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233B1 -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233B1
KR100192233B1 KR1019950045911A KR19950045911A KR100192233B1 KR 100192233 B1 KR100192233 B1 KR 100192233B1 KR 1019950045911 A KR1019950045911 A KR 1019950045911A KR 19950045911 A KR19950045911 A KR 19950045911A KR 100192233 B1 KR100192233 B1 KR 10019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lder
wound
auxiliary coil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178A (ko
Inventor
임종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4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233B1/ko
Priority to US08/756,799 priority patent/US5864204A/en
Priority to BR9604639A priority patent/BR9604639A/pt
Priority to GB9624933A priority patent/GB2307781B/en
Priority to JP8319881A priority patent/JP2930554B2/ja
Priority to CN96123326A priority patent/CN1068974C/zh
Publication of KR97003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넬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새들형 코일에서 구현할 수 없는 자계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평편향코일(8)과 수직편향코일(9)의 절대위치를 결정해 주며, 절연역할을 하는 홀더(10)의 네크부(10a)에 보조코일(14)이 정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15a)을 형성하고 개구부(10c)에는 보조코일(14)이 역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15b)을 형성하여 상기 각 돌출물에 보조코일을 권선하거나, 홀더에 고정되는 체결부재(16)에 보조코일(14)이 정,역방향으로 감져지는 돌출물(17a)(17b)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물에 감겨진 보조코일의 정방향이 홀더(10)의 네크부(10a)에 위치되도록 체결부재(16)를 홀더(10)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제1도는 편향요크가 설치된 브라운관의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편향요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편향요크의 부분 개략도.
제4도는 수평자계의 형사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바렐자계.
(b)는 강한 핀 쿠션자계.
(c)는 균일자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홀더의 일부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홀더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수평편향코일 9: 수직편향코일
10: 홀더 10a: 네크부
10b: 개구부 14: 보조코일
15a, 15b, 17a, 17b: 돌출물 16: 체결부재
본 발명은 펀넬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개선하여 새들형 코일에서 구현할 수 없는 자계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편향요크가 설치된 브라운관의 종단면도로서, 판넬(1)과, 상기 판넬에 전면부가 융착되어 진공관을 구성하며 후면부에는 네크부(2a)가 일체로 형성된 펀넬(2)과, 상기 네크부에 봉입되어 적, 녹, 청 3개의 전자빔(3)을 판넬측으로 방사시키는 전자총(4)와, 상기 판넬(2)의 내면에 도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타입으로 도포된 적, 녹, 청의 형광체층(5)과, 상기 형광체증과 일정간격 유지되게 판넬에 고정되어 색선별역할을 하며, 표면에는 공극형상 또는 원형의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린 새도우마스크(6)와, 상기 펀넬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중 편향요크(7)는 제2도와 같이 수평편향코일(8), 수직편향코일(9), 상기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지지해 줌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절연역할을 하며 펀넬(2)와 편향코일의 상태위치를 결정해 주는 홀더(1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수평편향코일(8)은 대부분 새들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홀더(10)에 조립되어지거나, 상기 홀더에 수평편향코일을 권선할 수 있도록 유도홈(도시는 생략함)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홈에 수평편향코일을 직접 권선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편향요크(7)에서 새들형으로 수평편향코일(8)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평편향코일에서 만들어 주어야 하는 자계특성,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크부(10a)에서 제4도의 (a)와 같은 약 바렐자계(11) 또는 (c)와 같은 균일자계(12)를 형성하거나, 중간부(10b)에서 (b)와 같은 적절한 핀 쿠션형 자계(13)을 형성하거나, 개구부(10c)에서 강한 핀 쿠션형 자계(13)를 형성시켜주기 위해 네크부(10a)에서 중간부(10b)에 이르는 지점까지 권선시 미리 코일의 내부 개구부(10c)측에 보조코일(도시는 생략함)을 감아주거나, 권선시 코일의 중간부위를 푸셔로 성형시켜 줄 때 미리 오목한 형상으로 만들어 주어 연속된 권선상태에서 네트부(10a)와 중간부(10b)의 권선 상태가 다르게 불연속적인 코일분포를 만들어 주었다.
만약, 상기한 작업으로도 적절한 자계분포를 만들어 주지 못하는 경우에는 권선성형틀인 권형의 내, 외면을 용접하거나, 사상(Grinding)등 별도의 작업을 실시하여 필요한 자계를 만들어 주었다.
한편, 다른 형태의 새들형코일인 슬릿형(Slit Type) 수평편향코일의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홀더의 요홈을 따라 코일을 권회하여 네크부(10a)에서 개구부(10c)까지의 권선시 급격한 자계변화 부분을 실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새들형 또는 슬릿형 수평편향코일을 사용한 편향요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일반 새들형 수평편향코일의 경우 네크부(10a)에서 개구부(10c)까지의 권선시 한 개의 경로상에서 여러 장소(각도상으로)를 거치도록 만들어 줄수가 없으므로 권선 분포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없데 된다.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권선시 일부 권선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 개구부(10c)와 네크부(10a)에 핀을 넣어 상기 권선 분포를 조절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컨버젼스 특성를 크게 조정해 주는 중간부(10b)의 권선 분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일반 새들형의 수평편향코일을 감아서 원하는 특성을 만들어 주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부가적인 조치, 즉 보조코일을 부착할 때 핼퍼(Helper)를 부착하거나, 권형의 일정하지 않은 용접사상 등의 조치를 취하거나, 푸셔에 의한 권선 분포의 조절 등의 조치를 부가적으로 실시해 주어야 된다.
한편, 슬릿형 새들 코일의 경우에는 권선 분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반면, 편향요크의 생산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일반 새들형 코일을 생산하는 수량과 동일한 수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설비의 투자가 필요해지게 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홀더의 네크부와 개구부에 보조코일을 정,역방향으로 권회하여 네크부와 개구부에서 필요로 하는 자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의 절대위치를 결정해 주며, 절연역할을 하는 홀더의 네크부에 보조코일이 정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을 형성하고 개구부에는 보조코일이 역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을 형성하여 상기 각 돌출물에 보조코일을 권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절대위치를 결정해 주며, 절연역할을 하는 홀더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보조코일이 정,역방향으로 감져지는 돌출물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물에 감겨진 보조코일의 정방향이 홀더의 네크부에 위치되도록 체결부재를 홀더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을 편향요크가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및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홀더의 일부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홀도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홀더(10)의 네크부(10a)에 보조코일(14)을 정방향으로 감을 수 있는 돌출물(15a)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0c)에는 보조코일(14)을 역방향으로 감을 수 있는 돌출물(15b)이 형성되어 있어 편향요크을 제조할 때 홀더(10)의 내부에 일반형 새들코일을 조립하고 부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보조코일(14)을 네크부(10a)측에 형성된 돌출물(15a)에 정방향으로 감아 주고 개구부(10c)에는 정방향으로 네크부에 감아 주었던 보조코일(14)을 역방향으로 감아주어 네크부(10a)와 개구부(10c)에서 필요로 하는 자계를 동시에 구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10)에 형성되는 돌출물(15a)(15b)의 형성위치는 수평편향코일(8)의 푸셔부(G)를 0°로 보았을 때 30°이상으로 위치되게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군분포의 무게중심에 따라 핀 쿠션자계 또는 바렐자계를 만들어 줄 수 있는데, 수평편향코일(8)의 푸셔부(G)를 0°로 보았을 때 30°를 기준으로 상기 권분포의 무게중심이 30°이상에서는 바렐자계, 그 이하에서는 핀 쿠션자계를 만들어 주므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감겨지는 보조코일(14)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설명중 권분포란, 편향요크에 권선된 코일단면이 만드는 분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편향요크의 설계시 편향요크의 위치에 따라 권분포를 적절히 만들어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홀더(10)의 네크부(10a)와 개구부(10c)에 슬릿형 홀더에서와 같은 고리형태의 돌출물(15a)(15b)이 형성되어 있어 홀더(10)의 내부에 새들형으로 권선된 수평편향코일(8)을 먼저 조립한 다음 네크부(10a)에 위치한 돌출물(15a)에 수평편향코일(8)이 감긴 방향과 동일하게 보조코일(14)을 정방향으로 감아 필요로 하는 바렐형 자계가 형성되도록 권분포를 만들어준다.
그후, 정방향을 감긴 보조코일(14)을 계속해서 개구부(10c)에 형성된 돌출물(15b)에 네크부의 감김 방향과 반대인 역방향으로 감아 강한 핀 쿠션자계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권분포가 필요한 편향요크를 만들 수 있게 되므로 디스토션과 컨버젼스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첫째, 기본코일의 권선이 극단적인 형태를 벗어날 수 있게 되므로 수평편향코일의 조립산포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권선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둘째, 부분적이 코일의 분포에 대한 변형이 용이하게 되어 설계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므로 개발리드타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셋째, 부분적인 코일 권선분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핼퍼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홀도(10)에 고정되는 절연체의 체결부재(16)에 보조코일(14)이 정,역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17a)(17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물(17a)(17b)에 보조코일(14)을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을 감은 다음 정방향으로 감긴 보조코일(14)이 홀더(10)의 네크부(10a)에 위치되도록 체결부재(16)를 홀더(1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일 실시예로 설명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의 절대위치를 결정해 주며, 절연역할을 하는 홀더의 네크부에 보조코일이 정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을 형성하고 개구부에는 보조코일이 역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을 형성하여 상기 각 돌출물에 보조코일을 권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에 형성되는 돌출물의 형성위치는 수평편향코일의 푸셔부를 0°로 보았을 때 30°이상 위치되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3.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의 절대위치를 결정해 주며, 절연역할을 하는 홀더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보조코일이 정,역방향으로 감겨지는 돌출물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물에 감겨진 보조코일의 정방향이 홀더의 네크부에 위치되도록 체결부재를 홀더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4. 제3항에 있어서, 홀더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의 설치각도는 수평편향코일의 푸셔부를 0°로 보았을 때 30°이상 위치되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1019950045911A 1995-11-30 1995-11-30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10019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911A KR100192233B1 (ko) 1995-11-30 1995-11-30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US08/756,799 US5864204A (en) 1995-11-30 1996-11-26 Supplementary coil of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BR9604639A BR9604639A (pt) 1995-11-30 1996-11-29 Espira suplementar da bobina defletora para tubo de braun
GB9624933A GB2307781B (en) 1995-11-30 1996-11-29 Supplementary coil of a deflection yoke for a braun tube
JP8319881A JP2930554B2 (ja) 1995-11-30 1996-11-29 ブラウン管用偏向ヨークの補助コイル
CN96123326A CN1068974C (zh) 1995-11-30 1996-11-30 布老恩管偏转系统的附加线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911A KR100192233B1 (ko) 1995-11-30 1995-11-30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178A KR970030178A (ko) 1997-06-26
KR100192233B1 true KR100192233B1 (ko) 1999-06-15

Family

ID=1943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911A KR100192233B1 (ko) 1995-11-30 1995-11-30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4204A (ko)
JP (1) JP2930554B2 (ko)
KR (1) KR100192233B1 (ko)
CN (1) CN1068974C (ko)
BR (1) BR9604639A (ko)
GB (1) GB23077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852A (ja) * 1996-12-19 1998-07-21 Lg Electron Inc 陰極線管用の偏向ヨーク
KR100331057B1 (ko) * 1999-12-30 2002-04-06 구자홍 보조 코일을 갖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그 보조 코일의제작방법
CN100341095C (zh) * 2000-03-07 2007-10-03 日本胜利株式会社 偏转线圈及其绕线装置和绕线方法
JP2005158683A (ja) * 2003-10-31 2005-06-16 Victor Co Of Japan Ltd 偏向ヨー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52775A1 (en) * 2005-05-03 2006-11-09 Henderson Samuel T Methods for reducing levels of disease associated protei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302257A (ko) * 1973-02-19 1974-08-21
US4383233A (en) * 1981-07-24 1983-05-10 Rca Corporation Television deflection yoke
JPS6039742A (ja) * 1983-08-12 1985-03-01 Hitachi Ltd 偏向ヨ−ク
US5036250A (en) * 1988-06-14 1991-07-30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device with core means comprising compensation coils
US5105120A (en) * 1989-08-01 1992-04-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flection yoke having a ferrite-containing plastic composition
US5077533A (en) * 1990-09-28 1991-12-31 Syntronic Instruments, Inc.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arrangement
JPH056658U (ja) * 1991-02-18 1993-01-29 株式会社日立水沢エレクトロニクス 偏向ヨーク
FR2689679A1 (fr) * 1992-04-07 1993-10-08 Thomson Tubes & Displays Dispositif de déflexion des faisceaux d'électrons pour tubes à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 et corrigé en géométrie.
JP3500163B2 (ja) * 1992-04-17 2004-02-23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TW270998B (ko) * 1992-04-17 1996-02-21 Toshiba Co Ltd
DE69306030T2 (de) * 1992-04-24 1997-05-22 Murata Manufacturing Co Ablenkspule und Herstellungsverfahren
US5519371A (en) * 1993-12-22 1996-05-21 Sony Corporation Defl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974C (zh) 2001-07-25
CN1158490A (zh) 1997-09-03
KR970030178A (ko) 1997-06-26
GB9624933D0 (en) 1997-01-15
GB2307781A (en) 1997-06-04
JP2930554B2 (ja) 1999-08-03
BR9604639A (pt) 1998-06-23
GB2307781B (en) 1998-04-15
JPH09306387A (ja) 1997-11-28
US5864204A (en) 199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7747A (en) In-line plural beam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deflection defocus correcting elements
US4386331A (en) Deflection yoke
US4041428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cathode ray tubes
US5838099A (en) Deflection yoke having first coil parts for correction of cross-misconverge and red/blue vertical misconverge
KR100192233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US5598055A (en) Deflection device for use in a color cathode-ray tube
US5394053A (en) Electron gun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4659961A (en) Cup member of an in-line electron gun capable of reducing a coma aberration
JPS5933153Y2 (ja) 偏向ヨ−ク
US5557164A (en) Cathode ray tube with misconvergence compensation
JPH0359931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US6172451B1 (en) Deflection yoke with vertical pincushion distortion
JPH0136282Y2 (ko)
KR200176208Y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JPS587969Y2 (ja) インライン型受像管用偏向ヨ−ク
KR920000342Y1 (ko) 편향요크의 코일권선용 금형
JP2001176426A (ja) 偏向ヨーク用コア、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受像機
JPS594434Y2 (ja) インライン型受像管用偏向ヨ−ク
KR100192342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703138B2 (ja) 偏向ヨーク
KR200271017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쉴드컵 구조
US20040183426A1 (en) Deflection coil for deflection yoke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KR19990037915U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KR20000001175U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