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724B1 -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 Google Patents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724B1
KR100392724B1 KR10-2001-0007959A KR20010007959A KR100392724B1 KR 100392724 B1 KR100392724 B1 KR 100392724B1 KR 20010007959 A KR20010007959 A KR 20010007959A KR 100392724 B1 KR100392724 B1 KR 10039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eflection coil
large diameter
split pin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342A (ko
Inventor
노자와다카히로
아사야마마나부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16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504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454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4375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전 트라일레머(trilemma)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할 수 있는 편향 요크를 제공한다.
수평 편향 코일(2)의 측면부(2C)에는 수평 편향 코일(2)의 길이에 있어서의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20 내지 35%의 범위내, X축으로부터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분할핀(5031, 5033)에 의해서 형성된 삼각형 개구(2C01, 2C03)가 형성되고, 55 내지 70%의 범위내, X축으로부터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분할핀(5032, 5034)에 의해서 삼각형 개구(2C02, 2C0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Horizontal deflection coil winding apparatus, winding method and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편향 코일이나 수직 편향 코일을 권선하는 권선 장치,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에 관한 것이다.
3전자총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3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발생되는 3개의 전자 빔을 스크린면(화면)상에 양호하게 집중(컨버전스)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셀프 컨버전스 방식의 편향 요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셀프 컨버전스 방식의 편향 요크는 상하 한 쌍의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과, 좌우 한 쌍의 새들형 수직 편향 코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얻는 기구로 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대부분의 3전자총 인라인형 칼라 수상관에 있어서, 화면 상하의 라스터(raster: 브라운관의 주사선으로 구성된 화상) 일그러짐을 적절히 보정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스 컨버전스 패턴이 생긴다. 도 1 중의 실선은 R(적)의 횡선 휘선, 파선은 B(청)의 횡선 휘선을, X는 화면의 수평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화면 수직 방향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는 제 1·제 3 상한(象限)에서는 R이 B보다도 상방으로 어긋나고, 제 2·제 4 상한에선 R이 B보다도 하방으로 어긋난다. 또한, 화면 수직 방향의 중간영역에 있어서는 제 1·제 3 상한에선 R이 B보다도 하방으로 어긋나고, 제 2·제 4 상한에선 R이 B보다도 상방으로 어긋난다. 상기 단부 영역의 패턴을 역크로스, 중간 영역의 패턴을 정크로스라고 부르고, 통상적으로 이와 같이 단부 영역과 중간 영역에서 크로스 패턴이 반전하고 있는 미스 컨버전스를 반전 트라일레머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96768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 편향 코일에 중간 탭(tap)를 설치하여 다이오드 스위칭 회로와 조합하는 방법이나, 수평 편향 코일과 접속한 가포화 리액터와 다이오드 스위칭 회로를 조합하는 방법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편향 요크에서의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은 수평 편향 코일, 수직 편향 코일(이하, 총칭하여 편향 코일라고 부른다)의 전선의 위치나 분포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양산되는 편향 요크의 편향 코일은, 그 코일을 형성하는 전선의 권선시에, 분할핀이라고 지칭되는 핀에 의해서 전선의 위치를 규제하여 코일을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하고, 각 섹션의 위치나 코일수를 조정함으로써 소망의 특성을 얻고 있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밀화에 따라, 편향 요크의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요구가 부과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기본 성능이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선(코일)의 위치나 분포(권선 분포)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분할하는 섹션을 많게 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특성을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우선, 상술한 종래의 반전 트라일레머 개선 수단을 검토하면, 종래의 개선 수단은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가포화 리액터 등의 부품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또한, 편향 요크의 조립 공정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편향 코일에서의 분할 섹션을 많게 한다는 요구를 검토하면, 편향 코일에서의 분할 섹션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분할 섹션의 간격을 좁게 할 필요가 있다. 분할 섹션의 간격을 좁게 하기 위해서는, 분할핀의 간격을 좁혀야 한다. 분할핀은 권선 장치의 권형(券型:coil former)에 형성된 핀 구동부에 의해서 코일 위치로의 출입이 제어된다. 따라서, 분할핀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핀 구동부의 간격을 좁혀야 한다. 당연한 일이지만, 인접하는 핀 구동부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핀 구동부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분할핀의 간격을 좁히는 데는 한도가 있다. 즉, 한정된 권선 스페이스내에서는, 분할핀의 간격과 그 수는 권형에 장착되는 핀 구동부의 크기에 따라 물리적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권선 장치 및 그 권선 장치를 사용한 권선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로 하는 분할핀의 수와 위치를 실현할 수 없어서, 편향 코일의 성능 향상이 방해된다. 이것에 의해,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만족하는 편향 요크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할 수 있는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반전 트라일레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기에 적합한 수평 편향 코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기에 적합한 수평 편향 코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해서 분할 섹션을 많게 형성한 편향 코일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해서 분할 섹션을 많게 형성한 편향 코일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수평 편향 코일 2A : 소경측 플랜지(소경부)
2B : 대경측 플랜지(대경부) 2C : 측면부
2D : 창부 2E 맞대임부
2C1내지 2C8: 섹션 2C01내지 2C04: 개구
3 : 수직 편향 코일
501, 503, 5011내지 5018, 5031내지 5034: 분할핀
51 : 볼록형 52 : 오목형
53, 55 : 핀 구동부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a)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편향 코일(2)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로서, 볼록형(型)(51)과 오목형(52)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과 오목형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며,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2A),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2B)로 하고,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2C)로 한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여 상기 측면부에서의 권선 분포를 규제하는 복수의 분할핀(503)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핀으로서,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제 1 분할핀(5031, 5033)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제 2 분할핀(5032, 5034)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장치를 제공한다.
(b)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편향 코일(2)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방법으로서, 볼록형(51)과 오목형(52)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고,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2A),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2B)로 하며,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2C)로 한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복수의 분할핀(503)을 삽입하여 상기 측면부에서의 권선 분포를 규제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핀으로서,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제 1 분할핀(5031, 5033)을 삽입하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제 2 분할핀(5032, 5034)을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방법을 제공한다.
(c)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로서,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2a),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2B)로 하고,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2C)로 한 수평 편향 코일(2)을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서 복수의 개구(2C01내지 2C04)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로서,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503)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설치한 제 1 분할핀(5031, 5033)에 의해 형성된 제 1 개구(2C01, 2C03)를 설치하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설치한 제 2 분할핀(5032, 5034)에 의해서 형성된 제 2 개구(2C02, 2C04)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를 제공한다.
또한, (d) 볼록형(51)과 오목형(52)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과 오목형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여 편향 코일(2)을 형성하는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여 권선 분포를 규제하고, 상기 편향 코일을 복수의 섹션(2C1내지 2C6, 2C7내지 2C12)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핀(50)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을, 교대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코일 권선 장치를 제공한다.
(e) 볼록형(51)과 오목형(52)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여 편향 코일(2)을 형성하는 편향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복수의 분할핀(50)을 삽입하여 권선 분포를 규제하고, 상기 편향 코일을 복수의 섹션(2C1내지 2C6, 2C7내지 2C12)으로 분할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을, 교대로 다른 방향에서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코일 권선 방법을 제공한다.
(f)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로서,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2A),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2B)로 하고,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2C)로 한 편향 코일(2)을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편향 코일의 코일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50)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서 복수의 섹션(2C1내지 2C6, 2C7내지 2C12)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은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된 분할핀에 의해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에 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기 적합한 수평 편향 코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기 적합한 수평 편향 코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편향 코일 권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편향 코일 권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해서 분할 섹션을 많게 형성한 편향 코일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해서 분할 섹션을 많게 형성한 편향 코일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수평 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만으로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기 적합한 수평 편향 코일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의 Y는 편향 요크를 칼라 수상관에 장착한 경우의 화면 수직방향, Z는 칼라 수상관의 관축 방향이다. 도 2는 도 3의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3은 수평 편향 코일을 화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수평 편향 코일은 Y축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도 2의 측면도는 도 3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와 동일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수평 편향 코일(2)은 소경측 플랜지(소경부)(2A)와, 대경측 플랜지(대경부)(2B), 및 소경측 플랜지(2A)와 대경측 플랜지(2B)를 연결하는 측면부(2C)로 이루어진다. 측면부(2C)의 중앙부에는 창부(2D)가 형성되고(도 3 참조),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2)이 마주하는 면은 맞대임부(2E)가 된다. 수평 편향 코일(2)을 권선 장치에 의해서 권선하는 경우에는, 그 코일을 형성하는 전선의 권선시에, 분할핀이라고 지칭되는 핀에 의해서 전선의 위치를 규제하여, 소망의 권선 분포를 형성한다. 또한, 권선 장치의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편향 코일(2)의 전체 길이인 소경측 플랜지(2A)로부터 대경측 플랜지(2B)까지의 길이를 L0로 하면,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Z 방향으로 L1의 위치에 분할핀(5031, 5033)을 삽입하고, L2의 위치에 분할핀(5032, 5034)을 삽입하여 전선을 위치 규제하고 있다. 분할핀(5031내지 5034)을 총칭하여 분할핀(503)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분할핀(5031, 5033)의 위치에는, 맞대임부(2E)측에 정점을 향한 삼각형 개구(2C01, 2C03)가 형성되고, 분할핀(5032, 5034)의 위치에는 맞대임부(2E)측에 정점을 향한 삼각형 개구(2C02, 2C04)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핀(503)의 위치가 개구(2C01내지 2C04)의 정점으로 된다.
여기서, L1은 L0의 20 내지 35%의 범위내, L2는 L0의 55 내지 70%의 범위내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수평 편향 코일(2)의 전체 길이에서의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20 내지 35%의 범위내에 개구(2C01, 2C03)를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5031, 5033)을 삽입하고, 55 내지 70%의 범위내에 개구(2C02, 2C04)를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5032, 5034)을 삽입한다. 바꾸어 말하면, 수평 편향 코일(2)의 전체 길이에서의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20 내지 35%의 범위내에 정점을 갖는 삼각형 개구(2C01, 2C03)를 형성하고, 55 내지 70%의 범위내에 정점을 갖는 삼각형 개구(2C02, 2C04)를 형성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Z축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분할핀(5031, 5033)과 Z축을 연결하는 X축이 이루는 각을 θ1, 분할핀(5032, 5034)과 Z축을 연결하는 선과 X축이 이루는 각을 θ2 로 하면, θ1을 10 내지 25°, θ2를 25 내지 40°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X축으로부터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정점을 갖는 삼각형 개구(2C01, 2C03)를 형성하고,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정점을 갖는 삼각형 개구(2C02, 2C04)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는 직접적으로 관련하지 않지만, 측면부(2C)의 대경측 플랜지(2B) 측의 부분은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되어 있다. 한쪽 측면부(2C)(도 3의 우측)의 대경측 플랜지(2B) 측의 부분은 분할핀(5011, 5012, 5013, 5014)에 의해서, 복수의 섹션(2C1, 2C2, 2C3, 2C4)으로 분할되어 있다. 다른쪽 측면부(2C)(도 3의 좌측)의 대경측 플랜지(2B) 측의 부분은 분할핀(5015, 5016, 5O17, 5018)에 의해서, 복수의 섹션(2C5, 2C6, 2C7, 2C8)으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핀(5O11내지 5018)을 총칭하여 분할핀(501)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분할핀(50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Z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X축으로부터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분할핀(5031, 5033)을 삽입하여 개구(2C01, 2C03)를 형성하고,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Z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X축으로부터 25 내지 4O°의 범위내에 분할핀(5032, 5034)을 삽입하여 개구(2C02, 2C04)를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범위내에서 12 내지 20°의 범위내에, 60 내지 70%의 범위내에서 27 내지 37°의 범위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4%의 범위내에서 14 내지 18°의 범위내, 62 내지 68%의 범위내에서 30 내지 34°의 범위내이다. 이것들은 본 발명자가 실험에 의해 여러가지 형상의 수평 편향 코일(2)을 작성하여 반전 트라일레머의 보정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최적 조건을 찾아낸 것이다.
그런데, 셀프 컨버전스 방식의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자계는 핀 쿠션형으로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R/B에 대한 G(녹색)의 감도나 일그러짐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대경측 플랜지(2B)측을 강한 핀 쿠션 자계, 소경측 플랜지(2A) 측을 약한 배럴 자계, 대경측 플랜지(2B)에서 소경측 플랜지(2A)까지의 중간 영역은 평균적으로 핀 쿠션 자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대경측 플랜지(2B) 측의 강한 핀 쿠션 자계가 반전 트라일레머 발생의 최대 요인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위치에 분할핀(5031내지 5034)을 삽입하여 개구(2C01내지 2C04)를 형성함으로써, 대경측 플랜지(2B) 측의 강한 핀 쿠션 자계를 약하게 하고, 그만큼, 대경측 플랜지(2B)에서 소경측 플랜지(2A)까지의 중간 영역의 핀 쿠션 자계를 강화한다. 이로써, Z축 방향의 자계 분포의 밸런스를 최적화하여,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 편향 코일(2)을 17형 칼라 수상관용 편향 요크에 삽입하고, 반전 트라일레머를 확인한 바, 반전 트라일레머는 약 70% 정도 저감하고, 약 30%로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반전 트라일레머를 약 30%로 개선한 편향 요크는 종래의 개선 수단을 탑재한 편향 요크와 비교하더라도 손색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할 수 있다. 단, 추가로 반전 트라일레머를 보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성인 수평 편향 코일(2)에 부가하여, 다른 개선 수단(회로나 부품 등)을 사용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뿐만아니라,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한 뒤에,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어떠한 경우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편향 요크를 구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2)의 측면부(2C)에는 수평 편향 코일(2)의 코일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503)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서 복수의 개구(2C01내지 2C04)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측 플랜지(2B)에서 소경측 플랜지(2A)까지의 길이(L0)에서의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소경측 플랜지(2A)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503)이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503)과 Z축을 연결하는 선과 X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설치한 분할핀(5031, 5033)(제 1 분할핀)에 의해서 개구(2C01, 2C03)(제 1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설치한 분할핀(5032, 5034)(제 2 분할핀)에 의해서 개구(2C02, 2C04)(제 2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수평 편향 코일(2)을 얻기 위한, 본 발명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은 권선 장치에서의 권형에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다른 부분은 종래와 같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에서는 권형만을 도시하고, 다른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권선 장치에서의 권형은 볼록형(51)과 오목형(52)으로 이루어진다. 볼록형(51)과 오목형(52)을 도 4와 같이 조합하여 대향시키면, 양자 사이에는 권선 스페이스가 형성되고, 그 권선 스페이스에 코일인 전선이 순차 권선되고,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2)이 형성된다.
볼록형(51)의 대경측(도 4의 하측)에는, 수평 편향 코일(2)을 권선할 때, 전선의 권선 분포를 결정하여, 복수의 섹션(2C1내지 2C8)으로 분할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핀(501)이 설치되어 있다. 분할핀(501) 각각은 각각의 구동부(53)에 의해서 구동된다. 즉, 구동부(53) 각각은 권선 공정에서, 볼록형(51)과 오목형(52)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내로의 선택적인 출입(삽입·대피)이 제어된다. 또한, 오목형(52)에는 측면부(2C)에 삼각형 개구(2C01내지 2C04)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핀(503)이 설치되어 있다. 분할핀(503) 각각은 각각의 구동부(55)에 의해서, 권선 스페이스내로의 선택적인 출입(삽입·대피)이 제어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해, 분할핀(501, 503)이나 구동부(53, 55)를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핀(501)은 칼라 수상관(도시하지 않음)의 관축(Z축)에 상당하는 도 4의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 방향으로 그 출입이 제어되고, 분할핀(503)은 예를 들면 측면부(2C)의 대략 법선 방향으로 그 출입이 제어된다. 분할핀(501, 502)을 총칭하여 분할핀(5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은 볼록형(51)과 오목형(52)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여,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측을 소경측 플랜지(2A),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측 플랜지(2B)로 하고, 소경측 플랜지(2A)와 대경측 플랜지(2B) 사이를 측면부(2C)로 한 수평 편향 코일(2)을 형성한다. 또한, 전선의 권선시에 권선 스페이스에 복수의 분할핀(503)을 삽입하여 측면부(2C)에서의 권선 분포를 규제한다.
그리고,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소경측 플랜지(2A)까지의 길이(L0)에서의 대경측 플랜지(2B)로부터 소경측 플랜지(2A)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503)이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503)과 Z축을 연결하는 선과 X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분할핀(5031, 5033)(제 1 분할핀)을 삽입한다.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분할핀(5032, 5034)(제 2 분할핀)을 삽입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향 요크의 전체 구성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구성예는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편향 요크는 도 6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예를 들면 한 쌍의 반환(半環)형상의 것을 조합한 세퍼레이터(1)에 의해 한쪽(도면 중의 상측)이 소경부로 되고, 다른쪽(도 중의 하측)이 대경부로 된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는 칼라 수상관의 네크측이고, 대경부는 화면측이다.
상기 세퍼레이터(1)의 내면에는 한 쌍의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2, 2)이 장착되고, 외면에는 한 쌍의 새들형 수직 편향 코일(3, 3)이 장착되며, 세퍼레이터(1)는 수평 편향 코일(2, 2)과 수직 편향 코일(3, 3)을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유지한다. 수직 편향 코일(3, 3)의 외면에는 페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4)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 편향 코일(2)은 상술한 본 발명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성된 것이다.
수평 편향 코일(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경측(네크측) 플랜지(2A)(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와 대경측(화면측) 플랜지(2B)를 구비한다. 소경측 플랜지(2A)는 세퍼레이터(1)의 소경측에 설치한 수납부(도시하지 않음)에 수납되고, 대경측 플랜지(2B)는 대경측 플랜지(1B)에 수납된다. 수직 편향 코일(3)도, 소경측 플랜지(도시하지 않음)와 대경측 플랜지(3B)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편향 요크에는 통상, 편향 특성을 보정할 회로가 필요하고, 이러한 회로 등을 탑재한 기판(5)이 세퍼레이터(1)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의 소경측에는 복수개의 플랜지(1a1, 1a2, 1a3)로 이루어지는 소경측 플랜지(1a)가 설치되어 있다. 소경측 플랜지(1a)의 최대 소경측의 플랜지(1a1)상에는 한 쌍의 4P 코일이라고 지칭되는 4극의 보정 코일(7)이 장착되어 있다.
최대 대경측의 플랜지(1a3)에는 기판(5)을 세퍼레이터(1)에 장착하기 위한 갈고리(claw)(8)가 일체 성형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다. 기판(5)에는 구멍(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5a)에 플랜지(1a3)에 설치한 갈고리(8)가 결합하게 되어 있다. 한편, 대경측 플랜지(1B)에는 한 쌍의 판형상 리브(9)가 일체 성형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다. 기판(5)은 그 하단부를 한 쌍의 리브(9)에 의해서 삽입되어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기판(5)은 플랜지(1a3)에 설치한 갈고리(8) 및 리브(9)에 의해서, 세퍼레이터(1)의 측면에 장착된다.
또한, 기판(5)에는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 복수의 핀(10)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핀(10)에는 수평 편향 코일(2)의 리드선(2a)이나 수직 편향 코일(3)의 리드선(3a), 보정 코일(7)의 리드선(7a)이 감겨 있다. 또한, 상기 편향 요크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에 접속하는 커넥터(11)에는 커넥터 와이어(12)가 접속되어 있고, 커넥터 와이어(12)의 리드선(12a)도 기판(5)의 핀(10)에 감겨져 있다.
기판(5)의 단부에는 리드선(2a, 3a, 7a)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홈(5b)이 핀(10)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기판(5) 방향으로 인출된 리드선(2a, 3a, 7a)은 각각 기판(5)의 단부에 형성한 홈(5b)에 수납되고, 핀(10)에 감기게 땜납된다. 또한, 여기서는 땜납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네크측 플랜지(1a)의 플랜지(1a3)에는 대략 L자형상의 리브(13)가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수평 편향 코일(2)의 리드선(2a)은 리브(13)와 플랜지(1a3)가 이루는 대략 ㄷ자 형상의 오목부(14)를 통해서 홈(5b)에 수납되어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분할 섹션을 많게 함으로써,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의 편향 코일 권선 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다. 제 2 실시예는 편향 코일로서,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 쌍방에 적용 가능하지만, 이하, 수평 편향 코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복수의 분할핀(50)에서의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인접하는 적어도 3개의 분할핀(50)이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출입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핀(501)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출입하는 분할핀(50)의 적합한 실시예로서, 오목형(52)의 내부에 분할핀(502)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권선 장치는, 전선의 권선 분포를 결정하고, 수평 편향 코일(2)의 측면부(2C)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핀(50)을 구비한 권형을 가지고,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50)을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출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선 방법은 복수의 분할핀(50)에 의해서 전선의 권선 분포를 결정하고, 측면부(2C)를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했을 때에,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50)을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하면, 핀 구동부(53)와 핀 구동부(54)를 별도의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핀 구동부(53)와 핀 구동부(54)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핀 구동부(53)에 의한 분할핀(50)과 핀 구동부(54)에 의한 분할핀(50)은, 서로의 분할핀(50)이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분할핀(50)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분할 섹션을 많게 하거나, 인접하는 분할 섹션의 간격을 대폭 좁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의 설계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평 편향 코일(2)의 구성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해, 내측의 측면부(2C)에서의 분할핀(50)이나 그것에 의하여 분할되는 섹션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은 대경측 플랜지(2B)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측면부(2C)(도 7의 앞측, 도 8의 우측)에 있어서, 볼록형(51)으로 설치한 분할핀(501)은 분할핀(5011, 5012, 5013, 5014)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관축 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오목형(52)으로 설치한 분할핀(502)은 분할핀(5021, 502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측면부(2C)의 법선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다른쪽의 측면부(2C)(도 8의 좌측)에 있어서도, 볼록형(51)에 설치한 분할핀(501)은 분할핀(5015, 5016, 5017, 5018)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관축 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오목형(52)에 설치한 분할핀(502)은 분할핀(5023, 5024)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측면부(2C)의 법선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한쪽 측면부(2C)의 대경측 플랜지(2B)측의 부분은 분할핀(5011, 5012, 5013, 5014및 5021, 5022)에 의해서 복수의 섹션(2C1, 2C2, 2C3, 2C4, 2C5, 2C6)으로 분할되어 있다. 다른쪽 측면부(2C)의 대경측 플랜지(2B)측의 부분은 분할핀(5015, 5016, 5017, 5018및 5023, 5024)에 의해서 복수의 섹션(2C7, 2C8, 2C9, 2C10, 2C11, 2C12)으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핀(5012내지 5014)에 의해서 분할된 섹션(2C2내지 2C6)은 분할핀(5012내지 5014)이 교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분할된 것이다. 또한, 분할핀(5016내지 5018)에 의해서 분할된 섹션(2C8내지 2C12)은 분할핀(5016내지 5018)이 교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분할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평 편향 코일(2)에 있어서는, 창부(2D) 내지 맞대임부(2E)의 범위에 있는 측면부(2C)에 보다 많은 섹션을 형성하거나, 보다 간격이 좁은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수평 편향 코일(2)을 탑재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는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에 대한 엄격한 요구를 만족하는 정밀도가 높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평 편향 코일(2)을 구비한 편향 요크의 전체 구성예는 도 6과 같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은 전선의 권선시에 권선 스페이스에 복수의 분할핀을 삽입하여 측면부에서의 권선 분포를 규제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핀으로서,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대경부로부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제 1 분할핀을 삽입하고,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대경부로부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제 2 분할핀을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할 수 있는 수평 편향 코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향 요크는 수평 편향 코일의 측면부에는 수평 편향 코일의 코일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로서,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대경부로부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설치한 제 1 분할핀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개구를 설치하고,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대경부로부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설치한 제 2 분할핀에 의해서 형성된 제 2 개구를 설치하여 구성했기 때문에, 반전 트라일레머 보정을 위한 회로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반전 트라일레머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향 코일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은, 전선의 권선시에 권선 스페이스에 분할핀을 삽입하여 권선 분포를 규제하고, 편향 코일을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했을 때, 상기 복수의 섹션 중 적어도 일부에서의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을,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향 요크는, 편향 코일의 측면부를 권선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서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섹션 중 적어도 일부에서의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된 분할핀에 의해서 분할하였기 때문에, 섹션의 수를 많게 하거나, 섹션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고, 컨버전스 특성이나 편향 일그러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장치로서,
    볼록형과 오목형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과 오목형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며,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로 하고,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로 한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부에서의 권선 분포를 규제하는 복수의 분할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핀으로서,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제 1 분할핀을 설치하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제 2 분할핀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장치.
  2.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방법으로서,
    볼록형과 오목형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고,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로 하며,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로 한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복수의 분할핀을 삽입하여 상기 측면부에서의 권선 분포를 규제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핀으로서,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제 1 분할핀을 삽입하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제 2 분할핀을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향 코일 권선 방법.
  3.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로서,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로 하고,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로 한 수평 편향 코일을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로서,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20 내지 35%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칼라 수상관의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10 내지 25°의 범위내에 설치한 제 1 분할핀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까지의 길이에서의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소경부 방향으로 55 내지 70%의 범위내에서는, 분할핀이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는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그 분할핀과 상기 관축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화면의 수평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25 내지 40°의 범위내에 설치한 제 2 분할핀에 의해서 형성된 제 2 개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4. 볼록형과 오목형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형과 오목형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여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편향 코일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되어 권선 분포를 규제하고, 상기 편향 코일을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을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코일 권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에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분할핀을 설치하고, 상기 오목형에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부터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분할핀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코일 권선 장치.
  6. 볼록형과 오목형 사이의 권선 스페이스에 전선을 권선하여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편향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권선시에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복수의 분할핀을 삽입하여 권선 분포를 규제하고, 상기 편향 코일을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분할핀을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코일 권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에 설치한 분할핀을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고, 상기 오목형에 설치한 분할핀을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부터 상기 권선 스페이스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코일 권선 방법.
  8. 칼라 수상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로서, 상기 네크부측을 소경부, 상기 칼라 수상관의 화면측을 대경부로 하고,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를 측면부로 한 편향 코일을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편향 코일의 권선 공정에서의 복수의 분할핀에 의한 위치 규제에 의해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섹션내의 적어도 일부에서 인접하는 3개의 섹션은,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된 분할핀에 의해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KR10-2001-0007959A 2000-03-07 2001-02-17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KR100392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1616A JP2001250479A (ja) 2000-03-07 2000-03-07 偏向コイルの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並びに偏向ヨーク
JP2000-61616 2000-03-07
JP2000064548A JP3664375B2 (ja) 2000-03-09 2000-03-09 偏向ヨーク及び水平偏向コイルの巻線方法
JP2000-64548 200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342A KR20010088342A (ko) 2001-09-26
KR100392724B1 true KR100392724B1 (ko) 2003-07-28

Family

ID=2658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959A KR100392724B1 (ko) 2000-03-07 2001-02-17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65943B2 (ko)
KR (1) KR100392724B1 (ko)
CN (2) CN1003410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9378A1 (de) * 2000-03-29 2001-10-04 Matsushita Electronics (Europe) GmbH Ablenkeinheit für In-Line-Elektronenstrahlröhre
CN1409353A (zh) * 2001-10-01 2003-04-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阴极射线管装置
US20040000858A1 (en) * 2002-06-28 2004-01-01 Samsung Electro Mechanics Co., Ltd. Deflection yoke
KR20040003203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20050003152A (ko) * 2003-06-30 2005-01-10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20050110803A (ko) * 2004-05-19 2005-1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편향코일
US20070020451A1 (en) * 2005-07-20 2007-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isture barrier coating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54U (ko) * 1987-06-30 1989-01-12
KR960002449A (ko) * 1994-06-30 1996-01-26 이형도 편향요크
JPH10261373A (ja) * 1997-03-17 1998-09-29 Hitachi Ltd 偏向ヨーク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0168327B1 (ko) * 1988-10-27 1998-12-15 에프.제이.스미트 화상 디스플레이튜브용 안장형 편향 코일 제조방법 및 그 코일을 사용한 편향 시스템을 갖춘 디스플레이 튜브
KR19990025855U (ko) * 1997-12-19 1999-07-15 이형도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의 권형
KR100235807B1 (ko) * 1989-10-31 1999-12-15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비디오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5694A (en) * 1970-11-27 1974-12-24 Philips Corp Method of winding deflection coils for picture display tubes
NL8400886A (nl) * 1984-03-21 1985-10-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zadelvormige afbuigspoel voor een beeldweergeefbuis en afbuigsysteem met zadelvormige afbuigspoelen.
NL9000047A (nl) * 1990-01-09 1991-08-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zadelvormige afbuigspoel voor een beeldweergeefbuis.
ES2084675T3 (es) * 1990-05-11 1996-05-16 Thomson Tubes & Displays Sistema de tubo de imagen en color de pantalla ancha autoconvergente.
US5418422A (en) * 1992-05-06 1995-05-23 U.S. Philips Corporation Combination of display tube and deflection unit comprising line deflection coils of the semi-saddle type with a gun-sided extension
BE1007859A3 (nl) * 1993-12-07 1995-11-07 Philips Electronics Nv Zadelvormige afbuigspoel, meerdraads gewikkeld, en wikkelmethode.
KR100192233B1 (ko) * 1995-11-30 1999-06-15 구자홍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FR2757681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System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dapte au controle de la geometrie nord/sud de l'image
FR2757678B1 (fr) * 1996-12-20 1999-01-29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en forme de sel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54U (ko) * 1987-06-30 1989-01-12
KR0168327B1 (ko) * 1988-10-27 1998-12-15 에프.제이.스미트 화상 디스플레이튜브용 안장형 편향 코일 제조방법 및 그 코일을 사용한 편향 시스템을 갖춘 디스플레이 튜브
KR100235807B1 (ko) * 1989-10-31 1999-12-15 비디오 칼라 에스.에이 비디오 표시 장치
KR960002449A (ko) * 1994-06-30 1996-01-26 이형도 편향요크
JPH10261373A (ja) * 1997-03-17 1998-09-29 Hitachi Ltd 偏向ヨーク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25855U (ko) * 1997-12-19 1999-07-15 이형도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의 권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2575A (zh) 2001-09-12
CN1523629A (zh) 2004-08-25
CN100341095C (zh) 2007-10-03
KR20010088342A (ko) 2001-09-26
US20010022500A1 (en) 2001-09-20
US6465943B2 (en) 2002-10-15
CN1147905C (zh)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802B1 (ko) 편향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진공관
KR100392724B1 (ko) 수평 편향 코일의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및 편향 요크
US501396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and display tube comprising a deflection system using saddle-shaped deflection coils
US5838099A (en) Deflection yoke having first coil parts for correction of cross-misconverge and red/blue vertical misconverge
EP0053853B1 (en) Defecletion unit for a monochrome cathode-ray display tube and monochrome cathode-ray tube having such a deflection unit mounted on it
JP2000251761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JP3664375B2 (ja) 偏向ヨーク及び水平偏向コイルの巻線方法
JP2001250479A (ja) 偏向コイルの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並びに偏向ヨーク
KR100396933B1 (ko) 편향 요크
JPS58216342A (ja) カラ−受像管用電子銃
US5841226A (en) Deflection yoke
KR100484556B1 (ko) 편향 요크
EP1329935B1 (en) Cathode ray tube
JP2650909B2 (ja) 偏向ヨーク
KR100814873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US20030080670A1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improved horizontal resolution
JP2000090854A (ja) 偏向ヨーク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KR810001808B1 (ko)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US6563259B2 (en) Deflection yoke of braun tub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uxiliary coil of deflection yoke
KR0123343Y1 (ko) 편향요크
KR20050079501A (ko) 보빈형 코일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보빈형 편향요크
JP2000353479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受像機
KR19980030190U (ko) 편향요크의 밸런스코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202

Effective date: 200707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03

Effective date: 200807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0

Effective date: 2008111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