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800B1 -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800B1
KR100244800B1 KR1019910022727A KR910022727A KR100244800B1 KR 100244800 B1 KR100244800 B1 KR 100244800B1 KR 1019910022727 A KR1019910022727 A KR 1019910022727A KR 910022727 A KR910022727 A KR 910022727A KR 100244800 B1 KR100244800 B1 KR 10024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horizontal deflection
deflection
horizontal
field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572A (ko
Inventor
밀리 마르크
마이로트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비디오칼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오칼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비디오칼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92001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mplifi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90)상에 장착된 편향 요크(55)에 있어서, 한쌍의 규소강제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8b)가,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의 전자 빔 입구 영역과 인접한 후방부 상에 이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의 후방부가 음극선관의 네크부(33)와 상기 자계 고조파 증가기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자계 고조파 증가기는 상기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의 후방부에서 수평 편향 자계를 보다 핀쿠션 형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 코마 오차(horizontal coma error)를 감소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화한 편향 요크를 구비한 편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평 코머 보정(horizontal coma correction)을 실행하는 한쌍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와 제1도에 도시한 편향 요크에 대한 한쌍의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서 Z축에 수직인 평면상에 단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요크의 측면도.
제4도는 제 3도의 요크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제1도의 요크의 자계 분포 함수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2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를 이용한 경우의 제1도의 요크의 자계 분포 함수를 나타낸 도면.
제7도 및 제8도는 제 2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중 하나의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플라스틱 라이너 8a, 8b : 자계 고조파 증가기
10, 10a, 10b : 새들형 코일 10a1, 10b1 : 제1 측면 권선 패킷
10a2, 10b2 : 제2 측면 권선 패킷 22 : 디스플레이 스크린
44 : 전자총 55 : 편향 요크
66 : 코어 90 : 음극선관(CRT)
99 : 수직 편향 코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래스터의 코마 오차 보정(coma error correction)을 실행하는 편향 요크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3개의 수평 인라인(in-line) 전자 빔 R, G 및 B를 갖는 음극선관(CRT)용의 편향 요크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빔은 CRT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실질적으로 집중(converge)할 필요가 있다. 동적 집중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편향요크는 자기 집중 요크로서 칭한다.
자기 집중 요크에서, 수평 편향 권선, 즉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 강도, 즉 자속선은 불균일하고, 전자총보다도 스크린쪽에 가까운 요크의 부분( 주 편향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핀쿠션 형태가 된다. 그 결과, 소정의 편향 전류에서 편향 요크의 주편향 영역내의 자계는 스크린의 중앙부에서 보다도 예를 들면 스크린의 오른쪽 중앙 에지부, 즉 3시 위치에 있어서 보다 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계의 불균일성은 예컨대 3시의 위치에서 오집중(misconvergence)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수평 편향 코일은 한쌍의 새들형 코일로서 구성된다. 쌍을 이루는 새들형 코일중 상부측의 코일은 수평 평면의 상부에서 CRT의 엔벨로프의 상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 수평 평면은 CRT의 수평축 X를 따라 CRT의 스크린과 교차한다. 다른 쪽의 새들형 코일은 수평 평면 보다 하부에서 CRT의 엔벨로프의 하반부를 두러싸도록 배치된다. 원뿔 모양의 절연기 혹은 플라스틱 라이너(liner)는 이들 새들형 코일을 에워싸도록 이들 새들형 코일의 둘레에 이들과 근접해서 위치하는 내부 표면을 가진 원뿔형의 절연체, 즉 플라스틱제의 라이너가 배치된다. 이 플라스틱 라이너의 외부 표면은 자기 코어에 권선된 환형의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따라서, 상기 환형의 수직 편향 코일은 적어도 실제로 새들형 코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프라스틱 라이너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각 새들형 코일의 주 편향 영역에서 핀쿠션형 수평 편향 자계는 전자 빔이 CRE의 수평축 X를 따라 빔 스폿(spot)을 형성하는 경우, 적색 및 청색 전자 빔의 근방에서 녹색 전자 빔의 근방에서 보다도 강한 자속 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새들형 코일의 주 편향 영역에서 핀쿠션형 수평 편향 자계는 적색 및 청색 전자 빔에의해 형성되는 래스터의 수평 방향의 폭에 대하여 녹색 전자 빔에 의해 형성되는 래스터의 폭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집중 오차는 수평 코마(hcoma)라고 칭한다. 전형적으로 수평 코마는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 배럴형(barrel shaped)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권선 분포를 전자 빔 입구 영역의 근방의 각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 채용함으로써 감소된다. 새들형 코일의 소정의 권선 분포에 대해 한가지 형태의 수평 코마 보정을 행하는 데에는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서 핀쿠션 정도가 보다 강한 수평 편향 자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한쌍의 예를 들면 고투자율의 규소강으로 제조된 아치형의 제1 및 제2 자계 고조파 증가기가 각각 새들형 코일의 전자 빔 입구영역 근방의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의 근방에 위치한다. 상기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과 CRT의 네크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자계 고조파 증가기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수평 평면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예컨대 대칭적으로 수평 평면 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각 자계 고조파 증가기는 빔 입구 영역 근방에서 상부 및 하부의 새들형 코일의 각 대응 부분을 둘러싸게 된다.
제1 자계 고조파 증가기는 녹색 전자 빔 보다도 적색 전자 빔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2 자게 고조파 증가기는 CRT의 Y축에 상대적으로 대칭되고 녹색 전자빔보다도 청색 전자 빔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1 자계 고조파 증가기가 갖는 고투자성에 의해 녹색 전자 빔에 근접한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 대하여 적색 전자 빔의 근방의 후방부에 위치한 수평 편향 자계가 증가된다. 유사하게, 제2 자계 고조파 증가기는 녹색 전자 빔에 근접한 새들형 코일의 후방에 대하여 청색 전자 빔에 근접한 후방부에 위치한 수평 편향 자계를 증가시킨다. 이 결과,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 위치한 수평 편향 자계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도 보다 강한 핀쿠션형이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보다 최적으로 근접한 수평 코마 보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편향 장치는 배기된 유리 엔벨로프를 구비하는 인라인 시스템의 음극선관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엔벨로프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엔벨로프의 제2 단부에는 전자총 어셈블리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총은 편향시에 대응하는 래스터를 스크린상에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자 빔을 발생시킨다. 편향 요크는 엔벨로프 둘레에 장착되고, 음극선관내에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고 있다. 새들형의 제1 및 제2 수평 편향 코일이 음극선관내에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서로 직경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편향 코일의 각각은 음극선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측면 권선 패킷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도전체를 구비하고 있다. 투자성 재료로 제조된 코아는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에 대하여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전자총 어셈블리에 인접한 수평 편향 코일의 빔 입구단의 근방에 있는 제1 수평 편향 코일의 제 1 측면 권선 패킷 부분의 외부 표면 근방에는 자계 형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권선 패킷 부분은 엔벨로프의 네크부와 자계 형성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자계 형성 부재는 수평 편향 코일과 관련된 빔 랜딩(landing)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빔 입구단의 근방에서 수평 편향 자계의 푸리에 계수의 세기를 변화시킨다.
제1도는 세로축이 Z로 표시된 인라인 칼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수상관 어셈블리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인라인 디스플레이 수상관(CRT)(90)은 음극선관의 원추형부의 전방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을 구비하고 있다. CRT(90)는 예를 들면 편향각 90에서 19 인치, 즉 19V의 가시 스크린 크기를 갖는 GE A48ATA26X 형이다. 다른 편향각을 갖는 CRT 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2)으로부터 이격된 네크단(33)에는 X-Z 평면에 위치한 3개의 인라인 전자총(44)이 설치되어 있다. 세로축 Z는 이 평면내에 있고, 중앙의 전자총이 Z축에 중심이 맞추어져 있다. 전자총(44)은 3개의 수평 전자 빔 R, G, B를 발생시키며, 이들 전자 빔은 각각 적색, 녹색, 청색 전자 빔이다. 녹색 전자 빔 G는 3개의 인라인 전자 빔중에서 내부 전자 빔이고, 청색 및 적색 전자 빔은 외부 전자빔이다. 이들 전자 빔은 CRT 디스플레이 스크린(22)상으로 실질적으로 집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화하는 자기 집중 편향 요크(55)는 CRT(90)의 네크(33)의 일부분과 원추형 또는 플레어(flared)형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CRT(90)에 장착되어 있다. 편향 요크(55)는 한쌍의 새들형 코일(10)에 의해 형성된 라인 편향 코일 어셈블리(77)를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새들형 코일(10)의 상부측의 새들형 코일(10a)은 CRT(90)의 축 X 및 Z에 의해 형성된 수평 평면 X-Z의 상부에서 CRT(90)의 엔벨로프의 상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수평 평면 X-Z는 CRT(90)의 스크린(22)의 수직 방향의 중심에서 CRT(90)의 수평축 X를 따라 CRT의 스크린(22)과 교차한다. 새들형 코일 (10)의 다른쪽 코일(10b)은 수평 평면 X-Z의 하부에 코일(10a)에 대해 대칭이 되는 형태로 대향하고, CRT(90)의 엔벨로프의 하반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절두체의 형상인 지지체(11)(이하, 플라스틱 라이너(11)라 칭한다)는 새들형 코일(10)의 상부 표면을 둘러싼 내부 표면(11a)을 갖는다. 코일(99a,99b)을 포함하는 한쌍의 환형 코일(99)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 편향 코일 어셈블리(88)에 의해 둘러싸인 외부 표면(11b)을 갖는다. 코일(99a,99b)은 연자성체의 코어(66)를 형성하는 한쌍의 상하 코어 부분(66a,66b)으로 둘러 싸여져 있다. 코일(10)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수평 편향 회로(178)레 의해 구동되고, 코일(99)은 수직 편향 회로(177)에 의해 구동된다.
새들형 코일(10)의 각각은 전자총(44)에 인접한 부분(전자총 단)에 구부러진 후단 권회부(9)를 가지고 있다. 이 단부 권회 부분은 축 Z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CRT(90)의 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스크린 단으로 칭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2)에 인접한 부분에 새들형 코일(10) 각각의 제2전단 권회부(19)가 위치하고 있고, 이 전단 권회부(19)도 전체적으로 축 Z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 Z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제2도는 좌표 Z=Z1을 갖는 Z축에 수직인 평면 x-y에서 요크(55)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의 축 X 및 Y는 제1도에서 CRT(90)의 축 X 및 Y와 각각 평행하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기호는 동일한 소자 또는 기능을 표시한다.제2도에서 축 Z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그 방법은 제2도에는 도시생략) 제1 측면 권선 패킷(10a1)과 제2 측면 권선 패킷(10a2)은 제2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코일 (10a)의 부분과 함께 코일(10a)의 권선창 W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측면 권선 패킷(10b1, 10b2)은 코일(10b)의 대응하는 권선창을 형성한다. 코일(10a, 10b)은 평면 x-y의 축 X에 대하여 직경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도의 코일(10)에 의해 생성된 자계 강도, 즉 자속선은 전자총(44) 보다도 스크린(22)쪽에 근접한 요크의 부분(주 편향 영역이라 칭한다)에서 불균일하고, 전체적으로 핀쿠션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요크의 주편향 영역에서 수평 편향자계는 스크린의 중앙부에서 보다 예를 들면 스크린의 오른쪽 중앙의 에지부(3시의 위치)에서 더 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계의 불균일성은 예를 들어 3시 위치에서 오집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평 코마는 어느 정도는 수평 편향 새들형 코일(10)의 각각의 좌표 Z=Z1의 근방의 전자 빔 입구 영역에 근접한 후방부에, 이 후방부에 배럴형 수평 편향자계가 생성되도록 소정의 권선 분포를 채용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집중 오차는 요크(55)의 빔 출구 영역과 빔 입구 영역 사이의 요크(55)의 주 편향 영역에서 보정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장자리에서의 기하학적 오차는 출구 영역에서 보정된다. 각종 빔 랜딩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설정된 코일(10)의 권선 분포는 자체적으로 최적의 수평 코마 보정을 얻기 위해 충분한 핀쿠션형의 자계 불균일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전체가 고투자성을 갖는 규소강으로 제조된 한쌍의 아치형의 자계 형성기 또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플라스틱 라이너(11)의 외부 표면(11b)상에 배치된다. 외측 표면(11b)은 수직 편향 코일(99)과 코일(10)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한다. 코일(10a)의 내부표면은 코일(10a)의 외부 표면보다도 CRT(90)의 네크(33)에 더 근접해서 배치된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는 코일(10a, 10b)의 각각의 측면 권선 패킷(10a1, 10b1)의 일부분을 중첩 및 연결한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와 중첩하고 있는 패킷(10a1,10b1) 부분의 각각은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보다도 전자빔 R, G, B에 더 가깝다. 유사하게 자계 고조파 증가기(8b)는 패킷(10a2, 10b2)의 일부분을 중첩 및 연결한다. 제1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의 각각의 폭치수의 중앙은 좌표 Z=Z1에 있는 것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빔 통로의 3개의 빔이 아직 심하게 편향되지 않은 부분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새들형 코일(10a, 10b)의 후방부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와 CRT(90)의 네크부(3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제2도의 Y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b)의 상반부(8b1)와 하반부(8b1)와 하반부(8b2)는 X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자계 고조파 증가기(8a)의 상반부(8a1)와 하반부 (8a2)는 X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아치형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의 각각은 예를 들어 좌표 Z=Z1인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 있는 새들형 코일(10a, 10b)의 후방부의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대응하는 아치형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자계 고조파 증가기(8a)는 제2도의1=+30°와1=-30°의 사이에 위치한다. X축 및 코일(10a)의 창 W의 측면 사이의 각2는 각1보다 크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는 녹색 전자 빔 G 보다도 적색 전자 빔 R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한편, 자계 고조파 증가기(8b)는 녹색 전자 빔 G보다도 청색 전자빔 B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는 좌표 Z=Z1의 근방에서 적색 전자 빔 R에 근접한 새들형 코일(10)의 후방부에서 수평 편향 자계의 강도를 녹색 전자 빔 G에 근접한 부분에 비해서 증가한다. 또한, 자계 고조파 증가기(8b)는 좌표 Z=Z1의 근방의 코일(10)의 후방부에서 수평 편향 자계의 강도를 녹색 전자 빔 G에 근접한 부분에 비해서 청색 전자 빔 B에 근접한 부분에서 증가한다. 그 결과, 새들형 코일의 후방부에서 수평 편향 자계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더욱 더 핀쿠션형의 경우가 강하게 된다. 따라서,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적색 전자 빔 R과 청색 전자 빔 B에 의해 형성되는 래스터의 폭을 녹색 전자 빔 G에 의해 형성되는 래스터의 폭에 대하여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최적인 수평 코마 보정에 보다 근접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제3도는 제 1도의 요크(55)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제4도는 제1도의 요크(55)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분해된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기호는 동일한 소자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3도에서는 한쌍의 탄성 클립(22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 코어부분(66a)과 하부 코어부분(66b)으로 형성된 코어(66)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 편향 코일(99)의 상부 환형 코일(99a)은 상부 코어 부분(66a)에 권선되고, 수직 편향 코일(99)의 하부 환형 코일 (99b)은 하부코어 부분(66b)에 권선되어 있다. 투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구성(223)(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은 수직 편향 자계의 자속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자속을 요크(55)의 후방부의 스크린(22)으로부터 좌표 Z=Z1 보다도 더욱 더 떨어진 좌표 Z=Z2의 근방에 있는 CRT(90)의 네크(33)의 영역으로 전송한다. 구성(223)은 좌표 Z=Z2에서 평면 X-Y와 평행한 평면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직 코마를 보정하는 수직 주파수의 4중극 자계(도시 생략)를 형성한다.
제4도에서 설명의 편의상, 플라스틱 라이너(11)의 외부 표면(11b)의 일부분이 노출되어 도시하고 있고, 코어 부분(66a)과 그 위에 권선된 코일(99a)은 상부로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한, 설명의 편의상, 플라스틱 라이너(11)의 일부가 절취되어 있고, 그 부분을 통해서 상부 새들형 코일(10a)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Z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도체 와이어의 패킷이 드러나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10a)은 요크(55)의 후방부를 향해서 좌표 Z=Z3에 있는 수직 편향 코일(99) 및 코어(66)의 최후방부 보다도 제1도의 CRT(90)의 스크린(22)으로부터 더욱 이격된 위치에 있는 좌표 Z=Z4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플라스틱 라이너(11)의 상부 표면(11b)에 인접한 자계 고조파 증가기(8b)의 상반부(8b1)도 코어 부분(66a)이 상부로 올려진 상태로 도시함으로써 노출되어 있다.
제4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b)는 좌표 Z=Z3과 Z=Z4와의 사이에서 코일(10a, 10b)의 양쪽의 일부와 중첩하고 있지만, 좌표 Z=Z3에 있는 코어(66)의 최후단 보다도 요크(55)의 스크린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더욱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66)와는 중첩되지 않고, Z축 방향을 따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새들형 코일(10)에 의해 생성된 자계의 세기, 즉 강도는 적당한 프로브를 이용해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은 제1도에서 소정의 좌표 Y=0 및 Z=Z1에 대하여, 및 소정의 좌표 X=X1(단, X=1은 X축에 평행한 방향, 수평 편향 방향으로 변화한다)에 대하여 실행될 수 있다. 좌표 X=X1이 변화하는 평면 X-Z는 새들형 코일(10)을 분할한다.
일정한 좌표 Z=Z1과 Y=0에 대하여 좌표 X의 함수로서 자계의 강도를 측정항 결과를 잘 알려진 방법으로 멱급수 H(X)=H0(Z1)+H2(Z1)X2+ H4(Z1)X4의 자계 분포 함수, 즉 푸리에 계수 H0(Z1), H2(Z1), 및 H4(Z1)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항 H(X)는 좌표 Z=Z1, Y=0에서 X 좌표의 함수로서 자계의 세기를 나타낸다. 계수 H0(Z), H2(Z) 및 H4(Z)는 좌표Z의 상이한 값에 대해서도 계산할 수 있다. 좌표Z의 함수로서의 계수 H0(Z), H2(Z) 및 H4(Z)의 각각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할 수 있다. 자계 분포 함수 H2는 새들형 코일의 권선 분포의 제3 고조파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상기 제3 고조파의 크기는 푸리에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제5도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제1도의 요크(55)에 대한 계수 H0(Z), H2(Z) 및 H4(Z)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6도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가 이용된 경우의 상기 계수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새들형 코일(10)의 후방부에서 계수 H2를 증가시킨다. 계수 H2의 정방향의 증가는 코일(10)의 후방에서 수평 편향 자계가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도 사용되는 쪽이 더욱더 핀쿠션 형상이 강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코일(10)의 후방부에서는 빔이 현저히 크게 편향되지 않기 때문에, 핀쿠션 형상이 증가된 수평 편향 자계는 녹색 빔 G 보다 적색 빔 R 및 청색 빔 B를 더욱 크게 편향시킴으로써, 제1도의 장치에 나타낸 형태의 수평 코마 오차가 보정된다.
수평 코마 보정을 위해 적색 빔 R 및 청색 빔 B를 녹색 빔 G 보다도 더욱 편향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상이한 편향 시스템에 있어서, 수평 코마 보정용의 계수 H2에 음의 증가를 발생시키도록 자계 형성기는 상이한 각도 사이에 배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계수 H2의 음의 증가는 예를 들면 제2도의 X 및 Y축에 대칭으로 4개의 자계 형성기를 이용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제2도의 X 및 Y축의 제1 사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 형성기(8')는 각1=30° 와1=6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제1도의 CRT(90)의 스크린(22)의 6시 및 12시의 위치에서 양의 과도 집중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양의 수평 트랩오차를 크게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과도 집중이나 트랩 오차는 코일(10)의 군선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이 다른 파라메터를 변화시킴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도 집중이나 트랩 오차를 감소시키면, 수평 코마 오차는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작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전술한 과도 집중이 조정된 후에는 남-북(상하)기하학적 핀쿠션 왜곡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제7도 및 제8도는 제1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9b)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1도 내지 제8도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는 동일한 소자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7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는 이것을 새들형 코일(10)에 대하여 라이너(11)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라이너(11)중의 대응하는 리브(rib)를 계합하는 노치(250)를 포함하고 있다. 제7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의 Z축 방향으로의 폭치수는 수평 코마상에서 필요한 영향을 얻기 위해 선택된다. 또한,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의 길이 치수, 즉 평면 X-Y에서 각도1의 2 배와 동일한 각도는 수평 코마상에서 필요한 효과를 얻기 위해 선택된다. 길이가 작으면, 수평 코마에 대한 자계 고조파 증가기의 영향이 작아지고, 제5도 또는 제6도의 계수 H4(Z)의 변화가 크게 증가된다. 한편, 제7도 또는 제8도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8a, 8b)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수평 코마에 대한 영향이 크게되고, 제5도 또는 제6도의 계수 H4(Z)의 변화가 감소된다. 따라서, 자계 고조파 증가기의 길이는 수평 코마로의 영향과 요크의 다른 파라메타로의 영향과의 사이에서 최적의 타협점(trade-off)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된다.

Claims (22)

  1. 배기된 유리 엔벨로프와, 이 엔벨로프의 일단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2)과, 상기 엔벨로프의 제2 단부에 설치되며 편향시에 상기 스크린상에 대응하는 래스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자 빔(R, G, B)을 발생시키는 전자총 어셈블리(44)를 구비하는 인라인 방식의 음극선관(90, 제1도)과;
    상기 엔벨로프상에 장착된 편향 요크(55)로 구성되는 편향 장치로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음극선관에서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편향 코일(99a, 99b)과, 각각이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응되는 제1 및 제2 측면 권선 패킷(10a1,10b1; 10a2,10b2)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도전체를 구비하며 각각이 새들형으로 서로 직경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극선관 내에서 수평 편향 자게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 2 수평 편향 코일(10a, 10b)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66)를 구비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계 형성 부재(8a)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계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1 측면 권선 패킷(10a1)의 일부분과 상기 제2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1 측면 권선 패킷(10b1)의 일부분이 상기 엔벨로프의 네크부와 제1 자계 형성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 배치된 제1 자계 형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계 형성 부재는 상기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푸리에 계수(H2(Z), 제5도)의 세기를 상기 수평 편향 코일과 관련된 빔 랜딩 오차가 보정되도록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2. 제1상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재(8a)는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푸리에 계수(H2(Z))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재(8a)는 수평 코마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푸리에 계수 (H2(Z))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코마 보정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의 빔 입구 영역에 근접애 있는 상기 전자 빔의 외부 전자 빔(R, B)의 근방에 형성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를 상기 전자 빔의 내부 전자 빔(G)의 근방에 형성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에 비해서 양의 증가를 필요로 하고, 상기 제1자계 형성 부재(8a)는 X축에 대하여(30°<2<70°)인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수평 코마 보정을 위해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에서 요구되는 양의 증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내(8a)는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푸리에 계수(H2(Z))의 세기를 양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코마 보정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의 빔 입구 영역에 근접해 있는 상기 전자 빔의 외부 전자 빔(R, B)의 근방에 형성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를 상기 전자 빔의 내부 전자 빔(G)의 근방에 형성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에 비해서 음의 증가를 필요로 하고, 상기 제1자계 형성 부내(8a)는 X축에 대하여 (30°<2<70°)인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수평 코마 보정을 위해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에서 요구되는 음의 증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7. 배기된 유리 엔벨로프와, 이 엔벨로프의 일단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2)과, 상기 엔벨로프의 제2 단부에 설치되며 평향시에 상기 스크린상에 대응하는 래스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자 빔(R, G, B)을 발생시키는 전자총 어셈블리(44)를 구비하는 인라인 방식의 음극선관(90, 제1도)과;
    상기 엔벨로프상에 장착된 편향 요크(55)로 구성되는 편향 장치로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음극선관에서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편향 코일(99a, 99b)과, 각각이 상기 음극선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 되어 서로 대응되는 제1 및 제2 측면 권선 패킷(10a1,10b1 : 10a2,10b2)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도전체를 구비하고 각각이 새들형으로 서로 직경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극선관 내에서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수평 편향 코일(10a, 10b)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66)를 구비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1 측면 권선 패킷의 일부분과 상기 제2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1 측면 권선 패킷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인접해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엔벨로프의 네크부와 제1 자계 형성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44)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빔 입구 영역(ENTRANCE REGION)의 근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계 형성 부내(8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재는 빔 램딩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푸리에 계수(H2(Z))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2 측면 권선 패킷의 일부분과 상기 제2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2 측면 권선 패킷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인접해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엔벨로프의 네크부와 제2 자계 형성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44)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 배치된 제2 자계 형성 부재(8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계 형성 부재는 빔 랜딩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푸리에 계수 (H2(Z))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은 제1 및 제2 권선창(W-앞, W-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8a, 8b)는 상기 각 권선창의 각각의 외부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권선 패킷은 각각의 패킷사이에 권선창(W1)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는 상기 권선창의 외부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8a, 8b)는 상기 전자 빔의 한쌍의 외부 전자 빔(R, B)의 근방에 형성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를 상기 전자 빔의 내부 전자 빔(G)의 근방에 형성된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여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8a, 8b)는 상기 자계 형성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보다도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44)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의 빔 입구 영역의 근방에서 상기 수평 편향 자계가 더욱 더 핀쿠션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8a, 8b)는 수평 코마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4. 제7항게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을 그 내부 표면상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99a, 99b)을 그 외부 표면상에 각각 장착하는 절연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재(8a)는 상기 절연기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재(8a)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a, 10b)에 대하여 상기 자계 형성 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절연기(11)의 리브와 계합하는 노치(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형성 부재(8a)는 고투자율의 연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7. 제16하에 있어서,
    상기 자계 형성 부재(8a)는 규소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66)는 상기 각 수평 편향 코일(10a, 10b)의 대응하는 부분(Z3-스크린에 인접한 8a의 에지부)을 둘러싸고, 상기 제1 자계 형성 부재(8a)의 적어도 제1 부분(Z1~Z4)은 상기 코어에 의해 두러싸인 수평 편향 코일의 부분을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형성 부재의 제2 부분(Z3-스크린에 인접한 8a의 에지부)은 상기 코어(66)와 상기 음극선관(90)의 네크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10a)의 제1 측면 권선 패킷(10a1)과 상기 제2 수평 편향 코일(10b)의 제1 측면 권선 패킷(10b1)은 상기 음극선관(90)의 Y-Z 평면 상의 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10a)의 제2 측면 권선 패킷(10a2)과 상기 제2 수평 편향 코일(10b)의 제2 측면 권선 패킷(10b2)은 상기 음극선관의 Y-Z 평면 상의 다른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10a)의 제1 측면 권선 패킷(10a1)과 상기 제1 수평 편향 코일(10a)의 제2 측면 권선 패킷(10a2)은 상기 음극선관(90)의 X-Z평면 상의 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평 편향 코일(10b)의 제1 측면 권선 패킷(10b1)과 상기 제2 수평 편향 코일(10b)의 제2 측면 권선 패킷(10b2)은 상기 음극선관의 X-Z 평면 상의 다른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22. 배기된 유리 엔벨로프와, 이 엔벨로프의 일단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2)과, 상기 엔벨로프의 제2 단부에 설치되며 편향시에 상기 스크린상에 대은하는 래스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자 빔(R, G, B)을 발생시키는 전자총 어셈블리(44)를 구비하는 인라인 방식의 음극선관(90, 제1도)과;
    상기 엔벨로프상에 장착된 평향 요크(55)로 구성되는 편향 장치로서, 상기 편향 요크는 상기 음극선관에서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편향 코일(99a, 99b)과, 각각이 새들형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극선관 내에서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수평 편향코일(10a, 10b)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66)를 구비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빔의 한쌍의 외부 전자 빔(R, B)의 근방과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빔 입구 영역(ENTRANCE REGION)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편향 코일 후방부의 외부 표면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8a, 8b)를 포함하고 상기 자계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편향 코일의 상기 후방부(Z3-스크린에 인접한 8a, 8b의 에지부)가 상기 엔벨로프의 네크부와 상기 각 제1 및 제2 자계 형성 부재의 상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쌍의 외부 전자 빔의 근방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세기를 수평 코마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전자 빔의 내부 전자 빔의 근방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평편향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여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KR1019910022727A 1990-12-12 1991-12-12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KR100244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0403538.3 1990-12-12
EP90403538A EP0490004B1 (en) 1990-12-12 1990-12-12 Field harmonic enhancer in a deflection yoke
SG9602096A SG92591A1 (en) 1990-12-12 1990-12-12 Field harmonic enhancer in a deflection yo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572A KR920013572A (ko) 1992-07-29
KR100244800B1 true KR100244800B1 (ko) 2000-02-15

Family

ID=2804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727A KR100244800B1 (ko) 1990-12-12 1991-12-12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06982A (ko)
EP (1) EP0490004B1 (ko)
JP (1) JP3271672B2 (ko)
KR (1) KR100244800B1 (ko)
CN (1) CN1057864C (ko)
AT (1) ATE136156T1 (ko)
DE (1) DE69026266T2 (ko)
ES (1) ES2087138T3 (ko)
SG (1) SG92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9678B1 (fr) * 1992-04-07 1994-09-23 Thomson Tubes & Displays Procédé de positionnement d'un déviateur sur le col d'un tube à rayons cathodiques et dispositif mettant en Óoeuvre le procédé.
JP3128417B2 (ja) * 1993-02-15 2001-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偏向ヨーク及びそのコイルボビン
ATE160054T1 (de) * 1993-11-26 1997-11-15 Philips Electronics Nv Bildröhre mit korrekturspule für die erzeugung eines axialen korrekturfeldes
US5777429A (en) * 1996-02-22 1998-07-07 Sony Corporation Device for correction of negative differential coma error in cathode ray tubes
JPH11509970A (ja) * 1996-05-21 1999-08-31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ランディング角に影響する素子を有するカラー表示装置
US5668436A (en) * 1996-08-07 1997-09-16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isplays having saddle-type deflecting coils
FR2754636B1 (fr) * 1996-10-15 1998-11-27 Thomson Tubes & Displays Systeme de deviation de faisceau d'electrons pour tube a rayons catholiques monochrome
FR2818799A1 (fr) * 2000-12-22 2002-06-28 Thomson Tubes & Displays Systeme de deflex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couleur corrige en coma horizonta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340A (en) * 1983-05-02 1985-06-18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52A (en) * 1980-06-06 1982-01-08 Denki Onkyo Co Ltd Deflection yoke
NL8601003A (nl) * 1986-03-28 1987-10-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met een afbuigeenheid met beeldbalanscorrectiemiddelen.
US4853588A (en) * 1986-09-05 1989-08-01 Denki Onkyo Co., Ltd. Deflection yoke apparatus with means for reducing unwanted radiation
NL8901589A (nl) * 1989-06-23 1991-01-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met twist correctiemiddelen.
ATE154468T1 (de) * 1989-10-31 1997-06-15 Thomson Tubes & Displays Anzeigevorrichtung mit einer farbbildröhre
US5204649A (en) * 1989-11-09 1993-04-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flection yoke
KR930000791B1 (ko) * 1989-11-09 1993-02-04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편향 요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340A (en) * 1983-05-02 1985-06-18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430A (zh) 1992-07-01
DE69026266T2 (de) 1996-12-12
US5306982A (en) 1994-04-26
DE69026266D1 (de) 1996-05-02
ES2087138T3 (es) 1996-07-16
KR920013572A (ko) 1992-07-29
ATE136156T1 (de) 1996-04-15
JP3271672B2 (ja) 2002-04-02
EP0490004B1 (en) 1996-03-27
SG92591A1 (en) 2002-11-19
CN1057864C (zh) 2000-10-25
JPH0696694A (ja) 1994-04-08
EP0490004A1 (en)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07B1 (ko) 비디오 표시 장치
FI60085C (fi) Korrektion av straolformen anvaendande foerevisningssystem
CS253559B2 (en) Display device for colours television
KR100244800B1 (ko) 편향 요크내의 자계 고조파 증가기
EP03812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JPH04253491A (ja) 補償コイル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US5418422A (en) Combination of display tube and deflection unit comprising line deflection coils of the semi-saddle type with a gun-sided extension
JP4240541B2 (ja) 偏向ヨークと幾何歪み補正
EP0790632A1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deflection yoke
EP0612095B1 (en) Deflection yoke with a forked shunt
US5001390A (en) Combination of a display tube and a deflection unit, with reduced north-south raster error
EP0569079B1 (en) Combination of display tube and deflection unit comprising line deflection coils of the semi-saddle type with a gun-sided extension
KR100825144B1 (ko) 새들형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자기 수렴 음극선관용편향 유닛
KR100816146B1 (ko) 새들형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유닛
US6373180B1 (en) Deflection yoke for a cathode-ray tube with both improved geometry and convergence
US4305055A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a coma corrected deflection yoke
US6630803B1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JPH06119884A (ja) 偏向ヨークの補正コイル
WO2000079561A1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US5942846A (en) Deflection yoke with horizontal deflection coil
CA2360564C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deflection yoke
JPH06349421A (ja) カラー陰極線管表示装置
JPH05234535A (ja) 陰極線管画像表示装置
US20030052625A1 (en) CRT with reduced line deflection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