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296B1 -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96B1
KR100220296B1 KR1019910021197A KR910021197A KR100220296B1 KR 100220296 B1 KR100220296 B1 KR 100220296B1 KR 1019910021197 A KR1019910021197 A KR 1019910021197A KR 910021197 A KR910021197 A KR 910021197A KR 100220296 B1 KR100220296 B1 KR 10022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ayer
contact hole
polysilicon laye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120A (ko
Inventor
이헌철
김명선
손곤
박해성
안동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1002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296B1/ko
Publication of KR93001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도전층을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해 하부의 도전층 또는 실리콘 기판에 콘택을 하기 위하여 절연층을 콘택식각(Contact Etch) 한 후에 후처리 공정으로 화학용액 세정(Cleaning) 공정시에 콘택측벽의 절연층이 손실(Loss)되는데, 이러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콘택홀 측벽에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콘택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콘택홀측벽에 노출되는 절연층을 보호하도록 측벽에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형 실리콘 기판 2 : 필드산화막
3 : 게이트 산화막 4 : 게이트전극
5 및 5' : 드레인 및 소오스 N+영역 6 : 제1절연층
7 : 비트라인 8 : 제2절연층
9 :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 10 : 콘택홀
11 : 베리어층
본 발명은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도전층을 절연층의 콘택홀홈을 통해 하부의 도전층 또는 실리콘 기판에 콘택을 하기 위하여 절연층을 콘택식각(Contact Etch)한 후에 후처리 공정으로 화학용액 세정(Cleaning) 공정시에 콘택측벽의 절연층이 손실(Loss)되는데, 이러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콘택홀홈 측벽에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6Mega DRAM 이상의 소자에서는 종래의 단순한 적층캐패시터 구조로는 축전용량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그리고 보다 많은 용량을 축적하기 위해서는 축전층의 표면적을 넓혀야하나 점자로 고집적화 되어가는 추세에서는 새로운 캐패시터 구조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고안된 구조의 하나가 새들(Saddle) 구조의 적층캐패시터이다.
새들구조의 적층캐패시터는 MOS 트랜지스터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상부에 형성되어 단차를 가지는 구조로서, 전하저장 전극을 하부의 MOS 트랜지스터 드레인 영역에 콘택할 때 먼저 비트라인과 워드라인과의 절연을 위해 형성된 절연층(예를 들어 산화막) 상부에 제1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콘택마스크를 사용하여 콘택영역의 제1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 및 하부절연층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 다시 제2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을 콘택영역과 제1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 상부에 얇게 증착하고, 패턴공정으로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함으로서 전하저장전극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상기한 방법으로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과 하부절연층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할 경우 기존의 산화막만 식각하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 폴리실리콘층으로 인한 부산물(by-product)인 폴리머(polymer)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화학용액 처리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또한, 제2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기 전에 콘택홀저부 표면 및 제1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의 표면에 자연산화막(Native Oxide)을 제거하기 위해 다시 불산(Hydro Fluorine)으로 세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두 번에 걸친 세정으로 콘택홀 측벽의 산화막에서 손실이 발생하고 제2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에는 손실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콘택홀의 모양이 수직(Vertical) 형상이 아닌 전하저장전극 하부의 산화막이 언터컷(Under Cut)된 형상으로되어 후공정에서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층과 하부의 산화막을 동시에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에 콘택홀 측벽에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기판(또는 도전층) 상부에 산화막층과 제1폴리실리콘층이 적층된 구조에서 상기 제1폴리실리콘층 및 산화막을 콘택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화학용액으로 세정공정을 실시한 다음, 제2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여 하부의 실리콘 기판에 콘택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용액으로 세정공정시 콘택홀 측벽의 산화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폴리실리콘층 및 산화막을 콘택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 얇은 베어리층을 콘택홀 측벽에 형성한 후 화학용액으로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RAM셀의 새들구조의 적층캐패시터를 제조하는 공정단계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는 P형 실리콘 기판(1)에 필드산화막(2), 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3), 게이트전극(4), 소오스 및 드레인 N+영역(5' 및 5)을 각각 형성한 후, MOS트랜지스터의 구조상부에 제1절연층(6)(예를 들어 산화막)을 형성하고, 소오스 N+영역(5') 상부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비트라인(7)을 소오스N+영역(5')에 콘택시킨 다음, 비트라인(7) 및 제1절연층(6) 상부에 제2절연층(8)(예를 들어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9)을 적층시키고, 드레인 N+영역(5) 상부의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9), 제2절연층(8), 제1절연층(6)을 제거하여 콘택홀(10)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종래기술은 콘택홀(10)을 형성한 후 즉시 화학용액으로 세정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택홀(10) 측벽의 노출된 제1 및 제2절연층(6, 8)이 손실을 입게된다는 점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콘택홀(10)을 형성한 다음,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시리콘층(9)과 콘택홀(10) 상부에 베리어층(11)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을 얇게 증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 공정후 마스크없이 블랭켓(Blanket) 식각으로 콘택홀(10)의 측벽에만 베리어층(11)을 남겨두고 다른 부분의 베리어층(11)은 식각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후 공정은 종래기술과 같이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의 식각으로 인한 부산물인 폴리머를 제거하기 위한 화학용액처리와 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 표면에 성장된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불산세정을 행한 다음, 제2전하저장 전극용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식각으로 폴리실리콘층과 산화막층을 동시에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콘택홀 측벽에 베리어층을 형성함으로서 콘택홀 측벽의 산화막을 후처리 공정에서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리콘 기판(또는 도전층) 상부에 산화막층과 제1폴리실리콘층이 적층된 구조에서 상기 제1폴리실리콘층 및 산화막을 콘택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화학용액으로 세정공정을 실시한 다음, 제2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여 하부의 실리콘 기판에 콘택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용액으로 세정공정시 콘택홀 측벽의 산화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폴리실리콘층 및 산화막을 콘택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 얇은 베리어층을 콘택홀 측벽에 형성한 후 화학용액으로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콘택홀 측벽에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것은 콘택홀 및 제1폴리실리콘층 상부에 베리어층을 얇게 증착한 후 건식식각 공정으로 콘택홀 측벽에만 베리어층을 남겨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제조방법.
KR1019910021197A 1991-11-26 1991-11-26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KR10022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97A KR100220296B1 (ko) 1991-11-26 1991-11-26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97A KR100220296B1 (ko) 1991-11-26 1991-11-26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120A KR930011120A (ko) 1993-06-23
KR100220296B1 true KR100220296B1 (ko) 1999-09-15

Family

ID=1932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197A KR100220296B1 (ko) 1991-11-26 1991-11-26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2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120A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724B1 (ko) 저온 원자층증착에 의한 질화막을 식각저지층으로이용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2938B1 (ko)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디램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970063744A (ko) 메모리 셀내에 적층 캐패시터의 원통형 저장 노드를 제조하는 방법
JP3999403B2 (ja) Dramセル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KR0141950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77776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20045028A (ko) 셀프 얼라인 콘택 식각 공정을 채용할 경우 보이드 없이패드를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3589B1 (ko) 실린더형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220296B1 (ko) 반도체 소자 콘택제조방법
US623897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DRAM cell capacitor including etching upper conductive layer with etching byproduct forming an etch barrier on the conductive pattern
KR100411232B1 (ko)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379523B1 (ko)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015125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제조방법
KR19990076226A (ko) 디램 셀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930010082B1 (ko) 고집적 소자용 콘택제조방법
KR100278914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930008584B1 (ko) 반도체 메모리 셀 제조방법
KR015126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0166810B1 (ko) 메모리 셀 커패시터 제조방법
KR0167609B1 (ko) 케패시터의 전화저장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0130454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60013644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10004504B1 (ko) 스페이스 윌 옥사이드를 이용한 dram셀의 제조방법
KR970000220B1 (ko) 디램(dram)셀 커패시터 제조방법
KR930007756B1 (ko) 자기 정렬된 콘택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