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929B1 - 지폐처리기 - Google Patents

지폐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929B1
KR100212929B1 KR1019970006459A KR19970006459A KR100212929B1 KR 100212929 B1 KR100212929 B1 KR 100212929B1 KR 1019970006459 A KR1019970006459 A KR 1019970006459A KR 19970006459 A KR19970006459 A KR 19970006459A KR 100212929 B1 KR100212929 B1 KR 10021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end belt
collecting device
driv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261A (ko
Inventor
쥰이치 아리카와
요시유키 가토
도루 이나게
와타루 이이다
히데오 아츠미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1998006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4Cam mechanisms involving eccentric

Abstract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는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는 솔레노이드; 집적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이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수단이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폐집적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지폐반송방향에서 그 길이가 매우 다른 지폐를 일단부가 정렬되도록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지폐처리기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지폐처리기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크기가 매우 다른 지폐의 일단부를 소망하는 방식으로 집적할 수 있고 지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폐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관한 설명
지폐입금기와 같은 지폐처리기에는 통상 그 일단부가 정렬되는 방식으로 입금된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지폐집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51-407에는 지폐반송로에 유지된 지폐의 선단부에 접할 수 있는 이동가능 가이드부재가 제공된 지폐집적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것이 지폐와 접하게 되면 그의 자유단부는 지폐에 의하여 변형된다. 그리고, 지폐의 후단부가 지폐집적부로 송입된 경우에, 그것은 그의 복원력에 의하여 지폐를 누르고,그럼으로써 지폐를 지폐집적부로 안내한다.
일본 지폐와 같이 지폐의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은 지폐는, 지폐반송방향으로 지폐의 단변이 정렬되도록 반송시키는 경우에 또는 지폐반송방향으로 지폐의 장변이 정렬되도록 반송시키는 경우에 지폐의 일단부가 정렬되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지폐집적장치내에 집적될 수 있다.
반대로, 유럽국가의 지폐처럼 그 크기가 181mm×85mm 내지 120mm×61.5mm까지의 범위에 있어 매우 다른 지폐의 경우에는, 지폐의 단변이 지폐반송방향에 정렬되도록 하여 반송되고, 지폐반송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지폐의 폭이 120mm에서 181mm의 범위이고, 그들을 판별하기 위한 소망하는 경로를 따라 더욱 작은 크기의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지폐의 장변이 지폐반송방향에 정렬되도록 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처리기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지폐의 장변이 지폐반송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여 반송하는 지폐가 소망하는 방식으로 판별될 수 있더라도, 이 경우에 그 일단부가 정렬되도록 크기가 더욱 작은 지폐를 단일 지폐집적장치내에 집적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결과, 지폐집적장치가 각각의 지폐 종류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지폐처리기의 구조는 불가피하게 복잡해지고 그 크기도 커진다.
더나아가 지폐처리기를 입금된 지폐를 출금할 수 있도록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만약 종류가 다른 지폐가 일단부가 정렬되도록 단일 지폐집적장치내에 집적될 수 없다면, 지폐집적장치내에 집적된 지폐를 취출하고 그 종류에 따라 그들을 저장하고 입금된 지폐를 출금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약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드럼과 취급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약종단면도,
도 3은 셔터의 약정면도,
도 4는 지폐입금기의 드럼의 약좌측면도,
도 5는 지폐입금기의 드럼의 약우측면도,
도 6은 제일지폐집적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약측면도,
도 7은 도 6의 약배면도,
도 8은 집적된 지폐가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와 한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유지된 상태)의 제일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9는 지폐의 선단부가 금고속으로 방금 송입되기 시작하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10은 지폐의 선단부가 금고속으로 송입되어 지폐가 지폐누름판의 하면을 따라서 안내되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11은 지폐가 금고내로 송입되어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12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지폐집적판쪽으로 지폐누름판의 선단부를 누름으로써 금고내에 송입된 지폐를 정지시켜서 지폐의 후단부가 익근차(羽根車, vane wheel)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된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의 약측면도,
도 13은 지폐입금부의 약측면도,
도 14는 지폐입금부의 약평면도,
도 15는 지폐입금부의 약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에 따른 약단면도,
도 17은 지폐를 취출하기 위한 지폐취출장치의 약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구동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검출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20은 모터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5의 A-A선에 따른 약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제일지폐집적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또다른 실시예인 지폐처리기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구조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23은 지폐의 선단부가 송출되는 제이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24는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의 제이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25는 지폐의 선단부가 지폐누름판의 선단부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의 제이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도 26은 솔레노이드의 구동이 정지되고 지폐누름판의 선단부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의 제이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약측면도.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를 그 일단부가 확실하게 정렬되도록 집적시킬수 있는 지폐집적장치가 설치된 지폐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적용된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 집적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이 상기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한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지폐집적장치가 설치된 지폐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목적은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적용된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수단(biasing means),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하여하여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 집적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이 상기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한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하류측이 지폐공급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기계본체에 장착되는 지폐집적장치가 설치된 지폐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적용된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수단, 상면위에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지폐집적부재, 지폐집적시에 하류측이 상류측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폐공급방향에 대하여 상류측단부에 대하여 지폐누름부재를 요동시키기 위한 요동수단,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향하여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 집적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이 상기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한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지폐집적장치가 설치된 지폐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지폐집적장치는 지폐의 후단부를 낙하시키기 위한 익근차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그 자체와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 사이에 지폐를 유지시킬 수 있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폐누름부재는 종동 엔드레스 벨트수단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압수단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폐집적부재의 상류측단부는 지폐집적장치 상류측벽부분상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특징뿐만 아니라 그 외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행하여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는 지폐의 입금시 및 받아들일 수 없는 지폐(입금이 불가능한 지폐; unacceptable bill)의 반려시 사용되는 취급구(1)를 포함하고 있고, 이 취급구는 셔터(2)를 통해 지폐입금기의 내부와 접속되어 있다. 지폐위치대(3)는 취급구(1)에 설치되어 있고, 지폐는 지폐위치대(3) 위에 위치되어 지폐입금기에 입금되고, 받아들일 수 없는 지폐는 지폐위치대(3) 위에 위치되어 반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공(hollow) 회전가능한 드럼(4)은 지폐입금기의 셔터(2)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4)에는 한 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한 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6)는 한 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도 1은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중의 하나와 한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6)중의 하나를 도시한다. 제일셔터(7)와 제이셔터(8)는 지폐의 반송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삼셔터(9)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하거나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길이는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가 돌출하는 지폐반송로의 중앙부 사이의 길이도 처리될 지폐중 장변길이가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 반대측의 단부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취급구(1)측의 단부간의 길이 및 지폐위치대(3)의 드럼(4)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간의 길이는 처리될 지폐중 장변길이가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지폐는, 셔터(2)와 취급구(1)에 대향하는 드럼(4)의 제일셔터(7)가 열려 있고 제삼셔터(9)가 지폐의 반송로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취급구(1)내로 투입된다. 따라서,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 사이에 수용되어 제삼셔터(9)에 대해 실질적으로 맞닿게 되고,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 위에 얹혀 있는 방식으로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 반대측의 단부와 셔터(9)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제삼셔터(9)가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되고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낮춰지게 된 후에, 취급구(1)내로 투입된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유지될 수 있고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킴으로써 드럼(4)내로 확실하게 들어갈 수 있다. 드럼(4)은 지폐입금기의 본체에 장착된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지폐입금부(10)는 드럼(4)의 바로 밑에 설치되어있다. 지폐입금부(10)는 한쌍의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11),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의 사이에 지폐를 끼우는 유지위치(holding position)와 지폐가 해방되는 퇴피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12), 종동엔드레스벨트(12)와 일체로 지지되어 있고,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측의 표면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지폐누름판(13), 지폐입금부(1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단판(14),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하단판(14) 사이의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셔터(15), 지폐입금부(10)로부터 지폐를 취출하기 위해 셔터(15)의 하부와 하단판(14)의 부근에 설치된 취출로울러(16), 지폐가 취출로울러(16)에 의해 한 장씩 취출되는 것을 보증하는 분리로울러(17)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중의 하나와 한싸의 종동엔드레스벨트(6)중의 하나를 도시한다. 구동엔드레스벨트(11)는 드럼(4)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될 때 구동엔드레스벨트의 종동엔드레스벨트(12)측의 표면이 대응하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의 표면과 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럼(4)내로 집어넣어져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끼워진 지폐를 지폐입금부(10)로 보낼 때, 드럼(4)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는 구동된다. 그 결과,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의 공간내로 보내어져서(송입되어) 이 양 벨트 사이에 끼워진다. 더욱이,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킴으로써 지폐입금부(10)내로 보내어진다. 그 다음,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퇴피위치로 퇴피되고,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 지폐누름판(13) 및 하단판(14)에 의해 지지되어서 지폐입금부(10)내에 유지된다.
제일지폐반송부(23)는 지폐입금부(10)의 취출로울러(16)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폐입금부(10)내에 수납된 지폐는 취출로울러(16)와 분리로울러(17)에 의해 한 장씩 취출되고, 지폐의 장수가 취출로울러(16)의 직하류측에 설치된 센서(도시안됨)에 의해 계수되어진 후에, 이 지폐는 제일지폐반송부(23)로 보내어진다.
제일지폐반송부(23)는 지폐의 장변이 지폐의 반송로와 각도를 형성한 경우에 지폐의 장변이 지폐의 반송로와 일치되도록 지폐의 배향을 보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지폐를 지폐입금기의 후방측을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방으로 뻗어 있는 제이지폐반송부(25)는 제일지폐반송부(23)의 종단부(terminal end portion)에 설치되어 있다. 지폐는 제일지폐반송부(23)로부터 제이지폐반송부(25)로 도달되고 상방으로 반송된 후 지폐입금기의 전방측으로 반송된다.
지폐판별부(24)는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와 입금가능한 경우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이지폐반송부(25)의 시단부(beginning end portion)에 설치되어 있다. 제일게이트부재(26)는 제이지폐반송부(25)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으로 판별된 지폐는 제일게이트부재(26)에 의해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 보내어진다. 반면에 입금가능으로 판별된 지폐는 제이지폐반송부(25)의 종단부에 접속된 제삼지폐반송부(27)에 도달되어 상방으로 반송된다. 이 지폐는 제이게이트부재(28)에 의해 제이지폐집적장치(80)에 집적된다.
제일지폐집적장치(30)는 그것의 길이방향이 수평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드럼(4)의 후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이지폐집적장치(80)는 그것의 길이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는 방식으로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일지폐집적장치(30) 및 제이지폐집적장치(8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일지폐집적장치(30)는 드럼(4)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 45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지폐를 드럼(4)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드럼(4)과 연통되어 있고, 제이지폐집적장치(80)는 드럼(4)이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될 때 지폐를 드럼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드럼(4)과 연통되어 있다.
지폐입금기는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으로 판별되어 일단 고객에게 반려되었지만 고객에 의해 수취되지 않은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지폐입금부(10)의 전방에 위치한 입금불능지폐회수부(29)와, 투입되어 입금가능한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입금기의 후부에 위치한 금고(9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입금된 지폐가 모두 지폐입금부(10)로부터 송출되었을 때, 제일지폐집적부(30)에 집적된 입금불능지폐는 드럼(4)으로 보내어져서 취급부(1)로 반려된다. 취급부(1)로 반려되었지만, 고객에 의해 수취되지 않은 입금불능지폐는 드럼(4)으로 다시 보내어져서 입금불능지폐회수부(29)에 회수된다.
입금된 지폐의 총금액이 지폐판별부(24)에 의해 행하여진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표시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표시된다. 고객이 입금된 지폐의 금액을 확인하고 지폐입금기에게 지폐를 받아들이도록 지시하였을 때 제이지폐집적장치(80)에 집적된 입금가능한 지폐는 드럼(4)으로 보내어지고, 더욱이 지폐입금부(10), 제일지폐반송부(23), 지폐판별부(24) 및 제이지폐반송부(25)를 경유해서 제삼지폐반송부(27)로 보내어진다. 그 후 이 지폐는 제이게이트부재(28)에 의해 금고(90)내에 보관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급부와 드럼의 상세를 도시하는 약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100)는 셔터(2)를 개폐시키기 위해 셔터(2)와 드럼(4)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아암(102)은 모터(100)의 출력축(100a)에 고정되어 있고, 로울러(101)는 아암(10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울러(101)는 셔터(2)의 상단부로부터 드럼(4)을 향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셔터(2)의 굴곡부(2a)의 하면에 맞닿아서 이것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100)가 구동되어 아암(102)이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될 때, 아암(102)의 선단부에 장착된 로울러(101)는 원호상(arcuate) 경로를 따라 하강하고, 셔터(2)의 굴곡부(2a)도 하강하며, 이에 의해 셔터(2)는 도 2에 도시된 개방위치로부터 셔터(2)가 취급부(1)와 지폐입금기의 내부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도 3은 셔터(2)의 약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2)의 하연부(lower edge)에는 실질적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지폐위치대(3)의 드럼(4)측의 단부에는 요부(3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부의 크기와 형태는 셔터(2)의 돌기부(2b)에 대해 상보적(보완적)이다. 따라서 돌기부(2b)는 한 장 이상의 지폐가 셔터(2)와 지폐위치대(3) 사이에 잔류하지 않으면 요부(3b)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지폐가 그 사이에 잔류한 경우에, 돌기부(2b)와 요부(3b)는 서로 완전하게 맞물리지 않으며 셔터(2)는 닫힐 수 없다. 결론적으로, 셔터(2)와 지폐위치대(3) 사이에 지폐가 잔류하고 있는가의 여부는 셔터(2)가 닫혔는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드럼(4)에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5)는 로울러(103, 104, 105)의 둘레에 감겨 있고, 지폐가이드(106)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의 종동엔드레스벨트(6)측의 표면보다 약간 하방에 드럼(4) 위에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6)는 로울러(108, 109, 110)의 둘레에 감겨 있고, 로울러(108, 109, 110)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연결부재(10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폐가이드(111)는 종동엔드레스벨트(6)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엔드레스벨트(5)측에 장착되어 있다.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이동되어 떨어졌을 때, 지폐가이드(111)는 스토퍼(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고, 종동엔드레스벨트(6)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측의 표면보다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반면에 종동엔드레스벨트(6)는 자신과 구동엔드레스벨트(5) 사이에 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즉, 끼울 수 있도록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때, 지폐가이드(111)는 종동엔드레스벨트(6)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측의 표면보다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보다 많이 떨어진 위치로 퇴피되고, 이로써 지폐가이드(111)가 지폐의 유지와 지폐의 반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한 단부에 설치된 제일셔터(7)는 상부셔터부재(7a) 및 하부셔터부재(7b)를 포함하고 지폐반송로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이셔터(8)는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를 포함한다. 제일셔터(7)와 제이셔터(8)는 상부셔터부재(7a, 8a)와 하부셔터부재(7b, 8b)를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닫히거나 열린다.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대략 중앙부에서 지폐반송로내로 돌출하거나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될 수 있는 제삼셔터(9)의 하단부는 도 2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12)에 의해 축(113) 주위에서 요동가능한 요동아암(114)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삼셔터(9)는 솔레노이드(112)를 작동시키고 요동아암(114)을 축(113) 주위에서 도 2에 파선으로 표시된 퇴피위치로부터 도 2에 실선으로 표시된 돌출위치로 요동시킴으로써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 사이의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는 지폐입금기의 드럼(4)의 약좌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감겨 있는 로울러(108, 109, 110)중 로울러(108, 110)의 로울러축(108a, 110a)은 각각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드럼(4)의 좌측판(15)에 형성되어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긴 구멍(115a, 115a)을 통해서 드럼(4)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슬라이드레일(116, 116)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블록(117, 117)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블록(117, 117)은 연결판(118)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서, 한쌍의 풀리(119, 119)의 하주면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120)의 양단부는 연결판(118)의 양단부의 하연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로써 연결판(118)은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즉, 눌려지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 L자 형상의 해방아암(121)은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되어 있다. 해방아암(121)이 도 4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되면, 해방아암(121)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굴곡부(121a)의 상측면은 연결판(118)의 중앙부의 하연부와 걸어맞춤되고, 이에 의해 연결판(118)은 스프링(12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도 4에서 해방아암(121)의 상단부는 드럼(4)의 측판(115)상에 장착된 모터(122)의 출력축(122a)에 고정된 요동아암(123)에 연결되어, 모터(12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4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풀리(124)는 드럼(4)의 측판(115)에 고정되어 있고, 이 풀리(124)와 지폐입금기의 기체(body)상에 장착된 모터(126)의 출력축(126a)에 고정된 풀리(125)에는 벨트(127)가 그 둘레에 감겨 있다. 드럼(4)은 모터(126)를 구동시킴으로써 그 중심축(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터(126)는 후술하는 CPU(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역 양방향으로 조금씩 반복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지폐입금기의 드럼(4)의 약우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엔드레스벨트(5)가 감겨 있는 3개의 로울러(103, 104, 105)중 로울러(103, 105)의 로울러축(103a, 105a)은 드럼(4)의 우측판(28)을 통해서 드럼(4)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풀리(129, 130)는 돌출한 로울러축(103a, 105a)상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31)의 출력축(131a)상에 장착된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3)는 측판(128)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134)는 풀리(129, 130, 132, 133) 둘레에 감겨 있고, 모터(131)의 구동력은 풀리(129, 130)와 로울러(103, 105)를 경유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로 전달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일셔터(7)를 구성하는 상부셔터부재(7a)와 하부셔터부재(7b)는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135a, 135b) 주위에서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되어 있다. 핀(135a)의 하방의 상부셔터부재(7a)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36a)이 형성되어 있고, 핀(135a)의 상방의 하부셔터부재(7b)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36b)이 형성되어 있다.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부착된 슬라이드판(137)에 형성된 핀(137a, 137b)은 긴 구멍(136a, 136b)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138, 138)의 한 단부는 제이셔터(8)에 더 가까운 슬라이드판(137)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37)은 한쌍의 스프링(138, 138)에 의해 제이셔터(8)쪽으로 가압되어 핀(137a, 137b)을 통해서 상부셔터부재(7a)와 하부셔터부재(7b)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축(139)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구동아암(140)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141)은 제이셔터(8)에 보다 가까운 슬라이드판(137)의 단부와 걸어맞춤된다. 솔레노이드(142)의 플런저(142a)의 선단부는 축(139)와 핀(141) 사이의 구동아암(14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42)가 작동되어 플런저(142a)가 수축되면, 구동아암(140)은 축(139) 주위에서 도 5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슬라이드판(137)은 스프링(138, 1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일셔터(7)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부셔터부재(7a)와 하부셔터부재(7b)는 핀(137a, 137b)을 통해서 핀(135a, 135b) 주위에서 회동되고,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이셔터(8)를 구성하는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는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143a, 143b) 주위에서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되어 있다. 도 5에서, 핀(143a)의 하방의 상부셔터부재(8a)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44a)이 형성되어 있고 핀(143b)의 상방의 하부셔터부재(8b)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44B)이 형성되어 있다.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슬라이드판(145)에 형성된 핀(145a, 145b)은 긴 구멍(144a, 144b)를 관통하고 있다. 일단부가 슬라이드판(137)에 부착된 한 쌍의 스프링(138, 138)의 타단부는 제일셔터(7)에 보다 가까운 슬라이드판(145)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45)은 한 쌍의 스프링(138, 138)에 의해 제일셔터(8)쪽으로 가압되어 핀(144a, 144b)을 통해서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축(146)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구동아암(147)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148)은 제일셔터(7)에 보다 가까운 슬라이드판(145)의 단부와 걸어맞춤된다. 솔레노이드(149)의 플런저(149a)의 선단부는 축(146)과 핀(148) 사이의 구동아암(14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49)가 작동되어 플런저(149a)가 수축되면, 구동아암(147)은 축(146) 주위에서 도 5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슬라이드판(145)은 스프링(138, 1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이셔터(8)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는 핀(145a, 145b)을 통해서 핀(143a, 143b) 주위에서 회동되고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도 6은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구조를 도시하는 약측면도이다.
도 6은 도시된 것처럼, 제일지폐집적장치(30)는 도 1에 도시된 제일게이트부재(26)에 인접하여 위치된 로울러쌍(31)의 하방에 익근차(32), 익근차(32)의 하방의 한 쌍의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33) 및 익근차(32)의 상방의 한 쌍의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34)를 구비하고 있다. 집적된 지폐를 누르기 위한 지폐누름판(35)은 지지축(36)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6에는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와 한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34)중의 단 하나씩만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로울러군(37)과 지지축(36)은 장착유니트(38)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39)가 익근차(32)의 제일게이트부재(26)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33)가 고정된 유니트측판(40)의 중앙부에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직교하여 뻗어 있는 개구(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감겨 있는 중앙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유니트(38)에 고정된 로울러축(42)은 개구(41)를 통해서 유니트측판(40)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약배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그 둘레에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감겨 있는 로울러군(37)중에서 중앙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축(42)은 블록(43)에 고정되어 있고, 블록(43)은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는 슬라이드레일(4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로울러축(42)은 요동아암(45)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부(notched portion)(46)와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요동아암(45)은 축(47)에 의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48)의 일단부는 요동아암(45)에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48)의 타단부는 연결아암(49)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아암(49)은 축(47)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핀(50)이 형성되어 있다. 핀(50)은 크랭크아암(51)에 형성된 긴 구멍(52)내에 끼워지고, 스프링(53)에 의해 도 7에 있어서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모터축(54)이 고정된 캠(55)은 크랭크아암(5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일지폐집적장치(30)는 익근차(32)와는 반대측에 핀(68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요동가능한 상부셔터부재(56a)와 핀(68b)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요동가능한 하부셔터부재(56b)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셔터부재(56a)와 하부셔터부재(56b)는 하부셔터부재(56b)에 설치된 핀(57)과 상부셔터부재(56a)에 형성된 긴 구멍(5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셔터부재(56a)에는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개구(59)를 통해 외방으로 돌출한 로울러(60)가 형성되어, 로울러(60)는 블록(43)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부재(61)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2)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 있어서는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모터축(54)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구동엔드레스벨트(33)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모터축(54)이 회전되면, 캠은 반바퀴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크랭크아암(51)은 하방으로 이동된다. 연결아암(49)에 형성되어 크랭크아암(51)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52)내에 끼워져 있는 핀(50)은 스프링(5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핀(50)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연결아암(49)는 하방으로 요동된다. 따라서, 요동아암(45)도 스프링(48)에 의해 하방으로 요동되고, 요동아암(45)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부(46)와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춤된 로울러축(42)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장착유니트(38)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장착유니트(38)에 장착된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접근하도록 이동된다.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하강하여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된 지폐와 맞닿으면, 장착유니트(38)의 하강이동은 정지하고 요동아암(45)과 연결아암(49)의 요동도 정지한다. 크랭크아암(51)이 계속 하강하더라도, 연결아암(49)에 형성되어 크랭크아암(51)에 형성된 긴 구멍(52)에 끼워진 핀(50)의 이동은 정지된다. 그 결과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된 지폐는 스프링(53)의 스프링력에 의해 종동엔드레스벨트(34) 및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서 유지된다.
더욱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누름판(35)은 지폐누름판(35)을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36)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개구(64)를 통해 외방으로 돌출하는 로울러(63)를 구비하고 있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유니트측판(40)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 및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의 반대측의 벽부에는 솔레노이드(65), 솔레노이드(65)의 플런저(66)에 연결된 링크(67)와 작동판(69)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판(69)의 일단부는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축(47)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작동판(69)의 타단부는 링크(67)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작동판(69)의 측면은 로울러(63)에 맞닿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될 때,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고, 이 때 작동판(69)은 로울러(63)에 맞닿는다. 지폐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 보내어진 후, 솔레노이드(65)는 적절한 타이밍에 구동되어 작동판(69)이 도 6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도 7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로울러(63)를 누르고, 이에 의해 지폐는 지폐의 후단부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한 벽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방식으로 지폐누름판(35)에 의해 집적된다.
반면에, 모터축(54)이 회전되어, 장착유니트(38)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된 지폐는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 유지되어진 후에, 로울러(63)은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개구(6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누름판(35)은 종동엔드레스벨트(34)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측의 표면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폐누름판(35)이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부터의 지폐의 송출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는 지폐집적판(70)이 설치되어 있는데, 지폐의 집적시 지폐의 집적판(70)의 상면에 지폐가 집적된다. 지폐집적판(70)은 로울러축(42)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슬라이드판(71)에 연결되어 있고, 장착유니트(38)와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지폐의 집적시에는 지폐집적판(70)은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33)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되고, 그 상면에 지폐가 수취된다. 반면에,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부터 지폐를 송출하기 위해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 집적된 지폐가 유지될 때, 지폐집적판(70)이 종동엔드레스벨트(34)의 상면보다도 하방으로 퇴피된다. 지폐가 이러한 방식으로 지폐집적판(70)에 집적되기 때문에, 집적된 지폐중 첫 번째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로부터 마찰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첫 번째 지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되는 것이 보증된다.
제이지폐집적장치(80)는 제이게이트부재(28)와 인접하여 드럼(4)의 후방에 그 길이방향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일지폐집적장치(3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과 금고(90)에서 지폐의 집적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는 그 입구부분에 익근차(92)와, 익근차(92)에 의해 금고(90)내로 송입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93)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는 가동지폐집적판(94)상에 집적된다. 가동지폐집적판(94)은 그 위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에 따라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지폐누름판(95)은 가동지폐집적판(94)상에 집적된 지폐를 누르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지폐누름판(95)은 솔레노이드(96)의 플런저(97)에 연결된 링크(98)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지폐가 금고(90)내에 들어가기(송입되기) 시작하는 상태, 지폐의 선단부가 금고(90)내에 들어가서 지폐가 지폐누름판(95)의 하면을 따라 안내되는 상태, 지폐가 금고(90)내로 더 들어가서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93)에 의해 검출된 상태 및 솔레노이드(96)가 구동되어 지폐누름판(95)의 선단부가 지폐집적판(94)을 향하여 눌려져서 금고(90)내로 송입된 지폐가 정지되고 지폐의 후단부가 익근차(92)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폐가 익근차(92)에 의해 지폐누름판(95)의 하면을 따라서 금고(90)내로 들어가서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93)에 의해 검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솔레노이드(96)가 구동되어서 금고(90)내에 송입된 지폐가 정지되고, 지폐의 후단부가 익근차에 의해 하향으로 낙하된다. 그 결과, 지폐는 그 후단부가 금고(90)의 입구측의 벽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방식으로 지폐집적판(94)상에 집적된다.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지폐입금부(10)의 약측면도, 그것의 약평면도, 그것의 약정면도 및 도 15에의 A-A선에 따른 그것의 약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부(10)는 유니트측판(50)을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는 유니트측판(150)에 고정되어 있다.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폐가이드(151)는 유니트측판(150)에 장착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지지부재(152)에 지지된 축(153a, 153b, 153c)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울러(154a, 154b, 154c) 둘레에 감겨 있다. 중앙축(153b)은 지지부재(152)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유니트측판(150)의 외방에 돌출되어 있다. 장착블록(155)은 축(153b)의 돌출부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블록(155)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라이드레일(156)을 통해 유니트측판(1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폐누름판(13)은 지지부재(157a, 157b)를 통해서 축(153a, 153c)에 의해 지지되어 스프링(158)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으로 가압된다.
솔레노이드(160)는 유니트측판(150)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축(153b)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아암(163)은 솔레노이드(160)의 플런저(161)상에 장착된 링크(162)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부재(166)의 일단부는 지지부재(152)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한 축(165)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연결부재(166)의 타단부는 지폐누름판(13)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아암(163)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167)는 연결부재(166)와 걸어맞춤되어 있다.
지폐누름판(13)에는 센서작동판(170)이 설치되어 있고 센서작동판(170)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171)는 지폐누름판(1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지지부재(152)에 설치되어 있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180)의 출력축(181)에 고정된 캠(182)은 유니트측판(150)의 외방에 설치되어 있고, 센서(183)와 센서(184)는 캠(18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센서작동판(185)은 센서(183)와 센서(18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캠(182)상에 장착되어 있다.
캠(182)의 근방에는, 캠(182)에 맞닿는 캠폴로우어(186)를 지지하고 축(187)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아암(188)과, 스프링(189)을 통해서 구동아암(188)과 연결되어 일단부에서 축(187)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아암(190)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아암(190)의 타단부에는 요부(191)가 형성되어 있고, 유니트측판(151)에 형성된 개구(192)로부터 돌출한 축(153b)은 요부(191)와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195)는 지폐가 지폐입금부(10)내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센서(196)는 지폐가 지폐입금부(10)의 하단부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17은 지폐입금부(10)로부터 지폐를 취출하기 위한 지폐취출장치의 약측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취출장치는 지폐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지폐를 취출하는 취출로울러(16)와, 2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출로울러(16)와 협동하는 분리로울러(17), 취출로울러(16)의 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종동반송로울러(18a)와, 기준로울러(19), 종동로울러(20) 및 로타리엔코더(21)로 구성되어 있고, 지폐가 기준로울러(19)와 종동로울러(2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때의 종동로울러(20)의 이동량에 근거하여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고, 로타리엔코더(21)에 의해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지폐두께센서(22)를 구비하고 있다.
취출로울러(16)는 고마찰재료로 형성된 주면을 가지고 있고, 그것의 축을 따라서 대직경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로울러(17)에는 취출로울러(16)의 대직경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와 맞물리는 소직경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출로울러(16)와 분리로울러(17)에 의해 2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일지폐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울러(18a)는 토크리미터(torque limiter)(18b)를 통해서 지지축(18c)에 연결되어 있고, 취출로울러(16)와 반송로울러(18a)에 의해 2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이지폐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토크리미터(18b)는 반송로울러(18a)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의 토크 이상일 때 반송로울러(18a)와 지지축(18c)과의 연결을 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서, 부재번호 23a는 제일지폐반송부(23)에 설치되어, 제일지폐반송부(23)의 하면을 구성하는 지폐가이드(26b)와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로울러를 가리킨다. 반송로울러(23a)는 취출로울러(16)보다 빨리 회전되어 지폐의 분리를 촉진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구동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도 19은 그 검출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의 구동시스템은 셔터(2)를 개폐하는 모터(100), 드럼(4)을 회전시키는 모터(126),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키는 모터(131),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이동시키는 모터(122), 제일셔터(7)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142), 제이셔터(8)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149), 제삼셔터(9)를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시키고 이것을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시키는 솔레노이드(112), 지폐입금부(10)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키는 모터(207), 종동엔드레스벨트(12)를 이동시키는 모터(180), 지폐누름판(13)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160), 제일지폐반송부(23), 제이지폐반송부(25) 및 제삼지폐반송부(27)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익근차(32),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익근차(832) 및 금고(90)의 익근차(92)를 회전시켜 전자클러치(400) 및 전자브레이크(402)를 통해서 취출로울러(16)를 회전시키는 모터(208),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를 구동시키는 모터(210),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로울러축(42)과 종동엔드레스벨트(34) 즉, 장착유니트(38)를 회전시키는 모터(211),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지폐누름판(35)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65), 제이지폐집적장치(80)에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833)를 구동시키는 모터(212), 제이지폐집적장치(80)에 설치된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834)를 이동시키는 모터(213), 제이지폐집적장치(80)에 설치된 지폐누름판(835)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14), 금고(90)의 지폐누름판(95)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96), 제일게이트부재(26)를 구동시키는 게이트구동수단(215), 제이게이트부재(28)를 구동시키는 게이트구동수단(216), 금고(90)의 지폐집적판(94)을 이동시키는 모터(217), 지폐입금부(10)의 셔터(15)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2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의 검출시스템은 지폐두께센서(22),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를 판별하고 지폐가 입금가능한 경우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24),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39),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839), 금고(9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93), 지폐누름판(13)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71),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센서(183)과 센서(184), 지폐가 지폐입금부(10)내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195), 지폐가 지폐입금부로(10)의 후단부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196) 및 취급구(1)내의 지폐를 검출하는 센서(2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의 제어시스템은 검출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터와 솔레노이드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CPU(2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이렇게 구성된 지폐입금기는 고객이 지폐입금기에 입금한 지폐를 하기 방식으로 처리한다.
고객이 입력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소정의 지시신호를 입력하면, CPU(250)는 모터(100), 솔레노이드(142) 및 솔레노이드(112)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이에 의해 셔터(2)와 제일셔터(7)가 개방되고, 드럼(4)의 지폐의 반송로내로 제삼셔터(9)가 돌출된다.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가 돌출하는 지폐반송로의 중앙부 사이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고,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반송로의 취급구(1)측의 단부 사이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될 지폐중 장변의 길이가 가장 긴 지폐는 제삼셔터(9)에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와의 사이에 수용되고,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위치되도록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 사이에 수용된다.
이어서, 고객이 지폐를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놓고, 입력수단을 통해서 지폐를 입금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입력하면,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12)에 출력해서 지폐반송로내에 돌출하는 위치에 유지된 제삼셔터(9)를 퇴피시키고, 구동신호를 모터(122)에 출력해서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가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 위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 사이에 수용되기 때문에, 모든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31)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켜, 이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5) 및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유지된 지폐가 드럼(4)내로 들어가게 된다.
지폐가 드럼(4)내로 들어갔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00)와 솔레노이드(142)에 출력해서 셔터(2)와 제일셔터(7)를 닫고, 구동신호를 모터(126)에 출력해서 드럼(4)을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80)로 출력해서 센서(183)가 센서작동판(185)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될 때까지 모터(980)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종동엔드레스벨트(12)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동시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60)에 출력하고 솔레노이드(160)를 구동시킨다. 그 결과, 플런저(161)는 수축되고, 링크(162), 아암(163), 아암(163)의 선단부의 로울러(167) 및 연결부재(166)를 통해서 스프링(158)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으로 가압되고 있는 지폐누름판(13)은 스프링(15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측의 표면보다도 후방으로 퇴피된다.
그 후, CPU(250)는 솔레노이드(142)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제일셔터(7)를 열고, 구동신호를 모터(131)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키고,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유지된 지폐를 드럼(4)으로부터 송출한다. CPU(250)는 지폐의 소정길이가 송출된 시점에서 모터(131)로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모터(131)를 정지시킨다.
더욱이, CPU(250)는 모터(180)에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센서(184)가 센서작동판(185)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될 때까지 모터(180)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캠폴로우어(186)는 캠(182)에 의해 도 16에 있어서 우측으로 밀려서, 요동아암(188)이 이에 의해 축(187)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스프링(189)을 통해서 구동아암(188)에 연결되어 있는 요동아암(190)도 축(187)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요동아암(190)의 선단부에 형성된 요부(191)와 걸어맞춤되어 있는 축(153b)은 유니트측판(150)의 개구(19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종동엔드레스벨트(12)가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으로 이동된다. 센서(184)가 센서작동판(185)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될 때까지 구동아암(188)이 모터(180)에 의해 축(187)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지만, 요동아암(190)의 요동운동이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에 유지된 지폐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요동아암(190)은 지폐의 장수에 따른 위치에 정지된다. 그 결과,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스프링(189)의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향하여 가압되어, 지폐는 종동엔드레스벨트(12)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31)와 모터(207)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켜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에 유지된 지폐를 지폐입금부(10)내로 송입한다.
지폐가 센서(196)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가 CPU(250)로 입력되면, CPU(250)는 모터(131)와 모터(207)로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정지신호를 솔레노이드(160)에 출력해서 솔레노이드(160)를 정지시킨다. 그 결과, 지폐누름판(13)은 스프링(158)의 스프링력에 의해 지폐를 누른다. 그리고 CPU(250)는 모터(180)에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모터(18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모터(180)가 정방향으로 구동됨과 아울러,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되기 시작하고, 지폐누름판(13)은 종동엔드레스벨트(12)로부터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향하여 돌출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의 사이에 지폐를 끼운다.
모터(180)이 정방향으로 더욱 회전되어 종동엔드레스벨트(12)가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멀어지도록 떨어지면, 지폐누름판(13)은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지도록 점차로 이동된다. 그 결과, 센서(171)가 지폐누름판(13) 위에 설치된 센서작동판(170)에 의해 작동되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되어 CPU(250)가 정지신호를 모터(180)로 출력해서 모터(18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20은 모터(180)가 센서(171)로부터 CPU(250)로 작동신호를 출력한 결과로서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지폐누름판(13) 및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지폐에 작용하는 힘은 거의 제로로 되고, 따라서, 지폐는 자중에 의해 하단판(14)상에 낙하한다. 지폐가 낙하할 때, 하단판(14)로부터 지폐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하여 하단판(14)의 상면과 지폐의 선단부는 하단판(14)의 상면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CPU(250)이 모터(180)에 정지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CPU(250)는 모터(180)에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소정의 시간동안 모터(18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 결과, 선단부가 하단판(14) 위에 놓여진 지폐는 다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된다. 그 후 CPU(250)가 구동신호를 모터(180)에 출력해서 모터(18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센서(171)가 센서작동판(170)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되면, CPU(250)는 모터(180)로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소정시간이 경과후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80)를 출력해서 모터(180)를 소정시간동안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모터(180)에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지폐가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된 상태에서 모터(18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서의 지폐의 유지동작과 지폐의 해제동작을, 즉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서 지폐를 유지하는 동작과 유지된 지폐의 해제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지폐에 진동을 가하여, 지폐의 선단부가 하단판(14)의 상면을 따라 정렬된다.
입금된 지폐는 지폐누름판(13), 하단판(14), 및 구동엔드레스벨트(11)에 의해 유지된 후 한 장씩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된다. 이를 위해,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08)에 출력하고, 이로써 제일지폐반송부(23), 제이지폐반송부(25) 및 제삼지폐반송부(27)가 구동되고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익근차(32),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익근차(832) 및 금고(90)의 익근차(92)가 회전된다. 이어서, CPU (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218)에 출력해서 셔터(15)를 개방하고 모터(207)에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킨다. 그 결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측에 위치하는 소정 장수의 지폐가 취출로울러(16)를 향하여 송출된다.
이 지폐의 송출과 동기하여, 전자브레이크(402)가 해제되고 전자클러치(400)가 구동되어, 이에 의해 취출로울러(16)가 회전되고 지폐가 한 장씩 취출된다.
취출로울러(16)의 주면은 고마찰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취출로울러(16)에는 분리로울러(17)의 소직경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와 맞물리는 대직경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취출로울러(16)와 분리로울러(17)에 의해 구성된 제일지폐분리부로부터 지폐에 대하여 지폐를 분리하는 힘이 가하여져서 두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장 이상의 지폐가 제일지폐분리부를 통해서 통과될 때, 이들 지폐는 취출로울러(16)와 반송로울러(18a) 사이의 공간으로 보내어진다. 그러나, 인접한 지폐간에 생기는 마찰력이 한 지폐가 취출로울러(16) 및 반송로울러(18a) 사이에 유지될 때 반송로울러(18a)와 지폐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보다 작기 때문에, 토크리미터(18b)에 작용하는 토크는 소정의 토크보다 작다. 따라서, 반송로울러(18a)와 지지축(18c)은 토크리미터(18b)에 의해 연결된다. 그 반송로울러(18a)는 관성력에 의해 정지되고 회전하고 있는 취출로울러(16)와 접촉하는 지폐만이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이에 의해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되고 두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취출로울러(16)의 주면이 고마찰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는 통상적으로 한 장씩 분리된다. 그러나, 두장 이상의 지폐가 그 일부가 겹쳐서 보내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준로울러(19), 종동로울러(20) 및 로타리엔코더(21)로 구성되어 있는 지폐두께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두께센서(22)는 지폐 또는 지폐들이 기준로울러(19)와 종동로울러(2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통과될 때 로타리엔코더(21)에 의해 검출된 종동로울러(20)의 이동량에 근거해서 지폐두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CPU(250)로 출력한다. CPU(250)가 입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지폐두께가 처리될 지폐의 두께의 두배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로타리엔코더(21)에 의해 검출된 종동로울러(20)의 회전량에 근거하여 두께가 처리될 지폐의 두께의 두배 이상인 지폐 또는 지폐들을 지폐두께센서(22)가 검출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같거나 더 길다고 판정하면, CPU(250)는 두장 이상의 지폐가 상당히 많이 겹쳐진 상태로 보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은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CPU(250)는 소정시간동안 전자클러치(400)를 해제하고 취출로울러(16)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전자브레이크(402)를 구동시킨다. 그 결과, 선행하는 지폐의 후단부가 취출로울러(16) 및 반송로울러(18a) 사이의 간극을 이미 통과하였기 때문에, 선행하는 지폐만이 취출로울러(16)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는 반송로울러(23a)에 의해 하류측으로 보내어지고, 이에 의해 지폐는 확실하게 한 장씩 분리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처리될 지폐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배 이상인 지폐 또는 지폐들이 검출되었지만, 그 검출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 지폐는 약간 겹쳐 있으며, 취출로울러(16)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는 반송로울러(23a)에 의해 선행하는 지폐를 반송함으로써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 CPU(250)는 어떠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지폐의 처리를 속행한다.
그러므로, CPU(250)가 전자클러치(400)를 해제하고 전자브레이크(402)를 구동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근거로 되는 소정시간은,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는 반송로울러(23a)에 의해 두장 이상의 지폐가 분리시킬 수 있을 만큼 겹쳐져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소정시간이 취출로울러(16)의 회전속도, 반송로울러(23a)의 회전속도, 처리될 지폐의 최대길이, 처리될 지폐의 최소길이 및 처리될 지폐의 재질 등에 종속되지만, 처리될 지폐중 가장 길이가 긴 지폐의 ½ 길이를 검출하는데 요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씩 취출되는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지폐두께센서(22)로부터 아무런 검출신호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07)에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에 위치하는 지폐가 취출로울러(16)를 향하여 송출된다.
제일지폐반송부(23)에서, 각각의 지폐는 지폐의 장변이 반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폐의 배향이 보정되면서 지폐입금기의 후방을 향하여 보내어져서, 제이지폐반송부(25)에 도달된다.
지폐가 제이지폐반송부(25)에 도달된 때, 제이지폐반송부(25)의 시단부에 설치된 지폐판별부(24)는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와 지폐가 입금가능한 경우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여 검출신호를 CPU(250)로 출력한다.
제이지폐반송부(25)에 도달된 지폐는 상방으로, 이어서 지폐입금기의 후방을 향하여 반송된다.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하다고 판정된 지폐가 제이지폐반송부(25)의 종단부에 설치된 제일게이트부재(26)에 도달하면, CPU(250)는 구동신호를 제일게이트부재구동수단(215)에 출력해서 제일게이트부재(26)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 송입된다.
이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유니트(38)는 상부위치에 유지되고,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의 상부표면보다 상방에 위치되며, 지폐누름판(35)은 지폐집적판(70)의 상부표면과 맞닿는다. 따라서,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하다고 판별된 지폐는 지폐누름판(35)의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 송입된다. 입구에 설치된 센서(39)가 입금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한 때, 검출신호가 CPU(250)로 출력되고, CPU(250)가 센서(39)로부터 검출신호를 받은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65)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지폐누름판(35)의 선단부가 지폐집적판(70)을 향하여 눌려지게 된다. 그 결과,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그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어 모터(208)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익근차(32)에 의해 그 후단부가 낙하되도록 정지되고, 이에 의해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그 후단부가 익근차(32)측의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벽부를 따라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된다.
반면에,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가능하다고 판별된 지폐가 제일게이트부재(26)에 도달했을 때, CPU(250)는 제일게이트구동수단(215)에 역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제일게이트부재(26)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제삼지폐반송부(27)로 도달되어 상방으로 반송된다. 입금가능하다고 판별된 지폐가 제이게이트부재(28)에 도달했을 때, CPU(250)는 제이게이트구동수단(216)에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제이게이트부재(28)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제이지폐집적장치(80)로 송입된다. 입금가능한 지폐는 지폐누름판(835)의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제이지폐집적장치(80)로 송입된다. 입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가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839)에 의해 검출되면, 검출신호가 CPU(250)로 출력되고, CPU(250)가 검출신호를 받은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214)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지폐누름판(835)이 하방으로 눌려진다. 그 결과, 입금가능한 지폐는 그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어 그 후단부가 모터(208)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익근차(832)에 의해 낙하되도록 정지되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그 후단부가 익근차(832)측의 제일지폐집적장치(80)의 벽부에 따라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에 집적된다.
CPU(250)가, 센서(195)와 센서(196)로부터의 검출신호와 지폐판별부(24)로부터 입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지폐입금부(10)로부터 마지막으로 송출된 지폐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 제이지폐집적장치(80) 또는 금고(90)로 반송되었다고 판정한 때에는,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11)로 출력해서 모터축(54)를 회전시켜 장착유니트(38)와 종동엔드레스벨트(34)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일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된입금불가능한 지폐가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 유지된다. 이 때, 지폐누름판(35)은 구동엔드레스벨트(33)의 상부표면보다도 상방에 위치된다. 동시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26)에 출력해서 드럼(4)을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 45도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49)에 출력해서 제이셔터(8)를 개방하여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의해 유지된 입금불가능한 지폐의 선단부를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유지시킨다. 그 후,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10)와 모터(131)에 출력하여 구동엔드레스벨트(33)와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켜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드럼(4)내로 집어 넣는다.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드럼(4)내에 넣어졌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49)로 출력해서 제이셔터(8)를 닫고 구동신호를 모터(126)에 출력해서 드럼(4)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45도만큼 회전시킨다. 또한,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42)와 모터(100)에 출력해서 제일셔터(7)와 취급구(1)의 셔터(2)를 열고, 구동신호를 모터(131)에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켜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반려한다. 그 후,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12)로 출력해서 제삼셔터(9)를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시키고 드럼(4)내의 지폐의 반송로를 닫고 구동신호를 모터(122)로 출력해서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그것의 퇴피위치로 퇴피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고, 지폐위치대(3)의 드럼(4)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지폐위치대(3)의 전체부분에 걸쳐 위치되고,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지폐위치대(3) 위에 위치되어, 취급구(1)로 반려된다. 또한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00)로 출력해서 셔터(2)를 취급구(1)내의 지폐위치대(3) 위로 반려된 지폐 위에 위치시켜서, 셔터(2)의 자중에 의해 지폐를 누르도록 한다.
반면에, 입금된 지폐가 지폐입금부(10)로부터 모두 송출되어,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 및 입금가능한 지폐의 경우 지폐의 종류가 판별된 후에, CPU(250)는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에 판별결과를 표시한다. 고객이 입금된 지폐의 금액을 확인하고 입력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입금을 지시한 때, 입금가능한 것으로 판별되어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에 집적된 지폐는 입금불가능한 지폐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CPU(2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 드럼(4)속으로 되돌려 보내어진다.
드럼(4)로 되돌려 보내어진, 입금가능한 지폐는 최초 입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폐입금부(10)로 보내어져서, 제일지폐반송부(23), 제이지폐반송부(25), 제일게이트부재(26) 및 제삼지폐반송부(27)를 경유해서 제이게이트부재(28)로 보내어진다. 이 지폐는 제이게이트부재(28)에 의해 금고(90)를 향하여 보내어진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금고(90)를 향하여 보내어진, 입금가능한 지폐는 각각 지폐누름판(95)의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금고(90)내로 보내어진다. 센서(93)가 입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가 CPU(250)로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96)로 출력해서 솔레노이드(96)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그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지되고, 그 후단부가 모터(208)에 의해 회전되는 익근차(92)에 의해 낙하되어 그 후단부가 금고(90)의 익근차(92)측의 벽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즉, 벽부를 따라서 가즈런히 되는 방식으로 금고(90)내에 집적된다.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취급구(1)로 반려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도 고객이 취급구(1)로 반려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수취하지 않은 때는 취급구(1)의 셔터(2)와 제일셔터(7)는 개방되고, 지폐위치대(3)상의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지폐의 입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드럼(4)내로 집어넣어진다. 그 후, 드럼(4)은 입금불가능한 지폐회수부(29)의 입구와 대향하는 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엔드레스벨트(5)는 구동되고, 이에 의해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입금불가능한 지폐회수부(29)로 회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일집적장치(30), 입금이 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이집적장치(80) 및 입금지폐를 집적하는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는 지폐를 그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하면서 지폐집적장치내로 넣어, 지폐의 후단부가 검출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지폐를 향하여 눌려져서, 지폐의 선단부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지폐를 정지시키는 지폐누름판(35, 835, 9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일지라도 그 장변이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반송되므로 지폐를 그 일단부가 정렬되도록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유지된 상태에서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에 유지되고, 지폐입금부(10)에 도달된다. 따라서, 지폐는 그 장변이 지폐의 반송방향과 일치하도록 반송될 수 있고,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라도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흐트리지 않고 지폐입금부로 보내어질 수 있다. 지폐가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에 의해 소정위치로 반송된 후, 지폐누름판(13)은 돌출되고 지폐는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된다. 그 후,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진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끼워진 지폐를 해방시켜 지폐를 하단판(14)상에 낙하시킨다. 따라서, 지폐는 그 장변방향이 지폐반송방향과 일치하도록 반송될 수 있고, 지폐반송방향에서의 지폐의 길이가 크게 다른 경우라도, 지폐의 선단부는 하단판(14)의 상부표면과 확실하게 정렬될 수 있고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해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판(14) 위에 낙하된 지폐는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되고, 해방되어(지폐의 유지가 해제되어), 다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된 후, 지폐는 지폐입금부(10)로부터 송출된다. 따라서, 지폐에 진동이 가하여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지폐의 선단부를 하단판(14)의 상부표면과 정렬시킬 수 있고,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에 의해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로울러(16)를 향하여 송출되므로, 통상 설치되는 송급로울러없이 지폐를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폐입금부의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고, 취급구(1)의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취급구(1)측의 단부간의 거리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제삼셔터(9)에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 사이에 수용되고,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지폐위치대(3)의 드럼(4)과의 반대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 사이에 수용되도록, 지폐는 취급구(1)내로 입금될 수 있다. 그래서 취급구(1)로 투입된 지폐는 그 길이에 관계없이 지폐입금기내로 확실하게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지폐위치대(3)의 드럼(4)측의 단부와 제삼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반려할 때,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지폐위치대(3)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반려될 수 있고, 그 결과, 고객은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제일지폐집적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약측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제일지폐집적장치는 비틀림 스프링(30)이 지지축(36)과 지폐누름판(35)상에 부착되고 지폐누름판(35)이 비틀림 스프링(30)에 의해 상방으로 일정하게 가압된다는 점에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일지폐집적장치(30)와 구조면에서 다르다. 더나아가,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39)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센서(39)보다 더욱 상류측에 위치된다. 그밖의 다른 구조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일지폐집적장치(30)와 동일하다. 제일지폐집적장치(30)는 접히기 쉽고 구겨지기 쉬운 지폐를 집적하는 데에 유용하다. 특히, 지폐누름판(35)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서 자체무게에 의해 지폐집적판(70)의 상면에 대하여 접한다. 접히기 쉽지 않고 구김이 없는 지폐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로 제일지폐집적장치(30)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접히기 쉽거나 구겨진 지폐를 보내는 경우에는 지폐의 선단부가 지폐누름판(35)에 접하게 될지라도, 그것은 자체무게에 대향하여 지폐누름판(35)을 상방으로 밀수 없고, 그래서 지폐가 그 후단부가 지폐누름판(35)에 대하여 접하면서 접힌채로 집적될 위험성이 있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 지폐누름판(35)의 선단부는 비틀림 스프링(300)에 의해 상방으로 일정하게 가압된다.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39)가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한 경우에, 그것은 검출신호를 CPU(250)에게 출력시킨다. CPU(250)가 센서(39)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CPU(250)는 솔레노이드(65)에게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럼으로써 비틀림 스프링(300)에 의해 더 높은 위치에 유지된 지폐누름판(35)의 선단부를 지폐집적판(70)상으로 누른다. 그 결과, 입금불능지폐의 선단부는 소정의 위치에 정지되고 그의 후단부는 모터(208)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익근차(32)에 의해 낙하되고, 그래서 지폐는 그 후단부가 익근차(32)측상에 벽부분과 정렬되도록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된다. 지폐누름판(35)의 선단부는 이러한 방식으로 지폐를 정지시킨 경우 더 높은 위치에 일정하게 유지되고 솔레노이드(65)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39)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일지폐집적장치(30)의 센서보다 지폐반송방향에 대하여 더욱 상단에 위치한다. 더나아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는 지폐반송방향에 대하여 그의 상류측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그의 하류측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65)의 구동이 정지되고 지폐누름판(35)이 비틀림 스프링(300)에 의하여 상류측으로 복귀되는 경우, 입금불능지폐는 그의 후단부가 익근차(32) 측상의 벽부분과 정렬되도록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확실히 집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접히거나 구겨지더라도, 그것을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할 수 있고, 그래서 그것의 후단부가 익근차(32)의 측상의 벽부분과 정렬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폐처리기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구조를 도시하는 약측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폐처리기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에 지폐집적판(870)의 일단부(870a)가 익근차(832)측상의 벽부분의 하단부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사실상의 중앙부가 측판(871)상에 형성된 가이드로울러(820)이 맞물려 있는 슬롯(3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지폐집적장치(30)와 마찬가지로, 지폐누름판(835)는 비틀림 스프링(330)에 의해 일정하게 가압되고 그래서 선단부는 상부에 위치하고, 제이게이트부재(28)에 인접한 로울러(340)에는 센서(839)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일지폐집적장치와 같다.
그래서, 종동엔드레스벨트(834)는 상부로 퇴피하고 지폐가 집적되고, 측판(871)이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지폐집적판(870)은 익근차(832)의 측상의 벽부분의 하단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일단부(870a)에 대하여 요동하고, 하류측 지폐송입방향에 대하여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입금가능한 지폐를 집적한다.
도 23은 지폐의 선단부가 송입되어 들어가는 바로 그때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를 도시하는 약측면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를 집적하는 경우에, 종동엔드레스벨트(843)는 구동엔드레스벨트(833)으로부터 상부로 이동되고, 측판(871)도 또한 상부로 이동된다.
결국, 일다부(87a)가 익근차(892) 측상의 벽부분의 하단부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롯(310)을 통하여 측판(871)상에 형성된 가이드 로울러(320)에 의해 지지되는 지폐집적판(870)은 일단부(87a)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고, 그것의 하류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더나아가, 지폐누름판(835)는 비틀림 스프림(33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고, 그래서 선단부는 상부에 위치한다.
도 24는 후단부가 센서(839)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를 도시하는 약측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39)가 입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경우에, 검출신호는 CUP(250)으로 출력되고, CPU(250)는 솔레노이드(865)에게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결과, 지폐누름판(835)의 선단부는 비틀림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지폐집적판(870)의 상면을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 25는 지폐의 선단부가 지폐누름판(835)의 선단부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를 도시하는 약측면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의 선단부가 지폐누름판(835)의 후단부에 의해 눌려지고 지폐가 정지한 경우, 지폐의 후단부는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벽부분을 따라 익근차(832)에 의해 낙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폐는 그 후단부가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벽부분을 따라 익근차(832)에 의해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지폐누름판(835)의 선단부에 의해 눌려지지 않기 때문에, 접히거나 구겨진 지폐일지라도 소망하는 방식으로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로 송입될 수 있다.
도 26은 솔레노이드(865)가 정지하고 지폐의 선단부가 비틀림 스프링(33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의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약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에 의하면, 지폐의 선단부가 지폐누름판(835)의 선단부에 의해 눌려진 후에, 그에 의해서 지폐는 정지하고, 지폐의 후단부는 제이지폐집적장치(80)의 벽부분을 따라 익근차(832)에 의해 낙하되고, CPU(250)는 솔레노이드(865)에게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한다. 그결과, 지폐누름판(835)의 선단부가 비틀림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퇴피한다. 지폐집적판(87)이 일단부(870a)에 대하여 요동하고, 하류측이 지폐송입방향에 대하여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고,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로 송입된 지폐는 익근차(832)측상의 벽부분과 정렬하도록 확실히 집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가 제이지폐집적장치내로 송입되는 경우에 지폐누름판(835)의 선단부가 비틀림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퇴피하기 때문에, 접히거나 구겨진 지폐일지라도 소망하는 방식으로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로 송입될 수 있다. 더나아가, 지폐집적장치(870)는 일단부(870a)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고 지폐를 집적하는 경우에 하류측이 지폐송입방향에 대하여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로 송입된 지폐는 익근차(832)측상의 벽부분과 정렬하도록 확실히 집적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장치의 상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과 수식이 행하여질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 지폐처리기가 지폐입금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지폐입금기 외에 예컨대 지폐입출금기와 지폐계수기와 같은 지폐처리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일지폐집적장치(30), 입금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이지폐집적장치(80) 및 입금된 지폐를 집적하는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에는 각각 익근차(32, 832, 92)가 구비되어 있지만, 지폐의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에 정지되도록 지폐를 정지시키는 지폐누름판(35, 835, 95)이 설치되어 있어 지폐가 익근차(32, 832, 92)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 후단부가 정렬되면서 집적될 수 있으므로, 익근차(32, 832, 92)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지폐누름판(35, 835, 95)은 솔레노이드(65, 214, 96)에 의해 구동되지만, 지폐누름판(35, 835, 95)은 솔레노이드(65, 214, 96) 이외에 다른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단판(14)에 낙하된 지폐는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되고, 지폐가 해방되어 즉, 지폐의 유지가 해제되어, 다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되고, 그 후 지폐는 지폐입금부(10)로부터 송출된다. 그러나, 하단판(14) 위에 낙하되어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유지된 지폐는 지폐의 유지를 해제하지 않고 송출될 수 있거나 지폐의 유지와 지폐의 유지의 해제가 수차례 반복된 후 송출될 수 있다.
더나아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되고 입금가능한 지폐가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에 집적될지라도, 입금가능한 지폐도 제일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될 수도 있고 입금불가능한 지폐도 제이지폐집적장치(80)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 지폐집적장치는 금고(9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더나아가, 도 21 내지 도 26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누름판(35, 835)의 선단부가 비틀림 스프링(300, 330)에 의해 상방으로 일정하게 가압될지라도, 지폐누름판(35, 835)의 선단부는 비틀림 스프링(300, 330)이 아닌 다른 가압수단에 의해서도 상방으로 일정하게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입금, 출금 또는 반려할 수 있는 지폐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7)

  1.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는 지폐누름부재구동수단;
    집적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이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수단이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폐집적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지폐의 후단부를 낙하시키기 위한 익근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부재는 종동엔드레스벨트수단과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부재는 종동엔드레스벨트수단과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부재는 종동엔드레스벨트수단과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1.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상방으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누르는 지폐누름부재구동수단;
    집적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수단;
    상기 센서수단이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수단이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지폐공급방향에 대하여 그 상류측에 비해 그 하류측이 더욱 상방의 위치에 있도록 본체에 설치된 지폐집적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지폐의 후단부를 낙하시키기 위한 익근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19. 선단부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폐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지폐누름부재;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상방으로 가압시키는 가압수단;
    지폐를 그 상부면에 집적시키기 위한 지폐집적부재;
    지폐집적시에 그 상류측에 비해 그 하류측이 더욱 상방의 위치에 있도록 지폐공급방향에 대하여 그 상류측단부의 근처에서 상기 지폐집적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수단;
    상기 지폐누름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누르는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
    집적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수단;
    상기 센서수단이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수단이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지폐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폐집적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지폐의 후단부를 낙하시키기 위한 익근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누름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장치는 고정된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구동엔드레스 벨트수단과의 사이에 지폐를 유지가능하게 하는 종동엔드레스 벨트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집적부재의 상류측단부는 지폐집적장치의 하류측 벽부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KR1019970006459A 1996-02-29 1997-02-28 지폐처리기 KR10021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43527 1996-02-29
JP4352796 1996-02-29
JP32978896A JP3336210B2 (ja) 1996-02-29 1996-12-10 紙幣処理機
JP96-329788 1996-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61A KR19980063261A (ko) 1998-10-07
KR100212929B1 true KR100212929B1 (ko) 1999-08-02

Family

ID=2638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459A KR100212929B1 (ko) 1996-02-29 1997-02-28 지폐처리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836577A (ko)
EP (1) EP0793199B1 (ko)
JP (1) JP3336210B2 (ko)
KR (1) KR100212929B1 (ko)
CN (1) CN1078170C (ko)
AT (1) ATE239955T1 (ko)
BR (1) BR9701119A (ko)
CA (1) CA2196725C (ko)
DE (1) DE69721616T2 (ko)
ES (1) ES2193290T3 (ko)
MY (1) MY117847A (ko)
SG (1) SG93811A1 (ko)
TW (1) TW32481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123B1 (ko) 2007-02-19 2010-04-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송출 장치, 매체 처리 장치 및 수표 송출 장치
KR101055872B1 (ko) * 2008-11-26 2011-08-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20170042866A (ko) * 2015-10-12 2017-04-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집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1501D0 (en) * 1996-10-15 1996-12-04 Ncr Int Inc Improved ATM
DE69935709T2 (de) 1998-01-07 2007-12-27 Mei, Inc. Vorrichtung zum stapeln und speichern von biegsamen medien
DE29823715U1 (de) * 1998-03-11 1999-10-07 Nsm Ag Vorrichtung zum Speichern und Ausgeben von Banknoten
JPH11328482A (ja) * 1998-05-13 1999-11-30 Fuji Electric Co Ltd 金銭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方法
US6609661B1 (en) * 1998-10-06 2003-08-26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3701543B2 (ja) * 2000-05-24 2005-09-28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計数機
US20050126880A1 (en) * 2002-02-20 2005-06-16 Iannello Richard J. Counter/tabletop alignment note feeder
ITMI20030456A1 (it) * 2003-03-11 2004-09-12 Razzaboni Cima Spa Macchina a tamburo per l'immagazzinamento di banconote.
DE102004002904A1 (de) * 2004-01-20 2005-08-18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Blattgut
US20050183926A1 (en) * 2004-02-23 2005-08-25 Deaville David C. Document stacker with fault detection
JP4567353B2 (ja) * 2004-03-12 2010-10-20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搬送装置
JP4939759B2 (ja) * 2004-03-19 2012-05-3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US8186672B2 (en) 2006-05-22 2012-05-29 Mei, Inc. Currency cassette capacity monitoring and reporting
JP2007323130A (ja) * 2006-05-30 2007-12-13 Laurel Seiki Kk 紙幣処理装置
JP4715656B2 (ja) * 2006-07-05 2011-07-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CN100515543C (zh) * 2006-08-14 2009-07-22 武建国 燃煤锅炉石灰石双效脱硫方法
DE102007020752A1 (de) * 2007-05-03 2008-11-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Annahme und zur Ausgabe von Wertdokumenten
JP4966117B2 (ja) * 2007-07-09 2012-07-0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JP5274303B2 (ja) * 2009-02-25 2013-08-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286178B2 (ja) * 2009-07-10 2013-09-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
JP5469554B2 (ja) 2009-08-28 2014-04-16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
JP5468893B2 (ja) * 2009-12-25 2014-04-09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の搬送方向切替装置、搬送方向制御方法、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CN102583089B (zh) 2011-01-11 2015-11-2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处理装置
DE102011000797A1 (de) * 2011-02-17 2012-08-23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zwei Zwischenspeichern zum Zwischenspeichern der Wertscheine
JP5795990B2 (ja) * 2012-05-14 2015-10-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082359B2 (ja) * 2014-03-24 2017-02-1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幣集積装置
CN103979353A (zh) * 2014-05-30 2014-08-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类介质聚集装置
US9754434B2 (en) * 2015-05-29 2017-09-05 Diebold, Inc. Moveable platen in document handling system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6127931A (zh) * 2016-06-15 2016-11-16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纸币堆叠机构
CN106846613B (zh) * 2016-12-29 2019-03-29 长江大学 回转落料式自动化报账材料整合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6588U (ko) * 1974-05-21 1975-12-04
JPS514074A (ja) * 1974-07-01 1976-01-13 Kogyo Gijutsuin Koshuhakanetsushikitanketsushohikiagesochi
JPS5916094A (ja) * 1982-07-20 1984-01-2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受入装置
JPS59205693A (ja) * 1983-05-06 1984-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4784274A (en) * 1983-10-03 1988-11-15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Bill device
US4570801A (en) * 1984-03-21 1986-02-18 Brannen Ralph L Document handling machine
US4693464A (en) * 1984-12-20 1987-09-15 Laurel Bank Machines Co., Ltd. Apparatus for arranging the obverse and reverse sides of the bills or the like
KR910009308B1 (ko) * 1986-03-18 1991-11-09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지폐장치
JPS6373232U (ko) * 1986-10-30 1988-05-16
JPS6464091A (en) * 1987-09-04 1989-03-09 Laurel Bank Machine Co Transaction inlet collection controller for paper money teller machine
JPS6476181A (en) * 1987-09-17 1989-03-22 Ibm Automatic handling of paper money and paper money storage used therefor
US5626821A (en) * 1990-01-12 1997-05-06 Hitachi, Ltd. Cash transaction machine
DE4205553A1 (de) * 1992-02-24 1993-08-26 Siemens Nixdorf Inf Syst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blaettern zu einem blattbehaelter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der vorrichtung
JP2762336B2 (ja) * 1992-09-17 1998-06-0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の収納繰り出し装置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123B1 (ko) 2007-02-19 2010-04-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송출 장치, 매체 처리 장치 및 수표 송출 장치
KR101055872B1 (ko) * 2008-11-26 2011-08-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20170042866A (ko) * 2015-10-12 2017-04-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집적장치
KR102420217B1 (ko) * 2015-10-12 2022-07-1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1119A (pt) 1998-09-22
EP0793199A3 (en) 1999-09-08
JPH09293160A (ja) 1997-11-11
TW324817B (en) 1998-01-11
DE69721616T2 (de) 2003-11-06
EP0793199B1 (en) 2003-05-07
US5836577A (en) 1998-11-17
DE69721616D1 (de) 2003-06-12
CN1078170C (zh) 2002-01-23
KR19980063261A (ko) 1998-10-07
CA2196725A1 (en) 1997-08-29
SG93811A1 (en) 2003-01-21
EP0793199A2 (en) 1997-09-03
JP3336210B2 (ja) 2002-10-21
ES2193290T3 (es) 2003-11-01
ATE239955T1 (de) 2003-05-15
MY117847A (en) 2004-08-30
CA2196725C (en) 1999-08-31
CN1162563A (zh) 199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929B1 (ko) 지폐처리기
KR100235851B1 (ko) 지폐처리기
KR100291165B1 (ko) 지폐처리기
KR100254791B1 (ko) 지폐처리기
KR100212932B1 (ko) 지폐처리기
JP4651957B2 (ja) 紙幣処理機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488005B2 (ja) 紙幣処理機
JP3445182B2 (ja) 紙幣処理機
JP3781847B2 (ja) 紙幣収納装置
JP3545242B2 (ja) 集積紙幣搬送装置
JP2637152B2 (ja) 自動取引装置
JP3483682B2 (ja) 処理機械の可動枠装着検知装置
JPS62274391A (ja) 貨幣取込装置
JPH11272904A (ja) 紙幣一括払出装置のリジェクト装置
KR20050116658A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0172024A (ja) 紙幣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