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044B1 -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044B1
KR100203044B1 KR1019950028625A KR19950028625A KR100203044B1 KR 100203044 B1 KR100203044 B1 KR 100203044B1 KR 1019950028625 A KR1019950028625 A KR 1019950028625A KR 19950028625 A KR19950028625 A KR 19950028625A KR 100203044 B1 KR100203044 B1 KR 10020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contact
facsimile
leaf spring
conta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한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50023690A external-priority patent/KR970012172A/ko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2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044B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시밀리 전송기에 있어서, 특히 원고지를 협지 이송함과 동시에 판독하는 기능을 갖는 원고지 이송기구의 설치공간 최소화 및 조립 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 밀착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체(20)측에 컨택트 이미지 센서(21)가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부(22)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22)의 바닥면에 판스프링(23)이 안착되고, 이 판스프링(23)이 상기 컨택트 이미지 센서(21)이 하면을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게 설치하고, 이 컨택트 이미지 센서(21)의 상부면에 이송롤러(24)가 밀착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판스프링(23)은 수납부(22)에서 일체형으로 하여 더욱 부품 절감 및 조립공구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제1도는 종래 원고이송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컨택트 이미지 센서
22 : 수납부 23 : 판 스프링
24 : 이송롤러
본 발명은 팩시밀리 전송기에 있어서, 특히 원고를 협지 이송함과 동시에 판독하는 기능을 갖는 원고지 이송기구의 설치공간 최소화 및 조립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의 밀착이미지센서(CIS) 조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 전송기의 원고지 이송기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이송롤러(10)의 외주면에는 센서브래킷(11)에 부설된 컨택트 이미지 센서(12)가 탄성스프링(13)에 의해 밀착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브래킷(11)은 일단의 힌지핀(14)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판 스프링(13)은 고정수단에 의해서 각각 본체측에 고정설치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안된 원고 테이블에 적층된 원고지(5)는 일매씩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공급되고, 회전되는 이송롤러(10)와 탄성 스프링(13)에 의해 일방으로 탄력 부세되어 있는 센서 브래킷(11)의 사이에서 협지됨과 동시에 배출되면서 캔택트 이미지센서(12)에 의해 원고지의 화상이 판독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 브래킷(11)이 일단의 힌지핀(14)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센서 브래킷(11)의 설치시 힌지핀(14)을 가공함과 동시에 설치공간을 본체에 구성해야 하고, 센서 브래킷(11)을 일방에서 탄력 지지하게 위해 측방에 기울어져 배설된 탄성 스프링(13)은 고정수단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크게 차지하여 원고지 이송기구의 콤패트화를 꾀할수 없으며, 또한 브래킷(11), 탄성스프링(13) 및 힌지핀(14)등의 많은 부품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택트 이미지 센서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본체측에 조립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수단에 의해 이송롤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원고지 이송기구의 조립공수를 단순화하고, 설치공간의 최소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 전송기의 원고지 이송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본체측에 컨택트 이미지 센서가 수납가능하도록 수납부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의 바닥면에 판 스프링이 안착되고, 이 판 스프링이 컨택트 이미지 센서의 하면을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게 설치되고, 이 컨택트 이미지 센서의 상부면에 이송롤러가 밀착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원고지 이송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측에 컨택트 이미지 센서(21)가 수납가능하도록 수납부(22)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22)의 바닥면에 판스프링(23)이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 판 스프링(23) 없이 수납부에서 판스프링(23)의 기능을 일체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23)의 일단에 돌츨된 정부(23a)가 상기 컨택트 이미지 센서(21)의 하면을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게 설치되고, 이 컨택트 이미지 센서(21)의 상부면에 이송롤러(24)가 밀착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측에 형성된 수납부(22)에 컨택트 이미지 센서(21)를 장착하면, 컨택트 이미지 센서(21)는 판 스프링(23)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받게 됨으로 상방으로 들림됨과 동시에 상방의 이송롤러(24)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도시안된 원고지 테이블 상에 적층된 원고지(5)가 일매씩 인출되어 화살표로 도시한 B방향으로 진입하고, 이송롤러(24)와 이 이송롤러와 밀착된 컨택트 이미지센서(21)의 사이에서 협지됨과 동시에 원고지가 판독되고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의 원고지 이송기구는 종래와 같이 컨택트 이미지 센서(21)가 고정 지지되는 센서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힌지핀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체 조립공수가 절감되고, 컨택트 이미지 센서(2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23)을 컨택트 이미지 센서(21)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설치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21)의 탄성부를 판 스프링(23) 대신에 수납부 자체에서 일체형으로 하여 판 스프링(23)의 기능을 수행 할 수도 있으므로 부품 절감 및 조립공수가 더더욱 절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롤러에 밀착되게 컨택트 이미지 센서를 수납시켜 탄성지지하게 구성 설치 함으로써 조립공수를 대폭 줄일수 있고, 설치공간의 최소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팩시밀리 전송기의 원고지가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컨택트이미지센서 사이에서 이송되면서 판독되고, 상기 컨택트이미지센서는 수납부(22)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 팩시밀리의 밀착이미지센서 조립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이미지 센서(21)의 탄성부가 수납부(22)의 바닥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밀착이미지센서 조립체 구조.
KR1019950028625A 1995-08-01 1995-09-01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KR10020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625A KR100203044B1 (ko) 1995-08-01 1995-09-01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690A KR970012172A (ko) 1995-08-01 1995-08-01 멀티 마이크로 프로세서용 버스제어(bus controller)장치
KR1019950028625A KR100203044B1 (ko) 1995-08-01 1995-09-01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690A Division KR970012172A (ko) 1995-08-01 1995-08-01 멀티 마이크로 프로세서용 버스제어(bus controller)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044B1 true KR100203044B1 (ko) 1999-06-15

Family

ID=2663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625A KR100203044B1 (ko) 1995-08-01 1995-09-01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04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2512A (en) Document feeder
EP2541890B1 (en) Image reading device
US20140347711A1 (en) Image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02344695A (ja) 画像読取装置
KR100203044B1 (ko) 팩시밀리의 밀착 이미지 센서 조립체 구조
JP2003140275A (ja) 画像読取装置
KR100706016B1 (ko) 컴팩트 구조를 갖는 복합기
JPH1171037A (ja) コロ取付装置
JP2600053Y2 (ja) 密着イメージ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CN110521196B (zh) 读取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3677725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4010437B2 (ja) 画像形成装置
JP3780705B2 (ja) 原稿給送装置
KR200144671Y1 (ko) 모사전송기의 독취원고 좌,우 치우침 방지장치
JP2775327B2 (ja) 給紙装置
KR100290323B1 (ko) 팩시밀리의원고급지장치
JP3558888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20040087366A (ko) 화상 스캐닝유닛 및 화상 스캐닝장치
JP20051731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31990A (ja) 画像読取装置
JPH07291476A (ja) 紙送り装置
JP2002247284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584586B1 (ko) 화상독취장치
KR100542355B1 (ko) 플랫베드 타입의 화상판독부를 갖는 사무자동화기기
CN116928203A (zh) 铰链及使用此铰链的办公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