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020B1 - 포크형분로기를지니는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포크형분로기를지니는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020B1
KR100304020B1 KR1019940002893A KR19940002893A KR100304020B1 KR 100304020 B1 KR100304020 B1 KR 100304020B1 KR 1019940002893 A KR1019940002893 A KR 1019940002893A KR 19940002893 A KR19940002893 A KR 19940002893A KR 100304020 B1 KR100304020 B1 KR 10030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horizontal
yoke
ver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457A (ko
Inventor
앙드레마일로
다비드뻬롱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톰슨 튜브 앤드 디스플레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93400431A external-priority patent/EP0612095B1/en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톰슨 튜브 앤드 디스플레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94002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020B1/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수상관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수직 편향 코일(18V) 및 수평 편향 코일(18H)을 지니는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자계 형성기의 일종인 E자형 분로기(23a, 23b)를 포함한다. 이러한 E자형 분로기는 내부 및 외부 수평 트랩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편향 요크(16)의 상부 및 하부 부근에 각각 형성되고, 포크형으로 중심 분기(31) 및 2개의 외측 분기(32a, 32b)를 포함한다. E자형 분로기(23a, 23b)의 중심 분기(31)는 내부 및 외부 E-W 핀쿠션 래스터 왜곡의 크기에 대한 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크형 분로기를 지리는 편향 요크
제1도는 음극선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음극선관의 표시 화면에서 바라본 제1도의 편향 요크에 대한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편향 요크의 측면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대응하는 빔 도달점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음극선관의 화면상의 대응하는 표시 패턴을 각각 도시한다.
제5a도는 제1도의 편향 요크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로기를 도시한다.
제5b도는 제5a도의 분로기 대신 제1도의 편향 요크에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로기를 도시한다.
제5c도 및 제5d도는 제5b도의 분로기의 전면부 및 배면부 각각에 대한 X-Y 평면상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s)를 도시한다.
제6a도 내지 제6f도는 제1도의 편향 요크의 자계 분포 함수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CRT) 11 :화면
15 : 전자총 조립체 16 : 편향 요크
17 : 코어 18V : 수직 편향 코일
18H : 수평 편향 코일
23a, 23b : 자계 형성기(I자형 분로기)
30 : 베이스 31, 32a, 32b : 분기
본 발명은 칼라 수상관(CRT)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CRT의 3개의 전자 빔 R, G 및 B의 각각의 전자는 중심을 향하는 경우보다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편향될 때 더 먼 거리를 지나가게 된다. 전자총의 분리로 인하여,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편향될 때 그 3개의 전자 빔의 도달점이 분리될 수 있다. 이 효과는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화면 상의 점에서 3개의 빔의 광점(light spot)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오수렴(misconvergence)으로 알려져 있고, 표시 화상의 가장자리에 색 테두리(colorfringe)를 발생시킨다. 오수렴은 적당한 테스트 신호가 수상관에 입력되었을 때 이상적으로 중복되어 화면상에 나타나는 사행(斜行) 평행선 패턴(crosshatch pattern)의 적색과 청색의 분리 또는 거리로 측정 될 수 있다.
3개의 전자 빔의 각각은 그 색으로 식별될 수 있는 래스터를 주사한다. 따라서, 녹색 래스터는 보통 중심의 전자 빔에 의해 주사되고, 외측 빔은 적색 및 청색 래스터를 각각 주사한다. 상기 사행 평행선 패턴은 각각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래스터로 형성된다. 상기 사행 평행선 패턴은 통상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래스터를 형성하고, 또한 수직과 수평 방향의 다른 중간도 포함한다.
수직 편향 권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선은 요크의 총측 단부와 화면측 단부의 중간에 있는 요크 부분에서 통 모양(barrel-shaped)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자계의 불균일성은 12시 지점에서 오수렴을 감소시킨다. 상기 통 모양의 수직 자계 불균일성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요크의 상부 및 하부 부근에 한 쌍의 분로기(shunt)가 각각 사용되었다.
외측 수평 트랩의 오수렴 오차는 CRT 화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수평 적색선과 청색선 사이의 분리로서 정의한다. 내측 수평 트렙의 오수렴 오차는 CRT 화면의 상부와 중심 사이의 어느 곳 또는 CRT 화면의 하부와 중심 사이의 어느 곳의 CRT 화면의 영역에서 정의된다. 비구면(非球面) 또는 평탄한 표면 판을 지니는 CRT는 외측과 내측 수평 트랩 오차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외측과 내슥의 수평 트랩 오차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은 외측과 내측의 수평 트랩 오차 전체의 감소를 촉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 장치에는 한 쌍의 포크형 분로기가 편향 요크의 상부 및 하부 부근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포크형 분로기는 한 쌍의 외측 분기(branch) 부재를 포함한다. 분로기에 의해 점유되고 있는 X-Y 평면상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는 CRT의 길이 방향 Z축을 따라 Z 좌표의 함수로서 변화한다. 따라서, 포크형 분로기는 요크의 Z축에 수직인 요크의 다른 X-Y 평면에서 수직 편향 자계의 불균일성을 변화시킨다. 그 결과, 전술한 외측과 내측의 수평 트랩 오차 사이의 차이는 감소한다.
상기 CRT 표면 판이 평탄하다는 것 때문에, E-W 핀쿠션 왜곡(East-West pincushion distortion)의 크기는 CRT 화면의 X축을 따라 상기 전자 빔에 대한 X 좌표의 항수로서 비선형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비선형 변화는, 종래의 E-W 왜곡 보정 회로가 왜곡을 충분하게 보정하는 것을 방해한다.
내측의 E-W 기하학적 왜곡 오차의 크기와 외측의 E-W 기하학적 왜곡 오차의 크기 사이의 비율이 소정의 값보다 크게 되도록 포크형 분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을 소정의 값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종래의 E-W 핀쿠션 왜곡 보정 회로는 전체로서 수용 가능한 내측/외측 E-W 핀쿠션 왜곡 보정 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포크형 분로기는 외측 분기 부분 사이에 중심 분기 부재를 포함한다. 중심 분기 부재는 내측의 E-W 기하학적 왜곡 오차의 크기와 외측의 E-W 기하학적 왜곡 오차의 크기 사이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향 장치는 진공 유리제 관구체를 포함하는 인라인(in-line) 시스템의 음극선관을 포함한다. 표시 화면은 상기 관구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총 조립체는 그 관구체의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총 조립체는 편향시, 화면상에 대응하는 래스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자 빔을 발생시킨다. 편향 요크는 상기 관구체 주위에 장착되고 음극선관의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한다. 수평 편향 코일은 음극선관에서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킨다. 자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는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에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제1 자계 형성기는 편향 자계 중 하나를 수정하기 위하여 편향 코일의 하나에 인접하여 대향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자계 형성기는 하나의 중심 다리와 횡방향으로 분리된 2개의 외측 다리와 상기 복수의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제1도에서, CRT(10)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체 그룹이 반복적으로 투사되는 화면 또는 표면 판(11)을 포함하고 있다. CRT(10)는 A68EET38×110형이고, 27V 또는 68 센티미터 크기의 슈퍼-플레트 표면 판을 지닌다. 편향각은 108° 이다. 투사 거리(throw distance)라 불리워지는 요크 기준선에서 화면 내측까지의 화면 중심에서의 거리는 275 밀리미터이다. 표면 판(11)은 통상의 CRT 보다 훨씬 더 편평 하고 그 높이는 통상의 표면 윤곽 높이의 반밖에 안된다.
표면 판(11)의 내측 표면 윤곽은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Zc는 내면 윤곽의 접평면에 접하는 평면으로부터의 거리이다. X 및 Y는 각각 장축 및 단축 방향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A1 내지 A15는 표면 판의 대각선 크기에 따르는 계수이다.
대각선 길이 68cm의 시야 화면을 지니는 CRT(10)의 관구 표면에 대하여, 적절한 계수 A1 내지 A15가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이들 계수에 의해 정의된 윤곽을 갖는 CRT는, 아래에 기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을 사용할 경우, 그 수렴 특성은 양호하게 된다. X와 Y의 크기는 표 1의 계수를 사용하는 경우 밀리미터이다.
[표 1]
전자총 조립체(15)는 상기 관구의 표면 판과 반대측에 있는 네크 부분(12)에 장착된다. 전자총 조립체(15)는 3개의 수평 인라인 빔 R, G 및 B를 발생시킨다. 총괄적으로 (16)으로 표시된 편향 요크는, 상기 관구 네크 또는 가장자리 부분의 주변부에 적절한 플라스틱제 라이너로 형성되는 요크 마운트(19)에 의해 장착된다. 편향 요크(16)는 또한 플레어상의 페라이트 코어(17), 수직 편향 코일(18V) 및 수평 편향 코일(18H)을 포함한다. 편향 요크(16)는 자기 수렴형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16)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동일한 기호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요크 조립체는 전자 빔 출구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제2도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요크 마운트(19)는, 한 쌍의 새들형 수평 방향 코일(18H)을, 주위에 수직 편향 코일(18V)이 감겨져 있는 플레어상의 페라이트 코어(17)에 대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따라서, 편향 요크(16)는 새들-토로이드(57)형이다. 제3도에 도시하는 측면도에서, 빔 출구 단부는 우측에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동일한 기호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1도의 편향 요크(16) 또는 CRT(10)의 종축 또는 Z축은 종래의 방식으로 정의된다. Z축에 수직인 대응하는 좌표 Z에 의해 결정되는 편향 요크(16)의 각 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Y축은 화면(11)의 수직 또는 단축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대응하는 X축은 화면(11)의 수평 또는 장축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편향 요크(16)의 각 평면에서 좌표 X=Y=0은 Z축 상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1도의 편향 요크(16)의 빔 입구 단부 부근에서, 수직 편향 코일(18V)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직 편향 자계는 수직 코마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핀 쿠션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시 및 12시 시점에서 과수렴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직 편향 코일(18V)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직 편향 자계는 제1도의 편향 요크 (16)의 빔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 사이의 상기 요크의 중간 부분에서 통 모양으로 형성 된다.
수직 편향 코일의 권선 분포의 배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 통 모양의 자계 불균일성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질 또는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자계 형성기 즉, E자형 분로기(23a, 23b)는 편향 요크의 중간 부분에서 편향 요크의 상부 및 하부 부근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 하는 자계 형성기(23a, 23b)는 통 모양의 자계 불균일성을 증가시키고, 수직 편향 권선(18V)과 CRT(10)의 네크 부분 사이의 수직 편향 코일(18V)에 면하여 플라스틱 절연체를 구성하는 요크 마운트(19)의 측면 상에 장착된다.
제4a도는 제1도의 화면(11)상에 표시된 수평 청색 및 적색선의 수렴 패턴의 일예를 도시한다. 제1∼3도 및 제4a도에서 동일한 기호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4a도에 도시하는 수렴 패턴은, 분로기(23a, 23b)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장방형 분로기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결과이다. 예컨대, 종래 2:00시 시점이라 불리는 화면(11)의 단부에서 적색선 REDI과 청색선 BLUEI 사이의 거리 d는 -0.49 밀리미터이다. 거리 d는 적색선에 관하여 도시한다. 따라서, 음의 값 d는 적색선이 청색선보다 위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2:30 시점에서, 거리 d는 +0.82 밀리미터이고, 1:00 시점에서 머리 d는 -0.56 밀리미터이며, 4점에서 거리 d는 +0.38 밀리미터이다.
2:00 시점과 1:00 시점에서의 수직 오수렴은 외부 또는 외측 수평 트랩 오차라고 불리운다. 반면, 2:30 시점 및 A점에서의 수직 오수렴은 내부 또는 내측 수평 트랩 오차라고 불리운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수직 편향 코일(18V)의 권선 분포의 변화는, 예컨대 2:00 시점과 2:30 시점 양쪽의 수렴 오차 d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상기 권선 분포의 변화는 상기 2가지 수렴 오차 모두의 값을 보다 음으로 하거나, 그 반대로 2가지 간을 모두 양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상황이 수굉 편향 코일(18H)에 대해서도 발생한다. 외측과 내측의 수평 트랩 오차간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이가 적어지는 경우, 적절한 권선 분포를 선택함으로써 수평 트랩 오차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도, E자형 분로기(23a, 23b)는 제4a도의 적색선(RED1)과 청색선(BLUE1)이 화면(11) 상에 형성될 때와 적색선 (RED2)과 청색선(BLUE2)이 형성될 때에 상이한 각도에서 수직 편향 자계 불균일성을 변화시킨다. 이렇게 해서, 외측과 내측 수평 트랩 오차간의 차이가 감소한다.
제5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로기(23a, 23b)를 상세하고 실제의 크기 비율로 도시한다. 제1∼3, 4a, 4b 및 5a도에서 동일한 기호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5a도의 E자형 분로기(23a, 23b)는 제3도의 요크 마운트(19)의 만곡을 따라 약간 만곡되어 있다. 제5a도에 나타낸 크기는 상기 분로기를 만곡시켜 만곡을 형성하기 전에 평탄한 상태에서의 분로기의 크기에 해당한다. 제5a도의 E자형 분로기(23a, 23b)는 제1도의 편향 요크(16)의 빔 출구측 보다 빔 입구측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접속 부재 또는 베이스(30)를 포함하고 있다. 제5a도의 베이스(30)의 장축 AX30은 대체로 Z축에 수직이다. 중심 다리 또는 분기(31)는 대체로 Z축에 평행인 장축 AX31을 지닌다. 중심 분기(31)의 전단부(31c)는 분로기의 다른 부분보다분로기의 빔 출구측에 가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 형상의 외측 다리 또 분기(32a, 33b)는 분기(31)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축 AX31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분기(31, 32a, 32b)는 베이스(30)에서 서로 결합되고, 베이스(30)에서 개별적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이다. 외측 분기(32a, 32b)의 각각의 후단부(32ab, 32bb)와 중심 분기(31)의 후단부(31bb)는 상기 빔 출구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베이스(3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투과율을 지니는 각각의 자기 경로는 분기(32a, 32b, 31)중 어느 하나와 분기(32a, 32b, 31)중 다른 하나 사이에 존재하고 베이스(30)를 통과한다.
예컨대, 분기(32a)의 후단부(32ab)는 전단부(32af)에 비하여 빔 출구측에 보다 가깝게 위치한다. 분기(32a)의 길이 방향축 AX32a는 축 AX31과 각도 α를 형성한다. 유리한 점은, 후단부(32ab)가 그 X-Y 평면 내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Y축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지 않은 각도 위치와, 전단부(32af)가 대응하는 X-Y 평면 내에 위치 하는 Y축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지 않은 각도 위치의 차이는, 상이한 면에서 통 모양의 수직 편향 자계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의 편향 자계 불균일성 변경을 일으킨다. 빔 출구 단부에 더 가까이 있는 분기(32a)의 전단부(32af)는 후단부(32ab)에 비하여 외측 수평 트랩 오차에 영향을 준다. 반대로, 베이스(30)에 근접한 분기 (32a, 32b)의 각각의 후단부(32ab, 32bb)는 보다 내측 수평 트랩 오차에 더 영향을 준다. 분기(32a, 32b, 31)와 관련된 크기 및 베이스(30)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외측파 내측 수평 트랩 오차간의 차이를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5a도의 분로기(23a, 23b)에 있어서, 수직 오수렴 오차는 2:00 시점에서 -0.47 밀리미터, 1:00 시점에서 -0.48 밀리미터, 2:30 시점에서 +O.34 밀리미터, A점에서 +0.2 밀리미터와 같다. 이러한 결과는 외측과 내측의 수평 트랩 오차간의 차이가 전술한 종래의 장방형 분로기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4b도는, 보정되지 않은 외측 또는 죄부 E-W 핀쿠션 왜곡 오차와 보정되지 않은 내측 또는 내부 E-W 핀쿠션 왜곡 오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3, 4a, 4b 및 5a도에서 동일한 기호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외측 E-W 핀쿠션 왜곡 오차의 범위는 다음 식으로 결정된다:
Er = 2 ×(d4 + d5) ÷(d6 + d7)
내측 E-W 핀쿠션 왜곡 오차의 범위는 다음 식으로 결정된다 :
Ir = 2 ×(d8 + d9) ÷(d6 + d7)
d4 내지 d9 값은 제4b도에서 대응하는 길이를 나타낸다.
종래의 E-W 핀쿠션 왜곡 보정 회로가 2가지 오차를 허용 범위까지 보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비을 예컨대 0.3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5a도의 중심 분기(31)는 내부와 외부 E-W 래스터 왜곡 오차간의 비,를 분기(31)를 제거한 경우에 얻어지는 비에 대하여 증가시킨다. 예컨대, 중심 분기(31)를 제거한 경우, 비는 0.34이고; 한편, 중심 분기(31)를 포함하는 제5a도의 분로기(23a, 23b)에 대하여, 비는 0.368이다. 이렇게 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E-W 래스터 왜곡 보정 회로를 이유할 수 있다.
제5b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분로기(23a')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5b도의 분로기(23a')는 제5a도의 분로기(23a)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제5b도의 분로기(23a')는 제5a도의 분로기(23a)에 비하여 수직 편향 자계에 더 큰 정도의 통모양 형상을 제공한다. 제5c도는 제5b도의 분로기(23a')의 배면부의 X-Y 평면(110)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다. 제5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로기는 각 상한 (quardrant)에서 0°∼18°범위의 각도를 지닌다. 제5d도는 화면에서 바라본 X-Y 평면에서의 분로기(23a')의 형상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5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로기(23a')는 각 상한에 있어서 0°∼18°의 각도와 38°∼47°범위의 각도를 지닌다. 제5a∼5d도에서 동일한 기호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분로기의 정면부와 배면부 사이의 각도 차이는 전술한 내측/외측 수평 트랩 오차의 차이와 내외/외측 E-W 핀쿠션 왜곡비를 제공한다.
제6a도 내지 제6f도는 제1도의 편향 요크(16)에 있어서 편향 자계의 자계 분포 함수 V0(Z), H0(Z), V2(Z), H2(Z), V4(Z) 및 H4(Z)를 각각 도시한다. 제1도∼제6f도에서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2도 및 제 3도의 수평 편향 코일(18H)에 의해 형성된 자계의 강도는 적절한 프로브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제3도의 좌표 Z = Z1와, 제2도의 좌표 Y = 0와, 소정의 좌표 X = X1에 대해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을 위하여, 좌표 X1은 X축 방향, 즉 수평 편향 방향으로 변화한다. 좌표 X=X1 이 변화하는 평면은 제3도의 상부 새들 코일(18H)의 하부 가장자리와 하부 새들 코일(18H)의 하부 가장자리를 분리시킨다.
일정한 좌표 Z=Z1, 좌표 Y=0에 대하여 X좌표의 함수로서 자계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는, 공지의 방법으로 자계 분포 함수 또는 멱급수 H(X) = H0(Z1) + H2(Z1)X2+ H4(Z1)X4의 계수 H0(Z1), H2(Z1), H4(Z1) 및 다른 고차 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 될 수 있다. 항 H(X)는 자계 강도를 좌표 2=Z1, Y=0에서 X 좌표의 함수로서 나타낸다. 따라서, 계수 H0(Z), H2(Z), H4(Z) 및 다른 고차 계수의 각각의 변화를 좌표 Z의 함수로서 그래프에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수평 편향 코일(18V)에 관하여 계수 V0(Z), V2(Z), V4(Z) 및 다는 고차 계수를 좌표 Z의 함수로서 그 값을 구할 수 있다. 제6a∼6f도에 도시하는 함수를 얻기 위하여, X 및 Y 좌표는 각각 밀리미터 단위로 측정된다.
제6a∼6f도에서, 제5a도의 E자형 분로기(23a, 23b)가 제2도의 편향 요크(16)에 설치되는 경우, 실선으로 도시하는 자계 분포 함수가 얻어진다. 이것에 대하여, 도면에 표시할 목적만을 위한 것으로서, 요크(16)에서 E자형 분로기(23a, 23b)를 제거한 경우의 자계 분포 함수를 점선으로 도시한다. Z축에 대한 수평 코일(18H), 분로기(23a, 23b) 및 코어(17)의 위치도 또한 제6a∼6f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 분포 함수 V4(Z)는 분로기(23a, 23b)의 빔 출구 단부 보다 빔 입구 단부에 더 가까운 좌표 Z에서 피크값을 지닌다. 제6c도는 함수 V2(Z)로서 분로기(23a, 23b)의 영향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분로기(23a, 23b)에 의하여, 함수 V2(Z)의 피크값은 보다 큰 음의 간을 지닌다. 이러한 값은 통 모양의 수직 편향 자계에 대응한다.
N-S(상부-하부)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2도 및 제3도의 한 쌍의 자석(21a, 21b)이 요크의 상부와 하부 부근에 각각 요크의 정면 또는 빔 출구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자석(21a, 21b)은 요크 마운트(19)의 리세스 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극성을 띈다. 편향 요크의 빔 출구 단부 부근에 배치된 제2도의 자석(21a, 21b)은 외측의 N-5(상부-하부) 핀쿠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석(21a, 21b)은 적절한 수렴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수직 편향 자계의 통 모양화(barreling)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직 편향 자계의 통 모양화를 부분적으로 복구시키기 위해, 한 쌍의 자석(22a, 22b)이 요크의 빔 입구 단부쪽에 더 가까운 상부 및 하부에서 요크의 플레어부 내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자석(22a, 22b)은 코일(18H)의 윤곽을 따라 장착되고, 코일(18H)과 CRT(10)의 네크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자석(22a, 22b)은 E자형 분로기(23a, 23b)와 마찬가지로 자석(21a, 21b)에 의해 각각 발생할 수 있는 수직 수렴 오차를 보상한다. 자석(21a, 21b)에 비하여 CRT(10)의 화면으로부터 Z축을 따라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편향 자계의 영역 내에 있어서 수직 편향 자계의 통 모양화의 증가로 인하여 수렴 오차의 보상이 달성 된다.
내측의 N-S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라기 위하여, 제2도의 한쌍의 코너 영구 자석(24a, 25a)이 상부 자석(21a)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요크 마운트(19)상에 장착된다. 대응하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자석(24a)은 대략 φ = +29° 의 각 도로 배치되고, 자석(25a)은 대략 φ = -29°의 각도로 배치된다. 따라서, 자석(24a, 25a)의 각각은 φ가 45°보다 작기 때문에 X축보다 Y축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제2도의 한쌍의 코너 자석(24b, 25b)은 X축에 대하여 각각 자석(24a, 25a)과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코너 자석(24b, 25b)은 자석(21b)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석(24a, 21a, 25a)은 주로 빔 스폿이 CRT의 화면의 수직 중심 위에 있는 경우에 주로 빔 스폿 도달 위치에 영향을 준다. 마찬가지로, 자석(24b, 21b, 25b)은 주로 빔 스폿이 수직 중심 아래에 있는 경우에 빔 스폿 도달 위치에 영향을 준다.

Claims (6)

  1. 진공 유리 관구체, 상기 관구체의 일단부에 배치된 표시 화면(11), 상기 관구체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편향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대응하는 래스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자 빔(R, G, B)을 발생하는 전자총 조립체(15)를 구비하는 인라인 시스템의 음극선관(10) 내에;
    상기 음극선관에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직 편향 코일(18V) 및 수평 편향 코일(18H)과;
    상기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자기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17)를 포함하고;
    상기 관구체 주위에 장착된 편향 요크(16)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수직 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빔 입구 단부와 빔 출구 단부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코일(18V)에 인접하여, 상피 편향 요크의 수평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E자형 분로기(23a, 23b)로서, 각각 중심 다리(31)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외측 다리(32a, 32b) 및 이러한 복수의 다리를 함께 결합하는 부재(30)를 구비하는 한 쌍의 E자형 분로기(23a, 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다리(31)의 종축과 상기 외측 다리(32a, 32b) 중 하나 사이의 각 도는 실질적으로 9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측 다리(32a, 32b) 부분은 상기 편향 요크에 대하여 서로 다른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수직 평떤에 배치된 다리 부분은, 상기 평면의 수직 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 위치로 배치됨으로써, 내부 수평 트랩 오차 및 외부 수평 트랩 오차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다리(31)는 내부 E-W 핀쿠션 왜곡의 크기와 외부 E-W 핀쿠션 왜곡의 크기 사이의 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중심 다리(31)의 종축(AX31)의 방향 및 상기 편향 요크(16)의 전자 빔 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다리(31) 및 외측 다리(32a, 32b)의 각각은 통상 전자 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장치.
KR1019940002893A 1993-02-18 1994-02-18 포크형분로기를지니는편향요크 KR100304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3400431.8 1993-02-18
EP93400431A EP0612095B1 (en) 1993-02-18 1993-02-18 Deflection yoke with a forked shu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457A KR940020457A (ko) 1994-09-16
KR100304020B1 true KR100304020B1 (ko) 2001-11-22

Family

ID=6666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893A KR100304020B1 (ko) 1993-02-18 1994-02-18 포크형분로기를지니는편향요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04020B1 (ko)
MY (1) MY11049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457A (ko) 1994-09-16
MY110490A (en) 199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07B1 (ko) 비디오 표시 장치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6686709B2 (en) Deflection yoke for a CRT
JPH06283115A (ja) 偏向ヨーク
JP3492409B2 (ja) 分岐した分路を持つ偏向ヨーク
US6351200B1 (en) Deflection yoke with geometry distortion correction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US5306982A (en) Field harmonic enhancer in a deflection yoke
KR100304020B1 (ko) 포크형분로기를지니는편향요크
KR100387453B1 (ko) 편향요크
US4972519A (en) Vertical coma correction arrangement
US4305055A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a coma corrected deflection yoke
JP3390761B2 (ja) 偏向装置
US6373180B1 (en) Deflection yoke for a cathode-ray tube with both improved geometry and convergence
US5206559A (en) Cathode ray tube which improves deflection aberration
KR100310648B1 (ko) 비디오표시장치
CA1311793C (en) Video apparatus having self-converging pattern-corrected deflection yoke
US551493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mages
US7005788B2 (en) Magnetic device for correcting image geometry defects for cathode-ray tubes
EP0415125B1 (en) Cathode ray tube
JPS5925080Y2 (ja) セミトロイダル形電磁偏向ヨ−ク
JP3396503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EP1344240B1 (en) Deflection system for colour cathode-ray tube with horizontal coma correction
JPH03116638A (ja) カラー受像管
US20030209968A1 (en) Color picture tube and deflection system for color picture tubes having improved conver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