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001B1 - 텔레비젼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001B1
KR100211001B1 KR1019910010280A KR910010280A KR100211001B1 KR 100211001 B1 KR100211001 B1 KR 100211001B1 KR 1019910010280 A KR1019910010280 A KR 1019910010280A KR 910010280 A KR910010280 A KR 910010280A KR 100211001 B1 KR100211001 B1 KR 10021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ade
axis
shades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606A (ko
Inventor
지아난토니오 쥬세페
데파올리스 세자레
안토넬리 고프레도
Original Assignee
어윈 엠. 크리트만
비디오 칼라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윈 엠. 크리트만, 비디오 칼라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어윈 엠. 크리트만
Publication of KR92000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Abstract

칼라 텔레비젼 관(20)과 같이 주사하는 전자 비임 표시부에 대한 보상 코일(50)은 순환자기 필드, 특히 지자기 필드로 인한 전자 비임의 불량한 편향을 감소시킨다. 제1코일 색숀(52)은 Z축에 수직인, 관 네크(32)를 인서클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진다. 관 네크(32)를 인서클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진다.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제1코일 색숀(52)위 및 아래에 배치되며, 각각은 Z축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며 일반적으로 내부 자기 차폐(80)의 면에 따라 X 및 Y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위하는 루프를 가진다. 상기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Z축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넓은 X축 차원을 가지며, 카이스톤 형태이다.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의 측면 길이(66)는 보상 코일이 계속해서 감기도록 측면으로 제1코일 색숀(52)에 접속된다. 상기 제1코일 색숀은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의 각각의 통로에 대해 2개의 통로를 가진다.

Description

텔레비젼 표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보상코일에 장착된 CRT의 사시도.
제2도는 보상 코일을 포함하는 장치의 후면 입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측입면도.
제4도는 부분적으로 잘려 도시된 유리관 및 내부 자기 차폐를 가지고, 제1도에 대응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에 사용하기 위한 내부자기 차폐 구성의 입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다른 내부 자기 차폐의 입면도.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따라 보상 코일을 위한 코일 구성을 설명하는 입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의 관련 배치와 내부 자기 차폐를 설명하는 부분적 분해 조립도.
제12도는 보상 코일과 조절 전류를 설명하는 개략 다이어그램.
제13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발명의 코일 구성을 설명하는 그라픽 패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스크린 36 : 편향코일
50 : 보상코일 72 : 마스크
본 발명은 텔레비젼 표시부와 같은 주사 전자 비임 장치에 입사되는 순환 자기 필드의 삭제, 특히 큰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지자기 필드의 영향을 삭제하기 위한 보충 보상 코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상 코일은 특별한 구성을 가지며 텔레비젼 표시부의 특정한 지리적 위치와 방향에 요구된 바와 같은 보상 필드 레벨을 셋팅하기 위한 조절 수단을 가진다.
칼라 텔레비젼 CRT 표시부에서, 관에 대향한 표시부 스크린은 형광체 영역 그룹의 매트릭스를 가지며 3개의 형광체 스트립등은 표시부의 각각 유닛을 한정한다. 그룹의 각각의 스트립은 전자 비임에 의해 여자될때, 3개의 제1차적 칼라중 하나로 광을 방출한다. 전자 총 구조는 관의 한단부에 배치되며, 3개의 전자 비임은 스크린 형광체상의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조정된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3개의 전자 비임이 표시부 유닛을 한정하는 특정한 형광체 그룹에서 조정될때와 같은 형광체 영역과 전자 층 구조로 정렬되는 개구 매트릭스를 가지며, 각각의 비임으로부터 전자들은 특정한 비임에 관한 칼라에 대해 형광체를 포함하는 그룹 형광체의 색숀에 충돌한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특정한 비임에 의해 방출된 전자로부터 가까운 형광체 영역(다른 칼라에 대응한)을 차단한다. 이들 가까운 영역 대신에 그들 각각의 비임에서 전자들을 수신하기 위해 섀도우 마스크에서 각각의 개구에 대하여 정렬된다.
스크린 형광체를 여자시키기 위한 전자들은 전자 총 구조에서 스크린까지 정전기적으로 가속된다. 모두 3개의 총으로부터의 비임은 형광체 그룹위로 통과될때 래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주사된다. 상기 주사는 상기 전자 총 구조에 인접하여 관에 배치되어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된 수평 및 수직 주사비로 변화하는 자기 필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 총 구조는 좁은 네크를 가진 깔대기형 관의 한단부에 존재하며, 상기 편향 코일은 관의 네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편향 코일은 전자 비임의 중앙 라인에 관계하여, 수평(X축) 편향에 대해서는 수직적으로 수직(Y축) 편향에 대해서는 수평적으로 정렬된 자기 필드를 발생하며, 상기는 Z축을 제한한다. 이동전자들은 전류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코일의 자기 필드에 종속될때, 전자들은 X및/또는 Y방향으로 가속되며 곡선 통로에 흐른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편향 코일은 제한된 연장을 차지하여 비교적 Z축에 따라 필드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전자들은 제한된 영역에서 편향을 목적으로 수직적 및/또는 수평적으로 가속한다. 편향 필드 영역으로부터 방출후에, 전자들은 편향 코일에서 전자가 섀도우 마스크를 통한 스크린 형광체에 충돌하는 점까지 거의 직선 라인으로 통과한다. 편향 코일과 스크린 사이에 통과하는 전자들이 순환 자기 필드에 종속되는 편향과 같은 것에 있어서, 그들은 비슷하게 필드에 따라 종속되며 스크린을 향해 리딩하는 곡선통로에 따른다. 곡선의 방향과 연장은 클럭스 세기, 소스 및 다른 자기 필드의 방향에 의존한다. 다른 자기 필드에 의한 전자 비임의 편향과, 그것에 의해 발생된 전자 비임 통로의 곡률은 섀도우 마스크에 의한 전자 비임을 잘못 정렬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소정의 전자 비임으로부터 전자들은 의도된 칼라 형광체 보다는 칼라 형광체에 인접하여 의도된 칼라 형광체에 부분적으로 충돌하며 다수의 표시된 칼라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전자 비임 편향에 영향을 주는 어떤 자기 필드는 표시부 장치의 자기적인 투과성 소자의 불량한 자화로 인해 존재한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강철일 것이다. 강철 링은 보통 파손의 경우에는 화상관의 내파에 따라 보호를 위해 스크린을 포함하는 면 플레이트의 주변에 둘레에 제공된다. 상기 편향 코일과 스크린 면 플레이트 사이의 관이 깔대기 형 면에 따른 내부 자기 차폐가 또한 제공되며 자기적으로는 투과성 소자이다. 이들 소자가 자화되는 경우, 자화 순도에 영향을 끼친다. 더구나, 내부 자기 차폐의 자화는 그것의 투과성에 영향을 주며 지구 자기 필드의 같은 필드에서 입사되는 전자 비임을 격리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상기 표시부의 투과성 소자의 자화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은 대향 DC 자기 필드의 관에 공급하기 위해 동작 가능한 필드 삭제 장치를 가진다. 상기 장치는 관의 면에 위치한 코일을 사용하며, 관의 부분을 포위하기 위해 배치된 루프 또는 한쌍의 루프를 가진다. 예를들어, 코일은 보호 강철림 가까운 곳에 연장되며 관내의 자기 차폐를 포위하도록 관의 표면 위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당히 큰 상부 코일은 관 깔대기의 상부 위에서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으며 작은 하부 코일은 바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DC 전류는 지자기 필드의 카운터 효과에 대해 상기 코일에 공급된다. 이들 코일은 실제적으로 관만큼 넓으며, 그것에 의해 보호림등 뿐아니라 일반적인 관의 컨텐트를 포위하며, 내부 차폐를 포함한다. 코일의 다른 형태는 코일이 단순히 스크린 뒤에서 즉시 관을 인서클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지구의 자기 필드는 칼라 순도와 래스터 형태에 반대 영향을 주도록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는 경향이 있는 수평 및 수직 성분을 가지는 순환 필드이다. 지구 자기극에 관한 CRT Z축의 방향에 의존하여, 지자기 필드 성분을 비임들을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편향하며(수직 및 수평 필드 성분으로 인해)트위스트 래스터(즉, Z축에 대해 비임이 회전하는)를 발생한다.
상기 지구의 필드는 편향 코일 필드의 크기에 따른 크기로 크지 않고, 따라서, 지구의 필드는 편향 코일의 스판과 비교하여 상당히 긴 스판위에 전자 비임을 가속시키고 편향한다. 따라서, 지자기 필드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자기 또는 다른 순환 자기 필드의 영향을 삭제한다. 따라서, 코일의 특정한 형태는 순도의 보정 및 래스터 왜곡이 코일의 특정한 기하학과 권선의 특정한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곳에서 사용된다. 조절가능한 DC 전류 공급은 그때 보상 필드의 레벨을 셋하며, 상기 레벨은 최적 보상을 위해 CRT를 설치하고 이동할때 셋되어 진다. 본 발명은 따라서 간단하면서 효과적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래스터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관 네크를 인서클한 제1코일 색숀을 가지는 보상 코일을 사용하는 주사 비임 표시부로 입사되는 순환 자기 필드로 인한 편향을 위해 보상되며 관련 투과성 표시부 소자는 칼라 순도를 얻기위해 내부 자기 차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RT용 보상 코일을 제공한느 것이며, 네크 인서클의 권선과 상부 및 하부로 경사진 보상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은 단순한 방법으로 지자기 필드의 영향을 최적으로 삭제하기 위해 다수의 권선과 형태로 구성되며 코일은 내부 자기 차폐와 상호 작용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제1코일 색숀은 관 네크를 인서클 하기 위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Z축에 수직이다.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은 제1코일 색숀 위 및 아래에 배치되며, 각각의 X축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X및 Y축의 영역을 포위하는 루프를 제한하며 내부 자기 차폐에 따라 연장된다. 상기 코일은 직렬로 연결된다. 조절 가능한 직류 전류의 공급은 순환 필드에 대해 보상하는 코일을 에너지화 시킨다. 상기 상측 및 하측 코일 색숀은 X축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넓은 X축 차원을 거치며, 그것에 의해 사다리꼴 또는 키이스톤 형태가 된다.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의 측면 길이는 측면에서는 Z축 코일에 접속되며, 보상 코일이 계속해서 감겨 축 코일은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 각각의 통로에 대해 2개의 통로를 가진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전자 비임 장치의 음극선관(20), 특히 칼라 텔레비젼 표시부는 스크린(24)에 배치된 형관체를 조정하며, 관단부에서 전자층에서 방출된 전자 비임의 불량한 편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보상 코일(50)을 가진다. 순환 자기 필드로인해 발생되는 불량한 편향, 특히 지자기 필드는, 지자기 극에 따라 칼라 텔레비젼 표시부의 위도와 방향에 의존하여 수직 및 수평 성분을 가진다. 전자 비임들 때문에 발생하는 자기 필드 입사로 인한 전자 비임의 편향은 전류 방향에 수직인 힘과 입사 자기 필드의 플럭스 라인 방향에 수직으로 종속된 전류를 제한한다. 상기 전류는 일반적으로 Z축에 따라 조정되며 전자 총에서 스크린 센터까지 라인으로서 제한되며 Z(수평) 및 Y(수직)축에 따른 성분을 가진다. Z축의 길이위에 전자 비임에 입사되는 순환 수직 자기 필드인 한 전자 비임의 수평 편향이 발생하며, 칼라 순도에 반대 영향을 준다. Z축에 따른 자기 필드 성분을 전류의 수직 및 수평 성분 둘다로 인해 비임 위치에 영향을 주며, 래스터의 엣지를 향해 증가하는 크기의 래스터 트위스트를 발생한다. 상기 입사 자기 필드는 칼라 순도의 질 저하 처럼 칼라 화상 표시부에 존재하며 변형된 래스터는 래스터 엣지에서 대부분 엄격해 진다.
텔레비젼 표시부가 수평으로(물론 형태적으로) 위치되게 취하여, 지자기 필드의 수직 성분은 위도에 의존한 레벨에 고정되며, 다른 말로하면 지구의 극에 대해 장치의 관련 방향에는 무관하다. 그러므로, 지자기 필드의 수평 성분은 관센터 라인 또는 X축을 포함하는 수평 플레인에서 어떤 각으로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관의 방향에 의해, 지자기 수평 성분은 Z축과 X축에 따른 성분으로 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립화에 대해, 보상코일(50)은 관(20)에 장착되며 그것의 요구된 위치에서 표시부 장치에 셋업될때 조절가능한 가변 직류 전류원에 접속되며, 또한 후에는 표시부가 지구 극에 관해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접속된다(고정된 상태의 자기 필드의 다른 고정 소스에 관해).
제1코일 색숀 또는 보상 코일(50)의 Z축 코일(52)은 래스터 트위스트를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입사 필드의 부분을 삭제하여 Z축에 수직으로 관 네크(32)를 인서클하기 위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진다.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제1코일 색숀(52)의 위 및 아래에 배치되며, 각각은 Z축에 따라 스크린(24)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지며, 각각은 수직 길이(66)와 수평 길이(68)를 가지는 루프를 한정하며, X및 Y방향의 영역을 포위한다. 보상 코일(50)은 양호하게 관의 외부면에 장착된다. 상기 코일(62, 64)는 CRT(제1도에 도시된)의 내부 자기 필드에 대응한 관의 영역을 따라 연장된다. 코일 색숀(52, 62, 64)은 후에 자세히 기술된 특정 구성으로 직렬로 감기며, 조절 가능한 직류 전류 공급(제1도에 도시하지 않음)은 순환 필드를 보상용으로 보상하기 위해 코일을 에너지화 한다.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의 측면 길이를 측면측으로 Z축 코일에 접속되며, 상기 보상 코일(50)은 계속해서 감기, Z 축 코일(52)은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의 각각의 통로에 대해 2개의 통로를 가진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순도 에러를 발생하는 순환 필드를 중립화시키는 경향의 필드를 발생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Z축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넓은 X축 차원을 가지며 내부 자기 차폐에 거의 대응한 키이스톤 형태가 된다.
제4도는 잘린 사시도를 설명한다. 주사 전자 비임 표시부 장치, 특정한 칼라 텔레비젼 CRT는 관(20)의 네크(32) 단부에 배치된전자 총 구조(38)를 가진다. 상기 전자총 구조는 3개의 전자 비임을 방출하며, 상기는 전자총과 섀도우 마스크(72)사이의 큰 전위차로 인해, 스크린(24)쪽으로 정전기적으로 가속된다. 상기 스크린(24)은 Z축에 수직인, X축 및 Y축을 제한한다. 칼라 텔레비젼의 스크린(24)은 3개의 전자 비임에 대응한 그룹 셋으로 개별 칼라 형광체 영역을 가진다. 상기 형광체 영역은 3개의 전자 비임 각각이 칼라 형광체 중 하나를 주사하고 섀도우 마스크가 다른 칼라를 차단하도록 섀도우 마스크(72)에서 장치에 대하여 위치한다. 편향 코일(36)은 주사된 래스터를 발생하는 X및 Y방향의 전자 비임을 주사하기 위해 관(20)에 따라 배치된다.
상기 자기 필드 보상 코일(50)은 순환 자기 필드로 인해 전자 비임의 불량한 편향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1의 코일 색숀(52)은 일반적으로 Z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며, 그것에 의해 Z축 성분으로 보상 자기 필드를 공급한다. 상측 코일 색숀(62)과 하측 코일 색숀(64)은 제1코일 색숀(52)에 인접한 관(20)의 깔대기형 몸체(22)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따라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 각각은 Z축을 따라 전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내부 자기 차폐(80), 일반적으로 자기적 투과성 물질(즉, 강철)은 관의 글래스 인벨로프에 장착된다. 상기 내부 자기 차폐는 섀도우 마스크(72)의 리어에 대해 편향 코일(36)의 전방을 향한 포인트에서 리어의 포인트까지 깔대기형 몸체(22)내의 관의 내부 볼륨을 포위한다. 여기서 관(22)의 글래스 판넬은 프리트(fritted)정선을 따라 깔대기 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내부 차폐의 리어에서 개구(82)는 전자 비임 추이에 대해 제공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에 의해 선정된 루프는 X 및 Y방향의 영역을 포위하며, Z축에 따라 연장된 코일의 경사로 인해서, 실제로 내부 자기 차폐의 면에 정렬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은 편향 코일(36)과 스크린(24)사이의 많은 영역을 통해, Y및 Z성분을 가진 보상 자기 필드를 공급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 가능한 DC 전류 공급 수단은, 제1코일 색숀, 순환 자기 필드 용으로 보상되는 레벨로 상부 코일 색숀과 하부 코일 색숀을 에너지화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거의 키이스톤 형태가 되며, Z축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는 넓은 X축 차원을 가진다. 관(20)의 깔대기형 몸체(22)의 곡률로 인해,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 랩은 관둘레에 감겨있다. 그러므로, 이 랩은 Z축에 대해 대칭이다.
상기 내부 자기 차폐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것에 종속되는 상기는 보기 실시예의 리어 입면도이다.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차폐는 중앙 개구(82)를 가지며, 스크린을 통해 조정된 전자 비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수직 및 수평 차원으로 충분히 넓다. 상기 내부 자기 차폐는 전자 비임이 스크린을 향해 통과되는 영역을 인클로우징하는 전도성 및 자기적인 투과성 소자를 제공한다. 전류는 이들 필드 영향으로부터 관의 내부부분을 거의 차폐하는 전자기 필드를 교번하는 입사 만큼의 차폐로 감소된다. 덧붙이면, 내부 자기 차폐는 입사 자기 필드의 플럭스 라인이 실제로 제한되는 높은 투과성 소자를 한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내부 차폐는 순환 필드에 의해 자화되며, 이것이 그 자신의 차폐를 발생할때 스크린에 대해 편향 코일(36)의 영역에서의 추이에 따라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는 자기 필드를 발생한다.
제5도 내지 제7도의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는 관의 깔대기형 몸체(22)에 평행하게 정렬된 면을 따라 첨가 개구(82)를 가진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개구(84)는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의 수직 길이(66)에 유리하게 정렬된다. 이 방법에서, 차폐내의 내부 자기 차폐 및 영역은 보상 코일(50)의 영향에 종속된다. 보상 코일(50)의 상부 및 하부 색숀(62, 64)의 키이스톤 형 구성에 협력하여, 제7도의 실시예는 순환 자기 필드 영향을 삭제 하기 위해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 비임 페세이지를 위한 개구(82)는 거의 수직이 된다. 상기 부가적 개구(84)는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의 수직 길이(66)에 정렬되며 스크린에 인접하여 다소 넓으며 리어에 인접해서는 다소 좁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제1코일 색숀 또는 Z축 코일을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며, 상부 및 하부 코일 뿐아니라 분리 조절 전류를 공급한다. 예를들어, 상부 및 하부 코일은 방향에 대해서는 Z축 코일 및 위도에 대해서는 적당히 조절된다. 코일 권선 구성의 예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고 제13도 내지 제18도의 코일 형태이다.
제8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52) (Z축 코일)과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직렬로 접속되며, 즉, 전도체의 연속 길이의 특정 구성에서 얻어진다. 이방법에서, 상기 보상 코일은 유닛 처럼 에너지화되며 단일 전류원을 가진다. 이 구성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은 상부 및 하부 카이스톤 형 또는 Z축 코일을 인서클 하는 네크로부터 전도체의 사다리꼴 다이비젠시에 의해 형성된다. 지자기 필드의 Z축 성분이 일반적으로 수직 성분보다 큰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제1코일 색숀(52)은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보다 상당히 큰 수의 권선을 포함한다.
제9도에서, Z축 코일(52)은 분리되고 하나의 전류 공급에 결합되며 반면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분리 전류 공급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도체는 상부 색숀(62)과 하부 색숀(64)에 접속되며 Z축 코일을 따라 배치되며 따라서 Z축 필드에 분포된다.
제10도에서, Z축 코일은 상부 및 하부 색숀의 각각의 권선에 대해 2개의 측면 권선을 가지며 상부 및 하부 색숀에 접속되는 전도체는 Z축 코일 둘레에 루트된다. 따라서, 상기 Z축 또는 제1코일 색숀(52)은 상부 및 하부 코일에 인접한 수평 부분을 따라 비교적 소수의 권선을 가진다. 상당히 많은 권선은 제1코일 색숀의 가로 축상에서 수직으로 진행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부 및 하부 색숀은 네크-인서클 Z축 코일에서 다이버젠시된다.
상기 보상 코일은 다수의 공존 전도체를 가지거나 또는 단일 전도체를 가진다. 상기 보상 코일은 양호하게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으로서 Z축 코일로 대략 2배의 많은 권선을 가진다. 더 특히, 제1코일 색숀(52) 및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상부 및 하부 색숀(62) 또는 (64)중 하나로부터 진행되는 연속적 코일 길이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색숀(64) 또는 (62)에 대해 제1색숀(52) 둘레에 완전히 둘러싸이며, 측면으로 상부 및 하부 색숀중 하나의 코일(62) 또는 (64)에 대해 제1코일 색숀에 따른다. 이 권선 장치는 제1코일(52)가 상부 및 하부 색숀 각각의 통로에 대해 연속적 코일 길이의 2개의 통로를 가지고도록 존재한다.
제11도는 보상 코일과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자기 차폐 장치의 적분 성질을 설명한다. 상기 보상 코일(50)은 Z축 코일(52)이 상부 및 하부 색숀(62, 64)으로 가로로 접속되도록 감긴다. 3개의 코일(52, 62, 64) 각각은 같은 센스로 감긴다. 즉, 전류는 Z축 코일 반대 방향으로 수행되며 또한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 둘다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전달된다.
보상 코일(50)에 직류를 공급하는 수단은 제12도에 도시된다. 보상 코일(50)의 전류 레벨은 순환 자기 필드에 대해 레벨 보상에 셋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관이 지자기 남 또는 북에 더욱 가까이 대향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여 Z축방향으로 입사 필드 극성이 된다. 양극성 전류 공급은 2개의 가능성을 편리하게 하도록 사용된다. 전위차계(126)와 같은 조절 수단은 정 및 부극성 사이의 DC 레벨에 대해 보상 코일에 공급된 전류 레벨을 셋하며 정 및 부극성 DC 파워 공급부(122, 124)만큼 한정되어 제한된다. 상기 코일(50)은 상기 포테이션 메타와 그라운드의 와이퍼 사이에 접속된다. 전류 공급의 다른 형태는 쉽게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번 코일 구성 동작의 결과는 VIDEOCOLOR(79 센티메타 대각의 측정)에 의해 제조된 A79-1100 VHP 화상관을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비교되며, 코일 색숀과 화상관 뿐아니라 내부 자기 차폐의 최적 차원을 결정한다. 상기 Z-축 코일(52)은 내부 자기 차폐의 리어 엣지 상에 즉시 위치되며, 상기 차폐는 관의 깔대기 및 대면 플레이트 색숀 사이의 프릿 정션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된다. 최적 결과는 실시예에서 발견되며 상부 및 하부 코일 색숀(62, 64)은 프릿 정션(즉, 내부 차폐 앞에)의 후면에 위치한 점에 대해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색숀의 극단적인 상부 및 바닥 수평길이는 프릿 정션에 대해 25 내지 50mm에 위치한다.
코일 색숀의 큰 차원은 또한 A79-1100 VHP 관에 대해 시험된다. 상기 비교의 결과는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색숀과 함께 Z축 코일은 등록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13도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형태의 범위에 의해 지자기 필드에 의해 감소된 바와 같이 카운터 래스터 트위스트에 대해 알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색숀은 Z축 코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폭의 직선으로 둘러싸인 구성으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Z축 코일 색숀은 상부 및 하부 색숀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개선된 결과는 제14도 내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이스톤 형태로 상부 및 하부 색숀 플라이어링(flaring)에 의해 얻어진다. 제14도 및 제15도의 실시예에서, Z축 코일 색숀은 관 네크에 완전히 인서클 되지 않는다. 제14도의 상당히 넓은 플라이어링 키이스톤(최대폭(510mm; 최소 폭 50mm)는 예를들어, 제15도 내지 제17도와 같이 좁은 구성보다 덜 효과적인 것이 발견되며, 여기서 최대 폭은 220mm이다. 제14도 내지 제16도의 실시예에서, 최소폭은 50mm이고, 다소 넓은 변형보다는 덜 효과적이다. 제18도의 최적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한 관과 협력하여 사용될때, 230mm의 최대 폭을 가지며, 최소 폭은 110mm이고, 프릿 정션뒤에 극단적인 상부 및 하부 수평 길이로 위치한다. 이 실시예는 대략 95% 및 50%에 의한 래스터 트위스트와 잘못 등록의 지자기 필드 왜곡을 삭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9)

  1. 음극선 관의 네크로 배치된 다수의 전자 비임을 방출하는 전자 총 구조를 가지고 X축을 한정하는 스크린을 향해 Z축과 관의 가로 Z축에 수직인 Y축에 따라 전자 비임을 방출하는 주사 전자 비임 표시 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은 X 및 Y축으로 전자 비임을 주사하기 위한 관과 전자 총과 스크린 사이의 섀도우 마스크에 따라 배치된 편향 코일을 가진 전자 비임에 대응하여 그룹으로 셋된 개별 형광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전자 비임은 개별적으로 상기 그룹 셋 각각의 개별 형광체 영역에 입사하도록 그룹 셋에 대해 정렬되고 위치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는 순환 자기 필드에 종속하며 다른것은 순환 자기 필드로 인해 전자 비임의 편향을 감소시키는 DC전류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DC 자기 필드 보상 코일을 구비하는데, 상기 보상 코일(50)의 제1코일 색숀(52)은 Z축 성분 상기 제1코일 색숀(52)각각의 위 및 아래에 배치된 상부 코일 색숀(62)과 하부 코일 색숀(64)을 가지고 보상 자기 필드를 공급하기 위해, Z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며, 각각의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은 Z축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X 및 Y방향의 영역을 포위하는 루프(66, 68)를 가지며,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보상 자기 필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전자 비임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 관은 거의 깔대기형 부분을 가지며 또한 Z축에 따라 편향 코일에 전방으로 배치된 거의 깔대기형 자기적인 투과성 차폐를 구비하며, 상기 제1코일 색숀(52)은 상기 편향 코일(36)과 차페(30)사이의 음극선관을 인서클하며,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은 일반적으로 차폐(80)의 상부 및 하부면에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전자 비임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거의 키이스톤 형태이며 Z축을 따라 전방으로 실행되는 넓은 X축 차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전자 비임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80)는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의 수직 길이(66)로 정렬된 개구(8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비임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색숀(52)과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비임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색숀(52)은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보다 더많은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비임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색숀(52) 및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직렬로 연결되며,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은 측면으로 제1코일 색숀(52)에 접속되는 측면 길이(66)를 가지며, 상기 제1코일 색숀(52)은 상기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에 측면으로 인접하여 실행되는 소수의 권선을 가지며, 많은 권선은 상기 제1코일 색숀(52)의 측면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비임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색숀(52)과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상부(62) 및 하부(64) 색숀 중 하나로부터 실행되어 연속적인 코일 길이로 형성되며 상부(62) 및 하부(64)색숀의 다른것에 대해 제1색숀(52)에 완전히 둘러싸이며, 상부(62) 및 하부(64) 색숀중 하나에 대해 제1코일 색숀(52)은 연속적 코일 길이의 2개의 통로를 가지며 상부(62) 및 하부(64) 색숀 중 각각은 연속 코일 길이의 하나의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비임 표시 장치.
  9. 네크 부분에 배치된 전자 총 구조를 포함하는 음극선 관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로서, Z축에 따라 3개의 전자 비임을 방출하며, 스크린은 Z축에 수직인 X축 및 Y축을 제한하며, 3개의 전자 비임에 대응한 칼라 형광체의 그룹 셋으로 개별 형광체 영역을 가지며 관의 네크에 따라 배치된 편향코일은 X 및 Y축을 주사하기 위해 전자 비임 편향을 가능하게 하며, 관내의 섀도우 마스크는 스크린 리어에 인접하며, 저자 비임 각각은 칼라 형광체의 그룹 셋 각각의 개별형광체 영역에 입사하도록 그룹 셋에 대해서 정렬되고 위치된 개구를 가지며, 차폐는 관벽에 따라 배치된 자기적 투과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코일의 정방에서부터 섀도우 마스크의 인접점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순환 자기 필드로 인해 전자 비임의 편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DC 전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DC 자기 필드 보상 코일을 구비하는데, 상기 보상 코일의 제1코일 색숀(52)은 Z축 성분, 상기 제1코일 색숀(52)위 및 아래에 배치된 상부 코일 색숀(62) 및 하부 코일 색숀(64)을 가지는 보상 자기 필드를 공급하기 위해 편향 코일 및 차폐(80)사이의 한점에서 Z축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며, 상기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 각각은 관(20)의 깔대기 형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Z축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 각각은 X및 Y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포위되는 루프를 가지며, 상기 3개의 색숀은 실제 Z축 길이로 보상 자기 필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보상 코일(50)에 직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122, 124, 126, 128)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는 상측(62) 및 하측(64) 코일 색션의 수직 길이(66)로 정렬된 개구(8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52)과 상측(62) 및 하측(64) 코일 색숀은 직렬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52)은 상측(62) 및 하측(64) 색숀보다 상당히 많은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52)과 상측(62) 및 하측(64)코일 색숀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측(62) 및 하측(64)코일 색숀은 측면으로 제1코일 색숀에 접속되는 측면 길이(66)를 가지며, 상기 제1코일 색숀(52)은 상기 상측(62) 및 하측(64)코일 색숀에 가로로 인정하여 실행되는 소수의 권선을 가지며, 상기 제1코일 색숀(52)의 측면상에 수직적으로 실행되는 많은 권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52)과 상측(62) 및 하측(64)코일 색숀은 상측(62) 및 하측(64) 색숀 중 하나로부터 진행되는 연속의 코일 길이 형태이며, 상기 상측(62) 및 하측(64)색숀의 다른 부분에 대해 제1색숀(52)이 완전히 둘러싸이며, 상기 상측(62) 및 하측(64) 색숀중 하나에 대해 제1코일 색숀에 따라 측면으로 되어 있으며, 반면 상기 제1코일 색숀(52)은 연속적 코일 길이중 2개의 색숀 통로를 가지며 상기 상측 및 하측(64) 색숀 각각은 연속적 코일 길이중 하나의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62)) 및 하측(62) 코일 색숀은 거의 키이스톤 형태이며, Z축에 따라 전방으로 실행되는 넓은 X축 차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표시 장치.
  17. 중앙 축 Z 및 Z에 수직인 X 및 Y편향측을 한정하는 편향 수단 전자 비임을 가지는 음극선관에 입사되는 자기 필드를 보상하는 보상 코일에 있어서, Z축 성분을 가지고 보상 자기 필드를 공급하기 위해 비임 중앙 축 Z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권선을 가지는 제1코일 색숀(52)과, 상기 제1코일 색숀(52)위 및 아래에 배치된 상부 코일 색숀(62) 및 하부 코일 색숀(64)와, 중앙축 Z를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고 X및 Y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위하는 루프를 가지는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 각각과, 거의 Z축 길이로 Y및 Z성분을 가진 자기 필드 보상을 포함하는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필드 보상용 보상 코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코일(50)은 상기 제1코일 색숀(52)의 상부 및 하부 부분에서 전도적 길이의 다이버젠스에 의해 형성된 상부(62) 및 하부(64)코일 색숀을 가지고 제1코일 색숀(52) 둘레의 연속 루프로 실행되는 전도성 길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코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관은 전자총 구조의 전방으로부터 플라이어되며 상기 편향 수단의 전방으로부터 관의 플라이어 면과 거의 병렬로된 자기적 투과성 차폐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62) 및 하부(64) 코일 색숀은 전도성 길이의 키이스톤형 다이버젠스이며 상기 차폐(80)의 대응 영역에 인접하는 관의 외부면에 따라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코일.
KR1019910010280A 1990-06-25 1991-06-21 텔레비젼 표시 장치 KR100211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2075390A IT1251351B (it) 1990-06-25 1990-06-25 Apparecchio per la compensazione di campi magnetici
IT20753A/90 1990-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606A KR920001606A (ko) 1992-01-30
KR100211001B1 true KR100211001B1 (ko) 1999-07-15

Family

ID=1117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280A KR100211001B1 (ko) 1990-06-25 1991-06-21 텔레비젼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70094A (ko)
EP (1) EP0464576B1 (ko)
JP (1) JP3299999B2 (ko)
KR (1) KR100211001B1 (ko)
CN (1) CN1032344C (ko)
DE (1) DE69119651T2 (ko)
ES (1) ES2089060T3 (ko)
IT (1) IT1251351B (ko)
SG (1) SG55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7055B2 (ja) * 1992-08-21 2002-02-18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
KR940016423A (ko) * 1992-12-16 1994-07-23 황선두 편향 요크
JP3135421B2 (ja) * 1993-07-06 2001-02-1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US7092352B2 (en) * 1993-07-23 2006-08-15 Aquity, Llc Cancellation systems for multicarrier transceiver arrays
US6208135B1 (en) 1994-07-22 2001-03-27 Steve J. Shattil Inductive noise cancellation circuit for electromagnetic pickups
US5475282A (en) * 1993-08-18 1995-12-12 Efa Corporation Dual-coil type CRT image tilt correcting device
JPH07162881A (ja) * 1993-12-10 199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装置
BE1007908A3 (nl) * 1993-12-24 1995-11-14 Philips Electronics Nv Beeldweergave-inrichting met afbuigeenheid en afbuigeenheid voor een beeldweergave-inrichting.
US5815361A (en) * 1995-04-03 1998-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field shielding device in display
US5739638A (en) * 1996-06-24 1998-04-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us controlled arrangement using a duty cycle modulated control signal in a CRT
US5744904A (en) * 1996-09-16 1998-04-28 Acer Peripherals, Inc. Apparatus for reducing magnetic field radiated from deflection yoke
KR19980051541A (ko) * 1996-12-23 1998-09-15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11127446A (ja) * 1997-10-24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磁気補正装置と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527697B2 (en) 2000-12-21 2003-03-04 Ms Relief Ltd. Method for alleviating symptoms of certain types of disorders using electromagnetic fields
WO2007027184A1 (en) * 2005-08-31 2007-03-08 Thomson Licensing Internal magnetic shield for display devices with orthogonal scann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633A (en) * 1963-12-19 1975-04-22 Rca Corp Television degaussing system with saddle-type coils adjacent CRT cone
US3322998A (en) * 1964-08-31 1967-05-30 Rca Corp Color purity correcting apparatus for colored television picture tubes
US3614519A (en) * 1967-12-18 1971-10-19 Zenith Radio Corp Cathode-ray tube magnetic shield
NL6803012A (ko) * 1968-03-02 1969-09-04
DE6940484U (de) * 1969-10-17 1970-07-02 Philips Patentverwaltung Entmagnetisierungspruefgeraet.
US3872347A (en) * 1972-04-14 1975-03-18 Tokyo Shibaura Electric Co Degaussing device for colour cathode ray tubes
JPS5530277A (en) * 1978-08-25 1980-03-04 Matsushita Electronics Corp Color picture-tube unit
JPS61264992A (ja) * 1985-05-20 198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1296878A (ja) * 1985-06-25 1986-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テレビジヨン受像機
FR2606574B1 (fr) * 1986-11-07 1989-01-13 Videocolo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tubes cathodiques a masque vis-a-vis du champ magnetique terrest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344C (zh) 1996-07-17
US5170094A (en) 1992-12-08
IT1251351B (it) 1995-05-08
EP0464576A3 (en) 1992-10-28
CN1062236A (zh) 1992-06-24
IT9020753A1 (it) 1991-12-26
DE69119651T2 (de) 1996-11-28
SG55058A1 (en) 1998-12-21
DE69119651D1 (de) 1996-06-27
KR920001606A (ko) 1992-01-30
IT9020753A0 (it) 1990-06-25
JPH04253491A (ja) 1992-09-09
EP0464576A2 (en) 1992-01-08
ES2089060T3 (es) 1996-10-01
EP0464576B1 (en) 1996-05-22
JP3299999B2 (ja)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001B1 (ko) 텔레비젼 표시 장치
JP3169658B2 (ja) 走査速度変調装置
KR0145168B1 (ko) 칼라옴극선관
KR100244800B1 (ko)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KR100301323B1 (ko) 칼라수상관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KR20010033524A (ko) 편향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러한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편향 유닛
US651869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and a deflection unit for a display device
US7119485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9990029672A (ko) 개선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20010062634A (ko) 컬러 수상관 장치
KR100413446B1 (ko) 칼라수상관
JP3861595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594647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EP1150325A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H11339687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FI58232C (fi)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KR20000013827A (ko) 칼라브라운관의 편향장치
KR20030075781A (ko) 외부 자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JPH0576022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30007698A (ko) 공간 절약형 음극선 튜브
KR20000051953A (ko) 음극선관
KR20030072432A (ko)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JP2003070013A (ja) 地磁気補正装置と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