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616B1 -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616B1
KR100208616B1 KR1019960076593A KR19960076593A KR100208616B1 KR 100208616 B1 KR100208616 B1 KR 100208616B1 KR 1019960076593 A KR1019960076593 A KR 1019960076593A KR 19960076593 A KR19960076593 A KR 19960076593A KR 100208616 B1 KR100208616 B1 KR 10020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ear
recliner
seat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319A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61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rotatab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쿠션에 일체로 결합된 제 1브라켓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손잡이의 회전시킴에 따라 바깥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작동부를 구비하고, 이 제 1브라켓과 힌지고정된 제 2브라켓에는 작동부의 회전궤적 내에 속기어를 형성하여서, 작동부가 회전토우크를 받아 회전되는 속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그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부의 기어부가 등받이와 결합된 브라켓에 형성된 속기어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작이 용이한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에는 등받이를 뒤쪽으로 젖혀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리클라이너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리클라이너는 쿠션의 양측 후단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그 상부에는 힌지구멍이 형성된 제 1브라켓과, 등받이의 하부 양단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이 힌지구멍에 힌지결합된 제 2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이 서로 힌지결합되면서 형성된 내부의 공간부에는 탄성지지를 받는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잠금과 해제가능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너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작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으며, 또한 레버를 이용한 방식으로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쿠션에 일체로 결합된 제 1브라켓에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손잡이의 회전시킴에 따라 바깥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작동부를 구비하고, 이 제 1브라켓과 힌지고정된 제 2브라켓에는 작동부의 회전궤적 내에 속기어를 형성하여서, 작동부가 회전토우크를 받아 회전되는 속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그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재 1브라켓11 : 손잡이부
12 : 작동부13 : 기어부
14 : 회전작동부15 : 손잡이몸체
16 : 자리면17, 17a, 25 : 설치구멍
20 : 제 2브라켓21 : 속기어
22 : 토션 바23 : 설치부
24 : 체결구멍100 : 쿠션
200 : 등받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탄성지지를 받는 손잡이부(11)의 회전으로 기어부(13)가 형성된 2개의 작동부(12)가 동일선상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쿠션(100)의 양측 후단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제 1브라켓(10)과, 이 제 1브라켓(10)과 나란하게 놓여져 있으면서 서로 접하는 일면에는 상기 기어부(13)가 최대로 작동된 지점을 통과하는 원주상에 속기어(21)가 형성되어 이 기어부(13)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서 등받이(2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 제 2브라켓(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 1브라켓(10)과 제 2브라켓(20) 사이에는 토션바(2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는 상기 제 1브라켓(10)의 일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중심선상을 지나는 자리면(16) 중앙에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작동부(14)와, 상기 제 1브라켓(10)의 다른 일면에 힌지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작동부(14)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손잡이몸체(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쿠션을, 200은 등받이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100)의 양측 후단에는 동일선상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동시에 작동가능하도록 작동부(12)가 구비된 제 1브라켓(10)을 설치하고, 상기 등받이(200)의 후부 양단에는 상기 작동부(12)의 기어부(13)가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속기어(21)가 구비된 제 2브라켓(20)을 설치하여서, 손잡이몸체(15)를 회전시킴에 따라 기어부(13)가 속기어(21)로부터 분리되면서 등받이(200)의 회전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제 1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제 1브라켓(1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의 돌출부가 돌출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윗면에는 그 중심을 지나면서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어서 자리면(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자리면(16)은 후술하는 제 2브라켓(20)이 하나로 조합되면서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자리면(16)에는 손잡이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부(11)를 움직임에 따라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가 잠금 및 해제작동을 하게 된다.
도면부호 11은 손잡이부를 나타낸다.
상기 손잡이부(11)는 상기 제 1브라켓(10)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서 그 끝단이 자리면(16)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손잡이몸체(15)와, 이 손잡이몸체(15)의 끝단에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고정된 회전작동부(1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부(1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심에는 상기 손잡이몸체(15)에 끼움설치가능하도록 설치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설치구멍(17)에는 회전작동부(14)가 손잡이몸체(15)에 체결고정된 후 동시에 연동가능하도록 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작동부(14)와 손잡이몸체(15)는 상기 키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키를 구비한 체결보울트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부(14)는 상기 자리면(16)의 중앙에 손잡이몸체(15)에 끼워져서 동시에 연동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손잡이몸체(15)의 작동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회전작동부(14)와 자리면(16)의 안쪽면에는 각각 탄성스프링의 끝단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의 회전작동부(14)는 장축이 상기 자리면(16)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작동부(14)는 항상 상기 작동부(12)를 바깥쪽으로 밀어 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 1브라켓(10)에는 상기 쿠션(100)에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 1브라켓(10)에 힌지고정된 제 2브라켓(20)이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바(2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구멍(1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회전작동부(14)의 외주면에는 상기 자리면(16)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에 각각 작동부(12)가 설치되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도면부호 12는 작동부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부(12)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2개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직육면체 부재의 일측 테두리에는 각각 기어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기어부(13)는 제 1브라켓(10)의 돌출부가 갖는 원형 형상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서, 후술하는 속기어(21)와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2개의 작동부(12)는 각각 상기 자리면(16)에 회전작동부(14)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기어부(13)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끼우게 되며, 이때 그 안쪽면은 각각 상기 회전작동부(14)의 장축 양단과 밀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12)는 회전작동부(14)의 장축부위의 양단에 각각 밀착되어서 기어부(13)가 자리면(16)의 바깥쪽으로 다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손잡이몸체(15)를 회전시킴에 회전작동부(14)도 연동되면서 점차 단축 부위가 작동부(12)와 밀착되어 이 작동부(12)는 자리면(16)의 안쪽으로 유입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20은 제 2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제 2브라켓(20)은 제 1브라켓(10)과 마찬가지로 얇은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2브라켓(20)의 일면에는 내부에 상기 자리면(16)이 형성된 제 1브라켓(10)의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설치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부(23)의 중앙에는 체결구멍(24)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특히, 상기 설치부(23)의 내주면에는 상기 기어부(13)와 치합가능하도록 속기어(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속기어(21)에는 상기 기어부(13)가 항상 치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제 2브라켓(20)은 상기 설치부(23)가 자리면(16)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키가 구비된 체결보울트를 체결구멍(24)에 끼워 회전작동부(14)가 끼워진 손잡이몸체(15)에 체결고정되며, 이때 이 체결보울트는 상기 제 2브라켓(20)의 회전중심이 된다.
또한, 상기 제 2브라켓(20)에는 설치구멍(25)이 관통성형되어 있으며, 이 설치구멍(25)에는 상기 제 1브라켓(10)의 설치구멍(17a)에 일단이 끼움고정된 토션 바(22)의 다른 일단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토션바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비틀림에 대하여 복원력을 갖는 봉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란하게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토션 바(22)는 상기 제 1브라켓(10)과 제 2브라켓(20)이 서로 밀착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조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끼워져 양단이 각각 상기 설치구멍(17a), (25)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제 2브라켓(20)이 회전됨에 따라 비틀림 모멘트를 저장하였다가 이 비틀림 모멘트를 이용하여 제 2브라켓(20)이 원래의 위치대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는 항상 탄성지지를 받는 회전작동부(14)의 장축의 양단부에 작동부(12)가 있기 때문에, 이 작동부(12)의 기어부(13)는 항상 속기어(21)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등받이(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손잡이몸체(14)를 회전시켜서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몸체(15)와 일체로 고정된 회전작동부(14)가 탄성력을 받으면서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12)는 회전작동부(14)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200)를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속기어(21)와 치합된 기어부(13)는 자리면(16)의 중심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기어부(13)와 속기어(21)의 물림이 해제되어 등받이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200)를 원하는 위치에 회전시킨 후 상기 손잡이몸체(15)를 놓게 되면 상술한 것과 같이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작동부(14)는 그 장축부위가 작동부(12)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12)는 자리면(16)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기어부(13)가 속기어(21)와 치합되어서, 상기 등받이(200)가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쿠션에 설치된 제 1브라켓의 회전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기어부와 제 2브라켓의 속기어가 선택적으로 치합과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탄성지지를 받는 손잡이부(11)의 회전으로 기어부(13)가 형성된 2개의 작동부(12)가 동일선상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쿠션(100)의 양측 후단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제 1브라켓(10)과, 이 제 1브라켓(10)과 나란하게 놓여져 있으면서 서로 접하는 일면에는 상기 기어부(13)가 최대로 작동된 지점을 통과하는 원주상에 속기어(21)가 형성되어 이 기어부(13)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서 등받이(2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 제 2브라켓(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0)과 제 2브라켓(20) 사이에는 토션바(2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는 상기 제 1브라켓(10)의 일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중심선상을 지나는 자리면(16) 중앙에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작동부(14)와, 상기 제 1브라켓(10)의 다른 일면에 힌지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작동부(14)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손잡이몸체(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960076593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020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93A KR100208616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93A KR100208616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19A KR19980057319A (ko) 1998-09-25
KR100208616B1 true KR100208616B1 (ko) 1999-07-15

Family

ID=1949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593A KR100208616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6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19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98B1 (ko) 기억 장치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EP0773132B1 (en) Seat reclining device
JP2653768B2 (ja) シート構造のための関節装置
JP3667271B2 (ja) 乗物用シートのヒンジ機構
EP1524146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WO2007043233A1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KR10020861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6488338B1 (en) Reclining mechanism for an automotive seat
JP4936361B2 (ja) 車両用シート等のロック付き操作装置
JPH07236547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2547881Y2 (ja) 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JPH0117006B2 (ko)
US4335917A (en) Reclining arrangement
JP2764138B2 (ja) 無段階調整式フリクシヨンブレーキ装置
JPH09217712A (ja) 自動車の座席用掛け金取付け具
KR20010034099A (ko) 운송 수단에 사용하기 위한 도난 방지 장치
KR0159747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JPH0515241Y2 (ko)
KR100187151B1 (ko)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리클라이너
JP410698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555185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301924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JP3913457B2 (ja) シート装置
KR10039810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크라이너
JPH04466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