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972B1 -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972B1
KR100204972B1 KR1019960706711A KR19960706711A KR100204972B1 KR 100204972 B1 KR100204972 B1 KR 100204972B1 KR 1019960706711 A KR1019960706711 A KR 1019960706711A KR 19960706711 A KR19960706711 A KR 19960706711A KR 100204972 B1 KR100204972 B1 KR 10020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ing air
annular
electro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203A (ko
Inventor
신이치 다카야마
다케히도 가쓰누마
Original Assignee
스즈키 이사무
에이비비인더스트리 가부시기가이샤
라붸린도베르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이사무, 에이비비인더스트리 가부시기가이샤, 라붸린도베르,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이사무
Publication of KR97070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53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e.g. charging power
    • B05B5/0533Electr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0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5/0407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26Means for supplying shap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회전무화두형(回轉霧化頭型) 도장장치에 있어서, 셰이핑에어링(shaping air ring)과 수지커버에 도료미스트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셰이핑에어링(21)을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링(220과, 절연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주측 링(23)과, 이들 각 링(22), (23)의 선단측에 배설된 에어분출구(24)와로 구성한다. 내주측 링(22)의 기단부(基端部)(22A)는 에어모터(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내주측 링(22)의 선단부(22B)를 환상(環狀) 반발전극(25)으로서 구성한다. 환상반발전극(25)에 의하여 강한 플라즈마방전을 일으키고,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을 흡인하고, 마이너스로 대전(帶電)한 도료입자와 마이너스이온의 구름과를 동극반전(同極反轉)시켜서, 셰이핑에어링(21)에 도료가 부착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일반적으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는, 회전무화두를 고속회전하는 동시에, 피도물(被塗物)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이 회전무화두에 도료를 공급하여 회전무화하고, 무화된 대전도료입자를 축방향 전방에 있는 피도물과의 사이에 형성된 정전계(靜電界)에 따라서 이 피도물에 비행도착(飛行塗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로서, 도 11에 따라서 간접 대전방식의 도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중, (1)은 래시프로케이터(reciprocator) (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도장기(塗裝機)본체를 나타내고, 이 도장기본체(1)내에는, 에어베어베어링(2A), 구동부(2B)로 이루어지는 금속재료 등의 에어모터(2)와, 도료밸브, 덤프밸브 등의 밸브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고, 상기 도장기본체(1)의 외주는 수지커버(3)에 의하여 덮여 있다. 그리고, 에어모터(2)는 케이블(2C)을 통하여 어스에 접지(接地)되어 있다. 또, 상기 수지커버(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마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수지재료의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4)는 에어모터(2)의 에어베어링(2A)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회전축을 나타내고, 이 회전축(4)의 선단은 도장기본체(1) 밖으로 돌출하고, 그 기단측(基端側)은 에어모터(2)의 구동부(2B)에 장착되어, 이 에어모터(2)에 의하여 고속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5)는 회전축(4)의 선단에 배설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벨형의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5)는 컵형의 외주면(5A)과, 내주측의 도료평활면(5B)과, 선단측의 도료방출단에지(5C)로 이루어져 있다.
(6)은 회전축(4)내에 삽통하여 배설된 센터피드식의 도료공급관을 나타내고, 이 도료공급관(6)의 선단은 회전무화두(5)내에 향하여 연재하고, 그 기단측에는 도료밸브가 배설되고, 이 도료밸브는 도료파이프를 통하여 도료탱크(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7)은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수지커버(3)의 선단부에 나착(螺着)된 셰이핑에어링(shaping air ring)을 나타내고, 이 세이핑에어링(7)은 상기 회전무화두(5)의 후측에 위치하여 외주면(5A)을 덮도록 하여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이 셰이핑에어링(7)은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측 링(8)과, 이 내주측 링(8)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동일하게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외주측 링(9)으로 이루어지고, 이 링(8), (9)사이의 선단측에는 환상(環狀)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분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에어분출구(10)로부터는 화살표 A방향으로 셰이핑에어를 분출하여 공기류(空氣流)를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수지커버(3)에 대하여 외주측 링(9)을 장착함으로써, 내주측 링(8)은 에어모터(2)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내주측 링(8)과 외주측 링(9)은,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술파이드(PP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수지재료가 사용된다.
(11), (11), …은 수지커버(3)의 경방향 외측에서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예를 들면 6개가 등거리로 이간하여 배설된 외부 전극 (2개만 도시)이고, 이 각 외부전극(11)에는, 상기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분무되는 도료입자를 대전하도록 외부의 고전압발생장치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고전압 (예를 들면, -60∼-90kV)이 인가된다.
그리고, 에어모터(2)는 케이블(2C)을 통하여 어스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에어모터(2), 회전축(4) 및 회전무화두(5)는 동어스전위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에 있어서는, 각 외부전극(11)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이 각 외부전극(11)과 어스전위로 되는 회전무화두(5)와의 사이, 및 이 각 외부전극(11)과 피도물(도시하지 않음)과의 사이에는 전기력선에 의한 정전계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각 외부전극(11)에는, 예를 들면, -60∼-90kV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이 각 외부전극(11)의 선단 근방은 마이너스의 이온 화권역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장기본체(1)의 에어모터(2)에 의하여 회전축(4) 및 회전무화두(5)를 고속회전시키고, 도료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도료공급관(6)을 통하여 회전무화두(5)에 도료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회전무화두(5)에 공급된 도료는, 이 회전무화두(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하여 도료평활면(5B)에 얇은 필름형으로 퍼지면서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날아나올 때에, 도료는 필름형으로부터 액사(液絲)로 되고, 다시 액사로부터 입자로 미립화된다.
또한 이 미립화된 도료입자는, 각 외부전극(11)의 전방에 형성된 이온화권역에 있어서 고전압으로 대전되고, 이 대전입자는 어스에 접속된 피도물에 향하여 비행하여, 이 피도물의 표면에 도착(塗着)된다.
또, 회전무화두(5)는 고속회전하고 있으므로, 원심력에 의하여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방출되는 도료입자는 경방향 외측으로 날으려고 한다. 그러나, 셰이핑에어링(7)의 에어분출구(10)로부터 화살표 A방향으로 분출하는 셰이핑에어에 의하여,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방출된 도료입자는 전방에 향하여 교축되도록 패턴정형(整形)된다.
그런데, 전술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한 도료입자에 의하여 도장기본체(1)가 오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하여, 회전무화두(5)를 제외한 부분을 셰이핑에어링(7)과 수지커버(3)등의 절연수지재료로 덮고 있다. 즉, 각 외부전극(11)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셰이핑에어링(7)과 수지커버(3)에는, 각 외부전극(11)에 의하여 형성된 마이너스이온의 영향으로, 마이너스의 전하가 대전된다. 그리고, 셰이핑에어링(7)과 수지커버(3)에 대전한 마이너스이온은, 마이너스로 대전한 도료입자와의 동극반발(同極反發)에 의하여, 상기 수지커버(3), 셰이핑에어링(7)에 도료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외부전극(11)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회전무화두(5)를 고속회전시키면서 도장을 개시하면 도장개시 5분 후 (도 12), 도장개시 10분 후 (도 13), 도장개시 15분 후 (도 14)에 있어서, 셰이핑에어링(7)에 미스트로 되어 부유(浮遊)하고 있는 도료입자 P가 부착하여, 이 셰이핑에어링(7)이 오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대전도료입자에 의한 오손에 대하여 검토하건대, 회전무화두(5)와 셰이핑에어링(7)과의 전위관게에 대하여 보면, 절연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셰이핑에어링(7)은 당해 절연수지를 통하여 어스에 접지된 에어모터(2)에 접촉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대하여, 회전무화두(5)는 금소재료로 이루어지는 회전축(4)과 에어모터(2)를 통하여 직접 어스에 접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마이너스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외부전극(11)으로부터 보면 셰이핑에어링(7)은 어스에 접지된 회전무화두(5)보다 전기적으로 플러스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회전무화두(5)와 각 외부전극(11)과의 사이에 생기는 전위차의 쪽이, 셰이핑에어링(7)과 각 외부전극(11)과의 사이에 생기는 전위차보다 커진다. 따라서,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에서는 강하고 큰 플러스방전이 새어기고, 셰이핑에어링(7)의 선단부에서는 약하고 작은 플러스방정이 생긴다고 생각된다.
이 결과, 각 외부전극(11)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이너스이온은, 플러스방전에 흡착되도록 끌어당겨지고, 도료방출단에지(5C)에서는 크고 두꺼운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이 발생하고, 셰이핑에어링(7)의 선단부에서는 작고 얇은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이 발생한다. 또한, 셰이핑에어링(7)(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구름은, 플러스방전도 매우 작고, 또한 이 셰이핑에어링(7)으로부터 셰이핑에어가 분출되고 있는 것도 합치면, 이 셰이핑에어링(7)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은 매우 희박하게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분무된 도료입자는, 각 외부전극(11)에 의한 이온화권역을 통과하는 동안에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이 대전 도료입자는 어스(외부전극(11)으로부터 보면 플러스경향)에 있는 피도물에 향하여 비행도착된다. 그러나, 일부의 도료입자는, 회전무화두(5)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한 와류(過流)에 의하여 셰이핑에어링(7)의 후방으로부터 선단바어향으로 향하여 흐르게 된다. 이 때, 셰이핑에어링(7)의 선단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미소한 플러스방전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그 주위의 마이너스이온은 저감하여 희박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전극(11)에 의하여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부유하고 있는 도료입자(도료미스트)는, 이 마이너스이온에 반발하지 않고, 역으로 플러스방전에 흡인되어 셰이핑에어링(7)의 선단부에 부착하여, 이 셰이핑에어링(7)을 오손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셰이핑에어링(7)에 부착한 도료 P에 의한 오염은 도 12∼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고, 이들의 도면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회전무화두(5)의 중심점과 각 외부전극(11)과를 잇는 선과 선과의 사이 (1점 쇄선으로 도시)의 셰이핑에어링(7)상에서, 특히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이유는, 6개의 외부전극(11)의 배치관계로부터 플러스방전은 회전무화두(5)의 중심점과 각 외부전극(11)과를 잇는 선상에서 크고, 선 사이에서 작아진다. 따라서, 도료 P에 의한 오염은, 먼저 선사이의 선단측으로부터 일어나기 시작하여, 이 오염은 방사상(放射狀)으로 수지커버(3)에 향하여 퍼져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은 셰이핑에어링이 도료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계(水系) 도료 또는 메탈릭계 도료 등의 저저항 도료에 사용하여 적합한 간접대전(帶電)방식에 의한 회전무화두형(回轉霧化頭型)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제1의 실시에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회전무화두를 제외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회전무화두를 제외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5도는 제3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4의 실시에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6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7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8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1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12도는 도장개시 5분 후에 셰이핑에어링에 오염이 발생한 상태를 회전무화두를 제외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3도는 도장개시 10분 후에 셰이핑에어링에 오염이 발생한 상태를 회전무화두를 제외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4도는 도장개시 15분 후에 셰이핑에어링에 오염이 발생한 상태를 회전무화두를 제외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측이 수지커버로 덮인 도장기본체와, 이 도장기본체내에 배설되고, 어스전위로 유지된 에어모터와, 상기 도장기본체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이 에어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이 도료방출단에지로 된 회전무화두와, 이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이 회전무화두의 외주측을 덮도록 상기 도장기본체의 선단측에 배설되고, 에어분출구로부터 셰이핑에어를 분출하는 셰이핑에어링과, 상기 도장기본체의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배설되고, 상기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로부터 분무되는 도료입자를 대전하도록 외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외부전극과로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의 초소한 일부를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고, 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위의 최소한 일부를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환상 반발전극은 에어모터를 통하여 어스에 직접 접지되고, 플러스방전은 도료방출단에지보다 환상 반발전극측에서 커진다. 이로써, 외부전극에 의하여 발생한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은 셰이핑에어링측의 플러스방전에 흐버인되고, 마이너스로 대전된 도료입자와 마이너스이온의 구름과는 동극반발하여, 셰이핑에어링에 도료가 부착하여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내주측 링과, 이 내주측 링의 외주를 덮도록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외주측 링과로 구성하고, 에어분출구는 내주측 링과 외주측 링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내주측 링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선단측에 상기 에어분출구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링을 배설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도전성 링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에어분출구가 배설된 평탄한 앞면부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링을 배설하고, 환상 반발전극은 셰이핑에어링의 앞면부에 이 도전성 링과는 별개부재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환상 반발전극을 상기 도전성 링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셰이핑에어링을, 전술한 각 구체적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에어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셰이핑에어에 의하여, 환상 반발전극에 흡인된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을 회전무화두의 외주측에 반송할 수 있고, 이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로부터 방출되는 도료입자를 용이하게 마이너스로 대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환상 반발전극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의 금속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환상 반발전극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수지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셰이핑에어링은,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도전성 막을 성막하고, 이 도전성 막의 최소한 일부를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내주측 링과, 이 내주측 링의 외주를 덮도록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외주측 링과로 구성하고, 에어분출구는 내주측 링과 외주측 링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막은 내주측 링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성막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도전성 막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에어분출구가 배설된 평탄한 앞면부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막은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으로부터 앞면부에 걸쳐서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성막하고, 이 도전성 막의 선단측을 상기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회전무화두의 외주면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環狀體)로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도 10에 따라서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본 발명에 의한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중, (21)은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수지커버(3)의 선단부에 나착된 본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을 나타내고, 이 셰이핑에어링(21)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셰이핑에어링(7)의 대신에, 회전무화두(5)의 후측에 위치하여 외주면(5A)을 덮도록 하여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셰이핑에어링(21)은, 예를 들면, 구리, 스테인레스스틸,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측 링(22)과, 이 내주측 링(22)의 외주를 덮도록 배설되고,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술파이드(PP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에케르케톤(PEEK)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외주측 링(23)과, 이 링(22), (23)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셰이핑에어를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향하여 분출하는 환상의 에어분출구(24)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내주측 링(22)의 기단부(22A)는 에어모터(2)의 외주측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어스에 접지되어 있다.
(25)는 상기 내주측 링(22)의 선단부(22B)에 위치하여 배설된 환상 반발전극이고, 이 환상 반발전극(25)은 회전무화두(5)의 외주면(5A)의 외측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로서, 내주측 링(22)과 일체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에 있어서도,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도장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셰이핑에어링(21)의 내주측 링(22)을 금속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내주측 링(22)의 기단부(22A)를 에어모터(21)를 통하여 직접 어스에 접지할 수 있고, 그 선단부(22B)를 환상 반발전극(25)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5)도 회전축(4), 에어모터(2)를 통하여 직접 어스에 접지되어 있으므로, 셰이핑에어링(21)의 환상 반발전극(25)과회전무화두(5)와는 동전위(어스)로 된다.
또, 외부전극(11)은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외부전극(11)고 환상 반발전극(25)까지의 거리는, 외부전극(11)과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그러므로, 플러스방전은 외부전극(11)에 가까운 쪽이 커지고, 환상 반발전극(25)에서 발생하는 플러스방전이 도료방출단에지(5C)에서 발생하는 플러스방전보다 커진다. 이로써, 각 외부전극(11)에 의하여 발생한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은, 플러스방전이 큰 환상 반발전극(25)측에 흡인되어, 이 환상 반발전극(25) 부근에서 크고 두껍게 존재한다.
이 결과,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방출되어 각 외부전극(11)에 의한 고전압에 의하여 마이너스의 전하로 대전한 도료입자는, 환상 반발전극(25) 부근에 위치한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에 의하여 동극 반발을 일으키고, 이 대전도료입자가 셰이핑에어링(21)에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셰이핑에어링(21)은 내주측 링(22)의 외주측을 절연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주측 링(23)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내주측 링(22)과 각 외부전극(11)과의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셰이핑에어링(21)의 환상 반발 전극(25)과 각 외부전극(11)과의 단락(短絡)을 방지하고, 이 환상 반발전극(25)에 있어서의 플러스방전을 억제할 수 있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셰이핑에어링(21)의 에오분출구(24)로부터 분출되는 셰이핑에어는, 환상 반발전극(25) 부근에 대량으로 흡인된 마이너스이온을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로부터 방출되는 도료입자를, 반송되어 온 마이너스이온에 의하여 확실하게 대전시킬 수 있고, 피도 물에 대한 도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리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21)에서는, 그 내주측 링(22)을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그 선단측을 환상 반발전극(25)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셰이핑에어링(21)의 선단부에 위치한 환상 반발전극(25)은, 플러스방전을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이 플러스방전에 의하여 흡인되는 마이너스이온의 구름과 마이너스의 대전도료입자에 의하여 동극반발을 일으키고, 셰이핑에어링(21) 및 수지커버(3)에 미스토로 된 도료입자가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세이핑에어링을 단일의 부재로 구성하고, 그 선단부에 복수개의 에어분출구를 형성하고, 내주측에 배설한 도전링의 선단을 환상 반발전극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중, (31)은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21)의 대신에 배설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을 나타내고, 이 셰이핑에어링(31)은,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수지커버(3)의 선단부에 나착함으로써, 회전무화두(5)의 후측에 위치하여 외주면(5A)을 덮도록 하여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셰이핑에어링(31)은,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술파이드(PP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평탄한 앞면부(32A)를 가지는 단면 J자형의 링으로서 형성된 링본체(32)와, 이 링본체 (32)의 앞면부(32A)에 환상르로 위치하고, 셰이핑에어링를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향하여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출구(33), (33), …로 이루어져 있다.
(34)는 상기 링본체(32)의 내주측에 일체로 주입(鑄入)하도록 형성한 도전성링이고, 이 도전성 링(34)은, 예를 들면, 구리,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성 링(34)은, 그 기단부(34A)가 에어모터(2)의 외주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선단부(34B)가 셰이핑에어링(31)의 앞면부(32A)까지 연재되어 있다.
(35)는 셰이핑에어링(31)의 도전성 링(34)의 선단부(34B)에 위치하여 배설된 환상 반발전극이고, 이 환상 반발전극(35)은 회전무화두(5)의 외주면(5A)의 외주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로서, 도전성 링(34)과 일체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의 셰이핑에어링(31)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과 마찬가지로, 환상 반발전극(35)에의한 플러스방전을 회전무화두(5)의 도료방출단에지(5C)에서의 플러스방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환상 반발전극(35)의 플러스방전에 의하여 흡인되는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을 크고 두껍게 하여 이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에 마이너스의 대전도료입자가 반발함으로써, 셰이핑에어링(31)에 이 대전도료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분출구(33)로부터의 셰이핑에어를 분출하고 있으므로, 셰이핑에어에 의하여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마이너스이온을 이동시켜서, 이 회전무화두(5)에서 무화시킨 도료입자에 대전시킴으로써, 피도물에 대한 도착효율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도5는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앞면부에 에어분출구를 가지는 셰이핑에어링을 단일의 부재로 구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 도전성 링을 배설하는 동시에, 앞면부에 이 도전성 링과 접속된 별개부재의 환상 반발전극을 배설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중, (41)은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을 나타내고, 이 셰이핑에어링(41)은,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31)과 동일한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평탄한 앞면부(42A)를 가지는 단면 J자형의 링으로서 형성된 링본체(42)와, 이 링본체(42)의 앞면부(42A)에 환상으로 위치하고, 셰이핑에어를 회전무화두(5)의 외주면에 향하여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출구(43), (43), …로 구성되어 있다.
(44)는 링본체(32)의 내주측에 일체로 주입(鑄入)하도록 형성한 도전성 링이고, 이 도전성 링(44)은, 예를 들면, 구리,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링(44)은 그 기단부(44A)가 에어모터(2)의 외주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다.
(45)는 링본체(42)의 앞면부(42A)에 도전성 링(44)과 별개부재로 배설된 환상 반발전극이고, 이 환상 반발전극(45)은 회전무화두(5)의 외주면(5A)의 외측 근방을 에워싸서 평판형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45)은 도전성 링(44)의 선단부(44B)와 접속되고, 이 도전성 링(44)을 통하여 에어모터(2)와 접속하고, 어스전위로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41)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링본체(42)의 앞면부(42A)에 적극적으로 도전성 링(44)과 도통하는 환상 반발전극(45)을 배설하였으므로, 이 환상 반발전극(45)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강한 플러스 방전을 발생할 수 있어, 셰이핑에어링(41)에 부착하는 도료입자를 한층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제6도, 제7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4, 제5,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4∼제6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제3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대시)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제6도에 나타낸 제4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21')은,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21)에서 사용한 내주측 링(22)에 대신하여 도전성 수지재료에 의하여 내주측 링(22')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이 내주측 링(22')의 기단부(22A')는 에어모터(2)의 외주측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선단부(22B')는 환상 반발전극(25')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주측 링(22')을 이루는 도전성 수지재료는, 전술한 수지재료에 금속섬유, 금속분 등을 혼련하여, 도전성을 부여한 것이고, 금속재료에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또, 제7도에 나타낸 제5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31')은, 전술한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31)에서 사용한 금속재료의 도전성 링(34)에 대신하여, 도전성 수지재료를 사용한 도전성 링(34')을 형성한 것에 있다.
또, 제8도에 나타낸 제6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41')은, 전술한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41)에서 사용한 금속재료의 도전성 링(44)에 대신하여, 도전성 수지재료를 사용한 도전성 링(44')을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4∼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셰이핑에어링(21'), (31'), (41')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4~제3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셰이핑에어링(21'), (31'), (41')은 절연수지재료와 도전성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일체형성 할 수 있고, 제조효율을 높이고, 제1∼제3의 실시예에 비하여 코스트저감을 대폭으로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셰이핑에어링을 단일의 부재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 도전성 막을 성막하고, 이 도전성 막의 선단측을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중, (5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을 나타내고, 이 셰이핑에어링(51)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셰이핑에어링(7)과 동일한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측 링(52)과 이 내주측 링(52)의 외주를 덮도록 동일하게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외주측 링(53)과, 이 링(52), (53) 사이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셰이핑에어를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향하여 분출하는 환상의 에어분출구(54)와로 구성되어 있다.
(55)는 내주측 링(52)의 내주면의 대략 전주(全周)에 걸쳐서, 예를 들면 도전성 도료 등을 도표하여 막성형된 도전성 막을 나타내고, 이 도전성 막(55)은, 기단부(55A)가 에어모터(2)의 외주측과 접촉하여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선단부(55B)가 내주측 링(52)의 앞면으로부터 에어분출구(54)의 근방까지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막(55)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분, 알루미늄분, 카본, 산화금속 등을 혼련한 도전성 도료가 사용된다.
(56)은 상기 도전성 막(55)의 선단부(55B)에 위치하여 배설된 환상 반발전극이고, 이 환상 반발전극(56)은 회전무화두(5)의 외주면(5A)의 외주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로서,도전성 막(55)과 일체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너스의 전하로 대전한 도료는, 환상 반발전극(55) 부근에 있는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에 의하여 동극반발을 일으키고, 이 대전도료입자가 셰이핑에어링(51)에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셰이핑에어링(51)의 에어분출구(54)로부터 분출되는 셰이핑에어는, 환상반발전극(56)의 근방에 대량으로 흡인된 마이너스이온을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무화두(5)로부터 방출되는 도료입자를, 반송되어 온 마이너스이온에 의하여 확실하게 대전시킬 수 있고, 피도물에 대한 도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막(55)은 내주측 링(52)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성막할 수 있으므로, 막형성공정과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또한 막두께에 상응한 임의의 전기전도도 또는 저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8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의 특징은, 셰이핑에어링을 단일의 부재로 구성하고, 그 선단측에 형성되는 에어분출구를 복수개의 에어분출구로 하고, 내주측에 배설한 도전성 막의 선단측을 환상 반발전극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싱메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중, (6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셰이핑에어링을 나타내고, 이 셰이핑에어링(61)은,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수지커버(3)의 선단부에 나착함으로써, 회전무화구(5)의 후측에 위치하여 외주면(5A)을 덮도록 하여 도장기본체(1)의 선단측에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셰이핑에어링(61)은,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평탄한 앞면부(62A)를 가지는 단면 J자형의 링으로서 형성된 링본체(62)와, 이 링본체(62)의 앞면부(62A)에 환상으로 위치하고, 셰이핑에어를 회전무화두(5)의 외주측에 향하여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출구(63), (63), …로 이루어져 있다.
(64)는 링본체(62)의 내주면의 대략 전주에 걸쳐서, 예를 들면 도전성 도료등을 도포하여 막성형된 도전성 막을 나타내고, 이 도전성 막(64)은, 기단부(64A)가 에어모터(2)의 외주측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선단부(64B)가 링본체(62)의 앞면부(62A)까지 연재되어 있다.
(65)는 상기 도전성 막(64)의 선단부(64B)에 위치하여 배설된 환상 반발전극이고, 이 환상 반발전극(65)은 회전무화두(5)의 외주면(5A)의 외주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로서, 도전성 막(64)과 일체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에는 이와 같이 구성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셰이핑에어링의 최소한 일부를 도전성 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위의 최소한 일부를 환상 반발전극으로 함으로써, 플러스방전은 도료방출단에지보다 환상 반발전극측에서 커지고, 외부전극에 의하여 발생한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은, 셰이핑에어링측의 플러스방전에 흡인되고, 마이너스로 대전된 도료입자와마이너스이온의 구름과는 동극반발을 일으켜서 셰이핑에어링이 도료로 오손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내주측 링과, 이 내주측 링의 외주를 덮도록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외주측 링과로 구성하고, 에어분출구는 내주측 링과 외주측 링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내주측 링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선단측에 에어분출구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링을 배설하고, 환상 반발전극은 이 도전성 링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셰이핑에어링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고, 에어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셰이핑에어에 의하여, 환상 반발전극에 흡인된 마이너스이온의 구름을 회전무화두의 외주측에 반송할 수 있고, 이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로부터 방출되는 도료입자를 용이하게 마이너스로 대전시킬 수 있어, 피도물에 대한 도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에어분출구가 배설된 평탄한 앞면부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도전성재료로 형성되어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링을 배설하고, 환상 반발전극은 셰이핑에어링의 앞면부에 이 도전성 링과는 별개부재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환상 반발전극을 상기 도전성 링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환상 반발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강한 플러스방전을 발생할 수 있어, 셰이핑에어링에 도료가 부착하는 것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상 반발전극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도전성 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재료를 사용한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셰이핑에어링에는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도전성 막을 성막하고, 이 도전성 막의 최소한 일부를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함으로써, 마이너스의 대전도료입자와 환상 반발전극 부근에 있는 마이너스이온의 구름과를 동극반발시켜서, 셰이핑에어링에 도료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고, 환상 반발전극을 도전성 막에 의하면 형성하였으므로, 도전성 막과 환상 반발전극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도전성 막으로서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성막할 수 있으므로, 막형성공정,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또한 막두께에 상응한 전기전도도 또한 저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상 반발전극은 회전무화두의 외주면 근발을 에워싸는 환상체로 함으로써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로부터 방출되는 도료입자에 대하여, 용이하게, 또한 균일하게 마이너스대전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외주측이 수지커버로 덮인 도장기(塗裝機)본첵와, 이 도장기본체내에 배설되고, 어스전위로 유지된 에어모터와, 상기 도장기본체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이 에어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이 도료방출단에지로 된 회전무화두(回轉霧化頭)와, 이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이 회전무화두의 외주측을 덮도록 상기 도장기본체의 선단측에 배설되고, 에어분출구로부터 셰이핑에어링를 분출하는 셰이핑에어링(shaping air ring)과, 상기 도장기본체의 경방향외측에 위치하여 배설되고, 상기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로부터 분무되는 도료입자를 대전(帶電)하도록 외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외부전극과로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하고, 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위의 최소한 일부를 환상(環狀)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내주측 링과, 이 내주측 링의 외주를 덮도록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외주측 링과로 구성하고, 상기 에어분출구는 상기 내주측 링과 외주측 링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내주측 링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선단측에 상기 에어분출구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링을 배설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도전성 링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상기 에어분출구가 배설된 평탄한 앞면부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어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도전성 링을 배설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셰이핑에어링의 앞면부에 이 도전성 링과는 별개부재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환상 반발전극을 상기 도전성 링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5.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반발전극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의 금속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6.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엇, 상기 환상 반발전극을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수지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7. 외주측이 수지커버로 덮인 도장기본체와, 이 도자어기본체내에 배설되고, 어스전위로 유지된 에어모터와, 상기 도장기본체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이 에어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이 도료방출단에지로 된 회전무화두와, 이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이 회전무화두의 외주측을 덮도록 상기 도장기본체의 선단측에 배설되고, 에어분출구로부터 셰이핑에어를 분출하는 셰이핑에어링과, 상기 도장기본체의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배설되고, 상기 회전무화두의 도료방출단에지로부터 분무되는 도료입자를 대전하도록 외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외부전극과로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절연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에는 상기 에어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도전성 막을 성막하고, 이 도전성 막의 최소한 일부를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내주측 링과, 이 내주측 링의 외주를 덮도록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한 외주측 링과로 구성하고, 상기 에어분출구는 상기 내주측 링과 외주측 링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막은 상기 내주측 링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성막하고,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도전성 막의 선단측에 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핑에어링은, 상기 에어분출구가 배설된 평탄항 앞면부를 가지는 절연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막은 상기 셰이핑에어링의 내주측으로부터 앞면부에 걸쳐서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성막하고, 이 도전성막의 선단측을 상기 환상 반발전극으로서 구성하여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10. 제7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회전무화두의 외주면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11.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회전무화두의 외주면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회전무화두의 외주면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반발전극은 상기 회전무화두의 외주면 근방을 에워싸는 환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KR1019960706711A 1995-04-06 1996-04-05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KR100204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106840 1995-04-06
JP1995-106841 1995-04-06
JP95-106840 1995-04-06
JP10684095 1995-04-06
JP95-106841 1995-04-06
JP10684195 1995-04-06
PCT/JP1996/000929 WO1996031286A1 (fr) 1995-04-06 1996-04-05 Dispositif pour peindre du type presentant une tete de pulverisation rota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203A KR970703203A (ko) 1997-07-03
KR100204972B1 true KR100204972B1 (ko) 1999-06-15

Family

ID=2644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711A KR100204972B1 (ko) 1995-04-06 1996-04-05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75598A (ko)
EP (1) EP0767005B1 (ko)
JP (1) JP3184455B2 (ko)
KR (1) KR100204972B1 (ko)
CA (1) CA2192164C (ko)
DE (1) DE69625435T2 (ko)
ES (1) ES2188744T3 (ko)
WO (1) WO19960312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77B1 (ko) * 2004-12-28 2013-03-20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정전 도장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993A (en) * 1996-10-01 1999-04-20 Abb Industry K.K. Rotary atomization head
CA2322256C (en) * 1998-03-04 2006-09-05 Abb Patent Gmbh High voltage source rotary spray
DE19909369A1 (de) * 1999-03-03 2000-09-21 Daimler Chrysler Ag Elektrostatischer Zerstäuber mit einem Gehäuse
CA2367140C (en) * 1999-03-16 2007-06-12 Gunter Borner High-speed rotary atomizer with directing air ring
FR2796573A1 (fr) 1999-07-22 2001-01-26 Sames Sa Tete de pulverisation rotative et dispositif de projection de produit de revetement equipe d'une telle tete
WO2002000357A1 (fr) * 2000-06-26 2002-01-03 Abb K.K. Procede d'application d'un revetement bicolore
DE10115472A1 (de) 2001-03-29 2002-10-10 Duerr Systems Gmbh Ventileinheit für eine elektrostatische Beschichtungsanlage
DE10115470A1 (de) 2001-03-29 2002-10-10 Duerr Systems Gmbh Beschichtungsanlage mit einer Zerstäuberwechselstation
DE10115463A1 (de) 2001-03-29 2002-10-02 Duerr Systems Gmbh Zerstäuber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und Verfahren zu seiner Materialversorgung
DE10115467A1 (de) 2001-03-29 2002-10-02 Duerr Systems Gmbh Werkzeugwechselsystem für eine Maschine
DE10202711A1 (de) * 2002-01-24 2003-07-31 Duerr Systems Gmbh Zerstäuber für die elektrostatische Serienbeschichtung von Werkstücken
DE10231421A1 (de) 2002-07-11 2004-01-22 Dürr Systems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Versorgung eines Pulverbeschichtungsgerätes
DE10233198A1 (de) 2002-07-22 2004-02-05 Dürr Systems GmbH Rotationszerstäuber
US7721976B2 (en) * 2002-07-22 2010-05-25 Durr Systems, Inc. High speed rotating atomizer assembly
DE10239516A1 (de) 2002-08-28 2004-03-18 Dürr Systems GmbH Schlauch für die elektrostatische Beschichtung von Werkstücken
DE10239517A1 (de) 2002-08-28 2004-03-11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einrichtung mit einem Rotationszerstäuber und Verfahren zum Steuern ihres Betriebes
DE10240451A1 (de) 2002-09-02 2004-03-11 Dürr Systems GmbH Sensoranordnung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US6991178B2 (en) 2003-01-24 2006-01-31 Dürr Systems, Inc. Concentric paint atomizer shaping air rings
DE10319916A1 (de) 2003-05-05 2004-11-25 Itw Gema Ag Sprühgerät für Beschichtungsmaterial, insbesondere Beschichtungspulver
JP4445830B2 (ja) * 2004-10-14 2010-04-07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静電式散布装置
JP4612030B2 (ja) * 2005-08-01 2011-01-12 Abb株式会社 静電塗装装置
EP2055389B1 (en) * 2005-08-01 2012-02-15 Abb K.K.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US8671495B2 (en) 2006-11-06 2014-03-18 Durr Systems, Inc. Scraper pig
JP4769762B2 (ja) 2007-05-18 2011-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装機用汚れ防止カバー
ITTO20070683A1 (it) 2007-09-28 2009-03-29 Ohg Pejrani S R L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 disinfezione di ambienti.
DE102009013979A1 (de) 2009-03-19 2010-09-23 Dürr Systems GmbH Elektrodenanordnung für einen elektrostatischen Zerstäuber
EP2431098B1 (en) * 2009-05-11 2016-06-29 Abb K.K.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DE102011006617B4 (de) 2011-04-01 2018-08-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otationszerstäuber mit Außenelektroden zum Beschichten eines Werkstücks
CN102500485A (zh) * 2011-11-17 2012-06-20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环形放电喷嘴
FR3012985B1 (fr) * 2013-11-12 2016-12-09 Sames Tech Projecteur electrostatique de produit de revetement et installation de projection comprenant un tel projecteur
DE102015000709A1 (de) 2015-01-21 2016-07-21 Dürr Systems GmbH Glockenteller oder Lenkluftring mit nicht-metallischem Material zur Funkenvermeidung
WO2017141963A1 (ja) 2016-02-19 2017-08-24 Abb株式会社 静電塗装機
CN110049821B (zh) 2017-08-18 2020-09-04 Abb瑞士股份有限公司 静电涂装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4114A (en) * 1951-11-26 1957-03-05 Ransburg Electro Coating Corp Spray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US2955565A (en) * 1956-03-19 1960-10-11 Electro Dispersion Corp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US3021077A (en) * 1956-03-20 1962-02-13 Ransburg Electro Coating Corp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US3010428A (en) * 1957-09-10 1961-11-28 Interplanetary Res & Dev Corp Spraying devices
FR1110350A (fr) * 1959-03-31 1956-02-10 Sames Mach Electrostat Appareil pour pulvérisation et projection électrostatiques
NL251152A (ko) * 1959-05-20
US3009441A (en) * 1959-06-18 1961-11-21 Ransburg Electro Coating Corp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spray coating
US3083121A (en) * 1959-09-10 1963-03-26 Ransburg Electro Coating Corp Shunt control to prevent arcing in an electrostatic spray coating system and method
NL279142A (ko) * 1961-05-31
FR1330178A (fr) * 1962-04-25 1963-06-21 Sames Mach Electrostat Perfectionnements aux têtes de pulvérisation électrostatique
SE358819B (ko) * 1967-10-11 1973-08-13 Greiff Svenska Maskin Ab
US3826425A (en) * 1972-06-21 1974-07-30 Ransburg Corp Electrostatic apparatus
JPS5534130A (en) * 1978-08-31 1980-03-10 Nippon Ranzubaagu Kk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US4228961A (en) * 1979-05-07 1980-10-21 Onoda Cement Co., Ltd. Electrostatic power painting head
DE3429075A1 (de) * 1984-08-07 1986-02-20 Hermann Behr & Sohn Gmbh & Co, 7121 Ingersheim Vorrichtung zum elektrostatischen beschichten von gegenstaenden
US4887770A (en) * 1986-04-18 1989-12-19 Nordson Corporation Electrostatic rotary atomizing liquid spray coating apparatus
JPH06134353A (ja) * 1992-10-23 1994-05-17 Ransburg Automot Kk 静電塗装装置
US5474236A (en) * 1992-12-03 1995-12-12 Nordson Corporation Transfer of electrostatic charge to a rotary atomizer head through the housing of a rotary atomizing spray device
DE4340441A1 (de) * 1992-12-03 1994-06-09 Nordson Corp Rotationszerstäuber
US5433387A (en) * 1992-12-03 1995-07-18 Ransburg Corporation Nonincendive rotary atomizer
JPH06320065A (ja) * 1993-05-07 1994-11-22 Toyota Motor Corp ベル型静電塗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77B1 (ko) * 2004-12-28 2013-03-20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정전 도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92164C (en) 1999-10-05
EP0767005B1 (en) 2002-12-18
DE69625435T2 (de) 2003-10-23
DE69625435D1 (de) 2003-01-30
US5775598A (en) 1998-07-07
WO1996031286A1 (fr) 1996-10-10
KR970703203A (ko) 1997-07-03
EP0767005A1 (en) 1997-04-09
EP0767005A4 (en) 1998-02-04
CA2192164A1 (en) 1996-10-10
JPH08332418A (ja) 1996-12-17
JP3184455B2 (ja) 2001-07-09
ES2188744T3 (es)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972B1 (ko)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US5358182A (en) Device with rotating atomizer head for electrostatically spraying liquid coating product
US6896735B2 (en) Integrated charge ring
JP5215461B2 (ja) 静電塗装装置
JP4612048B2 (ja) 静電塗装装置
US5353995A (en) Device with rotating ionizer head for electrostatically spraying a powder coating product
US9901941B2 (en) Electrostatic spray device for spraying a liquid coating product, and spray facility comprising such a spray device
JPS59225762A (ja) 遠心力で霧化された導電性塗料を誘導帯電する方法及び装置
US6676049B2 (en) Bell cup powder spray applicator
US6276618B1 (en) Electrostatic powder spray gun
CN110049821B (zh) 静电涂装机
KR20020003189A (ko) 공기 유도 링을 구비한 고속의 회전식 분무기
JP2001113207A (ja) 静電塗装装置
JP2001252596A (ja) 静電塗装装置
JP4612030B2 (ja) 静電塗装装置
JP3747332B2 (ja) 静電粉体塗装ガン
WO2019035473A1 (ja) 静電塗装機
JPH07251098A (ja) 導電性塗料用回転霧化式静電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