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892B1 -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 Google Patents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892B1
KR100216892B1 KR1019960000706A KR19960000706A KR100216892B1 KR 100216892 B1 KR100216892 B1 KR 100216892B1 KR 1019960000706 A KR1019960000706 A KR 1019960000706A KR 19960000706 A KR19960000706 A KR 19960000706A KR 100216892 B1 KR100216892 B1 KR 10021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pe
recording
digital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086A (ko
Inventor
히로야 아베
히로꼬기 도리이
고우지 가꼬우
히데오 고시지마
가쯔유끼 우따나베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0463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04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541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68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6003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4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accidental erasing or double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7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transducing different track configurations or formats on the same tape
    • G11B5/00891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transducing different track configurations or formats on the same tape formats only, e.g. analog and digi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VTR에 관한 것으로서,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탈신호를 모두 기록재생가능하게 하고 디지탈/아날로그모드의 자동판별기능을 갖고 기록 및 재생시의 조작이 간단하고 또 오소거동작 등의 오조작을 방지함과 동시에 최적의 자동트랙킹 제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로서, 자기테이프에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방위각을 갖는 제1회전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디지탈신호 기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제1방위각과는 다른 제2방위각을 갖는 제2회전헤드에 의해 기록 또는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제1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갖는 제3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는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 테이프카세트가 테이프레코더에 삽입되었을 때 테이프카세트의 종류를 그의 형상에 따라 판별하는 카세트 판별수단,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 기록 시스템과 아날로그신호기록시스템 중의 어느 1개에 의해서 기록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시스템선택수단 및 카세트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테이프카세트의 종류가 시스템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디지탈신호 기록방식과 호환성이 없는 경우에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회로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니터TV측으로 안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화상의 흐트러짐도 억제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VTR에 포함된 기록계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VTR에서 사용되는 테이프카세트의 모식도.
제3도는 카세트판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기록동작 제어프로그램의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실현한 VTR에 포함된 재생계의 블럭도.
제6도는 테이프속도 검출장치의 블럭도.
제7도는 테이프속도 검출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동작 제어프로그램의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VTR의 블럭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동작 제어프로그램의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동작 제어프로그램의 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동작 제어프로그램의 흐름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VTR에 포함된 기록계의 블럭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VTR에 포함된 재생계의 블럭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VTR에 포함된 기록계의 블럭도.
제16도는 제15도의 VTR에 포함된 재생계의 블럭도.
제17도는 주파수/엔벌로프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럭도.
제18도는 음성헤드 출력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주파수/엔벌로프 검출회로의 블럭도.
제20도는 기록모드시의 아날로그/디지탈 판별프로그램의 흐름도.
제21도는재생모드시의 아날로그/디지탈 판별프로그램의 흐름도.
제22도는 VTR의 자동트랙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3도는 FM음성헤드측의 재생헤드 프리앰프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도.
제24도는 재생모드시의 각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영상신호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VTR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용의 VTR은 1/2인치폭의 산화물테이프를 사용한 아날로그방식의 VTR로서, 아날로그방식의 TV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
차세대의 TV방송시스템으로서 디지탈방송시스템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인공위성, 지상파 및 케이블을 사용한 디지탈전송 등의 전송방식이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ATV(Advanced Television)방식은 현행의 NTSC방식이나 PAL방식 등의 영상신호(이하, SD(Standard Definition)영상신호라 한다)보다 높은 해상도의 광대역 영상신호(이하, HD(High Definition)영상신호라 한다)를 압축부호화한 디지탈영상신호로 처리하는 방송용으로서, 현행의 TV방송에 사용되고 있는 6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방식은 SD영상신호에 관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디지탈방송시스템에 관해서는 텔레비젼학회지, 제47권, 제4호, pp. 486-503(1993)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들 디지탈방송시스템은 가까운 장래에 아날로그TV방송시스템과 혼재한 형태로 실용화될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디지탈방송 또는 디지탈전송을 실용화하면 전송방식에 따라 신호가 저하되지 않고 디지탈전송의 특징을 살려 디지탈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탈기록방식의 VTR의 실현이 요망된다. 그러나, 디지탈영상신호는 아날로그영상신호에 비해 정보내용(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디지탈VTR은 업무용 등의 특수한 분야에서밖에 실용화되지 못했다. 최근에는 MPEG방식으로 대표되는 화상압축기술의 진전에 따라 가정용기기에 있어서 디지탈기기의 소형화와 디지탈기술의 범용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들 디지탈기록 기술에 대해서는 텔레비젼학회지, 제47권, 제6호, pp. 814-825(1993)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독자적인 기록포맷을 갖는 가정용 디지탈VTR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사용자는 아날로그기록 테이프를 갖고 있으므로, 디지탈VTR에 있어서 가격, 설치공간 및 갖고 있는 아날로그기록테이프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아날로그방식과 디지탈방식 모두의 신호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VTR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아날로그/디지탈 방식을 겸용할 수 있는 VTR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예상된다. 첫째, 아날로그기록과 디지탈기록에서는 각각 다른 입력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록방식과 입력원을 선택하고 또 그 선택된 기록방식과 입력원의 일치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기록시의 조작이 번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오동작의 가능성이 증대하게 된다. 둘째, 동일한 형상의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신호가 아날로그 방식에 의해 기록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과 신호가 디지탈방식에 의해 기록된 것이 혼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현행의 아날로그VTR에 의해 기록된 테이프에 연속모드 또는 덮어쓰기(overwrite)모드로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일단 테이프를 재생해서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아날로그방식과 디지탈방식의 양방식의 테이프를 혼용하면, 재생방식이 선택된 기록방식이나 입력원과 일치하지 않으면 조작자가 양방식중 한가지 방식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오인하고 새로운 신호를 덮어쓰기해서 먼저 기록된 신호를 오소거할 가능성이 있다. 또, 디지탈방식의 기록테이프 수가 증대하게 되었을 때, 조작자는 현행의 아날로그방식만의 VTR로는 디지탈방식의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확인할 수 없어 역시 먼저 기록된 신호의 오소거의 문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현행의 아날로그VTR에 있어서는 회전드럼상에 비디오헤드와는 독립적으로 음성헤드를 마련하고 자기테이프의 심층부에 FM신호를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드럼상에 디지탈 기록재생전용의 자기헤드를 마련하는 것은 비용 및 생산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음성헤드를 디지탈기록용으로서도 겸용화하자는 제안도 있다. 그러나, FM음성헤드를 디지탈헤드로서 겸용화한 경우, 디지탈신호를 재생했을 때 음성신호 처리회로가 동작해서 디지탈신호를 음성처리로서 처리하며, 이 음성처리된 디지탈신호를 스피커로 보낸다. 그러면, 스피커에서 이상음이 발생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스피커가 파괴될 수도 있다. 또, 종래의 VTR에는재생출력레벨이 최대로 되도록 자동트랙킹제어기능을 구비되어 있지만, 디지탈 기록모드시의 동작을 위해서는 새로운 자동트랙킹 제어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또, 압축부호화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신장하고 그 후 이 신장된 디지탈 영상신호를 합성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회로를 VTR에 마련한 경우, 상기 모드판별정보에 따라서 회로를 전환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탈신호를 모두 기록재생할 수 있고, 디지탈/아날로그모드의 자동판별기능을 갖고, 기록 및 재생시의 조작이 간단하고 또 오소거동작 등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의 자동트랙킹 제어기능을 가진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테이프카세트에 형성된 판별홀에 의해 테이프카세트의 종별은 판별하고, 제어신호의 주파수의 테이프를 이송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속도에 비에서 기록시의 테이프속도를 판별하고, 재생된 신호의 동기검파에 의해 디지탈기록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에 따라서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하는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기록동작시에는 테이프카세트의 종별을 판별하고, 디지탈 기록용 카세트가 VTR에 삽입되었을 때는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이 디지탈기록을 우선시키도록 기록회로 및 입력원을 자동작으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입력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어떠한 조작도 실행할 필요가 없고, 또 디지탈기록용 테이프에는 디지탈신호만을 기록하게 되어 테이프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재생지시가 인가된 경우에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은 테이프카세트 종별의 검출결과에 따라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록방식에 대해서 예를 들면 디지탈 영상신호가 기록된 테이프를 포함하는 테이프카세트에서는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에 설정된 디지탈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재생이 지시된 후 재생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에 있어서는 기록동작전에 재생동작을 실행하고, 디지탈 테이프카세트의 판별홀의 유무에 따라서 삽입된 테이프카세트의 종별을 판별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주파수와 캡스턴모터의 회전속도의 비에 따라서 기록시의 테이프속도를 판별해서 디지탈방식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디지탈신호가 테이프에 기록된 것을 판별한 경우에는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에 의해, 덮어쓰기(오버라이트)에 의한 오소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디지탈/아날로그겸용 VTR에 있어서는 FM음성신호기록 및 디지탈 신호기록 겸용의 FM 음성/디지탈 기록헤드가 생성하는 재생신호의 주파수를 검파를 통해서 모드를 자동적으로 판별하고, 아날로그영상신호 기록헤드 및 FM 음성/디지탈 기록헤드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출력레벨 검출회로의 각 출력신호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며, 각 모드에서 출력신호가 최대의 레벨로 되도록 자동트랙킹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디지탈신호의 처리시에 위상록루프회로(PLL)에 의해 위상록(phase-locked)상태를 판별하는 것에 의해서 판별성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모드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자동트랙킹제어의 경로를 아날로그신호 처리측 또는 디지탈신호 처리측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 쌍방에서 고성능의 트랙킹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VTR시스템에 대해 VTR시스템에 포함된 기록계를 도시한 제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VTR시스템은 기본장치로써 종래의 VHS규격의 VTR(Video Home System Tape Recorder)에 디지탈신호 기록계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이 VHS규격에서는 SP모드(Standard Play Mode), LP모드(Long Play Mode; 표준속도의 1/2배속모드) 및 EP모드(Extende Play Mode; 1/3배속모드)의 3가지 테이프속도모드가 있다. 디지탈기록은 아날로그기록에 비해 기록신호대역폭이 넓기 때문에, 더욱 높은 재생신호의 S/N비 확보의 점에서 협트랙화가 곤란해 아날로그방식의 설계조건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VTR시스템은 디지탈기록시 LP모드로 동작한다. 제1도에 있어서는 회전드럼(1), 안내포스트(2), (3), 자기테이프(4), 자기헤드(5a), (5b), (6a), (6b), 드럼 위상발생기(DPG; Drum Phase Generator)(7), 핀치롤러(8), CTL헤드(9), 캡스턴축(10), 캡스턴모터(11), 선형 음성헤드(97), 테이프카세트(55), 기록앰프(50), (56), (95), 선형 음성신호 프로세서(96), 전환회로(51), FM음성신호 프로세서(53), 디지탈신호 프로세서(54), 서보시스템제어기(25), 모터드라이버(24), 아날로그영상신호 프로세서(57), 튜너유닛(59), 카세트판별홀 검출기(58), 입력단자(22), (61), (62), 출력단자(21), (17), (31), VTR(12), 튜너/MPEG디코더(34), 모니터TV(모니터텔레비젼)(40), 비트압축 디지탈신호 입력단자(33), 입출력단자(35)~(39), (41)~(44), 기록버튼, 재생버튼, 아날로그/디지탈 선택스위치 등을 마련한 조작제어패널(6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VTR시스템의 디지탈기록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단자(33)에 부가된 비트압축 및 변조된 디지탈신호는 튜너/MEPG디코더(34)에 의해 변조되고, 이 비트압축된 디지탈신호는 단자(36)를 통해 VTR(12)의 입력단자(12)로 전송된다. VTR(12)에 의해 재생된 디지탈신호는 단자(21)를 통해 튜너/MEPG디코더(34)의 입력단자(37)로 전송되고, 합성영상신호가 얻어지도록 디코드된다.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단자(38), (39)를 통해 모니터TV(40)의 단자(41), (42)로 각각 보내진다.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 VTR(12)의 단자(17), (31)를 통해 모니터TV(40)의 단자(43), (44)로 각각 보내진다.
아날로그VTR모드에서는 VTR(12)의 튜너(59)에서 생성된 음성신호는 선형 음성신호 프로세서(96) 및 기록앰프(95)를 통해 음성헤드(97)로 전송되고, 이 음성신호는 음성헤드(97)에 의해 자기테이프(4)상의 선형트랙에 라이트된다. 상기 음성신호는 FM음성신호 프로세서(53), 전환회로(51) 및 기록앰프(50)를 통해 자기헤드(5a), (5b)로 전송되고, 이 음성신호는 자기헤드(5a), (5b)에 의해 자기 테이프(4)의 심층부에 기록된다. FM음성신호를 다루는 자기헤드(5a), (5b)는 상호간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다루는 자기헤드(6a), (6b)가 배치되는 방위각(azimuth angle)6에 대해 크게 다른 방위각30으로 배치되어 있다. 영상신호 프로세서(57)에 의해 FM변조된 휘도신호 및 저역변환된 색신호는 주파수다중에 의해 합성되고, 이 합성영상신호는 기록앰프(56)에 의해 증폭되며, 이 증폭된 합성영상신호는 자기헤드(6a), (6b)로 보내져 자기테이프(4)의 표면에 기록된다.
디지탈 VTR모드시에는 단자(22)에 인가된 디지탈신호가 디지탈신호 프로세서(54), 전환회로(51) 및 기록앰프(50)를 통해 자기헤드(5a), (5b)로 전송되어 자기테이프(4)상에 기록된다. FM음성신호를 다루는 자기헤드(5a), (5b)의 방위각30는 자기헤드(5a), (5b)의 만족스러운 성능을 확보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비트압축되지 않은 디지탈신호가 비트압축된 디지탈신호 대신에 입력단자(22)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VTR(12)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디지탈기록인 경우에는 디지탈신호가 아날로그신호에 비해 대역폭이 넓기 때문에 인접트랙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자기헤드의 방위각이 클 필요가 있지만, VHS방식의 경우는 FM음성헤드의 방위각이30이고, 디지탈기록시에도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비용 및 생산성의 점에서도 자기헤드의 수가 적은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디지탈기록용 헤드를 아날로그 음성신호용 헤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VTR(12)에 디지탈 음성신호 전용의 기록헤드를 마련해도 상관없다.
이하, 아날로그 기록모드와 디지탈기록모드 사이의 판별에 관해서 설명한다. 테이프카세트(55)는 디지탈기록이 가능한 고성능 자기테이프를 포함한다. VHS규격 VTR에 있어서는 S-VHS용이 있고, 또한 자기테이프도 VHS용 테이프 및 보자력 Hc가 높은 S-VHS용 테이프가 있다. 디지탈기록도 높은 부자력의 자기테이프가 요구되므로, 디지탈기록시에는 S-VHS 자기테이프와 거의 동일한 보자력을 갖는 자기테이프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 VTR시스템에서는 VHS 테이프카세트(이하, "V-카세트"라 한다), S-VHS 테이프 카세트(이하, "S-카세트"라 한다) 및 디지탈기록용 테이프카세트(이하, "D-카세트"라 한다)가 사용된다. V-카세트는 VHS 기록용으로만 사용되고, S-카세트 및 D-카세트는 VHS기록, S-VHS기록 및 디지탈기록용으로 사용된다. V-카세트, S-카세트 및 D-카세트에는 V-카세트판별홀, S-카세트판별홀 및 D-카세트판별홀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55)에는 S-카세트판별홀(101) 및 D-카세트판별홀(102)이 마련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카세트(55)를 VTR(12)에 장전했을 때, 테이프카세트(55)에는 누름스위치(103) 및 (104)에 대응해서 카세트판별홀(101) 및 (102)가 각각 위치되어 있다. 테이프카세트(55)에 S-카세트판별홀(101)만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스위치(104)만이 눌려지고 누름수위치(103)는 눌려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누름스위치(103) 및 (104)의 출력신호에서 테이프카세트(55)에 판별홀이 마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4도는 VTR(12)이 실행할 기록동작 제어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자동카세트판별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조작제어패널(60)의 기록버튼을 조작해서 기록의 지시가 공급될 때 테이프카세트의 종별(종류)의 판별을 실행한다. VTR(12)에 D-카세트가 삽입된 것으로 판별되면 디지탈기록을 실행한다고 판단하고, 스위치(51)에 의해 디지탈신호 입력모드를 선택함과 동시에, 디지탈신호 프로세서(54)를 기동시켜 디지탈기록동작을 개시한다. 테이프는 LP모드의 테이프속도로 공급한다. D-카세트 이외의 테이프카세트가 VTR(12)에 장전된 경우에는 조작제어패널(60)의 수동모드 전환스위치의 위치의 확인을 실행한다. 디지탈기록모드가 선택되어 있고 또한 테이프카세트가 S-카세트로 판별되면, 디지탈기록동작을 개시한다. 테이프카세트가 V-카세트로 판별되면, 기록동작을 금지시키고(불허가로 하고) 카세트를 배출하며 그 뜻을 알리기 위해 조작자에게 경고한다. 경고는 버저 등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또는 조작제어패널(60)이나 모니터TV(40)의 화면상으로의 표시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본 VTR시스템에서는 D-카세트가 VTR(12)에 장전되면, 자동적으로 디지탈기록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수동모드 전환스위치의 확인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D-카세트에는 디지탈기록동작만이 실행되므로, 조작자가 아날로그기록시 디지탈기록을 하고 디지탈기록시 아날로그기록을 하는 등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현행의 VTR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개시시간에 기록동작을 개시하는 자동타이머 기록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타이머 기록동작의 조건을 설정한 후에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판별을 실행하고,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설정된 조건과 호환성을 갖지 않으면 경고를 발생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VTR시스템에 포함된 재생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재생앰프(98), (13), (26), 선형음성신호 프로세서(99), 전환회로(100), LPF(저주파수대 통과필터)(14), FM음성신호 프로세서(15), 뮤트회로(16), (20), PLL(18), 디지탈신호 프로세서(19),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32), 엔벌로프검출기(27), 재생된 아날로그영상신호 프로세서(28), 동기신호 검출기(29) 및 문자삽입 및 청색배경화면을 치환하는 OSD(On-Screen Display)(30)이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제1도의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분은 제1도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이하, VTR시스템의 모드판별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드판별에는 이하의 3가지 수단을 사용한다. 제1수단은 판별홀에 의해 장전된 테이프 카세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다. 제2수단은 기록시의 테이프속도를 판별하는 것이다. 본 VTR시스템에 있어서는 CTL헤드(9)에 의해 테이프의 하단에 기록된 CTL신호를 재생하고, 재생된 CTL신호와 캡스턴모터(11)가 생성하는 FG신호와의 주파수비 또는 주기의 비에 따라서 모드의 판별을 실행한다. 이 모드의 판별처리는 서보시스템제어기(25)에 포함된 마이크로컴퓨터의 연산동작에 의해서 실행한다. 모드의 판별처리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탈회로가 실행한다. 카운터(71)는 FG신호에 의해 폐쇄(록)되고, CTL신호에 의해 리세트된다. 래치회로(73)는 CTL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출력을 래치한다. 지연회로(72)는 래치후 카운터(71)를 리세트한다. 비교기(74)~(76)는 래치된 카운트데이타를 소정의 값과 비교한다. 엔코더(부호화기)(77)는 비교기(74)~(76)의 출력에 따라서 판별신호를 생성한다.
제7도는 제6도의 디지탈회로의 검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FG신호의 주파수는 캡스턴모터의 회전속도에 비례하고, 자기테이프의 이송량은 FG신호에 비례한다. CTL신호가 1프레임주기인 실린더(1)의 1회전의 주기로 기록되고 있지만, 테이프의 속도에 관계없이 FG신호와 CLT신호의 주파수비 또는 주기의 비는 일정하다. 장기간기록모드일수록 테이프속도가 작아지므로, 이 주파수비는 LP모드시에 작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SP모드(표준속모드)시에 FG/CTL비를 18로 하면 LP모드에서는 9로 되고 EP모드(3배속모드)에서는 6으로 된다. CTL신호에 의해 리세트되는 카운터(71)의 카운트값을 비교기(74)~(76)에 의해 상기 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 기록동작시의 테이프속도를 판별할 수 있다.
제3수단은 재생된 신호의 종별을 판별하는 것이다. 제5도에 도시한 VTR(12)에 있어서는 디지탈신호의 판별을 위해 재생신호의 클럭신호성분을 검출하는 PLL을 사용한 동기검파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디지탈신호의 판별은 디지탈신호 처리시에 디지탈신호로서 의미가 있다고 판별할 수 있는 신호 예를 들면 동기신호 등의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할 수도 있다.
제8도는 상기 VTR시스템이 실행하는 모드 판별동작의 흐름도이다. 조작제어패널(60)의 재생버튼이 눌려 재생지시가 인가되면, 먼저 장전된 테이프카세트의 종류(종별)의 판별을 실행한다. 장전된 테이프카세트가 D-카세트로 판별된 경우, 디지탈신호가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에 기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디지탈 재생모드를 설정하고, LP모드시의 재생속도를 선택한다. 재생동작을 개시하고 난후 트랙킹제어가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디지탈신호 검출동작을 실행한다. 클럭신호 또는 동기신호에 의해 테이프가 디지탈신호로 기록된 것이 확인되면, 디지탈재생동작을 계속한다. 디지탈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테이프가 아날로그신호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속도판별처리를 실행하고, 검출결과에 따라서 테이프속도를 SP, LP 또는 EP모드로 선택하고 아날로그재생동작을 실행한다. 장전된 테이프카세트가 S-카세트로 판별된 경우에는 테이프의 속도를 SP모드로 선택해서 재생동작을 개시하고, 다음에 속도의 판별을 실행한다.
LP모드가 선택되면, 테이프가 디지탈기록방식의 신호로 처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디지탈재생동작을 실행하고, 이하 상술한 수순으로 처리한다. 속도가 SP모드 또는 EP모드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테이프가 아날로그기록방식의 신호로 처리되므로, 아날로그재생동작을 실행한다. 장전된 테이프카세트가 V-카세트로 판별된 경우에는 즉시 아날로그재생동작을 개시한다. 카세트판별홀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재생모드 및 대응하는 테이프속도의 선택을 실행하므로, 재생지시가 인가된 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VTR시스템에 대해 제9도~제1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9도는 제1도의 VTR시스템에서 디지탈기록동작을 위한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된 구성을 갖는 VHS방식의 VTR시스템의 기록계의 블럭도로서, 이 VHS방식의 VTR시스템은 디지탈 기록/재생동작이 불가능하다. 이 VTR시스템에는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판별동작을 위해 카세트판별홀 검출기(58)가 마련되어 있어 테이프가 디지탈기록방식의 신호로 처리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10도는 상기 VTR시스템이 실행할 기록동작의 흐름도이다. 연속모드 또는 덮어쓰기(오버라이트)모드로 신호의 기록을 실행한 테이프에 새로운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의 내용을 일단 재생해서 확인을 한 후 테이프상에 새로운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VTR인 경우에는 디지탈신호가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어도 영상을 확인할 수 없으며,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미기록테이프)으로 오인하여 새로운 신호를 덮어쓰기하는 것에 의해 먼저 기록된 신호를 오소거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시가 인가되면 테이프카세트의 종별의 판별을 실행하고, D-카세트로 판별되면 기록동작을 금지시키고(불허가로 하고) 장전된 테이프카세트를 배출한다. 장전된 카세트가 D-카세트가 아닌 경우에는 기록동작을 허가한다. 따라서, 디지탈방식의 신호가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D-카세트의 테이프에 아날로그신호를 덮어쓰기하여 먼저 기록된 신호를 오소거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D-카세트의 테이프로의 아날로그기록은 반드시 완전히 금지시킬 필요는 없고, 조작자가 이 자동판별처리를 수동으로 취소해서 D-카세트의 테이프에 아날로그기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1도는 VTR시스템의 부품점수 및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제9도의 카세트판별홀 검출기(58)를 제거해서 형성하고 또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가 마련되어 있는 VTR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VTR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제1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VTR시스템은 기록지시를 수신하면 기록동작전에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CTL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테이프카세트에 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여 재생동작이 종료한 후 기록동작을 개시한다. CTL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이미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된 것으로 판별하고, 그 후 테이프속도모드의 판별을 실행한다. 테이프속도가 SP모드 또는 EP모드인 경우, 기록된 신호는 아날로그기록방식으로 기록된 것이고 동작은 덮어쓰기이다. 따라서, 기록동작을 허가한다. 테이프속도가 LP모드인 경우, 기록된 신호는 디지탈기록방식으로 기록된 것일 가능성이 높고, VTR시스템이 아날로그시스템이기 때문에 조작자가 디지탈기록방식의 테이프인지를 인식할 수 없고, 잘못해서 덮어쓰기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기록동작을 금지하고 테이프를 배출한다.
제12도의 제어프로그램에 있어서는 기록동작을 금지하고 테이프카세트를 배출한 경우 다시 테이프카세트를 VTR에 장전하면 기록동작을 허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D-카세트에 아날로그 기록모드로 신호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D-카세트의 테이프에 디지탈신호가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소거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알리는 신호를 덮어쓰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동카세트판별모드의 기능을 불가능하게 하지 않고도 신호를 아날로그기록모드로 기록할 수가 있다. 이 제어프로그램은 제10도에 도시한 기록동작 제어프로그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VTR시스템에 포함된 기록계의 블럭도이다. 이 VTR에 있어서는 종래의 S-VHS방식 VTR의 카세트판별홀 검출기와 유사한 카세트판별홀 검출기(58)가 VHS/S-VHS 판별홀만을 검출하고, 또 이 VTR은 아날로그 기록모드 또는 디지탈 기록모드중의 어느 1개를 테이프 카세트의 케이스에 마련된 버튼으로 조작하는 스위치의 기능에 의해서 조작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에서 제1도의 VTR과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
제20도는 상기 VTR이 실행할 아날로그/디지탈 기록모드 판별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S-카세트에는 기계적으로 검출되는 S-카세트 판별홀이 마련되어 있고, 이 S-카세트의 판별은 카세트판별홀 검출기(58)에 의해 실행한다. 카세트판별홀 검출기(58)는 서보시스템제어기(25)로 검출신호D4를 공급한다. 검출신호D4가 V-카세트를 나타내면, 아날로그 기록모드가 선택된다. S-카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조작자는 S-카세트에 마련된 버튼에 의해 아날로그 기록모드 또는 디지탈 기록모드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부가한 신호를 입력단자(61)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전환회로(63)를 제어하고, H/L 신호(D5)가 서보시스템 제어기(25)로 공급된다. 다음에, 서보시스템 제어기(25)가 제어신호D2를 전환회로(51)로 공급하고, 아날로그 기록모드 또는 디지탈 기록모드 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한다. 제어신호CCNT에 의해 모터드라이버(24)를 제어하고 테이프 속도를 판별하여 동작속도와 캡스턴 모터(11)의 위상을 제어한다.
이하, 제13도의 VTR에 의해 재생모드시에 실행될 모드식별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VTR의 재생계는 제5도의 VTR과 마찬가지이다. 이 VTR의 특징 중의 하나인 재생헤드 프리앰프(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VTR은 음성헤드 및 디지탈기록헤드로서 현행의 VHS방식 VTR의 고충실도 음성헤드를 사용하고 있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음성신호의 대역폭은 1~2MHz이다. 디지탈 기록모드에 있어서, 전송속도가 18.6bps(bit per second)인 디지탈신호는 캐리어신호의 최고주파수가 9.3MHz로 된다. 종래 FM음성신호 처리용의 재생헤드앰프는 음성신호 전용으로 설계된 앰프이며, 신호를 높은 S/N비로 재생하기 위해서 협대역으로 하고 있었다. 이 VTR은 FM음성헤드를 음성헤드와 디지탈재생헤드로서 모두 사용하므로, 기록헤드 프리앰프(50)를 이 두가지 용도로 사용한다. 재생헤드 프리앰프(50)는 디지탈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제23도의 곡선(11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대역을 갖는 것으로 하고, LPF(52)를 FM음성신호 프로세서(53)의 입력측에 접속해서 제23도의 곡선(11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한정된 주파수대역에서만 음성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것이 음성헤드를 음성헤드와 디지탈헤드로서 겸용하는 시스템의 특징이다. 따라서, 재생헤드앰프의 대역폭이 디지탈신호를 재생하기에 충분한 크기이고 FM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저역필터가 음성신호프로세서(53)에 접속되는 경우, VTR은 1개의 재생헤드앰프만으로 음성헤드와 디지탈헤드의 출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어 VTR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오디오/디지탈헤드(5a), (5b)의 출력신호를 재생헤드앰프(13)에 의해 원하는 레벨로 증폭하고, 이 증폭된 출력신호를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32)로 공급하며, 다음에 이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32)에서 디지탈신호 검출신호 D1, 음성신호대역 검파신호 ENV1 및 디지탈캐리어신호 검파신호 ENV2를 서보시스템제어기(25)로 보낸다. 제17도는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3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재생신호가 단자(80)에 인가되면, 앰프(81) 및 (84)에 의해서 FM음성신호 및 디지탈신호의 각각의 신호레벨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이 음성신호는 밴드패스필터(BPF)(82)에 의해 추출한 후, 검파기(DET)(83)에 의해 음성신호의 엔벌로프를 검파하고 그 출력신호를 단자(89)로 보낸다. BPF(85)에 의해 디지탈신호를 추출한 후, 검파기(86)에 의해 이 디지탈신호의 엔벌로프를검파하고 그 출력신호를 단자(90)로 보낸다. 상기 BPF(82) 및 (85)의 각각의 대역폭의 특성은 제18도에 도시한 곡선(197) 및 (198)로 나타낸 바와 같다. 디지탈신호의 검출에 관해서는 엔벨로프검파기(86)의 출력신호와 임계값을 비교기(88)에 의해 비교해서 실행하고, 그 출력신호는 단자(91)로 보낸다. 직류(dc)전압원(87)은 비교기(88)의 임계값을 판별한다.
제21도는 재생모드시에 실행할 다른 모드식별제어동작의 흐름도이다. 주파수 검출하기 전에 동일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서 테이프에서 신호를 재생하고, 엔벌로프 검파출력이 최대로 증가하도록 하기 위해서 검파기(83)의 출력신호 ENV1 또는 검파기(86)의 출력신호 ENV2중의 어느 1개에 따라 서보시스템제어기(25)에 의해 자동트랙킹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자동트랙킹제어방법의 1예로서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등산식 제어방법(hill climbing control method)이 있다. 즉, 트랙킹을 스텝폭△X로 어긋나게 하여 0123456와 같이 재생출력값을 변화시키면서 포인트7(포인트3,5,7)부분에서 최대값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트랙킹제어가 완료한 후, 재생헤드 프리엠프(13)의 출력신호의 주파수검파를 실행한다. 즉, 디지탈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디지탈모드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PLL(18)에 의해 위상이 록(폐쇄)되어 있으면, 모드는 반드시 디지탈모드인 것으로 판정한다. 위상이 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주파수검출결과를 재고하게 된다. 디지탈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기신호 검출기(29)에 의해 영상신호 프로세서(28)로부터의 복조된 출력신호를 확인하고 나서 수평동기신호를 검출하여 검출신호D3을 생성한다. 수평동기신호가 검출되면 모드는 아날로그 VHS모드이고, 수평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신호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OSD회로(30)에 의해서 TV세트의 화면에 짙은 파란색 배경이 표시되는 청색배경(blue back)상태로 설정한다.
이하, 상술한 판별결과에 따른 각 구성회로의 전환을 위한 전환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선형음성신호 또는 FM음성신호를 전환회로(100)에 의해 선택한 후, 이 선형음성신호 또는 FM음성신호를 뮤트회로(16) 또는 (20)으로 보낸다. 아날로그모드시 뮤트신호D2가 로우레벨(LOW)이고 뮤트신호D2'가 하이레벨(HIGH)이므로, 뮤트회로(16)의 뮤트기능은 해제하고 뮤트회로(20)의 뮤트기능은 동작시킨다. 디지탈모드시에는 뮤트신호D2가 하이레벨이고 뮤트신호D2'가 로우레벨이므로, 뮤트회로(16)의 뮤트기능은 동작시키고 뮤트회로(20)의 뮤트기능은 해제한다. 모드판별이 완전히 종료할 때까지는 뮤트신호D2 및 D2'를 모두 하이레벨로 유지하고, 음성신호 및 디지탈신호에 대해 뮤트가 걸리도록 서보시스템제어기(25)에 의해 뮤트회로(16) 및 (20)을 제어해서 모드판별시의 이상음(잡음)의 발생 및 화상의 왜곡(흐트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모드판별시의 신호파형을 제24도에 도시한다. 재생동작이 개시하고 기구의 테이프장전동작이 종료하고 난 후, 음성헤드측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트랙킹동작이 작동개시한다. 이때,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누화(crosstalk)성분이 생성된다. 그러나, 트랙킹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동안 뮤트신호D2 및 D2'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트랙킹동작이 개시된 후에는 상기 뮤트신호D2는 하이레벨로 유지되고 뮤트신호D2'는 로우레벨로 된다.
이하, 상술한 자동 트랙킹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아날로그 VHS규격의 VTR에 있어서는 인접 누화방해가 발생하지 않는 SP모드에 있어서 음성신호의 엔벌로프를 검출하기 위한 엔벌로프검출기(27)의 출력ENV3이 서보시스템제어기(25)에 의해 최대로 되도록 모터드라이버(MDA)(24)로 제어신호CCNT를 보내는 것에 의해 캡스턴모터(11)를 제어하고 있었다. 인접 누화방해가 발생하는 장기간기록모드 예를 들면 EP모드인 경우에는 방위각 30를 갖고 인접 누화방해를 받기 어려운 FM음성헤드측의 정보를 사용해서 자동 트랙킹제어동작은 실행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아날로그/디지탈겸용 VTR에 있어서는 아날로그모드인 경우에는 엔벌로프 검출신호 ENV1 및 ENV3를 사용해서 자동트랙킹제어동작이 실행되고 또 디지탈모드인 경우에는 엔벌로프 검출신호 ENV2를 사용해서 자동트랙킹제어동작이 실행되도록 모드판별신호D2에 따라 엔벌로프 검출신호ENV1 및 ENV3 또는 엔벌로프 검출신호 ENV2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하게 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재생모드 판별방법에 관해서는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속도에 따라 분류된다.
VHS규격 VTR에 있어서는 SP모드(테이프속도 : 1), LP모드(테이프속도 : 1/2) 및 EP모드(테이프속도 : 1/3)이 있다. 디지탈 VHS VTR에 있어서는 신호가 디지탈 기록모드로 기록된 테이프를 아날로그 모드로 재생처리한 경우, 테이프의 디지탈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재생했을 때 음성신호 프로세서가 디지탈신호를 음성처리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재생신호를 스피커측으로 전송하면 스피커에서 이상음이 발생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스피커가 파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상음의 발생은 예를 들면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속도가 SP속도와는 다른 1/4 또는 1/12인 SD모드 또는 LD(Low Definition)모드를 선택하고, 신호가 디지탈모드로 기록된 테이프에 대해서 아날로그모드로는 서보가 록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SP모드의 테이프속도와 다른 테이프속도가 선택되면, 테이프의 하단부에 기록되어 CTL헤드(9)에 의해 재생되는 CTL신호와 캡스턴모터(11)에 의해 생성되는 FG신호(CFG신호) 사이의 주파수비와 주기의 비에 의해서 재생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디지탈VTR로서는 더욱 고화질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또 이 디지탈VTR은 예를 들면 HD모드 또는 ED(Extended Definition)모드와 같은 고화질모드에 있어서는 정보내용(정보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테이프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HD모드 또는 ED모드에 대해서 SP모드 또는 LP모드와 동일한 테이프속도로 선택한 경우에는 제21도에 따라 설명한 주파수검출 및 PLL회로의 위상록상태 검출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에서 테이프속도가 서로 다르면 CTL/CFG비를 사용해서 모드판별을 실행하고, 또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에서 테이프속도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주파수검출 및 PLL의 위상록상태의 판별을 사용해서 모드판별을 실행한다.
VHS규격 VTR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탈신호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FM음성헤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디지탈겸용 VTR에 있어서는 FM음성헤드가 생성하는 정보로 주파수 및 PLL의 위상록상태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아날로그/디자탈판별을 고효율로 실행할 수 있다. 판별이 완전히 종료할 때까지의 동안 재생된 음성신호 및 디지탈신호를 뮤트하는 것에 의해서, 판별 오동작시에 발생하는 이상음정(잡음)의 발생과 화상의 흐트러짐(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의 테이프속도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CTL신호와 CFG신호의 비로 모드 판별을 실행하고, 또 그들 테이프속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파수검출 및 PLL의 위상록상태의 검출에 의해서 모드판별을 실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다양한 모드에 대해서 안정한 판별을 실행할 수가 있다.
또, 아날로그/디지탈겸용 VTR에 있어서의 자동트랙킹기능은 아날로그모드에서는 영상헤드와 음성헤드의 출력신호의 엔벌로프검출에 의한 자동트랙킹제어로 실행할 수 있고, 디지탈모드에서는 음성헤드(디지탈헤드)의 출력의 엔벌로프 검출에 의한 자동트랙킹제어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VTR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VTR은 LPF(14)에서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주파수/엔벌로프검출기(45)가 LPF(14)의 출력측에 접속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의 VTR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9도는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45)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45)에는 제17도에 도시한 주파수/엔벌로프 검출기(32)에 비해 오디오(음성)입력단자(92)가 부가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제한된 주파수대역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만 전송하는 BPF(82)에 해당하는 부분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대역제한기능은 재생헤드앰프(13)의 출력부에 접속된 LPF(14)의 출력신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VTR의 기록계와 재생계를 각각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VTR은 비트압축된 디지탈신호를 수신하고 동일한 신호를 합성영상신호로 변환하는 MPEG 디코더가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탈겸용 VTR이다.
제15도에 있어서, 위성방송 또는 광케이블에 의해 전송되어 입력단자(65)에 인가되는 디지탈신호는 튜너(66)에 의해 MPEG방식의 비트압축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이 비트압축된 디지탈신호는 기록/재생 전환회로(67)를 통해 디지탈신호 프로세서(54) 및 MPEG디코더(68)로 보내진다. 디지탈신호 프로세서(54)의 이후 기록처리는 제13도의 VTR에 의해 실행하는 것과 동일하다. 전환회로(70)는 MPEG디코더(68)의 영상(비디오)출력신호 비디오2 또는 아날로그영상신호 프로세서(57)의 영상출력신호 비디오1(통상, AGC에 의해 제어되는 모니터의 출력) 중 어느 1개를 선택적으로 OSD회로(30)로 보낸다. 이 OSD회로(30)의 출력신호는 출력단자(71)를 통해 모니터TV(40)로 보내진다. MPEG디코더(68)의 음성(오디오)출력신호 오디오2 또는 튜너(59)의 음성출력신호 오디오1중 어느 1개를 전환회로(69)에 의해 선택하고, 출력단자(72)를 통해 모니터TV(40)로 보낸다.
이하, VTR의 재생계의 동작에 대해서 제16도에 따라 설명한다. 재생된 디지탈신호는 전환회로(67)를 통해 MPEG디코더(68)로 보내진다. 전환회로(69)는 MPEG디코더(68)의 음성출력신호 오디오2 또는 아날로그방식으로 재생된 신호 오디오1중 어느 1개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전환회로(70)는 MPEG디코더(68)의 영상출력신호 비디오2 또는 재생된 아날로그신호 비디오1 중 어느 1개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이 VTR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선형음성신호 또는 FM음성신호 중의 어느 1개를 전환회로(100)에 의해 선택하고, 음성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 전환동작을 전환회로(69)에 의해 실행한 후 신호를 출력단자(72)로 보내는 것이다. 둘째, 영상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 전환동작을 전환회로(0)에 의해 실행하고, OSD회로(30)를 통해 신호를 출력단자(71)로 보낸다. 따라서, OSD회로를 1개만 마련해도 좋고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 양방식으로 모니터TV(40)으로 안정한 신호가 공급되는 것이다. 세째, MPEG디코더(68)의 입력측에 접속된 전환회로(67)에 의해서 디지탈신호기록에서 디지탈신호재생으로 또는 디지탈신호재생에서 디지탈신호기록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MPEG디코더가 내장된 VTR에 관해서는 선형 음성출력 또는 FM음성출력 중 어느 1개를 선택한 후 MPEG디코더의 음성출력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회로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아날로그 영상출력 또는 MPEG디코더의 영상출력(디지탈 영상출력) 중 어느 1개를 선택하는 전환회로에 OSD회로를 접속하고 있으므로, 회로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VTR에 의하면 모니터TV측으로 안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화상의 흐트러짐(왜곡)도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41)

  1.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상기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디코더로서, 자기테이프에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방위각을 갖는 제1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제1방위각과는 다른 제2방위각을 갖는 제2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거나 또는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갖는 제3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는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 테이프카세트가 테이프레코더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종류를 그의 형상에 의해 판별하는 카세트판별수단,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상기 디지탈신호 기록시스템과 상기 아날로그신호기록시스템중의 어느 1개에 의해서 기록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시스템선택수단 및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테이프카세트의 종류가 상기 시스템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디지탈신호 기록시스템과 호환성이 없는 경우에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 레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동작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금지될 때, 조작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 레코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 레코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기록동작을 금지시킬 때 테이프카세트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 레코더.
  5.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로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테이프주행속도와는 다른 제2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기록되었을 때의 테이프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에 따라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 테이프카세트가 테이프플레이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형상에 의해 그것이 디지탈기록용 카세트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카세트판별수단,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에 의해 테이프카세트가 디지탈기록용 카세트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디지탈재생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을 개시하고,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에 의해 테이프카세트가 디지탈기록용 카세트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아날로그 재생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을 개시함과 동시에, 재생동작이 개시된 후에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모드에 따라서 신호재생시스템을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은 테이프카세트에 마련된 카세트판별홀에 의해 디지탈기록용 카세트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은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기록할 때에 주행시킨 테이프속도에 따라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은 신호가 디지탈신호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9.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상기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로서, 자기테이프의 반송기구 및 상기 회전헤드를 구동하는 구동시스템,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테이프주행속도와는 다른 제2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 테이프카세트가 테이프플레이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형상에 의해 그의 종류를 판별하는 카세트판별수단 및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한 테이프카세트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테이프주행속도 또는 상기 제2테이프주행속도로 기록된 신호의 재생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구동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판별ㅅ단은 테이프카세트에 마련된 카세트판별홀에 의해서 테이프플레이어에 삽입된 테이프카세트가 디지탈기록용 테이프카세트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11.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상기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서, 자기테이프에 디지탈 영상신호 및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방위각을 갖는 제1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제1방위각과는 다른 제2방위각을 갖는 제2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거나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갖는 제3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는 아날로그신호 기록 시스템, 테이프카세트가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형상에 의해 그의 종류를 판별하는 카세트판별수단 및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테이프카세트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에 의한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판별수단은 테이프카세트에 마련된 카세트판별홀에 의해서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삽입된 테이프카세트가 디지탈기록용 테이프카세트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13.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상기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서,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자기테이프에 기록되었을 때의 기록모드를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에 따라서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 및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모드가 실질적으로 상기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의 기록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에 의한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은 자기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기록할 때에 주행시킨 테이프속도에 따라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15.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회전헤드에 의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로서, 회전드럼상에 180도 대향해서 마련된 제1자기헤드쌍, 상기 회전드럼상에 180도 대향해서 마련된 제2자기헤드쌍, 합성 영상신호를 FM휘도신호 및 저역변환 색신호로 변환해서 상기 제1자기헤드쌍으로 공급하는 제1신호기록 프로세서, 상기 제1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를 처리해서 합성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제1신호재생 프로세서, 음성신호를 FM변조해서 상기 제2자기헤드쌍으로 공급하는 제2신호기록 프로세서, 상기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FM변조 음성신호를 복조하는 제2신호재생 프로세서, 디지탈신호를 상기 FM변조 음성신호의 주파수대역보다 높은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는 신호로 변조해서 상기 제2자기헤드쌍을 공급하는 제3신호기록 프로세서, 상기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디지탈변조신호를 복조하는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 상기 제1자기헤드쌍 또는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에 따라서 자동트랙킹제어를 실행하는 제1트랙킹 제어기, 상기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에 따라서 자동트랙킹제어를 실행하는 제2트랙킹 제어기,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기록될 때의 테이프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에 따라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트랙킹 제어기를 전환하는 제1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장치내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제2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수단은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신호재생 프로세서와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재생 프로세서의 출력단에 마련된 제1뮤트회로 및 상기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의 출력단에 마련된 제2뮤트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수단은 상기 검출기가 디지탈기록모드를 검출했을 때 상기 제1뮤트회로를 동작상태로 하고 상기 제2뮤트회로를 비동작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수단은 상기 동작모드가 확정될 때까지는 상기 제1 및 제2뮤트회로의 쌍방을 동작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모드 검출기는 자기테이프의 제어트랙상의 신호와 캡스턴모터의 회전주파수에 비례한 신호의 주파수 또는 주기의 비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랙킹 제어기는 상기 제1자기헤드쌍에 의해 재생신호를 검파하는 제1엔벌로프 검출기, 상기 제2자기헤드쌍으로부터의 FM변조 음성신호룰 추출하는 제1대역통과필터, 상기 제1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검파하는 제2엔벌로프 검출기 및 상기 제1 및 제2엔벌로프 검출기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캡스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1캡스턴속도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트랙킹 제어기는 상기 제2자기헤드쌍으로부터의 디지탈변조신호를 추출하는 제2대역통과필터, 상기 제2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검파하는 제3엔벌로프 검출기 및 상기 제3엔벌로프 검출기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캡스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2캡스톤속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1. 제16항에 있어서, 데이타압축된 디지탈정보를 수신하고 원하는 데이타압축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장치, 디지탈신호를 데이타신장하고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회로, 상기 디코더회로의 전단에서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로부터의 디지탈신호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전환하는 제1스위치, 상기 디코더회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와 상기 제1신호재생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전환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신호재생 프로세서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상기 디코더회로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전환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의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기 및 상기 동기신호가 없을 때 상기 제2스위치의 출력신호를 다른 영상신호로 치환하는 치환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가 디지탈신호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2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수단은 상기 제2검출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장치내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기는 디지탈변조 캐리어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기는 대역통과필터, 진폭검파회로 및 비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기는 상기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의 재생신호의 위상동기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기는 PLL회로의 동기판정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28.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회전헤드에 의해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서, 회전드럼상에 180도 대향해서 마련된 제1자기헤드쌍, 영상신호를 FM휘도신호와 저역변환 색신호로 변환하는 제1신호기록 프로세서, 상기 제1신호기록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1자기헤드쌍으로 공급하는 제1기록앰프, 상기 제1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를 입력하는 제1재생헤드 프리앰프, 상기 제1재생헤드 프리앰프의 출력신호를 처리해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제1신호재생 프로세서, 상기 회전드럼상에 180도 대향해서 마련된 제2자기헤드쌍, 음성신호를 FM변조하는 제2신호기록 프로세서, 상기 제2신호기록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해서 대역제한하는 제1저역통과필터, 디지탈신호를 상기 FM신호의 주파수대역보다 높은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는 신호로 변조하는 제3신호기록 프로세서, 상기 디지탈변조신호가 기록재생가능한 광대역앰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역통과필터 또는 상기 제3신호기록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자기헤드쌍으로 공급하는 제2기록앰프, 상기 디지탈변조신호가 재생가능한 광대역앰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를 입력하는 제2재생헤드 프리앰프, 상기 제2재생헤드 프리앰프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해서 대역제한하는 제2저역통과필터, 상기 제2저역통과필터로부터의 FM변조신호를 복조하는 제2신호재생 프로세서 및 상기 제2재생헤드 프리앰프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복조하는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헤드쌍 또는 제2자기헤드쌍의 재생신호에 따라 자동트랙킹제어를 실행하는 제1트랙킹제어기, 상기 제2자기헤드쌍의 재생신호에 따라서 자동트랙킹제어를 실행하는 제2트랙킹제어기, 상기 제1신호재생 프로세서가 생성하는 영상신호 및 상기 제2신호재생 프로세서가 복조한 음성신호를 재생신호로 하는 제1재생모드와 상기 제3신호재생 프로세서에 의해 복조된 디지탈신호를 재생신호로 하는 제2재생모드를 상기 제2자기헤드쌍에 의해 리드된 신호에 따라서 판별하는 모드판별수단 및 상기 제1트랙킹제어기에 의한 트랙킹제어와 상기 제2트랙킹제어기에 의한 트랙킹제어를 상기 모드판별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랙킹제어기는 상기 제1자기헤드쌍에 의해 재생신호를 검파하는 제1엔벌로프 검출기, 상기 제2자기헤드쌍으로부터의 FM변조 음성신호를 추출하는 제2대역통과필터, 상기 제1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검파하는 제2엔벌로프 검출기 및 상기 제1 및 제2엔벌로프 검출기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캡스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1캡스턴속도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트랙킹 제어기는 상기 제2자기헤드쌍으로부터의 디지탈변조신호를 추출하는 제2대역통과필터, 상기 제2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검파하는 제3엔벌로프 검출기 및 상기 제3엔벌로프 검출기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캡스톤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2캡스톤속도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1.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상기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서, 상기 자기테이프에 디지탈신호를 제1방위각을 갖는 제1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에상에 기록된 디지탈신호를 상기 제1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기록/재생 시스템, 상기 자기테이프에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상기 제1방위각과는 다른 제2방위각을 갖는 제2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고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갖는 제3회전헤드에 의해 기록하며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각각 상기 제2회전헤드 및 제3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기록/재생 시스템, 테이프카세트가 테이프레코더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테이프카세트의 종류를 그의 형상에 의해 판별하는 카세트판별수단,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에 따라서 상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기록된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 상기 카세트판별수단 또는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기록모드 또는 재생모드를 판별하는 동작모드 판별수단 및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 및 상기 아날로그신호 기록/재생시스템을 제어하는 동작모드에 따른 특정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카페트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테이프카세트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닌 경우에 기록동작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 판별수단은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신호가 아날로그신호인지 디지탈신호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동작모드 판별수단에 따라서 상기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신호 기록/재생시스템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하여 재생동작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헤드는 회전드럼상에 직경의 정반대 위치에 마련된 제1자기헤드쌍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탈신호 기록시스템 또는 상기 아날로그신호 기록시스템의 적어도 한쪽은 합성영상신호를 FM휘도신호와 저역변환 색신호로 변환해서 상기 FM휘도신호와 상기 저역변환 색신호를 상기 제1자기헤드쌍으로 공급하는 제1신호기록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카세트가 상기 테이프레코더에 장착되었을 때 테이프카세트의 형상에 의해 그 종류를 판별하는 카세트판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헤드와 제3회전헤드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레코더.
  3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헤드와 제3회전헤드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헤드와 제3회전헤드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비디오테이프레코더.
  39.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의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로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테이프주행속도와는 다른 제2테이프 주행속도로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기록될 때의 테이프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에 따라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 및 재생동작 개시후에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기록모드에 따라서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과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을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40.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의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로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테이프주행속도와는 다른 제2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기록될 때의 테이프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과 상기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에 의해 재생신호가 검출되는지 검출되지 않는지의 정보에 따라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 및 재생동작 개시후의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모드에 따라서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과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을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41. 테이프카세트에 장전된 자기테이프의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재생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로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제1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제1테이프주행속도와는 다른 제2테이프주행속도로 재생하는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 자기테이프에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기록될 때의 테이프속도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제어신호의 간격에 따라 기록모드를 검출하는 기록모드 검출수단 및 미리 정해진 재생동작을 개시하고 그 재생동작 개시후에 상기 기록모드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모드에 따라서 디지탈신호 재생시스템과 아날로그신호 재생시스템을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주사형 테이프플레이어.
KR1019960000706A 1995-01-17 1996-01-16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KR100216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04634 1995-01-17
JP00463495A JP3360457B2 (ja) 1995-01-17 1995-01-17 磁気記録再生装置
JP95-055416 1995-03-15
JP05541695A JP3336804B2 (ja) 1995-03-15 1995-03-15 磁気記録再生装置、磁気再生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86A KR960030086A (ko) 1996-08-17
KR100216892B1 true KR100216892B1 (ko) 1999-10-01

Family

ID=2633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706A KR100216892B1 (ko) 1995-01-17 1996-01-16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5978546A (ko)
KR (1) KR100216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3332D0 (en) * 1996-02-14 1996-04-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terface for digital recorder and display
JP4073037B2 (ja) * 1995-09-15 2008-04-09 トムソン コンシユーマ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テレビ受像機
US6507953B1 (en) * 1996-02-02 2003-01-14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JPH10199134A (ja) * 1996-12-26 1998-07-31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信号記録装置
EP0862172A3 (en) * 1997-02-28 2001-02-1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O1998055998A2 (en) * 1997-06-03 1998-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from a record carrier
CN1131519C (zh) * 1997-09-25 2003-12-17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装置及其控制方法、和相应的外部电子装置
US6393079B1 (en) * 1998-07-28 2002-05-21 Motorola, Inc. Transient-suppressing mode switch
JP4055096B2 (ja) * 1998-12-16 2008-03-05 ソニー株式会社 磁気再生装置及び方法
US6785815B1 (en) * 1999-06-08 2004-08-31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encoding and protecting data using digital signature and watermarking techniques
US6587638B1 (en) * 1999-08-02 2003-07-01 Hitachi, Ltd.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and input/ output device
US6353296B1 (en) * 1999-10-15 2002-03-05 Motorola, Inc. Electronic driver circuit with multiplexer for alternatively driving a load or a bus line, and method
US7146094B1 (en) * 2000-05-31 2006-12-05 Keen Personal Technologies, Inc. Set-top box that provides video data stream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selection between recorded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video recorder and a real-time video signal
DE10043137A1 (de) * 2000-08-31 2002-03-1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ennzeichnung der Version bei integrierten Schaltkreisen und Verwendung zur Steuerung von Betriebsabläufen
KR100385049B1 (ko) * 2001-01-17 200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종류의 오디오데이터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디지털자기 기록/재생장치 및 그 기록/재생방법
US6552920B2 (en) * 2001-06-27 2003-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ving content addressable memory power through conditional comparisons
JP2003046944A (ja) * 2001-08-02 2003-02-14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ビデオカメラ、ならびに、映像モニタ装置
US6947237B2 (en) * 2001-10-09 2005-09-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ORM magnetic tape with cartridge memory system and method
JP3969288B2 (ja) * 2002-11-19 2007-09-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US7139033B2 (en) * 2003-02-19 2006-11-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 frame capture and display
US20040258389A1 (en) * 2003-06-17 2004-12-23 Castillo Michael J. Pass through mode for a personal video recorder
KR100790037B1 (ko) * 2006-02-1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임 쉬프트 방법 및 그에 따른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JP4629141B2 (ja) * 2006-04-25 2011-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映像コンテンツ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988B2 (ja) * 1984-03-31 1997-08-25 株式会社東芝 磁気録画再生装置
US4607298A (en) * 1985-02-08 1986-08-19 Sanyo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magnetically recorded video signal
EP0509563B1 (en) * 1986-10-31 1997-01-29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688196B2 (ja) * 1987-05-29 1997-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情報再生装置
JPS63298862A (ja) * 1987-05-29 1988-12-06 Can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2690933B2 (ja) * 1988-04-06 1997-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信号判別装置
US5218454A (en) * 1989-03-28 1993-06-08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improved recording of signals having video and audio components
JP2821219B2 (ja) 1990-02-05 1998-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ヘッド型再生装置
US5161019A (en) * 1990-06-29 1992-11-03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channel guide" automatically activated by the absence of program information
JPH0589560A (ja) 1991-09-30 199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レコーダ
JPH05182290A (ja) * 1991-12-27 1993-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種類検出装置
JPH05207507A (ja) * 1992-01-30 1993-08-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tr装置
JPH0684107A (ja) * 1992-09-03 1994-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デオ信号再生方式
JP3093494B2 (ja) * 1992-11-18 2000-10-03 株式会社東芝 多様性信号処理装置
DE601963T1 (de) * 1992-12-10 1994-11-17 Gold Star Co System für die Aufzeichnung/Wiedergabe von digitalen und analogen Videosignalen.
DE69410831T2 (de) * 1993-01-05 1998-12-17 Lg Electronics Inc Gerät für die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digitalen und analogen Videosignalen
EP0621593B1 (en) * 1993-04-20 2000-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KR0121698Y1 (ko) * 1993-06-30 1998-08-01 김광호 표준/장시간모드 판별신호 기록/재생장치
US5706385A (en) * 1993-12-08 1998-01-06 Hitachi, Ltd. Rotary head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230358B2 (ja) 1993-12-15 2001-11-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フッ素樹脂とメタクリル樹脂又はアクリル樹脂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
KR0133015B1 (ko) * 1994-03-11 1998-04-16 구자홍 디지탈 아날로그 겸용 영상 기록/재생 장치
KR100322690B1 (ko) * 1994-06-30 2002-06-20 윤종용 디지탈타이밍복원회로
US6104862A (en) * 1994-12-19 2000-08-15 Hitachi, Ltd.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mpatible with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JPH08180501A (ja) * 1994-12-26 1996-07-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8979B2 (en) 2004-09-28
US20050036760A1 (en) 2005-02-17
KR960030086A (ko) 1996-08-17
US20010041043A1 (en) 2001-11-15
US5978546A (en) 1999-11-02
US7263272B2 (en) 2007-08-28
US6272285B1 (en)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892B1 (ko) 디지탈/아날로그 겸용 비디오테이프레코더
AU736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elevision commercial messages
EP0606180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analog video signals
EP0639826B1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with automatic media-test function
US6178288B1 (en) Reproduction device
JP336045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80030878A (ko) 영상재생상태 표시기능을 갖춘 비디오카세트레코더
JP333680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磁気再生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方法
US6215953B1 (en) Duplication apparatus having automatic select function of copy mode
JP2874723B2 (ja) 映像信号記録装置
US5946442A (en) High-speed video tape copier
KR100326893B1 (ko) 자기기록장치
KR20000035435A (ko) 기록 형식 판정 장치 및 신호 재생 방법 및 장치
KR0146455B1 (ko) 기존녹화물에 대한 데이터 검색 및 검색결과 기록기능을 갖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KR100236111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페이드 컨트롤 장치
JP292674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9630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0241283A (ja) 信号再生装置及び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3059140A (ja) 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再生装置
KR19990043800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시 콘트라스 상태의 기록 방법 및 그에 따른표출 방법
JP2000152158A (ja) 記録形式判定装置
KR19980041423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회로 이상여부 판별장치
JPH0412522B2 (ko)
KR19990025627A (ko) 텔레비디오의 고속재생시 동기절환제어장치
KR19990043344A (ko) Vcr의 방송시스템 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