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165B1 - 지폐처리기 - Google Patents

지폐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165B1
KR100291165B1 KR1019970006111A KR19970006111A KR100291165B1 KR 100291165 B1 KR100291165 B1 KR 100291165B1 KR 1019970006111 A KR1019970006111 A KR 1019970006111A KR 19970006111 A KR19970006111 A KR 19970006111A KR 100291165 B1 KR100291165 B1 KR 10029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drum
shutter
bank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938A (ko
Inventor
쥰이치 아리카와
요시유키 가토
도루 이나게
와타루 이이다
히데오 아츠미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97006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4Modifying, selecting, changing direction of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지폐처리기는 지폐반송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폐반송로내에 지폐를 끼워 반송할 수 있는 반송위치와, 지폐의 협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한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셔터에 의하여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가 폐쇄되고, 드럼의 회전결과로 상기 지폐반송로가 연직방향을 향하여서 상기 셔터가 하방으로 되고, 지폐반송수단이 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드럼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지폐처리기에 따르면 크기가 매우 다른 지폐의 일단부를 확실히 정렬시켜서 지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폐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지폐처리기{BILL HANDLING MACHINE}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지폐처리기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크기가 매우 다른 지폐의 일단부를 정렬시켜서 지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폐처리기에 관련된다.
종래기술에 관한 설명
지폐입금기, 지폐입출금기와 같은 지폐처리기는 취급구로부터 지폐를 수취하기 위하여 또한 취급구로부터 지폐를 송출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드럼이 제공된다. 그리고 지폐를 수취하고 지폐를 계수하기 위하여 드럼내에 입금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종래의 지폐처리기는 지폐를 집적하고, 집적된 지폐의 선단부에 접하는 취출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취출로울러와 지폐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지폐집적부로부터 지폐를 하나씩 취출하고 또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기 위한 지폐취출장치가 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취출로울러를 이용하여 하나씩 지폐를 분리하는 경우에, 지폐의 일단부가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2개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종래의 지폐처리기는 통상 고객이 지폐의 일단부를 정렬시켜 취급구내로 투입하도록 요구한다.
일본지폐와 같이 지폐의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경우에는, 지폐의 일단부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취출로울러에 의해 2개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조출될 위험성이 적다. 그래서, 고객이 지폐의 일단부를 정렬시켜 지폐처리기에 투입하도록 요구하여 하나씩 분리하여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불편함이 없다.
반대로, 유럽국가의 지폐처럼 그 크기가 181mm??85mm 내지 120mm??61.5mm 까지의 범위에 있어 매우 다른 외국지폐의 경우에는, 지폐의 단변방향이 지폐반송방향과 일치되도록 하여 반송되고, 지폐반송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지폐의 폭은 120mm에서 181mm의 범위이고, 그들을 판별하기 위한 소망하는 경로를 따라 더욱 작은 크기의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장변방향이 지폐반송방향과 일치되도록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처리기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크기가 181mm??85mm에서 120mm??61.5mm 까지의 넓은 범위를 갖는 지폐를 그 장변방향이 지폐반송방향에 일치되도록 하여 반송하는 지폐처리기에 있어서, 처리될 지폐의 길이가 120mm에서 181mm 까지 범위이고, 그래서 고객이 지폐의 일단부를 정렬시키지 못하고 지폐처리기에 투입하는 경우에, 2개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로울러에 의해 가끔 취출되고, 그것에 의하여 지폐걸림이 발생하기도 한다. 지폐걸림이 발생할 때마다 지폐처리기를 정지시키고 2개 이상의 지폐를 하나씩 분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폐처리기의 지폐처리효율은 불가피하게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개략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드럼과 취급구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종단면도,
도 3은 셔터의 개략정면도,
도 4는 지폐입금기의 드럼의 개략좌측면도,
도 5는 지폐입금기의 드럼의 개략우측면도,
도 6은 제 1 지폐집적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배면도,
도 8은 집적된 지폐가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와 한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는 상태(협지된 상태)의 제 1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9는 지폐의 선단부가 금고속으로 방금 송입되기 시작하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0은 지폐의 선단부가 금고속으로 송입되어 지폐가 지폐누름판의 하면을 따라서 안내되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1은 지폐가 금고내로 송입되어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2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지폐집적판쪽으로 지폐누름판의 선단부를 누름으로써 금고내에 송입된 지폐를 정지시켜서 지폐의 후단부가 날개차(vane wheel)에 의해 하방으로 긁히면서 떨어지는 상태에 있는 금고의 지폐집적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13은 지폐입금부의 개략측면도,
도 14는 지폐입금부의 개략평면도,
도 15는 지폐입금부의 개략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17은 지폐를 취출하기 위한 지폐취출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구동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검출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도 20은 모터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5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발명의 요약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다른 지폐의 일단부를 확실히 정렬시켜서 지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폐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지폐반송로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폐를 반송할 수 있도록 지폐반송로내에서 지폐를 협지할 수 있는 반송위치와, 지폐의 협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한 회전가능한 드럼 및 상기 셔터에 의하여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가 폐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결과로 상기 셔터를 하방으로 되도록 상기 지폐반송로가 연직방향을 향하고, 상기 지폐반송수단이 해제위치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드럼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기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그 드럼구동수단은 상기 드럼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미세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드럼에 장착되고, 출력축의 무게중심이 그 출력축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인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을 이루며 장착된 축, 및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그리고 구성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분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는 지폐의 입금시 및 받아들일 수 없는 지폐(입금이 불가능한 지폐; unacceptable bill)의 반려시 사용되는 취급구(1)를 포함하고 있고, 이 취급구(1)는 셔터(2)를 통해 지폐입금기의 내부와 접속되어 있다. 지폐재치대(3)는 취급구(1)에 설치되어 있고, 지폐는 지폐재치대(3) 위에 재치되어 지폐입금기에 입금되고, 받아들일 수 없는 지폐는 지폐재치대(3) 위에 재치되어 반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공(hollow)의 회전가능한 드럼(4)은 지폐입금기의 셔터(2)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4)에는 한 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한 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6)는 한 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제 1 셔터(7)와 제 2 셔터(8)는 지폐의 반송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셔터(9)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하거나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길이는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드럼(4)과 반대측의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지폐반송로의 중앙부 사이의 길이도 처리될 지폐중 장변길이가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드럼(4)과 반대측의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취급구(1)측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단부 간의 길이 및 드럼(4)측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간의 길이는, 처리될 지폐중 장변길이가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지폐는, 셔터(2)와 취급구(1)에 대향하는 드럼(4)의 제 1 셔터(7)가 열려 있고, 제 3 셔터(9)가 지폐의 반송로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취급구(1)내로 투입된다. 따라서,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드럼(4)과 반대측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되어 제 3 셔터(9)에 대해 실질적으로 맞닿게 되고,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 위에 재치되어 있는 방식으로 드럼(4)과 반대측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제 3 셔터(9)가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되고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낮춰지게 된 후에, 취급구(1)내로 투입된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협지될 수 있고,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킴으로써 드럼(4)내로 확실하게 들어갈 수 있다. 드럼(4)은 지폐입금기의 본체에 장착된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지폐입금부(10)는 드럼(4)의 바로 밑에 설치되어있다. 지폐입금부(10)는 한쌍의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11),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는 협지위치(holding position)와, 지폐의 협지가 해제되는 퇴피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한 쌍의 종동엔드레스벨트(12), 종동엔드레스벨트(12)와 일체로 지지되어 있고, 구동엔드레스벨트(11)측의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표면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지폐누름판(13), 지폐입금부(1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단판(14),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하단판(14) 사이의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셔터(15), 지폐입금부(10)로부터 지폐를 취출하기 위해 셔터(15)의 하부와 하단판(14)의 부근에 설치된 취출로울러(16), 및 지폐가 취출로울러(16)에 의해 한 장씩 취출되는 것을 보증하는 분리로울러(17)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11)는 드럼(4)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될 때, 종동엔드레스벨트(12)측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의 표면이, 대응하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의 표면과 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럼(4)내로 집어넣어져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협지된 지폐를 지폐입금부(10)로 보낼 때, 드럼(4)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는 구동된다. 그 결과,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의 공간내로 보내져서(송입되어) 이 양 벨트 사이에 협지된다. 더욱이,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킴으로써 지폐입금부(10)내로 보내어진다. 그 다음,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퇴피위치로 퇴피되고,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 지폐누름판(13) 및 하단판(14)에 의해 지지되어서 지폐입금부(10)내에 저장된다.
제 1 지폐반송부(23)는 지폐입금부(10)의 취출로울러(16)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지폐입금부(10)내에 입금된 지폐는 취출로울러(16)와 분리로울러(17)에 의해 한 장씩 취출되고, 지폐의 장수가, 취출로울러(16)의 직하류측에 설치된 센서(도시안됨)에 의해 계수되어진 후에, 이 지폐는 제 1 지폐반송부(23)로 보내어진다.
제 1 지폐반송부(23)는 지폐의 장변이 지폐의 반송방향과 각도를 형성한 경우에 지폐의 장변이 지폐의 반송방향과 일치되도록 지폐의 방향을 보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지폐를 지폐입금기의 후방측을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방으로 뻗어 있는 제 2 지폐반송부(25)는 제 1 지폐반송부(23)의 종단부(terminal end portion)에 설치되어 있다. 지폐는 제 1 지폐반송부(23)로부터 제 2 지폐반송부(25)로 전달되고 상방으로 반송된 후 지폐입금기의 전방측으로 반송된다.
지폐판별부(24)는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와 입금가능한 경우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 2 지폐반송부(25)의 시단부(beginning end portion)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게이트부재(26)는 제 2 지폐반송부(25)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으로 판별된 지폐는 제 1 게이트부재(26)에 의해 제 1 지폐집적장치(30)로 보내어진다. 반면에 입금가능으로 판별된 지폐는 제 2 지폐반송부(25)의 종단부에 접속된 제 3 지폐반송부(27)에 도달되어 상방으로 반송된다. 이 지폐는 제 2 게이트부재(28)에 의해 제 2 지폐집적장치(80)에 집적된다.
제 1 지폐집적장치(30)는 그것의 길이방향이 수평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드럼(4)의 후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지폐집적장치(80)는 그것의 길이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는 방식으로 드럼(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지폐집적장치(30) 및 제 2 지폐집적장치(8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 1 지폐집적장치(30)는 드럼(4)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 45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지폐를 드럼(4)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드럼(4)과 연통되어 있고, 제 2 지폐집적장치(80)는 드럼(4)이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될 때 지폐를 드럼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드럼(4)과 연통되어 있다.
지폐입금기는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으로 판별되어 일단 고객에게 반려되었지만 고객에 의해 수취되지 않은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지폐입금부(10)의 전방에 위치한 입금불능지폐회수부(29)와, 투입되어 입금가능한 지폐를 보관하는, 지폐입금기의 후부에 위치한 금고(9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입금된 지폐가 모두 지폐입금부(10)로부터 송출되었을 때, 제 1 지폐집적부(30)에 집적된 입금불능지폐는 드럼(4)으로 보내어져서 취급부(1)로 반려된다. 취급부(1)로 반려되었지만, 고객에 의해 수취되지 않은 입금불능지폐는 드럼(4)으로 다시 보내어져서 입금불능지폐회수부(29)에 회수된다.
입금된 지폐의 총금액이 지폐판별부(24)에 의해 행하여진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표시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표시된다. 고객이 입금된 지폐의 금액을 확인하고 지폐입금기에게 지폐를 받아들이도록 지시하였을 때 제 2 지폐집적장치(80)에 집적된 입금가능한 지폐는 드럼(4)으로 보내어지고, 더욱이 지폐입금부(10), 제 1 지폐반송부(23), 지폐판별부(24) 및 제 2 지폐반송부(25)를 경유해서 제 3 지폐반송부(27)로 보내어진다. 그 후 이 지폐는 제 2 게이트부재(28)에 의해 금고(90)내에 보관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급부(1)와 드럼(4)의 상세를 도시하는 개략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100)는 셔터(2)를 개폐시키기 위해 셔터(2)와 드럼(4)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아암(102)은 모터(100)의 출력축(100a)에 고정되어 있고, 로울러(101)는 아암(10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울러(101)는 셔터(2)의 상단부로부터 드럼(4)을 향하여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셔터(2)의 굴곡부(2a)의 하면에 맞닿아서 이것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100)가 구동되어 아암(102)이 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될 때, 아암(102)의 선단부에 장착된 로울러(101)는 원호상(arcuate) 경로를 따라 하강하고, 셔터(2)의 굴곡부(2a)도 하강하며, 이에 의해 셔터(2)는 도 2에 도시된 개방위치로부터 취급부(1)와 지폐입금기의 내부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이동된다.
도 3은 셔터(2)의 개략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셔터(2)의 하연부(lower edge)에는 실질적인 등간격으로 하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지폐재치대(3)의 드럼(4)측의 단부에는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오목부의 크기와 형태는 셔터(2)의 돌기부(2b)에 대해 상보적(보완적)이다. 따라서 돌기부(2b)는, 한 장 이상의 지폐가 셔터(2)와 지폐재치대(3) 사이에 잔류하지 않으면 오목부(3b)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지폐가 그 사이에 잔류한 경우에, 돌기부(2b)와 오목부(3b)는 서로 완전하게 맞물리지 않으며 셔터(2)는 닫힐 수 없다. 결론적으로, 셔터(2)와 지폐재치대(3) 사이에 지폐가 잔류하고 있는가의 여부는 셔터(2)가 닫혔는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드럼(4)에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5)는 로울러(103, 104, 105)의 둘레에 감겨 있고, 지폐가이드(106)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의 종동엔드레스벨트(6)측의 표면보다 약간 하방에 드럼(4) 위에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6)는 로울러(108, 109, 110)의 둘레에 감겨 있고, 로울러(108, 109, 110)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연결부재(10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폐가이드(111)는 종동엔드레스벨트(6)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엔드레스벨트(5)측에 장착되어 있다.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이동되어 떨어졌을 때, 지폐가이드(111)는 스토퍼(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고, 종동엔드레스벨트(6)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측의 표면보다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반면에 종동엔드레스벨트(6)는 자신과 구동엔드레스벨트(5) 사이에 지폐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때, 지폐가이드(111)는 종동엔드레스벨트(6)의 구동엔드레스벨트(5)측의 표면보다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보다 많이 떨어진 위치로 퇴피되고, 이로써 지폐가이드(111)가 지폐의 협지와 지폐의 반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한 단부에 설치된 제 1 셔터(7)는 상부셔터부재(7a) 및 하부셔터부재(7b)를 포함하고 지폐반송로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 2 셔터(8)는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를 포함한다. 제 1 셔터(7)와 제 2 셔터(8)는 상부셔터부재(7a, 8a)와 하부셔터부재(7b, 8b)를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닫히거나 열린다.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대략 중앙부에서 지폐반송로내로 돌출하거나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될 수 있는 제 3 셔터(9)의 하단부는 도 2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12)에 의해 축(113) 주위에서 요동가능한 요동아암(114)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셔터(9)는 솔레노이드(112)를 작동시키고 도 2에 파선으로 표시된 퇴피위치로부터 도 2에 실선으로 표시된 돌출위치로 축(113)을 중심으로 요동아암(114)을 요동시킴으로써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5) 사이의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는 지폐입금기의 드럼(4)의 개략좌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종동엔드레스벨트(6)가 감겨 있는 로울러(108, 109, 110)중 로울러(108, 110)의 로울러축(108a, 110a)은 각각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드럼(4)의 좌측판(115)에 형성되어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긴 구멍(115a, 115a)을 통해서 드럼(4)의 외방으로 돌출하여,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슬라이드레일(116, 116)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블록(117, 117)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블록(117, 117)은 연결판(118)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서, 한쌍의 풀리(119, 119)의 하주면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120)의 양단부는 연결판(118)의 양단부의 하연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로써 연결판(118)은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 L자 형상의 해방아암(121)은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되어 있다. 해방아암(121)이 도 4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되면, 해방아암(121)의 하단부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굴곡부(121a)의 상측면은 연결판(118)의 중앙부의 하연부와 걸어맞춤되고, 이에 의해 연결판(118)은 스프링(12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도 4에서 해방아암(121)의 상단부는 드럼(4)의 측판(115)상에 장착된 모터(122)의 출력축(122a)에 고정된 요동아암(123)에 연결되어, 모터(12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4에 있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풀리(124)는 드럼(4)의 측판(115)에 고정되어 있고, 이 풀리(124)와 지폐입금기의 기체(body)상에 장착된 모터(126)의 출력축(126a)에 고정된 풀리(125)에는 벨트(127)가 그 둘레에 감겨 있다. 드럼(4)은 모터(126)를 구동시킴으로써 그 중심축(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터(126)는 후술하는 CPU(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역 양방향으로 조금씩 반복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지폐입금기의 드럼(4)의 개략우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엔드레스벨트(5)가 감겨 있는 3개의 로울러(103, 104, 105)중 로울러(103, 105)의 로울러축(103a, 105a)은 드럼(4)의 우측판(28)을 통해서 드럼(4)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풀리(129, 130)는 돌출한 로울러축(103a, 105a)상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31)의 출력축(131a)상에 장착된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3)는 측판(128)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134)는 풀리(129, 130, 132, 133) 둘레에 감겨 있고, 모터(131)의 구동력은 풀리(129, 130)와 로울러(103, 105)를 경유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로 전달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셔터(7)를 구성하는 상부셔터부재(7a)와 하부셔터부재(7b)는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135a, 135b) 주위에서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되어 있다. 핀(135a)의 하방의 상부셔터부재(7a)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36a)이 형성되어 있고, 핀(135a)의 상방의 하부셔터부재(7b)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36b)이 형성되어 있다.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부착된 슬라이드판(137)에 형성된 핀(137a, 137b)은 긴 구멍(136a, 136b)을 관통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138, 138)의 한 단부는 제 2 셔터(8)에 더 가까운 슬라이드판(137)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37)은 한쌍의 스프링(138, 138)에 의해 제 2 셔터(8)쪽으로 가압되어 핀(137a, 137b)을 통해서 상부셔터부재(7a)와 하부셔터부재(7b)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축(139)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구동아암(140)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141)은 제 2 셔터(8)에 보다 가까운 슬라이드판(137)의 단부와 걸어맞춤된다. 솔레노이드(142)의 플런저(142a)의 선단부는 축(139)와 핀(141) 사이의 구동아암(14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42)가 작동되어 플런저(142a)가 수축되면, 구동아암(140)은 축(139) 주위에서 도 5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슬라이드판(137)은 스프링(138, 1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 1 셔터(7)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부셔터부재(7a)와 하부셔터부재(7b)는 핀(137a, 137b)을 통해서 핀(135a, 135b) 주위에서 회동되고,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셔터(8)를 구성하는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는 지폐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143a, 143b) 주위에서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자신들이 지폐의 반송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되어 있다. 도 5에서, 핀(143a)의 하방의 상부셔터부재(8a)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44a)이 형성되어 있고 핀(143b)의 상방의 하부셔터부재(8b)에는 지폐의 반송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긴 구멍(144b)이 형성되어 있다.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슬라이드판(145)에 형성된 핀(145a, 145b)은 긴 구멍(144a, 144b)를 관통하고 있다. 일단부가 슬라이드판(137)에 부착된 한 쌍의 스프링(138, 138)의 타단부는 제 1 셔터(7)에 보다 가까운 슬라이드판(145)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45)은 한 쌍의 스프링(138, 138)에 의해 제 1 셔터(7)쪽으로 가압되어 핀(144a, 144b)을 통해서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축(146) 주위에서 요동가능하게 드럼(4)에 장착된 구동아암(147)의 선단부에 설치된 핀(148)은 제 1 셔터(7)에 보다 가까운 슬라이드판(145)의 단부와 걸어맞춤된다. 솔레노이드(149)의 플런저(149a)의 선단부는 축(146)과 핀(148) 사이의 구동아암(14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49)가 작동되어 플런저(149a)가 수축되면, 구동아암(147)은 축(146) 주위에서 도 5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슬라이드판(145)은 스프링(138, 13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 2 셔터(8)쪽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부셔터부재(8a)와 하부셔터부재(8b)는 핀(145a, 145b)을 통해서 핀(143a, 143b) 주위에서 회동되고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도 6은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6은 도시된 것처럼, 제 1 지폐집적장치(30)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게이트부재(26)에 인접하여 위치된 로울러쌍(31)의 하방에 날개차(32), 날개차(32)의 하방의 한 쌍의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33) 및 날개차(32)의 상방의 한 쌍의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34)를 구비하고 있다. 집적된 지폐를 누르기 위한 지폐누름판(35)은 지지축(36)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울러군(37)과 지지축(36)은 장착유니트(38)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39)가 날개차(32)의 제 1 게이트부재(26)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엔드레스벨트(33)가 고정된 유니트측판(40)의 중앙부에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직교하여 뻗어 있는 개구(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감겨 있는 중앙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유니트(38)에 고정된 로울러축(42)은 개구(41)를 통해서 유니트측판(40)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개략배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그 둘레에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감겨 있는 로울러군(37)중에서 중앙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축(42)은 블록(43)에 고정되어 있고, 블록(43)은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는 슬라이드레일(4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로울러축(42)은 요동아암(45)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부(notched portion)(46)와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요동아암(45)은 축(47)에 의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48)의 일단부는 요동아암(45)에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48)의 타단부는 연결아암(49)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아암(49)은 축(47)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핀(50)이 형성되어 있다. 핀(50)은 크랭크아암(51)에 형성된 긴 구멍(52)내에 끼워지고, 스프링(53)에 의해 도 7에 있어서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모터축(54)이 고정된 캠(55)은 크랭크아암(5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지폐집적장치(30)는 날개차(32)와는 반대측에 핀(68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요동가능한 상부셔터부재(56a)와 핀(68b)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요동가능한 하부셔터부재(56b)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셔터부재(56a)와 하부셔터부재(56b)는 하부셔터부재(56b)에 설치된 핀(57)과 상부셔터부재(56a)에 형성된 긴 구멍(5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셔터부재(56a)에는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개구(59)를 통해 외방으로 돌출한 로울러(60)가 형성되어, 로울러(60)는 블록(43)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부재(61)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2)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 있어서는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모터축(54)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구동엔드레스벨트(33)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모터축(54)이 회전되면, 캠(55)은 반바퀴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크랭크아암(51)은 하방으로 이동된다. 연결아암(49)에 형성되어 크랭크아암(51)에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52)내에 끼워져 있는 핀(50)은 스프링(5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핀(50)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연결아암(49)는 하방으로 요동된다. 따라서, 요동아암(45)도 스프링(48)에 의해 하방으로 요동되고, 요동아암(45)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6)와 회전가능하게 걸어맞춤된 로울러축(42)도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장착유니트(38)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장착유니트(38)에 장착된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접근하도록 이동된다.
종동엔드레스벨트(34)가 하강하여 제 1 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된 지폐와 맞닿으면, 장착유니트(38)의 하강이동은 정지하고 요동아암(45)과 연결아암(49)의 요동도 정지한다. 크랭크아암(51)이 계속 하강하더라도, 연결아암(49)에 형성되어 크랭크아암(51)에 형성된 긴 구멍(52)에 끼워진 핀(50)의 이동은 정지된다. 그 결과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된 지폐는 스프링(53)의 스프링력에 의해 종동엔드레스벨트(34) 및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서 협지된다.
더욱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누름판(35)은 지폐누름판(35)을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36)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개구(64)를 통해 외방으로 돌출하는 로울러(63)를 구비하고 있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유니트측판(40)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 및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의 반대측의 벽부에는 솔레노이드(65), 솔레노이드(65)의 플런저(66)에 연결된 링크(67)와 작동판(69)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판(69)의 일단부는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축(47)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작동판(69)의 타단부는 링크(67)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작동판(69)의 측면은 로울러(63)에 맞닿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가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될 때,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고, 이 때 작동판(69)은 로울러(63)에 맞닿는다. 지폐가 제 1 지폐집적장치(30)로 보내어진 후, 솔레노이드(65)는 적절한 타이밍에 구동되어 작동판(69)이 도 6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도 7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로울러(63)를 누르고, 이에 의해 지폐는 지폐의 후단부가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한 벽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방식으로 지폐누름판(35)에 의해 집적된다.
반면에, 모터축(54)이 회전되어, 장착유니트(38)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된 지폐는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 협지되어진 후에, 로울러(63)는 유니트측판(40)에 형성된 개구(6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누름판(35)은 종동엔드레스벨트(34)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측의 표면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폐누름판(35)이 제 1 지폐집적장치(30)로부터의 지폐의 송출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는 지폐집적판(70)이 설치되어 있는데, 지폐의 집적시 지폐의 집적판(70)의 상면에 지폐가 집적된다. 지폐집적판(70)은 로울러축(42)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슬라이드판(71)에 연결되어 있고, 장착유니트(38)와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지폐의 집적시에는 지폐집적판(70)은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33)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되고, 그 상면에 지폐가 수취된다. 반면에, 제 1 지폐집적장치(30)로부터 지폐를 송출하기 위해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 집적된 지폐가 협지될 때, 지폐집적판(70)이 종동엔드레스벨트(34)의 상면보다도 하방으로 퇴피된다. 지폐가 이러한 방식으로 지폐집적판(70)에 집적되기 때문에, 집적된 지폐중 첫번째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로부터 마찰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첫번째 지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되는 것이 보증된다.
제 2 지폐집적장치(80)는 제 2 게이트부재(28)와 인접하여 드럼(4)의 후방에 그 길이방향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지폐집적장치(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와 금고(90)에서 지폐의 집적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는 그 입구부분에 날개차(92)와, 날개차(92)에 의해 금고(90)내로 송입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93)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는 가동지폐집적판(94)상에 집적된다. 가동지폐집적판(94)은 그 위에 집적된 지폐의 장수에 따라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지폐누름판(95)은 가동지폐집적판(94)상에 집적된 지폐를 누르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지폐누름판(95)은 솔레노이드(96)의 플런저(97)에 연결된 링크(98)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지폐가 금고(90)내에 들어가기(송입되기) 시작하는 상태, 지폐의 선단부가 금고(90)내에 들어가서 지폐가 지폐누름판(95)의 하면을 따라 안내되는 상태, 지폐가 금고(90)내로 더 들어가서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93)에 의해 검출된 상태, 및 솔레노이드(96)가 구동되어 지폐누름판(95)의 선단부가 지폐집적판(94)을 향하여 눌려져서 금고(90)내로 송입된 지폐가 정지되고 지폐의 후단부가 날개차(92)에 의해 하방으로 긁혀지면서 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폐가 날개차(92)에 의해 지폐누름판(95)의 하면을 따라서 금고(90)내로 들어가서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93)에 의해 검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솔레노이드(96)가 구동되어서 금고(90)내에 송입된 지폐가 정지되고, 지폐의 후단부가 날개차(92)에 의해 하향으로 긁혀지면서 떨어지게된다. 그 결과, 지폐는 그 후단부가 금고(90)의 입구측의 벽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방식으로 지폐집적판(94)상에 집적된다.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지폐입금부(10)의 개략측면도, 그것의 개략평면도, 그것의 개략정면도 및 도 15에의 A-A선에 따른 그것의 개략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부(10)는 유니트측판(150)을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는 유니트측판(150)에 고정되어 있다.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폐가이드(151)는 유니트측판(150)에 장착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지지부재(152)에 지지된 축(153a, 153b, 153c)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울러(154a, 154b, 154c) 둘레에 감겨 있다. 중앙축(153b)은 지지부재(152)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유니트측판(150)의 외방에 돌출되어 있다. 장착블록(155)은 축(153b)의 돌출부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블록(155)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라이드레일(156)을 통해 유니트측판(1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폐누름판(13)은 지지부재(157a, 157b)를 통해서 축(153a, 153c)에 의해 지지되어 스프링(158)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으로 가압된다.
솔레노이드(160)는 유니트측판(150)의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축(153b)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아암(163)은 솔레노이드(160)의 플런저(161)상에 장착된 링크(162)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부재(166)의 일단부는 지지부재(152)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한 축(165)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연결부재(166)의 타단부는 지폐누름판(13)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아암(163)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167)는 연결부재(166)와 걸어맞춤되어 있다.
지폐누름판(13)에는 센서작동판(170)이 설치되어 있고 센서작동판(170)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171)는 지폐누름판(1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지지부재(152)에 설치되어 있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180)의 출력축(181)에 고정된 캠(182)은 유니트측판(150)의 외방에 설치되어 있고, 센서(183)와 센서(184)는 캠(18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센서작동판(185)은 센서(183)와 센서(18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캠(182)상에 장착되어 있다.
캠(182)의 근방에는, 캠(182)에 맞닿는 캠폴로우어(186)를 지지하고 축(187)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아암(188)과, 스프링(189)을 통해서 구동아암(188)과 연결되어 일단부에서 축(187)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아암(190)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아암(190)의 타단부에는 오목부(191)가 형성되어 있고, 유니트측판(150)에 형성된 개구(192)로부터 돌출한 축(153b)은 오목부(191)와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195)는 지폐가 지폐입금부(10)내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센서(196)는 지폐입금부(10)으로부터 취출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17은 지폐입금부(10)로부터 지폐를 취출하기 위한 지폐취출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취출장치는 지폐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지폐를 취출하는 취출로울러(16)와, 2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출로울러(16)와 협동하는 분리로울러(17), 취출로울러(16)의 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종동반송로울러(18a)와, 기준로울러(19), 종동로울러(20) 및 로타리엔코더(21)로 구성되어 있고, 지폐가 기준로울러(19)와 종동로울러(2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때의 종동로울러(20)의 이동량에 근거하여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고, 로타리엔코더(21)에 의해 지폐의 검출시간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지폐두께센서(22)를 구비하고 있다.
취출로울러(16)는 고마찰재료로 형성된 주면을 가지고 있고, 취출로울러(16)의 축을 따라서 대직경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로울러(17)에는 취출로울러(16)의 대직경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와 맞물리는 소직경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출로울러(16)와 분리로울러(17)에 의해 2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지폐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울러(18a)는 토크리미터(torque limiter)(18b)를 통해서 지지축(18c)에 연결되어 있고, 취출로울러(16)와 반송로울러(18a)에 의해 2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지폐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토크리미터(18b)는 반송로울러(18a)에 가해지는 토크가 소정의 토크 이상일 때 반송로울러(18a)와 지지축(18c)과의 연결을 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서, 부재번호 23a는 제 1 지폐반송부(23)에 설치되어, 제 1 지폐반송부(23)의 하면을 구성하는 지폐가이드(23b)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로울러를 가리킨다. 반송로울러(23a)는 취출로울러(16)보다 고속으로 회전되어 지폐의 분리를 촉진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입금기의 구동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도 19는 그 검출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이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의 구동시스템은 셔터(2)를 개폐하는 모터(100), 드럼(4)을 회전시키는 모터(126),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키는 모터(131),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이동시키는 모터(122), 제 1 셔터(7)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142), 제 2 셔터(8)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149), 제 3 셔터(9)를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시키고 이것을 지폐의 반송로로부터 퇴피시키는 솔레노이드(112), 지폐입금부(10)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키는 모터(207), 종동엔드레스벨트(12)를 이동시키는 모터(180), 지폐누름판(13)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160), 제 1 지폐반송부(23), 제 2 지폐반송부(25) 및 제 3 지폐반송부(27)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날개차(32), 제 2 지폐집적장치(80)의 날개차(832) 및 금고(90)의 날개차(92)를 회전시켜 전자클러치(400) 및 전자브레이크(402)를 통해서 취출로울러(16)를 회전시키는 모터(208),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구동엔드레스벨트(33)를 구동시키는 모터(210),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로울러축(42)과 종동엔드레스벨트(34) 즉, 장착유니트(38)를 회전시키는 모터(211),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지폐누름판(35)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65), 제 2 지폐집적장치(80)에 고정된 구동엔드레스벨트(833)를 구동시키는 모터(212), 제 2 지폐집적장치(80)에 설치된 이동가능한 종동엔드레스벨트(834)를 이동시키는 모터(213), 제 2 지폐집적장치(80)에 설치된 지폐누름판(835)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14), 금고(90)의 지폐누름판(95)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96), 제 1 게이트부재(26)를 구동시키는 게이트구동수단(215), 제 2 게이트부재(28)를 구동시키는 게이트구동수단(216), 금고(90)의 지폐집적판(94)을 이동시키는 모터(217), 지폐입금부(10)의 셔터(15)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2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의 검출시스템은, 지폐입금부(10)로부터 지폐를 취출하기 위하여 지폐취출장치내에 제공되는 지폐두께센서(22),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를 판별하고 지폐가 입금가능한 경우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24),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39), 제 2 지폐집적장치(8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839), 금고(9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93), 지폐누름판(13)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71),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센서(183)과 센서(184), 지폐가 지폐입금부(10)내에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195),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센서(196) 및 취급구(1)내의 지폐를 검출하는 센서(2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지폐입금기의 제어시스템은 검출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터와 솔레노이드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CPU(2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이렇게 구성된 지폐입금기는 고객이 지폐입금기에 입금한 지폐를 하기 방식으로 처리한다.
고객이 입력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소정의 지시신호를 입력하면, CPU(250)는 모터(100), 솔레노이드(142) 및 솔레노이드(112)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이에 의해 셔터(2)와 제 1 셔터(7)가 개방되고, 드럼(4)의 지폐의 반송로내로 제 3 셔터(9)가 돌출된다.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지폐반송로의 중앙부 사이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고,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취급구(1)측에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반송로의 단부 사이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될 지폐중 장변의 길이가 가장 긴 지폐는 제 3 셔터(9)에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드럼(4)의 반대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와의 사이에 수용되고,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위치되도록 드럼(4)과의 반대측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된다.
이어서, 고객이 지폐를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재치하여, 입력수단을 통해서 지폐를 입금하기 위한 지시신호를 입력하면,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12)로 출력함에 의해서 지폐반송로내에 돌출하는 위치에 유지된 제 3 셔터(9)를 퇴피시키고, 구동신호를 모터(122)로 출력함에 의해서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가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 위에 재치되는 방식으로 드럼(4)과의 반대측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되기 때문에, 모든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협지된다. 또한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31)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켜, 이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5) 및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협지된 지폐가 드럼(4)내로 취입된다.
지폐가 드럼(4)내에 취입되는 경우에, CPU(250)은 모터(100) 및 솔레노이드(142)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그럼으로써, 셔터(2)와 제 1 셔터(7)를 폐쇄하고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122)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럼으로써,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한 지폐의 협지는 해제된다. 더 나아가, CPU(250)는 모터(126)로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90°만큼 드럼(4)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구동엔드레스벨트(5) 및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반송로는 연직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지폐가 더 이상 협지되지 않기 때문에, 일단부가 제 1 셔터(7)에 대하여 접하지 않은 지폐는 그 자체무게에 의하여 제 1 셔터(7)상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CPU(250)는 모터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미세하게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모터(126)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드럼(4)에 미세한 진동을 가한다. 그 결과, 제 1 셔터(7)로 낙하하지만 지폐의 일단부가 다른 지폐와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제 1 셔터(7)에 대하여 접하지 않았던 지폐의 일단부는 제 1 셔터(7)에 대하여 접하게 됨으로써, 드럼내의 모든 지폐의 일단부가 확실하게 정렬된다.
CPU(250)은 소정의 시간동안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모터(126)를 미세하게 반복적으로 회전시킨 후,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122)에 구동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제 1 셔터(72)측상에서 일단부가 정렬되는 지폐를 협지시킨다.
이어서,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80)로 출력해서 센서(183)가 센서작동판(185)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될 때까지 모터(180)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종동엔드레스벨트(12)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동시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60)로 출력하고 솔레노이드(160)를 구동시킨다. 그 결과, 플런저(161)는 수축되고, 링크(162), 아암(163), 아암(163)의 선단부의 로울러(167) 및 연결부재(166)를 통해서 스프링(158)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으로 가압되고 있는 지폐누름판(13)은 스프링(15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종동엔드레스벨트(12)의 구동엔드레스벨트(11)측의 표면보다도 후방으로 퇴피된다.
그 후, CPU(250)는 솔레노이드(142)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제 1 셔터(7)를 열고, 구동신호를 모터(131)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키고,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협지된 지폐를 드럼(4)으로부터 송출한다. CPU(250)는 지폐의 소정길이가 송출된 시점에서 모터(131)로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모터(131)를 정지시킨다.
더욱이, CPU(250)는 모터(180)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센서(184)가 센서작동판(185)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될 때까지 모터(180)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캠폴로우어(186)는 캠(182)에 의해 도 16에 있어서 우측으로 밀려서, 구동아암(188)이 이에 의해 축(187)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스프링(189)을 통해서 구동아암(188)에 연결되어 있는 요동아암(190)도 축(187)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요동아암(190)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91)와 걸어맞춤되어 있는 축(153b)은 유니트측판(150)의 개구(19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종동엔드레스벨트(12)가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으로 이동된다. 센서(184)가 센서작동판(185)에 의해 작동되고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될 때까지 구동아암(188)이 모터(180)에 의해 축(187)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지만, 요동아암(190)의 요동운동이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에 협지된 지폐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요동아암(190)은 지폐의 장수에 따른 위치에 정지된다. 그 결과,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스프링(189)의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향하여 가압되어, 지폐는 종동엔드레스벨트(12)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된다.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31)와 모터(207)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켜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에 협지된 지폐를 지폐입금부(10)내로 송입한다.
지폐가 센서(196)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가 CPU(250)로 입력되면, CPU(250)는 모터(131)와 모터(207)로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정지신호를 솔레노이드(160)로 출력해서 솔레노이드(160)를 정지시킨다. 그 결과, 지폐누름판(13)은 스프링(158)의 스프링력에 의해 지폐를 누른다. 그리고 CPU(250)는 모터(180)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모터(18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모터(180)가 정방향으로 구동됨과 아울러,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되기 시작하고, 지폐누름판(13)은 종동엔드레스벨트(12)로부터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향하여 돌출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시킨다.
모터(180)가 정방향으로 더욱 회전되어 종동엔드레스벨트(12)가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멀어지도록 떨어지면, 지폐누름판(13)은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지도록 점차로 이동된다. 그 결과, 센서(171)가 지폐누름판(13) 위에 설치된 센서작동판(170)에 의해 작동되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되어 CPU(250)가 정지신호를 모터(180)로 출력해서 모터(18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20은 모터(180)가 센서(171)로부터 CPU(250)로 작동신호를 출력한 결과로서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지폐누름판(13) 및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지폐에 가해지는 힘은 거의 제로로 되고, 따라서, 지폐는 자체무게에 의해 하단판(14)상에 낙하한다. 지폐가 낙하할 때, 하단판(14)로부터 지폐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하단판(14)의 상면과 지폐의 선단부는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CPU(250)가 모터(180)로 정지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CPU(250)는 모터(180)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소정의 시간동안 모터(18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 결과, 지폐의 선단부가 하단판(14) 위에 위치되어진 지폐는 다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된다. 그 후 CPU(250)가 구동신호를 모터(180)로 출력해서 모터(18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센서(171)가 센서작동판(170)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신호가 CPU(250)로 입력되면, CPU(250)는 모터(180)로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소정시간이 경과후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80)로 출력해서 모터(180)를 소정시간동안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모터(180)로 정지신호를 출력해서 지폐가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모터(18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서의 지폐의 협지동작과 지폐의 해제동작을, 즉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서 지폐를 협지하는 동작과 협지된 지폐를 해제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지폐의 선단부가 하단판(14)의 상면을 따라 정렬된다.
입금된 지폐는 지폐누름판(13), 하단판(14), 및 구동엔드레스벨트(11)에 의해 협지된 후, 한 장씩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된다. 이를 위해,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08)로 출력하고, 이로써 제 1 지폐반송부(23), 제 2 지폐반송부(25) 및 제 3 지폐반송부(27)가 구동되고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날개차(32), 제 2 지폐집적장치(80)의 날개차(832) 및 금고(90)의 날개차(92)가 회전된다. 이어서, CPU (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218)로 출력해서 셔터(15)를 개방하고 모터(207)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구동시킨다. 그 결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측에 위치하는 소정 장수의 지폐가 취출로울러(16)를 향하여 송출된다.
이 지폐의 송출과 동기하여, 전자브레이크(402)가 해제되고 전자클러치(400)가 구동되어, 이에 의해 취출로울러(16)가 회전되고 지폐가 한 장씩 취출된다.
취출로울러(16)의 주면은 고마찰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취출로울러(16)에는 분리로울러(17)의 소직경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와 맞물리는 대직경부, 소직경부 및 대직경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취출로울러(16)와 분리로울러(17)에 의해 구성된 제 1 지폐분리부로부터 지폐에 대하여 지폐를 분리하는 힘이 가해져서 두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장 이상의 지폐가 제 1 지폐분리부를 통해서 통과될 때, 이들 지폐는 취출로울러(16)와 반송로울러(18a) 사이의 공간으로 보내어진다. 그러나, 인접한 지폐간에 생기는 마찰력이 한 지폐가 취출로울러(16) 및 반송로울러(18a) 사이에 협지될 때 반송로울러(18a)와 지폐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보다 작기 때문에, 토크리미터(18b)에 가해지는 토크는 소정의 토크보다 작다. 따라서, 반송로울러(18a)와 지지축(18c)은 토크리미터(18b)에 의해 연결된다. 그 결과 그 반송로울러(18a)는 관성력에 의해 정지되고, 회전하고 있는 취출로울러(16)와 접촉하는 지폐만이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이에 의해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되고 두장 이상의 지폐가 동시에 취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취출로울러(16)의 주면이 고마찰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는 통상적으로 한 장씩 분리된다. 그러나, 두장 이상의 지폐가 그 일부가 겹쳐서 보내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준로울러(19), 종동로울러(20) 및 로타리엔코더(21)로 구성되어 있는 지폐두께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두께센서(22)는 지폐 또는 지폐들이 기준로울러(19)와 종동로울러(2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통과될 때 종동로울러(20)의 이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지폐두께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CPU(250)로 출력한다. CPU(250)가 입력된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지폐두께가 처리될 지폐의 두께의 두배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로타리엔코더(21)에 의해 검출된 종동로울러(20)의 회전량에 근거하여, 두께가 처리될 지폐의 두께의 두배 이상인 지폐 또는 지폐들을 지폐두께센서(22)가 검출한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같거나 더 길다고 판정하면, CPU(250)는 두장 이상의 지폐가 상당히 많이 겹쳐진 상태로 보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은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CPU(250)는 소정시간동안 전자클러치(400)를 해제하고 취출로울러(16)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전자브레이크(402)를 구동시킨다. 그 결과, 선행하는 지폐의 후단부가 취출로울러(16) 및 반송로울러(18a) 사이의 간격을 이미 통과하였기 때문에, 선행하는 지폐만이 취출로울러(16)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는 반송로울러(23a)에 의해 하류측으로 보내어지고, 이에 의해 지폐는 확실하게 한 장씩 분리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처리될 지폐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배 이상인 지폐 또는 지폐들이 검출되었지만, 그 검출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 지폐는 약간 겹쳐 있으며, 취출로울러(16)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는 반송로울러(23a)에 의해 선행하는 지폐를 반송함으로써 지폐는 한 장씩 분리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 CPU(250)는 어떠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지폐의 처리를 속행한다.
그러므로, CPU(250)가 전자클러치(400)를 해제하고 전자브레이크(402)를 구동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근거로 되는 소정시간은,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는 반송로울러(23a)에 의해 두장 이상의 지폐가 분리시킬 수 있을 만큼 겹쳐져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소정시간이 취출로울러(16)의 회전속도, 반송로울러(23a)의 회전속도, 처리될 지폐의 최대길이, 처리될 지폐의 최소길이 및 처리될 지폐의 재질 등에 종속되지만, 처리될 지폐중 가장 길이가 긴 지폐의 ½ 길이를 검출하는데 요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지폐입금부(10)로부터 한 장씩 취출된 지폐의 후단부가 센서(196)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가 CPU(25)로 입력되어 지폐의 장수가 계수된다.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07)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11)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구동엔드레스벨트(11)쪽에 위치하는 지폐가 취출로울러(16)를 향하여 송출된다.
제 1 지폐반송부(23)에서, 각각의 지폐는 지폐의 장변이 지폐반송방향과 일치하도록 지폐의 방향이 보정되면서 지폐입금기의 후방을 향하여 보내어져서, 제 2 지폐반송부(25)에 도달된다.
지폐가 제 2 지폐반송부(25)에 도달된 때, 제 2 지폐반송부(25)의 시단부에 설치된 지폐판별부(24)는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와 지폐가 입금가능한 경우 지폐의 종류를 판별하여 검출신호를 CPU(250)로 출력한다.
제 2 지폐반송부(25)에 도달된 지폐는 상방으로, 이어서 지폐입금기의 후방을 향하여 반송된다.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하다고 판정된 지폐가 제 2 지폐반송부(25)의 종단부에 설치된 제 1 게이트부재(26)에 도달하면, CPU(250)는 구동신호를 제 1 게이트부재(26)로 출력해서 제 1 게이트부재(26)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제 1 지폐집적장치(30)로 송입된다.
이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유니트(38)는 상부위치에 유지되고, 종동엔드레스벨트(34)는 구동엔드레스벨트(33)의 상부표면보다 상방에 위치되며, 지폐누름판(35)은 지폐집적판(70)의 상부표면과 맞닿는다. 따라서,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불가능하다고 판별된 지폐는 지폐누름판(35)의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제 1 지폐집적장치(30)로 송입된다. 입구에 설치된 센서(39)가 입금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한 때, 검출신호가 CPU(250)로 출력되고, CPU(250)가 센서(39)로부터 검출신호를 받은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65)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지폐누름판(35)의 선단부가 지폐집적판(70)을 향하여 눌려지게 된다. 그 결과,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그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어, 모터(208)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날개차(32)에 의해 그 후단부가 떨어지도록 정지되고, 이에 의해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그 후단부가 날개차(32)측의 제 1 지폐집적장치(30)의 벽부를 따라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 1 지폐집적장치(30)내에 집적된다.
반면에,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입금가능하다고 판별된 지폐가 제 1 게이트부재(26)에 도달했을 때, CPU(250)는 제 1 게이트부재(26)로 역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제 1 게이트부재(26)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제 3 지폐반송부(27)로 전달되어 상방으로 반송된다. 입금가능하다고 판별된 지폐가 제 2 게이트부재(28)에 도달했을 때, CPU(250)는 제 2 게이트부재(28)로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제 2 게이트부재(28)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제 2 지폐집적장치(80)로 송입된다. 입금가능한 지폐는 지폐누름판(835)의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제 2 지폐집적장치(80)로 송입된다. 입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가 제 2 지폐집적장치(80)의 입구에 설치된 센서(839)에 의해 검출되면, 검출신호가 CPU(250)로 출력되고, CPU(250)가 검출신호를 받은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214)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지폐누름판(835)이 하방으로 눌려진다. 그 결과, 입금가능한 지폐는 그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어 그 후단부가 모터(208)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날개차(832)에 의해 긁혀지면서 떨어지도록 정지되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그 후단부가 날개차(832)측의 제 1 지폐집적장치(80)의 벽부에 따라 정렬되는 방식으로 제 2 지폐집적장치(80)내로 집적된다.
CPU(250)가, 센서(19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입금된 모든 지폐가 지폐입금부(10)로부터 전부 송출되었다고 판정한 때에는,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11)로 출력해서 모터축(54)을 회전시켜 장착유니트(38)와 종동엔드레스벨트(34)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제 1 지폐집적장치(30)에 집적된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 사이에 협지된다. 이 때, 지폐누름판(35)은 구동엔드레스벨트(33)의 상부표면보다도 상방에 위치된다. 동시에,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26)로 출력해서 드럼(4)을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 4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49)로 출력해서 제 2 셔터(8)를 열어서 종동엔드레스벨트(34)와 구동엔드레스벨트(33)에 의해 협지된 입금불가능한 지폐의 선단부를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협지시킨다. 그 후,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210)와 모터(131)로 출력하여 구동엔드레스벨트(33)와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켜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드럼(4)내로 집어 넣는다.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드럼(4)내에 넣어졌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49)로 출력해서 제 2 셔터(8)를 닫고 구동신호를 모터(126)로 출력해서 드럼(4)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45도만큼 회전시킨다. 또한,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42)와 모터(100)로 출력해서 제 1 셔터(7)와, 취급구(1)의 셔터(2)를 열고, 구동신호를 모터(131)로 출력해서 구동엔드레스벨트(5)를 구동시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반려한다. 그 후,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112)로 출력해서 제 3 셔터(9)를 지폐의 반송로내로 돌출시키고 드럼(4)내의 지폐의 반송로를 닫고 구동신호를 모터(122)로 출력해서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그것의 퇴피위치로 퇴피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드럼(4)과의 반대측의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고, 드럼(4)측에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지폐재치대(3)의 전체부분에 걸쳐 재치되고,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지폐재치대(3) 위에 재치되어, 취급구(1)로 반려된다. 또한 CPU(250)는 구동신호를 모터(100)로 출력해서 셔터(2)를 취급구(1)내의 지폐재치대(3) 위로 반려된 지폐 위에 위치시켜서, 셔터(2)의 자체무게에 의해 지폐를 누르도록 한다.
반면에, 입금된 모든 지폐가 지폐입금부(10)로부터 모두 송출되어, 지폐판별부(24)에 의해 지폐가 입금가능한가의 여부 및 입금가능한 지폐의 경우 지폐의 종류가 판별된 후에, CPU(250)는 표시수단(도시되지 않음)에 판별결과를 표시한다. 고객이 입금된 지폐의 금액을 확인하고 입력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입금을 지시한 때, 입금가능한 것으로 판별되어 제 2 지폐집적장치(80)내에 집적된 지폐는 입금불가능한 지폐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CPU(2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 드럼(4)속으로 되돌려 보내어진다.
드럼(4)로 되돌려 보내어진, 입금가능한 지폐는 최초 입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폐입금부(10)로 송입되서, 제 1 지폐반송부(23), 제 2 지폐반송부(25), 제 1 게이트부재(26) 및 제 3 지폐반송부(27)를 경유해서 제 2 게이트부재(28)로 송입된다. 다음, 이 지폐는 제 2 게이트부재(28)에 의해 금고(90)를 향하여 송입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금고(90)를 향하여 송입된, 입금가능한 지폐는 각각 지폐누름판(95)의 하부표면을 따라서 안내되어 금고(90)내로 송입된다. 센서(93)가 입금가능한 지폐의 후단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가 CPU(250)로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CPU(250)는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96)로 출력해서 솔레노이드(96)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입금가능한 지폐는 그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지되고, 그 후단부가 모터(208)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차(92)에 의해 긁혀지면서 떨어져 그 후단부가 금고(90)의 날개차(92)측의 벽부를 따라서 정렬되는 즉, 벽부를 따라서 가즈런히 되는 방식으로 금고(90)내에 집적된다.
입금불가능한 지폐가 취급구(1)로 반려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도 고객이 취급구(1)로 반려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수취하지 않은 때는 취급구(1)의 셔터(2)와 제 1 셔터(7)는 개방되고, 지폐재치대(3)상의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지폐의 입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드럼(4)내로 집어넣어진다. 그 후, 드럼(4)은 입금불가능한 지폐회수부(29)의 입구와 대향하는 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엔드레스벨트(5)는 구동되고, 이에 의해 입금불가능한 지폐는 입금불가능한 지폐회수부(29)로 회수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지폐가 드럼(4)내에 취입된 경우에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한 지폐의 협지는 제 1 셔터(7)가 폐쇄되는 동안 해제된다. 더 나아가, 드럼(4)은 지폐반송로가 연직방향을 향하도록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럼으로써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더 이상 협지되지 않는 지폐를 제 1 셔터(7)를 향하여 낙하시킨다. 다음에, 모터(126)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약간씩 회전하고, 그럼으로써 드럼(4)에 미소진동을 가한다. 그래서, 지폐가 제 1 셔터(7)상으로 낙하한 경우, 대부분의 지폐의 일단부는 제 1 셔터(7)의 상면에 대하여 접하고 제 1 셔터(7)를 향하여 낙하하지만, 제 1 셔터에 접하지 않은 지폐의 일단부는 드럼(4)에 미소진동이 가해짐으로써 제 1 셔터(7)면에 대하여 접하도록 된다. 그 결과, 드럼(4)내의 모든 지폐의 일단부는 제 1 셔터(7)의 상부면과 확실히 정렬된다. 그래서, 유럽지폐의 경우에서와 같이 지폐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지폐의 일단부는 확실히 정렬될 수 있고 취출로울러(16) 등에 의해 하나씩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로부터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중앙부까지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이 입금한 지폐는 모두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로부터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중앙부까지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고,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취급구(1)측에서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단부 사이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의 입금시에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제 3 셔터(9)에 맞닿도록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되고,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구(1)에 입금된 지폐는 지폐의 크기에 관계없이 지폐입금기내로 확실하게 취입될 수 있다. 또한, 드럼(4)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지폐반송로의 부분 사이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반려할 때,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일부가 지폐재치대(3)상으로 반려되므로, 고객은 용이하게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회수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 사이에 협지되고, 지폐입금부(10)에 전달된다. 따라서, 지폐는 그 장변이 지폐의 반송방향과 일치하도록 반송될 수 있고,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라도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흐트리지 않고 지폐입금부(10)로 보내어질 수 있다. 지폐가 구동엔드레스벨트(11)와 종동엔드레스벨트(12)에 의해 소정위치로 반송된 후, 지폐누름판(13)은 돌출되고 지폐는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된다. 그 후, 종동엔드레스벨트(12)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로부터 떨어진 소정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끼워진 지폐를 해방시켜 지폐를 하단판(14)상에 낙하시킨다. 따라서, 지폐는 그 장변방향이 지폐반송방향과 일치하도록 반송될 수 있고, 지폐반송방향에서의 지폐의 길이가 크게 다른 경우라도, 지폐의 선단부는 하단판(14)의 상부표면과 확실하게 정렬될 수 있고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해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판(14) 위에 낙하된 지폐는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되고, 해방되어(지폐의 협지가 해제되어), 다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된 후, 지폐는 지폐입금부(10)로부터 송출된다. 따라서, 지폐에 진동이 가하여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지폐의 선단부를 하단판(14)의 상부표면과 정렬시킬 수 있고, 지폐를 한 장씩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는 구동엔드레스벨트(11)에 의해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로울러(16)를 향하여 송출되므로, 통상 설치되는 송급로울러없이 지폐를 지폐입금부(10)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폐입금부의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1집적장치(30), 입금이 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2집적장치(80) 및 입금지폐를 집적하는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는 지폐를 그 하부표면을 따라서 지폐집적장치내로 안내하여, 지폐의 후단부가 검출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지폐를 향하여 눌려져서, 지폐의 선단부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지폐를 정지시키는 지폐누름판(35, 835, 9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일지라도 그 장변이 지폐의 반송방향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반송되므로 지폐를 그 일단부가 정렬되도록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고,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취급구(1)의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해 형성된 지폐의 반송로의 취급구(1)측의 단부간의 거리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긴 지폐는 제 3 셔터(9)에 실질적으로 맞닿도록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되고,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구동엔드레스벨트(5)상에 재치되는 방식으로 드럼(4)과의 반대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 사이에 수용되도록, 지폐는 취급구(1)내로 입금될 수 있다. 그래서 취급구(1)로 입금된 지폐는 그 길이에 관계없이 지폐입금기내로 확실하게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드럼(4)측에서 지폐재치대(3)의 단부와 제 3 셔터(9)가 돌출하는 지폐반송로의 부분간의 길이가,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반려할 때, 처리될 지폐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폐는 그 일부가 지폐재치대(3)상에 재치되는 방식으로 반려될 수 있고, 그 결과, 고객은 입금이 불가능한 지폐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설명된 장치의 상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과 수정이 행하여질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 지폐처리기가 지폐입금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지폐입금기 외에 예컨대 지폐입출금기와 지폐계수기와 같은 지폐처리기에 적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 CPU(250)가 모터(126)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약간씩 반복적으로 회전시키고 그럼으로써 드럼(4)에 미소진동을 가하지만, 드럼(4)에 미소진동을 가하는 수단은 그러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무게중심이 드럼(4)상의 출력축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으로 되어 있는 모터를 부착하고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또는 진동을 가하기 위하여 회전축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의 편심으로 되어 있는 드럼을 부착하고 그 모터에 의해 후자의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에 미세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 CPU(250)는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떨어지도록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모터(122)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하여 지폐의 협지가 해제되고, CPU(250)는 모터(126)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그럼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드럼(4)을 회전시킨다. 하지만, 그 대신에 제 1 셔터(7)가 폐쇄된 후, CPU(250)는 모터(126)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고, 그럼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드럼(4)을 회전시키고, 그 다음에 종동엔드레스벨트(6)를 구동엔드레스벨트(5)로부터 떨어지도록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모터(122)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그럼으로써 구동엔드레스벨트(5)와 종동엔드레스벨트(6)에 의한 지폐의 협지를 해제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 지폐가 취급구(1)로부터 드럼(4)내로 송입되는 경우에만 지폐의 일단부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미소진동이 드럼(4)에 가해졌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폐가 드럼(4)내에 송입된 경우에, 제 2 셔터(8)가 필요에 따라서는 폐쇄될 수도 있고, 종동엔드레스벨트(6)와 구동엔드레스벨트(5)에 의한 지폐협지는 해제될 수 있고, 드럼(4)은 회전하고 미소진동이 그 드럼(4)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입금불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 1 지폐집적장치(30), 입금가능한 지폐를 집적하는 제 2 지폐집적장치(80) 및 입금된 지폐를 집적하는 금고(90)의 지폐집적장치(91)에는 각각 날개차(32, 832, 92)가 구비되어 있지만, 지폐의 선단부가 소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지폐를 정지시키는 지폐누름판(35, 835, 95)이 설치되어 있어 지폐가 날개차(32, 832, 92)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 후단부가 정렬되면서 집적될 수 있으므로, 날개차(32, 832, 92)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지폐누름판(35, 835, 95)은 솔레노이드(65, 214, 96)에 의해 구동되지만, 지폐누름판(35, 835, 95)은 솔레노이드(65, 214, 96) 이외에 다른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단판(14)에 낙하된 지폐는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되고, 지폐의 협지가 해제되며, 다시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되고, 그 후 지폐는 지폐입금부(10)로부터 송출된다. 그러나, 하단판(14) 위에 낙하되어 지폐누름판(13)과 구동엔드레스벨트(11) 사이에 협지된 지폐는 지폐의 협지를 해제하지 않고 송출될 수 있거나 지폐의 협지와 지폐의 협지의 해제가 수차례 반복된 후 송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의 반송방향에서의 길이가 크게 다른 지폐의 일단부를 확실하게 정렬시켜서 지폐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폐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지폐반송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지폐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지폐반송로내에서 지폐를 협지하는 반송위치와 상기 지폐의 협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한 회전가능한 드럼; 및
    상기 셔터에 의하여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가 폐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결과로 상기 지폐반송로가 연직방향으로 향하여서 상기 셔터가 하방으로 되고, 상기 지폐반송수단이 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드럼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럼구동수단은 상기 드럼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2. 지폐반송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지폐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지폐반송로내에서 지폐를 협지하는 반송위치와 상기 지폐의 협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한 회전가능한 드럼; 및
    상기 셔터에 의하여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가 폐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결과로 상기 지폐반송로가 연직방향으로 향하여서 상기 셔터가 하방으로 되고, 상기 지폐반송수단이 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드럼에 장착되고, 그 출력축의 무게중심이 출력축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인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3. 지폐반송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지폐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지폐반송로내에서 지폐를 협지하는 반송위치와 상기 지폐의 협지를 해제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지폐반송수단, 및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한 회전가능한 드럼; 및
    상기 셔터에 의하여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단부가 폐쇄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결과로 상기 지폐반송로가 연직방향으로 향하여서 상기 셔터가 하방으로 되고, 상기 지폐반송수단이 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을 이루며 장착된 축, 및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기.
KR1019970006111A 1996-02-29 1997-02-27 지폐처리기 KR100291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43529 1996-02-29
JP08043529A JP3126656B2 (ja) 1996-02-29 1996-02-29 紙幣処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938A KR970062938A (ko) 1997-09-12
KR100291165B1 true KR100291165B1 (ko) 2001-06-01

Family

ID=1266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111A KR100291165B1 (ko) 1996-02-29 1997-02-27 지폐처리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927936A (ko)
EP (1) EP0793198B1 (ko)
JP (1) JP3126656B2 (ko)
KR (1) KR100291165B1 (ko)
CN (1) CN1104706C (ko)
AT (1) ATE239954T1 (ko)
BR (1) BR9701121A (ko)
CA (1) CA2196724C (ko)
DE (1) DE69721615T2 (ko)
ES (1) ES2193289T3 (ko)
MY (1) MY129722A (ko)
SG (1) SG93812A1 (ko)
TW (1) TW3265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714B1 (en) * 1997-11-28 2001-11-20 Diebold, Incorporated Document unstack system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ZA9978B (en) 1998-01-07 1999-08-05 Mars Inc Us Flexible media stacking and accumulating device.
US6126164A (en) * 1999-06-24 2000-10-03 Lexmark International, Inc. Bail assembly
JP3815651B2 (ja) * 1999-10-19 2006-08-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CA2299827C (en) * 2000-03-02 2009-12-15 Cashcode Company Inc. Combination banknote validator and banknote dispenser
DE10120439B4 (de) * 2001-04-26 2012-10-04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Blattgut
ITMI20030342A1 (it) * 2003-02-26 2004-08-27 M I B S P A Dispositivo di protezione della bocca di erogazione di un distributore automatico di banconote e valori.
US8757348B2 (en) * 2005-06-27 2014-06-24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Paper money input and output device
EP2256700A1 (en) * 2005-07-27 2010-12-01 MEI, Inc. Banknote handling
JP2007323130A (ja) 2006-05-30 2007-12-13 Laurel Seiki Kk 紙幣処理装置
KR101283084B1 (ko) * 2007-02-05 2013-07-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CN101647046B (zh) * 2007-03-29 2012-10-24 光荣株式会社 纸张识别装置和纸张处理装置以及纸张识别方法
DE102007028858A1 (de) * 2007-06-22 2009-01-02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Wertscheinautomat
CA2599775A1 (en) * 2007-08-30 2009-02-28 Crane Canada Co. Energy-efficient compact device for dispensing and accumulating bank notes
CN103049963B (zh) * 2007-08-30 2016-05-11 光荣株式会社 纸张处理机
DE102008052694A1 (de) * 2008-10-22 2010-04-29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einzeln von Wertscheinen eines Wertscheinstapels
DE102008056711A1 (de) * 2008-11-11 2010-05-12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Annahme und Ausgabe von Wertdokumenten
US8657103B2 (en) 2010-06-07 2014-02-25 Xerox Corporation Media transport system with vibratory edge registration function
US8262076B2 (en) * 2010-07-08 2012-09-11 Ncr Corporation Media depository
CN102583089B (zh) 2011-01-11 2015-11-2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处理装置
IT1403651B1 (it) * 2011-01-25 2013-10-31 M I B S P A Dispositivo di erogazione a tenuta continua per banconote e valori per bancomat, atm o accettatori di banconote
US9472041B2 (en) * 2013-10-31 2016-10-18 Ncr Corporation Clamping of media items
JP6082359B2 (ja) * 2014-03-24 2017-02-1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幣集積装置
CN104881922B (zh) * 2015-05-25 2017-07-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入钞整理功能的存取款机
CN105069902A (zh) * 2015-07-23 2015-11-1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存取款机暂存模块及叠钞、连钞处理方法
CN108648329B (zh) * 2016-04-07 2020-05-19 南通大学 效率高的散乱纸币的自动整理装置
CN111798611B (zh) * 2020-07-17 2022-12-13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集积分离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CN114821889A (zh) * 2021-01-29 2022-07-29 光荣株式会社 纸张类码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9963B (de) * 1963-02-16 1964-05-14 Heinrich Baumann Ruettel- und Glattstossmaschine fuer Papierstapel
US3880320A (en) * 1974-02-25 1975-04-29 Diebold Inc Rotary cash drawer mechanism for currency dispenser
SE422044B (sv) * 1979-10-25 1982-02-15 Asteroe & Stockhaus Anordning for jemnstotning av en arkbunt
IL64015A (en) * 1980-10-24 1984-10-31 Pretini Gisberto Automated bank counter
EP0164717B1 (en) * 1984-06-12 1990-01-24 Oki Electric Industry Company, Limited Automatic bank 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system
US4820909A (en) * 1986-06-04 1989-04-11 Hitachi, Ltd. Transacting device
US5020787A (en) * 1988-05-06 1991-06-04 Laurel Bank Machines Co., Ltd. Bill processing apparatus
JPH0636210B2 (ja) * 1988-05-06 1994-05-1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545584B2 (ja) * 1988-07-22 1996-10-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 株式会社 紙幣揃え装置
US5059153A (en) * 1988-07-22 1991-10-22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683380B2 (ja) * 1988-09-19 1997-11-26 日本信号株式会社 カードロック装置におけるカード有効範囲設定装置
SE463283B (sv) * 1989-07-20 1990-10-29 Inter Innovation Ab Anordning foer inmatning av vaerdepapper, saasom sedlar, checker etc
JP2667739B2 (ja) * 1990-08-16 1997-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装置
US5422467A (en) * 1993-01-15 1995-06-06 Interbold Article deposi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3198A2 (en) 1997-09-03
US5927936A (en) 1999-07-27
JP3126656B2 (ja) 2001-01-22
SG93812A1 (en) 2003-01-21
EP0793198A3 (en) 1999-09-01
CN1177786A (zh) 1998-04-01
CA2196724C (en) 1999-08-31
BR9701121A (pt) 1998-08-11
DE69721615T2 (de) 2003-11-20
KR970062938A (ko) 1997-09-12
ATE239954T1 (de) 2003-05-15
ES2193289T3 (es) 2003-11-01
EP0793198B1 (en) 2003-05-07
MY129722A (en) 2007-04-30
TW326513B (en) 1998-02-11
CN1104706C (zh) 2003-04-02
CA2196724A1 (en) 1997-08-29
JPH09237365A (ja) 1997-09-09
DE69721615D1 (de)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165B1 (ko) 지폐처리기
KR100212929B1 (ko) 지폐처리기
KR100235851B1 (ko) 지폐처리기
KR100254791B1 (ko) 지폐처리기
KR100212932B1 (ko) 지폐처리기
JPH09194081A (ja) 媒体集積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JP4651957B2 (ja) 紙幣処理機
JP3488005B2 (ja) 紙幣処理機
JP3286546B2 (ja) 紙幣処理機
JP3445182B2 (ja) 紙幣処理機
JP3545242B2 (ja) 集積紙幣搬送装置
JP3254514B2 (ja) 自動販売機等の紙幣取込・排出部
JPH08153236A (ja) 紙幣収納装置
JPH11272904A (ja) 紙幣一括払出装置のリジェクト装置
JPH10172024A (ja) 紙幣処理機
KR20040021304A (ko) 지폐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지급장치
JPH11130275A (ja) 紙葉類処理機における紙葉類取込み装置
JPH0468676B2 (ko)
JPH0548069U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