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440B1 - 플라이백트랜스 - Google Patents

플라이백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440B1
KR100207440B1 KR1019960002008A KR19960002008A KR100207440B1 KR 100207440 B1 KR100207440 B1 KR 100207440B1 KR 1019960002008 A KR1019960002008 A KR 1019960002008A KR 19960002008 A KR19960002008 A KR 19960002008A KR 100207440 B1 KR100207440 B1 KR 10020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oil
flyback transformer
final stag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502A (ko
Inventor
요시히코 스가와라
히데유키 모치다
Original Assignee
하시모토 야스고로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메디아 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토 야스고로,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메디아 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하시모토 야스고로
Publication of KR97002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외장케이스 및 주형(注型)수지로 절연되는 고가의 외부착 고압콘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교번전계(交番電界)를 저감할 수 있고, 그러므로 염가이고 고압절연을 도모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플라이백트랜스(flyback transformer)를 제공한다.
2차측 고압코일을 소정의 수로 분할하고, 각 분할코일의 권선종측에 각각 고압정류용 다이오드를 직렬로 접속하고, 최종단의 고압정류용 다이오드의 캐소드 측에 고압콘덴서를 접속한 플라이백트랜스에 있어서, 상기 2차측의 각 분할코일 중 최종단의 분할코일의 권선종단을, 상기 최종단의 고압정류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하나 앞의 분할코일의 권선종단에 접속하여, 그 최종단의 분할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연극성의 펄스를 상기 최종단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인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이백트랜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관한 플라이백트랜스(flyback transformer)의 회로도.
제2도는 그 플라이드백트랜스에 있어서의 역펄스발생용 고압코일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그 플라이백트랜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라이백트랜스에 있어서의 역펄스발생용 코일의 권선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관한 플라이백트랜스의 회로도.
제6도는 종래의 교번전계(交番電界)저감을 도모하는 플라이백트랜스의 회로도.
제7도는 그 플라이백트랜스에 있어서의 교번전계저감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도는 그 교번전계적감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그 플라이백트랜스에 사용되고 있던 외부착 고압콘덴서의 내부회로도.
제10도는 그 외부착 고압콘덴서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이백트랜스(FBT) 2 : 내장(內臟)고압콘덴서
3a∼3d : 고압정류(整流)다이오드 4 : 3차측 역펄스발생용 권선
6a∼6d : 고압코일 6e : 역펄스발생용 동상(同相)고압코일
7 : 편향요크 8 : 내장(內裝)흑연막
9 : 편향요크정전용량(靜電容量) 10 : 고압·편향회로
11 : 브라운관 12 : 패널투명도전막
13 : 패널투명도전막의 표면저항 14 : 패널투명도전막용량
15 : 역펄스발생용 동상고압코일의 애노드측 접속점
16 : 수평출력트랜지스터 17 : 1차측 고압코일
18 : 파형비교제어기 19 : 애노드캡
20 : 고압커넥터 21 : GND 단자
22 : 역펄스인가용 콘덴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브라운관을 사용한 디스플레이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플라이백트랜스(이하, FBT라고 약기함)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수상관의 표면 등으로부터 투과되는 교번전계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고가의 외부착 고압콘덴서를 생략할 수 있는 FBT에 관한 것이다.
제6도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모니터의 FBT에 있어서, 외부착 고압콘덴서를 사용하여 브라운관의 표면 등으로부터 투과되는 교번전계를 저감하는 회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종래방식은, 미합중국 특허명세서 제 5,218,27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명을 응용한 예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FBT, (2)는 내장고압콘덴서, (3)(3a, 3b, 3c, 3d)은 고압정류다이오드, (4)는 3차측의 역펄스발생용 권선, (5)는 외부착 고압콘덴서, (6)(6a, 6b, 6c, 6d)은 고압코일, (7)은 편향요크, (16)은 수평출력트랜지스터, (17)은 1차측 코일, (18)은 파형비교제어기이다.
제7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교번전계의 저감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8)은 내장흑연막, (9)는 편향요크의 정전용량, (10)은 고압편향회로, (11)은 브라운관이다.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교번전계저감시스템의 일예를 등가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2)는 패널투명도전막의 저항, (13)은 패널투명도전막의 표면저항, (14)는 패널투명도전막의 용량이다.
이 등가회로에서는, 다음의 동작에 따라서, 교번전계가 저감된다. 편향요크(7)를 구동하는 수평펄스 VDY(100Vpp)가 편향요크(7)의 정전용량(9)(60pF)을 통하여 브라운관(11)의 내장흑연막(8)에 인가되고, 그것에 의하여 펄스전압 VDY'을 발생한다. 펄스전압 VDY'은 패널투명도전막용량(14)과 패널투명도전막의 표면저항(13)에 의하여 임피던스분할된 번압 Vp이 패널투명도전막(12)에 발생하고, 교번전계(VLEF)의 발생원으로 되어 있다.
이 교번전계를 저감하는 일예로서, FBT(1)의 3차측에 접속된 역펄스발생용 권선(4)(제6도 참조)에서 얻어진 역펄스(-150Vpp)를 FBT(1)의 외부착 고압콘덴서(5)(용량 : CF= 200pF)를 통하여, 내장흑연막(8)에 인가하는 방법이 있다. 이로써, 내장흑연막(8)에 있어서, 펄스전압 VDY'이 역펄스 VF'로 캔슬되어, 교번전게 VDY'의 진폭이 저감된다.
이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식(1)으로 한다.
제9도는 외부착 고압콘덴서(5)의 외부회로도이고, 도면중의 (19)는 애노드캡, (20)은 고압커넥터, (21)은 그라운드단자이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이 종래기술에서는, FBT(1)의 외부착 고압콘덴서(5)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전압의 절연을 행하므로, 400 40 65정도의 큰 외장(外裝)케이스와, 다량의 주형(注型)수지(에폭시레진 등)가 필요하게 되어, 고가이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니터 내에서의 설치장소의 제약이 있고, 구조상 취급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고압접속이 필요하게 되므로, 고압접속부(고압커넥터(20))의 신뢰성확보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외장케이스 및 주형수지로 절연되는 고가의 외부착 고압콘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교번전계를 저감할 수 있고, 그러므로 염가로 또한 용이하게 고압절연을 도모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플라이백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차측 고압코일을 소정의 수로 분할하고, 각 코일마다 직렬로 고압정류용 다이오드를 배설하고, 최종단(最終段)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고압콘덴서를 접속한 플라이백트랜스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차측의 각 코일 중 최종단의 코일의 권선종단을, 상기 최종단의 고압정류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하나 앞의 코일의 권선종단에 접속하여, 그 최종단의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역극성의 펄스를 상기 최종단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인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교번전계와 등가적으로 동일 진폭으로 되는, 2차측의 동상고압코일을 역으로 접속하여 발생하는 펄스를 최종단 고압정류다이오드의 캐소드와, 내장고압콘덴서와의 접속단에 중첩함으로써, 교번전계의 진폭을 유효하게 저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장케이스 및 주형수지로 절연되는 고가의 외부착 고압콘덴서는 불필요하게 되어, 염가로 또한 용이하게 고압절연을 도모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제1구체예에 관한 FBT의 회로도이다.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소정수 분할된 고압코일(6a)∼(6d)의 권선종단(도면중에서·로 표시)에, 각각 고압정류용 다이오드(3a)∼(3d)가 접속되고, 그 외에 내장고압콘덴서(2)와, 고압코일(6a)∼(6d)과 동상의 역펄스발생코일(6e)이 접속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2차측 고압코일(6) 중 최종단의 코일은 역펄스발생코일(6e)로 되어 있고, 이 역펄스발생코일(6e)의 권선종단(도면 중에서·로 표시)이, 최종단의 고압정류용 다이오드(3d)를 통하여 하나 앞의 고압코일(6d)의 권선종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도는 이 역펄스발생코일(6e)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의 수평출력트랜지스터(16)의 콜렉터측에 발생하는 콜렉터펄스를 Vcp로 하고, 1차측 코일(17)의 권수(卷數)를 N1,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권수를 e2로 하면,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양단의 펄스파고치(波高値) eP는 다음 식(2)로 나타낸다.
제2도에 있어서,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양단의 펄스파고치 eP는 내장고압콘덴서용량 C1과, 브라운관용량 C2에 의하여 용량분담되고, 브라운관(11)의 양극점(陽極点)(1%)에 발생하는 펄스파고치 eX는 다음 식(3)으로 나타낸다.
단, 위 식(3)의 상수 K'는 역펄수발생용 코일(6e)의 권선위치나 주위의 코일간의 분포용량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한편, 제7도에 나타낸 교번전계저감시스템에 있어서, 내장흑연막(8)에 있어서의 교번전계 VDY'는 다음 식(4)로 나타낸다.
교번전계를 캔슬하기 위한 중첩하는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역펄스파고치 eX는 중첩되는 전하량이 -310E-8C와 동등하게 되도록 선택하고, 이것은 상기 식(3)의 내장고압콘덴서용량 C1, 브라운관용량 C2및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양단의 펄스파고치 eP에 의하여 결정한다.
내장고압콘덴서(2)의 용량을 고려하고,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권수 e2를 결정하고, 내장흑연막(8)에 역펄스 ex를 인가중첩함으로써 교번전계 VDY'의 진폭이 저감된다.
단,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권수 e2를 증가하면, 손실이 증가하므로, 내장고압콘덴서용량 C1, 브라운관용량 C2및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권수 e2의 결정에는, 이들의 값을 적당한 값으로 되도록 조합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손실을 억제하고 또한 교번전계의 캔슬이 가능하게 된다.
제1도의 구성에 있어서, 브라운관(11)은 구조상 한계의 용량이 있고, 내장고압콘덴서(2)는 브라운관용량을 보정하기 위하여 FBT(1)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다. 이 고압의 용량(브라운관용량 + 내장고압콘덴서용량)은 고압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고, 이 고압용량이 적으면 브라운관(11)의 화면상에서 휨 등의 현상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된다.
내장고압콘덴서(2)의 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인가할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펄스파고치 eP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용량을 크게 하면 파고치 eP는 높아지고, 용량을 작게 하면 파고치 eP는 낮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역펄스를 브라운관 양극(陽極)전극에 인가하는 역할의 용량기능과, 상기 고압안정화를 위한 브라운관용량기능의 양쪽을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는 FBT(1)의 내부에 있어서의 코일권선위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압코일(6a∼6d)이 순차 감기고,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이 그들 고압코일(6a∼6d)에 대하여 대략 중앙부에 감겨져 있다.
제4도는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을 고압코일(6a∼6d)에 대하여 한쪽의 단부에 감은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역펄스가 발생하고,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고압정류다이오드(3)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역펄스발생용 코일(6e)의 권장(卷裝)위치는 제3도에 나타낸 위치의 쪽이 코일 양끝의 인출선(도시하지 않음)과 하측 코일(6d)과의 전위차가 제4도의 경우의 약 1/2로 되어, 절연구성상 유리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펄스인가용 콘덴서(22)와 내장고압콘덴서(2)를 분리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구체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번전계와 등가적 동일 진폭으로 되는 2차측과 동상의 고압코일을 역으로 접속하여 얻어지는 역펄스를 최종단 다이오드의 캐소드측과, 내장고압콘덴서의 양극척의 접속단에 중첩함으로써, 브라운관의 내장흑연막에 유기(誘起)하고 있는 편향요크의 수평펄스를 캔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장케이스 및 주형수지로 절연된 고가의 외부착 고압콘덴서가 불필요하게 되어, 염가이고 절연적으로도 고압부가 에폭시레진에 의하여 일체 절연되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구조상 취급하기 용이한 플라이백트랜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2차측 고압코일을 소정의 수로 분할하고, 각 분할코일의 권선종측에 각각 고압정류용 다이오드를 직렬로 접속하고, 최종단의 고압정류용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고압콘덴서를 접속한 플라이백트랜스에 있어서, 상기 2차측의 각 분할코일 중 최종단의 분할코일의 권선종단을, 상기 최종단의 고압정류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하나 앞의 분할코일의 권선종단에 접속하여, 그 최종단의 분할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연극성의 펄스를 상기 최종단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인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트랜스.
KR1019960002008A 1995-10-31 1996-01-30 플라이백트랜스 KR100207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3602 1995-10-31
JP28360295A JP3609174B2 (ja) 1995-10-31 1995-10-31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1995-283602 1995-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502A KR970023502A (ko) 1997-05-30
KR100207440B1 true KR100207440B1 (ko) 1999-07-15

Family

ID=1766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008A KR100207440B1 (ko) 1995-10-31 1996-01-30 플라이백트랜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28557A (ko)
JP (1) JP3609174B2 (ko)
KR (1) KR100207440B1 (ko)
CN (1) CN1075662C (ko)
TW (1) TW3042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4983B1 (en) 1999-11-16 2002-02-05 Motorola, Inc. Flyback transformer regulator
JP2002075764A (ja) * 2000-08-31 2002-03-15 Murata Mfg Co Ltd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US6567283B2 (en) 2001-03-30 2003-05-20 Youtility Inc. Enhanced conduction angle power factor correction topology
US20030039226A1 (en) * 2001-08-24 2003-02-27 Kwak Joseph A. Physical layer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CN115333381B (zh) * 2022-10-12 2023-01-20 深圳市恒运昌真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刻蚀机的高压硅片吸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008A (ja) * 1985-01-23 1986-07-31 Murata Mfg Co Ltd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GB8807209D0 (en) * 1988-03-25 1988-04-27 Rca Licensing Corp Reduction of flyback transformer ringing
US5043598A (en) * 1988-09-20 1991-08-27 Tdk Corporation High voltage supply having a voltage stabilizer
FI90598C (fi) * 1991-02-07 1994-02-25 Nokia Display Products Oy Menetelmä ja kytkentä katodisädeputken aiheuttaman haitallisen säteilyn pienentämiseksi
JP2809923B2 (ja) * 1992-02-17 1998-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US5394067A (en) * 1992-03-27 1995-02-28 Discom Inc. Regulated high DC voltage supply
US5428272A (en) * 1993-09-03 1995-06-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oltage regulator for CRT electrode supply
KR0164952B1 (ko) * 1995-08-28 1999-01-15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플라이백 트랜스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28557A (en) 1998-10-27
JPH09129462A (ja) 1997-05-16
TW304270B (ko) 1997-05-01
KR970023502A (ko) 1997-05-30
CN1149749A (zh) 1997-05-14
CN1075662C (zh) 2001-11-28
JP3609174B2 (ja)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6719A (en) High voltage generator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0207440B1 (ko) 플라이백트랜스
US6373203B1 (en) Diode-split high-voltage transformer
KR0180639B1 (ko) 플라이백트랜스
US4841201A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lyback transformer constructed to control leakage currents
JP3280965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高圧トランス
KR100272041B1 (ko) 음극선관장치
JPS62268365A (ja) ダイオ−ド分割方式の高圧変圧器
JP3749774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
JPH09213552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3749771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3116586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CN1167254C (zh) 显示监视器
JPH08316071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装置
JPH1050538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3749770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
JPH0422605Y2 (ko)
JPH1050539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634578B2 (ja) 高電圧発生装置
JPH0340926B2 (ko)
JPH07169629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CN1259747A (zh) 二极管分压高压变压器
MXPA00000328A (en) Diode-split high-voltage transformer
JPS63234870A (ja) 高電圧発生装置
JPH02156612A (ja) 高圧発生用トラ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