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487B1 -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487B1
KR100294487B1 KR1019940009438A KR19940009438A KR100294487B1 KR 100294487 B1 KR100294487 B1 KR 100294487B1 KR 1019940009438 A KR1019940009438 A KR 1019940009438A KR 19940009438 A KR19940009438 A KR 19940009438A KR 100294487 B1 KR100294487 B1 KR 10029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uxiliary
horizontal deflection
convergence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201A (ko
Inventor
박진홍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4000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487B1/ko
Publication of KR95003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병렬로 결선된 수평편향코일에 제1보조코일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고, 이 제1보조코일에 대해 자성체를 포함하여 된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수평편향코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보조코일을 더 설치 함으로써 원치 않는 다른 컨버젼스의 변화를 방지하고 궁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도록 된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제1도는 크로스 미스-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궁형 미스-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수평 편향코일의 구조도,
제4도는 수평 편향코일의 접속도,
제5도는 종래 보정장치의 예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도는 종래 보정장치의 다른 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 장치의 코일 접속도,
제10도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단면도,
제11도 및 제17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1,12 : 수평편향코일 3,4 : 보조코일
5 : 코어 6 : 자성체
13,14 : 제1보조코일 15,16 : 제2보조코일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화상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칼라 음극선관의 궁형(弓型)미스-컨버젼스(mis-convergence)를 보정하기 위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나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인-라인(In-line)형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3개의 전자총(3관)으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적(赤;red), 녹(綠;green), 청(靑;blue)의 3색 전자빔이 상호 다른 입사각으로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서 집속되도록 집중시키는 것 즉, 컨버젼스(convergence)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컨버젼스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인-라인형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스크린상에서 3전자빔의 양호한 집속상태를 얻기 위하여 3관 및 스크린 사이에 설치된 편향 요오크의 수평 편향 자계를 강한 핀 쿠션형 자계로 형성시키고, 수직 편향 자계를 강한 바렐형 자계로 형성시켜서 이들 자계를 통하여 3빔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켜 스크린상에 집속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된 편향요크에 의해 편향되면서 화면상에 라스터(raster)를 그리게 되는데, 이것은 편향 요오크 또는 음극선관의 조립 상태의 정도(精度)나 기구적 매카니즘의 오차 및 음극선관 패널의 곡률차이 등에 의해 미스-컨버젼스나 전자빔 랜딩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화면 불량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미스-컨버젼스로서 "크로스 미스-컨버젼스" 및 "궁형(弓型) 미스-컨버젼스"라는 것이 있다.
크로스 미스-컨버젼스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赤)빔(B)의 주사선(BB)이 음극선관의 화면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것이다.
한편, 궁형 미스-컨버젼스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赤)빔(R)의 주사선(BR)과 청(靑)빔(B)의 주사선(BB)이 상호 역방향의 궁형으로 왜곡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미스-컨버젼스 보정용 컨버젼스 요오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편향 요오크를 사용하여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크로스 미스-컨버젼스의 보정은 다음과 같이 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수평 편향 코일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새들형 코일(1)(2)이 음극선관 축의 수직 방향에 상하로 설치된 구조로 된다. 그리고, 그 상하 수평 편향 코일(1)(2)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각 편향 코일(1)(2)에 대하여 각각 직렬로 보조 코일(3)(4)이 접속되어 설치된다. 또한, 이 보조 코일(3)(4)은 코어가 내재되지 않을 때는 인덕턴스가 상호 균등하지만, 이들 보조 코일(3)(4)에 대하여 제5도에 도시된 코어(5)가 삽입되면, 상하 코일(3)(4)의 인덕턴스가 가변되어, 상하 편향자계의 밸런스가 이루어지므로 크로스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된다.
즉, 코일의 인덕턴스는 코어가 코일 내에 삽입되는 길이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 제5도의 경우에서는, 상측 보조코일(3)의 인덕턴스보다도 하측 보조코일(4)의 인덕턴스가 크게 된다. 그래서, 수평편향 요오크에 의한 자계는 하측(4) 코일에 의한 자계가 강해지며 따라서, 음극선관의 관축 내에 있어서 편향자계의 분포가 변한다. 즉, 제6도 및 제7도는 관축에 수직인 방향의 면에 있어서 자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 적빔(R)과 녹빔(G) 및 청빔(B)은 인라인 배열된 것이다. 여기서, 상하 편향요오크의 정중앙 위치의 수평방향 x에 있어서는, 상하 코일에 의해 자계가 균형을 이루게 되면, 그 자속 Ø의 방향은 수평방향 x에 대하여 수직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코일에 의한 자계방향이 강하게 되면, 자속의 방향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되고, 상하 편향요오크의 정중앙 위치의 수평방향 x에 있어서는, 자속 Ø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으로 된다. 그리고, 화면의 우측을 편향시킬 때는 자속의 방향이 제6도에서와 같이 상향되지만, 상하 코일의 인덕턴스가 균형을 이룰 때는 자속 방향의 편향이 발생하지 않고 상호 일치한 방향으로 x 방향의 자계 H1 및 H2 의 성분이 생긴다. 이 때문에, 적빔(R)을 화면의 하측에, 청빔(B)을 화면의 상측에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한편, 화면 좌측을 편향시킬 때는 편향전류가 역향하기 때문에, 자속 Ø의 방향은 제7도에서와 같이 하향되지만, 이 때는 상호 외향된 방향으로 x방향의 자계 H3 및 H4의 성분이 생긴다. 그렇게 되면, 화면의 좌측과는 역으로 적빔(R)을 상측에, 청빔(B)를 하측에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한다.
그러면, 좌우측으로 편향됨에 따라서 코일에 의한 자계가 크게 되고, H1 내지 H4도 그것에 따라서 크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제1도에 도시된 크로스 컨버젼스가 보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크로스 컨버젼스가 보정되는 것이지만, 이것은 화면의 좌우에서 수평편향전류가 역향하여 흐르는데 대하여, 적빔(R) 및 청빔(B)의 보정방향도 역으로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술한 궁형 미스-컨버젼스는 제2도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화면의 좌우에서 적빔(R) 및 청빔(B)의 보정방향이 동일방향으로 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상의 방법에 의해서는 궁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는 없고, 종래 이 궁형 미스-컨버젼스를 편향요오크로만 보정하는 방법은 없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소60-158534에 상기 궁형 미스-컨버젼스의 보정을 위하여 취해진 방안의 하나로서, 컨버젼스 요오크를 설치하지 않고, 편향요오크를 이용하여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하의 보조코일에 대하여 코어를 설치하고, 이 코어에 대해 바이어스자계를 인가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이것에 의해서 화면 좌우 편향자계의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적빔(R) 및 청빔(B)을 화면의 좌우에서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궁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소정크기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를 편향요크에 개입시켜 편향요크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빔의 궤도를 일부 수정함으로써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장치가 일본 특허공개 소63-82358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공개 소63-82358에 개시된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1)(2)에 보조코일(3)(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 보조코일(3)(4)에 대해 자성체(영구자석;6)가 개입되어 바이어스 자계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서, 수평편향전류에 의해 보조코일에서의 임피던스 변화가 직렬 라인에서의 전류변화로 직결되어 수평편향전류의 전영역에 걸쳐 상하 1쌍의 수평편코일에서 전류차이를 보이게 되며, 이것은 궁형 미스-컨버젼스의 보정뿐만 아니라 원치않는 다른 컨버젼스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병렬로 결선된 수평편향코일에 제1보조코일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고, 이 제1보조코일에 대해 자성체를 포함하여 된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수평편향코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보조코일을 더 설치 함으로써 원치 않는 다른 컨버젼스의 변화를 방지하고 궁형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병렬로 결선된 수평편향코일에 제1보조코일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고, 이 보조코일에 대해 자성체를 포함하여 바이어스 자계가 걸리도록 된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제1보조코일 사이에는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수평편향신호에 동기하는 제2보조코일이 각각 더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제2보조코일은 각각 직렬로 접속된 제1코일요소와 제2코일요소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보조코일은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제1보조코일 사이에서 이들에 병렬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본 발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는데, 제9도는 본 발명 장치의 코일 접속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단면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수평편향코일(11)(12)에 제1보조코일(13)(14)이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 제1보조코일(13)(14)은 자성체(6)에 의해 바이어스 자계가 걸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편향코일(11)(12)과 제1보조코일(13)(14) 사이에는 상기 수평편향코일(11)(12)의 수평편향신호에 동기하는 제2보조코일(15)(16)이 각각 더 접속되도록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보조코일(15)(16)은 각각 직렬로 접속된 제1코일요소(15)와 제2코일요소(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코일요소(15)는 상기 수평편향코일(11)과 제1보조코일(15) 사이의 접속점 C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2코일요소(16)는 상기 수평편향코일(12)과 제1보조코일(14) 사이의 접속점 D에서 접속된다. 즉, 상기 제2보조코일은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제1보조코일 사이에서 이들에 병렬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9도의 A, B, C 및 D는 회로상에서 전류 분기 포인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보조코일(13)(14)은 자성체(영구자석;6)에 의해 A 또는 C에서 인가되는 수평편향전류 iH에 대해 다이나믹하게 전류 변화를 나타내 보이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현상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제1보조코일의 전류흐름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iα= i14- i13의 전류 차이를 보인다. 여기서, i13은 제1보조코일 13에 흐르는 전류이고, i14는 제1보조코일 14에 흐르는 전류이다. 즉, A 또는 B로부터 인가되는 수평편향전류 iH가 제1보조코일(13)(14)을 지날 때 1/2씩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차이가 생기는데, iH의 "-"영역에서는 제1보조코일13에 iα만큼의 전류가 더 흐르고 "+"영역에서는 제1보조코일 14에 iα만큼의 전류가 더 흐른다.
한편, 수평편향코일(11)(12)에서는 제11도에서와 같이 1쌍의 코일에 수평편향전류 iH가 균등히 나누어져 흐르므로 제1보조코일(13)(14)에서 발생한 전류차이 iα는 제2보조코일(15)(16)을 통해 흘러 이 전류차이로 인해 수평편향코일(11)(1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보조코일(15)(16)이 전류차이 iα를 유도하여 조절하게 된다.
이때, i13〉 i14일 경우에 i15는 A에서 B로 (수평편향전류 iH의 "-"영역) 흐르며, i13〈 i14일 경우에는 i15A에서 B로 (수평편향전류 iH의 "-"영역) 흐른다. 즉, i15는 수평편향전류 iH의 "+", "-"영역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방향으로 흐르며, 제16도 및 제17도에 이와 같은 경우의 수평편향전류에 따른 제2보조코일에서의 자극자계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제13도는 제1보조코일(13)(14)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내보인 것으로서, Z13은 제1보조코일 13의 임피던스이고, Z14는 제1보조코일 14의 임피던스이다. 제1보조코일(13)(14)은 직류바이어스 자계원인 영구자석(6)에 의해 수평편향전류와 함께 다이나믹한 임피던스 변화를 보이게 된다. 제1보조코일 13의 경우, A에서 수평편향전류가 될 때(+영역) 직류 바이어스자계원인 영구자석에서의 자계는 제1보조코일 13에서의 유기자계와 반대로 바이어스시켜 제1보조코일 13의 임피던스 Z13은 수평편향전류 iH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즉, 제14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계에 의해 제1보조코일 13에서의 유기전류의 방향이 수평편향전류 iH의 방향과 반대로써 제1보조코일 13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킨다. 이와 반대로 제1보조코일 14와 영구자석(6)에서는 수평편향전류 iH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유기되어 전류차이 iα가 생기게 되며, 수평편향코일로 인가되는 전류량의 차이를 제2보조코일(15)(16)이 없애준다. 즉, B로 수평전류가 인가될 경우에는 반대로 제1보조코일 13과 영구자석이 상호작용하여 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제1보조코일 14는 전류가 감소한다. 그리고, 수평편향코일에서 양분된 전류는 D에서 iα만큼의 전류가 제2보조코일(15)(16)을 통해 빠져서 C를 통해 제1보조코일 13으로 흐르고 나머지 전류는 제1보조코일 14를 통해 흘러 제1보조코일(13)(14)에서 전류차이가 발생한다. 이 때, 제2보조코일(15)(16)에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전류의 전 영역에서 항상 같은 방향 즉, D에서 C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병렬로 결선된 수평편향코일에 제1보조코일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고, 이 제1보조코일에 대해 자성체를 포함하여 바이어스 자계가 걸리도록 된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수평편향코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2보조코일을 더 설치하여 제1보조코일(13)(14)에서 발생하는 전류차이가 제2보조코일(15)(16)에 의해 수평편향코일(11)(12)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다른 컨버젼스의 변화를 방지하고 궁형 컨버젼스만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병렬로 결선된 수평편향코일에 제1보조코일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고, 이 보조코일에 대해 자성체를 포함하여 바이어스 자계가 걸리도록 된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제1보조코일 사이에는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수평편향신호에 동기하는 제2보조코일이 각각 더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코일은 각각 직렬로 접속된 제1코일요소와 제2코일요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코일은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제1보조코일 사이에서 이들에 병렬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40009438A 1994-04-30 1994-04-30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KR10029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438A KR100294487B1 (ko) 1994-04-30 1994-04-30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438A KR100294487B1 (ko) 1994-04-30 1994-04-30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01A KR950030201A (ko) 1995-11-24
KR100294487B1 true KR100294487B1 (ko) 2001-09-17

Family

ID=3752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438A KR100294487B1 (ko) 1994-04-30 1994-04-30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4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01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FI60086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KR100228325B1 (ko) 한쌍의 4극자 장치를 구비한 편향 시스템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US6380667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235518B1 (ko) 빔 스폿을 조절하는 편향 시스템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US4933596A (en) Deflection yoke with compensation for misconvergence by the horizontal center raster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5719542A (en) Convergence yoke for improving focus characteristics
US5206559A (en) Cathode ray tube which improves deflection aberration
FI106893B (fi) Värinäyttöjärjestelmä, joka sisältää itsekonvergoivan, rasterivääristymän korjauksella varustetun poikkeutuskelayksikön
KR960015318B1 (ko) 칼라수상관용 편향장치 및 칼라수상관장치
EP0415125B1 (en) Cathode ray tube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100731625B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KR840001000B1 (ko) 셀프 콘버징 칼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JPS61281441A (ja) 偏向ヨ−ク
FI70097C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anordning
JP2685797B2 (ja) カラー映像管装置
KR100236894B1 (ko) 편향 코일을 오버랩하는 편향 요크 장치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GB2089116A (en)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used with a magnetically permeable corrector ring
JPH01248438A (ja) カラー映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