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747B1 -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747B1
KR0159747B1 KR1019960014049A KR19960014049A KR0159747B1 KR 0159747 B1 KR0159747 B1 KR 0159747B1 KR 1019960014049 A KR1019960014049 A KR 1019960014049A KR 19960014049 A KR19960014049 A KR 19960014049A KR 0159747 B1 KR0159747 B1 KR 015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lever
bush
bracket
mai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739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6001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747B1/ko
Publication of KR97006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시스템의 조향핸들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티어링 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의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가 연결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에 사각 슬로트 홈을 형성하여 고정축과 함께 래치를 갖는 부시와 평 부시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로커를 갖는 레버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상기 래치와 레버에 설치되는 로커의 걸림 동작으로 스티어링 틸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공차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스티어링 틸트 장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틸트 장치 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메인 브라켓
12 : 스티어링 튜브 13 : 브라켓
14,14' : 슬로트홈 15 : 래치
16,16' : 부시 17 : 고정축
18 : 로커 19 : 레버
20 : 스프링 21 : 너트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시스템의 조향핸들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티어링 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의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가 연결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에 사각 슬로트 홈을 형성하여 고정축과 함께 래치를 갖는 부시와 평 부시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로커를 갖는 레버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상기 래치와 레버에 설치되는 로커의 걸림 동작으로 스티어링 틸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공차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타어링 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시 방향 전환을 위하여 조향장치를 사용하게 되고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동작하는 스티어링 튜브 및 샤프트와 스티어링 기어가 설치되어 링키지 및 유니버샬 조인트와 연계 동작하여 차량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핸들을 신체 조건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틸트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조향장치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를 보면 제1도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향 핸들(1)과 연결되며, 스티어링 샤프트(2)가 연결되는 스티어링 튜브(3)를 차체(4)에 메인 브라켓(5)으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 브라켓(5)의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3)가 연결되는 브라켓(6)을 미세한 틈새를 두고 설치하며, 상기 메인 브라켓(5)의 일측으로 회전축(7)과 함께 레버(8)를 회전 동작 가능하게 너트(9)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장치는 차량의 조향핸들(1)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조절 후 회전을 제저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브라켓(5)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8)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7)이 레버(8)와 함께 회전하면서 너트(9)와의 나선 동작에 의해 조여지거나 풀려지면서 마찰 고정 방식으로 틸트 장치를 로킹 해제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향핸들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장치는 레버(8)의 작동각이 작고, 이에 따라 동작하는 회전축(7)의 회전량의 적은 상태에서 틸트 장치를 로킹 해제시키므로 메인 브라켓(5)과 스티어링 튜브(3)에 연결되는 브라켓(6)의 틈새를 작게 관리하여 조립 제작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치수 관리에 어려움이 많아 조립 불량 발생이 많으며, 제품의 신뢰성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의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가 연결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에 사각 슬로트홈을 형성하여 고정축과 함께 래치를 갖는 부시와 평 부시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로커를 갖는 레버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상기 래치와 레버에 설치되는 로커의 걸림 동작으로 스티어링 틸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공차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틸트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써,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제3도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10)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11)의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12)가 연결되는 브라켓(13)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 브라켓(11)에 사각 슬로트홈(14)(14')을 형성하여 일측에는 래치(15)를 갖는 부시(16)를 타측에는 평 부시(16')를 결합하고, 상기 부시(16)(16')의 중심으로 고정축(17)을 결합 설치하며, 상기 고정축(17)의 일단에는 로커(18)를 갖는 레버(19)를 핀(22)과 힌지보스(22)(22')를 이용하여 스프링(20)으로 탄력 설치하며, 타측은 너트(21)로 체결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장착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17)일단에 설치되는 레버(19)가 스프링(20)의 반력에 의해 메인 브라켓(11)쪽으로 이동하여 있으면서 상기 레버(19)상의 로커(18)가 일측 부시(16)의 래치(15)에 걸려 틸트 장치를 로킹 시킨 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틸트 장치를 동작시켜 조향핸들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레버(19)를 일측으로 당기면 힌지핀(22)을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 (20)의 반력을 축적하면서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19)에 형성되어 있는 로커(18)가 함께 회전하여 메인 브라켓(11)상에 설치되는 부시(16)의 래치(15)에서 이탈하여 로킬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상태에서 레버(19)를 회전시켜 고정축(17)을 너트(21)에서 약간 풀어주게 되면 메인 브라켓(11)과 브라켓(13)사이에 틈새가 생겨 조향핸들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틸트 동작이 완료되면 레버(19)를 돌려 고정축(17)을 회전시켜 너트(21)와의 나선 동작으로 조여주면 메인 브라켓(11)과 브라켓(13)이 완전 밀착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당기고 있던 레버(19)를 놓아주면 스프링(20)의 반력에 의해 레버(19)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레버(19)상의 로커(18)가 부시(16)의 래치(15)에 걸려 풀림을 방지하여 주므로서 틸트 동작이 완료되고 로킹 상태를 유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겟을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가 연결되는 브라켓을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브라켓에 사각 슬로트 홈을 형성하여 고정축과 함께 래치를 갖는 부시와 평 부시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축의 일단에 로커를 갖는 레버를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여 상기 래치와 레버에 설치되는 로커의 걸림 동작으로 스티어링 틸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공차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 불량 발생과 풀림 현상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틸트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다.

Claims (1)

  1.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체 (10)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11)의 내측으로 스티어링 튜브(12)가 연결되는 브라켓(13)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 브라켓(11)에 사각 슬로트 홈(14)(14')을 형성하여 일측에는 래치(15)를 갖는 부시(16)를 타측에는 평 부시(16')를 결합하고, 상기 부시(16)(16')의 중심으로 고정축(17)을 결합 설치하며, 상기 고정축(17)의 일단에는 로커(18)를 갖는 레버(19)를 핀(22)과 힌지보스(22)(22')를 이용하여 스프링(20)으로 탄력 설치하며, 타측은 너트(21)로 체결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장치.
KR1019960014049A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KR015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049A KR0159747B1 (ko)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049A KR0159747B1 (ko)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739A KR970069739A (ko) 1997-11-07
KR0159747B1 true KR0159747B1 (ko) 1998-12-01

Family

ID=1945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049A KR0159747B1 (ko) 1996-04-30 1996-04-30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95B1 (ko) * 1998-11-26 2003-06-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조향축의 틸팅 잠금장치
KR100410472B1 (ko) * 2000-10-25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팅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739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6032A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unit for an automobile vehicle
US5590931A (en) Articulation having a memory of an adjustment position for a seat structure
KR100566646B1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CA2125624C (en) Quarter window opening/closing apparatus
KR0159747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US6902213B2 (en) Tail gate locking system
JPH08332917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取付け構造
JP3941474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固定装置
KR015974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US5636879A (en) Coupling structure between door lock and door lock-actuator
KR100516737B1 (ko)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JP3658870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0153072B1 (ko) 자동차용 전동틸트 컬럼
KR950009023Y1 (ko)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JP261129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90990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레버 록킹용 쐐기 구조
JP2696497B2 (ja) 簡易取付型仮錠装置
JP2544131Y2 (ja) ドアロック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0401880B1 (ko) 족동식 주차브레이크가 구비된 차량의 주차브레이크해제스위치와 후드래치 해제스위치의 설치구조
KR10020861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0159745B1 (ko) 튜브 없는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JPH063921Y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349250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용 복원스프링
JPH02249761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99034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의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