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807B1 - 비디오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807B1
KR100235807B1 KR1019900017314A KR900017314A KR100235807B1 KR 100235807 B1 KR100235807 B1 KR 100235807B1 KR 1019900017314 A KR1019900017314 A KR 1019900017314A KR 900017314 A KR900017314 A KR 900017314A KR 100235807 B1 KR100235807 B1 KR 10023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eflection
magnetic field
co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783A (ko
Inventor
밀리 마아르
삐에르 베르나르
Original Assignee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91000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편향 요크(55)는 권선에서 형성된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을 갖는 새들 코일(10)을 포함한다.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는 편향 요크(55)의 전자총 단부 및 스크린 단부 중간에 위치된다.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는 크로스해치 해턴의 2 : 30, 4 : 30, 8 : 30 및 10 : 30 시간 포인트에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Description

비디오 표시 장치
제1a도는 표시된 래스터 상의 반시간 포인트에서 미스컨버전스 효과를 나타내는 도시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를 제외한 정상 래스터를 나타내는 도시도.
제2도는 음극선관에 장착된 편향 요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시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의 사상을 실행하는 스페이스를 갖는 새들 코일 각각의 측면도, 평면도, 후면도 및 단면도.
제4도는 스페이스 및 탭이 없는 새들 코일의 자계 분포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제1a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본 발명의 사상을 실행하는 탭에 적합한 새들 코일의 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체화하는 제3a도 내지 제3c도의 새들 코일의 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새들 코일 22 : 표시 스크린
44 : 전자총 55 : 편향 요크
177 : 수직 편향 코일 178 : 수평 편향 코일
[발명의 기술 분야 및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자체 컨버전스 조정 기능을 가진(self-converging) 칼라 화상관(CRT)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의 곡률 반경은 스크린의 편향 중심에서의 거리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CRT의 제전자빔(R,G,B)의 각 전자는 가시 스크린의 중심으로 편향될 때보다 에지 쪽으로 편향될 때 더 큰 거리로 횡단한다. 전자총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세 전자빔이 스크린의 에지 쪽으로 편향될 때, 세 전자빔의 랜딩 포인트(landing poing)가 분리된다. 균일한 편향 자계에서, 상기 효과들의 결합으로, 중심에서 떨어진 가시 스크린 상의 포인트에서 상기 세 빔의 광점이 분리된다. 이것은 미스컨버전스(misconvergence)라 공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표시 영상의 에지 부근에서 색윤곽(color fringes)이 나타난다. 어느 정도의 미스컨버전스는 허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세 개의 조명점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허용할 수 없다. 적정한 테스트 신호를 화상관에 인가하면, 가시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라인의 크로스 해치(crosshatch) 패턴이 이상적으로 중첩된 적색 및 청색 라인의 분리로 미스컨버전스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칼라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세 전자빔 각각은 래스터를 주사한다. 그러므로, 녹색 래스터는 중심 전자빔에 의해 주사되고, 외부 빔은 적색 및 청색 래스터를 각각 주사한다. 상기 크로스해치 패턴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래스터의 각각에서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해치 패턴은, 일반적으로 수직 및 수평 라인의 래스터를 표시하며, 또한 다른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중간 라인을 포함한다.
자체 컨버전스 조정 기능을 가진 편향 요크에서, 수평 편향 권선에 의해 발생된 자계 세기 및 자속 라인은, 전자총보다 스크린에 더 근접한 요크부에서 일반적으로 핀쿠션 형태(pincushion-shaped)의 분포 또는 비균일성을 가진다. 따라서, 소정의 편향 전류에서, 자계는 편향 중심보다 스크린의 우중심 에지(3시 포인트라 언급합)에서 더 강하다. 이러한 자계의 비균일성으로 인해 소정의 수직 라인의, 3시 포인트에서의 미스컨버전스가 감소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수직 편향 권선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자속 라인의 분포는, 요크의 스크린 단부와 전자총 단부 중간이 요크부에서 배럴형(barrel-shaped)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자계의 비균일성으로 인해 수직 라인의 12시 포인트에서의 미스컨버전스가 감소된다. 이러한 배럴형 수평 자계와 핀쿠션형 수평 자계를 결합하면 2시 포인트라 불리는 스크린의 우상부 에지에서의 미스컨버전스가 감소된다.
CRT의 스크린이 편평하면 할수록 미스컨버전스 오차는 더욱더 현저해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스크린이 1R보다 큰 1.5R 또는 그 이상의 비교적 큰 곡률 반경을 가질 때,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 30 포인트로 표시되는, 2시 및 3시의 중간 포인트의 수직 라인의 포인트에서의 미스컨버전스 오차는 상업적으로 허용할 수 없다. 실선의 수직 곡선 라인은 청색 크로스해치 패턴의 수직 라인을 표시하는 반면에, 점선의 수직 곡선 라인은 적색 크로스해치 패턴의 수직 라인을 표시한다. 2시 및 3시 포인트의 미스컨버전스 오차를 허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허용할 수 없는 미스컨버전스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허용할 수 없는 미스컨버전스 오차가 3 : 30, 8 : 30 및 9 : 30 포인트로 표시된 각각의 중간 수직 라인상의 다른 수직 반시간 포인트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수직 라인의 2시 및 3시 포인트에서 미스컨버전스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수직 라인의 2 : 30 포인트와 같은, 반시간 포인트에서의 상기 허용할 수 없는 모래시계형 미스컨버전스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CRT의 네크와 수평 편향 권선 사이의 수평 편향 권선 상에는, 4개의 투과성 탭(tab) 또는 분포기(shunt)가 놓여진다. 상기 탭은 플라스틱 물질 및 페라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플라스틱-페라이트(plasto-ferrite)"불리운다. 이러한 탭은 상기 요크의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 사이에 있는 수평 편향 권선의 중간 영역에 놓여진다. 상기 탭은 반시간 포인트에서 전술한 미스컨버전스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퓨리에 고조파 성분 분석에 따라 얻어진, 수평 자계의 제5고조파 분포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대안의 형태는, 소망의 제5고조파 분포를 달성하도록 권선에서 스페이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시스템은, 전공의 유리 엔벨로프(envelope)와, 표시 스크린을 구성하는 엔벨로프의 한 단부에 배치된 다른 칼라 표시 형광 소자에 어레이와, 상기 엔벨로프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 전자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는 다른 칼라 형광 소자의 각 소자를 활성화시키는데 세 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빔을 발생하도록 배열된다. 투과성 코어도 포함되어 있다.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은, 투자성 코어에 대해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여자될 때, 빔으로 하여금 표시 스크린 상에서 래스터를 주사하게 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한다. 상기 수평 편향 자계는 표시 스크린의 수직 중심에서 수평축을 따라 빔 컨버전스를 설정하는 양호한 핀쿠션형 자계를 가진다.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고조파 성분이 수정되어 상기 수평 편향 자계로 하여금 상기 래스터의 반시간 포인트에서 미스컨버전스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큰 양의 값을 갖는 제5고조파 성분을 표시하게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제2도는, 세로축이 Z로 표시되는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전체 형태의 측단면도이다, 표시관 CRT(110)는, 관의 원추형 전면에 표시 스크린(22)을 가지며, CRT(110)는 편향 각도가 110°이고, 가시 스크린의 크기가 66cm, 즉 26V인, 이탈리아 아나기니 비디오 칼라에서 생산된 66MP(미디엄 평면)형태이다. 용어 MP는 1.5R 같은, R>1의 곡률 반경을 표시한다. 표시 스크린(22)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네크 단부(33)는 한 평면에 위치한 세 개의 전자총(44)을 포함하며, 중심부의 전자총은 세로축이 Z의 중앙에 위치한다. 편향 요크(55)는 CRT(110) 상에 부착되어 네크 부분 및 원추형 부분, 즉 플레어 모양의 부분(flared portion)을 둘러싼다. 편향 요크(55)는 한 쌍의 새들 코일(10)에 의해 형성된 라인 편향 코일 어셈블리(77)을 포함하며, 각각 스프트 자기 코어(66)에 각각 감겨진 한 쌍의 환상 코일로 형성된 자계 편향 코일 어셈블리(88)를 포함한다, 두 개의 편향 코일 어셈블리는 모양이 절추체인 절연 물질의 지지부(도시되지 않음) 상에 부착된다. 코일(10)은 수평 편향 회로(178)에 의해 구동되며, 코일(990)은 TV 수상기의 수직 편향 회로(177)에 의해 구동된다.
각 새들 코일(10)은 전자총 단부로 불리우는, 전자총(44)에 인접한 직선의 후단 턴부(rear and turn portion : 9)를 가진다. 상기 단부의 턴부는 CRT(110)의 네크로부터 구부려지지 않고, 세로축 Z와 평행하게 놓인다. 새들 코일(10)의 제2의 전단 턴부(frong and turn portion)는, 스크린 단부로 언급되며, 표시 스크린(22)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그와 수직인 Z축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상기 형태의 새들 코일에서, 각 코어(66) 및 절연 지지부는 두 부분이 결합된 어셈블리 형태보다도 단일 형태의 어셈블리로 형성된다.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제2도의 본 발명의 사상을 구체화시키는 새들 코일(10) 쌍의 각각의 측면도, 평면도, 후면도이다. 각 권선 턴(winding turn)은 일반적으로 새들 형태의 와이어 도전 루프에 의해 형성된다. 제3d도는 좌표Z=Z1를 갖는 제3b도의 A-A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제2도 및 제3a도 내지 제3d도에서 동일한 부호 및 도면 번호는 동일한 부재 또는 기능을 표시한다.
제3a도 내지 제3c도의 새들 코일(10)의 전단 턴부(19)는 플레어 모양의 측면 부재(11,12)에 의해 직선형의 후단 턴부(9)에 결합된다. 요크(55)의 편향 자계의 출구 영역에 위치한 측면 부재(11,12)는, 공지된 방법으로 감겨, 상기 코일의 전면 스페이스(20)를 제공한다. 전면 스페이스(20)는 북-남(north-south)핀쿠션 왜곡과 같은 래스터 패턴 또는 기하 왜곡(geometry distortion)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자계 분포의 고조파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변형시킨다. 마찬가지로, 요크(55)의 입구 영역에 위치한 측면 부재(11,12) 역시 공지된 방법으로 감겨, 상기 코일에 후면 스페이스(30,30a)를 제공한다. 스페이스(30,30a)는 수평 코마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자계 분포 고조파를 변형시킨다. 단부의 턴부(9,19) 및 측면 부재(11,12)는 윈도우(18)를 한정한다.
코마 오차는 코일(10)의 입구 영역에서 보정된다. 컨버전스 오차는 출구 및 입구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보정된다. 표시 스크린의 말단 에지에서의 기하 오차는 출구 영역에서 보정된다.
요크 중간 영역에서, 스페이스(100)는 컨버전스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수평 코마 상의 스페이스(100) 효과는, 입구 영역에 위치된 스페이스(30,30a)의 효과보다 약하다. 마찬가지로, 측면 핀쿠션 래스터 왜곡 상의 스페이스(100) 효과는 스페이스(20)의 효과보다 약하다.
스페이스(20,30,30a)는 새들 코일(10)의 단면 턴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스페이스의 경계를 한정하는 와이어 전도체는, 전체 권선 턴의 단부 중 턴부의 시작 또는 끝의 코너를 회전하도록 충분히 구부러진다. 즉, 각각의 스페이스(20,30,30a)는 제3a도의 와이어(98)와 같은 와이어에 의해 부분적으로 윤곽이 정해진다, 스페이스의 코너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98) 길이의 중간에는, 서로 첨예한 각을 이루는 세그먼트(98a,98b)를 포함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단부 회전 코너로부터 떨어진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99)와 같은 와이어 길이를 사용하여, 스페이스(100)의 윤곽을 정한다. 와이어(99) 길이의 중간에는 스페이스(100)의 한 면을 형성하는 세그먼트(99c)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 스페이트 전 후의 연속한 권선의 동일 방향으로 배향된 스페이스(100)의 양 측면 상의 와이어 세그먼트(99a,99b)를 포함한다.
스페이스(100)가 형성된 새들 코일(10)의 위치는, 단부의 턴부(19,9) 사이에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 세그먼트(99a,99b,99c)는 제3b도의 측면 부재(12) 중간에 배치된다. 코일(10)의 네 코너에 위치한 와이어 또는 전도체 세그먼트는, 전체 권선 턴의 루프 형태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스페이스(100)는 상기 와이어 세그먼트(99d 내지 99g)에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의 코너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스페이스(100)를 제공함으로써, 매우 유연하게 전자빔 랜딩 오차를 보정하도록 권선 고조파 내용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페이스(100)는 제1a도의 수직 라인에서 2 : 30 포인트 같은 반시간 포인트에서의 미스컨버전스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새들 코일은 짧은 구리선으로 감을 수 있고, 상기 구리선은 전기 절연 및 열경화성 접착제(thermo-setting adhesive)로 코팅된다. 권선은 최종 형태로 상기 새들 코일을 감으며, 권선 처리동안 제3a도 내지 제3c도 의 스페이스(20,30,30a,100)를 유도하는 권선기(winding machine)에 의한다. 상기 스페이스의 형태 및 위치는, 상기 스페이스가 취할 수 있는 형태를 제한하는 권선 헤드의 신축적인(retractable) 핀에 의해 결정된다. 권선에 이어, 각 새들 코일은 필요한 기계적 길이를 얻도록 지그(jig)에 인가 압력을 가한다. 열경화선 접착제를 부드럽게 하도록 와이어를 통해 전류를 흘리고, 그 다음, 와이어를 함께 결합하고 자체지지 새들 코일을 형성하도록 냉각한다.
제3a도 내지 제3d도의 새들 코일(10)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세기 및 강도는 적절한 프로브(probe)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측정은 제3b도의 소정의 좌표 Z=Z1, 및 제3d도의 좌표 Y=0와, 소정의 좌표 X=X1에서 수행된다(여기서 좌표 X1는 수평 편향 방향인, X축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좌표 X=X1가 변하는 상기 평면은, 도시하지 않은 다른 새들 코일(10)의 에지로부터, 제3c도의 새들 코일(10)의 하부 에지(11a,12a)를 분리시킨다. 상기 분리 평면은 제2도의 각 쌍의 새들 코일(10)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한정된다.
제3d도의 소정의 좌표 Z=Z1, 및 좌표 Y=0에 대한 X 좌표의 함수로, 자계의 세기를 측정한 결과는, 공지된 방법으로 멱급수 H(X)=H0(Z1)+H2(Z1)+H2(Z1)X2+H4(Z1)X4의 자계 분포 함수 또는 계수 H0(Z1), H2(Z1) 및 H4(Z1)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X)는, 좌표 Z=Z1, Y=0에서 X좌표의 함수로 자계 세기를 표시한다. 계수 H0(Z), H2(Z) 및 H4(Z)는 좌표 Z의 다른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Z좌표의 함수로 각 계수 H2(Z), H2(Z) 및 H4(Z)의 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할 수 있다.
자계 분포 함수 H2는 제3d도의 각도 Φ의 함수로 상기 새들 코일의 권선 또는 전류 분포의 제3고조파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제3고조파의 크기는 퓨리에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매개 변수 H4는 코일 권선 분포의 제5고조파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매개 변수 H4및 제5고조파는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측면 부재(11,12)에서 스페이스(1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2도 및 제3a도 내지 제3c도의 것과 유사하나 제3a도 내지 제3c도의 스페이스(100)가 없도록 설계된 편향 요크는, 상기 언급한 자계 측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요크는 본원에서 초기에 설계된 편향 요크로 언급된다, 상기 초기에 설계된 편향 요크가, 제1a도에 도시된 반시간 포인트 미스컨버전스를 표시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방법으로 자체 컨버전스가 조정되고 기하 보정이 된다고 가정하자.
상기 초기에 설계된 편향 요크의 상기 언급한 자계 세기 측정 결과는, 참조하기 위해 Z축 바로 아래에 도시되며, 새들 코일 (10)의 좌표 Z의 함수로써,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가티, H0, H2및 H4계수 그래프를 얻는데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도의 H4계수 값은 주로 음의 값이며, 자계의 중간 또는 주편향 영역에서 편위(excursion)의 피크를 나타낸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동일한 부호 및 도면 번호는 동일한 부재 및 기능을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사상을 수행함에 따라, 플라스틱-페라이트 분로기 또는 탭(100')과 같은, 4개의 자계 형성자(한 쌍의 자게 형성자가 제5도에 파선으로 도시됨) 각각은 5mm×10mm의 크기를 가지며, X축 및 Y축에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4개의 탭(100')은 CRT(100)의 유리 엔벨로프를 향하는 새들 코일(10)의 측면에 위치한다. 탭은, X축에 관하여, 제3d도의 4개의 예정된 각 ±Φ, 180°±Φ의 대응하는 곳의 4개의 사분원 각각에 위치된다. Z 좌표 포인트 및 각도 Φ는 제1a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선택된다.
한편, 자계 세기 측정이 수행된다. 상기 결과는 제5도에 도시된 계수 그래프를 얻는데 사용된다. 제2도 내지 제5도의 동일한 부호 및 도면 번호는 동일한 부재 및 기능을 표시한다. 코일(10)은 코일 및 탭(100')의 위치에 관한 계수 변화를 나타내도록 제5도의 Z축 라인 아래에 도시된다. 제5도의 계수 H4(Z)값은 감소된 반시간 미스컨버전스의 결과를 나타내며, 제4도와는 달리 중간 요크 자계 영역에서 표시하는 음의 편위를 나타내지 못한다. 상기 H4계수는 주로 양의 값이며 그 편위의 피크는 요크 자계 입구 영역 근처로 시프트된다.
상기 탭은 수직 편향 권선에 의해 발생된 자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탭은 CRT의 네크와 수평 편향 권선 아이의 분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감소는 공장에서 요크 조정에 필요한 CRT의 네크에 대한 요크의 기울기 이동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탭은 저장된 에너지를 약간 증가시킬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탭은 고주파수 유도 전류의 결과로서 에너지를 모두 소비한다. 또한, 탭을 수동 동작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제조시, 요크 대 요크의 변화에 종속한다. 그러므로, 수평 자계의 자계 분포 함수 H4(Z) 또는 제5 고조파 분포를 변화시키는 탭을 사용하여 상기 기술된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또다른 특징에 따라, 제3a도 내지 제3c도의 스페이스(100)는 탭(100')대신에 새들 코일(10)의 측면 부재(11,12)에 의해 유도된다. 스페이스(100)는 코일(10)에서 동일한 각도 위치 및 Z 좌표에 위치되며, 탭(100')은 초기에 설정된 편향 요크에서 제1a도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0.6mm인 반시간 포인트에서 미스 컨버전스 오차는 스페이스(100)를 사용함으로써 단지 0.3mm로 감소될 수도 있다.
제6도는, 스페이스(100)가 코일에 형성될 때, 새들 코일(10)의 좌표 Z의 함수로서 H0, H2, H4계수 그래프를 도시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에서 동일한 부호 및 도면 번호는 동일한 부재 및 기능을 표시한다. 코일(10)은, 제6도에 도시된, 스페이스(100)의 위치에 관한 계수 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제6도의 Z축 라인 아래에 도시한다. 제6도의 H4계수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요크 자계 영역의 음의 편위를 갖지 못한다. 상기 H4계수는 주로 양의 값이며, 그 편위의 피크는 요크 자계 입구 영역 근처로 시프트 되고, 실질적으로 감소된 반시간 미스컨버전스 결과를 나타낸다.
제4도 내지 제6도의 새들 코일(10)에 의해 발생된 수평 편향 자계는, 표시 스크린(22)의 수직 중심부의 수평축을 따라 빔 컨버전스를 설정하는 핀쿠션형 자게이다, 이것은 주로 포지티브인 계수 H2로 도시된다. 또한 제4도 내지 제6도는 빔 입구 영역, 중간 영역 및 출구 영역 코일(10)의 각 위치를 도시한다. 상기 권선을 형성하는 전도체가 새들 코일(10)의 대응하는 4모서리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곳에서 입구 및 출구 영역이 발생한다.
몇몇 관점에서, 제3a도 내지 제3c도의 새들 코일(10)에서 스페이스(100)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언급된 탭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것은 탭이 분로기를 작용하여 뒤에서 직접 권선에 의해 발생된 자계가 전자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유사하다. 탭을 코일에서 형성된 스페이스(100)로 대체하여도 일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새들 코일(10)에서 스페이스(100)를 형성하므로써, 예를 들면, 하부 에지(11a,12a)에 밀접한 와이어의 집중이 증가된다. 상기 증가된 집중은 전류 분포의 제3고조파에 악영향을 미치지만, 상기 영향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
제5고조파는 각도 Φ=18°, 및 Φ=54°에서 0이다, 그러므로,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가 제5고조파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도록 제5고조파가 0이 아닌 다른 각도로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고조파에서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의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는, 초기 분포로부터 권선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보상할 수 있다.
제5고조파에 현저히 영향을 미치나 제3고조파에는 현저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각도 위치에,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를 만들기 위해, 제3a도 내지 제3c도의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는 Φ=30 곳에서 각도 위치 ± Φ 및 180°±Φ중 대응하는 하나에 밀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3a도 내지 제3c도의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는, 예를 들면, 3시 포인트에서 컨버전스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제1a도에 도시된 반시간 포인트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도록 제5고조파를 변형시킨다.
제4도 내지 제6도의 비교는, 제3a도 내지 제3c도의 탭(100') 또는 스페이스(100)가 제1a도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데 사용될 때, 함수 H4(Z)는, 예를 들어, 제3a도 내지 제3c도의 스페이스(100)에 의해 반시간 포인트 미스컨버전스의 일정 감소가 발생하는 양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상기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제로, 각도 Φ는 30°보다 조금 다른, 20°와 25°사이의 범위에 있다.
수차 이론(aberration theory)에 기초하여, 가우스 편향의 적절한 힘에 의해 가중된 후 함수 H4(Z)는 반시간 오차를 제공한다. 가중된 가우스 편향은 오차없는 크로스해치 래스트를 제공한다. 제4도에서 음의 함수 H4(Z)의 가중된 효과는 반시간 오차를 보정하는 탭 또는 권선 스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다.

Claims (15)

  1. 비디오 표시 장치로서, 진공의 유리 엔벨로프와, 표시 스크린(22)을 형성하는 상기 엔벨로프의 한 단부에 배치된 칼라 형광 소자의 어레이와, 상기 엔벨로프의 다른 단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 어셈블리(44)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110)과, 상기 전자빔을 상기 표시 스크린(22) 상에서 래스터의 제1축을 따라 주사시키는 제1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제1편향 코일(10)로서, 제1의 양의 전자 빔 랜딩 오차를 보정하는 고조파(harmonic) 권선 분포를 갖는 다수의 권선 턴(winding turn)과, 상기 제1편향 코일(10) 내에서 권선 원도우(winding window)를 형성하는 코너(corner) 부분을 갖는 완전한 루프(complet loop)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권선 턴은, 상기 코너 부분을 형성하는 전도체 세그먼트를 제외한 전도체 세그먼트를 갖는 제1권선부를 갖는데, 상기 제1권선부 전도체 세그먼트(99a,99b,99c)상호 이격되어 있고, 상기 세그먼트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권선 스페이스(100)의 윤곽을 정하고, 상기 권선 스페이스(100)는 상기 다수의 권선 턴의 고조파 권선 분포를 변형시켜, 상기 래스터의 반시간 포인트에서 전자빔 랜딩 미스컨버전스(misconvergence)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편향 코일(10)과, 상기 전자빔이 상기 표시 스크린(22)의 제2축을 따라 상기 래스터를 주사하게 하는 제2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제2편향 코일(990)과, 상기 제1편향 코일(10)과 상기 제2편향 코일(990)을 상호 작용시켜 편향 요크(55)를 형성하는 투자성 코어(66)를 포함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 코일(10)은, 각각이 새들(saddle) 형태인 한 쌍의 수평 코일(77)을 구비하며, 상기 쌍 중 소정의 하나는 상기 편향 요크(55)의 빔 출구 단부 근처에 위치한 제1단부(19)와, 상기 편향 요크(55)의 빔 입구 단부근처에 위치한 제2단부(9)와, 상기 제1단부(19) 및 제2단부(9)사이에 위치한 중간면 부재(11,12)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 스페이스(100)는 상기 중간 면 부재(11,1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 코일에 형성된 제2, 제3 및 제4권선 스페이스(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편향 코일에 형성된 제2, 제3 및 제4권선 스페이스(100)는, 상기 편향 요크(55)의 수직축 및 수평축에 의해 한정되는 4개의 사분원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권선 스페이스(100)는, 상기 4개의 사분원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스페이스(100)는, 상기 고조파 권선 분포의 제5고조파 성분의 크기가 상당한(substantial) 각도로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권선 전도체 세그먼트는, 그 속에 제2권선 스페이스부(30)의 윤곽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권선 스페이스(30)는, 상기 편향 요크(55)의 빔 출구 단부 및 빔 입구 단부 중 하나의 근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전도체 세그먼트는, 상기 편향 요크(55)의 상기 빔 출구 단부 근처에 위치한 제3권선 스페이스(20)의 윤곽을 정하고, 상기 제2권선 스페이스(30)는, 상기 편향 요크(55)의 상기 빔 입구 단부 근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9.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self-converged) 칼라 표시 시스템으로서, 진공의 유리 엔벨로프와, 표시 스크린(22)을 형성하는 상기 엔벨로프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 전자총 어셈블리(44)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44)는 상기 다른 칼라 형광 소자 각각의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세 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빔을 발생하도록 배열된, 음극선관(110)과, 투자성 코어(66)와, 상기 투자성 코어(66)에 대해 동작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여자될 때, 상기 빔으로 하여금 상기 표시 스크린(22) 상에서 래스터를 주사하게 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평 편향 코일(10) 및 수직 편향 코일(990)로서, 상기 수평 편향 자계는 상기 표시 스크린의 수직 중심에서 수평축을 따라 빔 컨버전스를 설정하는 우세한(predominately) 핀쿠션형의 자계를 갖는,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자계로 하여금 상기 래스터의 반시간 포인트에서 미스컨버전스 오차를 보정하는 큰 양의 값을 갖는 제5고조파 성분을 표시하게 하는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고조파 성분 변형 수단(100,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성분 변형 수단은, 자계 형성자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게 형성자는,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성분 변형 수단은, 상기 음극선관(110)의 유리 엔벨로프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은, 코너 부분을 가지며, 상기 코너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권선 스페이스(100)를 포함한 완전한 루프를 형성하는 다수의 권선 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시스템.
  14. 비디오 표시 장치로서, 진공의 유리 엔벨로프와, 표시 스크린(22)을 형성하는 엔벨로프의 한 단부에 배치된 칼라 형광 소자의 어레이와, 상기 엔벨로프의 다른 단부에 배치되어 다수의 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 어셈블리(44)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110)과, 상기 전자빔을 상기 표시 스크린(22)의 제1축을 따라 주사하도록 하는 제1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다수의 권선 턴을 포함하는 제1새들(saddle)형 코일(10)로서, 상기 권선 턴은, 상기 표시 스크린(22)과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44) 각각에 인접해 있는 상기 새들형 코일의 단부들에 배치된 제1단부턴(19) 및 제2단부턴(9)과, 상기 두 개의 단부의 턴을 중간 턴부(11,12)에 접속시키는 권선 코너(winding corner)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중간 턴부는, 그 안에 형성된, 상기 표시 스크린(22)의 반시간 포인트에서 미스컨버전스 오차를 보정하도록 상기 새들형 코일의 고조파 권선 분포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너들에 위치하지 않는 권선 스페이스(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새들형 코일(10)과, 상기 전자빔을 상기 표시 스크린의 제2축을 따라 주사하게 하는 제2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제2편향 코일(88)과, 상기 제1편향 코일(10)및 제2편향 코일(88)을 상호 작용하여 편향 요크(55)를 형성하는 투자성 코어(66)를 포함하는 비디오 표시 장치.
  15.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장치로서, 진공의 유리 엔벨로프와, 1.5R(여기에서, 1R은 스크린 크기에 대한 표준 곡률 반경) 이상의 큰 곡률 반경을 갖는 표시 스크린(22)을 형성하는 상기 엔벨로프의 면판에 배열된 다른 칼라 표시 형광 소자의 어레이와, 상기 엔벨로프의 대향 단부(33)에 배열된 전자총 어셈블리(44)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총 어셈블리(44)는 상기 다른 칼라 형광 소자의 각각의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세 개의 인-라인 전자빔을 발생하도록 배열된, 음극선관(110)과, 투자성 코어(66)와, 상기 투자성 코어에 대해 동작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여자될 때, 상기 빔으로 하여금 상기 표시 스크린(22) 상에서 래스터를 주사하게 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77,78)로서, 상기 수직 편향 자계는 우세한 배럴형의 자계를 가지며, 상기 수평 편향 자계는 우세한 핀쿠션형의 자계를 갖는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77,78)과, 상기 수평 편향 자계의 고조파 성분을 변형하여, 상기 수평 편향 자계가, 상기 큰 곡률 반경과 관련된 전자빔 랜딩 오차를 정정하기 위한 큰 양의 값을 갖는 제5고조파 성분을 나타내도록 하는, 고조파 성분 변형 수단(100,100')을 포함하는 자체 컨버전스 조정된 칼라 표시 장치.
KR1019900017314A 1989-10-31 1990-10-29 비디오 표시 장치 KR100235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94030105 1989-10-31
EP89403010A EP0425747B1 (en) 1989-10-31 1989-10-31 Color picture tube display device
SG9602912A SG93772A1 (en) 1989-10-31 1989-10-31 Color picture tub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783A KR910008783A (ko) 1991-05-31
KR100235807B1 true KR100235807B1 (ko) 1999-12-15

Family

ID=2804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314A KR100235807B1 (ko) 1989-10-31 1990-10-29 비디오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21028A (ko)
EP (1) EP0425747B1 (ko)
JP (1) JPH07105206B2 (ko)
KR (1) KR100235807B1 (ko)
AT (1) ATE154468T1 (ko)
DE (1) DE68928125T2 (ko)
SG (1) SG937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24B1 (ko) * 2000-03-07 2003-07-28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865A (en) * 1990-07-27 1994-12-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Non-linear yoke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system for correction of image geometrical distortions
EP0470315B1 (en) * 1990-08-07 1996-01-10 THOMSON TUBES & DISPLAYS SA Coil for deflection yok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S2087138T3 (es) * 1990-12-12 1996-07-16 Thomson Tubes & Displays Mejorador de los armonicos de campo en un yugo de deflexion.
KR100260802B1 (ko) * 1991-11-01 2000-07-01 요트.게.아. 롤페즈 편향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진공관
KR950001742B1 (ko) * 1992-08-03 1995-02-28 삼성전관주식회사 음극선관
US5565731A (en) * 1992-08-12 1996-10-15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Cathode ray tube
EP0689223B1 (en) * 1994-06-22 1998-12-16 THOMSON TUBES & DISPLAYS S.A. Deflection yoke
TW320731B (ko) * 1996-02-26 1997-11-21 Victor Company Of Japan
US5668436A (en) * 1996-08-07 1997-09-16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isplays having saddle-type deflecting coils
FR2757679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en forme de selle
FR2757680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en couleur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en forme de selle
FR2757681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System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dapte au controle de la geometrie nord/sud de l'image
FR2757678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en forme de selle
KR19980051541A (ko) * 1996-12-23 1998-09-15 구자홍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FR2791468B1 (fr) * 1999-03-24 2001-05-11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a differentiel de trapeze reduit
FR2797994B1 (fr) * 1999-08-30 2001-12-07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flex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verticales en forme de selle
FR2797993B1 (fr) * 1999-08-30 2001-10-26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flex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verticales en forme de selle
JP2001101983A (ja) * 1999-10-01 2001-04-13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US6522060B2 (en) * 1999-12-10 2003-02-18 Lg Electronics Inc.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JP2001256904A (ja) * 2000-03-08 2001-09-21 Sony Corp 偏向装置及び陰極線管装置並びにビームランディング調整方法
WO2002078017A2 (en) 2001-03-27 2002-10-03 Sarnoff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US6624560B2 (en) 2001-05-22 2003-09-23 Sony Corporation Deflection yoke
JP4057887B2 (ja) 2001-10-30 2008-03-05 株式会社東芝 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100439502B1 (ko) * 2001-12-27 2004-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권선금형 및 이를 이용한 편향요크
KR20040002367A (ko) * 2002-06-28 2004-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34201B1 (ko) * 1969-02-21 1973-10-19 Videon Sa
JPS5812976B2 (ja) * 1975-02-07 1983-03-11 ソニー株式会社 デンシビ−ムノヒズミホセイソウチ
JPS52122620U (ko) * 1976-03-12 1977-09-17
GB1513360A (en) * 1977-02-09 1978-06-07 Tokyo Shibaura Electric Co Deflection yoke for colour picture tube
NL8004114A (nl) * 1980-07-17 1982-02-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met afbuigjuk en afbuigjuk voor een kleurenbeeldbuis.
JPS59230236A (ja) * 1983-06-13 1984-12-24 Sony Corp 偏向ヨ−ク装置
US4556857A (en) * 1984-10-01 1985-12-03 General Electric Company Deflection yoke for small gun-base CRT
US4639703A (en) * 1985-05-22 1987-01-27 U.S. Philips Corporation Saddle coils for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s
NL8600833A (nl) * 1986-04-02 1987-11-02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US4943753A (en) * 1987-08-13 1990-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shunt for deflection yokes
JPS6461644A (en) * 1987-09-02 1989-03-08 Nec Corp Spread wavelength measuring instrument
JPS6448858U (ko) * 1987-09-21 1989-03-27
NL8900213A (nl) * 1989-01-30 1990-08-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zadelvormige afbuigspoel voor een beeldweergeefbu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24B1 (ko) * 2000-03-07 2003-07-28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5747B1 (en) 1997-06-11
SG93772A1 (en) 2003-01-21
DE68928125D1 (de) 1997-07-17
ATE154468T1 (de) 1997-06-15
DE68928125T2 (de) 1997-10-16
US5121028A (en) 1992-06-09
EP0425747A1 (en) 1991-05-08
KR910008783A (ko) 1991-05-31
JPH07105206B2 (ja) 1995-11-13
JPH03184242A (ja) 199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07B1 (ko) 비디오 표시 장치
KR100260802B1 (ko) 편향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진공관
US6069546A (en) Saddle shaped deflection winding having a winding space
KR100295085B1 (ko) 음극선관장치
US6150910A (en) Deflection yoke with geometry distortion correction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US5408159A (en) Deflection yoke with a forked shunt
US5306982A (en) Field harmonic enhancer in a deflection yoke
US5465026A (en) Deflection yoke with a core extension
KR100541588B1 (ko) 기하학적 형상과 컨버전스 모두가 개선된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US4305055A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a coma corrected deflection yoke
KR100304020B1 (ko) 포크형분로기를지니는편향요크
US6072379A (en) Saddle shaped deflection winding having winding spaces in the rear
KR100310648B1 (ko) 비디오표시장치
KR20010039960A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6630803B1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US20030184208A1 (en) Magnetic device for correcting image geometry defects for cathode-ray tubes
JP2001126639A (ja) 陰極線管用の電磁偏向装置
JPH0364839A (ja) インライン形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JPH0389437A (ja) インライン形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MXPA99005756A (en) A saddle shaped deflection winding having a winding spac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MXPA99005755A (es) Un yugo de desviacion con correccion de distorsion de geometria
JPH0364838A (ja) インライン形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JPH03235596A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