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960A -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960A
KR20010039960A KR1020000057603A KR20000057603A KR20010039960A KR 20010039960 A KR20010039960 A KR 20010039960A KR 1020000057603 A KR1020000057603 A KR 1020000057603A KR 20000057603 A KR20000057603 A KR 20000057603A KR 20010039960 A KR20010039960 A KR 20010039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vertical deflection
electron beam
series
misconver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506B1 (ko
Inventor
다가미에츠지
Original Assignee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가즈히로
Publication of KR2001003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2Permanently magnetised materials,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Abstract

셀프 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는 음극선관 (CRT)은 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마그네트를 가지며, 수직 편향 코일과 4-극 코일을 포함한다. 수직 편향 코일은 배럴 형태로 왜곡된 제1 보정계를 발생한다. 4-극 코일은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상에 배열되고, 제2 보정계에 의해 발생된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제2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총에 의해 방출된 전자빔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Description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A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텔레비젼 세트,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사용되는 컬러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마그네트를 사용하여 라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컬러 음극선관(이하 CRT 라함)에서의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총에서 사용하는 컬러 CRT에서의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 한 방법은 셀프 컨버전스 방법이다. 이 방법은 수평 편향계의 핀쿠션 왜곡과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을 포함하는 컨버전스를 보정한다. 셀프 컨버전스 방법은 장치가 간단히 구성될 수 있고 우수한 코스트-성능비로 제조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광범하게 사용된다.
셀프-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는 통상의 컬러 CRT 에 있어서, 예컨대 90° 의 편향 각도와 대형 스크린 곡률을 갖는 CRT는 수직 편향계가 배럴왜곡을 경험함으로써, 수직 편향계의 수평 성분(이하 'Bh'로 참조됨)이 CRT 의 좌측 및 우측 에지보다 근접하게 된다. 도 1a는 CRT 의 수평축 H 에 대한 그래프 플로팅 Bh이다. CRT 의 수평방향에 따라 중앙점이 원점O )으로서 취급되면, Bh를 나타내는 선 1은 원점 O에 대하여 대칭이고, 원점 O으로부터 더욱더 상향으로 경사진다.
플레밍의 법칙에 따르면,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력은 Bh가 증대되는 만큼 증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셀프 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는 CRT에 있어서, 수직 축 V에 근접하여 통과하는 전자빔은 강력한 수직 편향을 수신할 것이다. 인라인 전자총이 사용될 때, 3색(레드, 그린 및 불루)에 대응하는 3전자빔은 수평으로 정렬되므로, 3전자빔의 중앙 빔이 수직축 V와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를 무시한다면, 수직 축V의 각 측부상에서 전자빔에 수직 편향력이 인가되는 얼마간의 변동이 있을 것이다. 도 1B는 레드, 그린, 불루 전자빔에 의해 각각 수신된 수직 편향력 Fr, Fg 및 Fb를 나타낸다. 인 라인 전자총에 의해 발생된 전자빔은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이는 것으로서 좌에서 우 방향으로 B, G, 및 R 순서로 보통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든 전자빔은 이 순서로 배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빔 G가 수직축 V와 동시에 발생될 때, 다시 말해 수평축H 의 원점 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수직 편향력 Fr 및 Fb는 동일하고, 수직 편향력 Fg는 양쪽 수직 편향력 Fr 및 Fb보다 작다. 그러나, 전자빔 R이 전자빔B 보다 수평축의 원점 O로부터 멀리 떨어질 때, 전자빔에 의해 수신된 수직 편향력은 Fb < Fg < Fr 이 된다. 역으로, 전자빔 B가 전자빔R 보다 수평축의 원점 O로부터 멀리 떨어질 때, 수신된 수직 편향력은 Fb > Fg > Fr 이 된다.
그 결과, 수평 마젠타 선이 스크린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도 2에 도시된 미스컨버젼스가 야기된다. 여기서, 레드 성분R( 도면에서 실선)과 불루 성분B(도면에서 파선)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상의 각 마젠타 선에서 스크린 코너를 향하여 수직으로 발산한다. Bh 는 수직 편향의 크기가 최대일 때 최대값이므로, 이 미스컨버전스는 스크린의 코너 영역에서 특히 마크된다. 이러한 형태의 미스컨버전스는 이하에서 PQV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로 참조된다.
일본 공개특허 8-98193호는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이 약해짐으로써 PQV 핀쿠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컬러 CRT를 개시한다. 도 3A는 수평축 H에 대하여 수직편향계의 배럴왜곡 전후에서 모두 약해지는 Bh 의 값을 플로팅한 그래프이다. 배럴왜곡이 약해진 결과 Bh 의 변동은 도면에서 선 1 내지 선 3으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에 따른 Bh 에서의 변동은 감소되고, PQV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된다.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이 약해지면, 셀프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CRT 의 능력을 차례로 약화시킨다. 여기서, 마젠타 선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중심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다면, 도 4에 도시된 미스컨버전스가 발생할 것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진 4-극 코일을 나타낸다. 여기서, 4-극 코일(4)은 코일(5,8)과 U-형 코어(6,7)를 포함한다. U형 코어(6,7)는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요크의 측면에 대해 대향하여 배열되므로, 전자빔은 2개의 코어(6,7)사이를 통과한다. 수직 편향 전류가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된 후 코일(5,8)을 통해 통과될 때, 전자총의 좌우 측에서 방출된 전자빔 B 및 R 에 작용하는 힘은 수직축 V 로부터 멀리 푸시되고, YH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최근에, 수직으로 편평한 스크린과 와이드 편향각을 갖는 컬러 CRT는 평범한 것이 되고 있다. 이 CRT에서 전자빔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후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거리는 스크린 면상의 각 포인트에 대해 현저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라스터 왜곡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 라스터 왜곡 중에서는 내측으로 향하는 전자빔 보우(bow)에 의해 스캔되는 라스터 영역의 상부 및 하부 에지가 상부 및 하부 핀쿠션 왜곡으로서 참조 될 때 발생하고, 편향 요크에 마그네트를 부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보정되는 것이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마그네트가 부착된 편향 요크를 나타낸다. 마그네트는 상부 및 하부에서 편향 요크(9)의 절연 프레임(11)의 전면에 부착되고, 수직 편향 코일(12)은 절연 프레임(11)의 내측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서 볼 때, 마그네트(10,13)는 마그네트(10)의 북극이 우측과 남극의 좌측상에 있고, 마그네트(13)의 남극이 우측과 북극의 우측상에 있도록 배열된다. 도 7은 마그네트(10,13)에 의해 발생된 자계 플럭스를 예시한다. 자계플럭스가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되면, 힘F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전자빔에 인가되어, 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한다.
그러나, 마그네트(10,13)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수평 성분 Nh은 마그네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점차 약해진다. 도 8A는 수평 축 H에 대한 Mh를 플로팅한 그래프이다. 수평축H의 중심점이 원점O 으로서 구해지면, 성분 Mh를 나타내는 선 14는 원점 O 에 대해 대칭이고, 원점 O에서 이동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더 급격히 경사 된다. 도 8B는 전자빔 R,G,B 에 의해 수신된 힘 Fr, Fg 및 Fb를 나타낸다. 전자빔 G가 수직축 V와 동시에 발생될 때, 다시 말해 수평축H 의 원점 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수직 편향력 Fr 및 Fb는 동일하고, 수직 편향력 Fg는 양쪽 수직 편향력 Fr 및 Fb보다 크다. 그러나, 전자빔 R이 전자빔B 보다 수평축의 원점 0로부터 멀리 떨어질 때, 전자빔에 의해 수신된 수직 편향력은 Fb > Fg > Fr이 된다. 역으로, 전자빔 B가 전자빔R 보다 수평축의 원점 0로부터 멀리 떨어질 때, 수신된 수직 편향력은 Fb < Fg < Fr 이 된다. 그 결과, 마젠타 선이 스크린의 상부 에지 및 하부에지에서 수평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도 9에 도시된 미스컨버젼스가 야기된다. 이런 형태의 미스컨버전스에 있어서, 마젠타 선의 레드 성분R (도면에서 실선)과 불루 성분B(파선)은 상호간에 발산한다. 이는 PQV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로 주지된다.
마그네트(10,13)에 의해 발생된 자계가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을 경감할지라도, 이는 YH 핀쿠션 미스컨버전스를 전갈아 악화시킨다. 이 미스컨버전스는 심각하므로 관련기술이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증가시킴에 따라 4-극 코일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도 10은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미스컨버전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서 2개의 마젠타 선이 수직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마젠타 선의 레드 성분 R (실선)은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고 불루 성분 B (파선)는 좌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크게 발산하는 성분 R 및 B는 디스플레이스크린의 코너를 향한다. 도면에서 D1은 레드 성분 및 불루 성분B가 가장 멀리 있는 거리이고, PQH 레드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의 엄격성은 이 거리 D1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으로 편평한 스크린과 와이드 편향각을 가진 것으로 최근 인기 있는 컬러 CRT 형태, 특히 마그네트를 사용하여 라스터의 상부 및 하부에서의 핀쿠션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우수한 화질을 갖는 탈라 CRT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 CRT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음의 목적을 갖는다. 음극선관 (CRT)은 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마그네트를 가지며, 다음을 포함한다. 수직 편향 코일은 배럴 형태로 왜곡된 제1 보정계를 발생한다. 4-극 코일은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상에 배열되고,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2 보정계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2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총에 의해 방출된 전자빔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 구조가 사용되면,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된 PQV 배럴 패턴 컨버전스는 보정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보정될 수 없는 YH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는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에 관해서 보정되며, 이 미스컨버전스는 4-극 코일에 의하여 보정될 수 있다. 동시에, 수직 편향계가 배럴 형태로 왜곡될 때 발생된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도 역시 보정될 수 있다.
다음 구조는 수직 편향계를 배럴 형태로 왜곡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수직 편향코일은 제1 코일부와 직렬 연결된 제2 코일부를 포함한다. 제1 코일부는 제2 코일부의 권선 각도보다 더 큰 권선 각도를 갖는 코일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는 제1 및 제2 임피던스 소자에 각각 병렬 연결되고, 제1 보정계는 제1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보다 더 큰 제2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형성함으로써 배럴 형태로 왜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보정계는 제1 코일부에서 보다 제2 코일부에서의 회전수를 더 크게 함으로써 배럴 형태로 왜곡될 수 있다.
게다가, 4-극 코일은 다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수평 정렬된 전자빔은 전자총에 의하여 방출된다. 여기서 제2 보정계는 3개의 수평 정렬된 전자빔의 외부 전자빔 각각에 내부방향으로 수평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4-극 코일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전자빔에 인가된 제2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최대일 때 최대로 되고, 전자빔에 의해 경험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제로일 때 최소로 된다. 게다가, 4-극 코일은 주변회로를 통하여 수직 편향 코일에 연결될 수 있다. 주변회로는 2개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직렬회로와, 각각이 직렬회로의 한쪽 단부에 각각 연결된 캐소드를 가진 2개의 다이오드와, 일단부에서 2개의 다이오드 중 하나의 애노드와 타단부에서 4-극 코일중 하나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된 2개의 가변저항을 포함한다. 여기서, 4-극 코일중 타 단부는 직렬회로에서 2개의 저항에 연결된 노드에 연결될 수 있고, 직렬회로는 수직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주가로, 4-극 코일은 직렬연결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한다. 이들 2개의 코일 각각은 2개의 U형 코어중 하나에 감겨진다. U형 코어는 대응단부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전자빔은 대향된 U 형 코어사이에서 통과된다.
게다가, 수직 편향계가 배럴 형태로 왜곡될 때 발생된 VCR 미스컨버전스는 다음 구조를 사용하여 보정될 수 있다. CRT는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코마 보정 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게다가, 제3 보정계에 의하여 전자빔에 인가된 힘은 수직 편향과 동일한 편향으로 인가될 수 있다. 외부 전자빔에 인가된 힘은 동일한 강도이고, 중앙 전자빔에 인가된 힘은 외부 전자빔에 인가된 힘보다 크다. 전자빔에 인가된 제3 전자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최대일 때 최대로 되고, 전자빔에 의해 경험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제로일 때 최소로 된다. 코마 보정 코일은 직렬연결되고,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들 2개의 코일은 U형 코어의 하나에 감겨진다. U형 코어는 대향하여 배열되고 2개의 대향하는 U형 코어 사이에는 전자빔이 통과한다.
추가로, 다음과 같은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음극선과(CRT)는 셀프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고, 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마그네트를 가지며, 다음을 포함한다. 보통 또는 강력한 자계물질중 하나가 되는 자계물질은 수직 편향계를 배럴 형태로 왜곡하는 유리 튜브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수직 편향 코일의 측부에 배열될 수 있다. 4-극 코일은 제2 보정계를 발생함으로써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전자총에 근접하여 편향 요크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총에 의해 방출된 전자빔에 수직 편향의 크기가 인가됨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수직 편향계는 여전히 배럴 형태로 왜곡되고, 상기한 구조가 4-극 코일 및 코마 보정 코일을 포함한다면, 미스컨버전스가 상기와 같이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장점과 특징은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여질 것이다.
도 1은 수평축 H를 따라 수직 편향계의 수평성분의 강도변화와 수평성분이 전자빔 상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PQV 핀쿠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수직 편향 자계의 배럴왜곡이 구제되기 전후에 수직 편향계의 수평성분의 변화와 수직편향계의 배럴왜곡이 일단 구제되어진 후 수직성분이 전자빔 상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PQV 핀쿠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일본 공개 특허 8-98193호에 개시된 4-극 코일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마그네트가 부착된 편향 요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된 힘의 자계선과 자계선의 힘에 의해 전자빔상에서 작용된 힘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수평축 H를 따라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수직성분의 강도변화와 수평성분이 전자빔 상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PQV 핀쿠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튜브 축을 포함하는 수평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모니터 튜브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튜브 축 Z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모니터 튜브의 편향 요크의 단면도;
도 1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직 편향 코일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직 편향 요크의 사시도;
도 15는 수직 편향코일(24), 코마 보정 코일(19) 및 4-극 코일(18)을 나타낸 회로도,
도 1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는 코마 보정 코일(19)의 단면도;
도 17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는 4-극 코일(18)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수직축 H 및 수평축 H 에 의하여 스팬되는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대형 권선각을 가지고 코일 단면에 의해 발생된 자계용 자계플럭스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소형 권선각을 가지고 코일 단면에 의해 발생된 자계용 자계플럭스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VCR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E-형 코어를 사용하여 코마 보정 코일(48)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모니터에 편향 요크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튜브 축 Z를 포함한 편향 요크(55)의 수직단면도;
도 26은 수직 편향 코일의 튜브 축 Z에 수직한 면의 단면에서 제1 사분면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 편향각 100°와 어스펙트 비 4 : 3 으로 19 인치 수직 평면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관련되어 설명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이하 모니터로서 참고되어진다.
제 1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다음은 모니터 15의 설명이다.
(모니터 15의 구조)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15)의 튜브 축 Z를 포함하는 수평선상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모니터(15)은 유리튜브(16), 편향요크(17)와 전자총(20)을 포함하며,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4극 코일(18)와 수정코일(19)을 구비한다.
이하 설명한 바같이, 4극코일(18)과 코마코일(19)은 동일한 코어를 공유한다.
편향요크 17
도 12는 튜브 축 X를 포함하는 편향요크(17)의 단면도이다. 편향요크(17)은 수평편향 코일(21), 마그네트(22), 절연프레임(23), 수평편향 코일(24)와 폐라이트 코일(25)등을 포함한다.
각 자석(22)은 크기가 40.0mm x 10.0mm x 5.0mm 이며, 0.04 테슬라(Tesla)의표면자성유입밀도를 구비한다. 마그네트(22)는 상부 /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기위하여 사용되어진다.
수평 편향 코일 24
디스플레이 스크린전방으로부터 보여진 도 13은 수평편향 코일(24)의 도면이다. 수평편향 코일(24)은 수평축 V의 한쪽방향으로 배열되어서 동쪽코일과 서쪽코일(E)와 (W)으로 구분되어지며, 이 E와 W은 각각 오히려 내부와 외부코일로부터 형성되어진다.
다시말하면,(W)코일이 외부(W)코일(29)와 내부(W)코일(28)로부터 형성되었을경우, 코일(E)은 외부(E) 코일(26)와 내부(E) 코일(27)로부터 형성된다.
도 14은 코일(E)의 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여진 바 같이, 내부와 외부(E)코일(26), (27)은 리드(30, 31, 32, 33)을 그들의 각각 끝에서 구비한다.
전류는 이 리드(30)에서 (33)을 경유하여 구비되어진다. 도 15은 수평편향 코일(24), 코마 수정코일(19)와, 4극 코일(18)등의 회로도이다. 수평편향 코일(24)의 각각 코일(E)와 (W)에 대해 총 회전수는 98이며,
이 각각 코일을 형성하는 내부와 외부코일(26)에서 (29)는 49회이다. 제동저항은 수평으로 각각의 내부와 외부코일(26)에서 (29)까지 연결되어 있다. 수평으로 내부코일(27, 28)에 연결된 제동저항는 각각 100Ω의 저항을 구비하며, 수평으로 외부코일(26, 29)에 연결된 제동저항은 4Ω의 저항을 구비한다. 여기에, 수직편향 코일(24)은 코마수정 코일(19)에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주변회로(34)을 경유하여 4극코일(18)에 연속으로 연결되어있다.
콤마 수정 코일 19
도 1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방에서 나타낸 바 같이 코마 수정코일(19)의 도면이다. 코마수정 코일(19)은 한 쌍의 U형태의 코어 (41,42), 전극총(20)에 가장 가까운쪽에 편향요크(17)의 상단과 하단의 위치에서 배열되어진 U자 형태의 코어(41, 42) 주위에 감겨져 있다. 코마수정 코일(19)은 93 회전수에 대해 각각 U자 형태의 코어(41, 42) 주위에 감겨져 있다.
게다가, 코마수정 코일(19)은 연결되어 있어 U자 형태의 코어(41, 42)의 각각 대응한 끝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극성을 구비한다.
4극코일 18
도 15에서 도시된 바 같이, 4극코일(18)은 주변회로(34)를 경유하여 수직 편향 코일(24)에 연결되어 있다.
주변회로(34)은 두 개 저항(35, 36)을 구비한 일련의 회로를 포함하며, 음극 쇼트키 다이오드(37, 40)은 각각 일련회로의 끝중 어느하나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 가변저항(38, 39)의 끝의 하나는 각각 다이오드(37, 40)의 애노드에 연결되어 있다.
반면에, 나머지 끝은 4극코일(18)을 경유하여 저항기(35, 36)에 대해 중간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방으로부터 보여진 4극코일(18)의 도면이다. 콤마 수정코일(19)같은 4극코일(18)은 각각 케이스에서 U자형태의 코어(41, 42)에 대해 감겨져 있고, 총회전수는 70이다. 전류는 일반적으로 다이오드(37, 40)에 의해 수행된 정류로서, 동일한 방향으로 4극코일을 통해 흐른다. 이것은 정상적으로 4극코일(18)이 도 17에 도시된 것 같은 마그네트 필드를 생성하게 한다. 그러므로, 4극코일(4)에 반대방향에서 수평력을 각각 전극 빔(B)와(R)에 적용하는 것은 관련 기술(이것은 외부력보다는 오히려 내부력이다.)
권선각
수평축(H)와 수직축(V)에 의해 스팬드된 주어진 평면은 제 4 사분면으로 나누어진다. 평면의 제 1 사분면에서 권선(코일)상에서 수평축과 원점 O에서 포인트까지 연결된 선사이에서 형성된 각은 수직편향 코일(24)의 권선각으로서 참고 할 수 있다. 주어진 권선각에 대응한 영역은 제 1 사분면에서 권선각에 의해 결정된 코일부재이며, 제 4 사분면에서 코일부재에 대칭인 각각 제 2 사분면과 제 4 사분면에서 코일부재이다. 도 18은 수평축(H)와 수직축(V)에 의해 스팬드된 평면도이다. 도 18에서, 코일부재(43)와(46)의 권선각은 (1) 원점 O에 제 1 사분면에서 코일부재(43)을 연결하는 직선(47)사이에서 형성된 각 θ로서 주어저 있고, (2) 수평축(H)로서 주어저 있다. 도면에서, 부호 코일부재(43)와 (44)에 주어져 있고, 전극총(20)의 방향에서 스크린으로부터 이 부재를 통해서 흐르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부호 코일부재(45, 46)에 주어져 있고, 역방향으로 이 부재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는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스크린상에 전극총(20)으로부터다.
종래에, 전류는 수직 편향코일 제 1 사분면과 제 2 사분면에 위치된 코일을 통해서 한 방향으로 흐르고, 제 3 사분면과 제 4 사분면에서 위치된 코일을 통해서 반대방향으로 흐른다.
도 19은 대 권선각(다시말해 외부코일 (26, 29)에서 코일부재라 함)으로 코일부재에 의해 발생된 마그네트 필드에 대한 마그네트 유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여진 바 같이, 대형 권선각으로 코일부재에 의해 발생된 마그네트 필드는 핀쿠션 형태로 일그러져 있다.
한편, 도 20은 소형 권선각(다시말해 내부코일 (27,28)에서 코일부재라 함)으로 코일부재에 의해 발생된 마그네트 필드에 대한 마그네트 유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여진 바 같이, 소형 권선각으로 코일부재에 의해 발생된 마그네트 필드는 배럴형태로 왜곡되어 있다.
명확하게, 권선각 60°내지 이상의 권선각으로 코일부재은 핀쿠션 형태로 일그러진 마그네트 필드를 발생하며, 이것보다 더 작은 권선각으로 코일부재는 배럴 형태에서 일그러진 마그네트 필드를 발생한다.
PQV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의 보정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니터(15)에서, 내측코일(27,28)에 병렬 연결된 댐핑 저항은 각각 100 Ω을 가지며, 외측코일(26,29)에 병렬 연결된 댐핑 저항은 각각 4 Ω을 가진다. 그 결과, 내측코일(27,28)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외측코일(26,29)에 의해 발생된 것보다 크다. 다시 말해, 소형 권선각을 갖는 코일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대형 권선각을 갖는 코일 부재에 의해 발생된 것보다 크다. 소형 권선각을 갖는 코일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배럴 형태로 왜곡되므로, 궁극적으로 수직 편향 코일(24)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배럴왜곡이 더 크다는 것을 뜻한다. 그에 따라,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에 인가된 힘 Fr, Fg, 및 Fb의 차이가 증가함으로써 PQV 배럴 패턴을 보정한다.
그러나, 수직 편향 자계의 배럴왜곡이 이 방법으로 강화된다면, YH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는 더욱 보정될 것이며,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 및 VCR 미스컨버전스가 발생할 것이다.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는 4-극 코일에 의해 보정되고, VCR 미스컨버전스는 코마 보정 코일(19)에 의해 보정된다. 이 과정은 이하에 기술된다.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의 보정
수직 편향 자계의 배럴왜곡이 상술된 바와 같이 강화된다면,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는 발생된다. 도 21은 YH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도시한다. 마젠타 선이 수평축의 중심에 수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때,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의 영향은 마젠타 선에 대한 레드 성분 R 및 불루 성분 B로 하여금 수평 축 H 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스크린의 상부 및 하부에 근접함에 따라 좌우 측으로 발산하게 한다. 스크린의 최대 상부 및 하부는 성분 R 및 B가 약 0.6 mm와 동일한 거리 D2 만큼 분리된다. 이 레벨의 미스컨버전스는 4-극 코일 (18)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바와 같이, 4-극 코일 (18)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내부방향의 수평력을 각각의 전자빔 R 및 G에 인가하고, 이 힘은 수직 편향과 함께 동기화된다. 그러나, 전자빔 G 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따라서, 전자빔 R 및 B는 수직 편향각이 크게 될 때 강력한 내부 힘을 받는다. 이는 레드 성분 R 및 불루 성분 B를 함께 가져올 것이므로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제거함을 뜻한다.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
수직 편향계의 강력한 배럴왜곡으로 인해 발생된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도 역시 4-극 코일(18)을 사용하여 보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극 코일(18)에 의하여 보정되기 전에 PQH 레드 라이트 패턴 미스컨버전스의 사이즈는 도 10 에 도시된 거리 D1, 여기서는 대략 1,1 mm인 거리가 된다. 본 실시예의 컬러 CRT에서 4-극 코일(18)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심에서 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서 YH 미스컨버전스(수평에 관한 레드 및 불루 성분의 발산)의 대략 2배정도로 수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거리 D1 은 거리 D2 사이즈의 대략 2 배가 되므로,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 및 PQH 레드 라이트 미스컨버전스는 4-극 코일(18)에 의해서 동시에 보정될 수 있다.
VCR 미스컨버전스
VCR 미스컨버전스는 코마 보정 코일을 사용하여 보정된다. 도 22는 VCR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화이트선이 수평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레드 및 불루 성분 R, 및 B 은 매치되지만, 그린 성분 G 은 다른2성분으로부터 발산한다. 이 미스컨버전스는 레드 및 불루 성분 R, 및 B 이 그린 성분 G의 외부에 디스플레이되며, VCR 미스컨버전스로서 주지된다. VCR 미스컨버전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부 및 하부에 근접하여 보다 현저하게 마크되며 스크린의 중앙부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코마 보정 코일(19)은 도 18에 도시된바와 같이. 핀쿠션 왜곡 자계를 발생하여 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다시 말해, 코마 보정 코일(19)에 의하여 발생된 자계는 핀쿠션 형태로 왜곡되므로, 전자빔은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수직 편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화되는 힘을 받는다. 전자빔 R 및 G도 역시 수직 편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받지만, 전자빔 G 상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다. 게다가, 코마 보정 코일은 자계발생을 위해 수직 편향 전류를 받기 때문에 전자빔 R 및 B 에 작용되는 힘과 전자빔 G 에 작용되는 힘 사이의 차이는 수직 편향 각도가 증대될 때 증대하며, 역으로 말해 수직 편향 각도가 감소될 때 감소한다. 코마 보정 코일(19)은 이러한 방식으로 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수직 편향 코일을 형성하는 외측 및 내측 코일 각각에 대한 댐핑 저항을 조정함으로서 수직 편향계의 왜곡을 강화하는 것과, 4-극 코일(18)과 코마보정 코일(19)에 의해 생성된 효과에 왜곡을 추가로 결합하는 것은 넓은 편향각도와 수직으로 편평한 스크린을 갖는 컬러 CRT에 발생된 미스컨버전스와, 특히 컬러 CRT에서 마그네트에 의하여 발생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하여 야기된 YH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는 너무 엄격하여 4-극 코일(18)에 의해 보정될 수 없다. 그러나,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이 증가된다면, 그에 의해 미스컨버전스를 YH 핀쿠션 패턴 미스컨버전스로 변화시키므로, 미스컨버전스는 4-극 코일(18)에 의하여 보정될 수 있는 레벨로 감소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소정 타임의 미스컨버전스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에 의하여 보정될 수있음을 뜻한다.
상술된 것과 유사한 효과는 U형 코어보다는 E 형 코어를 사용할 경우에도 달성될 수 있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E 형 코어를 사용하여 코마 보정 코일(48)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코마 보정 코일(48)은 한 쌍의 E 형 코어(53,54)와, 이 E 형 코어(53,54)를 감고 있는 코일(49,52)을 포함한다. 코마 보정 코일(48)은 전자총(20)에 근접한 편향 요크(17)의 측부에 배열된다. 코마 보정 코일(48)은 코마보정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계와 유사한 핀큐션형 자계를 발생하므로, 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한다.
E 형 코어를 사용하는 4-극 코일은 상술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4-극 코일 및 코마 보정 코일은 X형 코어를 공유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 수직 편향 코일의 내측 및 외측 코일 각각에 대한 댐핑 저항의 조정은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을 강화시킨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수직 편향계의 배럴 왜곡은 편향 요크의 퍼멀로이(permalloy)를 부착함으로써 강화된다.
제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구조는, 수직 편향 요크의 구조와 퍼멀로이의 추가를 별도로 하면, 제1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에서 수직 편향 요크는 내측 코일 및 외측 코일로 분리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 동쪽 코일 E 및 서쪽 코일W 로만 형성된다. 퍼멀로이는 25.00 mm마다 5.0 mm 크기이고, 기준선의 전자총 측으로부터 15.0 mm 및 20.0 mm사이에 위치된 편향 요크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2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보여지며, 제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모니터에 편향 요크(55)를 나타낸다. 편향 요크(55)는 절연 프레임(58)의 상부 및 하부에지에 부착되고, 퍼멀로이(59)는 수평 편향 코일(57)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노출되는 절연 프레임(58)의 일부에 부착된다.
도 25는 튜브 축 Z를 포함한 편향 요크(55)의 수직단면도이다. 퍼멀로이(59)는 전자총 측에 근접한 기준선(60)으로부터 15.0 mm 및 20.0 mm사이에 위치된 절연 프레임(58)의 표면에 부착된다. 기준선(60)은 튜브 축 Z 에 수직하고, 편향 중심을 포함하는 직선이 된다.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은 퍼멀로이(59)에 의해 강화되고,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미스컨버전스가 보정 가능하다.
유리 튜브의 외측면에 근접하도록 위치된 위치될 필요가 있는 퍼멀로이(59)는 수직 편향 코일이며, 예를 들면, 절연 프레임과 수직 편향 코일 사이에 배열될 수있음을 주목한다. 게다가, 퍼멀로이 이외의 자계물질은 보통 혹은 강력한 자계가 제공된다면,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기술되어있지만, 상기한 구조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다음의 보정예도 역시 실시될 수 있다.
보정예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은 수직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를 조정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형 권선각을 가진 코일 부재는 소형 권선각을 가진 코일 부재의 회전수보다 적고,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은 강화될 수 있다.
도 26은 수직 편향 코일의 튜브 축 Z에 수직한 면의 단면에서 제1 사분면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수직 편향 코일의 단면(61)은 원점 O 으로부터의 반경 24.0 mm를 가진 아크(62)와 지점 O으로부터의 반경 19.0 mm를 가진 아크(63)사이의 영역에 있으며, 지점 O은 원점 O으로부터 수직축 V를 따라 정의 방향으로 3 mm를 이동함으로써 발견된다. 권선 각 30° 혹은 그 이하(도면에서 빗금영역)의 단면부 (61)는 특히 넓다. 수직 편향 코일에 감겨진 권선수는 총 98회이며, 이는 단면(61)의 폭에 비례하여 분포된다. 수직 편향 코일의 제2,제3, 및 제4분면은 제1사분면의 그것과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권선 분포가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된 경우, 소형 권선각을 가진 영역에서의 회전수는 증가하며, 그에 의해 수직 편향계의 배럴왜곡을 강화시킨다. 그 결과, 상기 특성을 갖는 4-극 코일과 코마보정코일이 함께 사용된다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는 편향각 100° 그리고 4:3 어스펙트비를 갖는 실제로 편평한 스크린을 갖는 19인치 모니터를 기준으로 하여 기술되어 잇지만, 상이한 스크린 사이즈, 편향각도, 어스펙트비, 혹은 스크린 곡률을 갖는 모니터는, 이러한 모니터에 의하여 미스컨버전스가 마그네트에 속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구조를 사용하여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완전하게 기술될 수 있으나, 다양한 변경 및 보정이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변경 및 보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마그네트를 가지며, 셀프 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는 음극선관(CRT)에 있어서,
    배럴 형태로 왜곡된 제1 보정계를 발생하는 수직 편향 코일과;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상에 배열되고,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2 보정계와, 전자총에 의해 방출된 전자빔에 인가되는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제2 보정계의 강도를 발생하는 4-극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수직 편향코일은 제1 코일부와 직렬연결된 제2 코일부를 포함하며, 제1 코일부는 제2 코일부의 권선 각도보다 더 큰 권선 각도를 갖는 코일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는 제1 및 제2 임피던스 소자에 각각 병렬 연결되고, 제1 보정계는 제1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보다 더 큰 제2 임피던스 소자의 임피던스를 형성함으로써 배럴 형태로 왜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1항에 있어서,
    수직 편향코일은 제1 코일부와 직렬연결된 제2 코일부를 포함하며, 제1 코일부는 제2 코일부의 권선 각도보다 더 큰 권선 각도를 갖는 코일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보정계는 제1 코일부에서 보다 제2 코일부에서의 회전수를 더 크게 함으로써 배럴 형태로 왜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1항에 있어서,
    3개의 수평 정렬된 전자빔은 전자총에 의하여 방출되고,
    제2 보정계는 3개의 수평 정렬된 전자빔의 외부 전자빔 각각에 내부방향으로 수평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4-극 코일에 의하여 발생되고,
    전자빔에 인가된 제2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최대일 때 최대로 되고, 전자빔에 의해 경험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제로일 때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4항에 있어서,
    4-극 코일은 주변회로를 통하여 수직 편향 코일에 연결되고, 주변회로는 (1) 2개의 저항이 직렬연결된 직렬회로와, (2) 각각이 직렬회로의 한쪽 단부에 각각 연결된 캐소드를 가진 2개의 다이오드와, (3) 일단부에서 2개의 다이오드 중 하나의 애노드와 타단부에서 4-극 코일중 하나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된 2개의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4-극 코일중 타 단부는 직렬회로에서 2개의 저항에 연결된 노드에 연결되고, 직렬회로는 수직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 1항에 있어서,
    4-극 코일은 직렬연결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2개의 코일 각각은 2개의 U형 코어중 하나에 감겨지고,
    U형 코어는 대응단부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전자빔은 대향된 U 형 코어사이에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 1항에 있어서,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 코마 보정 코일을 더욱 포함하고,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 1항에 있어서,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 코마 보정 코일을 더욱 포함하고,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 코마 보정 코일을 더욱 포함하고,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제 1항에 있어서,
    코마 보정 코일은 직렬연결되고,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각각의 2개의 코일은 U형 코어의 하나에 감겨지며,
    U형 코어는 대향하여 배열되고, 2개의 대향하는 U형 코어 사이에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0. 셀프컨버전스 방법을 사용하고, 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는 마그네트를 가진 음극선과(CRT)에 있어서,
    수직 편향계를 배럴 형태로 왜곡하는 유리 튜브의 외측면에 근접하여 수직 편향 코일의 측부에 배열된 보통 자계 물질과 강력한 자계물질중 하나인 자계물질과;
    제2 보정계를 발생함으로써 YH 배럴 패턴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전자총에 근접하여 편향 요크의 측면에 배열되는 4-극 코일과, 전자총에 의해 방출된 전자빔에 수직 편향의 크기가 인가됨에 따라 변화하는 제2 보정계의 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1. 제 10항에 있어서,
    3개의 수평 정렬된 전자빔은 전자총에 의하여 방출되고,
    제2 보정계는 3개의 수평 정렬된 전자빔의 외부 전자빔 각각에 내부방향으로 수평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4-극 코일에 의하여 발생되고,
    전자빔에 인가된 제2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최대일 때 최대로 되고, 전자빔에 의해 경험된 수직 편향의 크기가 제로일 때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 11항에 있어서,
    4-극 코일은 주변회로를 통하여 수직 편향 코일에 연결되고, 주변회로는 (1) 2개의 저항이 직렬연결된 직렬회로와, (2) 각각이 직렬회로의 한쪽 단부에 각각 연결된 캐소드를 가진 2개의 다이오드와, (3) 일단부에서 2개의 다이오드 중 하나의 애노드와 타단부에서 4-극 코일중 하나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된 2개의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4-극 코일중 타 단부는 직렬회로에서 2개의 저항에 연결된 노드에 연결되고, 직렬회로는 수직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 12항에 있어서,
    4-극 코일은 직렬연결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2개의 코일 각각은 2개의 U형 코어중 하나에 감겨지고,
    U형 코어는 대응단부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전자빔은 대향된 U 형 코어사이에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 10항에 있어서,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 코마 보정 코일을 더욱 포함하고,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 14항에 있어서,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 코마 보정 코일을 더욱 포함하고,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전자총에 근접한 편향 요크의 측부에 배열되고, 수직 코마 잔류(VCR)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제3 보정계를 발생하는 코마 보정 코일을 더욱 포함하고,
    제3 보정계의 강도는 전자빔에 인가된 수직 편향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6. 제 15항에 있어서,
    코마 보정 코일은 직렬연결되고,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코일을 포함하고,
    각각의 2개의 코일은 U형 코어의 하나에 감겨지며,
    U형 코어는 대향하여 배열되고, 2개의 대향하는 U형 코어 사이에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00057603A 1999-10-01 2000-09-30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KR100703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81322 1999-10-01
JP28132299A JP2001101983A (ja) 1999-10-01 1999-10-01 カラー受像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960A true KR20010039960A (ko) 2001-05-15
KR100703506B1 KR100703506B1 (ko) 2007-04-03

Family

ID=1763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603A KR100703506B1 (ko) 1999-10-01 2000-09-30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73668B1 (ko)
EP (1) EP1089312B1 (ko)
JP (1) JP2001101983A (ko)
KR (1) KR100703506B1 (ko)
CN (1) CN100375215C (ko)
DE (1) DE60031626T2 (ko)
TW (1) TW4944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9815B2 (en) * 2001-09-03 2004-07-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EP1372182A1 (en) * 2002-06-14 2003-1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ur picture tube device
JP2004363047A (ja) 2003-06-06 2004-12-24 Toshiba Corp 偏向ヨーク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CN110963033B (zh) * 2019-12-06 2022-03-11 东南大学 一种无人机悬停机构及悬停吸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215A (en) * 1977-11-29 1979-06-15 Toshiba Corp Deflecting unit
US4433268A (en) * 1980-08-19 1984-02-2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4823100A (en) * 1985-07-31 1989-04-18 Rca Licensing Corporat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NL8503544A (nl) * 1985-12-23 1987-07-16 Philips Nv Beeldweergeefsysteem met een in-lijn kleurenbeeldbuis.
JPH0670895B2 (ja) * 1986-10-31 1994-09-07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CA1311793C (en) * 1987-08-28 1992-12-22 Rca Licensing Corporation Video apparatus having self-converging pattern-corrected deflection yoke
SG93772A1 (en) * 1989-10-31 2003-01-21 Thomson Tubes & Displays Color picture tube display device
US5327051A (en) * 1990-07-19 1994-07-05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Deflection system with a pair of quadrupole arrangements
US5041764A (en) * 1990-10-22 1991-08-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Horizontal mis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for color video display
KR930000223Y1 (ko) * 1990-10-24 1993-01-18 삼성전관주식회사 컨버어젼스 보정용 자석조립체
DE69311298T2 (de) * 1993-02-18 1997-10-09 Thomson Tubes & Displays Ablenkjoch mit einem Magnetenpaar in der Nähe seiner Nebenachse
JP3358283B2 (ja) * 1994-02-25 2002-12-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偏向ヨーク
JPH0898193A (ja) * 1994-09-22 1996-04-12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US5847503A (en) * 1994-09-24 1998-12-08 Thomson Tubes & Displays S.A. Electron beam deflection device for cathode ray tubes which is self convergent and geometry corrected
JP3307527B2 (ja) 1995-09-29 2002-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Ppm復調装置
JPH09115462A (ja) * 1995-10-18 1997-05-02 Sony Corp 偏向ヨーク
US5777429A (en) * 1996-02-22 1998-07-07 Sony Corporation Device for correction of negative differential coma error in cathode ray tubes
US5747924A (en) * 1996-07-23 1998-05-05 Sony Corporation Picture distortion correcting apparatus
JP3489963B2 (ja) * 1997-04-25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TW480525B (en) * 1999-12-22 2002-03-21 Matsushita Electronics Corp Color display tub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4430B (en) 2002-07-11
CN1308365A (zh) 2001-08-15
EP1089312A3 (en) 2003-04-02
KR100703506B1 (ko) 2007-04-03
DE60031626D1 (de) 2006-12-14
CN100375215C (zh) 2008-03-12
EP1089312A2 (en) 2001-04-04
DE60031626T2 (de) 2007-09-20
JP2001101983A (ja) 2001-04-13
US6573668B1 (en) 2003-06-03
EP1089312B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3900B2 (ja) 陰極線管装置
US5378961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EP1063674A1 (en) Color cathode-ray tube device
US5811922A (en) Coma-error correcting means of CRT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6326742B1 (en)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US5719542A (en) Convergence yoke for improving focus characteristics
US6373180B1 (en) Deflection yoke for a cathode-ray tube with both improved geometry and convergence
FI106893B (fi) Värinäyttöjärjestelmä, joka sisältää itsekonvergoivan, rasterivääristymän korjauksella varustetun poikkeutuskelayksikön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US4723094A (en) Color picture device having magnetic pole pieces
JP3396503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JP3825212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786852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3436002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810001808B1 (ko)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JPH0731989B2 (ja) ミスコンバ−ジエンス補正装置
WO2002099834A2 (en) Spot optimization in a color display tube system
JP2001229854A (ja) 偏向ヨーク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3070011A (ja) 表示装置
JPH11250831A (ja) 偏向ヨーク
KR2003006706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JP2001256905A (ja) 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