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226B1 - 단자삽입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단자삽입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226B1
KR100211226B1 KR1019950029419A KR19950029419A KR100211226B1 KR 100211226 B1 KR100211226 B1 KR 100211226B1 KR 1019950029419 A KR1019950029419 A KR 1019950029419A KR 19950029419 A KR19950029419 A KR 19950029419A KR 100211226 B1 KR100211226 B1 KR 10021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terminal
slider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60A (ko
Inventor
류지 닌치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6001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 Y10T29/5309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for work-holder for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코넥터 하우징에 복수의 전선부단자를 바르게 용이하게 삽입한다.
하우징(3)의 단자수용실(4)에 대향하는 광바이퍼센서(2)와, 센서(2)를 가진 슬라이더(6)를 Y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7)과, 슬라이더를 폴리를 통하여 움직이는 벨트와, 폴리를 X방향으로 안내하는 스플라인축(14)과,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움직이는 벨트(17)를 구비한다. 케이스(22)에 센서에 대향하는 개구부(24)가 설치되고,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복수의 위치결정핀(25)이 같은 피치로 병렬로 세워 설치되고, 위치결정핀에 코넥터받이판(28)이 걸어 맞추어진다.
코넥터받이판은 하우징(3)과 동일형상의 걸어맞춤구멍과, 코넥터받이부를 가진 코넥터 지지기둥과 하우징에 대한 누름스프링편을 가진다.
코넥터받이판이 위치결정핀의 피치(L)의 n배의 간격으로 핀걸어맞춤구멍을 가진다.

Description

단자삽입 유도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단자삽입 유도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평면도.
제2도는 동 종단면도.
제3도는 케이스의 위치결정핀에 코넥터받이판을 걸어맞추고 코넥터받이판에 코넥터 하우징을 걸어맞춘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코넥터 받이판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동 측면도.
제6도는 다른 코넥터 받이판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단자 삽입작업을 도시한 플로우 차아트.
제8도는 종래의 서브하네스의 견본을 도시한 정면도.
제9도는 동 단자 삽입공정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삽입 유도장치 2 : 광파이버센서
3, 3' : 코넥터 하우징 4, 4' : 단자수용실
6 : 슬라이더 7 : 가이드레일
13 : 폴리 14 : 스플라인축
15, 18 : 모우터 16, 17 : 벨트
20 : 구동기구 21 : 소프트부
22 : 케이스 24 : 개구부
25 : 위치결정핀 28, 28' : 코넥터받이판
29, 29', 30, 30' : 핀걸이맞춤구멍 32, 32' : 코넥터 걸어맞춤구멍
33 : 코넥터받이부 34 : 코넥터지지기둥
35 : 누름스프링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코넥터 하우징의 단자수용실에 대하여 광파이버 센서를 점등시키고, 그 위치에 작업자가 전선부착 단자를 삽입시키는 단자삽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와이어 하네스(harness)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넥터 하우징에 전선부착 단자를 삽입하는 작업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수단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즉, 제8도와 같이 견본대(51)에 나란히 놓인 하네스견본(54)의 각 코넥터 하우징(521~52n)에 삽입된 단자부전선(53)의 색을 보면서 제9도와 같이 그 견본(54)에 대응하는 형상의 코넥터 하우징(521~52n)을 선출함과 동시에 클램프간(55)의 좌단으로부터 차례로 꺼낸 전선부착 단자(531~53n)을 견본(54)의 전선색에 대응시켜 코넥터 하우징(521~52n)의 동위치의 단자수용실(561~56n)에 삽입하는 것이다. 전선색은 적색, 청색, 백색, 흑색, 녹색 등 여러가지이고, 클램프간(55)의 각 클램프에는 미리 좌단의 코넥터 하우징(521)의 아래쪽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어서 윗쪽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삽입하는 순서로 전선부착단자(531~53n)가 나란히 놓여 있다. 작업자는 견본(54)을 보고, 전선부착단자(53)을 삽입시키지 않은 빈 단자수용실(560)를 확인하면서 삽입 위치불량이 없는가를 확인하여 삽입작업을 진행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삽입수단에 있어서는 전선부착단자(53)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종류의 전선색을 필요로하여 전선의 제조나 보관등의 관리가 큰 일이었다. 또, 전선부착단자(53)가 바르게 배선되어 있는 샘플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종 서브하네스에 대응하는 샘플의 제작이나 보관 및 설치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전선부착단자(53)를 코넥터 하우징(52)의 아래쪽의 왼쪽으로부터 윗쪽의 오른쪽으로 차례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한번 제조한 전선부착단자(53)를 미리 클램프간(55)에 나란히 바꾸어 놓아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좋지 않았다. 또한 빈 단자수용실(560)을 확인하면서 전선부단자(53)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기억력이나 숙련도가 필요하여 다른 서브하네스의 품번바꿈이 어려웠다. 그뿐만 아니라, 샘플을 설치한 장소에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고, 다른 장소에서 삽입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샘플을 하나하나 들고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기에 매우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각종의 전선색을 사용하지 않고 또 코넥터 샘플을 사용하지 않고, 또 클램프간의 전선부착단자의 바꾸어 놓기를 하지 않고, 각 코넥터 하우징의 전선부착단자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 이 각종 서브하네스의 품번 바꾸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뿐만 아니라, 작업장소가 한정되지 않는 단자삽입 유도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코넥터 하우징의 단자수용실에 대향하는 광파이버센서와, 그 광파이버 센서를 소요의 그 단자수용실에 대응하여 XY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 그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소프트부에 의하여 구성되는 제1의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광바이퍼센서를 고정시킨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를 Y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그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폴리를 통하여 Y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와, 그 폴리의 중심부에 맞물리게 하여 X방향으로 연장된 스풀라인축과, 그 스풀라인축을 구동하는 모우터와, 그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X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와, 그 벨트를 구동하는 모우터에 의하여 구성되는 제2의 구조를 채용한다.
또, 상기 구동기구와 소프트부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상기 광파이버 센서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그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6)에 복수의 위치결정핀이 같은 피치로 병렬로 세워 설치되며, 그 위치결정핀에 코넥터받이판의 핀 걸어맞춤구멍이 걸어맞추어지는 제3의 구조와, 상기 코넥터받이판이 코넥터 하우징과 동일형상의 코넥터 걸어맞춤구멍과, 그 코넥터 걸어맞춤구멍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코넥터 하우징에 접히고, 선단에 코넥터 받이부를 가진 복수의 코넥터 지지기둥과, 그 코넥터 지지기둥의 사이에서 코넥터 하우징에 압접하는 누름스프링편을 가진 제4의 구조 및 상기 코넥터 받이판이 상기 위치결정핀의 피치의 n배의 간격으로 핀 걸어맞춤구멍을 가진 제5의 구조를 아울러 채용하는 것이다.
[작용]
제1의 구조에 있어서, 강파이버 센서가 구동기구에 의하여 XY방향으로 이동되어 코넥터 하우징의 소요(단자를 삽입하여야 할)의 단자수용실을 조사(照射)한다. 작업자가 그 단자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하면, 광파이버센서가 감응하여 다음의 단자 수용실로 이동한다. 제2의 구조에 있어서, 그 구동기구는 광파이버센서를 가진 슬라이더를 벨트구동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스플라인축을 따라 그 슬라이더를 벨트구동으로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광파이버센서는 작업자에 대한 페이스 메이커로서도 작용한다.
제3내지 제5의 구조에 있어서, 코넥터 하우징은 코넥터 받이판에 지지되어 개구부내에 위치한다. 코넥터 받이판은 위치결정핀에 걸어맞추어 같은 피치로 배열된다. 또는 n배의 피치의 핀 걸어맞춤구멍을 가진 폭넓은 코넥터 받이판에 의하여 큰 코넥트 하우징이 지지된다.
[실시예]
제1도는 본발명의 단자삽입 유도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동측단면도이다.
이 단자삽입 유도장치(1)는 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광파이버센서(2)에 의하여 코넥터하우징(3)의 소요의 단자수용실(4)을 아래쪽으로부터 조사하여 작업자에 전선부착단자의 삽입위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그 광파이버 센서(2)는 예컨대 SUNX제의 FD형 등이 적합하고, 본예에 있어서는 프리즘형 렌즈를 사용하여 수평 가로놓기의 파이버센서(2)의 빛을 상향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그 광파이버센서(2)는 호울더(5)에 고정되고, 그 호울더(5)는 후방으로 연장하여 슬라이더(6)에 고정되어 있다. 그 슬라이더(6)는 전후방향(Y방향)의 1쌍의 원주형의 가이드레일(7)에 로울러(8)을 걸어맞추어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그 가이드레일(7)의 전단에는 로울러(9)가 설치되고, 그 로울러(9)가 X방향의 직사각형의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광파이버센서(2)를 가진 슬라이더(6)는 가이드레일(7)과 일체로 좌우방향(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 가이드레일(7)과 일체인 아래쪽 블록(11)에는 전후에 폴리(12, 13)가 설치되고 후방의 폴리(13)는 그 블록(1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중심부에서 X방향의 스풀라인축(14)에 맞물려서 회전된다. 그 폴리(13)는 블록(11)과 일체로 그 스플라인축(14)으로 X방향으로 가이드된다. 그 스플라인축(14)은 모우터(15)로 벨트구동된다. 전후의 폴리(12, 13)에 걸린 벨트(16)는 슬라이더(6)의 수하부(6a)에 고정되고, 그 슬라이더(6)는 벨트(16)의 회전으로 전후로 이동한다. 또, 그 블록(11)에는 X방향의 긴 벨트(17)가 고정되고, 그 벨트(17)의 회전에 의하여 블록(11)이 광파이버센서(2)와 일체로 X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벨트(17)는 모우터(18)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 블록(11)에는 광파이버센서(2)의 연장선상에 지침(19)(제2도)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광파이버센서(2)의 구동기구(20)의 앞쪽에는 광파이버센서(2)의 이동위치를 지시하는 소프트부(21)인 CPU보드나 IO보드 및 드라이버나 전원 유니트 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 구동기구(20)나 소프트부(21)를 수용하는 케이스(22)의 측면(22a)에는 손잡이(23)(제2도)가 설치되어 장치(1)를 케이스 채로 운반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광파이버센서의 구동기구(20)의 다른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의 축에 연결한 회전레버의 선단에 광파이버센서를 설치하고, 그 회전레버로 Y방향의 위치내기를 행하는 (X방향의 위치내기는 전예와 똑같이 가이드레일로 행한다)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22)의 윗벽(22b)에는 광파이버센서(2)에 대향하여 X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로 긴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부(24)의 양쪽에는 케이스(22)의 윗벽(22b)으로부터의 복수의 위치결정핀(25)이 같은 간격(L)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 위치결정팥(25)은 개구부(24)의 길이방향 X 방향으로 같은 피치로 병렬로 설치되고, 각 위치결정판(25)은 배치방향은 상기 X 방향의 가이드레일(10) 내지 스플라인축(14)과 평행하다. 또, 개구부(24)의 양쪽에 있어서 대향하는 각 위치 결정핀(25)의 배치방향은 Y방향의 가이드레일(7)과 평행하다.
또한, 그 케이스윗벽(22b)에 있어서, 위치결정핀(25)의 주위에는 마그넷러버(26)가 부설되어 있다. 또, 그 윗벽(22b)에는 상기 지침(19)에 대한 표시창(27)이 형성되어 있다. 그 지침(19)은 광파이버센서(2)가 지시하는 단자 수용실(4)을 가진 코넥터 하우징(3)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그 윗벽(22b)의 개구부(24)위에는 복수의 코넥터 받이판(28)이 위치결정핀(25)에 걸어 맞추어져서 병렬로 배치된다. 본 예에 있어서 그 코넥터 받이판(28)은 마그넷러버(26)에 의하여 더욱 확실히 고정된다.
제3도는 개구부(24)위에 복수의 코넥터받이판(28)을 병렬로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위치결정핀(25)에 각 코넥터받이판(28)의 핀걸어맞춤구멍(29, 30)이 덜그럭거리지 않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각 코넥터받이판(28)은 위치결정핀(25)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다.
그 코넥터받이판(28)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금속제의 받이판 본체(31)의 중앙에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을 관통설치하고, 그 전후에 위치결정핀(25)에 대한 핀 걸어맞춤구멍(29, 30)을 설치함과 동시에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의 주위에서 그 받이판본체(31)로부터 코넥터받이부(33)를 가진 복수의 코넥터 지지기둥(34)을 수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코넥터 하우징(3)의 측벽에 대한 누름 스프링핀(35)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은 서브하네스를 구성하는 각 코넥터 하우징(3...)의 종류에 따라 코넥터 하우징(3...)의 각 정면투영형상으로 펀칭되어 있고(제3도 참조), 각 코넥터받이판(28)에 대한 코넥터 하우징(3)의 잘못된 삽입방지가 꾀하여지고 있다. 또, 위치결정핀(25)에 대한 핀 걸어맞춤구멍(29, 30)은 한쪽(29)이 둥근구멍, 다른쪽(30)이 긴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긴구멍(30)이 조립치수 오차를 흡수하여 전후의 위치결정핀(25)에 코넥터받이판(28)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걸어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받이판본체(31)의 전후단부(31a)는 테이퍼형상으로 위로 구부러져 코넥터받이판(28)의 붙이고 떼기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코넥터 지지기둥(34)은 제5도와 같이 하단에 원판형의 코넥터받이부(33)를 가지며, 그 코넥터받이부(33)에 코넥터하우징(3)의 바닥에 맞닿아서 정지가능하다. 그 코넥터 지지기중(34)은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벽부가 코넥터 하우징(3)의 측벽에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누름스프링편(35)이 하우징 측벽에 탄력적으로 닿아서 코넥터 하우징(3)을 고정시킨다. 그 코넥터 지지기둥(34)은 나사(36)등으로 받이판본체(31)에 고정된다. 코넥터받이판(28)에 대한 코넥터 하우징(3)의 붙이고 떼기는 코넥터 하우징(3)을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에 꽂았다 뺐다 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코넥터받이판(28)의 가로폭(S1)은 위치결정핀(25)의 피치(L)과 같거나 그 피치(L)보다도 좁게 설정된다. 제6도에 도시한 코넥터받이판(28')은 위치결정핀(25)의 피치(L)와 동일간격(L)에 좌우의 핀 걸어맞춤구멍(29')을 가지며, 그 코넥터받이판(28')의 가로폭(S2)은 위치결정핀(25)의 피치(L)의 2배내지 그 이하로 설정된다. 그 코넥터받이판(28')에는 폭이 넓은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이 형성되고 그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에는 폭이 넓은 코넥터 하우징(3')이 삽착된다. 그 코넥터 걸어맞춤구멍(32')의 형상은 코넥터 하우징(3')의 정면투영형상에 일치하고, 코넥터 하우징(3')을 지지하는 지지기둥(34')이나 누름 스프링편(34')의 형상은 제4도의 것과 동일하다. 전후 좌우 합계4개의 위치결정핀 걸어맞춤구멍(29')중의 하나는 긴구멍(30')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와 같이 코넥터받이판(28, 28'...)에는 크기나 형상이 다른 코넥터 하우징 (3, 3'...)이 병렬로 지지된다. 제3도 가장 우측에 도시한 코넥터보다도 가로로 긴 코넥터 하우징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위치결정핀(25)의 피치(L)의 2배내지 n배의 간격의 핀 걸어맞춤구멍(29')을 가진 코넥터받이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제7도의 플로우차아트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넥터 하우징(3...)을 코넥터받이판(28)에 세트한후(40), 단자삽입 유도장치(1)의 전원을 넣고(41), 작업자가 단자부 전선을 손으로 잡는다(42). 그 단자부전선은 예컨대 앞공정의 단자압착공정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흘러오는 것이라도 좋고, 또 다른 공정에서 종래의 클램프간에 병렬로 끼워지지하여 단자삽입 유도장치(1)까지 운반한 것이라도 좋다.
전원 ON(41)과 동시에 광파이버센서(2)가 상기XY방향의 구동수단(20)으로 소요의 단자 수용실(4)의 바로밑에 이동하여(43), 제3도와 같이 점등하여 작업자에 전선부착단자를 삽입하여야 할 단자수용실(4)를 알린다(44). 작업자는 광파이버센서(2)의 점등을 코넥터하우징(3)의 위로부터 용이하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미리 서브하네스의 종류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선정버튼을 누르고 그에 의하여 상기 소프트부(21)가 그 서브하네스에 있어서의 단자 삽입순서를 출력한다. 단자삽입순서는 미리 각 서브하네스마다 소프트부(21)에 입력되어 있다.
작업자는 광파이버센서(2)로 지시된 단자수용실(4)에 전선부착단자를 삽입한다(45). 전선부착단자의 삽입에 의하여 파이버센서(2)의 빛이 차단되고 그것에 의하여 광파이버센서(2)가 반응하여(46), 다음의 단자수용실(4내지 4')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43~46의 동작을 반복한후, 소프트부(21)에서 서브하네스에 있어서의 최후의 단자수용실(4)인 것을 판단하여(47), 광파이버센서(2)의 이동을 정지하고, 도시하지 않은 부저등으로 작업자에 서브하네스의 완성을 알리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파이버센서의 점등한 단자수용실에 차례로 전선부착단자를 삽입해가는 것만으로 간단히 서브하네스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같은 각종의 서브하네스에 대한 견본의 제작이나 번거로운 관리를 행하지 않고, 또한 잡업자의 기억이나 숙련도에 의지하지 않고 각종 서브하네스에 대하여 소정의 단자수용실에 확실히 단자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하네스 견본으로서 다색의 전선이 불필요하므로 1종류(1색)의 전선을 사용하여 서브하네스를 구성할 수 있고 전선의 제조나 입수 및 관리등의 수고가 들지 않고,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 광파이버센서를 따라 차례로 단자를 삽입하므로 작업 페이스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종래와 같이 단자를 코넥터 하우징의 아래쪽의 왼쪽으로부터 윗쪽의 오른쪽으로 차례로 삽입하지 않고, 코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랜덤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제조한 전선부착단자를 삽입순으로 클램프간에 바꾸어 배치할 필요가 없고, 제조순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나란히 놓으면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마다 장치를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단자부착전선의 제조공정과 분리하여 다른 공정에서 누구라도 간단히 확실하게 단자삽입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코넥터받이판의 코넥터 걸어맞춤구멍이 코넥터 하우징과 동일형상이므로, 코넥터 걸어맞춤구멍의 코넥터 하우징의 잘못된 삽입이 방지된다.

Claims (5)

  1. 코넥터 하우징의 단자수용실로 단자삽입을 유도하는 장치로서, 케이스를 형성하고, 이들중 하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벽; 상기 개구부에 대하여 위로 놓이는 관계로 코넥터 받이판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의 부착수단;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떨어져 밑에 놓여 있는 관계로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광파이버센서; 상기 센서를 상기 하우징 내의 선택된 단자 수용실과 정렬관계로 위치시켜 그 내부를 조명하도록 XY축들을 따라 상기 광파이버센서를 전후반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상기 케이스 내의 구동기구; 상기 광파이센서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소프트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삽입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광파이버센서를 고정시킨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를 Y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그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폴리를 통하여 Y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와, 그 폴리의 중심부에 맞물려 X방향으로 연장된 스플라인축과, 그 스플라인축을 구동하는 모우터와, 그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X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와 그 벨트를 구동하는 모우터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유도장치.
  3. 제1항에있어서, 상기 구동기구와 소프트부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상기 광파이버센서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그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복수의 위치결정핀이 같은 피치로 병렬로 세워 설치되고, 그 위치결정핀에 코넥터받이판의 핀 걸어맞춤구멍이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삽입 유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받이판은 코넥터하우징과 동일형상의 코넥터 걸어맞춤구멍과, 그 코넥터 걸어맞춤구멍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코넥터 하우징에 접하고 선단에 코넥터받이부를 가진 복수의 코넥터 지지기둥과, 그 코넥터 지지기둥의 사이로부터 코넥터 하우징에 압접하는 누름스프링편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삽입 유도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받이판이 상기 위치결정핀의 피치의 n배의 간격으로 핀 걸어맞춤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삽입 유도장치.
KR1019950029419A 1994-09-26 1995-09-07 단자삽입 유도장치 KR100211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9517A JP3009124B2 (ja) 1994-09-26 1994-09-26 端子挿入誘導装置
JP94-229517 1994-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60A KR960013160A (ko) 1996-04-20
KR100211226B1 true KR100211226B1 (ko) 1999-07-15

Family

ID=1689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419A KR100211226B1 (ko) 1994-09-26 1995-09-07 단자삽입 유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90457A (ko)
JP (1) JP3009124B2 (ko)
KR (1) KR100211226B1 (ko)
DE (1) DE1953583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806B2 (ja) * 1995-03-23 2000-0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電線配列指示検査装置
JP3338979B2 (ja) * 1996-11-22 2002-10-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ーネス製造用の電線圧接装置
JP3785949B2 (ja) * 2001-05-11 2006-06-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挿入ガイド装置
US6793401B2 (en) * 2002-08-22 2004-09-21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bundle of conductors into a connector
JP2004220891A (ja) * 2003-01-14 2004-08-05 Yazaki Corp サブハーネス製造装置及びサブハーネス製造方法
US6936810B2 (en) 2003-07-21 2005-08-30 Thomas Hiramatsu-Tie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n optical beam using an optical conduit
US7093351B2 (en) 2003-12-30 2006-08-2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 for matching harnesses of conductors with apertures in connectors
US7647695B2 (en) * 2003-12-30 2010-01-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of matching harnesses of conductors with apertures in connectors
US7706642B2 (en) * 2005-08-05 2010-04-27 Beneficial Photon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oving optical beams
US8099857B2 (en) * 2008-02-09 2012-01-24 Cirris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electrical pin installation and retention confirmation
JP5202077B2 (ja) * 2008-04-10 2013-06-0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装置
US8442664B1 (en) 2010-09-10 2013-05-14 Enovation Controls, Inc. Integrated wire harness batch production systems and methods
US9257808B1 (en) 2010-09-10 2016-02-09 Automated Wiring Systems, LLC Integrated wire harness batch production with double buffe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FR3102012A1 (fr) * 2019-10-14 2021-04-16 Souriau Ensemble d’un outillage d’éclairage pour guider l’insertion de contacts dans un connecteur
DE102022126336A1 (de) 2022-10-11 2024-04-11 Kromberg & Schubert Automotive Gmbh & Co. Kg Leitungssatzfertig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7728B (de) * 1963-08-06 1969-06-19 Telefunken Patent Verfahren zur Erleichterung der Herstellung von elektrischen Verbindungen zwischen den einzelnen Anschlusspunkten eines aus einer Vielzahl von Anschlusspunkten bestehenden Feldes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US3706134A (en) * 1970-08-04 1972-12-19 Amp Inc Optical aid
JPS53135481A (en) * 1977-04-28 1978-11-27 Toshiba Corp Semi-auotmatic wiring machine
US4318222A (en) * 1978-01-11 1982-03-09 Froehlich Hans Juergen Apparatus for sequentially assembling components
FR2542934B1 (fr) * 1983-03-16 1985-07-05 Aerospatiale Dispositif pour la connexion automatique de conducteurs electriques sur un organe de regroupement
JPS62254316A (ja) * 1986-04-25 1987-11-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を含む組立電線の組立補助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4727637A (en) * 1987-01-20 1988-03-01 The Boeing Company Computer aided connector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JPH06101256B2 (ja) * 1988-07-14 1994-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圧接装置
US5198983A (en) * 1990-07-09 1993-03-30 Bell Helicopter Textr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mi-automated insertion of conductors into harness connectors
US5110307B1 (en) * 1991-07-09 1994-09-20 Balo Precision Parts Inc Laser weldable hermetic connector
JPH07169550A (ja) * 1993-12-14 1995-07-04 Yazaki Corp ハーネスサブアッシーの組立誘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96921A (ja) 1996-04-12
JP3009124B2 (ja) 2000-02-14
DE19535830A1 (de) 1996-03-28
DE19535830C2 (de) 2000-03-02
KR960013160A (ko) 1996-04-20
US5590457A (en) 1997-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226B1 (ko) 단자삽입 유도장치
US5777480A (en) Connector conduction tester, and terminal locking method for connector conduction test
JP3764630B2 (ja) コネクタ導通検査装置及びコネクタ導通検査方法
JP2002093544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接続装置
EP1039591B1 (en) Pressure welding apparatus and pressure welding method
JP3338979B2 (ja) ハーネス製造用の電線圧接装置
JP3785949B2 (ja) 端子挿入ガイド装置
CN212932823U (zh) 一种可兼容多种支架的测试工装
KR200426244Y1 (ko) 커넥터 전선 삽입용 지그
JP2742674B2 (ja) 遊技機
JP2710025B2 (ja) 遊技機の電気部品装着装置
JP2710026B2 (ja) 遊技機用の電気部品装着装置
EP1237396B1 (en) Component carrier
JP2710024B2 (ja) 遊技部品の電気部品装着装置
JP3026714B2 (ja) 多ガイド型端子挿入装置
CN215494064U (zh) 一种端子接线指示装置
CN217618168U (zh) 一种端子料带定位切割装置
KR20080030174A (ko) 소켓용 다발 형태의 콘택트부재 조립체, 소켓 및 소켓 조립방법
EP0949856A2 (en) Numerical control device
JPH0728805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持器並びに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ロック装置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持方法
JP4083882B2 (ja) 端子板取付台
JPH0733390U (ja) 弾球遊技機用の遊技部品構造
CN117031093A (zh) 对插机构、测试装置及测试方法、电池生产线
SU12234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и извлечени печатных плат
JP3665281B2 (ja) 電線ガイド付き電線圧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