 외부의 물품을 중량물에 관계없이 탑내부로 이송시켜 편리하게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
본 발명은 차량의 짐받이를 덮어서 적재된 물품을 운송하도록 하는 탑자동차 내부에 크레인을 설치하는 것으로 탑자동차의 내부에서 짐받이의 크기에 따라서 높이와 폭이 가변되며, 외부에서 짐을 운반하여 차량의 내부에 옮겨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호물 탑자동차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탑자동차는 짐받이에 탑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탑차내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가벼운 경우 외부에서 인력을 이용하여 적재함에 올려놓은후 내부에서 다시 인력을 이용하여 적재하게 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컸다.
그리고 물품이 중량물인 경우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실어야 하나 적재함의 후방만이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물품을 적재하거나 하역하지 못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 및 경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화물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경우에는 중량물인 경우 운송이 불가능하여 탑차를 이용하지 못하고 일반 화물자동차를 이용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탑차의 내부에 크레인을 지지하는 기둥의 높이와 폭의 조절이 가능하며, 외부에 있는 물품을 탑차의 내부에 간편하게 옮겨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탑자동차의 내부 양측에서 크레인을 지지하는 기둥이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탑자동차의 높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단의 붐을 설치하여 외부의 물품을 들어 탑내로 이동시킨후 탑내부에서도 가장 안쪽가지 이동시켜 중량물도 편리하게 적재시키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탑자동차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탑크레인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유압윈치에 대한 설치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2단붐과 MC로울러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탑자동차 2 : 탑크레인
3 : 측면기둥 4 : 상측기둥
5 : 높이 조절봉 6 : 받침판
7,11 : 구멍 8,12 : 보울트
9 : 길이조절봉 12 : 고정대
13 : 유압윈치 14 : 1단붐
15 : 2단붐 16 : MC 슬라이드
18 : 이송대 19,30 : 유압 구동모터
23 : 드럼 24 : 와이어
26 : 가이드 로울러 27 : 축
28 : 가이드대 29 : 고정대
34 : MC 로울러 35 : 안내로울러
36 : 연결축 37 : 유압실린더
40 : 크레인 설치장치 50 : 입출장치
60 : 이송장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와 제2도에서와 같이 통상의 탑자동차(1)의 탑내부 양측으로 탑크레인(2)을 설치하기 위한 측면기둥(3)과 상측기둥(4)을 설치하여 높이와 폭을 조절하는 크레인 설치장치(40)를 구성한다.
상기 크레인 설치장치(40)의 측면기둥(3)은 적재함에 받침판(6)으로 고정되며 상측으로 다수의 구멍(7)이 설치된 높이조절봉(5)을 형성하고 상측이 측면기둥(3)과 보울트(8)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크레인 설치장치(40)의 상측기둥(4)은 고정대(12)의 양측에서 고정되어지며 다수의 구멍(11)이 설치된 길이조절봉(9)를 형성하고 상측기둥(4)과 보울트(10)를 이용하여 폭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대(12)에 지지되며 2단붐(15)을 1단붐(14)으로부터 입,출시키는 입출장치(50)와, 상기 입출장치(50)의 2단붐(15)에 안내되어서 왕복이동되는 이송장치(60)를 구성한다.
상기 입출장치(50)의 1단붐(14)은 하측이 개방되고 양측면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홈(12)에 의하여 탑의 상측에서 고정되며, 1단붐(14)의 내측 상하에는 MC 슬라이드(16)를 설치하여 2단붐(15)의 입출을 안내하도록 고정대(12)의 안쪽에 구성한다.
1단붐(14)의 내측에는 하측의 개방되며 양측으로 로울러 안내홈(15)이 설치되고 전방으로 카바(17)로 마감되는 2단붐(15)을 설치한다.
상기 1단붐(14)과 2단붐(15)에는 유압실린더(37)를 설치하여 2단붐(15)이 탑의 외측으로 입,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2단붐(15)은 하측을 개방하며 유압윈치(13)를 설치하여 이송대(18)의 전방에서 고정대(29)와 연결축(36)으로 양측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고울러(26)를 축(27)으로 가이드대(28)에 연결하여 와이어(24)를 통과시키며 선단에 훅크(25)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60)에 설치된 이송대(18)의 전방에는 2단붐(15)의 양측에 형성된 로울러 안내홈(15')에 로울러축(35')에 의하여 안내로울러(35)을 설치한다.
상기 이송대(18)의 후방에는 구동 유압모터(30)의 구동기어(31)에 연결되는 연결기어(32)에 의하여 회전기어(3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후 로울러 안내홈(15')에 로울러축(34')을 이용하여 MC 로울러(34)를 설치한다.
상기 유압윈치(13)는 유압 구동모터(19)의 기어(20)에 동력전달기어(21)를 연결한 후 일측의 와이어 기어(22)와 연결하여 드럼(2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드럼(23)에는 와이어(24)가 감겨있고 양측으로 카바(39)로 보호되어 진다.
또한 탑 크레인(2)의 내측에는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컨트롤장치(41)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통상의 탑자동차(1)에 설치되며, 탑의 내부에서 측면기둥(3)과 높이 조절봉(5)을 이용하여 구멍(7)에서 보울트(8)를 높이를 조절하고 받침판(6)은 적재함에 고정시킨다.
높이를 조절한 후에는 고정대(12)의 양측으로 길이 조절봉(9)을 설치하여 상측 기둥(4)이 탑내부의 양선단에 밀착되도록 한후 구멍(11)와 보울트(1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이 측면기둥(3)과 상측기둥(4)은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므로 탑 내부의 높이와 폭에 따라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고정대(12)에 탑 크레인(2)을 설치하며, 탑의 외측으로 물품이 이송되면 유압 컨트롤장치(40)를 구동시켜 유압실린더(37)에 유압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면 2단붐(15)이 1단붐(14)의 양측면과 상,하측에서 MC 슬라이드(16)에 안내되어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2단붐(15)을 전진하여 물푸의 위치에 훅크(25)가 위치하게 되면 유압 구동모터(19)를 구동시켜 기어(20)와 동력전달기어(21)에 의해 와이어 기어(22)를 구동시키면 드럼(23)이 회전되면서 와이어(24)가 배출되면서 가이드 로울러(26)에 안내되어 진다.
훅크(25)를 물품에 이송시켜 고정하면 다시 유압 구동모터(19)를 역회전시켜 와이어(24)를 감으면 물품을 들어 올리게 된다.
훅크(25)를 이용하여 물품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린 후에는 유압 실린더(37)을 구동시켜 후진시키면 돌출되어 있던 2단붐(15)이 서서히 후진하게 되며 원위치로 되돌아 오면 제3도에서와 같이 이동된다.
이때 2단붐(15)이 정지되면 구동 유압모터(30)를 작동시켜 구동기어(31)와 연결기어(32)를 통하여 회전기어(33)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회전기어(33)가 연결된 로울러측(34')에 의하여 MC 로울러(34)가 회전되어진다.
MC 로울러(34)가 회전되어지면서 2단붐(15)의 로울러 안내홈(15')에 안내되어 탑의 내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때 이송대(18)에 의하여 연결된 전방의 안내 로울러(35)역시 회전되면서 로울러 안내홈(15')에 안내되어 물품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이송대(18)에 의하여 유압윈치(13)도 같이 이동되며 처음에는 최대한 안쪽까지 이동되어지면 구동 유압모터(30)를 정지시키고 유압윈치(13)를 구동시켜 와이어(24)를 풀어 물품을 하역시켜 원하는 곳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로울러(26)은 연결측(36)에 의하여 고정대(29)에 연결되어 있으면 양측으로 어느정도의 유동가능하므로 물품이 수직저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훅크(25)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 로울러(26)가 유동되므로 편리하게 물품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출장치(50)에 의하여 2단붐(15)이 입출되면서 탑자동차(1)의 외측에 있는 물품을 탑내에 이동시키면 이송장치(60)에 의하여 2단붐(15)에 안내되어서 탑의 내측에 까지 물품을 이송시켜 적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탑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며 탑의 높이와 폭에 따라서 측면기둥과 상측기둥을 이용하여 높이와 폭을 조절하여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탑의 높이와 폭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단붐이 탑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물품을 탑 내부로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중량물도 간단히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단붐을 이용하여 탑 내에 이송시킨후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탑 내부에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의 위치가 틀어져 있어도 가이드 로울러를 유동시켜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내의 전원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혼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의 적재함에 탑이 설치된 탑자동차에 있어서, 탑의 내부에서 측면기둥의 높이와 상측기둥의 폭을 조절하여 탑크레인을 설치하는 크레인 설치장치와, 상기 상측기둥의 중앙에 설치된 1단붐의 내부에서 2단붐을 입출시키는 입출장치와 상기 2단붐을 통하여 안내되며 탑내측에 까지 물품이 이동되는 이송장치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크레인 설치장치는 측면기둥의 양측에서 다수개의 구멍이 설치된 높이조절봉에 측면기둥이 삽입되어 보울트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다수개의 구성이 설치된 길이조절봉에 상측기둥이 삽입되어 보울트로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시킨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입출장치는 1단붐의 내측에서 전방에 있는 MC 슬라이드에 상하측에 지지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입출되는 2단붐을 구성시킨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입출장치의 2단붐은 하측이 개방되고 양측면에 로울러 안내홈을 구성시킨 화물 탑차용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이송장치는 이송대의 하측으로 유압윈치를 설치하며 전방에 로울러 안내홈에 설치되는 안내 로울러와, 이송대의 후방으로 구동 유압모터의 구동기어가 연결기어에 의하여 회전기어에 연결되고 이 회전기어의 양측으로 MC로울러를 구성시킨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이송장치의 이송대 전방에 와이어를 이송시키는 가이드 로울러를 가이드대에 설치하고 이송대에 고정되는 고정대에서 연결축으로 가이드 로울러를 유동되게 구성시킨 화물 탑자동차용 크레인.
KR1019970025078A 1997-06-17 1997-06-17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KR10022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78A KR100221544B1 (ko) 1997-06-17 1997-06-17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078A KR100221544B1 (ko) 1997-06-17 1997-06-17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770A KR970061770A (ko) 1997-09-12
KR100221544B1 true KR100221544B1 (ko) 1999-10-01

Family

ID=1950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078A KR100221544B1 (ko) 1997-06-17 1997-06-17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770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330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wo separate containers upon a vehicular body
US4690609A (en) Truck loading apparatus
US5203668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a container structure or other loads with respect to a truck body or trailer
RU201011375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CA2539326C (en) Gondola tipping system
CN213139077U (zh) 客滚轮活动坡道安装临时开闭装置
CN1072176C (zh) 货物搬运系统
KR100221544B1 (ko) 화물 자동차용 크레인
CN111619421A (zh) 一种方便装卸货的货车车厢
KR20100050282A (ko)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용 컨테이너 수평이송장치
KR20090121697A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CN212637277U (zh) 一种预制构件运输车
CN212529438U (zh) 一种便于装卸的运输车
CN111391874A (zh) 供料装置及具有其的车辆
CN210133042U (zh) 一种方便吊装货物的运输车
US6648571B1 (en) Mobile handl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in docks
KR20000029915A (ko) 컨테이너
KR101950223B1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
CN113264331B (zh) 运输设备及物流运输系统
JPS6261479B2 (ko)
CN111688564B (zh) 一种自卸装填车
CN215158473U (zh) 土工膜铺设系统的低层送料及轨道拆装车
CZ22795A3 (en) Mobile crane carriage
JP2008056001A (ja) 車両の荷おろし装置
JP3317845B2 (ja) 運搬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