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724B1 -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724B1
KR100204724B1 KR1019950035737A KR19950035737A KR100204724B1 KR 100204724 B1 KR100204724 B1 KR 100204724B1 KR 1019950035737 A KR1019950035737 A KR 1019950035737A KR 19950035737 A KR19950035737 A KR 19950035737A KR 100204724 B1 KR100204724 B1 KR 10020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conductive film
voltage
revers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지쯔까따
가쯔유끼 가와까미
쇼이찌 사꾸라이
히로시 요시오까
요시오 사또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320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188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380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6347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방출되고 있는 2종류의 교번전계VLEF, ELEF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음극선관의 양극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변성기, 수평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내장도전막을 구비한 음극선관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외벽면에 형성되고 접지된 외장흑연막과 전기적으로 분리해서 퍼넬부의 유리용기의 외벽면에 형성된 도전막형상 전극을 마련하고, 이도전막형상 전극에 (V0×C0)(V1×C1)을 만족시키는 역펄스전압 V1을 인가하는 회로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편향요크수단에 공급되는 귀선펄스전압을 V0, 내장도전막에 발생하는 전압과 역극성의 역펄스전압을 V1, 수평편향코일과 내장도전막사이의 정전용량을 C0, 도전막형상전극과 내장도전막사이의 정전용량을 C1로 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방출되고 있는 2종류의 교반전계VLEF, ELEF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음극선관 표시장치를 네트측에서 본 도면.
제3a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단면구성도.
제3b도는 수평편향펄스 V0과 그것에 의해서 내장도전막에 발생하는 펄스전압V1, 펄스전압V1을 없애기 위한 역펄스V1, V11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3c도는 ELEF의 발생원인을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
제5a도는 내장도전막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의 설명도.
제5b도는 내장도전막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을 없애는 역전압의 설명도.
제6도는 역펄스전압과 내장도전막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역펄스전압과 교번전계VLEF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퍼넬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9a, b도는 역펄스를 발생하는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역펄스를 발생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투명도전막의 저항값과 교번전계 ELEF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제12도는 투명도전막의 저항값의 주파수의 특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역펄스전압 발생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단면구성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역펄스전압 발생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역펄스전압 발생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7a~f도는 제16도의 실시예의 원리설명도.
제18도는 역펄스전압 인가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역펄스전압 인가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제19도의 XX-XX단면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극선관의 표시면에서 정면으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억제하는 기구를 갖는 음극선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 표시장치는 고주파신호 처리회로, 전자빔의 편향자계 발생회로, 고전압발생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전파, 자계, 전계등이 방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들 불필요한 복사를 억제하는 각종 규제가 세계각국에서 가해지고 있다. 또, 최근에는 퍼스널컴퓨터등의 보급에 따라 음극선관 표시장치를 장시간 사용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으므로 특히 장치에서 복사되는 저주파전계가 조작자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하기 시작하고 있어 화상표시장치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불필요한 복사전계) 값에 관한 규제가 제정되고 있다. 교번전계는 주파수대역에 의해서 2종류로 분류되고 있으며, 주파수가 2kHz~400kHz의 교번전계를 VLEF(Very Low freque ncy Electric Field), 주파수가 5Hz~2kHz의 교번전계를 ELEF(Extermely Low fr equency Electric Field)라 하고 있다.
화상표시장치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에 관한 규격으로써 예를 들면 1990년에 스웨덴에서 제정된 MPR-2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후, MPR-2규격을 엄격하게 강화한 TCO가이드라인이 제정되고 교번전계의 억제효과도 현재 이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TCO가이드라인에서는 2kHz~400kHz대역의 VLEF에 관해서 전계값1.0V/m이하 (표시장치의 정면 30cm 및 주위 50cm), 5Hz~2kHz대역의 ELEF에 관해서 전계값10V/m이하 (표시장치의 정면 30cm만)로 되어 있다.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화상표시면(정면)을 제외한 부분은 금속판등에 의한 정전차폐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교번전계값을 규제값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음극선관의 정면은 화상을 표시하므로 불투명한 금속판을 사용해서 차폐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28302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퍼넬부부터 네크부에 도전성막을 형성하고, 도전성막을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에서 방출되는 교번전계를 차폐해서 음극선관 표시장치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VLEF를 억제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교번전계 VLEF의 억제가 충분한 것은 아니고 발생원인이 다른 교번전계 ELEF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교번전계 ELEF는 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직류의 고전압이 재생하는 화상내용에 의해 빔전류가 변화하여 동적인 전압변동을 일으키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교번전계로써, 종래기술의 대책은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도전막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변동전압을 없애는 전압을 정전용량을 거쳐서 내장도전막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방출되고 있는 2종류의 교번전계 VLEF, ELEF를 효과적으로 억제한 음극선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외벽에 접해서 외장 흑연막이 없는 부분에 전극 (이하, 퍼넬전극이라 한다)을 구비한다. 상기 퍼넬(캔슬)전극에는 수평편형코일에 공급하는 펄스전압(진폭V0)과 극성이 반전한 역펄스전압(진폭V1)을 인가한다. 음극선관의 내장도전막과 수평편향코일, 상기 퍼넬전극사이의 정전용량을 각각 C0, C1로 하고 (V0×C0)의 전압값이 (V1×C1)의 전압값보다 크게 되게 한다.
또, 페이스플레이트의 외표면에 단위면적당의 저항값이 2×106Ω/square이하의 투명도전막을 구비하여 접지한다.
역펄스전압을 인가하는 다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수평편향코일에 발생하는 귀선펄스를 상기 코일에 외속한 변성기의 1차권선에 인가하고, 상기 귀선펄스의 극성이 반전된 역펄스를 상기 변성기의 2차권선에 발생시킨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고압변성기에 내장되고, 한쪽끝을 고압단자에 접속한 콘덴서의 다른쪽 끝에 상기 역펄스를 공급하고, 애노드케이블을 거쳐서 음극선관의 내장도전막에 역펄스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또, 수평편향코일에 발생한 귀선펄스와 극성이 반전한 제1의 역펄스를 발생시키는 변성기의 2차권선 및 고압변성기의 고압단자에 귀선기간에 발생하는 펄스, 즉 고압선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펄스와 극성이 반전한 제2의 역펄스를 발생시키는 고압변성기의 보조권선을 접속하고, 제1 및 제2의 역펄스를 가산, 합성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한쪽끝을 고압단자 또는 애노드케이블에 접속한 콘덴서의 다른쪽끝에 상기 가산, 합성한 합성역펄스를 공급하고, 음극선관의 내장도전막에 합성역펄스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편향요크에 공급되는 펄스전압에 기인하고 정전결합에 의해 음극선관의 내부도전막에 발생하고 있던 교번전압을 퍼넬전극에 인가한 역펄스전압에 의해서 내장도전막에 발생시킨 펄스전압에 의해 서로 없애서 내장도전막에 발생하고 있던 교번전압의 진폭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내장도전막에 발생한 동적인 전압변동(교번전압)에 기인한 교번전계 VLEF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페이스플레이트의 외표면에 형성하고, 접지한 투명도전막에 의해 교번전계 ELEF를 차폐하는 것에 의해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방출되고 있던 2종류의 교번전계 VLEF 및 ELEF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음극선관 표시장치의 주요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음극선관을 뒤쪽에서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음극선관장치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음극선관(1)은 크게 분류해서 3개의 유리용기로 이루어지고, 페이스플레이트부(3), 퍼넬부(2), 네크부(7)로 구성된다. 적어도 페이스플레이트(3)는 투명유리의 내면에 형광체(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한 형광면을 구비한다. 퍼넬부(2)는 대략 콘형상의 유리용기로써, 적어도 고압변성기(20)으로 부터의 고전압(이하, 고압 또는 H. V.라 한다)을 인가하는 애노드 버튼(9), 외장흑연막(5), 퍼넬전극(8)을 구비한다. 외장흑연막(5)은 퍼넬(2)의 유리용기 외벽의 일부에 전기적인 도전체인 흑연의 수용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으로써 외장흑연막(5)을 전기적으로 접지해서 음극선관(1)의 양극에 정전용량을 인가한다. 네크부(7)로는 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도시하지 않음)을 봉하여 막고 있으며, 적어도 편향요크(6)가 외부에서 장착된다. 네크부(7)에 장착한 편향요크(6)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해서 래스터를 얻기 위한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로 이루어진다. 또, 페이스플레이트(3)의 측면부의 주위에는 음극선관의 유리용기가 파손된 경우의 안전성을 높인 금속제 밴드(방폭밴드)(4)를 감고 전기적으로 접지해서 사용한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넬(2)의 내면에는 도전성의 흑연을 도포한 내장도전막(13)이 형성되어 있고, 애노드버튼(9)을 거쳐서 고압변성기(20)의 단자 T4로 부터의 수만V의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한편, 페이스플레이트(3)의 내면에는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체를 도포해서 형광막(11)을 형성하고, 형광막(11)과 내장도전막(13)이 동일 전위로 되도록 알루미늄을 증착한 메탈백막(12)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된다. 또,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컬러음극선관의 경우에는 형광막 (11)의 아주 가까이에 삼원색의 색형광체를 선별하기 위한 새도우마스크등의 색선별전극이 내장도전막(13)과 동일 전위로 되도록 구비된다. 단자T4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변동(리플)을 저감하기 위해 외장흑연막(5)은 접지되고, 퍼넬유리를 거쳐서 내장도전막(13) 사이에 약 수천pF의 정전용량C5를 형성하고, 고압변성기(20)의 평활용량으로써 사용한다. 접지한 외장흑연막(5)과 편향요크(6) 사이에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퍼넬전극(8)을 구비하고 있다. 퍼넬전극(8)은 도전성 코팅막을 퍼넬(2)의 유리면의 외표면에 형성한 것 또는 점착제를 바른 금속박 (예를 들면 두께 35㎛정도의 동박)을 유리외벽에 부착한 것 또는 수용성 흑연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패널부 유리용기 외벽에 접해서 전극을 구비한 것이다.
편향요크(6)의 수평편향코일은 고압변성기(20) (제1도)의 단자 T1, T2에 접속되어 있으며, T2에서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편향주기 (이하, H주기라 한다. 그 주기는 수평편향주파수 fH의 역수)로 반복하는 약 1000Vp-p의 펄스전압V0이 공급되고 있다. 펄스전압V0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 수평주기의 톱니형상전류가 발생하고, 전자빔을 좌우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자계가 발생한다. 한편, 고압변성기(20)의 단자T3에는 단자T2의 펄스전압V0과 서로 유사한 형태이며, 또한 극성이 V0과 반전한 역펄스전압V1을 발생시키고 있고, 전압V1을 퍼넬전극(8)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음극선관장치(1)가 동작하고 있을때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해석하고, 그 발생기구를 명확하게 했으므로, 그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교번전계의 발생원인의 주된 것은 음극선관의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한 동적인 전압변동(교번전압)에 기인하고 있으며, 음극선관장치(1)가 동작하고 있을때에는 2종류의 교번전계VLEF(100)과 ELEF(200)이 페이스플레이트(3)의 유리면을 거쳐서 앞쪽으로 방사되고 있다. 또, 제3a,b,c도 및 제4도를 사용해서 교번전계VLEF(100)과 ELEF(200)의 발생요인과 본 발명의 대책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주파수대역이 2kHz~400kHz대역의 VLEF(100)은 편향요크(6)에 공급한 펄스전압V0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H주기의 교번전계이다. 한편, 주파수대역이 5kHz~2k Hz대역의 ELEF(200)은 영상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음극선관(1)의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량이 변화하여 음극선관(1)의 양극에 공급하는 H.V. 에 의해 수직편향주기 (이하, V주기라 한다. 그 주기는 수직편향주파수 fv의 역수)의 동적인 전압변동 (ΔHV라 한다)을 일으키는 것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교번전계이다(제3c도 참조).
우선, VLEF(100)이 페이스플레이트(3)에서 방사되는 메카니즘을 교번전계VLEF(100)을 억제하는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향요크(6)의 수평편향코일과 내장도전막(13) 사이의 정전결합(제3a도에는 분포용량을 등가적인 정전용량C0으로 표시)에 의해 단자T2에서 공급된 펄스전압V0과 서로 유사한 펄스전압V1(제3b도)가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퍼넬전극(8)과 내장도전막(13) 사이의 정전결합(제3a도)에는 등가적인 정전용량을 C1로 표시)에 의해 내장도전막(13) 사이에는 단자T3에서 퍼넬전극(8)에 공급한 역펄스전압V1과 서로 유사한 펄스전압V11(제3b도)를 발생시킨다. 제4도는 정전용량C0, C1등의 접속상태를 설명하는 등가회로도로써, P점은 내장도전막(13)에 대응하고 있다. C5는 외장흑연막(5)과 내장도전막(13) 사이의 정전용량, R5는 외장흑연막(5)의 저항, C10은 페이스플레이트(3)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도전막(10)(점Q로 표시)과 내장도전막(13) 사이의 정전용량, R10은 투명도전막(10)의 저항이다. 또, C20, R20은 고압변성기(20)의 FBT(플라이백 트랜스)의 내부용량과 보호저항을 나타낸다.
내장도전막(13)에 동적인 전압변화(교번전압)가 발생하면 교번전압은 용량C10을 거쳐서 페이스플레이트(3)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도전막(10)에 발생한다. Q점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은 정전용량C10과 저항R10의 임피던스분할의 비율에 따른 전압진폭을 투명도전막(10)에 발생하고, 페이스플레이트(3)의 앞쪽으로 교번전계VLEF(100), ELEF(200)을 방사한다. 따라서, 만약 투명도전막(10)의 저항값R10을 충분히 작게할 수 있고, 차폐효과를 크게 할 수 있으면 Q점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이 작아져 교번전계를 작은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교번전계VLEF(100)의 발생원인은 정전용량C0의 존재에 의해 단자T2에 공급된 펄스전압V0과 서로 유사한 교번전압V1이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번전압V1은 제4도의 P점에 있어서 P점과 접지사이의 합성 임피던스를 Z0, C0의 임피던스를 Z0으로 하면 P점의 전압은 하기식으로 표시되고, Z0≪Z0이므로 식 1에 의해 근사된다.
식 1에서 발생전압V1의 진폭은 수평편향코일의 정전용량C0과 수평편향코일에 공급하는 펄스전압V0의 곱(C0×V0)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퍼넬전극(8)의 정전용량C1에 의해 전극에 인가한 역펄스전압V1과 서로 유사한 교번전압V11이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한다.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번전압V11은 제4도의 P점에 있어서 P점과 접지사이의 합성임피던스를 Z11, C1의 임피던스를 Z1로 하면 P점의 전압은 Z11≪Z1이므로 식 2에 의해 근사된다.
식 2에서 발생한 전압V11의 진폭은 퍼넬전극의 정전용량C1과 역펄스전압V1의 곱(C1×V1)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역펄스전압V1과 서로 유사한 펄스전압V11을 내장도전막(13)에 유기하는 것에 의해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고 있던 교번전계V1은 극성이 반전한 교번전압V11과 서로 없앤다. 제6도는 퍼넬전극(8)의 면적을 바꿔 전극의 정전용량C1을 파라미터로 해서 역펄스전압을 발생시켰을때의 내장도전막(13)의 교번전압ΔV13(=V1-V11)의 진폭을 측정한 것이다. 각 퍼넬전극(8)의 정전용량값에 따라서 역펄스전압값을 최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VLEF(100)의 발생원으로 되는 교번전압ΔV13을 0으로 할 수 있다. 제7도는 음극선관장치(1)의 정면, 관면에서 30cm의 거리에 교번전계측정기 (예를 들면 스웨덴의 Combinova사 EFM200)를 설치해서 VLEF를 측정한 결과이다. 관면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VLEF와 내장도전막(13)에 있어서의 교번전압ΔV13은 1대1의 대응이 있고, 교번전압ΔV13을 거의 0으로 하는 것에 의해 교번전계VLEF(100)을 대책전의 4.3V/m에서 대책후의 0.8~0.5V/m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퍼넬전극(8)의 정전용량C1과 역펄스전압V1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VLEF의 교번전계값을 TCO가이드라인 (≤1V/m) 이하로 할 수 있어 불필요한 복사전계의 인체로의 영향이 문제로 되지 않는 레벨로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C0, V0, C1, V1의 관계를 여러 값으로 설정해서 실험을 실행한 결과 (V0×C0)의 전압값이 (V1×C1)의 전압값보다 반드시 큰 것, 즉 식 3이
(V0×C0)(V1×C1) . . . . (3)
판명되었다. 또, K를 정수로해서 식 4에 표시한 관계식에 있어서
K×(V0×C0)=(V1×C1) . . . . (4)
정수K의 값은 실험에 사용한 편향요크(6)의 수평편향코일의 권선사양에 의해 다르다. 표 1은 사양이 다른 3종류의 편향요크#1, #2 및 #3에 의해 관해서 정수K의 값을 실험결과에서 산출한 것으로써, K는 0.1~0.9의 범위였다. 또, 제6도, 제7도에 도시한 데이타의 편향요크#2의 정수K는 약 0.5였다.
또, 퍼넬전극(8)의 정전용량C은 전극면적의 대소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고 전극형상, 전극을 설치하는 위치와는 별로 관계없다. 따라서, 전극의 형상, 설치위치는 제1도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흑연막(5)이 없는 영역에 임의의 형상의 퍼넬전극(88)을 배치할 수 있다.
그런데, 외장흑연막(5)의 면적을 가능한한 작게 해서, 퍼넬전극(88)의 면적을 크게(C을 크게) 설정하면 작은 역펄스전압으로 교번전계VLEF를 억제할 수 있다. 반대로 퍼넬전극(88)의 면적을 작게 (C을 작게) 설정하면 교번전계VLEF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큰 역펄스전압을 필요로 한다. 표 2는 표 1에 나타낸 편향요크#2를 사용하여 퍼넬전극(88)의 면적을 바꿨을때 필요한 역펄스전압V및 정전용량C과 C의 비R=C/C을 실험결과에서 산출한 것이다. 비R의 값은 거의 0.5~15사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교번전계VLEF(100)의 발생원으로 되는 내장도전막(13)의 교번전압V은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용량C에 비례한다. 따라서, C을 저감할 수 있으면 VLEF를 억제하는데 필요한 퍼넬전극용량C또는 역펄스전압V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이점으로 된다. 그런데, 평행평판콘덴서의 정전용량C는 식 5로 표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C=εS/d . . . . (5)
여기에서, ε는 평행평판사이의 유전율
S는 평행평판의 면적
d는 평행평판사이의 거리
식 5에서 정전용량C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ε와 S를 작게 반대로 d를 크게 하면 좋다. 이것을 수평편향코일과 내장도전막사이의 정전용량C에 적용하여 편향요크와 대향하는 부분의 유리용기재로써 예를 들면 잘 알려진 납알칼리유리 (유전율ε≒8.3)에서 유전율ε가 8이하인 보론 실리케이트산 유리 (유전율ε≒5) 등을 사용한다. 또는 수평편향코일과 대향하는 내장도전막(13)을 그물형상으로 하고, 그 일부를 다음과 같이 해서 등가적인 면적S를 저감한다. 또는 수평편향코일과 대향하는 부분의 유리용기(d에 대응한다)를 용기의 내면측으로 크게 하는 것에 의해 d를 증대시킨다. 이들을 단독 또는 병용하는 것에 의해 정전용량C을 90pF이하로 할 수 있어 퍼넬전극의 면적, 역펄스전압값도 내전압상 문제가 없는 실용적인 값으로 교번전계VLEF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퍼넬전극(8)에 공급하는 역펄스전압V의 발생회로의 1예를 제9a,b도에 도시한다. 제9a도는 편향요크(6)의 측면도, 제9b도는 자성체코어의 자속의 설명도이다. 편향요크(6)는 자성체코어(60)의 내면에 수직편향코일(61), 수평편향코일(62)을 마련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수평편향코일이 발생하는 자속(63)을 검출하는 보조권선(64)을 코어부(60)에 구비한다. 보조권선(64)에는 수평편향자계(63)가 연결되고, 단자T3에는 역펄스전압V이 얻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6)에 펄스전압V을 인가하는 단자T2에서 검출한 펄스전압을 소정의 진폭으로 감쇠시킨후 트랜지스터로 반전한 펄스전압을 역펄스전압V로써 퍼넬전극(8)에 공급하여 교번전계VLEF의 억제에 사용하였다.
역펄스전압을 제13도, 제15도의 변성기(30), (40)의 2차 코일(32), (42)에서 얻을 수도 있다. 또, 역펄스전압으로써 제16도의 합성펄스전압V+V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얻어진 역펄스전압은 퍼넬전극(8)에 인가된다. 합성펄스전압 V+V을 역펄스전압으로써 사용한 경우 식 3, 4에 대응한 관계(V×C)((V+V)×C), K×V×C=(V+V)×C, 0. 1≤K≤0. 9가 만족시켜진다.
한편, 주파수대역이 5Hz~2kHz의 교번전계ELEF(200)은 상술한 교번전계VLEF와는 달리 제3c도에 도시한 고압의 동적인 전압변동인 ΔHV가 발생원인이다. 본 발명에서는 교번전계ELEF(200)을 억제하기 위해 음극선관(1)의 페이스플레이트(3)의 표면에 저항값을 최적으로 설정한 투명도전막(10)을 구비한다. 투명도전막의 재료로써는 산화인듐이나 산화주석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것 등이 사용된다. 또, 투명도전막(10)의 표면에는 산화규소의 박막(제3a도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성막되어 반사방지막으로써의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제11도는 음극선관 표시장치(1)의 정면 30cm의 거리에 있어서 투명도전막(10)의 단위 면적당의 저항값 (단위/square)와 교번전계ELEF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이다.
TCO가이드라인의 ELEF의 규제값 (≤10V/m, 정면 30cm의 거리)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투명전극의 저항값을 2×106 /square이하로 하면 좋다. 제12도는 일반적인 투명도전막의 저항값의 주파수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조코스트가 높은 투명도전막은 2종류의 교번전계 ELEF, VLEF의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저항값이 작아 충분히 2종류의 교번전계를 차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투명도전막의 코스트는 높아 극히 일부의 고급기종에만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제조코스트가 저렴한 투명도전막은 ELEF대역의 주파수영역에서는 저항값이 작지만 주파수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대하여 교번전계 VLEF의 차폐효과가 저감되는 결점이 있다. 이 측정결과를 근거로 해서 저렴한 투명도전막을 사용하여 ELEF의 억제는 투명도전막의 차폐작용에 의해 실행하고 차폐효과가 저감하는 VLEF대역은 퍼넬전극에 역펄스를 공급해서 VLEF를 억제하는 방식을 병용하는 방법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것임을 확인하고 있다.
제13도는 내장도전막에 발생한 교번전압을 없애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역펄스전압은 고전압과 중첩되어 인가된다.
편향요크(6)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해서 레스터를 얻기 위한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코일(62)와 수직편향코일(61)을 구비한다(또, 수평, 수직편향코일의 상세한 것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수평편향코일(62)은 수평편향회로(50)에 접속되고, 수평주기로 반복하는 펄스전압V0이 인가된다.
고압변성기(20)는 고압회로(51)에서 1차코일(21)에 인가한 펄스를 2차코일(22)로 승압한다. 승압된 펄스는 다이오드(23)으로 정류되고, 콘덴서C2에 의해서 평활되어 고압단자T4로 수만V의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넬부(2)의 유리용기의 내면에는 도전성의 흑연을 도포한 내장도전막(13)이 형성되어 있고, 애노드버튼(9)을 거쳐서 고압단자T4로 부터의 고압(HV)가 인가된다. 한편, 페이스플레이트부(3)의 내면에는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를 도포해서 형광막(11)을 형성하고 이 형광막(11)에 고압이 인가되도록 알루미늄을 증착한 메탈백막(12)과 내장도전막(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장흑연막(5)은 퍼넬부(2)의 유리용기외벽의 일부에 전기적인 도전체인 흑연의 수용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외장흑연막(5)을 전기적으로 접지해서 음극선관(1)의 양극에 정전용량을 부가한다. 즉, 접지된 외장흑연막(5)은 퍼넬유리를 거쳐서 내장도전막(13)사이에 정전용량(외장용량) C5를 형성한다. 이 정전용량C5는 고압변성기(20)의 평활용량C2에 병렬접속되므로 고압단자T4에서 출력되는 고압 (HV)의 변동 (리플)을 저감하는 작용을 한다.
편향요크(6)의 수평편향코일(62)와 내장도전막(13)은 두께2mm정도의 유리를 거쳐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14도에 정전용량C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62)과 내장도전막(13) 사이의 정전결합에 의해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62)에 인가한 귀선펄스V0와 서로 유사한 V1이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한다. 이 펄스V1의 진폭은 수평편향코일(62), 내장도전막(13) 사이의 정전용량C0과 귀선펄스V0의 진폭의 곱에 비례하고, 고압평활용량C2와 외장용량C5의 합에 반비례해서 결정된다.
식으로 표시하면 다음의 식 6와 같이 된다.
그리고, 도전성막의 메탈백막(12), 내장도전막(13)을 전극으로 해서 수평편향주파수 fH에서 변화하는 교번전압(펄스 V1)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서 페이스플레이트부(3)의 앞쪽으로 교번전계VLEF(100)이 방사된다.
수평편향코일(62)에 발생하는 귀선펄스V0과 이 귀선펄스에 기인해서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펄스V1의 관계, 또 귀선펄스V0과 극성이 반전한 역펄스V1및 이 역펄스V1에 의해서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역펄스V11의 관계는 제3b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역펄스V1은 수평편향회로(50) 및 수평편향코일(62)에 접속된 변성기(30)의 2차권선(32)에 발생하는 펄스이고, V0과 V1은 극성이 서로 반전하고 있다. 고압변성기(20)의 단자(26)에 공급된 역펄스V1은 고압변성기(20)에 내장한 콘덴서(25)를 거쳐서 고압단자T4에 인가되고, 내장도전막(13)에 역펄스V11이 발생한다. 상기 콘덴서(25)의 한쪽끝은 고압단자T4에 접속되어 있고, 내전압, 안전상의 점에서 고압변성기(20)에 내장하여 절연성능이 높은 수지로 충전해서 사용한다. 역펄스V1의 진폭은 변성기(30)의 2차권선(32)의 권선수 및 고압변성기(20)에 내장된 콘덴서(25)의 정전용량값에 의해서 결정되고,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펄스V1과 역펄스V11의 절대값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면 펄스V1과 역펄스V11은 서로 없어져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고 있던 교번전압의 진폭을 거의 0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1)의 페이스플레이트부(3)의 앞쪽으로 방사되고 있던 교번전계VLEF(100)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7인치의 고정밀 디스플레이(고정밀 음극선관 표시장치)에서는 1000Vp-p의 귀선펄스V0에 의해 내장도전막(13)에 약 10Vp-p의 펄스 V1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220Vp-p의 역펄스V1을 정전용량 150pF의 콘덴서(25)를 거쳐서 공급하였다. 그리고, 음극선관(1)의 관앞면에서 30cm의 거리에 교번전계측정기 (예를 들면 스웨덴의 Combinova사제의 EFM200)을 배치하고, 대책전의 7V/m이었던 VLEF를 0.6V/m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실측에 의해 확인하고, VLEF를 TCO가이드라인 (≤1V/m)이하로 할 수 있어 불필요한 복사전계의 인체로의 영향이 문제로 되지 않는 레벨로 개선되었다. 여기에서, 역펄스전압V1을 인가하는 콘덴서(25)의 용량을 C25로 하면 (V0×C0)(V1×C25)로 되고, K×V0×C0=V1×C25로 하면 0.1≤K≤0.9로 된다.
C25는 제3a도의 정전용량 C1에 대응하는 것이며, 식 3이 이 실시예에서도 성립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에서는 변성기(30)의 1차권선의 한쪽끝을 전원에 접속했지만 제15도에서는 콘덴서를 거쳐서 기준전위(GND)에 접속되어 있다.
수평편향회로(50)는 인덕턴스(44)를 거쳐서 전원에 접속되어 에너지가 공급된다. 또, 수평편향코일(62)에는 변성기(40)의 1차코일(41)이 접속되고, 변성기(40)의 2차코일(42)에는 1차코일(41)에 발생한 귀선펄스V0과 극성이 반전한 역펄스V1이 발생한다.
이 역펄스V1은 고압변성기(20)의 단자(26)에 공급되고, 내장도전막(13)의 펄스V1을 없애고 교번전계VLEF(100)을 저감한다. 일반적으로 고압회로(51)는 영상주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동작하고 있으며, 고압변성기(20)의 2차권선(22)로 승압한 펄스는 완전히 평활할 수 없고, 그 리플(전압변동)이 출력단자(27)에 남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변동분의 영향을 없애는 것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3도에서 설명한 변성기(30)의 2차코일(32) 또는 제15도에서 설명한 변성기(40)의 2차코일(42)에서 얻은 제1의 역펄스V1에 고압변성기(20)에 구비된 보조권선(28)에서 얻은 제2의 역펄스V3을 중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2개의 역펄스 V1, V3을 가산하여 합성한 역펄스(V1+V3)을 콘덴서(25)의 한쪽끝에 접속되는 단자(26)에 공급하고,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을 없애는 역펄스(V11+V31)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도 (V0×C0)C((V1+V3)×C25)가 만족시켜진다.
다음에 제1의 역펄스V1에 제2의 역펄스V3을 중첩하는 이유를 제17a~f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7a도는 귀선펄스V0및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펄스V1을 도시하고 있고, 제17b도는 고압변성기(20)에서 발생하는 교류성분을 도시한 것으로써, 귀선기간에 발생하는 고압선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펄스V2및 이 V2에 기인하여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펄스V21을 나타내고 있다. 수평편향회로(50)과 고압회로(51)에 발생하는 귀선펄스V0과 잔류펄스V2는 위상이 Δt (수μ초정도) 다르며, 이 결과 제1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하는 교번전압은 펄스V1과 V21을 가산한 전압 (V1+V21)로 된다. 따라서, 제17d도, 제17e도에 도시한 제1의 역펄스V1과 제2의 역펄스V3을 가산하고, 내장도전막(13)에 제17f도에 도시한 역펄스(V11+V31)을 얻는 것에 의해서 상기 펄스 (V1+V21)와 서로 없앨 수 있어 교번전계VLEF(100)을 거의 0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극선관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역펄스를 내장도전막(13)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변성기(20)에서 고압(HV)을 음극선관(1)에 인가하는 제1의 애노드케이블(91)은 탄성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애노드캡(90)의 내부에 있어서 제2의 애노드케이블(92)의 한쪽끝과 접속되고, 애노드케이블(92)의 다른쪽끝은 콘덴서(94)의 한쪽끝에 접속된다. 이 콘덴서(94)는 수지제의 용기(93)에 넣어지고, 상기 용기(93)의 내부에는 내전압성능이 높은 수지를 충전해서 콘덴서(94)의 다른쪽끝을 전선(95)에 접속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콘덴서(94)의 기능은 상기 각 실시예의 콘덴서(25)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9도는 역펄스를 내장도전막(13)에 공급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써, 제19도는 애노드케이블과 애노드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0도는 제19도의 애노드케이블의 XX-XX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고압변성기(20)으로 부터의 애노드케이블(91)의 바깥둘레부에 소정의 길이의 도전체(96)를 고압(HV)가 인가되는 코어선(97)과 거의 동축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깥둘레의 도전체(96)와 코어선(97) 사이에는 정전용량(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하고, 이 정전용량에 의해 바깥둘레의 도전체(96)에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역펄스V1또는 역펄스 (V1+V3)을 인가하면 음극선관(1)의 내장도전막(13)에 역펄스V11또는 역펄스(V11+V31)을 얻을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장도전막(13)에 발생한 교번전압의 진폭을 저감하여 교번전계VLEF(100)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역펄스V1은 제9a도의 보조권선(64)에서 얻어진 것 또는 제10도의 회로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해서 제13도의 단자(26)에 입력하거나 제18도, 제19도의 구성을 사용해서 인가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특허청구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음극선관의 양극에 적어도 고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내장도전막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퍼넬부의 유리용기의 외벽면에 형성된 도전막형상 전극 및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편향요크수단에 공급되는 귀선펄스전압V0에 기인해서 발생되는 정전결합에 의해 상기 내장도전막수단에 발생하는 전압과는 역극성을 갖는 역펄스전압V1을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은 상기 음극선관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장흑연막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외장흑연막은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내장도전막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을 C0,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과 상기 내장도전막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을 C1, 곱 (V0×C0)에 비례하는 제1교번전압을 V1, 곱(V1×C1)에 비례하는 제2교번전압을 V11로 하면, 식 V1-V11 0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역펄스전압V1의 값이 설정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C0을 저감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인접하는 부분의 유리용기의 유리의 두께를 상기 음극선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있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C0을 저감하기 위해서, 상기 유리용기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내장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C0을 저감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인접하는 유리용기 부분의 유리재의 유전율을 8이하로 설정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0.5(C1/C0)15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의 외표면에 형성되고 접지에 접속된 투영도전막을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도전막은 단위면적당의 저항값이 2×106 /square이하인 저항을 갖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편향요크의 코어에 마련된 보조권선에서 역펄스전압을 얻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발생하는 귀선펄스를 검출하는 수단 및 검출한 상기 귀선펄스를 감쇠, 반전해서 역펄스전압을 얻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0. 음극선관의 양극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내장도전막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퍼넬부의 유리용기의 외벽면에 형성된 도전막형상 전극, 상기 편향요크수단에 공급되는 귀선펄스전압V0에 기인해서 발생되는 정전결합에 의해 상기 내장도전막수단에 발생하는 전압과는 역극성을 갖는 제1의 역펄스전압V1을 발생하는 수단, 상기 전압공급수단의 출력에 발생하는 교류성분과 극성이 반전한 제2의 역펄스전압V3을 발생하는 수단,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V1과 상기 제2의 역펄스전압V3을 서로 가산하는 수단 및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은 상기 음극선관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장흑연막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외장흑연막은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내장도전막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을 C0,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과 상기 내장도전막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을 C1로 하면 (V0×C0)((V1+V3)×C1)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1. 음극선관의 양극에 적어도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변성기수단,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내장도전막수단,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발생하는 귀선펄스전압과 극성이 반전한 제1의 역펄스 전압을 발생하는 수단, 상기 내장도전막수단에 정전용량을 거쳐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공급하는 수단, 상기 고압변성기수단의 출력단자에 발생하는 교류성분과 극성이 반전한 제2의 역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수단,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과 상기 제2의 역펄스전압을 서로 가산하는 수단 및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정전용량을 거쳐서 상기 내장도전막수단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발생하는 귀선펄스를 검출하는 수단 및 검출한 상기 귀선펄스를 감쇠, 반전해서 제1의 역펄스전압을 얻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역펄스전압 중의 적어도 1개를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그의 1차권선을 접속하고 2차권선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역펄스전압 중의 적어도 1개를 얻는 변성기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 역펄스전압 중의 적어도 1개를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편향요크의 코어에 마련된 보조권선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역펄스전압 중의 적어도 1개를 얻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공급하는 수단은 한쪽끝이 상기 고압변성기수단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콘덴서를 거쳐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공급하는 수단은 상기 고압변성기수단으로부터의 고전압을 음극선관의 양극으로 인도하는 애노드버튼부에 한쪽끝이 접속된 콘덴서를 거쳐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공급하는 수단은 상기 고압변성기수단으로부터의 고전압을 음극선관의 양극으로 인도하는 애노드케이블의 바깥둘레에 동축형상으로 마련된 도전체를 거쳐서 상기 제1의 역펄스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의 외표면에 형성되고 접지에 접속되며 단위 면적당의 저항값이 2×106Ω/square 이하인 투명도전막을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
  19. 음극선관의 양극에 적어도 고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내장도전막수단, 상기 음극선관의 퍼넬부의 유리용기의 외벽면에 형성된 도전막형상 전극 및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편향요크수단에 공급되는 귀선펄스전압Vo에 기인해서 발생되는 정전결합에 의해 상기 내장도전막수단에 발생하는 전압과는 역극성을 갖는 역펄스전압V1을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은 상기 음극선관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장흑연막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외장흑연막은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내장도전막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을 C0, 상기 도전막형상 전극과 상기 내장도전막수단 사이의 정전용량을 C1, 곱 (V0×C0)에 비례하는 제1의 교번전압을 V1, 곱(V1×C1)에 비례하는 제2의 교번전압을 V11로 하면, 식 V1-V11 0을 만족시키는 상기 역펄스전압V1의 값이 설정되고, 초저주파전계(VLEF)의 강도가 상기 음극선관의 정면 30cm정도의 거리에 있어서 1(V/m) 이하의 값으로 감소되는 음극선관 표시장치.
KR1019950035737A 1994-10-19 1995-10-17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KR100204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20894A JP3218887B2 (ja) 1994-10-19 1994-10-19 陰極線管表示装置
JP94-253208 1994-10-19
JP94-303808 1994-12-07
JP6303808A JPH08163474A (ja) 1994-12-07 1994-12-07 陰極線管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4724B1 true KR100204724B1 (ko) 1999-06-15

Family

ID=2654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737A KR100204724B1 (ko) 1994-10-19 1995-10-17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708474B1 (ko)
KR (1) KR100204724B1 (ko)
DE (1) DE69518713T2 (ko)
TW (1) TW3955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160B1 (ko) * 1995-10-27 1999-06-01 윤종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계 차폐 회로
JPH09153334A (ja) * 1995-11-29 1997-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888421B2 (ja) * 1996-01-18 1999-05-10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ディスプレイモニタ
JPH1092344A (ja) * 1996-07-25 1998-04-10 Toshiba Corp 陰極線管及び陰極線管装置
CN101002110B (zh) 2004-08-10 2010-12-08 佳能株式会社 放射线探测装置、闪烁体板及其制造方法和放射线探测系统
DE102011086646B4 (de) 2011-11-18 2013-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Bildschirm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Bildschirms
TWM479825U (zh) 2013-10-01 2014-06-11 Jin-Tan Huang 可標示旋轉行程的手工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0598C (fi) * 1991-02-07 1994-02-25 Nokia Display Products Oy Menetelmä ja kytkentä katodisädeputken aiheuttaman haitallisen säteilyn pienentämiseksi
SE469456B (sv) * 1991-11-22 1993-07-05 Nokia Data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i en bildskaermsenhet foer att reducera elektriska vaexelfaelt i enhetens omgivning
JPH05283020A (ja) 1992-03-31 1993-10-29 Sony Corp 陰極線管
US5231332A (en) * 1992-04-15 1993-07-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C electric field emission suppression in CRT imag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5550U (en) 2000-06-21
DE69518713D1 (de) 2000-10-12
EP0708474A1 (en) 1996-04-24
EP0708474B1 (en) 2000-09-06
DE69518713T2 (de) 200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0598B (fi) Menetelmä ja kytkentä katodisädeputken aiheuttaman haitallisen säteilyn pienentämiseksi
KR100204724B1 (ko)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KR960000350B1 (ko) 음극선관 화상표시장치
US5689157A (en) Cathode-ray tube display unit in which unwanted radiant electric field from face plate of cathode-ray tube is decreased
US5231332A (en) AC electric field emission suppression in CRT image displays
US540408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nceling electric field
JP3218887B2 (ja) 陰極線管表示装置
EP0727806B1 (en) Leakage field decreasing device for CRT display
KR960000533B1 (ko)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KR10019016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계 차폐 회로
JP3354665B2 (ja) 画像表示装置
US6054804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H08163474A (ja) 陰極線管表示装置
US5382875A (en) Stray magnetic field suppresser for CRT image displays
JPH07298169A (ja) 画像表示装置
RU2160510C2 (ru) Видеодисплей со схемой подавления нежелательного излуч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JP254648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
KR0171737B1 (ko) 잡음 제거장치
KR0180639B1 (ko) 플라이백트랜스
JPH05314927A (ja) 陰極線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偏向ヨーク
FI119344B (fi) Menetelmä näyttöpäätteen ympäristöönsä aiheuttaman sähkökentän pienentämiseksi ja näyttöpääte
KR19990015877U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JPH0983913A (ja) 画像表示装置
JPH09205654A (ja) 陰極線管表示装置
JPH05207404A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陰極線管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