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737B1 -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737B1
KR100516737B1 KR10-2003-0088983A KR20030088983A KR100516737B1 KR 100516737 B1 KR100516737 B1 KR 100516737B1 KR 20030088983 A KR20030088983 A KR 20030088983A KR 100516737 B1 KR100516737 B1 KR 10051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ock lever
lever
rotation shaft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922A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7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록 레버(10)와 도어록 마운팅 아암(20)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30)에 상기 도어록 레버(10)가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30)에는 레버고정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록 레버(10)에는 상기 레버고정돌기가 가조립시 삽입되는 정지홈(12)과 조립완료시 삽입되는 안착홈(14)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30)의 단부에는 상기 도어록 레버(10)를 조립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키로드를 체결하기 전 상태의 도어록 레버의 위치와 체결한 후의 레버의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시에는 공구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조립후에는 레버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본래의 설계의도와 동일한 키의 작동방향을 구현하도록 함과 아울러 도난방지성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DOOR LOCK LEVER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록 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록을 조립하는 상태와 도어록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레버의 방향을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용 공구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아웃사이드 핸들 일체형 도어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1)을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2)에 가조립한 후에 핸들을 도어 아웃판넬에 장착하여 도어 래치(3)를 조립하며, 도어 래치(3)에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4)와 키로드(5)를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록의 마운팅 아암(6)의 구조와 도어록 레버(7)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는 핸들을 아웃판넬에 장착시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8)와 도어록 레버(7)가 서로 간섭이 발생되므로 체결작업이 어려웠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도어록 레버(7)의 설치방향을 마운팅 아암(6)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거나, 도어록을 여유각을 갖고 변경설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키의 록/언록 방향이 반대가 되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도어의 록킹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 전의 도어록 레버의 위치와 체결 후의 도어록 레버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시 도어록 레버가 공구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록 레버와 도어 록 마운팅 아암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에 상기 도어 록 레버가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에는 레버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록 레버에는 상기 레버고정돌기가 가조립시 삽입되는 정지홈과, 조립완료시 삽입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도어록 레버를 조립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끼워지는 E링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된 탄성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레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레버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록 레버(10)와 도어록 마운팅 아암(20)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30)에 유격을 형성하여 도어록 레버(10)가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0)의 소정 부위에는 레버고정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록 레버(10)에는 도어록 레버의 가조립상태에서 레버고정돌기(32)가 삽입되어 도어록 레버를 고정시키는 정지홈(12)과, 정지홈(12)의 일측에 도어록 레버의 조립이 완료시 도어록 레버가 안착되는 안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30)의 단부에는 도어록 레버(10)를 축방향에서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로서, 회전축의 단부에 끼워지는 E링(40)의 양단에서 탄성부(42)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에 의하면, 키로드를 체결하기 전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록 레버(10)를 공구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도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조립한다. 이때, 도어록 레버(10)는 회전축(30)의 레버고정돌기(32)가 정지홈(12)에 결합되어 도어록 레버(1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어록 레버가 공구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한 후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록 레버(1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키로드(5)를 체결하고 도어록 레버(10)에 가해져 있던 힘을 제거하면 도어록 레버(10)는 회전축(30)에 결합된 E링(40)의 탄성부(42)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장착되며, 이때, 회전축(30)의 레버고정돌기(32)는 도어록 레버(10)의 안착홈(14)에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에 의하면 키로드를 체결하기 전 상태의 도어록 레버의 위치와 체결한 후의 레버의 위치를 가변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시에는 공구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조립후에는 레버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본래의 설계의도와 동일한 키의 작동방향을 구현하도록 하고, 도난방지성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록 레버와 공구와의 간섭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레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레버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록 레버 12 ; 정지홈
14 ; 안착홈 20 ; 도어록 마운팅 아암
30 ; 회전축 32 ; 레버고정돌기
40 ; E 링 42 ; 탄성부

Claims (2)

  1. 도어록 레버(10)와 도어록 마운팅 아암(20)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30)에 상기 도어록 레버(10)가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30)에는 레버고정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록 레버(10)에는 상기 레버고정돌기가 가조립시 삽입되는 정지홈(12)과 조립완료시 삽입되는 안착홈(14)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30)의 단부에는 상기 도어록 레버(10)를 조립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30)의 단부에 끼워지는 E링(40)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된 탄성부(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KR10-2003-0088983A 2003-12-09 2003-12-09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KR10051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983A KR100516737B1 (ko) 2003-12-09 2003-12-09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983A KR100516737B1 (ko) 2003-12-09 2003-12-09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922A KR20050055922A (ko) 2005-06-14
KR100516737B1 true KR100516737B1 (ko) 2005-09-22

Family

ID=3725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983A KR100516737B1 (ko) 2003-12-09 2003-12-09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98B1 (ko) 2008-05-0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록의 링크레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98B1 (ko) 2008-05-02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록의 링크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922A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5174C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US20080178643A1 (en) Assembling method of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100566646B1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JP2972158B2 (ja) ロッキング装置
KR100516737B1 (ko) 자동차의 도어록 레버 체결 구조
KR100727187B1 (ko) 도어 래치
KR100655715B1 (ko) 차량용 잠금장치
JP2002537506A (ja) 施錠用回転動作及び施錠用並進動作が組み合わせられた鍵操作式ラッチ
KR0159747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틸트 장치
RU2760122C1 (ru) Замок с встроенной рычажной системой
KR100380171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키 실린더 판넬구조
JP3972284B2 (ja) キーシリンダの取付構造
JP3908959B2 (ja) 被操作部材のオープナー
JP2001323690A (ja) 車両ドアのシリンダ錠取付構造
KR100385515B1 (ko) 리어 와이퍼모터의 체결구조
JP2573696B2 (ja) 電気接続箱の車体等への取付構造
KR100462684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립구조
JP4573927B2 (ja) コンビスイッチ
KR100323437B1 (ko) 차량용 세프티 노브 어셈블리
KR100534427B1 (ko) 도어록의 회전 방지 구조
KR200451391Y1 (ko) 도어락의 회동구 조립체
JPH0219505Y2 (ko)
KR0136328B1 (ko) 자동차 도어록의 스트라이커
KR200146845Y1 (ko) 자동차의 도어용 키세트
JP2696497B2 (ja) 簡易取付型仮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