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084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084B1
KR101283084B1 KR1020070011710A KR20070011710A KR101283084B1 KR 101283084 B1 KR101283084 B1 KR 101283084B1 KR 1020070011710 A KR1020070011710 A KR 1020070011710A KR 20070011710 A KR20070011710 A KR 20070011710A KR 101283084 B1 KR101283084 B1 KR 10128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rame
rod
medium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224A (ko
Inventor
최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7001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084B1/ko
Priority to US11/959,179 priority patent/US7784779B2/en
Priority to CN2008100016589A priority patent/CN101239681B/zh
Publication of KR2009000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8Bands, chains, or like moving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2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moving in direction of plane of articles, e.g. for bodily advancement of fanned-out pi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1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 B65H2404/2614Mean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belts into or out of contact with opposite belts,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3Wall or kiosk dispenser, i.e. for positively handling or holding material until withdrawal by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30)과, 상기 메인프레임(30)의 내부에 구비되고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매체이송부(70)가 구비된 하부프레임(61)과, 상기 하부프레임(61)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규제부(90)와, 상기 메인프레임(30)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방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61)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하부매체이송부(70)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일방항으로 이송시키는 상부매체이송부(40)가 구비된 상부프레임(32)과, 상기 상부프레임(32)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부(9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이송규제 동작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매체를 다발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이송규제부, 이송규제 동작부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Device for Discharging a Bundle of Media of a Automated Media Dispens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이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밀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이송규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상부프레임 41: 상부이송봉
43: 상부롤러 45: 연결밸트
47: 동력전달 기어 51: 이송규제 동작봉
53: 연결링크 55: 편심판
61: 하부프레임 71: 하부이송봉
73: 하부롤러 81: 기어
83: 연결체인 85: 하부동력원
91: 이송규제봉 93: 이송규제판
95: 동작바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체를 이송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매체자동지급기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매체 지급요청에 따라 매체를 지급하게 된다. 매체자동지급기는 고객과 매체를 지급하는 담당자가 직접 대면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편리하게 매체를 지급할 수 있어 사용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는 고객이 매체(3)를 수취할 수 있는 고객접근모듈(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드모듈(도시되지 않음)과 딜리버리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매체(3)가 상기 고객접근모듈(10)로 전달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10)에는 매체집적박스(11)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집적박스(11)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집적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공간(11')의 일면에는 집적면(13)이 형성되어 상기 집적면(13)에 매체(3)가 집적된다. 상기 매체집적박스(11)의 개구된 상부는 박스도어(1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10)에는 상기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이송된 상기 매체(3)가 상기 매체집적박스(11)로 방출되는 매체방출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방출부(20)에는 상기 매체(3)를 방출구(21) 방향으로 이송하는 회전롤러(2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롤러(23)는 서로 마주보며 상대회전하여 상기 회전롤러(23) 사이에 형성된 방출구(21)로 상기 매체(3)를 이송한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롤러(23)에는 이송밸트(25)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23)에 의해 이동하는 이송밸트(25)에 의해 상기 매체(3)가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회전롤러(23)에 의해 이동하는 이송밸트(25)에 의해 매체(3)가 방출구(21)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방출구(21)를 통해 방출되는 매체(3)는 매체집적박스(11)의 집적공간(11')으로 자유낙하한다. 상기 집적공간(11')으로 자유낙하하는 상기 매체(3)는 상기 집적공간(11')의 집적면(13)에 쌓이는데 상기 매체(3)가 자유낙하하며 상기 집적면(13)에 쌓이므로 상기 매체(3)의 집적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매체가 양호하게 집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고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매체이송부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규제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방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하부매체이송부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일방항으로 이송시키는 상부매체이송부가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이송규제 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판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분리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판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이 상기 상부프레임과 밀착될 때 상기 상부프레임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주는 하부탄성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부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매체이송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이송봉과; 상기 하부이송봉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이송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이송봉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이송봉을 회전시키는 하부동력전달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이송봉에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동력전달부는 상기 하부이송봉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기어와; 상기 기어에 걸어감아지는 다수개의 연결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규제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규제봉과; 상기 이송규제봉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봉과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매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송규제판과; 상기 이송규제봉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봉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작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굴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매체이송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이송봉과; 상기 상부이송봉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이송봉과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상기 상부이송봉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롤러에 걸어감아지는 다수개의 연결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이송봉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이동레일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과 밀착될 때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주는 상부탄성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부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이송봉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이송봉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기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하부동력원의 동력을 상기 상부어셈블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어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 동작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규제 동작봉과; 상기 이송규제 동작봉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부의 동작바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편심판과; 상기 이송규제 동작봉과 상기 편심판을 연결하고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편심판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과 연결되는 원형부와; 상기 동작바에 접하여 상기 동작바를 회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이송규제판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동력원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에 의하면, 매체를 다발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30)(도 4 참조)의 내부에 상부어셈블리(3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어셈블리(31)에는 상기 상부어셈블리(31)의 골격을 이루는 상부프레임(32)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2)과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프레임(6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2)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32)에는 상기 상부어셈블리(31)의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에서 매체가 진입하는 방향에는 상기 매체를 이동시키는 딜리버리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2)의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이송봉(41)이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슬롯(3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레일슬롯(32')은 수직상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슬롯(32')에는 상기 상부이송봉(41)의 일단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32)에는 상기 상부이송봉(41)과 연결되는 상부탄성부재(35)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탄성부재(35)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탄성부재(35)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32)이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프레임(61)에 밀착되게 접한다.
상기 상부프레임(32)에는 상기 상부어셈블리(31)에 투입되는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부매체이송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매체이송부(4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2)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이송봉(4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이송봉(41)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매체가 투입되는 방향의 전후에 각각 1개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이송봉(41)의 양단은 상기 상부프레임(32)의 이동레일슬롯(32')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탄성부재(35)의 일단에는 상부이송봉(41)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탄성부재(35)의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61)과 밀착되어 상기 상부이송봉(41)이 상기 이동레일슬롯(32')을 따라 수직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이송봉(41)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탄성부재(35)가 늘어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61)과 이격되면 상기 상부이송봉(41)이 상기 상부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상부이송봉(41)에는 다수개의 상부롤러(43)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롤러(43)에는 서로 다른 상부이송봉(41)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롤러(43)에 각각 걸어감아진 연결밸트(4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밸트(45)에 의해 서로 다른 상부이송봉(41)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롤러(43)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상부이송봉(41) 중 상기 매체가 방출되는 지점에 위치한 상부이송봉(41)의 일단에는 동력전달 기어(47)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 기어(47)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81)와 치합되어 하부동력원(85)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상부이송봉(41)으로 전달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규제부(9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이송규제 동작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 동작부(5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규제 동작봉(51)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 동작봉(51)의 일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프레임(6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링크(5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크(53)가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연결된 일단과 상기 상부프레임(32)과 연결된 일단에는 각각 힌지핀(53h)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53h)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53)의 양단이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상부프레임(3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53)가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연결된 일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규제부(90)를 동작시키는 편심판(55)이 구비된다. 상기 편심판(55)은 상기 연결링크(53)의 일단과 연결되는 원형부(55r)와 상기 원형부(55r)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편심되게 형성되는 돌출부(55t)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55t)는 상기 이송규제부(90)의 동작바(95)와 접하여 상기 이송규제부(90)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53)의 일단은 상기 힌지핀(53h)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 임(3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링크(53)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2)이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지지된다. 상기 연결링크(53)가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연결된 지점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동력원(57)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동력원(57)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53)가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결링크(53)와 일체로 구비된 편심판(55)도 회전하여 상기 이송규제부(90)를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어셈블리(31)의 하방에는 하부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어셈블리(6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하부프레임(61)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6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은 상기 하부프레임(61)과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은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61)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2)과 접하는 상판(61f)에는 다수개의 관통공(61h)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1h)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롤러(73)가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61)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2)과 접하는 면에는 다수개의 돌출공(61p)도 형성된다. 상기 돌출공(61p)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이송규제판(93)이 돌출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내부공간(61')에는 하부탄성부재(63)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탄성부재(63)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은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측면과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과 하판 사이에는 상기 하부탄성부재(6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61)이 상부프레임(32)과 밀착될 때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은 상기 하부탄성부재(63)를 압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부프레임(61)이 상부프레임(32)과 이격될 때 상기 하부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내부공간(61')에는 상기 상부어셈블리(31)와 상기 하부어셈블리(60) 사이에 투입되는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매체이송부(7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매체이송부(70)에는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이송봉(71)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이송봉(71)은 상기 하부프레임(61)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이송봉(71)에는 다수개의 하부롤러(73)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롤러(73)는 상기 하부프레임(61)에 투입되는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주에는 밀착력있는 고무소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73)는 상기 하부이송봉(71)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하부이송봉(71)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하부롤러(73)는 상기 하부프레임(61)의 관통공(61h)을 통해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은 상기 하부탄성부재(63)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하부프레임(61)과 상부프레임(32)이 밀착되어 접할 때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상기 하부롤러(73)가 상기 관통공(61h)을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61)이 상부프레임(32)과 이격될 때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이 상기 하부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롤러(73)가 하부프레임(61)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이송봉(71)을 회전시키는 하부동력전달부(80)와 하부동력원(85)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동력전달부(80)와 하부동력원(85)에 의해 상기 하부이송봉(71)이 회전하며 상기 하부이송봉(71)과 일체로 구비된 하부롤러(73)도 일체로 회전하여 매체를 이동시킨다.
상기 하부동력전달부(80)에는 상기 하부이송봉(71)과 연결된 기어(81)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동력원(85)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기어(81)에 전달된다. 상기 기어(81)에는 상기 기어(81)에 걸어감아진 연결체인(8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체인(83)에 의해 상기 기어(81)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81)가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에는 상기 하부이송봉(71)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동력원(85)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동력원(85)은 상기 하부이송봉(71)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동력원(85)에 의해 상기 하부이송봉(71)이 회전하며 상기 하부이송봉(71)의 일단에 구비된 기어(81)와 연결체인(83)에 의해 다른 하부이송봉(71)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이송봉(71)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2)의 동력전달기어(47)와 대응되 는 위치에도 상기 기어(8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동력원(85)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기어(81)와 동력전달기어(47)와의 치합에 의해 상부어셈블리(31)로 전달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에는 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규제부(9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부(90)에는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송규제봉(91)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봉(91)의 일단에는 상기 이송규제봉(91)이 소정각도로 회전한 뒤에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봉(91)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2) 방향으로 직립되어 있는 이송규제판(93)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규제판(93)은 상기 하부프레임(61)에 투입되는 매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규제판(93)은 상기 이송규제봉(91)과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공(61p)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61)의 내부공간(61')으로 삽입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이송규제봉(91)이 원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이송규제판(93)도 다시 상기 돌출공(61p)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32) 방향으로 직립한다.
상기 이송규제봉(91)의 일단에는 동작바(95)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바(95)는 상기 편심판(55)의 돌출부(55t)와 접하면서 회전하므로 소정지점에서 굴곡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편심판(55)이 회전하여 상기 동작바(95)의 굴곡된 지점을 밀면서 상기 동작바(95)를 회전시키고 상기 연결링크(53)의 일단이 상기 동작바(95)를 더욱 밀면서 상기 동작바(95)가 소정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작 바(9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규제판(93)도 회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프레임(30)과 연결되어 있는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매체가 상기 메인프레임(3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매체는 메인프레임(3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어셈블리(31)와 하부어셈블리(60) 사이로 투입된다. 이때 상부프레임(32)과 하부프레임(61)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매체가 상기 메인프레임(30) 내부로 투입되면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이송규제판(93)이 직립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규제판(93)에 의해 상기 매체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매체가 상기 딜리버리모듈에 의해 적정량으로 집적되면 상기 메인프레임(30) 내부로 더 이상 매체가 투입되지 않고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상부동력원(57)이 작동한다. 상기 상부동력원(57)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동력원(57)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53)가 회전한다.
상기 연결링크(53)가 회전하면 상기 연결링크(53)의 일단과 연결된 상부프레임(32)이 상기 하부프레임(6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53)와 일체로 구비된 편심판(55)도 회전하면서 상기 편심판(55)의 돌출부(55t)가 동작바(95)의 일단을 밀게된다. 상기 돌출부(55t)가 상기 동작바(95)의 일단을 밀고 나면 상기 연결링크(53)가 상기 상부프레임(32)과 연결된 일단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동작바(95)의 일단을 밀게된다.
상기 동작바(95)가 밀리면 상기 동작바(95)와 일체로 구비된 이송규제봉(91) 이 회전한다. 상기 이송규제봉(91)이 회전하면 상기 이송규제봉(91)과 일체로 구비된 이송규제판(93)도 회전한다. 상기 이송규제판(93)은 회전하여 상기 하부프레임(61)의 돌출공(61p)을 통해 내부공간(61')에 안착된다.
상기 연결링크(5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61)에 밀착되면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이 하부탄성부재(63)에 의해 지지되며 수직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하부프레임(61)의 상판(61f)이 상기 하부탄성부재(63)를 압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부프레임(61)의 관통공(61h)을 통해 하부롤러(73)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61)에 밀착되면 상기 상부이송봉(41)이 상부탄성부재(35)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상부프레임(32)의 이동레일슬롯(32')을 따라 수직상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상부이송봉(41)과 상부프레임(32)을 연결하는 상부탄성부재(35)가 늘어난다. 상기 상부탄성부재(35)가 늘어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32)이 상기 하부프레임(61)에 더욱 밀착되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61)에 밀착되면 상기 상부프레임(32)에 구비된 동력전달 기어(47)가 상기 하부프레임(61)의 기어(81)와 치합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 기어(47)와 기어(81) 사이에는 연결체인(83)이 걸어감아진다.
상기 상부프레임(32)이 하부프레임(61)에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 하부동력원(85)이 작동한다. 상기 하부동력원(85)의 작동에 의해 하부이송봉(71)과 기어(81)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기어(81)는 연결체인(8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81)도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기어(81)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81)와 일체로 구 비된 상기 하부이송봉(71)도 회전하여 상기 하부이송봉(71)에 구비된 다수개의 하부롤러(73)를 회전시켜 상기 매체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81)와 치합되어 있는 상기 동력전달 기어(47)도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 기어(47)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이송봉(41)도 회전한다. 상기 상부이송봉(41)이 회전하면 상기 상부이송봉(41)에 구비된 상부롤러(43)가 회전하고 상기 상부롤러(43)에 걸어감아진 연결밸트(45)도 회전하여 상기 매체를 이동시킨다.
상기 상부어셈블리(31)의 연결밸트(45)와 상기 하부어셈블리(60)의 하부롤러(7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가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매체가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상부동력원(57)이 작동하여 상기 상부프레임(32)이 다시 수직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프레임(32)의 이동에 의해 연결링크(53)도 회전하여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동작바(95)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동작바(95)가 복귀하면 상기 이송규제판(93)도 다시 돌출공(61p)을 통해 돌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송규제판에 의해 메인프레임의 내부로 투입되는 매체는 다발형태로 집적되 어 있다. 따라서 다발로 집적된 매체를 상부어셈블리와 하부어셈블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매체의 집적상태가 양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고 매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매체이송부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규제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방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하부매체이송부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일방항으로 이송시키는 상부매체이송부가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이송규제 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판은 상기 하부프레임과 분리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매체이송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이송봉과;
    상기 하부이송봉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이송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이송봉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이송봉을 회전시키는 하부동력전달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이송봉에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동력원을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규제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규제봉과;
    상기 이송규제봉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봉과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매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이송규제판과;
    상기 이송규제봉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봉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바를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굴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매체이송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이송봉과;
    상기 상부이송봉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이송봉과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다른 상기 상부이송봉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롤러에 걸어감아지는 다수개의 연결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봉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이동 레일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규제 동작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규제 동작봉과;
    상기 이송규제 동작봉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규제부의 동작바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편심판과;
    상기 이송규제 동작봉과 상기 편심판을 연결하고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판은;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과 연결되는 원형부와;
    상기 동작바에 접하여 상기 동작바를 회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연결링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동력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17. 삭제
KR1020070011710A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KR10128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10A KR101283084B1 (ko)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US11/959,179 US7784779B2 (en) 2007-02-05 2007-12-18 Apparatus for discharging wad of media in automated media dispenser
CN2008100016589A CN101239681B (zh) 2007-02-05 2008-01-04 用于释放自动媒介分配器中的一叠媒介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10A KR101283084B1 (ko)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24A KR20090000224A (ko) 2009-01-07
KR101283084B1 true KR101283084B1 (ko) 2013-07-05

Family

ID=3967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710A KR101283084B1 (ko) 2007-02-05 2007-02-0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84779B2 (ko)
KR (1) KR101283084B1 (ko)
CN (1) CN10123968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335A (ko) * 2005-11-08 2007-05-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복합형 지폐 이송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383A (en) * 1970-01-22 1972-05-09 Pitney Bowes Inc Document handling apparatus for photocopy machines
US4063520A (en) * 1976-04-30 1977-12-20 The Meilink Steel Safe Company Night depository closure
US4358103A (en) * 1977-02-04 1982-11-09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ic card transporting apparatus
JPS6050696B2 (ja) * 1980-09-04 1985-11-09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JP3126656B2 (ja) * 1996-02-29 2001-01-2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3863381B2 (ja) * 2000-04-28 2006-12-2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機
US6644657B2 (en) * 2001-10-25 2003-11-11 Pitney Bowes Inc. Accumulator having power ramp
JP3999057B2 (ja) * 2002-06-13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整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KR100509032B1 (ko) * 2002-11-30 2005-08-1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US7176955B2 (en) * 2004-02-20 2007-02-13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material feed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335A (ko) * 2005-11-08 2007-05-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복합형 지폐 이송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4779B2 (en) 2010-08-31
CN101239681A (zh) 2008-08-13
US20080185394A1 (en) 2008-08-07
KR20090000224A (ko) 2009-01-07
CN101239681B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622B1 (ko) 지폐 입출금기
US8939449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facilitating establishing a continuous sheet transport path
JP5122804B2 (ja) 有価シート・ストアの分与
RU23153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US20120032391A1 (en) Voucher cassette
US4997176A (en) Apparatus for stacking articles in a container
KR100310961B1 (ko) 지폐의수납기구
JP2004102626A (ja) 紙幣受入収納装置の収納装置駆動装置
KR10128308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다발방출장치
JP4394189B2 (ja) シート送り装置
CA1119627A (en) Single-bill currency dispenser
JP6548527B2 (ja) 遊技媒体補給装置
JP6637352B2 (ja) 自動釣銭機
US20190318565A1 (en) Coin lift
KR100746920B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캐쉬박스의 지폐빠짐방지장치
JPS5819654Y2 (ja) 紙幣収納装置
JP2005004375A (ja) 紙幣識別装置
JP5791464B2 (ja) 紙幣保留分離機構とこれを用いた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2000255810A (ja) 複数枚媒体の分離繰出し装置
JPS6121738Y2 (ko)
KR100761610B1 (ko) 개별 카드 출력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카드출력 제어 장치
JP3450497B2 (ja) 紙幣処理機の紙幣一時保留装置
KR10100175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468290B1 (ko)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JP2003217000A (ja) 紙幣一時保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