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014B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014B1
KR100209014B1 KR1019960059504A KR19960059504A KR100209014B1 KR 100209014 B1 KR100209014 B1 KR 100209014B1 KR 1019960059504 A KR1019960059504 A KR 1019960059504A KR 19960059504 A KR19960059504 A KR 19960059504A KR 100209014 B1 KR100209014 B1 KR 10020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momentary
air condition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073A (ko
Inventor
요시히코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오타 유다카
가부시키가이샤 젝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타 유다카, 가부시키가이샤 젝셀 filed Critical 오타 유다카
Publication of KR97002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failure of detection or safety means; Diagnostic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작패널에 설치된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고착고장을 일으킨 경우라도, 필요 최저한의 쾌적온도 조절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모우멘터리식 스위치(3G,3H)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1)에 있어서, 전원투입시에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53,73)을 구비하고, 그 판별수단에 의하여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판별된 경우에는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에 관계없이 상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소정의 초기제어상태에 설정하도록 (55,56,75,76)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인데, 더 자세히 말하면, 조작용 패널에 설치된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에 접점단락의 고착고장이 생긴 경우에 안전보장 제어를 행하도록 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조작패널에는, 압압조작 없이는 항상 접점 개방상태로 되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다수 채용되고 있으나,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에 있어서는 압압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는데도 그 접점이 닫혀 버리는 이른바 접점단락의 고착고장이 가끔 생긴다. 이 고착고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종래기술로서, 스위치가 복수동시에 눌린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스위치의 접점정보를 넣도록 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실공 평 7-28967호 공보).
그런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조작패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차실내 설정온도의 변경을 행하는 상승 스위치 및 하강스위치로서 사용한 경우, 접점단락 고착사고가 생기면 기종에 따라서는 설정온도가 연속적으로 상승 또한 하강해버려, 상한온도 또는 하한온도의 설정밖에 할 수 없는 상태가 생기는 일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일본국 실공 평 7-289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채용한 경우, 하강스위치의 우선도를 높게 설정하면, 상승스위치가 접점 단락 고착사고를 일으켰더라도 하강스위치에 의하여 설정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나, 하강스위치로부터 손을 떼면 다시 설정온도가 상승해버리게 된다.
또, 일본국 특개 평 2-197444호 공보에는 조작장치와 전장품(電裝品)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중 전송로에 장해가 생긴 것이 판별된 경우, 자동 모우드로 작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스위치의 고착고장의 판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적용할 수는 없다. 그리고, 통상의 설정에서는 배터리를 개방상태로부터 접속상태로한 경우에는, 제어장치가 소기 설정상태로 리세트되어, 차실내 설정온도는 25℃로 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고착고장에서는 배터리의 접속직후에 25℃의 설정이 행하여져도 곧 최고 설정온도(예를 들면, 32℃)로 까지 설정온도가 상승해버리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패널에 설치된 각종의 설정용의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상술한 바와 같은 고착고장이 생긴 경우라도 필요 최저한의 쾌적 온도조절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용 조작패널과, 상기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의 접점정보에 적어도 응답하여 공조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 유니트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공조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전원투입시에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그 판별수단에 의하여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판별된 경우에는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에 불구하고 상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소정의 초기제어상태로 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점화스위치를 OFF위치에서 ON위치로 전환하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예를 들면 콘트롤 유니트의 전원스위치가 ON이 되면, 조작용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중, 그때 ON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판별수단에 의하여 판별된다. 여기서, ON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판단되면, ON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별된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는 무효로 되고,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가 미리 정해진 초기제어상태로 된다.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의 대상은 모든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라도 좋으나, 1개 또는 복수의 특정한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만을 판별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승스위치 및 하강스위치만을 판별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승스위치 및/또는 하강스위치가 접점단락 고착고장으로 된 경우, 차실내온도의 제어가 소정의 초기 제어상태로 된다. 이 초기제어상태는 예를 들면, 차실내 설정온도가 그 설정가능한 온도조절 범위의 중앙 근방에 설정된 제어상태로 할 수 있으나, 이 설정온도는 특정의 값(예를 들면, 25℃)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판별수단에 의하여 전원투입시에 ON으로 되어 있었다고 판별된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그후 OFF 상태로 된 것이 판별수단 또는 기타의 수단에 의하여 검지된 경우에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소정의 초기제어상태를 해제하고, 그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를 제어하기 위하여 넣어서 통상의 제어운전 상태를 행하는 상태로 되돌리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일시적인 접점단락 고착이 생기고 있었던 경우, 이 고착의 해제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통상 제어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1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실시의 1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1)는 공기조화장치 본체(2)와, 조작패널(3)과, 조작패널(3)에 설치된 조작용 스위치 등의 조작부재의 조작정보, 공기조화장치 본체(2)에 설치된 후술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센서 출력정보 및 기타의 센서로부터의 센서출력정보에 응답하여 공기조화장치 본체(2)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공기조화장치 본체(2)에 대하여 설명하면, 공조덕트(5)의 최상류쪽에 인테이크 전환장치(6)가 설치되고, 이 인테이크 전환장치(6)는 내기입구(7)와 외기입구(8)로 나누어진 부분에 배치된 내외기 전환도어(9)를 가지고 있다. 이 내외기 전환도어(9)는 인테이크 작동기(10)에 의하여 조작되어 공조덕트(5)내로 도입하는 공기를 내기 또는 외기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바라는 흡입 모우드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송풍기(11)는 공조덕트(5)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하류쪽으로 송풍하는 것인데, 이 송풍기(11)의 후방에는 에바폴레이터(12)와 히이터 코어(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히이터 코어(13)의 앞쪽에는 공기혼합도어(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공기혼합도어(14)의 개방도를 혼합도어 작동기(15)에 의하여 조절함으로써 히이터 코어(13)를 통과하는 공기와 히이터 코어(13)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이 바뀌어져서 그 결과, 불어내는 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공기혼합도어(1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혼합도어 작동기(15)에는 공기혼합 도어 포텐쇼미터(16)가 연결되어 있고, 공기혼합도어 포텐쇼미터(16)로부터는 공기혼합도어(14)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검출신호가 출력된다.
공조덕트(5)의 하류쪽은 디프로스트 취출구(17), 벨트취출구(18) 및 발밑 취출구(19)로 나누어져서 차실(20)에 개구하고, 그 나누어진 부분에 모우드 도어(21a,21b,21c)가 설치되며, 이 모우드 도어(21a,21b,21c)를 모우드 도어 작동기(22)로 조작함으로써 바라는 불어내기 모우드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에바폴레이터(12)는 콤플레서(23), 콘덴서(24), 액체탱크(25) 및 익스밴션 밸브(26)와 함께 냉방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콘플레서(23)는 전자클러치(27)를 통하여 엔진(28)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작동기(10,15,22), 송풍기(11)의 모우터(11M), 콤플레서(23)의 전자 클러치(27)는 제어장치(4)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장치(4)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며, 제어장치(4)로부터의 제어출력신호에 의하여 각 작동기(10,15,22), 송풍기(11)의 모우터(11M) 및 전자클러치(27)의 클럭치 솔레노이드(27M)가 대응하여 설치된 각 구동회로(40a∼40e)를 통하여 제어되는 구성이다.
제1도에 있어서, 29는 차실(20)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1차실내센서, 30은 외기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룸내의 적절한 곳에 배설된 외기온센서, 31은 에바폴레이터(12)를 통과한 직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덕트센서, 32는 일사량을 검출하기 위한 일사량 센서, 33은 엔진(28)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이다. 이들 각 센서(28∼32) 및 공기혼합 도어 포텐쇼미터(16)로부터의 각 출력신호는 멀티플렉서(34)를 통하여 선택되며, 선택된 신호는 A/D변환기(35)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제어장치(4)에 입력된다.
제어장치(4)에는 조작패널(3)로부터의 출력신호(S)가 입력되어 있고, 이 조작패널(3)은 표시용 신호처리회로(36)를 통하여 제어장치(4)와 접속되며, 송풍기 속도, 취출 모우드, 설정온도, 외기온도 등이 조작패널(3)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는 제1도에 도시한 조작패널(3)이 확대되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조작패널(3)은 공지의 구성의 것이고, 제2도에 있어서, 3A는 설정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3B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1)의 자동제어를 개시시키기 위한 AUTO 스위치이고, AUTO 스위치(3B)를 누르면 콤플레서(23)가 ON으로된다. 3C는 콤플레서(23)의 ON, OFF를 제어하기 위한 A/C 스위치이다. AUTO 스위치(3B)가 ON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A/C 스위치(3C)를 누르면, 표시부(3A)에 있어서의 A/C 표시의 불이 꺼지고, 콤플레서(23)만이 OFF된다. 다시 한번 더 A/C 스위치(3C)를 누르면 다시 A/C 표시의 불이 켜지고, 콤플레서(23)가 ON으로 된다. 이와 같이 A/C 스위치(3C)를 누를 때마다 콤플레서(23)의 ON,OFF가 반복된다.
3D는 팬스위치인데, AUTO 스위치(3B)가 눌려있는 상태에서 팬스위치(3D)를 누르면, 표시부(3A)의 AUTO 표시의 불이 꺼지고, MANUAL 표시의 불이 켜진다. 또 OFF의 상태에서 팬 스위치(3D)를 누르면, 표시부(3A)에 설정온도, 취출구, 현재의 팬속도가 표시됨과 동시에, MANUAL 표시의 불이 켜진다. 팬속도는 팬스위치(3D)를 누를때마다 전환되어, 1속, 2속, 3속, 4속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3E는 MODE 스위치인데, 이것을 누를때마다 취출구를 차례로 전환시킬 수 있다. 3F는 취출구를 DEF로 전환시키기 위한 DEF 스위치이다. 상술한 이들 스위치(3B∼3F)는 모두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이고, 조작자가 누름조작하고 있는 경우에만 접점이 ON상태로 되며, 조작자가 스위치로부터 손을 떼면, 접점이 OFF 상태로 되는, 이른바 터치 스위치로 되어 있다.
3G는 설정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스위치, 3H는 설정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스위치이고, 하강스위치(3G) 및 상승스위치(3H)도 또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강스위치(3G)를 한번 단시간 누를 때마다 설정온도를 0.5도 만큼 하강시키고, 상승스위치(3H)를 한번 단시간 누를때마다 설정온도를 0.5도 만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이들 스위치(3G,3H)의 접점정보가 제어장치(4)에 있어서 처리된다. 또한, 하강스위치(3G)가 소정시간(본 실시예에서는 0.5초)이상 연속하여 계속 누르면, 즉 하강스위치(3G)의 ON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면, 설정온도가 소정시간 간격으로 0.5도씩 하강하는 설정 모우드로 된다. 마찬가지로, 상승스위치(3H)가 소정시간이상 연속하여 계속 누르면, 즉 상승스위치(3H)의 ON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면, 설정온도가 소정시간 간격으로 0.5도씩 상승하는 설정 모우드로 된다. 하강스위치(3G) 및 상승스위치(3H)의 상술한 기능에 의하여, 바라는 설정온도를 18℃∼32℃의 범위에서 소정의 작은 단계로 선택할 수 있다.
3i는 흡입구를 내기순환에 고장시키기 위한 REC 스위치인데, REC 스위치(3i)를 누를때마다 자동제어와 내기 순환과의 사이에서 전환이 실행된다. 3j는 차실밖의 외기온도를 표시부(3A)에 표시시키기 위한 AMB 스위치이고, AMB 스위치(3j)를 누르면 표시부(3A)의 AMB의 표시의 불이 켜짐과 동시에, 그때의 외기온도의 수치가 거기서 디지털 수치로 표시된다. 3k는 자동용 공기조화장치(1)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OFF 스위치이다. 이들 각 스위치(3i∼3k)도 또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있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제어장치(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어장치(4)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의 기억부에 미리 세트되어 있는 제어용 프로그램을 도시한 플로우차아트이다. 이 제어용 프로그램은 점화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ON으로 함으로써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1)에 전원이 들어왔을 때에 실행이 개시된다. 먼저, 스텝 41에서 초기화처리가 실행되고, 이후 조작패널(3)에 설치된 각종 조작스위치의 접점정보를 포함한 출력신호(S) 및 멀티플렉서(34)와 A/D 변환기(35)를 통하여 입력되는 각 센서로부터의 출력정보 등의 데이터가 스텝42에서 입력된다. 다음의 스텝43에서는 목표온도가 설정된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스텝43에 있어서의 목표온도의 설정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승스위치(3H)의 접점정보의 처리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소정의 수순에 따라 제4도에 도시한 상승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들어가면, 먼저 스텝51에서 첫번 점화이냐 아니냐가 판별되며, 첫번 점화라고 판별되면, 스텝52에서 상승스위치(3H)가 고장임을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F1)가 리세트되고, 스텝53에 있어서, 이때 상승스위치(3H)가 ON 상태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상승스위치(3H)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이기 때문에, 점화스위치가 ON으로 된 시점에서는 통상은 그 접점은 OFF 상태로 되어 있고, 스텝53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상승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처리는 이것으로 종료된다.
한편, 어떤 이유 예를 들면 접점의 단락고착 등의 이유에 의하여 점화스위치가 ON으로 된 시점에서 상승스위치(3H)의 접점이 이미 ON상태로 되어 있으면, 스텝53의 판별결과는 YES가 되어, 스텝54에서 플래그(F1)가 세트된다. 그 다음에, 스텝55에서 상승스위치(3H)의 접점정보입력을 무시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목표 차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설정치(T/S)가 25℃에 세트된다(스텝56).
즉, 점화스위치가 ON으로 된 시점에서 상승스위치(3H)가 이미 온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승스위치(3H)의 고장이라고 간주하여, 상승스위치(3H)로부터의 접점정보의 입력을 무시함과 동시에, 소정의 초기상태로서 목표 차실내온도를 25℃에 강제적으로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되고, 상승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처리가 종료된다.
첫번 점화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51의 판별결과는 NO가 되며, 스텝57에 있어서, 플래그(F1)가 서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플래그(F1)가 서있지 않는 경우, 즉 상승스위치(3H)에 문제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58로 진행하고 여기서 상승스위치(3H)가 ON상태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상승스위치(3H)가 ON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58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상승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상승스위치(3H)가 눌려있으면, 스텝58의 판별결과는 YES로 되어, 스텝59에서 그때의 목표 차실내온도의 설정치(T/S)에 0.5℃가 더해져서 새설정치(T/S)가 되어, 스텝60에 들어간다. 스텝60에서는 상승스위치(3H)가 연속하여 0.5초이상 ON상태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되고, 스텝60에서, 상승스위치(3H)가 연속하여 0.5초이상 ON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판별되면, 그 판별결과는 YES가 되어, 스텝61에서, 0.3초마다 설정치(T/S)의 수치를 0.5씩 상승시키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61에서의 처리가 종료한 경우 또는 스텝60에서의 판별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62로 들어가고, 여기서 설정치(T/S)의 수치가 최고설정 온도인 32℃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설정치(T/S)의 수치가 32℃로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62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상승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설정치(T/S)가 32℃로 되어 있으면 스텝62에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62의 판별결과는 YES가 되어, 스텝63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소정의 최고 온도제어를 위한 설정이 행하여진다. 이 최고 온도제어를 위한 설정은 예를 들면 공기혼합도어(14)를 풀핫(full hot)위치로 하고, 송풍기(11)의 회전속도를 최고속으로 하며, 콤플레서(23)를 운전정지로 하기 위하여 전자클러치(27)를 OFF로하여, 내외기 전환도어(9)를 외기흡입위치로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스텝63의 실행종료후, 상승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57의 판별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스텝64로 들어가고, 여기서 상승스위치(3H)가 OFF 상태로 되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스텝64에서 상승스위치(3H)가 OFF상태로 되었다고 판별되면, 스텝65에서 플래그(F1)를 리세트하고, 상승스위치(3H)에 고정이 없는 경우와 똑같이 하여, 스텝58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64에서 상승스위치(3H)의 OFF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64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스텝55로 진행하고, 이미 설명한 상승스위치(3H)의 고정시의 처리가 스텝55,56에 있어서 실행되게 된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하여 하강스위치(3G)의 접점정보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정의 수순에 따라 제5도에 도시한 하강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로 들어가면, 먼저, 스텝71에서 첫번 점화이냐 아니냐가 판별되어, 첫번 점화라고 판별되면 스텝72에서 하강스위치(3G)가 고장임을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F2)가 리세트되어, 스텝73에 있어서 이때 하강스위치(3G)가 ON상태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하강스위치(3G)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이기 때문에, 점화스위치가 ON으로 된 시점에서는 통상은 그 접점은 OFF 상태로 되어 있고, 스텝73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하강스위치 접점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는 이것으로 종료된다.
한편, 어떤 이유 예를 들면 접점의 단락고착 등의 이유로 점화스위치가 ON으로 된 시점에서 하강스위치(3G)의 접점이 이미 ON 상태로 되어 있으면, 스텝73의 판별결과는 YES가 되어, 스텝74에서 플래그(F2)가 세트된다. 그 다음에, 스텝75에서 하강스위치(3G)의 접점정보 입력을 무시하는 처리가 실행되고, 목표 차실내온도를 표시하는 설정치(T/S)가 25℃에 세트된다(스텝76). 즉, 점화스위치가 ON으로 된 시점에서 하강스위치(3G)가 이미 ON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하강스위치(3G)의 고장이라고 간주하여, 하강스위치(3G)로부터의 접접점정보의 입력을 무시함과 동시에, 소정의 초기상태로서 목표 차실내온도를 25℃에 강제적으로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되고, 하강스위치 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첫번 점화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71의 판별결과는 NO가 되어, 스텝77에 있어서 플래그(F2)가 서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플래그(F2)가 서있지 않는 경우, 즉 하강스위치(3G)에 문제가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78로 진행하여, 여기서 하강스위치(3G)가 ON상태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하강스위치(3G)가 ON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78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하강스위치 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하강스위치(3G)가 눌려있으면, 스텝78의 판별결과는 YES로 되어, 스텝79에서 그때의 목표 차실내온도의 설정치(T/S)로부터 0.5℃를 뺀 것이 새설정치(T/S)가 되어, 스텝80으로 들어간다. 스텝80에서의 하강스위치(3G)가 연속하여 0.5초이상 ON상태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되고, 스텝80에 있어서 하강스위치(3G)가 연속하여 0.5초이상 ON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판별되면, 그 판별결과는 YES가 되어, 스텝81에 있어서 0.3초마다 설정치(T/S)의 수치를 0.5씩 하강시키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81에서의 처리가 종료한 경우 또는 스텝80에서의 판별결과가 NO인 경우에는, 스텝82로 들어가고, 여기서 설정치(T/S)의 수치가 최저 설정온도인 18℃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설정치(T/S)의 수치가 18℃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82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하강스위치 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설정치(T/S)가 18℃로 되어 있으면, 스텝82에 있어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82의 판별결과는 YES가 되어, 스텝83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소정의 최저 온도제어를 위한 설정치 행하여 진다. 이 최저온도 제어를 위한 설정은 예를 들면 공기혼합도어(14)를 풀쿨(full cool) 위치로 하고, 송풍기(11)의 회전속도를 최고속으로 하고, 콤플레서(23)를 운전상태로 하기 위하여 전자클러치(27)를 ON으로하여, 내외기 전환도어(9)를 내기 순환위치로하는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스텝83의 실행종료 후, 하강스위치 정보처리 플로우에 따르는 이번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77의 판별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스텝84로 들어가고, 여기서 하강 스위치(3G)가 OFF상태로 되었느냐 아니냐가 판별된다. 스텝84에서 하강스위치(3G)가 OFF상태로 되었다고 판별되면, 스텝85에서 플래그(F2)를 리세트하고, 하강스위치(3G)에 고장이 없는 경우의 처리와 똑같은 처리가 스텝78 이후에 실행된다. 한편, 스텝84에서 하강스위치(3G)의 OFF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84의 판별결과는 NO로 되어, 스텝75로 진행하고, 이미 설명한 하강스위치(3G)의 고장시의 처리가 스텝75,76에 있어서 실행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에서 명백하듯이, 목표 차실내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하강스위치(3G) 및 상승스위치(3H)로부터의 각종 접점정보의 입력시에 점화스위치를 OFF에서 ON으로 전환하였을 때에, 이들 스위치(3G,3H)중의 적어도 하나가 ON 임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ON으로 되어 있는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는 무효로 하고, 미리 정해진 초기상태(본 실시형태의 경우의 예에서는 목표차 실내온도를 25℃로 설정하는 상태)로 된다.
제3도로 되돌아가면, 스텝43에 있어서, 목표차 실내온도의 설정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 후, 스텝44에 있어서, 총합신호 연산이 실행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44의 총합신호 연산처리는 제어용 외기온의 값(TaD)에 따라 목표 차실내온도의 설정치(T/S)가 외기보정되고, 외기보정된 설정온도(T'SET)를 사용하여 총합신호(T)의 값이 거기에 표시되는 식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 총합신호(T)의 값을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연산하는 것 자체는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총합신호(T)의 연산에 대한 이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로 되돌아가면, 다음의 스텝45에서는 송풍기(11)의 제어신호가 연산하여 출력되고, 스텝46에서는 전자클러치(27)의 제어신호가 연산하여 출력되며, 스텝47에서는 내외기 전환도어(9)의 제어신호가 연산하여 출력되고, 스텝48에서는 모우드 도어(21a,21b,21c)의 제어신호가 연산하여 출력된다. 스텝49에서는 스텝44에서 연산된 총합신호(T)의 값에 의거하여, 공기혼합도어(14)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렇게 하여, 제어장치(4)로부터 출력된 각 제어신호는 대응하는 구동회로(40a∼40e)에 공급되고, 송풍기(11), 전자클러치(27), 내외기 전환도어(9), 모우드 도어(21a,21b,21c) 및 공기혼합도어(14)가 각각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차실(20)내의 온도가 그때의 목표 차실내온도로 유지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하강스위치(3G) 및 상승스위치(3H)의 어느 것에도 단락고착고장이 생기고 있지 않으면, 이들 스위치(3G,3H)에 의하여 바라는 목표 차실내온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어서, 차실(20)내의 온도가 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각부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한편, 하강스위치(3G) 또는 상승스위치(3H)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단락고착고장이 생기고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판별된 스위치의 접점정보의 입력은 무시되고, 소정의 초기상태인 목표 차실내온도가 23℃로 설정된 상태가 자동적으로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강스위치(3G) 또는 상승스위치(3H)의 한쪽에 단락고착고장이 생긴 경우에는, 목표 차실내온도가 25℃로 설정되나, 고장이 생기고 있지 않은 쪽의 스위치에 의하여 이 설정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의 어느 하나의 조작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첫번 점화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플래그(F1 또는 F2가)서있는 경우에는 상승스위치 또는 하강스위치가 OFF로 되어 있느냐 아니냐를 확인하고 있으므로(스텝64,84), 이들 스위치의 접점의 장해가 해소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통상제어로 되돌아갈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초기상태의 목표 차실내온도를 25℃에 설정한 상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1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기상태를 예를 들면 목표 차실내온도를 그 설정관리의 꼭 중간점의 수치에 설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적절히 임의의 수치에 설정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제어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요의 기능이 수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장치의 코스트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장치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승스위치 또는 하강스위치의 고장의 경우의 구제를 목적으로 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우멘터리식의 팬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팬스위치를 소정시간이상 연속하여 ON상태로 하면, 그 ON 상태가 계속되는 한 팬의 풍량을 Lo와 Hi와의 사이에서 리니어로 반복하여 변화시키는 구성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을 똑같이 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점화스위치가 ON일 때에 팬스위치의 단락고착고장이 검지되었다면, 팬스위치의 접점정보를 무효로하고, 팬의 풍량을 Lo와 Hi의 중간의 적절한 값을 초기상태로 하여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모우멘터리식의 모우드 스위치를 사용하여, 모우드 스위치를 소정시간이상 연속하여 ON상태로 하면, 그 ON상태가 계속되는 한 취출 모우드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구성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점화스위치가 ON일 때에 모우드 스위치의 단락고착고장이 검지된 경우에는, 모우드 스위치의 접점정보를 무효로 하고, 취출 모우드를 미리 정한 소정의 모우드, 예를 들면 벤트모우드를 초기상태로 하여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모우멘터리식의 REC 스위치를 사용하여, REC 스위치를 소정시간이상 연속하여 ON 상태로 하면, 그 ON 상태가 계속되는 한 흡기 모우드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구성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점화스위치가 ON일 때에 REC 스위치의 단락고착 고장이 검지된 경우에는, REC 스위치의 접점정보를 무효로하고, 흡기 모우드를 미리 정한 소정의 모우드, 예를 들면 외기도입 모드를 초기상태로 하여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모우멘터리식의 A/C 스위치를 사용하여 A/C 스위치를 소정시간 이상 연속하여 ON 상태로 하면, 그 ON 상태가 계속되는 한 콤플레서의 ON, OFF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구성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점화스위치가 ON일 때에 A/C 스위치의 단락고착 고장이 검지된 경우에는, A/C 스위치의 접점정보를 무효로 하고, 예를 들면 콤플레서를 ON으로 하는 초기상태를 설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고장판별의 대상이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에 관하여,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ON 상태로 한채로 점화 스위치를 OFF로 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그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에 관해서는 그 접점정보를 무효로 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고, 그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의 고장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의 접점정보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넣어서 공조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패널에 설치된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에 있어서, 단락고장이 생긴경우라도, 예를 들면 점화스위치를 OFF로 한 다음에 다시 ON으로 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적절한 초기상태에서의 운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설정온도 스위치로서 사용하여 설정치의 연속변경을 행하는 것에서는, 접점의 단락고장시라도 한번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하는 것만으로 설정온도를 적절한 소정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적절한 온도조화를 회피하여 쾌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조작패널을 확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어장치내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용 프로그램을 도시한 플로우차아트.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목표 차실내온도 설정스텝의 상승스위치 정보처리의 상세 플로우차아트.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목표 차실내온도 설정스텝의 하강스위치 정보처리의 상세 플로우차아트.
제6도는 제3도에 도시한 총합신호연산 스텝의 연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3 : 조작패널
2 : 공기조화장치 본체 3G : 하강스위치
3H : 상승스위치 4 : 제어장치

Claims (4)

  1.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용 조작패널과, 상기 모우멘터리식 스위치의 접점정보에 적어도 응답하여 공기조화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절장치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공기조화기 본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전원투입시에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그 판별수단에 의하여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판별된 경우에는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에 관계없이 상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소정의 초기제어상태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설정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상승스위치 및 하강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상태가 설정온도 조절범위의 대략 중앙의 설정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하여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판별된 후, 그 ON 상태로 되어 있는 모우멘터리식 스위치가 OFF상태로 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초기 제어상태를 해제하고, 그 모우멘터리식 스위치로부터의 접점정보에도 응답하여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가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9960059504A 1995-11-30 1996-11-29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209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34308 1995-11-30
JP7334308A JPH09150622A (ja) 1995-11-30 1995-11-30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73A KR970026073A (ko) 1997-06-24
KR100209014B1 true KR100209014B1 (ko) 1999-07-15

Family

ID=1827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504A KR100209014B1 (ko) 1995-11-30 1996-11-29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18120A (ko)
JP (1) JPH09150622A (ko)
KR (1) KR100209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907B2 (ja) * 1996-11-01 2004-07-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載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初期値設定処理装置
US6009355A (en) * 1997-01-28 1999-12-28 American Calcar Inc.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KR100294656B1 (ko) * 1998-10-14 2001-09-17 김이엽 배양기 내에서 직접배발생을 통한 가시오갈피 묘목의 미세 번식방법
GB2372113B (en) * 2000-07-28 2004-10-13 Kitz Corp Control system wi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facility control system
JP4138733B2 (ja) * 2004-01-18 2008-08-27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グリップヒ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7431642B2 (en) * 2005-04-04 2008-10-07 J. F. Meskill Enterprises, Llc Exhaust fan having a unitary molded housing
JP5272691B2 (ja) * 2008-12-04 2013-08-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2012096707A (ja) * 2010-11-04 2012-05-24 Denso Corp 車両用制御装置
KR101936633B1 (ko) * 2012-04-19 201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30468A (ja) * 2014-07-25 2016-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FR3059946B1 (fr) * 2016-12-14 2019-10-25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Ensemble electrique de commande de vehicule, element d'habillage interieur de vehicule et procede pour commander l'ensemble electriqu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7292A1 (de) * 1984-07-24 1986-01-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Heiz- und klimaanlage in kraftfahrzeugen
JPH0615291B2 (ja) * 1985-03-18 1994-03-02 株式会社ゼクセル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954946B2 (ja) * 1989-01-25 1999-09-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電装品制御装置
DE4041193A1 (de) * 1990-12-21 1992-07-02 Daimler Benz Ag Bedienungsgeraet fuer eine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es
JPH05118719A (ja) * 1991-10-15 1993-05-14 Sanden Corp 電動コンプレツサの回転数制御方法
JP3026475B2 (ja) * 1993-07-13 2000-03-27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装置、自動改札システム、無線通行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50622A (ja) 1997-06-10
KR970026073A (ko) 1997-06-24
US5718120A (en) 199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01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572628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風量制御装置
KR20070028937A (ko) 자동차의 정차시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JPS618911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1190520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201301362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808157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JP2518655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732171Y2 (ja) 車両用空調装置
JPS59160645A (ja) 車両窓ガラス外面の結露防止装置
JP2933146B2 (ja) 自動車用外気温度検出装置
KR20010017008A (ko) 차량의 공기 조화 제어 장치 및 방법
JP3571854B2 (ja) 車両用エアコンシステムの空調制御装置
KR202400801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0153146B1 (ko) 자동차의 실내온도 자동조절방법
JP2530206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H0629051Y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H01223013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H0550832A (ja) 自動車用外気温度検出装置
JP200237052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58514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512442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2163813A (ja) センサの異常診断機能を有する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20120062442A (ko) 포깅 방지용 내외기 흡입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H0620808B2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