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38B1 - 유전체 공진기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2738B1 KR100202738B1 KR1019950049663A KR19950049663A KR100202738B1 KR 100202738 B1 KR100202738 B1 KR 100202738B1 KR 1019950049663 A KR1019950049663 A KR 1019950049663A KR 19950049663 A KR19950049663 A KR 19950049663A KR 100202738 B1 KR100202738 B1 KR 100202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lectric
- pillars
- magnetic field
- coupling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기둥(12a-12b)간의 제1자계를 자계결합시키고 또한 유전체 기둥(11a, 11b)간의 제 2자계를 자계결합시키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형성하고, 유전체 기둥(12b-12c)간의 제 3자계를 자계결합시키는 자계결합용 창(21bc)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칸막이판이나 특별한 결합루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공간자계결합만에 의하여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소정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순차로 자계결합시킬 수 있다. 또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특성조정용 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진기의 Q의 상승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특별한 결합루프를 사용하지 않고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소정의 유전체 기둥사이를 공간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제14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5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a)는 그의 평면도, (b)는 그의 정면도, (c)는 그의 저면도이다.
제16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7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a)는 그의 평면도, (b)는 그의 정면도, (c)는 그의 저면도이다.
제18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9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a)는 그의 평면도, (b)는 그의 정면도, (c)는 그의 저면도이다.
제20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1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a)는 그의 평면도, (b)는 그의 정면도, (c)는 그의 저면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계결합용 구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3도는 종래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공진기 2 : 도체막
9 : 복합유전체 기둥 10, 11, 12 : 유전체 기둥
15 : 캐버티 20, 21 : 자계결합용 창
30, 31 : 금속패널 33, 33 : 커넥터
35, 36 : 결함루프
본 발명은 주위를 도체로 둘러싼 공간내에 2개 또는 3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하는 형상으로 된 복합유전체 기둥을 각각 형성한 복수개의 TM(transverse magnetic)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조합하여 복수단(段)의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등을 구성할 때에, 각각 2개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킨 복수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배치하고, 인접하는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사이에서 소정의 일측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자계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제 23도에 나타낸다. 제 23도는 2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한 예이며, 제 23도에 있어서 1a, 1b는 각각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이며, 각 공진기는 각각 2개의 유전체 기둥을 교차시킨 형상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을 캐버티(15a,15b)와 함께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캐버티(15a, 15b)의 외주면에는 도체막을 형성하고 있다. 복합유전체 기둥(9a, 9b)에는 13a, 14a, 13b, 14b (로 나타낸 주파수 조정용 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주파수 조정용 구멍에 대응하여 캐버티(15a, 15b)에는 주파수 조정용 부재를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구멍(41a, 42a, 41b, 42b)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구멍으로부터 주파수 조정용 부재를 삽입하고 그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각 유전체 기둥에 의한 공진기의 주파수 조정을 행한다. 또 캐버티(15a, 15b)에는 캐버티의 공간내에 대하여 결합 조정용 부재를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구멍(43a, 43b)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구멍으로부터 캐버티내에 결합 조정용 부재를 삽입하고 그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각 유전체 기둥에 따른 공진기간의 결합 조정을 행한다.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는 복합유전체 기둥(9a, 9b)이 이루는 평면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캐버티(15a, 15b)의 일측의 개구면끼리를 대향시키고 그 양자간에 칸막이판(52)을 배치하고 있다. 이 칸막이판(52)에는 2개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 중 소정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자계결합시키기 위한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한 종래의 유전체 공지기 장치에 있어서는, 복합유전체 기둥이 이루는 평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각TM2중모드 유전체 공지기를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에 열거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1. 각 복합유전체 기둥을 지지하는 캐버티의 개구면으로부터 주파수 조정용 부재 및 결합 조정용 부재를 삽입할 수 없으며, 캐버티의 측면에 주파수 조정용 부재 또는 결합 조정용 부재를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구멍(41a, 42a, 43a, 41b, 42b, 43b)이 형성되지만, 캐버티에 있어서의 이들 구멍은, 제23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캐버티의 외주면 위에 형성된 도체막에 흐르는 실전류(實電流)의 경로중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의 각 구멍은 실전류를 방해하게 되며 공진기의 Qo(무부하 Q)가 저화되게 된다.
2.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기 사이에 칸막이판(52)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대됨과 아울러, 칸막이판에 의한 Q의 저하가 발생한다.
3. 제23도에 나타낸 2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캐버티(15a, 15b)와 함께 복합유전체 기둥(9a, 9b)을 일체성형할 때에, 주파수 조정용 구멍(13a, 14a, 13b, 14b), 주파수 조정용 부재를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구멍(41a, 42a, 41b, 42b) 및 결합 조정용 부재를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한 구멍(43a, 43b)을 동시에 형성할 수 없으며, 이들 구멍은 캐버티와 복합유전체 기둥을 일체성형한 후에 별도공정에 의하여 형성하여야 하므로 공진기 자체의 비용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4. 인접하는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자계 결합용 창은, 인접하는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의 소정의 2개의 유전체 기둥끼리만을 결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TM3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한 장치에 있어서는, 결합루프를 형성하여 소정의 유전체 기둥간을 결합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출원 평6-201937호, 특허출원 평6-223242호등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관하여 이미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각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일본국 특허출원 평6-201937호에 나타낸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소정의 유전체 기둥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루프도 불필요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열된 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의 인접하는 유전체 기둥간의 결합방법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별한 결합루프를 사용하지 않고 TM3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함으로써 소형이며 단수(段數)가 많은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태양(態樣)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서는, 인접하는 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의 2쌍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각각 독립적으로 자계결합시키기 위하여,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 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1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 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2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예를 개념도로서 제 1도에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1a, 1b는 각각 TM2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이다. 9a는 유전체 기둥(11a)과 유전체 기둥(12a)이 교차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유전체 기둥이며, 9b는 유전체 기둥(11b)과 유전체 기둥(12b)이 교차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유전체 기둥이다. 이 2개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은 각각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도체에 의하여 둘러싸임과 아울러, 복합유전체 기둥(9a, 9b)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 1방향의 유전체 기둥(12a, 12b)끼리의 자계(H)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 2방향의 유전체 기둥(11a, 11b)끼리의 자계(H)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형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태양(態樣)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의 2쌍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각각 도립적으로 자계결합시킴과 아울러, 일측의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에 있어서의 2개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 중,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의 상기 제 1방향의 유전체 기둥과 제 2방향의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4개의 구성예를 개념도로서 제 2도~제 5도에 나타낸다. 제2도~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1a, 1b) 중,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에 있어서의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12a)과 제 2방향의 유전체 기둥(11a)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D)을 형성한다. 제3도, 제4도, 제5도는 제2도에 나타낸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대하여 제 3유전체 공진기(1c)를 부가한 예이다. 제3도의 예에서는, 복합유전체 기둥(9b, 9c)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12b, 12c)끼리의 자계(H)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11b, 11c)끼리의 자계(H)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bc)을 형성하고 있다. 제5도의 예에서는,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유전체 기둥(12b, 12c)끼리의 자계(H)를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bc)을 형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태양(態樣)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서는, 배열된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중, 서로 다른 유전체 공진기가 입력단과 출력단이 되도록, 배열순의 일측의 다분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와 이것에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랍용 창을 형성하고; 상기 일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 유전체 기둥을 구성하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과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하며; 배열순의 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와 이것에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자계만을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을 구성하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과 이것에 교차하는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 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3탱양에 의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2개의 구성예를 개념도로서 제6도, 제7도에 나타낸다. 이두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순의 일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1a)와 이것에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1b)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2a, 12b)의 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1a, 11b)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형성한다. 상기 일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1a)의 복합유전체 기둥(9a)을 구성하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12a)과 제 2방향의 유전체 기둥(11a)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 D)을 형성한다. 배열순의 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1c)와 이것에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1b)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9c, 9b)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 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2c, 12b)의 자계의 자계만을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b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1c)의 복합유전체 기둥(9c)을 구성하는 제 1방향의 유전체 기둥(12c)과 이것에 교차하는 유전체 기둥(제6도에서는 11c, 제7도에서는 10c)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 D)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태양(態樣)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서는, 특별한 결합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TM3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여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를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 하고,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고; 상기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의 기둥 중, 상기제 1방향과 제 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3방향의 유전체 기둥과 상기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4태양에 의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3개의 구성예를 개념도로서 제8도~제10도에 나타낸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1a, 1b)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1b)를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 하고,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2a, 12b)의 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1a, 11b)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형성하고; 상기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a)중,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3방향의 유전체 기둥(10b)과 상기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12b)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을 형성한다. 또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1a, 1b)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여기에서는 유전체 공진기(1a)}를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 하고,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 b)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2a, 12b)의 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1a, 11b)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형성하고; 상기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a)중, 상기 제 1방향과 제 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3방향의 유전체 기둥(10a)과 상기 제 1방향의 유전체 기둥(12a)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을 형성한다. 이 제 9도에 예에서는, 타측의 유전체 공진기(1b)도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 하고,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2a, 12b)의 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0a, 10b)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1ab)을 형성하고, 상기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b)중,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을 형성한다. 또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1b, 1c)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여기에서는 유전체 공진기(1c)}를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로 하고,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b, 9c)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2b, 12c)의 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의 유전체 기둥끼리(11b, 11c)의 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도체의 비형성부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20bc)을 형성하고; 상기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9c)중, 상기 제1방향과 제 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3방향의 유전체 기둥(10c)과 상기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12c)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홈(D)을 형성한다. 또한 이 제10도의 예에서는, 유전체 공진기(1a)를 더 형성하고 있지만, 유전체 공진기(1a)와 (1b)와의 관계는 제2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제11도~제13도에 나타낸 3개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1도~제13도는 각각 2개의 TM단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배치하고, 이들 공진기의 인접하는 도체부분에 자계결합용 창(20ab)을 각각 형성한 예이다. 제11도에서와 같이, 유전체 기둥(12a, 12b)의 축방향을 동일하게 하면, 유전체 기둥(12a, 12b)에 각각 발생하는 자계(Ha, Hb)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결합한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유전체 기둥(11a, 11b)의 축방향을 평행하게 되면, 각각의 유전체 기둥(11a, 11b)에 발생하는 자계(Ha, Hb)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결합한다. 그러나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유전체 기둥(11a, 12b)의 축방향이 직교하고 있으면, 각각의 유전체 기둥에 발생하는 자계(Ha, Hb)는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해서는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예로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복합유전체 기둥(9a, 9b)과 자계결합용 창(20ab)을 배치하면, 유전체 기둥(12a, 12b)끼리는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한편, 유전체 기둥(11a, 11b)끼리는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이들 자계는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자계결합은 서로 독립하여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2a, 12b)으로 이루어지는 2단의 유전체 공진기와 유전체 기둥(11a, 11b)으로 이루어지는 2단의 유전체 공진기로 된 2쌍의 공진기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 유전체 기둥(12a, 12b)끼리가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1a, 11b)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또한 복합유전체 기둥(9a)을 구성하는 2개의 유전체 기둥(11a, 12a)끼리가 전계결합한다. 따라서 제2도에 있어서 유전체 기둥에 붙인 번호 ⑴-⑵-⑶-⑷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4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제3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2b, 12c)간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bc)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1b, 11c)간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따라서 ⑴-⑵-⑶-⑷-⑸-⑹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제4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1b, 11c)간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bc)을 자계결합하고, 제5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2b- 12c)간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5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3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제 6도에 나타내 바와 같이 구성한 경우, 유전체 기둥(12b- 12c)간은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bc)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이때, 유전체 기둥(11b- 11c)은 평행관계게 있지만, 자계결합용 창(21bc)은 유전체 기둥(11b, 11c)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방향에 대한 폭이 좁기 때문에, 양자는 거의 자계결합하지 않는다. 또 복합유전체 기둥(9c)의 2개의 유전체 기둥(11c, 12c)의 교차부에 전계 결합용의 홈(D,D)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⑴-⑵-⑶-⑷-⑸-⑹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여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제 7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2b- 12c)간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bc)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이때, 유전체 기둥(11b-10c)은 직교관계에 있기 때문에 자계결합하지 않느다. 또 복합유전체 기둥(9c)의 2개의 유전체 기둥(10c, 12c)의 교차부에 젼계결합용 홈(D,D)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⑴-⑵-⑶-⑷-⑸-⑹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4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서는, 제8도에 나타낸 구성인 경우, 유전체 기둥(11a-11b)간은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또 유전체 기둥(12a- 12b)간이 자계(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결합용 창(20bc)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또 복합유전체 기둥(9a)의 2개의 유전체 기둥(11a, 12a)의 교차부에 젼계결합용 홈(D)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유전체 기둥(11a, 12a)끼리는 전계결합한다. 또한 복합유전체 기둥(9b)의 유전체 기둥(10b, 12b)의 교차부에 젼계결합용 홈(D)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유전체 기둥(10b, 12b)간이 전계결합한다. 또 유전체 기둥(10a-10b) 및 (12a-10b)는 각각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은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⑴-⑵-⑶-⑷-⑸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5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제9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1a-11b)간은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0a-10b)간은 자계결합용(21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또 유전체 기둥(12a-12b)간은 자계결합용 창(20ab) 및 (21ab)의 양측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또한 유전체기둥(10a, 12a)의 교차부에 젼계결합용 홈(D)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유전체 기둥(10a, 12a)끼리가 전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1b,12b)끼리가 전계결합한다. 따라서 ⑴-⑵-⑶-⑷-⑸-⑹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제10도의 예에서는, 유전체 기둥(11a-11b)간과 (12a-12b)간이 함께 자계결합용 창(20a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1b-11c)간과 (12b-12c)간이 함께 자계 결합용 창(20bc)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또한, 유전체 기둥(11a-12a)은 교차부의 홈(D)의 작용에 의하여 전계결합한다. 따라서 ⑴-⑵-⑶-⑷-⑸-⑹-⑺의 순으로 결합이 발생하며, 7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작용한다.
우선,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태양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다.
제14도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9a, 9b는 각각 2개의 유전체 기둥을 교차시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유전체 기둥이며, 가기둥형상의 캐버티(15a, 15b)와 함께 각각 일체성형되어 있다. 각 복합유전체 기등의 유전체 기둥에는 복합유전체 기둥이 이루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주파수 조정용 구멍(13a, 14a, 13b, 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합유전체 기둥(9a, 9b)과 캐버티(15a, 15b)에 의하여 2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1a, 1b)를 구성하고 있다 캐버티(15a, 15b)의 외주면 위에는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페이*의 베이킹(baking) 또는 도금(plating)법 등에 의하여 도체막(2a, 2b)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 캐버티(15a)와 (15b)의 대향면의 일부에, 유전체 기둥(12a, 12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크기를 따르는 방향에, 또한 유전체 기둥(11a, 11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크기를 따르는 방향에 자계결합용 창(20a, 20b)은 캐버티(15a, 15b)의 외주면에 도체막(2a, 2b)을 형성할 때에, 자계결합용 창 (20a, 20b)부분만 미리 도전 페이스트를 도포하지않고 베이킹함으로써 형성하거나, 자계결합용 창(20a, 20b)부분만 마스킹(masking)한 상태로 도전막을 도금함으로써 형성하거나, 또는 캐버티(15a, 15b)의 외주면의 도체막(2a, 2b)을 형성한 후에, 그 도체막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한다. 또한 제14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캡티외벽의 도체막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자계결합용 창응로서 사용하였지만, 캐버티의 외벽자체의 일부를 대응하는 도체막과 함께 개구하여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여도 된다.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캐버티(15a, 15b)의 상하의 개구면에는 각각 금속패널을 부착하여, 이들 금속패널과 캐버티의 외주면에 형성한 도체막에 의하여 복합유전체 기둥의 주위를 도체로 둘러싼다.
제15도에 있어서의 (a)는 제 1실시예에 관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이다. 단, (a)에 관해서는 캐버티(15a, 15b)의 상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5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버티(15a, 15b)의 상하의 개구면에 금속패널(30,31)을 부착하고 있다. 제15도의 (b)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복합유전체 기둥(9a, 9b)과 금속패널(30)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주파수 조정용 유전체 붕과 결합 조정용 유전체 봉을 나사결합하여 지지하는 불럭을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에 의하여 주파수 조정용 유전체 봉을 주파수 조정용 구멍(13a, 14a, 13b, 13b)에 삽입하고, 결합 조정용 유전체 봉을 홈(d)에 삽입한다. 금속패널(30)에는 상기 유전체 봉을 선회(旋回)시키기 위한 조정용 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금속패널(30)의 측에서 주파수 조정 및 결합조정을 행한다. 또 금속패널(31)에는 커넥터(33, 34)를 부착하고 있으며, 커넥터(33, 34)의 중심도체와 금속패널(31)사이에는 결합루프(35, 36)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결합루프(35)는 제15도의 (b)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방향에 있으며, 유전체 기둥(11b)과자계결합한다. 결합루프(36)는 그 루프면이 유전체 기둥(12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가 지나가는 방향에 있으며, 결합루프(36)는 유전체 기둥(12b)과 자계결합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1) 커넥터(33)(2) 유전체 기둥(11b)(3) 유전체 기둥(11a)(4) 유전체 기둥(12a)(5) 유전체 기둥(12b)(6) 커넥터(34)의 경로로 결합이 발생한고, 4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로서 작용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얻는다. 또한 1단째와 2단째간의 결합계수 및 3단째와 4단째의 결합계수는, 제14도에 나타낸 자계결합용 창 (20a, 20b)의 위치, 폭, 길이, 기울기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한다. 또 2단째와 3단째간의 결합계수는, 제14도에 나타낸 홈(D,D)의 폭 또는 깊이을 변화시키거나, 이홈부분에 대한 결합 조정용 부재(유전체 봉)의 삽입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한다.
다음으로, 마찬가지로 상기 본 발명의 제 2태양에 대응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장치의 구성을 제16도 및 제17(a)~17(b)도에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3개의 TM2모드 유전체 공진기(1a, 1b, 1c)를 배열함과 아울러, 제3도에 나타낸 예와도 달리, 중앙의 유전체 공진기도 복합유전체 기둥(9b)을 구성하는 유전체 기둥(11b, 12b)의 교차부에 전계결합용 홈(D,D)을 형성하고 있다. 제 16도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여, 유전체 기둥(12a-12b)간 및 유전체 기둥(11a-11b)간이 각각 자계결합용 창(20a, 20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또 유전체 기둥(11a-11b)간이 각각 자계결합용 창(20a, 20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또 유전체 기둥(12b-12c)간 및 유전체 기둥(11b-11c)간이 자계결합용 창(20b'),(20c)을 통하여 각각 자계결합한다. 또 유전체 기둥(11a-12a)간은 전계 결합용 홈(D)에 의하여 전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1b-11c)간도 마찬가지로 전계결합한다.
제17도에 있어서의 (a)는 제 2실시예에 관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이다. 단, 17(a)에 관해서는 캐버티(15a, 15b, 15c)의 상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버티(15a, 15b, 15c)의 상하의 개구면에 금속패널(30,31)을 부착하고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패널(30)과 각 복합유전체 기둥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주파수 조저 기구 및 결합 조정용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금속패널(31)에는 커넥터(33, 34)를 부착하고 있으며, 커넥터(33, 34)의 중심도체와 금속패널(31)간에는 결합루프(35, 36)는 유전체 기둥(11c, 12c)과 각각 자계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1) 커넥터(33)(2) 유전체 기둥(11c)(3) 유전체 기둥(11b)(4) 유전체 기둥(11a)(5) 유전체 기둥(12a)(6) 유전체 기둥(12b)(7) 유전체 기둥(12c)(8) 커넥터(34)의 경로로 결합이 발생하며, 또한 유전체 기둥(11b)유전체 기둥(12b)의 경로로도 결합이 발생하기 때문에, 2단째와 5단째와의 사이에점프결합(jump-over coupling)이 발생한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얻는다. 또한 이와 같이 케이블 등을 사용하지 않고점프결합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자극(poles)을 갖는 대역통과필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제 16도 및 제17(a)~17(c)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3개의 TM2중모드유전체 공진기장치를 배열하여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구성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하여 복수개의 TM2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배열하면 n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도중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끼리를 결합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n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 i단째와 (n-i+1)단째에 점프결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의 제 3태양에 대응하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다. 제18도는 유전체 공진기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며, 제6도에 나타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라고 보면 된다. 제18도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여, 유전체 기둥(12a-12b)간 및 유전체 기둥(11a-11b)간이 각각 자계결합용 창(20a, 20b)을 통하여 자계결합하고, 또 유전체 기둥(12b-12c)간이 자계결합용 창(21b, 21c)을 통하여 자계결합한다. 또 유전체 기둥(11a-12a)간은 전계결합용 홈(D)에 의하여 전계결합하고, 유전체 기둥(11c-12c)간도 마찬가지로 전계결합한다.
제19도의 (a)는 제 3실시예에 관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이다. 단, (a)에 관해서는 캐버티(15a, 15b, 15c)의 상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9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버티(15a, 15b, 15c)의 상하의 개구면에 금속패널(30,31)을 부착하고 있다. 제 1,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패널(30)과 각 복합유전체 기둥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주파수 조정 기구 및 결합 조정용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금속패널(31)에는 커넥터(33b, 33c)를 부착하고 있으며, 커넥터(33b, 33c)의 중심도체와 금속패널(31)간에는 결합루프(35b, 35c)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 결합루프(35b, 35c)는 유전체 기둥(11b, 11c)과 각각 자계결합한다. 따라서, (1) 커넥터(33b)(2) 유전체 기둥(11b)(3) 유전체 기둥(11a)(4) 유전체 기둥(12a)(5) 유전체 기둥(12b)(6) 유전체 기둥(12c)(7) 유전체 기둥(11c)(8) 커넥터(33c)의 경로로 결합이 발생하고, 6단의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얻는다. 이와 같이 2개의 결합루프(35b, 35c)를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에 부착하기 때문에, 동일한 유전체 공진기에 2개의 결합루프를 형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입력단과 출력단의 분리(isolation)가 향상된다.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의 제4태양에 대응하는 제4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성을 제20도, 제21도에 나타낸다. 제20도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며, 제9도에 나타낸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라고 보면 된다. 제20도에 있어서, 1a, 1b는 각각 3개의 유전체 기둥을 교차시키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유전체 기둥을 각기둥형상의 캐버티(15a, 15b)와 함께 각각 일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TM3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이다. 캐버티(15a, 15b)의 외주면에는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페이스트의 베이킹 또는 도금법 등에 의하여 도체막(2a, 2b)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 캐버티(15a, 15b)의 대향면으 일부에, 유전체 기둥(12a, 12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크기를 따르는 방향에, 또 유전체 기둥(11a, 11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크기를 따르는 방향에 자계결합용 창(20a, 20b)을 형성하고 있으며, 유전체 기둥(12a, 12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크기를 따르는 방향에, 또 유전체 기둥(10a, 10b)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의 크기를 따르는 방향에 자계결합용 창 (21a, 21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유전체 기둥(10a, 12a)의 교차부와 유전체 기둥(11b, 12b)의 교차부에 각각 홈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버티(15a, 15b)의 개구면에는 각각 금속패널을 부착하여 이들 금속패널과 캐버티의 외주면에 형성한 도체막에 의하여 복합유전체 기둥의 주위를 도체로 둘러싼다.
제21도의 (a)는 제 4실시예에 관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이다.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버티(15a)의 개구면에 금속패널(30a ,31a)을 부착하고, 금속패널(31a)에 커넥터(33a)를 부착하며, 커넥터(33a)의 중심도체와 금속패널(31a)사이에, 유전체 기둥(11a)과 자계결합하는 결합루프(35a)를 형성하고 있다. 또 캐버티(15b)의 개구면에 금속패널(30b, 31b)을 부착하고, 금속패널(30b)에 커넥터(33b)를 부착하며, 커넥터(33b)의 중심도체와 금속패널(30b)사이에, 유전체 기둥(10b)과 자계결합하는 결합루프(35b)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1) 커넥터(33b)(2) 유전체 기둥(10b)(3) 유전체 기둥(10a)(4) 유전체 기둥(12a)(5) 유전체 기둥(12b)(6) 유전체 기둥(11b)(7) 유전체 기둥(11a)(8) 커넥터(33a)의 경로로 결합이 발생하고, 6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얻는다.
또한 제1~제3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패널과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의 공간에 주파수 조정 및 결합 조정을 위한 기구를 설치하면, 각 유전체 기둥에 대한 주파수 조정 및 유전체 기둥간의 결합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제20도, 제21(a)~21(b)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금속패널에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하여, 캐버티의 개구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의 TM3중모드유전체 공진기를 배치하였지만, TM3중모드 유전체 공진기(1b)도 1a와 마찬가지로, 제20도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캐버티의 개구면을 향하여 금속패널을 부착하고, 그 금속패널에 커넥터를 부착하며, 캐버티의 개구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루프를 그 커넥터에 형성해도 된다.
이상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서는, 복합유전체 기둥의, 교차하는 2개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기 위하여, 그 교차부에 홈(D)을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그 외의 전계결합용 구조부를 제22도에 나타낸다. (a)는 유전체 기둥(11, 12)의 교차부에 구멍(B, B)을 형성한 예이다. 이 구멍(b)에 대하여 유전체 봉을 삽입함과 아울러, 그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유전체 기둥(11, 12)간의 결합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2도의 (b)의 예는, 유전체 기둥(11, 12)의 교차부를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한 예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는, 각 자계결합용 창마다에 단일한 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막 비형성부를 형성하였지만, 이 직사각형 형상의 도체막 비형성부를 예를 들면 좌우 또는 상하의 대칭위치에 형성하여도 되고, 또한 슬릿형상의 도체막 비형성부를 복수개 배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칸막이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복합유전체 기둥끼리의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삭감되고, 칸막이판에 의한 Q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 2개의 복합유전체 기둥이 이루는 평면끼리를 평행하게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이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특성조정용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주파수 조정과 결합 조정을 독립하여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도체막을 형성한 캐버티의 외벽에 특성조정용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특별한 결합루프를 사용하지 않고 공간자계결합만에 의하여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소정의 유전체 기둥끼리를 순차로 자계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열된 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의 인접하는 유전체 기둥간의 결합방법의 자유도가 향상되며, 복수개의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의하면, 서로 다른 TM다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에 신호 입출력용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단과 출력단간의 분리가 충분히 확보된다.
또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한 유전체 공진기 장치에 의하면, TM3중모드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면서, 또한 특별한 결합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소정의 유전체 기둥간을 자계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형이며 단수가 많은 유전체 공진기 장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특정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다른 여러 변형과 변화를 줄 수 있고, 다른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 주위를 도체로 둘러싼 캐버티 내에 2개 또는 3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하는 형상으로 된 복합유전체 기둥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인접하는 TM다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를 구비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쌍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1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쌍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2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단일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 중의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에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연장된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상기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 주위를 도체로 둘러싼 캐버티 내에, 2개 또는 3개의 유전체 기둥이 교차하는 형상으로 된 복합유전체 기둥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TM다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를 일렬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로서, 상기 열의 일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와 이것에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쌍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 1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쌍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2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단일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제1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고, 상기 열의 일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을 구성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연장된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상기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하며, 상기 열의 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와 이것에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각각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3쌍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3자계만을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에 형성된 개구로 이루어지는 제2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며, 상기 타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을 구성하는 2개의 유전체 기둥 사이에, 제1방향의 유전체 기둥과 이것에 교차하는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상기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결합시키는 전계 결합용 구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유전체 공진기는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이며,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 사이에, 축방향이 대략 동일관계에 있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쌍의 유전체 기둥끼리의 제1자계와 축방향이 대략 평행관계에 있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된 제2쌍의 유전체끼리의 제2자계를 함께 투과시키는, 상기 도체에 형성된 개구로 이루어지는 자계결합용 창을 형성하고, 상기 TM3중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복합유전체 기둥 중,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연장된 유전체 기둥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유전체 기둥과의 교차부에 양 유전체 기둥끼리를 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4-311957 | 1994-12-15 | ||
JP31195794A JP3309610B2 (ja) | 1994-12-15 | 1994-12-15 | 誘電体共振器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7044A KR960027044A (ko) | 1996-07-22 |
KR100202738B1 true KR100202738B1 (ko) | 1999-06-15 |
Family
ID=1802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49663A KR100202738B1 (ko) | 1994-12-15 | 1995-12-14 | 유전체 공진기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783979A (ko) |
JP (1) | JP3309610B2 (ko) |
KR (1) | KR100202738B1 (ko) |
DE (1) | DE19547006C2 (ko) |
FI (1) | FI115335B (ko) |
GB (1) | GB229613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907B1 (ko) | 2009-11-18 | 2012-05-10 | 주식회사 이롬테크 | 고주파 필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8485B2 (ja) * | 1997-02-03 | 2002-07-02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 |
JP3506013B2 (ja) * | 1997-09-04 | 2004-03-1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装置、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合成器、分配器および通信装置 |
JP3580162B2 (ja) * | 1999-02-25 | 2004-10-2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通信機装置 |
JP3506124B2 (ja) * | 2001-02-28 | 2004-03-1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フィルタ装置、デュプレクサおよび基地局用通信装置 |
JP3633520B2 (ja) * | 2001-04-04 | 2005-03-3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共振器装置、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
JP2002368505A (ja) * | 2001-06-08 | 2002-12-20 | Murata Mfg Co Ltd |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
US6664873B2 (en) | 2001-08-03 | 2003-12-16 | Remec Oy | Tunable resonator |
US7042314B2 (en) * | 2001-11-14 | 2006-05-09 | Radio Frequency Systems | Dielectric mono-block triple-mode microwave delay filter |
US7068127B2 (en) * | 2001-11-14 | 2006-06-27 | Radio Frequency Systems | Tunable triple-mode mono-block filter assembly |
EP1411582B1 (en) * | 2002-07-29 | 2006-03-08 | Alcatel | Canonical general response bandpass microwave filter |
US6954122B2 (en) * | 2003-12-16 | 2005-10-11 | Radio Frequency Systems, Inc. | Hybrid triple-mode ceramic/metallic coaxial filter assembly |
US8773222B2 (en) * | 2008-01-31 | 2014-07-08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Filter assembly |
US8723722B2 (en) | 2008-08-28 | 2014-05-13 | Alliant Techsystems Inc. | Composites for antennas and other applications |
WO2015070365A1 (zh) * | 2013-11-12 | 2015-05-2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介质谐振器与介质滤波器 |
DE102015005523B4 (de) * | 2015-04-30 | 2018-03-29 | Kathrein-Werke Kg | Hochfrequenzfilter mit dielektrischen Substraten zur Übertragung von TM-Moden in transversaler Richtung |
EP3507854B1 (en) * | 2016-08-31 | 2022-10-0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Tm dual mode filter |
WO2018150170A1 (en) * | 2017-02-15 | 2018-08-23 | Isotek Microwave Limited | A microwave resonator |
EP4441840A1 (en) * | 2021-12-01 | 2024-10-09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Triple-mode resonator and waveguide filter compri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7905A (ja) * | 1991-09-09 | 1993-03-19 | Murata Mfg Co Ltd | 誘電体共振器装置 |
DE69428509T2 (de) * | 1993-12-28 | 2002-05-16 | Murata Mfg. Co., Ltd. | TM-Zweifachmodusresonator und -filter |
JP3232845B2 (ja) * | 1994-01-24 | 2001-11-2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誘電体共振器装置 |
-
1994
- 1994-12-15 JP JP31195794A patent/JP330961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12-12 US US08/570,974 patent/US578397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12-13 FI FI955969A patent/FI115335B/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12-14 KR KR1019950049663A patent/KR1002027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12-14 GB GB9525490A patent/GB2296133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12-15 DE DE19547006A patent/DE19547006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907B1 (ko) | 2009-11-18 | 2012-05-10 | 주식회사 이롬테크 | 고주파 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I955969A0 (fi) | 1995-12-13 |
FI115335B (fi) | 2005-04-15 |
GB2296133A (en) | 1996-06-19 |
DE19547006C2 (de) | 1999-02-04 |
KR960027044A (ko) | 1996-07-22 |
JP3309610B2 (ja) | 2002-07-29 |
GB9525490D0 (en) | 1996-02-14 |
GB2296133B (en) | 1998-07-22 |
DE19547006A1 (de) | 1996-06-27 |
US5783979A (en) | 1998-07-21 |
JPH08167802A (ja) | 1996-06-25 |
FI955969A (fi) | 199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2738B1 (ko) | 유전체 공진기 장치 | |
JP3019750B2 (ja) | 誘電体共振器装置 | |
DE69210460T2 (de) | Planare Dual-Moden-Miniaturfilter | |
JPH0638561B2 (ja) | 非対称特性用の結合素子を使用する二重モード導波管フィルタ | |
US5831496A (en) | Dielectric filter | |
JPH11191705A (ja) | 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 |
CN112542665B (zh) | 一种多模介质滤波器和多模级联滤波器 | |
JPH0458721B2 (ko) | ||
JP3508224B2 (ja) | 誘電体共振器装置 | |
KR20160013892A (ko) | 직접 결합 및 대안적인 교차-결합을 가진 유전체 도파관 필터 | |
JP3473124B2 (ja) | 誘電体共振器装置 | |
JP3389673B2 (ja) | Tm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装置 | |
JP3473107B2 (ja) | Tm二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装置 | |
JP3480041B2 (ja) | Tm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装置 | |
JPS63187801A (ja) | 導波管フイルタ | |
JPS6165501A (ja) | 帯域通過濾波器 | |
JP3509185B2 (ja) | Tm多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装置 | |
JP3984742B2 (ja) | 濾波器とその製造方法 | |
JPS6162203A (ja) | 誘電体共振器を用いたマイクロ波フイルタ | |
JP3316554B2 (ja) | 誘電体共振器装置 | |
JP3554945B2 (ja) | 誘電体共振器装置 | |
JPH0323006B2 (ko) | ||
US3534297A (en) | Electromechanical band-separation networks including longitudinally vibrating resonators and bending couplers | |
JPH0818303A (ja) | Tm二重モード誘電体共振器装置 | |
JPH05175703A (ja) | 誘電体フィル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