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33B1 -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33B1
KR960000533B1 KR1019930003161A KR930003161A KR960000533B1 KR 960000533 B1 KR960000533 B1 KR 960000533B1 KR 1019930003161 A KR1019930003161 A KR 1019930003161A KR 930003161 A KR930003161 A KR 930003161A KR 960000533 B1 KR960000533 B1 KR 96000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rizontal deflection
pulse voltage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072A (ko
Inventor
노부따까 오꾸야마
소이찌 사꾸라이
고지 기또
히로끼 오구로
이사오 요시미
마사오 오바라
마찌따까 오사와
고지 후꾸마
가즈오 마지마
요시오 요시와라
미노루 후루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미즈사와 일렉트로닉스
하시모또 야스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5895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04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11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082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미즈사와 일렉트로닉스, 하시모또 야스고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3002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086Multiple-wavelength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23Arrangements of two or more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3/02 - H01S3/22, e.g. tandem arrangements of separate active media
    • H01S3/2383Paralle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제1실시예의 일부를 절단해서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편향고압회로에 포함되는 플라이백 변압기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전계소거전극을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 편향요크(3)의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하는 고전압의 펄스전압 el과 플라이백 변압기(5)가 발생하는 역극성의 펄스전압 e2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 VI-VI방향에서 본 편향요크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편향요크를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피던스변환용의 변압기를 도시한 회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유도코일과 전계소거전극의 접속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유도코일과 전계소거전극의 접속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있어서 XV-XV방향에서 본 편향요크의 정면도.
제16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제8실시예의 접속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다른 유도코일과 전계소거전극을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유도코일의 접속도.
제21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유도코일의 다른 접속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전계소거전극을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제11실시예에 관한 전압파형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한 전계소거전극을 도시한 도면.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다른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도시한 측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다른 편향요크의 정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다른 편향요크의 정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다른 전계소거전극을 도시한 도면.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유도코일을 도시한 도면.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전압파형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도시한 접속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과 성기 음극선관에 장착된 편향요크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기는 상기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관련된 제1기술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1-13843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봉입된 전자총을 구성하는 집속전극계와 음극선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자기코어를 비자성의 도전성 자기밀폐부재에 의해 고리형상을 피복한 것이 있었다.
또, 종래에 있어서의 관련된 제2기술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2-24124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안장형의 수평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의 코어에 트로이달형상으로 감은 자계소거코일을 마련하고, 이 자계소거코일을 수평편향코일에 집속하는 것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 의해서 발생하는 편향요크 본체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수평편향자계와 역극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것이 있었다. 즉, 누설자계를 소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전계를 소거해서 저감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는 수평편향주기의 톱니파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 고전압의 펄스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이 펄스전압에 의해서 구주파의 전계가 편향요크에서 외부로 방사된다. 이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하는 종래기술로서, 상기 펄스전압에 대해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발생시키고, 이것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를 외부로 방사하며, 상기 편향요크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상쇄시켜 저감하는 방법이 있다. 이 종래에 있어서의 관련된 제3기술로서는 SID 92 DIGEST 1992 pp. 135∼14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펄스전압에 의해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성분의 전계를 저감하기 위해서 전계방사기를 마련하고, 또 수평편향코일에 인가되는 상기 펄스전압에 대해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코일을 플라이백트랜스중에 마련하며, 이것에 의해 발생하는 역펄스전압을 전계방사기에 부가해서 상기 고주파성분의 전계를 소거하여 저감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 고전압의 펄스전압을 인가해서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킬때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를 향해서 고주파의 전계가 방사되기 때문에, 그 고주파의 전계에 의해 음극선관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다른 전기기기에 악영향이 미칠 우려가 있었다. 또,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도 있었다. 따라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에 있어서의 관련된 기술중 제1의 기술은 편향고압회로에 포함되는 플라이백 변압기등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누설자계가 전자빔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의 저감에 대해서는 배려되어 있지 않았다. 또, 고전압의 펄스전압이 인가되는 수평편향코일의 형광면측 열린구멍부를 밀폐부재로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편향요크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는 거의 저감할 수 없었다.
한편, 제2종래기술은 자계소거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서 편향요크로부터의 누설자계를 소거하는 자계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 제3종래기술은 고주파성분의 전계를 방사하는 주발생원인 편향요크 자체로 전계를 저감하는 방식이 아니라, 플라이백 변압기중에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코일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편향요크에 전계 방사기를 부착하는 경우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전계방사기에 인가하기 위한 리이드선이 플라이백변압기와 편향요크 사이에서 필요하였다. 또, 음극선관의 정면방향으로 발생하는 전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향코일의 내표면을 덮도록 해서 전계방사기를 부착할 필요가 있지만, 이 전계방사기에 판형상의 도전성 재료를 사용한 경우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전계방사기에 와전류가 발생하여 이것에 의한 발열이 문제였다. 이 때문에, 전계방사기를 편향요크에서 떼어내어 음극선관장치의 주변에 마련해서 발열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저각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를 작게하고 그것에 의해 발열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펄스발생회로와 전계소거전극을 연속해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에서는 역펄스전압 발생수단과 전계소거전극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편향요크에서는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유도코일을 수평 편향자계가 연결되는 (interlink) 위치에 마련하고, 또 도선 또는 박막형상 도선으로 구성한 전계소거전극을 편향요크에 구비하도록 하였다.
상기 역펄스전압 발생수단은 수평편향코일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펄스전압과 역극성인 펄스전압을 발생한다. 또, 상기 전계소거전극은 역펄스전압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펄스전압을 입력해서 전계를 발생한다. 이때, 입력한 펄스전압은 수평편향코일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펄스전압과 역극성인 펄스전압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전계는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역극성의 전계로 된다. 따라서, 이 발생한 전계는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소거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음극선관장치 전체적으로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는 저감되게 된다.
또, 상기 유도코일은 수평편향자계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작용이 있다. 이 역펄스전압을 전계소거전극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전계소거전극은 상기 역펄스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고주파의 전계를 외부로 방사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수평편향코일에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소거하는 작용을 한다. 또, 상기 전계소거전극을 도선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와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하는 작용이 있다. 또, 유도코일 또는 전계소거전극을 박막형상의 도체로 구성하면 양자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음극선관과 수평편향코일의 틈사이에 구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음극선관장치를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편향고압회로에 포함되는 플라이백 변압기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전계소거전극을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1)은 음극선관장치, (2)는 음극선관, (3)은 편향요크, (4)는 편향고압회로, (5)는 플라이백변압기, (6)은 전계소거전극, (7)은 절연프레임, (8)은 수평편향코일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편향고압회로(4)내에 포함되는 플라이백변압기(5)에 역펄스전압 발생기능을 갖게 한 것과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에 전계소거전극(6)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플라이백변압기(5)는, 수평편향코일(8)에 접속되는 단자 P1, P3, 전계소거전압(6)에 접속되는 단자 P2 및 음극선관(2)의 애노드에 접속되는 고압출력단자 P4를 갖는 편향고압회로(4)에 포함되어 있고, 역펄스전압 발생기능으로서 단자 P1에서 편향요크(3)의 수평편향코일(8)로 인가하는 고전압의 펄스전압 el(약 1000V)에 대해 역극성의 펄스전압 e2(약 200V)를 단자 P2에 발생한다.
이 플라이백변압기(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출력단자인 단자 P1 및 +B전원에 접속된 1차측 코일(5a)와 다이오드(5d)에 직렬 접속되어 단자 P4에서 고압을 얻는 2차측코일(5b)로 이루어지는 기본구성에 부가해서 유도코일(5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도코일(5c)의 한쪽끝인 단자 P5는 접지에 접속되고, 다른쪽끝인 단자 P2는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유도코일(5c)의 단자 P2에는 단자 P1에 걸리는 고전압의 펄스전압 e1에 대해 역극성인 펄스전압 e2가 발생된다.
한편, 전계소거전극(6)은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 즉 제1도에 있어서 반대측에도 마찬가지로 장착되어 있으며 단자 P2에 발생된 역극성의 펄스전압 e2를 입력해서 그 전압 e2에 거의 비례한 전계를 발생한다.
이 전계소거전극(6)은 도전성의 금속(예를들면, Cu)판으로 이루어지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프레임(7)에 형성된 홈(7a)에 매립되어 있고, 그 삽입부에는 절연커버(7b)가 부착되어 있다. 절연프레임(7)의 면(7c)는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와의 접착면으로서, 전계소거전극(6)의 면과의 각도가 예각 θ(θ<90°)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전계소거전극(6)은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에 장착되었을 때 형광면(2a)와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어 전계소거전극(6)에서는 효율적으로 전계를 형광면(2a)측으로 방사할 수 있다. 또, 전계소거전극(6)은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에 형성되는 전기적으로 접지된 카본(17)과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유용량을 저감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전계소거전극(6)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편향요크(3)의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하는 고전압의 펄스전압 e1과 플라이백변압기(5)가 발생하는 역극성의 펄스전압 e2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전압 e1과 e2는 서로 위상은 같지만, 극성은 반대이다. 펄전압 e1의 진폭은 통상 1000V 정도로 고전압이다. 이 때문에, 수평편향 출력단자 P1과 접속된 수평편향코일(8)은 구조파의 전계를 도시한 바와같이 방사하는 전극으로서 작용하고, 수평편향 출력단자 P1의 펄스전압 e1에 대략 비례한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한다.
한편, 전계소거전극(6)은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펄스전압 e1과 역극성인 약 200V의 펄스전압 e2를 입력하고 있기 때문에 이 펄스전압 e2에 대략 비례한 전계를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하고, 편향요크(3)에 의해서 음극선관장치 (1)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상쇄시켜서 그 고주파의 전계를 다른 전기기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또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전계소거전극(6)의 면적을 크게한 경우에는 전계소거소극(6)에 인가하는 펄스전압 e2를 낮게 하여도 동등한 고주파전계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의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 VI_VI방향에서 본 편향요크를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9)는 수평편향자계, (10)은 유도코일, (11)은 절연체이다. 또,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소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역펄스전압 발생기능을 갖는 유도코일(10)을 편향요크(3)에 마련한 것과 전계소거저극(6)을 편향요크(3)의 형광면측의 바깥둘레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도코일(10)은 편향요크(3)의 내면에 장착되고, 수평편향자계(9)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도코일(10)의 한쪽끝인 P5는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에 접속되고 다른쪽끝인 단자 P2는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되 있다.
한편, 전계소거전극(6)은 링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주위는 절연프레임(7)로 덮여져 있다. 그리고, 그 전계소거전극(6)은 편향요크(3)의 형광면측의 바깥둘레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수평귀선기간에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평편향자계(9)에 의해서 유도코일(10)은 제4도에 도시한 전압파형과 마찬가지로 역극성인 펄스전압 e2를 발생한다. 따라서, 유도코일(10)과 접속된 전계소거전극 (6)은 이 펄스전압 e2에 대략 비례한 전계를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하고, 편향요크(3)에 의해서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상쇄시켜서 그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편향요크(3)만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다른 것을 변경하지 않고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도코일(10)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막형상의 절연체(11)상에 코일의 도체패턴을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도코일(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편향요크(3)을 더욱 음극선관(2)의 퍼넬부(2)에 밀착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0)을 수평편향코일(8)의 표면에 장착하고 있지만, 수평편향자계(9)가 누설하고 있는 곳이며 어떠한 장소에도 유도코일(10)을 배치해도 좋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의 음극선관장치에서 사용되는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역펄스전압 발생기능을 갖는 유도코일(10)을 음극선관(2)에 마련한 것과 전계소거전극(6)을 음극선관(2)의 형광면측 바깥둘레에 걸쳐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도코일(10)은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한 편향요크부착에 장착되고, 상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평편향자계(9)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도코일(10)의 한쪽끝인 P5는 음극선관(2)의 접지에 접속되고 다른쪽끝인 단자 P2는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계소거전극(6)은 절연피복된 도선으로 이루어지고, 음극선관(2)의 형광면측 바깥둘레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수평귀선기간에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평편향자계 (9)에 의해 유도코일(10)은 제4도에 도시한 전압파형과 마찬가지인 역극성의 펄스전압 e2를 발생한다. 따라서, 유도코일(10)과 접속된 전계소거전극(6)은 이 펄스전압 e2에 대략 비례한 전계를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하고, 편향요크(3)에 의해서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상쇄시켜서 그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음극선관(2)만의 구성에 의해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전계소거전극(6)은 절연피복된 도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도선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전계소거전극(6)의 총면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소거전계의 강도의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전계소거전극(6)을 음극선관(2)에 장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나 상술한 제1실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의 카본(17)의 일부를 접지부분과 분리해서 전극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음극선관(2)에 전계소거전극(6)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의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편향요크를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12)는 코어, (15)는 절연테이프, (16)은 수직편향코일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역펄스전압 발생기능을 갖는 유도코일(10)을 편향요크(3)의 코어(12)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전계소거전극(6)에 대해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기술한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유도코일(10)은 편향요크(3)의 코어(12)에 트로이달형상으로 감겨서 구성되고, 수평편향자계(9)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절연테이프 (15)에 의해서 수직편향코일(16)과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도코일(10)의 한쪽끝인 단자 P5는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이나 접지 등의 고주파 펄스적으로 저전위의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끝인 단자 P2는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수평귀선기간에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평편향자계 (9)에 의해서, 유도코일(10)은 제4도에 도시한 전압파형과 마찬가지인 역극성의 펄스전압 e2를 발생한다. 따라서, 유도코일(10)과 접속된 전계소거전극(6)은 이 펄스전압 e2에 대략 비례한 전계를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하고, 편향요크(3)에 의해서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상쇄시켜서 그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편향요크(3)만의 구성에 의해 고주파의 전계의 소건에 필요한 역극성의 펄스전압 e2를 발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피던스변환용의 변압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13)은 임피던스변환용의 변압기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수평편향코일(8)의 임피던스변환용의 변압기(13)에 역펄스전압 발생기능을 갖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계소거전극(6)에 대해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기술한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여기에서, 변압기(13)은 일차측 코일(13a)에 부가해서 유도코일(13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도코일(13b)의 한쪽끝은 수평편향출력의 단자 P3에 접속되고, 다른쪽끝인 단자 P2는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편향요크(3), 음극선관(1) 및 편향고압회로 (4)를 변경하는 일없이 단지 변압기(13)과 전계소거전극(6)을 마련하는 것만을 의해서, 편향요크(3)에서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소거할 수가 있다.
또한, 변압기(13)에 있어서 편향고압회로(4)의 단자 P1과 접속되는 일차측코일(13a)는 중간탭 P6을 돌출시켜 수평편향코일(8)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권선의 일부를 2차측 코일과 겸용하고 있다. 변압기(13)의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의 턴 (turn)수비가 1대 1인 경우에는 중간탭 P6의 위치는 단자 1P의 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코일(5c), (10) 또는 (13b)의 출력인 역극성의 펄스전압 e2에 직류전압이 중첩되어 있어도, 음극선관장치(1)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에 대한 저감효과는 동일하다. 따라서, 유도코일(5c), (10) 또는 (13b)의 양단자중 전계소거전극(6)과 접속하지 않는 쪽의 단자 P5를 접속하는 부분의 전위는 접지전위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전위라도 좋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편향요크(3)을 음극선관(2)에 부착했을 때의 측면도이고, 제11도는 제6실시예의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제4도는 제6실시예의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e1과 유도코일(10)에 의해 발생되는 역펄스전압 e2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3)은 편향요크, (8)은 수평편향코일, (16)은 수직편향코일, (10)은 유도코일, (6)은 전계소거전극, (2)는 음극선관, P3은 수평편향코일의 저전위측 단자, 16P는 수직편향코일의 저전위측단자, P12는 유도코일(10)의 역펄스발생단자, (2a)는 형광면, e1은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펄스전압, e2는 유도코일(10)에 의해 발생되는 역펄스전압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편향요크(3)은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펄스전압 e1에 의해서 편향요크(3)의 주위에 발생되는 고주파성분의 전계를 저감하기 위해 도선 또는 박막형상 도선으로 구성한 전계소거전극(6)을 구비하고, 또 상기 펄스전압 e1에 대해서 역극성의 펄스전압 e2를 발생하는 유도코일(10)을 수평편향자계와 연결되는 위치에 마련하고, 유도코일(10)의 한쪽끝을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 또는 수직 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중의 어느 한쪽에 접속하고, 다른 한쪽끝을 상기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에는 전계전압에 효과가 있는 수평편향주기의 역극성의 포물선형상의 전압이 발생하고 있다. 이 포물선형상 전압은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에 톱니파형상의 수평편향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또,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에는 전계저감의 효과로서는 접지전위와 대략 동일한 수직편향 주기에서 다소 변화하는 직류전위에 가까운 전압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유도코일(10)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 (2a)측 열린구멍부의 가장자리(fringe)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게전소거전극(6)은 제11도의 결선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도코일(10)의 역펄스발생단자 P2에 접속되고,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의 형광면(2a)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장지리부에서는 수평귀선기간에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평편향자계가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유도코일(10)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 (8)에 인가되는 펄스전압 e1에 대해서 역극성인 펄스전압 e2가 발생한다. 이 역펄스전압 e2는 유도코일(10)의 턴수에 비례한 전압을 얻을 수가 있다. 여기에서, 펄스전압 e1의 진폭값은 1000V 정도로 고전압이고, 이 펄스전압 e1이 수평편향코일(8)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고주파의 전계가 편향요크(3)에서 외부로 방사된다. 한편, 역펄스전압 e2는 전계소거전극(6)에 가해지고, 역펄스전압 e2에 대략 비례한 전계를 외부로 방사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서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상쇄시켜서 전계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전계소건극(6)을 도선 또는 박막형상 도선으로 구성한 것에 의해서, 전계소거전극 (6)이 판형상이 도전성 재료에 비해 와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이것에 수반하는 발열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선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전계소거전극(6)의 총면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소거전계의 강도의 조정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편향요크(3)에 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을 부착했을 뿐인 구성에 의해서, 고주파의 전계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편향요크(3)을 수평편향코일 (8)의 형광면(2a)측 열린구멍부에서 본 도면이고, 제13도는 이때의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상기 유도코일(10)을 여러개 마련하고, 이들을 각각 직렬 접속해서 상기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한 점에 특징이 있다. 제12도에서는 유도코일(10)을 2개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유도코일(10a)와 (10b)는 수평편향코일(8)의 권선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하의 창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들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도코일(10a)와 (10b)를 직렬 접속하고, 유도코일(10a)의 한쪽끝을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2 또는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중의 어느 한쪽에 접속하고, 유도코일(10b)의 한쪽끝을 도선 또는 박막형상 도선으로 구성한 전계소거전극(6)에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0a), (10b)를 수평편향코일(8)의 상하 창부에 부착해서 수평편향 자계와 연결시키고 역펄스전압 e2를 유도코일(10a), (10b)의 양쪽에 발생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계소거전극(6)에 인가되는 역펄스전압은 유도코일(10a), (10b)가 발생하는 역펄스전압을 합한 것으로 되어 전계저감의 효과를 증대할 수가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편향요크(3)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2a)측 열린구멍부에서 XV-XV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제16도는 이 제14도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상기 유도코일(10)을 여러개 마련하고, 이것에 상기 전계소거전극(6)을 각각 접속한 점에 특징이 있다. 유도코일(10a)와 (10b)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상의 상하에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2개의 코일을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도코일(10a)(10b)의 한쪽끝을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 또는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중의 어느 한쪽에 접속하고, 다른 한쪽을 전계소거전극(6a), (6b)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0ab), (10b)를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상에 부착해서 수평편향자계와 연결시키고 역퍼스전압 e2를 유도코일 (10a), (10b)의 양쪽에 발생시키고 있다. 이것을 전계소거전극(6a), (6b)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편향요크(3)에서 발생하는 전계와 상쇄시켜서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계소거전극(6)을 여러개 마련하고 있으므로, 편향요크(3)의 전계가 강하게 발생되는 여러 장소에 따라서 전계소거전극(6)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전계저감의 효과를 증대할 수가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편향요크(3)을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 (2a)측 열린구멍부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압(6)이 동일한 도선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있다. 유도코일(10)은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8)의 창부에 부착되고, 그리고 전계소거전극(6)은 도선을 물결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 제18도는 제9실시예에 관한 다른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제18도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방형상의 유도코일 (10)을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상에 장착하고, 또 상기 유도코일(10)의 상부에 방형파형상의 전계소거전극(6)을 부착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은 동일한 도선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이 동일한 도선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접속하는데 소비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접속선이 없으므로 신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유도코일(10)가 전계소거전극(6)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제17도에서는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2a)측 열린구멍부에 유도코일(10)만을 삽입식으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제18도의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을 1개의 부품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상에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편향요크(3)의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 (2a)측 열린구멍부에서 본 도면이고, 제20도 및 제21도는 제10실시예에 관한 유도코일(10)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는 유도코일(10)을 역펄스가 발생하는 감기방향으로 되도록 수평편향코일(8)과 동시에 일체로 감아 유도코일(10)의 한쪽끝을 수평편향코일(8)의 저잔위측 단자 P3 또는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중의 어느 한쪽에 접속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유도코일 (10)을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의 창부에서부터 감기시작하여 동일도면의 점선 A로 도시한 위치까지 수평편향코일(8)과 동시에 일체로 감고, 감기종료에 상당하는 역펄스발생측 단자 P2를 수평편향코일(8)의 바깥측으로 돌출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유도코일(10)과 수평편향코일(8)의 접속은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도코일(10)을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단자 P3에 접속하거나 또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도코일(10)을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단자 16P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20도, 제21도의 각각의 점선 B, C로 둘러싸인 곳이 수평편향코일(8)과 동시에 일체로 감겨져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0)을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으로 동시에 일체로 감는 것에 의해, 수평편향코일(8)을 작성하는 작업공정에서 유도코일(10)을 일체로 조립할 수가 있다.
제22도 및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편향요크(3)의 전계소거전극(6)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23도는 제11실시예에 관한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유도코일(10)을 사용하지 않고 전계소거전극(6)만을 편향요크(3)에 마련하고, 이것을 수평편향코일 (8)의 저전위측 단자 P3 또는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9P중의 어느 한쪽에 접속한 점이 특징이다. 제22도는 전계소거전극(6)을 수평현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에 접속하고 있다. 이때의 수평 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에는 제23도의 e3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펄스전압 e1에 대해서 역극성의 포물선파 형상의 전압이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에 발생한다. 이 포물선과 형상의 전압 e3은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에 접속되어 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S자형 콘덴서에 톱니파형상의 수평편향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펄스전압 e1에 의해 편향요크(3)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24도는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에 전계소거전극(6)을 접속한 것이다. 이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의 전압을 수직편향 주기에서 다소 변화하지만, 거의 직류전위라고 생각해도 상관없다. 이 때문에,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에 전계소거전극(6)을 접속하는 것은 전계소거전극(6)을 접지에 접지한 것과 동등한 전계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측에 수평의(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즈코일 등이 접속되어 있고, 수직편향코일(8)의 저전위측 단자 P3에 펄스전압 e1과 동일한 극성의 펄스전압이 발생하고 있고, 전계전압의 효과가 작은 경우에는 전계소거전극(6)을 수직편향코일(16)의 저전위측 단자 16P에 접속하는 쪽이 전계저감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5도 및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편향요크(3)의 측면도이다.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19)는 편향요크(3)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복사자계를 소거하는 자계소거코일이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편향요크(3)은 수평편향코일(8)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복사자계를 소거하는 작용의 자계소거코일(19)에서 발생하는 소거자계가 연결되는 위치에 유도코일(10)을 부착하고, 또 전계소거전극(6)은 자계소거코일(19)을 덮도록 부착한 점이 특징이다. 제25도는 페라이트의 코어를 사용하지 않는 중심이 빈 형의 자계소거코일(19)를 수평편향코일(8)의 상하에 장착한 편향요크(3)에, 유도코일(10)을 수평편향코일(8)과 자계소거코일(19) 사이에 부착하고, 그리고 전계소거전극(6)을 자계소거코일(19)의 상부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26도는 적은 권선으로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페라이트의 코어를 사용한 자계소거코일(19)를 편향요크(3)의 상하에 장착하고, 이 자계소거코일(19)와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분을 둘러싸도록 유도코일(10)을 부착하고, 그리고 전계소거전극(6)을 자계소거코일(19)의 상부에 부착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서는 유도코일(10)을 자계소거코일(19)의 근방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자계소거코일(19)에서 발생하는 수평편향주기의 소거자계와 수평편향코일(8)에서 발생하는 편향자계의 양쪽이 동시에 유도코일(10)과 연결되므로, 큰 진폭의 펄스전압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전계소거전극(6)을 자계소거코일(19) 근방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자계소거코일(19)에서 방사되는 전게를 집중해서 저감할 수가 있다. 또,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을 자계소거코일(19)에 부착하면, 양자를 부착하기 위한 장소를 새로 마련한 필요가 없다. 그리고, 자계소거코일(19)의 보빈 구조를 유도코일(10)과 전계소거전극(6)을 감을 수 있도록 편향요크(3)에 일체로 부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27도∼제31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편향요크(3)의 전계소거전극(6)의 형상 또는 부착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편향요크(3)은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 또는 편향요크(3)의 내장면의 일부를 덮도록 전계소거전극(6)을 부착한 점, 또는 상기 전계소거전극(6)을 링형상의 코일로 구성하고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부의 앞면에 가장자리의 형상에 맞게 부착한 점 및 또 전계소거전극(6) 또는 유도코일(10)을 막형상의 절연체상에 도체패턴을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한 코일로 구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27도는 전계소거전극(6a)를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 (2a)측 열린구멍부의 가장자리바깥둘레에 부착하고, 또 전계소거전극(6b)를 수평편향코일(8)의 전자총측 열린구멍부의 가장자리바깥둘레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8도는 전계소거전극(6)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해서 편향요크(3)의 내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9도는 전계소거전극(6)을 링형상의 코일로 하여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 앞면에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30도는 전계소거전극(6)을, 또 제31도는 유도코일(10)을 각각 막형상의 절연체 (11)상에 도체패턴을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한 코일로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서는 펄스전압 e1이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하고, 이것에 의해 수평편향코일(8)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소거하기 위해 전계소거전극(6)으로 수평편향코일(8)을 덮도록 부착한 것이다. 특히, 제2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편향코일(8)의 형광면(2a)측 열린구멍부와 전자총측 열린구멍의 가장자리바깥둘레에 부착한 경우, 편향요크(3)의 좌우측면에서의 전계저감효과는 크다. 또, 편향요크(3)의 정면의 전계를 저감하는 경우, 수평편향코일(8)의 내표면을 전계소거전극(6)으로 덮도록 부착하면 저감효과는 크고,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계소거전극(6)을 부착하면 좋다. 이때, 전계소거전극은 도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평편향자게에 의한 와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또 도선이므로 얇게 전계소거전극(6)을 구성할 수 있어 수평편향코일(8)의 내표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계소거전극(6)을 가장자리의 형상에 맞춘 링형상의 코일로 구성한 경유도 마찬가지로, 편향요크(3)의 정면의 전계를 저감할 수가 있다. 또, 가장자리부에 용이하게 부착을 실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에, 전계소거전극(6) 또는 유도코일(10)을 편향요크(3)의 내표면등에 밀착해서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30도 및 제3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막형상의 절연체(11)상에 도체패턴을 인쇄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한 코일로 구성하면 전계소거전극(6) 및 유도코일(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다. 또, 도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와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펄스전압 e1과 역펄스전압 e2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33도는 제14실시예의 접속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21)은 콘덴서, (22)는 저항이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는 유도코일(10)에 발생하는 역펄스전압 e2에 포함되는 고주파성분의 링깅(ringing)을 유도코일(10)의 양끝에 덤핑소자 D를 병렬접속해서 방지한 점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서는 제3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역펄스전압 e2의 하강직후에 발생하는 고주파성분의 링깅을 저감하기 위해서, 제33도에 도시하는 유도코일(10)의 양끝에 콘덴서(21)과 저항(22)를 직렬접속하고 이것을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상기 고주파성분의 링깅은 진폭이 큰 역펄스전압 e2를 얻고자 해서 유도코일(10)의 턴수를 많게 한 경우에 발생한다. 이 고주파성분의 링깅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링깅이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전계저감의 효과가 감소한다. 그래서, 이것을 개선하는 수단으로서 콘덴서(21)과 저항(22)의 직렬회로를 유도코일(10)에 병렬로 접속하고, 고주파성분의 링깅을 저감할 수 있어 전계저감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코일(10)의 단자중 전계소거전극(6)과 접속하는 단자와 다른 단자의 접속부 사이에 저항 등의 덤핑소자를 직렬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링깅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재되는 효과 [1]∼[6]을 얻을 수 있다.
[1] 음극선관장치에 구비한 전계소거전극에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인가하고, 편향요크 및 편향고압회로에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와 역극성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서,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를 소거해서 저감할 수가 있다.
[2] 수평편향출력에 접속한 변압기 또는 수평편향자계와 연결되는 유도코일을 마련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음극선관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의 전감에 필요한 역극성의 펄스전압을 발생할 수가 있다.
[3] 편향요크에 구비한 전계소거전극에 역펄스전압을 인가해서 편향요크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고주파의 전계에 대해서 역극성의 전계를 방사하고, 상기 고주파의 전계를 소거해서 저감할 수가 있다.
[4] 전계소거전극은 도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와전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한 발열을 억제한다는 효과가 있다.
[5] 유도코일과 전계소거전극을 연속해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6] 음극선관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외부의 전기기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 음극선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수평편향코일(8)을 갖는 편향요크(3)과 상기 편향요크(3)이 장착되는 음극선관(2)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펄스전압(e1)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음극선관장치로서, 상기 음극선관(2)의 퍼넬부(2b)에 전기적으로 접지된 외장카본(17) 및 상기 음극선관(2)의 상가 퍼넬부의 상기 카본의 일부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음극선관(2)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계소거전극(6)과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상기 펄스전압(e1)과 역극성인 펄스전압(e2)를 발생하는 역극성의 펄스전압 발생수단(5,10,13)을 포함하고, 상기 역극성으 펄스전압(e2)는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의한 수평편향자계의 발생시에 발생되는 전계를 소거하도록 전계를 발생하는 상기 전계소거전극(6)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극성의 펄스전압발생수단(5,10,13)은 플라이백변압기(5)내에 배치된 유도코일(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극성의 펄스전압발생수단(5,10,13)은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의해 발생된 자계와 자기적으로 접속된 유도코일(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극성의 펄스전압발생수단(5,10,13)은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접속된 코일(13a)를 갖는 변압기(13)내에 배치된 유도코일(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5. 적어도 수평편향코일(8)을 갖는 음극선관(2)상에 장착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8) 고펄스전압(e1)을 인가할때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요크로서, 도선, 도체판 또는 막형상의 절연체상의 도체패턴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향요크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 또는 내표면상에 부착된 전계소거전극(6)과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상기 펄스전압(e1)과 역극성인 역펄스전압(e2)를 발생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의해 발생된 상기 수평편향자계와 연걸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유도코일(10)을 또 포함하고, 상기 전계소거전극(6)은 상기 유도코일(10)의 한쪽끝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6. 제5항에 있어서, 또 상기 유도코일(10)에 덤핑소자(21,2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크.
  7. 적어도 수평편향코일(8)을 갖는 음극선관(2)상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고펄스전압을 인가할 때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요크로서, 도선, 도체판 또는 막형상의 절연체상의 도체패턴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향요크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수평편향코일(8)의 가장자리 또는 내표면상에 부착되는 전계소거전극(6)을 포함하고, 상기 전계소거전극(6)은 수직편향코일(16) 또는 상기 수평편향코일(8)의 저전위 단자(P3,16P)중의 어느 한쪽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8. 적어도 수평편향코일(8)과 이 수평편향코일(8)에 접속되는 소거용 코일(19)을 갖는 음극선관(2)상에 장착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고펄스전압(e1)을 인가할 때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요크로서, 도선, 도체판 또는 막형상의 절연체상의 도체패턴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소거용 코일(19)상에 부착되는 전계소거전극(6)과 상기 수평편향코일(8)에 인가되는 상기 펄스전압(e1)과 역극성인 역펄스저납(e2)을 발생하고, 상기 소거용 코일(19)에 의해 발생된 소거자계와 연결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유도코일(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19930003161A 1992-05-08 1993-03-04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KR960000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15895 1992-05-08
JP11589592A JP3100459B2 (ja) 1992-05-08 1992-05-08 陰極線管装置
JP4211209A JPH0660827A (ja) 1992-08-07 1992-08-07 偏向ヨーク
JP92-211209 199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072A KR930024072A (ko) 1993-12-21
KR960000533B1 true KR960000533B1 (ko) 1996-01-08

Family

ID=2645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161A KR960000533B1 (ko) 1992-05-08 1993-03-04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475287A (ko)
EP (1) EP0568783B1 (ko)
KR (1) KR960000533B1 (ko)
DE (1) DE6932115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160B1 (ko) * 1995-10-27 1999-06-01 윤종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계 차폐 회로
US5818171A (en) * 1996-01-16 1998-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removing electric field of display
JPH09233355A (ja) * 1996-02-27 1997-09-05 Totoku Electric Co Ltd 不要電界の低減方法
JPH09284790A (ja) * 1996-04-16 199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Crt表示装置及びその電界輻射抑制電極及び回路
JPH1092344A (ja) * 1996-07-25 1998-04-10 Toshiba Corp 陰極線管及び陰極線管装置
JP3271705B2 (ja) * 1999-04-06 2002-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管の製造方法
US7514686B2 (en) * 2004-08-10 2009-04-07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detecting apparatus, scintillator panel,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radiation detec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6346A1 (en) * 1987-02-19 1988-08-25 Hantarex Spa Device for limiting the magnetic emission in cathode ray tube monitors
US5241293A (en) * 1988-06-15 1993-08-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Flyback transformer including a plated metal coil and having reduced leakage flux
US5066891A (en) * 1990-01-02 1991-11-19 Raytheon Company Magnetic field cancellation circuit
FI90598C (fi) * 1991-02-07 1994-02-25 Nokia Display Products Oy Menetelmä ja kytkentä katodisädeputken aiheuttaman haitallisen säteilyn pienentämiseksi
EP0500349B1 (en) * 1991-02-20 1996-01-03 Nanao Corporation Apparatus for suppressing field radiation from display device
GB2255441B (en) * 1991-04-18 1995-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having alternating electric field reduction device
US5151635A (en) * 1991-06-20 1992-09-29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magnitude of time varying electric fields in CRT displays
DE4123565C1 (ko) * 1991-07-16 1992-09-17 Tandberg Data A/S, Oslo, No
CN1040934C (zh) * 1991-07-18 1998-11-25 东芝株式会社 阴极射线管图像显示装置
SE469456B (sv) * 1991-11-22 1993-07-05 Nokia Data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i en bildskaermsenhet foer att reducera elektriska vaexelfaelt i enhetens omgivning
JPH05283020A (ja) * 1992-03-31 1993-10-29 Sony Corp 陰極線管
US5231332A (en) * 1992-04-15 1993-07-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C electric field emission suppression in CRT image displays
US5162706A (en) * 1992-04-17 1992-11-10 Tzu-Chiang Wu Anti-horizontal-impulse cathode-ray-tube driving system
US5198729A (en) * 1992-07-02 1993-03-30 Display Technologies, Inc. CRT monitor with elimination of unwanted time variable electric f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75287A (en) 1995-12-12
DE69321156D1 (de) 1998-10-29
EP0568783B1 (en) 1998-09-23
US5701061A (en) 1997-12-23
DE69321156T2 (de) 1999-06-02
KR930024072A (ko) 1993-12-21
EP0568783A1 (en) 199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36418A (ja) ア―ク制限デバイス
KR960000533B1 (ko) 음극선관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편향요크
KR960000350B1 (ko) 음극선관 화상표시장치
JP3278747B2 (ja) 漂遊磁界を抑制する方法および電気回路
JP3354665B2 (ja) 画像表示装置
US5689157A (en) Cathode-ray tube display unit in which unwanted radiant electric field from face plate of cathode-ray tube is decreased
KR100204724B1 (ko) 음극선관의 페이스플레이트로 부터의 불필요한 복사전계를 저감한 음극선관 표시장치
JP3100459B2 (ja) 陰極線管装置
US5347196A (en) Line output transformer
JP3744250B2 (ja) 陰極線管装置
JP3217588B2 (ja) 不要電界の抑制方法
US5635793A (en) Cathode-ray tube and display unit using the cathode-ray tube
KR940007955A (ko) 음극선관 장치
JP3749774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
JPS6219111Y2 (ko)
JPH0660827A (ja) 偏向ヨーク
JP2888421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
KR0180639B1 (ko) 플라이백트랜스
JPH06103934A (ja) 表示装置
TW376644B (en) Cathode-ray tube device capable in inhibiting leakage of electric field
JPH08163474A (ja) 陰極線管表示装置
JP2002044567A (ja) 陰極線管装置
KR19990015876U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JPH09213228A (ja) 陰極線管装置からの漏洩電場調整方法および陰極線管装置
KR19990015877U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