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891B1 - 표백제 - Google Patents

표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891B1
KR100203891B1 KR1019960704511A KR19960704511A KR100203891B1 KR 100203891 B1 KR100203891 B1 KR 100203891B1 KR 1019960704511 A KR1019960704511 A KR 1019960704511A KR 19960704511 A KR19960704511 A KR 19960704511A KR 100203891 B1 KR100203891 B1 KR 10020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alkali metal
chelating agent
peroxid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라그네모
모니카 지그스탐
Original Assignee
자이드 스콜드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400653A external-priority patent/SE9400653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403408A external-priority patent/SE9403408D0/xx
Application filed by 자이드 스콜드,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자이드 스콜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05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01B15/106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2Poly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를 가지는 입자에 관계하며, 그 입자는 다음식을 만족시키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코팅을 가진다 : RCn Hm (OH)n COOH, R은 CH2OH나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의 제조 및 용도와 이러한 입자를 함유한 조성물에도 관계한다.

Description

표백제
분말 세제 조성물은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하는 표백제로서 과산화 화합물을 종종 포함한다. 그러나, 많은 과산화 화합물은 저장 안정성이 없다. 이들의 분해는 보통 세제에 존재하며 물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금속 양이온에 의해 가속화되며 알카리 pH(8내지 12)에 의해, 그리고 TAED(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TAGU(테트라아세틸 글루코루릴)또는 PAG(펜타 아세틸 글루코스)와 같은 표백활성제 또는 제올라이트 등의 세제에 존재하는 성분에 의해 가속화된다.
환경에 우호적인 세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퍼카보네이트로 알려진 알카리 금속 탄산염 과산화 수화물을 표백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세제에서 퍼카보네이트의 활성은 세제가 실온 및 습도에 저장된다면 분해를 통해 빠르게 감소한다.
퍼카보네이트를 안정화 시키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는데 그 방법은 붕산염, 규산염 또는 유기 물질 등의 안정화 물질로 코팅하거나 혼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 방법은 GB1575792, EP459625, US3975280, 및 EP573731에 발표된다.
또한 퍼카보네이트를 알카리 금속 시트르산염(EP546815참조)또는 포스폰산(WO91/15423)과 같은 킬레이트제와 조합하는 것도 발표된다.
CH659082는 과산화물, 무기 탄산염 및 산 또는 그 산의 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세제 첨가물을 발표하는데 이 첨가제는 표백제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US4075116은 탄산 나트륨과 과산화수소로부터 퍼카보네이트 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표하는데 그 방법은 황산 나트륨, 황산 칼륨, 피로인산 나트륨, 메타규산 나트륨, 이규산 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글루코헵토네이트 나트륨, 과붕산 나트륨, 무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나트륨과 칼륨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화합물 첨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특허는 제조된 퍼카보네이트 나트륨의 안정화 또는 퍼카보네이트를 함유한 세제 혼합물의 다른 구성 성분의 억제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 코어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코팅을 갖는 입자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이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도 관계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러한 코팅된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도 관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제 조성물에서 개량된 저장 안정성을 갖는 과산화 화합물, 특히 알카리 금속의 퍼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환경에 우호적인 구성 성분만을 함유하는 과산화 화합물로 이루어진 입자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수용액에서, 특히 알카리용액에서 과산화 수소나 입자를 제공함으로써 이 목적이 달성되었다. 이 입자는 다음식을 만족시키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으로부터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한 코팅을 가진다 :
RCnHm(OH)nCOOH
여기서, R은 CH2OH 또는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상기식에 따른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은 포스폰산, 시트르산염 또는 EDTA(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와 같은 종래의 킬레이트제에 비해서 우월한 저장 안정성을 주며, 동시에 쉽게 생분해 될 수 있으므로 환경에 우호적이다. 포스폰산, 포스포네이트 및 EDTA와 같은 쉽게 생분해되지 않는 킬레이트제는 입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좋다. 게다가, 킬레이트제는 코어에 혼합되는 것보다는 코팅으로 적용될 때 훨씬 효과적이다 라고 발견되었다. 그러나, 가장 효과적인 안정화는 코어가 상기 식에 따른 킬레이트제를 포함할 때 일어난다.
본 발명은 과산화 화합물이 알카리 금속 과탄산염이면 특히 이득이 되나 과붕산, 과산화황산, 과산화인산 또는 과산화규산의 알카리금속염, 디·아실화된·디·과산화 카르복실산과 같은 과산화 카르복실산 방출 화합물이나 과산화 카르복실산 등의 다른 과산화 화합물도 안정화 될 수 있다(WO 1991/17143). 입자는 10내지 99중량%, 선호적으로는 50내지 95중량%의 과산화 화합물과 0.1내지 20중량%, 선호적으로는 0.5내지 15중량%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한다. 코팅에서 킬레이트제는 입자의 0.1내지 15중량%, 선호적으로는 0.5내지 10중량%를 구성하며 보조킬레이트제는 0.1내지 10중량%, 선호적으로는 0.2내지 5중량%를 구성한다. 킬레이트제 전체량의 50내지 100중량%가 입자의 코팅에 있다.
킬레이트제에서 알카리 금속은 나트륨, 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알카리 토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선호되는 킬레이트제는 상기식에 따른 상기식에 따른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다. R이 CH2OH인 것이 선호된다. 또한 n이 4또는 5이고 m이 n과 같거나 n-2인 것이 선호되며 탄소 사슬은 포화되거나 하나의 이중결합을 포함한다. 특히 선호되는 킬레이트제는 상기식에 따른 화합물의 알카리 금속염에서 R이 CH2OH이고, n이 5인 알카리 금속 글루코헵토네이트이다. 다른 선호되는 킬레이트제는 알카리금속 글루코네이트(R이 CH2OH이고 n과 m이 4일)와 알칼리금속 아스코어베이트(R이 CH2OH이고 n과 m이 2인)이다. 다른 유용한 킬레이트제는 트리히드록시 글루타르산, 타타르산 또는 삭카린산의 염을 포함한다. 또한 입자는 상기식의 두 개 이상의 상이한 킬레이트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경적으로 허용가능한 다른 킬레이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자가 상기식의 킬레이트제와 알카리금속 규산염을 포함할 때 저장 안정성에서 상승효과가 발생함이 발견되었다. 안정화 효과는 SiO2: M2O(M이알카리금속)가 1내지 3, 특히 1.5 내지 2.5이라면 특히 양호하다고 발견되었다. 알카리금속은 나트륨, 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선호된다. 선호적으로, 입자의 코어는 알카리금속규산염을 입자의 0.1 내지 10 중량%, 선호적으로는 0.5 내지 7중량% 포함한다. 코어가 알카리 금속 규산염과 킬레이트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특히 선호된다.
가장 선호적으로, 코팅 역시 알카리 금속 규산염을 입자의 0.1 내지 10중량%, 0.5 내지 5중량% 함유한다.
입자는 킬레이트제와 알카리금속 규산염을 함유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수 있다. 입자는 또한 킬레이트제나 알카리금속 규산염을 함유하지 않은 추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안정성 측면에서 상승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킬레이트제와 무수 알카리 금속 탄산염 사이에 발견되었다. 따라서, 입자의 코어가 무수 알카리 금속 탄산염, 특히 탄산 나트륨을 입자의 1 내지 50중량%, 선호적으로는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면 안정성은 향상된다. 또한 알카리 금속의 황산염이나 인산염 등의 다른 불활성 물질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입자는 50 내지 3000㎛, 선호적으로는 100 내지 1250㎛의 평균 직경을 가진다. 선호되는 밀도는 600 내지 1500g/ℓ, 특히 800내지 1100g/ℓ이다. 높은 평균 입자 크기와 높은 밀도는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제조 방법에도 관계하며, 그 방법은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상에 코팅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코팅은 다음식을 만족시키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금속염 또는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한다 :
RCnHm(OH)nCOOH
여기서, R은 CH2OH 또는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는 상기식의 킬레이트제와 알카리금속 규산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자는 주로 입자 직경이 200㎛이하인 과산화 화합물은 주로 구성된 미립자에 킬레이트제 및/또는 알카리 금속 규산염 및/또는 다른 보조성분을 첨가하고, 이후에 코팅될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입자를 얻기 위해서 혼합물을 과립화하여 제조된다. 킬레이트제, 알카리금속 규산염 및 다른 보조성분이 예컨대 알카리 금속 탄산염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알카리 금속 퍼카보네이트가 제조될 때 직접 포함될 수도 있다. 알카리금속 규산염은 용액 형태로 첨가되고 킬레이트제가 과산화 화합물에 첨가하기 전에 용액에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설명, 적당한 양뿐만 아니라 과산화 화합물, 킬레이트제, 알카리 금속의 규산염 및 다른 성분이 언급된다.
과립화는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되는데 그것은 압축, 압출, 드럼이나 디스크상에서 응집, 유동 베드 과립화 등이다. 또한 코팅은 드럼이나 유동 베드에서 분무하는 종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옷감의 세척이나 접시 세척에서 표백제로서 과산화 화합물, 알카리 금속 규산염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입자의 용도에 관계한다. 세척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제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분리된 표백 분말형태인 입자와 함께 공급된다. 과탄산 나트륨 0.01내지 6g에 해당하는 1ℓ 당 0.001 내지 1g의 활성 산소를 획득할 수 있는 양으로 세척수가 입자와 함께 공급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불활성 충진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세척 활성 물질을 함유한 조성물에 관계하며, 그 조성물은 과산화 화합물과 본 발명에 따른 킬레이트제로된 입자를 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더욱 포함한다. 이 조성물은 상이한 종류의 과산화 화합물을 함유한 입자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 활성 물질은 세제 증강제, 표면 활성제, 알카리 발생물질, 표백 화성제, 또는 세제에 통상 사용되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증강제는 예컨대 인산염, 제올라이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규산염, 결정성 이규산염, 무수 이규산염(예, Britesil(상표명)),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표면 활성제는 음이온 표면 활성제, 비이온 표면활성제, 비누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음이온 표면활성제는 선형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2차 알칸 술포네이트, 알코올-에톡시술페이트 또는 α-올레핀 술포네이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이온 표면 활성제는 지방 알코올, 알킬 페놀 및 알킬 아민 등의 알킬화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누는 예컨대 기름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4차 암모늄 화합물이나 이미드 아조리늄염 등의 양이온성 표면 활성제와 양쪽성 표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다. 알카리 발생 물질의 예는 탄산염, 규산염, 인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표백 활성제는 예컨대 TEAD, TAGU, SNOBS(소듐 노닐 벤젠 술포네이트) PAG(펜탄 아세틸 글루코스) 또는 디아실화된 디퍼옥시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WO 1991/17143). 충진재는 황산 나트륨과 같은 불활성 물질이다. 조성물은 세탁시 따로 첨가될 표백 분말 또는 완전한 세제를 구성할 수 있다.
직물 세탁용 세제는 본 발명이 따른 입자를 1 내지 30중량%, 선호적으로는 10내지 20중량% 포함한다. 게다가, 세제는 5 내지 50중량%의 세제 증강제, 5 내지 35중량%의 표면활성제, 5 내지 20중량%의 알카리 발생 물질을 포함한다. 선호적으로, 세제는 5내지 20중량%의 음이온 표면 활성제, 2 내지 15중량%의 비이온 표면활성제, 0.1내지 5중량%의 비누를 포함한다. 또한, 세제는 1 내지 10중량%의 표백 활성제, 5 내지 50중량%의 황산 나트륨과 같은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적 관점에서 선호되지 않을지라도 인산염이나 EDTA와 같은 킬레이트제를 0.1 내지 1중량%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세제는 물유리, 카르복시케틸 셀룰로오스, 효소, 거품 조절제, 향료, 착색제, 건식 혼합, 응집 또는 분무건조로 제조된다면 과산화 화합물을 함유한 입자, 효소 및 향료 등의 열에 민감한 성분은 건조된 물질에 첨가되어야 한다.
별도의 표백 분말은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 화합물을 함유한 입자가 거의 100중량%이나 그양은 5내지 90중량%가 선호된다. 표백 분말은 단지 하나의 과산화 화합물이나 상이한 과산화 화합물을 함유한 입자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과탄산염과 같은 과산화수소 발생 물질이 10내지 75중량%의 양으로 2내지 25중량%의 TAED나 TAGU와 같은 표백 활성제과 조합으로 사용된다면 이득이 된다. 또한 디아실화 디퍼옥시 카르복실산 등의 다른 표백 활성제가 2내지 2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백 분말은 5내지 90중량%의 세제 증강제, 10중량%까지의 표면 활성제, 2중량%까지의 효소, 또는 5 내지 90중량%의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되는 표백 분말은 퍼카보네이트 함유 입자 30 내지 75중량%, 표백활성제 10 내지 25중량%, 나머지는 세제 증강제, 충진재, 표면 활성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접시 세척용 세제는 코팅된 과탄산 나트륨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된 입자로 이루어진 표백제 2 내지 15중량%, 알카리 금속 이규산염 5 내지 50중량%, 알카리 금속 탄산염 0 내지 40중량%, 시트르산 나트륨과 폴리 카르복실레이트 나트륨 또는 소듐 트리 포스페이트(STPP)와 같은 증강제 15 내지 50중량%, 저 거품성 비이온 표면활성제 0.5 내지 5중량%, 효소 0.5 내지 5중량%, 및 TAED와 같은 표백활성제 1 내지 6중량%를 포함하는 저알카리성 세제형태일 수 있다(세척수의 pH는 약 10-11이다) 식기 세척 세제는 저 알카리성 세제와 유사한 조성을 한 고알카리성(세척수의 pH가 11-12이다)일 수 있으나 이규산염이 20 내지 80중량%의 알카리금속 메타규산염 및 STPP로 이루어진 증강제로 대체된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4A와 같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한 세제에 사용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 특히 퍼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안정한 표백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적 측면에서 덜 적합한 EDTA나 인산염과 같은 세제에 통상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의 사용을 감소시키거나 배제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직경이 315-1250㎛이고 밀도가 1000g/ℓ 인 과탄산 나트륨 입자가 이규산 나트륨 수용액과 상이한 킬레이트제들을 써서 회전 드럼에서 분무하고 유동 베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코팅된다. 비교용 입자는 시트르산 나트륨, DeguestR2016(1-히드록시-에틸리덴 C1,1-디스포스폰산)테트라 소듐염)과 EDTA 2 나트륨으로 코팅함으로써 제조된다. 과산탄염의 저장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제조된 입자와 코팅안된 입자가 9.7% 선형 알킬벤젠 술포네이트((평균 11.5), 5.2% 에톡시화 C12-18알코올(EO7), 3.6% 나트륨 비누, 32.5% 제올라이트 A, 13.0%탄산나트륨, 5.2%의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의 나트륨염(CP5), 3.9%의 나트륨 물유리(비3.3) 1.3%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0.3% EDTA, 0.3%광택제(스틸벤 형태), 24.4% 황산 나트륨, 물 및 거품 조절제, 0.6% 효소 프릴 프로테아제(활성도 300.00)으로 이루어진 표준 세제 IEC-Z(Henkel)에 포함된다. 64%의 IEC-Z, 12g의 과탄산염 입자 및 4g의 TAED로 샘플이 준비된다. 신속한 안정도 계수(QSI)가 24시간 40℃에서 저장하는 동안 형성된 산소의 양을 측정하고 과탄산염의 활성 산소의 상대적 함량(%)으로 발생된 산소의 양을 나눔으로써 각 샘플에 대해 결정된다. 따라서 QSI값이 낮으면 안정도가 높다. 여러 코팅 조성을 갖는 입자에 대한 QSI-값이 하기 테이블에 도시되며 성분의 함량은 전체 입자에 대한 중량%이다. 다음 약어가 사용된다 : PC=과탄산 나트륨, SI=이규산 나트륨, C=시트르산 나트륨, D=DequestR2016, E=EDTA 2나트륨, GH=글루코헵톤산 나트륨, G=글루콘산 나트륨, AO=활성산소, QSI=빠른 안정화 계수
[실시예 2]
직경이 315-1250㎛이고 밀도가 900g/ℓ ,과탄산 나트륨 입자가 회전하는 Eirich드럼에서 이규산 나트륨 용액 및/또는 글루코헵톤산 나트륨 및/또는 무수 탄산 나트륨(소오다회)와 함께 과탄산염 미립자를 과립화 함으로써 제조된다. 이후에 유동 베드에서 입자가 건조되고 글루코헵톤산 나트륨 및/또는 이규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코팅된다. 과탄산염에 첨가하기 이전에 모든 첨가제는 사전 혼합된다. 표준 세제에서 과탄산염의 안정성이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된다. 그 결과는 아래 테이블에 도시된다. 성분의 함량이 2개의 숫자로 표시된 경우에 첫 번째 숫자는 코어내의 함량이고 두 번째 숫자는 코팅내의 함량이다. 실시예 1에서 처럼 모든 함량의 입자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이다. 실시예 1과 같은 약어가 사용되며 추가적으로 S는 소오다 회를 나타낸다.

Claims (31)

  1.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어를 가지는 입자에 있어서, 입자가 다음식을 만족시키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코팅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
    RCn Hm (OH)n COOH
    여기서, R은 CH2OH나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입자의 코어가 다음식을 만족시키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
    RCn Hm (OH)n COOH
    여기서, R은 CH2OH나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R이 CH2OH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5. 제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n이 4또는 5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6. 제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m이 n과 같거나 n-2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7.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글루코헵톤산의 알카리금속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8.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아스코르브산의 알카리 금속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9.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과산화 화합물이 과탄산의 알카리금속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0.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입자의 코어가 규산의 알카리 금속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1.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코팅이 규산의 알카리 금속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2.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SiO2: M2O몰비가 1 내지 2.5이고 M은 알카리 금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3.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입자의 코어가 무수알카리 금속 탄산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입자가 0.1 내지 20중량%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5.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자에 다음식을 만족시키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함유한 코팅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14항중 어느항에 따른 입자제조방법:
    RCn Hm (OH)n COOH
    여기서 R은 CH2OH나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16.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을 포함한 입자에 있어서, 입자의 코어가 알카리 금속 규산염과 다음식을 만족하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금속염 또는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
    RCn Hm (OH)n COOH
    여기서 R은 CH2OH나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입자가 0.1 내지 10중량%의 알카리금속 규산염과 0.1내지 10중량%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8.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19. 제18항에 있어서, R이 CH2OH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0. 제16항에 있어서, n이 4 또는 5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1. 제16항에 있어서, m이 n과 같거나 n-2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2. 제16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글루코헵톤산의 알카리 금속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3. 제 22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글루코헵톤산 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4. 제16항에 있어서, 과산화 화합물이 과탄산 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25. 수용액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화산을 방출할 수 있는 과산화 화합물, 알카리 금속 규산염 및 다음식을 만족하는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 금속염이나 알카리 토금속염에서 선택된 킬레이트제가 혼합되고 과립화되어 입자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6항 내지 24항중 어느항에 따른 입자 제조방법:
    RCn Hm (OH)n COOH
    여기서 R은 CH2OH나 COOH이고 n은 2-6이고 m은 0-n이다.
  26. 제25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의 알카리금속염이고 R은 CH2OH이고 n은 4또는 5이고 m은 n과 같거나 n-2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글루코헵톤산의 알카리금속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글루코헵톤산 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9. 제25항 내지 28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과산화 화합물이 과탄산 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0. 청구항 제1항 내지 14항 또는 16항 내지 24항중 어느 항에 따른 표백제용 입자.
  31. 계면활성제와 청구항 제1항 내지 14항 또는 16항 내지 24항 중 한항에 따른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60704511A 1994-02-25 1995-01-30 표백제 KR100203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400653-3 1994-02-25
SE9400653A SE9400653D0 (sv) 1994-02-25 1994-02-25 Blekmedel
SE9403408-9 1994-10-07
SE9403408A SE9403408D0 (sv) 1994-10-07 1994-10-07 Blekmedel
PCT/SE1995/000085 WO1995023210A1 (en) 1994-02-25 1995-01-30 Bleaching ag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891B1 true KR100203891B1 (ko) 1999-06-15

Family

ID=2666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511A KR100203891B1 (ko) 1994-02-25 1995-01-30 표백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846922A (ko)
EP (2) EP0746602B1 (ko)
JP (1) JP2829888B2 (ko)
KR (1) KR100203891B1 (ko)
AT (2) ATE164625T1 (ko)
AU (1) AU1904895A (ko)
BR (1) BR9506871A (ko)
CA (1) CA2183749C (ko)
CZ (1) CZ284031B6 (ko)
DE (2) DE69501951T2 (ko)
DK (2) DK0746602T3 (ko)
ES (2) ES2117413T3 (ko)
FI (1) FI963240A0 (ko)
HU (1) HUT75294A (ko)
NO (1) NO963533L (ko)
PL (2) PL182778B1 (ko)
RU (1) RU2116336C1 (ko)
SK (1) SK280611B6 (ko)
WO (1) WO1995023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6386B1 (fr) 1996-03-19 1998-04-24 Atochem Elf Sa Nouveau percarbonate de sodium et son procede d'obtention
DE19801086C1 (de) * 1998-01-14 1998-12-17 Henkel Kgaa Wäßrige Bleichmittel in Mikroemulsionsform
AU1302100A (en) * 1998-10-09 2000-05-01 Akzo Nobel N.V. Bleaching agent
EP0992575A1 (en) * 1998-10-09 2000-04-12 Akzo Nobel N.V. Bleaching agent
KR100366556B1 (ko) 2000-04-26 2003-01-09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세제용 입상 코티드 과탄산나트륨과 이의 제조방법
WO2004046494A2 (en) * 2002-11-18 2004-06-03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using particulate chelates to stimulate production of petroleum in carbonate formations
DE10339164A1 (de) * 2003-08-26 2005-03-31 Henkel Kgaa Stabilisierung von Wasserstoffperoxid während der Auflösung alkalisierend wirkender Feststoffe in wasserstoffperoxidhaltigen Systemen
US8206215B2 (en) * 2006-08-31 2012-06-26 Igt Gaming machine systems and methods with memory efficient historical video re-creation
US8034759B2 (en) * 2008-10-31 2011-10-11 Ecolab Usa Inc. Enhanced stability peracid compositions
WO2011056935A1 (en) * 2009-11-06 2011-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particle
US9644174B2 (en) 2011-09-13 2017-05-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capsulates
FR2994648B1 (fr) * 2012-08-23 2014-08-29 Oreal Composition de de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sous forme comprimee comprenant deux couches
EP3034551A1 (en) * 2014-12-17 2016-06-22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Powder mixture comprising organic peroxide
EP3447114B1 (en) 2016-04-22 2023-08-30 Shikoku Chemicals Corporation Material containing solid bleaching agent, and deter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3561A1 (de) * 1974-03-21 1975-10-02 Henkel & Cie Gmbh Lagerbestaendiger, leichtloeslicher waschmittelzusatz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S53960B2 (ko) * 1974-03-23 1978-01-13
FR2323631A1 (fr) * 1975-09-15 1977-04-08 Ugine Kuhlmann Persels mixtes stables en melange lixiviel
DE2622458C3 (de) * 1976-05-20 1985-04-25 Peroxid-Chemie GmbH, 8023 Höllriegelskreuth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Natriumpercarbonat
JPS53959A (en) * 1976-06-25 1978-01-07 Toshiba Corp A-d converter
DE2712138A1 (de) * 1977-03-19 1978-09-21 Degussa Natriumpercarbonat-partikel
GB1575792A (en) * 1978-01-10 1980-10-01 Interox Peroxygen compounds
FR2419974A1 (fr) * 1978-03-14 1979-10-12 Rhone Poulenc Ind Nouvel agent sequestrant pour compositions lessivielles a base d'un compose gluco-heptonique de magnesium
JPS5874508A (ja) * 1981-10-24 1983-05-06 Mitsubishi Gas Chem Co Inc 過炭酸ソ−ダの製法
CH659082A5 (en) * 1984-04-09 1986-12-31 Ciba Geigy Ag Detergent powder additives in the form of speckles
JPH0198699A (ja) * 1987-10-12 1989-04-17 Du Pont Mitsui Fluorochem Co Ltd 溶剤組成物
GB8904007D0 (en) * 1989-02-22 1989-04-05 Procter & Gamble Stabilized,bleach containing,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JP2841211B2 (ja) * 1989-07-06 1998-12-24 東海電化工業株式会社 過炭酸ナトリウムの安定化方法
JPH0662998B2 (ja) * 1990-04-06 1994-08-17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過酸素洗濯用漂白剤
JP2969794B2 (ja) * 1990-05-25 1999-11-0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過炭酸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
GB9126296D0 (en) * 1991-12-11 1992-02-12 Unilever Plc Sodium percarbonate
EP0550077A1 (en) * 1992-01-03 1993-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ranular laundry bleaching composition
US5332518A (en) * 1992-04-23 1994-07-26 Kao Corporation Stable slurry-coated sodium percarbonat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bleach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5336433A (en) * 1992-06-08 1994-08-09 Eka Nobel Ab Bleaching agent
GB9326522D0 (en) * 1993-12-29 1994-03-02 Solvay Interox Ltd Process for stabilising particulate alkali metal percarbonate
DE4408359A1 (de) * 1994-03-14 1995-09-21 Henkel Kgaa Lagerstabil fixiertes Wasserstoffperoxid enthaltende Mehrstoffgemische in Feststofform,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109896A3 (en) 1997-07-09
CA2183749A1 (en) 1995-08-31
DE69501951D1 (de) 1998-05-07
FI963240A (fi) 1996-08-19
EP0745664A1 (en) 1996-12-04
PL182778B1 (pl) 2002-02-28
PL315943A1 (en) 1996-12-09
EP0746602B1 (en) 1998-04-01
SK280611B6 (sk) 2000-05-16
ES2117413T3 (es) 1998-08-01
US5846922A (en) 1998-12-08
PL182371B1 (pl) 2001-12-31
WO1995023210A1 (en) 1995-08-31
DE69502484T2 (de) 1998-09-24
AU1904895A (en) 1995-09-11
EP0746602A1 (en) 1996-12-11
CZ246796A3 (en) 1996-12-11
CA2183749C (en) 2000-10-17
DK0745664T3 (da) 1999-03-08
ES2117468T3 (es) 1998-08-01
BR9506871A (pt) 1997-09-09
JP2829888B2 (ja) 1998-12-02
RU2116336C1 (ru) 1998-07-27
DE69501951T2 (de) 1998-09-24
DE69502484D1 (de) 1998-06-18
DK0746602T3 (da) 1999-01-04
ATE166103T1 (de) 1998-05-15
FI963240A0 (fi) 1996-08-19
HUT75294A (en) 1997-05-28
HU9602338D0 (en) 1996-10-28
NO963533L (no) 1996-08-23
JPH09509445A (ja) 1997-09-22
EP0745664B1 (en) 1998-05-13
CZ284031B6 (cs) 1998-07-15
ATE164625T1 (de) 199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891B1 (ko) 표백제
KR100207149B1 (ko) 표백제
JP2852975B2 (ja) 漂白剤
JP2983062B2 (ja) 漂白剤
RU2140971C1 (ru) Частицы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отбеливающая и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и
EP0669282B1 (en) A method for obtaining and coating sodium carbonate perhydrate to stabilize it in deter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