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223B1 - 차량 탑재형 크레인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형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223B1
KR101950223B1 KR1020180108389A KR20180108389A KR101950223B1 KR 101950223 B1 KR101950223 B1 KR 101950223B1 KR 1020180108389 A KR1020180108389 A KR 1020180108389A KR 20180108389 A KR20180108389 A KR 20180108389A KR 101950223 B1 KR101950223 B1 KR 10195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unit
vehicle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애리
Original Assignee
(유)아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하산업 filed Critical (유)아하산업
Priority to KR102018010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상,하차 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마스트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은,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의해 상기 마스트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 상기 마스트부에 결합되며, 운반물을 승강 및 이송시키기 위한 호이스트를 갖는 지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형 크레인{VEHICLE LOAD CRANE}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상,하차 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이동성이 용이한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타워 선회 크레인 또는 타워 크레인을 기초로 하는 카테고리로 구분되거나, 차량탑재용 크레인(vehicle mounted cranes)을 기초로 하는 카테고리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차량탑재용 크레인은 보기(Bogie)와 상부 운반대로 이루어지는 하부 구조를 포함하고, 상부 운반대는 하부 구조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선회 장치와 지브(Jib)를 포함한다. 지브는 박스 타입의 형태이거나 격자 기둥 활대를 기초로 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의 지브일 수 있다.
크레인은 들어 올려지는 짐의 높이뿐만 아니라 나르는 힘과 들어올리는 능력과 관련하여 점점 더 어려운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그리고, 마스트의 경우 들어 올려지는 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짐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절대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598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상,하차 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마스트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은,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의해 상기 마스트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 상기 마스트부에 결합되며, 운반물을 승강 및 이송시키기 위한 호이스트를 갖는 지브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부를 적재함의 폭 방향으로 양 방향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스트부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양방향 이동되며, 기립된 마스트부 또는 회동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양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재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마스트부를 감싸는 감쌈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에 마스트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하 개방된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면에는 상기 마스트부, 회동구동부, 지브부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다수개의 보강벽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교차형성 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은,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상,하차 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마스트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 전도 또는 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적용된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에 적용된 지지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 전도 또는 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트럭과 같이 타이어가 설치된 차량(80)의 적재함(81)에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인양물을 상,하차 하거나 주변으로 옮길 수 있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은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부(10)는 후술되는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 등 각종 구성들의 설치기능을 하는 것으로, 하단에 후술되는 이동구동부(40)에 결합되는 힌지브라켓(B1)이 구비된다.
마스트부(10)는 힌지브라켓(B1)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기립 또는 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트부(10)는 지브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인양물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된다.
회동구동부(20)는 마스트부(1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것으로, 유압의 공급, 배출에 따라 피스톤(21)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함(81)에는 회동구동부(2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탱크(미도시)가 설치된다.
회동구동부(20)는 일단이 마스트부(10)의 하측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B2)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피스톤(21)은 마스트부(10)와 지브부(30)를 연결하는 힌지브라켓(B3) 중 지브부(30) 측에 위치된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동부(20)의 피스톤(21)이 확장되면 마스트부(10)의 전체가 힌지브라켓(B1)을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기립되고, 이와 반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구동부(20)의 피스톤(21)이 수축되면 마스트부(10) 전체가 힌지브라켓을 중심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도된다.
이때, 회동구동부(20)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 제어장치(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는 제어장치에 구비된 신축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회동구동부(20)의 피스톤(21)이 신축되게 원격제어 할 수 있다.
지브부(30)는 일측이 마스트부(10)의 상단에 힌지브라켓(B3)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구동부(20)의 신축작용과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인양물을 인양물을 상,하차 하거나 주변으로 옮길 수 있는 호이스트(31)가 마련된다.
호이스트(31)는 마스트부(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윈치(311), 원치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312), 와이어(312)가 윈치(311)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되어 인양물을 승강시키는 후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31)는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지브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31)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붐대(30a)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은 지브부(30)를 360도 회전시켜 후크(313)를 차량(80)의 전,후,좌,우, 대각선 방향 등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는 마스트부(10)의 상면에 고정되는 턴테이블베어링, 턴테이블베어링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은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를 적재함(81)의 폭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동구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구동부(40)는 힌지브라켓(B1)과 연결되며 도 2를 기준으로 적재함(8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작동부(41)를 갖는 공지의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재함(81)에 마련되고 마스트부(10)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B1)에 결합되어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은 인양물의 위치에 부합하게 붐대(30a)와 이동구동부(40) 및 회동구동부(20)를 조절하여 후크(313)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인양물이 어디에 위치해 있더라도 용이하게 상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1)은 차량(80)에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해 이동성이 용이하며, 특히, 차량(80)에 탑재된 상태에서 마스트부(10)가 기립 또는 전도되도록 구성되고, 기립 시 붐대(30a)와 이동구동부(40) 및 회동구동부(20)를 통해 후크(313)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구동부(20)에 의해 기립된 마스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인양물을 상,하차 하는 과정에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부(50), 지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구동부(40)는 생략되어 마스트부(10)가 제자리에서만 기립 또는 전도된다.
레일부(50)는 지지부(60)가 마스트부(10)에 거리조절 되도록 마스트부(10)의 힌지브라켓(B1)과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레일부(50)는 적재함(8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밑판, 밑판의 양측에서 각각 상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측판을 포함하여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레일부(50)의 내부에는 지지부(60)가 이동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부(50)는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도록 볼트 등을 통해 적재함(8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60)는 기립된 마스트부(10) 또는 회동구동부(20)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측이 레일부(5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그 상측은 레일부(5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마스트부(1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부재(61), 이동부재(61)에 밀착 또는 이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61)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재(62), 이동부재(61)에 수직설치되며 승강부재(6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63), 승강수재의 상측에 마스트부(10)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단에 마스트부(10)의 하측을 감싸가 기립된 마스트부(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감쌈부(643)가 형성된 지지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일부(50)의 좌측판과 우측판에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홀(5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관통홀(50a)에는 이동부재(61)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부(70)가 관통설치된다.
홀더부(70)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관통홀(50a)에 고정되고, 그 사이 부분이 레일부(50)의 내부공간에서 이동부재(61)를 지지하여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의 하중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승강구동부(63)는 피스톤(631)이 승강부재(62)에 고정되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마스트부(10)의 길이나 작업자가 마스트부(10)의 지지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승강부재(62)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지지부재(6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지지부재(64)는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재(641), 보강부재(6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641)는 보강부재(6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부재(642)는 하우징부재(64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은 막혀있고 저면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642)의 각각의 면에는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 후크(313)에 고정된 인양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벽(6421)이 형성된다.
이때, 보강벽(6421)은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의 하중을 고루게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이동부재(61), 승강부재(62)에 전달되는 하중이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트부(10), 회동구동부(20), 지브부(3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감쌈부(643)는 후면에 하우징부재(641)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대(6431)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감쌈부(643)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 또는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스트부(10)의 둘레면 일부를 감싸 고정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쌈부(64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하나의 감쌈부(643)는 마스트부(10)의 1/2을 감싸고 다른 하나의 감쌈부(643)는 마스트부(10)의 나머지 1/2을 감싼다.
그리고, 감쌈부(643)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볼팅결합되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신축조작스위치를 실수로 눌러 회동구동부(20)의 피스톤(21)이 수축되더라도 마스트부(10)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주변에 위치한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탑재형 크레인 10 : 마스트부
20 : 회동구동부 21, 631 : 피스톤
30 : 지브부 30a : 붐대
31 : 호이스트 311 : 윈치
312 : 와이어 313 : 후크
40 : 이동부재 50 : 레일부
50a : 관통홀 60 : 지지부
61 : 이동구동부 62 : 승강부재
63 : 승강구동부 64 : 지지부재
641 : 하우징부재 642 : 보강부재
6421 : 보강벽 70 : 홀더부
80 : 차량 81 : 적재함

Claims (5)

  1. 차량 탑재용 크레인에서,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트부,
    상기 마스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의해 상기 마스트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기립 또는 전도시키는 회동구동부,
    상기 마스트부에 결합되며, 운반물을 승강 및 이송시키기 위한 호이스트를 갖는 지브부,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스트부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양방향 이동되며, 기립된 마스트부 또는 회동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부를 적재함의 폭 방향으로 양 방향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양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재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측에 상기 마스트부를 감싸는 감쌈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에 마스트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하 개방된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직사각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면에는 상기 마스트부, 회동구동부, 지브부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다수개의 보강벽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교차형성 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탑재형 크레인.


KR1020180108389A 2018-09-11 2018-09-11 차량 탑재형 크레인 KR10195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389A KR101950223B1 (ko) 2018-09-11 2018-09-11 차량 탑재형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389A KR101950223B1 (ko) 2018-09-11 2018-09-11 차량 탑재형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223B1 true KR101950223B1 (ko) 2019-02-22

Family

ID=6558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389A KR101950223B1 (ko) 2018-09-11 2018-09-11 차량 탑재형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2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13B1 (ko) 2008-02-18 2008-09-23 한승기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KR20100000622U (ko) * 2008-07-10 2010-01-22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크레인 이동장치
JP2010089948A (ja) * 2008-10-10 2010-04-22 Shimizu Corp クレ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13B1 (ko) 2008-02-18 2008-09-23 한승기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KR20100000622U (ko) * 2008-07-10 2010-01-22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크레인 이동장치
JP2010089948A (ja) * 2008-10-10 2010-04-22 Shimizu Corp クレー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172B2 (en) Portable lifting device
JP5588446B2 (ja) 旋回装置およびそこから吊設される昇降フレームを備えたブリッジクレーン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JP4753932B2 (ja) ゴンドラ装置
JP5636556B2 (ja) 多機能ゴンドラ装置
KR101950223B1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
JP2021147123A (ja) カウンタウエイト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移動方法
JPH07315766A (ja) シャトルジブ型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CN219409006U (zh) 一种tbm施工材料运输装置
CN111688564B (zh) 一种自卸装填车
KR102469180B1 (ko) 건물의 층간 설치형 크레인
CN219058310U (zh) 一种折叠式门架起重装置
CN217972313U (zh) 集装箱起吊装置
JP7392820B2 (ja) クレーンの連結ビーム取付方法
CN213387530U (zh) 一种吊装机
CN215666981U (zh) 可转动和移动调节的起重式叉车
CN113233389B (zh) 一种叉车调整装置
JP2971716B2 (ja) 揚重システム
JP3718783B2 (ja) 水平ジブクレーン及び走行水平ジブクレーン
CN217327414U (zh) 隧道物料运输车及其隧道维养列车
EP1405817A1 (en) Telescopic, collapsible and extractable crane to be installed on transportation means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materials
KR101036531B1 (ko) 천정 이동형 작업용 크레인
JP5902370B2 (ja) タンク
JPS61248827A (ja) 差込み荷役装置
JP2008303052A (ja) 自走式高所作業車の吊り装置
KR101894743B1 (ko)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