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848B1 - 수지 성형 기계 - Google Patents

수지 성형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848B1
KR100195848B1 KR1019960061467A KR19960061467A KR100195848B1 KR 100195848 B1 KR100195848 B1 KR 100195848B1 KR 1019960061467 A KR1019960061467 A KR 1019960061467A KR 19960061467 A KR19960061467 A KR 19960061467A KR 100195848 B1 KR100195848 B1 KR 10019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unger
isostatic
resin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708A (ko
Inventor
히데또시 오야
준지 히라노
마코또 야마기사와
Original Assignee
나까자와 모또요시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3164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559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7316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55910A/ja
Application filed by 나까자와 모또요시,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자와 모또요시
Publication of KR97003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2Transfer moulding, i.e. transferr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by a plunger from a "shot" cavity into a mould cavity
    • B29C45/021Plunger drives; Pressure equalizing means for a plurality of transfer plu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지 형성 기계에 있어서,클램핑 기구는 다이(10b)와 하부 다이(10a)를 포함하고, 하부 다이(10a)는 움직일수 있어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핑 할 수 있다. 플랜저(16)는 포트(12)에서 용융 수지에 압력을 가하여 부재가 성형될 때 이를 보내고, 플런저(16)는 하부 다이(10a)에 성형되어 있는 포토(12)에 제공된다. 플런저 구동 기구는 플런저(16)를 용융 수지를 보내도록 이동한다. 등압 유니트(80)는 동일 압력으로 플런저(16)를 밀 수 있다. 전기 모터 (40)는 클램핑 기구와 플런저 구동 기구를 구동하고, 등압 유니트(80)는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조정된다.

Description

수지 형성 기계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인 수지 형성 기계의 평면도.
제2도는 수지 형성 기계의 압축 기구의 정면도.
제3도는 압축 기구의 우측면도.
제4도는 압축 기구의 클램핑 기구의 정면도.
제5도는 클램핑 기구의 측면도.
제6도는 클램핑 기구와 플런저 구동 기구의 평면도.
제7도는 플런저 구동 기구의 정면 단면도.
제8도는 플런저 구동 기구의 측면 단면도.
제9도는 등압 유니트의 단면도.
제10도는 유니트 판에 부착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의 사시도.
제11도는 등압 유니트, 유니트 판 등의 조립 사시도.
제12도는 등압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 내는 단면도.
제13도는 가동 테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의 평면도.
제14도는 가동 테이블에 부착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의 측면도.
제15도는 등압 유니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성형폼을 배출하는 단계와 몰딩 다이로부터 컬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성형폼을 배출하는 단계와 몰딩 다이로부터 컬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8도는 유압식 성형 기계의 등압 유니트의 교환 기구의 부분 단면도.
제19도는 결합 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의 부분 단면도.
제20도는 유니트 블록에 접착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의 평면도.
제21도는 종래의 유압식 성형 기계의 단면도.
제22도는 가동 하부 다이를 가지는 종래의 성형 기계의 부분 단면도.
제23도는 스프링 등압 유니트의 단면도.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수지 형성 기계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종래의 수지 형성 기계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는 이송 성형 방법에 의하여,수지로 자동적으로 형성 된다. 이송 성형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성형되는 부재)는 성형 다이에 의하여 클램프 되고, 포토에서 용융수지가 플런저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서 동공에 용융 수지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플런저는 고압으로 용융 수지를 압축하고 따라서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프 하고 있는 성형 다이는 수지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의 클램핑 기구를 포함하는 압축 기구에 의하여 닫힌다. 따라서 압축 기구의 더 큰 클램핑력은 일반적으로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생성된다.
클램핑 기구와 이송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수지 성형 기계가 제21도에 나타나 있다. 상기 유압 시스템은 성형 다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피스톤(5);용융 수지를 압축하기 위한 이송 피스톤(6);그리고 등압 유니트(7)를 포함한다. 다포크 형 성형 기계에 있어서, 각 포트에 수지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또한 각 포트에 수지 압력이 동일하지 않다. 각 포트에 균일하지 않은 수지 압력에 의하여 동공은 균일하게 채워지지 않는다. 만약 수지 압력이 너무 낮으면, 일부 동공은 수지로 채워질수 없고; 수지 압력이 너무 높으면 수지 플래쉬가 형성된다. 모든 포트에서 수지 압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등압 유니트가 제공된다. 등압 유니트(7)에는 각 포트에서 각 플런저(8)를 지지하고 있는 피스톤 로드(9)가 제공된다. 각 피스톤 로드(9)는 각 실린더(9A)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실린더(9A)에서 오일 챔버는 상호 연결되고 따라서 모든 피스톤 로드(9)는 동일한 압력으로 밀 수 있다.
최근의 미세 반도체 소자는 청정 룸 즉 클래스 1000에서 성형 되도록 요구되어 왔기 때문에 상기 클램핑 기구는 유압 시스템 대신에 전기 구동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된다. 전기 구동 시스템을 가지는 종래의 성형 기계에서 성형 다이의 상부 다이 또는 하부 다이는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핑 하기 위하여 이동한다. 하부 다이가 전기 구동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되는 종래의 성형 기계의 한예가 제22도에 나타나 있다. 이 성형 기계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5-84766에 공개 되어 있다.
전기 구동 시스템을 채용함으로 작업 환경이 청정하게 유지될수 있다. 그리고 용융 수지 충진속도가 유압식 시스템에 비하여 쉽게 조절될수 있고, 따라서 제조 정밀도가 향상될수 있다.
또한 유압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고 등압 유니트(7)로서 스프링을 채용하고있는 종래의 성형 기계의 일 예가 제23도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성형 기계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46028호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만약 각 포트에서 수지 정제의 양이 동일하지 않다면, 각 포트에서의 수지 압력이 동일 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어떤 동공은 완전하게 충진될수 없고 어떤 성형 제품에서는 수지 플래쉬가 형성된다.
스프링 등압 유니크는 약하게 될것이나 유압식 등압 유니트는 약하게 되지 않고 수지 정제의 비균일한 양에 기인하는 압력 차이를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등압 유니트는 한 성형 사이클중에 수차례 수지 압력을 변화시킬수 있고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도선 변형이 방지되고 수지 압력이 수지 및 /또는 생산품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 포트 형 이송 성형 기계에 있어서 등압 유니트는 성형 조건 즉 성형 다이의 포트수, 포트 피차가 변화 할 때 성형 다이에 따라서 변화하여야 한다. 특히 유압 구동식 성형 기계에서 많운 시간이 걸리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등압 유니트를 교환하는 문제가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 성형 기계에서 수지 압력을 조정하는 것은 좋은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그리고 성형후 성형 다이로부터 성형품을 완전하게 이형하는 것도 중요하다. 근래의 어떤 종류의 수지 성형 반도체소자는 매우 얇은 성형부를 가지고 따라서 불량품이 나오지 않도록 이를 성형 다이로부터 적절하게 분리하여야 한다.
수지 성형 반도체 생산품은 좋은 품질을 가져야 하고 이들은 대량 생산되어야 한다. 반도체 소자를 효과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플런저가 성형 다이의 하부 다이에 제공되는 하부 플런저 형 성형 기계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만약 플런저가 상부 다이에 제공된다면, 플런저 각 수지 주입 단계동안 위쪽으로 제거 되어야 하며 따라서 공기가 포트내로 침입하기 쉽다. 포트내로 공기의 침입에 의하여 종종 성형품에 기포가 형성된다. 또한 포트로 부터 들어 올려 짐에 의하여 플런저가 냉각되고, 따라서 성형 사이클이 짧아질수 없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수지 성형 기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되었다.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포트에서 수지 압력을 균일 하게 하게 하여 정밀한 성형을 수행할 수 있게하는 수지 성형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더 큰 클램핑 힘을 얻을 수 있는 작은 크기의 클램핑 기구를 가지는 수지 성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성형 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성형 조건을 쉽게 변화할수 있는 등압 유니트 가지는 수지 성형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수지 성형 기계의 기본 구조는: 상부 다이와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프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하부다이를 포함하는 클램핑 기구:하부 다이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에 제공되어 있으며, 부재가 성형될 때 용융 수지를 압축하는 플린저; 용융 수지를 보내기 위하여 플런저를 구동하기 위한 플런저 구동 기구; 동일 압력으로 모든 플런저를 밀 수 있는 등압 유니트; 그리고 클램핑 기구와 플린더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동압 유니트는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조정된다. 수지 성형 기계에 있어서, 클램핑 기구는 베이스를 가동 테이블과 연결시키는 비녀장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형성 기계의 상기 비녀장 기구는:베이스의 중심에 회전이 가능하고 수직으로 제공되는 스크류 샤프트;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맞물림으로써 가동 테이블과 베이스를 연결 기구; 그리고 그 축주위로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수지 형성 기게에서 상기 연결 기구는:그 한쪽 단부가 상기 너트와 맞물리는 제 1연결 조각;그 한쪽 단부가 베이스와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연결 조각 ; 그리고 그 한쪽 단부가 선회가능하도록 가동 테이블과 연결되는 제 3연결 조각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연결 조각의 다른 단부는 제 3연결 조각의 다른 단부와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1 연결 조각의 다른 단부는 제 2연결 조각의 양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제 2연결 조각과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다.수지 성형 기계에서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하부 다이의 포트아래에 제공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를 지지하는 스크류 샤프트;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나사 결합되어있는 너트;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수직으로 이동시킬기 위하여 상기 너트를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형성 기계에 있어서 상기 클럼핑 기구는, 가동 테이블의 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부재가 성형될 때 동압 유니트가 수직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하는 유니트 홀을 가지는 가동 테이블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동압 유니트 상기 유니트 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된다. 수지 성형 기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 유니트 홀에서 상기 등압 유니트를 지지하고 이를 유니트 홀(9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한 유니트 판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동압 유니트는 유니트 판에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려서 이에 의하여 거기에서 상기 동압 유니트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동압 유니트는 유니트 홀의 개단을 통하여 유니트 판과 맞물리고 유니트 판으로부터 이탈될수 있다.수지 형성 기계에 있어서 상기 동압 유니트는 각 플린저에 대응하여 이동가능 하게 제공되는 피스톤 헤드를 각각에 가지고 있는 다수의 실린더를 가지는 유니트 블록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니트 블록은 상기 유압 시스템에 연결되고, 모든 실린더의 오일 챔버는 상호 연결된다.
수지 성형 기계에 있어서 상기 등압 유니트는 다수의 실린더를 가지는 유니트블럭을 포함하고 그 각 실린더에는 각 플런저에 대응하는 피스톤 헤드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유니트 블럭은 상기 유압 시스템에 연결되며, 모든 실리더의 오일 챔버는 상호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유니트 블록은 피스톤 헤드를 작용하는 유압을 저절 할 수 있는 조절 피스톤을 가진다. 수지 성형 기계; 상기 유니트 판의 전단부 에 제공되어 있는 고정 브래킷:그리고 상기 유니트 블록의 전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유압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브랫킷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브래킷의 위치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상기 등압 유니트의 위치를 형성하도록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 성형 기계에 있어서 피스톤 헤드의 상단부는 그 축 주위로 플런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플런저의 하부 단부와 각각 고정될 수 있다.수지 형성 기계의 다른 기본 구조는;상부 다이 및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프 하도록 움직일수 있는 하부 다이를 포함하는 클램핑 기구; 상기 부재가 성형 될 때 부재를 보내도록 포트에서 용융 수지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하부 다이에 형성되는 상기 포트에 제공되어있는 플런저; 용융수지를 보내기 위한 상기 플런저를 움직이기 위한 플런저 구동 기구; 동일 압력으로 상기 모든 플랜저를 밀수 있는 등압 유니트; 각 풀런저에 대응하여 각각의 피스톤 헤드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다수의 실린더를 가지는 유니트 블록; 그리고 부재가 성형될 때 상기 등압 유니트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가동 테이블의 측면에 개구되어 있는 유니트 홀을 가지는 가동 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유니트 블록은 유압 시스템과 연결되어있고, 모든 실린더의 오일 챔보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등압 유니트는 유니트 홀에 제공되고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된다. 수지 성형 기계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 유니트 홀에서 등압 유니트를 지지하고 유니트 홀의 종방향으로 이를 배열하기 위하여 유니트 판을 또한 포함하고,상기 동압 유니트는 상기 유니트 판과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등압 유니트가 그 종 방향으로 이동 할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등압 유니트가 유니트 홀에 개구 단부를 상기 유니트 판과 맞물리고 분리 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리드 프레임을 성형할 수 있는 가령 반도체 소자가 성형되는 부재이고 전기 압축 기구를 가지는 이송 성형 기계를 나타낸다. 상기 기계는 하부 다수 플런저 형 수지 성형 기계 즉 용융 수지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플런저가 하부 다이에 제공된다. 상기 수지 성형 기계는 정착되어 있는 반도체 칩상에 리드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세팅할수 있고, 수지 정제를 제공하고 용융된 수지로 프레임을 성형할 수 있다. 제1도에서 그 위에 반도체 칩이 장착되어있는 리드 프레임A영역에 도입되고; 리드 프레임의 한쌍이 B영역에 평행하게 배열되고;수지 정제가 C영역에 공급되고;상기 수지 정제는 D영역에서 선형 배열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은 E 영역에서 성형되고; 미사용돤 수지 즉, 성형된 게이트 F 영역에서 성형된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디게이트)되고; 그리고 상시 성형된 리드 프레임은 G 영역에서 배열되고 수용된다. 본 발명의 수지 형성 기계에 있어서, 서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리드프레임을 클램프하는 클램핑 기구를 포함하는 전기 압축 기구는 E영역에서 제공된다. 성형 다이(10)은 하부 다이(10a)와 상부 다이 (10b)를 갖는다, 포트(12)는 하부 다이(10a)에 제공된다. 포트(12)의 한쌍의 선들은 평행하게 배열되고 따라서 4개의 리드 프레임이 한 성형 사이클동안 성형될수 있다.상기 리드 프레임과 수지 정제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성형 다이(10)에 놓이게 된다: 인로더에 의하여 B영역에 위치하는 리드프레임과 수지 정제를 인도해냄: 하부 다이(10a) 위의 위치로 인로더를 운반; 하부 다이(10a)상의 고정 위치에 상기 리드프레임을 장착함; 그리고 포트(12)에 수지 정제를 각각 장착함. B영역에서 수지 정제의 배열은 하부 다이(10a)에서 포트(12)의 배열과 동일하고; 리드 프레임의 배열은 그 고정 위치와 동일하다. 리드프레임과수지 정제를 고정한 후에 리드 프레임은 하부 다이(10a) 및 상부 다이(10b)에 의하여 클램프되고 포트(12)에서 용융된 수지가 성형 다이(10)에 형성되어 있는 동공에 ,플런저에 의하여 충진되어 리드 프레임 성형된다. 성형후에 성형다이(10)가 열리고 언로더가 하부 다이(10a)위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F영역 측으로부터 하부 다이(10a)와 상부 다이 (10b)사이의 공간에 들어 간다. 마침내 성형품이 G영역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은 A영역에 도입되고, 수지 정제는C영역에 제공되고, 따라서 리드프레임은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수지로 성형될수 있다.
제2도는 E영역에서 전기압축 기구의 정면도; 제3도는 그 우측면도 이다 . 압축 기구에 있어서 상부 테이블(20)이 고정되고; 하부 테이블(22)이 가동 테이블이다. 상기 압축 기구는 베이스(24)를 갖는다. 상부 다이(10b)는 상부 테이블(20)에 고정되고; 하부다이(10b)는 가동(하부)테이블에 고정된다. 등압 유니트(80)는 각 포트(12)로부터 보내지는 용융 수지의 수지 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각 등압 유니트(80)는: 다수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미끄럼 가능하게 제공되고 그 각각은 피스톤 로드(82)를 가지는 다수의 실린더 헤드: 그리고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게 하는 오일 연결 통로를 갖는다. 제2도에서 피스톤 로드(82)는 위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유압 시스텝H는 등압 유니트(80)와 연결되어 있다.
제3도에서 서보 모니터(40)는 수직 방향으로 가동 테이블(22)을 이동시키고;서보 모터(42)는 플런저를 구동한다. 성형 다이(10)를 클램핑하기 위한 상기 서보 모터(40)는 압축 기구의 뒤쪽에 제공되고; 플런저를 구동하기위한 상기 서보 모터(42)는 상기 압축 기구의 오른쪽에 제공된다. 그리고 오일 압력(유압력)은 등압 유니트(80)에 사용된다.압축 기구의 상기 클램핑 기구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나 있다.
제4도는 압축 기구의 정면도;제5도는 그 측면도 이다. 제5도에서 성형 다이(10)이 열린 상태가 CL중심선의 왼쪽에 나타내어져 있고; 성형 다이(10)의 클램핑 상태가 그 오른쪽에 나타나 있다. 제4도는 클램핑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24) 및 가동 테이블(22)이 비녀장 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비녀장 기구는성형 다이(10)를 열고 닫고 할수 있도록 서보 모니터(40)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5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24)의 중신에 회전가능하다고 수직을 제공되는 스크류 샤프트(44)는 스크류 샤프트(44)의 하부 단부에 고정되는 풀리(46)와 서보 모터(40)의 출력 샤프트(48)사이에 벨트(50)를 맞물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서보 모터(40)와 연결된다. 너트(52)는 스크류 샤프트(44)와 나사 결합되어 그 축상에서 스크류 샤프트(44)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될수 있다. 베이스(24)를 가동 테이블(22)과 연결시키는 연결 기구는 너크(52)에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로 가동 테이블(22)은 너트(52)의 수직 이동에 따라서 수직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성형 다이(10)는 열리고 닫힐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24)와 가동 테이블(22)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 기구는 제1 연결 조각(54a), 제2연결 조각(54b) 및 제3연결 조각(54c)으로 구성된다. 제4도에 평행하게 배열된 연결 기구의 두 세트(연결 조각 54a,54b 및 54c)가 보이고; 제5도에 대칭으로 배열된 두 세트의 연결 기구가 보인다. 즉 4세트의 연결 기구가 제공된다. 제2연결 조각(54b)의 한쪽 단부는 샤프트(55)에 의하여 베이스(24)와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되고;제3연결 조각(54c)의 한쪽 단부는 샤프트(56)에 의하여 가동 테이블(22)과 연결되고;제2연결 조각(54b)의 다른 단부와 제3연결조각(54c)의 다른 단부는 샤프트(57)에 의하여 상호 선회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2연결 조각(54b)과 제3연결 조각(54c)은 샤프트(57)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제1연결 조각(54a)의 한쪽 단부는 너트(52)와 맞물리고; 그 다른쪽 단부는 제2연결 조각(54b)과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 1연결 조각(54a)의 다른 샤프트(55및57)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연결 조각(54a)은 수직 방향으로 너트(52)를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2연결 조각(54b)과 제3연결 조각(54c)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에 서 너트(52)와 연결조각(54a,54b 및 54c)은 서보 모터(40)에 의하여 스크류 샤프트(4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동되며 따라서 가동테이블(22)은 성형 다이(10)를 열고 닫기 위하여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6도는 가동 테이블(22)의 평면도이다. 상기 연결 기구는 폭 방향에서 상기 가동 테이블(22)의 중심부를 지지하고 밀기 때문에 클램핑 력은 성형 다이(10)조립되어 있는 오른쪽 체이스(성형부)와 왼쪽 체이스(성형부)에 균일하게 인가될 수 있고 리드 프레임은 성형되는 동안 안전하게 클램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녀장 기구가 채용되고 상기비녀장 기구는 작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도 큰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모터를 가속하지 않고 고속 클램핑을 실행 할 수 있다. 수지 성형 기계는 작은 크기로 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기구는 가동 테이블(22)의 단부를 밀고 따라서 가동 테이블(22)을 구동하기 위한 주구동 기구는 가동 테이블(22)의 중심부 아래 제공될 수 있다. 로드 판(72)은 베이스(24)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지지 부재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로 고정된다. 전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 압축 기구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46208에 개제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압축 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성형 다이가 높은 위치 정밀도로 열릴수 있고; 고정 클램핑력을 가동 테이블의 높이에 관계없이 얻을 수 있고; 그리고 큰 클램핑 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 압축 기구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성형 다이는 빠른 속도로 이동할수 없고; 큰 출력의 모터가 채용되어야 하고; 스큐류부가 큰 힘에 의하여 닳기 쉽고; 그리고 가동 테이블이 한 점에서 밀리게 되므로 클램핑력은 가동 테이블에 균일하게 인가될수 없다. 상기 비녀장 기구를 채용하는성형 기계에 있어서, 클램핑력은 가동 테이블 의 높이에 따라 변화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가동 테이블(22)에 부착되어있는 성형 다이(10)의 두께는 모든 생산품에 공통으로 설계되고, 그리고 클램핑 상태에서 가동 테이블(22)의 높이는 모든 생산품에 일정하게 된다. 즉 가동 테이블(22)의 클램핑 위치는 성형품이 바뀌어도 변화하지 않고 다라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비녀장 기구와 고정된 클램핑 력을 늘 얻을수 있다. 전기 구동 압축 기구의 클램 핑 기구에 있어 ,센서 즉 로드 셀 ps서에 의하여 측정될수 있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클램핑 력의 테이타는 서보 모니터에 피드맥 될 수 있고 따라서 클램핑 속도와 클램핑력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보 모터(40)가 성형 다이(10)를 열고 닫기 위하여 사용되고; 서보 모터(42)는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핑한 후에 포트로부터 동공으로 용융 수지를 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7도 및 제8도은 서보 모터(42)에 의하여 구동되는 플런저 구동 기구를 나타낸다.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 클램핑 기구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되는 가동 테이블(22)과 함께 수직으로 이동된다. 성형 다이(10)가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프하고, 플런저 구동 기구는 용융 수지에 압력을 주어 보내기 위하여 포트에서 플런저를 민다. 가동 테이블(22) 및 플런저 구동 기구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나 있다. 하부 다이(10a)는 가동 테이블(22)고정된다. 하부 다이(10a)는 성형 되는 부재가 각각 놓이게 되는 설치 위치(동공)를 가지는 포토(12)와 체이스(14)를 가진다.각 플런저(16)는 각 포트(12)에 수직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제공된다. 하부 다이(10a)는 한쌍의 체이스(14)를 가지고 4개의 리드 프레임을 동시에 성형한다. 그러므로 플런저 구동 기구가 각각 체이스(14)를 제공된다.다 포트(플런저)형 성형 기계에 있어서, 각각의 체이스는 다수포트(12)를 가지고 플런저(16)는 각체이스(14)의 포트(12)에 각각 제공되며 따라서 모든 플런저(16)는 포트(12)로부터 동공으로 용융 수지를 보내기 위하여 동시 밀린다.
등압 유니트(80)는 수지 정제의 양의 같지 않더라도 각 포트(12)에 수지 압력을 동일하게 작용한다. 등압 유니트(80)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난다. 등압 유니트(80)는 유압에 의하여 각 포트(12)에서의 수지 압력을 균일하게 한다. 플런저(16)는 등압 유니트(8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82)에 의하여 각각 지지된다.
상기 유니트 플런저(16)를 지지하는 등압 유니트(80)를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된다. 한쌍의 등압 유니드(80)는 각 체이스(14)에 제공된다 (제7도 참조). 플런저(16)를 수직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등압 유니트(80)의 밑면으로 부터 아래도 신장되는 스크류 샤프트(60)가 있고, 너트(62)는스크류 샤프트(60)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그리고 서봄모니터(42)가 너트(62)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등압 유니트(80)는 플런저(16)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벨트(66)는 너트(62)와 서보 모터(42)를 연결하기 위하여 서보 모터(42)의 출력 샤프트(64)를 너트(62)와 맞물리게 한다. 장력 롤러(68)는 벨트(66)에 저절한 장력을 인가한다. 벨트(66)의 평명 배열, 출력 샤프트(66) 및 너트(62)는 제6도에 나타나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 샤프트(60)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너트(6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플런저(16)는 등압 유니트(80)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클램핑 기구가 리드 프레임을 클램핑 한 후에 플런저(16)는 성형 다이(10)에서 포트(12)로부터 동공으로 용융 수지를 보내기위하여 서보 모터(42)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 스크류 샤프트(60),너트(62)등으로 각각 구성되는 플런저 구동 기구가 각 체이스(14)에 제공된다. 각 체이스(14)에 플런저 구동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용융 수지는 각 체이스(14)로 안전하게 보내질 수 있다. 각 체이스(14)의 플런저(16)가 하나의 스크류 샤프트(60)에 의하여 이동되면 스크류 샤프트(60)의 구동력이 플런저(16)에 균일하지 않게 전달되어 따라서 양 체이스(14)에서 원하는 성형이 실행될수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체이스(14)가 사용되거나 또는 각 체이스(14)에서 서로 다른 제픔이 성형되어도 원하는 성형이 안전하게 실행될수 있다. 너트(62)는 일반적으로 서보 모터(42)에 의하여 회전되나 각각의 서보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유압 시스템은 각 등압 유니트(80)를 위하여 제공될수있다.
배출 로드(70)가 제8도에 도시 되어 있다. 배출 로드(70)는 성형 다이(10)가 열렸을 때 동공의 내부면으로부터 배출핀을 둘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배출 로드(70)는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수직으로관통된다. 성형 다이(10)가 열렸을 때 배출 로드 (70)의 상단부는 배출핀 판(71)이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고; 배출 로드(70)의 하단부는 가동 테이블(22)이 아래로 움직일 때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되는 로드 판(72)에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배출 핀이 배출핀 판(71)과 함께 위로 밀려진다.
[등압 유니트의 교환 기구]
제9도는 등압 유니트(80)의 단변도; 제10도는 등압 유니트 (80)의 사시도; 제11도은 등압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등압 유니트(80)는 각 포트(12)에서 수지 압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유압을 사용한다. 제9도는 오일 유니트 블록(84)으로 도입된다. 유니트 블록(84)에 다수의 실린더(82b)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헤드(82a)는 실린더(82b)에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유니트블럭(84)의 내부 구조가 실린더(82b)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제12도에 나타나 있다. 실린더(82b)에서 오일이 상호 연결되므로 플런저(16)는 플런저 구동 기구가 등압 유니트 (80)를 위로 밀 때 균일한 힘으로 밀리게된다. 등압 유니트(80)는 성형 다이(10)에서 포트(12)의 배열에 대응하여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등압 유니트(80)는 성형 되는 제픔이 바뀔 때 성형다이(10)의 체이스(14)와 함께 바뀌어야 한다. 등압 유니트(80)가 플런저(16)와 가동 테이블(22)아래에 제공되기 때문에 종래의 성형 기계에서 등압 유니트 교환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압 유니트(80)를 분해하지 않고 등압 유니트(80)를 가동 테이블(22)에 부착한 상태로 분리할수 있기 때문에 쉽게 교환할 수 있다. 가동 테이블(22)의 정면도가 제4도 및 제7도 에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인 유니티 홀(90)이 가동 테이블(22)에 전후 방향으로 뚫려 있다. 등압 유니트(80)는 그 전단부로부터 유니트 홀(9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유니트 홀(90)은 적어도 가동 테이블(22)의 전단면에서 열려있어야 한다. 각 유니트 홀 (90)에서 등압 유니트(80)를 부착하고 분리하기 위한 유니트 판(85)이 유니트 홀(90)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유니트 판(85)이 스크류 샤프트(60)의 상부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등압 유니트(80)는 유니트 홀(90)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달라서 유니트 홀(90)은 수직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각 유니트 판(85)상에 등압 유니트(80)를 바르게 설치하기 위하여 유니트 블록(84)은 외측면에 홈(84a)이 있고; 유니트 블록(84)은 유니트 판(85)의 T-슬롯(85a)에 홈(84a)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유니트 판 (85)에 부착 될 수 있다. 유니트판 (85)에 유니트블럭(84)를 부착한 상태가 제10도에 나타나 있다. 상기 오일은 유니트 블록(84)에 도입 되어야 하고 유니트 블록(84)은 유니트판(85)에 고정 되어야 하고따라서 유니트 판(85)의 전단부에 고정 브래킷(86)이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유니트 블록(84)의 전단부에 연결 브래킷(87)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브래킷(86)과 연결 브래킷(87)사이의 관계가 제11도에 나타나 있다. 고정 브래킷(86)은 유니트 판(85)의 전단부에 단지 고정되고; 연결 블래킷(87)은 유니트 블록 (84)의 오일 홀(84b)과 연결되어 거기에 고정된다. 유니트 블록(84)을 유니트 판(85)에 부착하기 위하여 먼저 연결 블래킷(87)이 유니트 블록(84)에 고정되고 그리고 유니트 블록(84)이 유니트 판(85)의 T-슬롯에 끼워 진다. 유니트 판(85)에서 유니트 블럭(84)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푹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유니트 블록(84)의 위치가 결정된다. 연결 블래킷(87)과 유니트 블록(84)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유니트 블록(84)이 유니트 판(85)에 부착되고 그리고 위치결정핀(87a)이 브래킷 (86 및 87)에 삽입된다. 센서(89)는 위치결정핀(87a)을 검지함으로써 유니트 블록(84) 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일 파이프(88)는 결합체에 의하여 연결 블래킷(87)과 연결되고 따라서 등압 유니트(80)가 유압 시스템(H)에 연결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를 통하여 배출 막대(70)통과하는 막대 홈(86a)이 고정 브래킷(86)에 형성된다.
가동 테이블(22)에 유니트 블록(84), 유니트 판(85), 고정 브래킷(86)와 연결 블래킷(87)의 평면 배열이 제13도에 나타나 있다. 유니트 블록(84)은 가동 데이블(22)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각각 유니트 판(85)상에 부착된다.연결 블래킷(87)은 유니트 블록(84)의 전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유니트 블록(84)은 설명한 위치에 놓인다.
제14도는 가동 테이블(22)에 부착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80)의 측면을 나타낸다. 아래 위치에 등압 유니트(80)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위쪽에 등압 유니트(80)가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센서(89)에는 연결 브래킷(87)과 등압 유니트(80)가 유니트 홀(90)에 바르게 설치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위치결정핀(87a)을 검지한다. 만약 유니트 블록(84)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았으면 성형 다이(10)가 충격을 받을 것이며 따라서 센서(89)가 손상으로 부터 성형 다이(10)를 보호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등압 유니트 (80)는 성형 다이(10)의 플런저(1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전하게 부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등압 유니트(80)가 부착되고 분리될 때 플런저(16)는 피스톤 러드(82)로부터 분리된다. 등압 유니트(80)와 플런저(16)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연결된다; 가동 테이블(22)에 상기한 위치에서 등압 유니트 (80)를 설치하고; 가동 테이블(22)에 상기한 위치에 하부 다이(10a)를 설치하고; 그리고 위측면으로부터 포트(12)에 플런저(16)를 삽입한다.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런저(16)는 각각 등압 유니트 (80)의 피스톤 로드 (82)의 상단에 연결된다. 연결 구조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3-26519 호에 공개 되어 있다. 제9는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82)의 상단에서 피스톤의 상단에 플런저(16)를 체결하기 위하여 홀더(92)가 제공된다. 플런저(16)의 하단의 홀더(92)로 삽입되고 플런저(16)가 그 축 주위로 회전되고 따라서 플런저(16)는 피스톤 로드(82)와 결합되고 플런저(16)는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홀더(92)로부터 플런저(16)를 분리하기 위하여 플런저(16)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것을 체결하고 있는피스톤 로드(82)와 연결될 때 분리될 때 등압 유니트(80)는포트(12)로 부터 플런저(16)의 상단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부 위치로 이동된다.
플런저(16)가 등압 유니트(80)의 피스톤 로드(80)와 쉽게 결합하고 분리 될 수 있기 때문에 등압 유니트(80)는 가동 테이블(22)의 전면에 개구된 유니트 홀 (90)을 통하여 가동 테이블(22)로 쉽게 부착될 수 있다.
가동 테이블(22)은 충분한 강도와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나, 그 중량은 유니트 홀(90)을 형성하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등압 유니트(80)는 유니트 홀 (90)의 내부 공간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가동 테이블(22)에 제공된다.
등압 유니트(80)는 유니트 블록(84)의 외부에 위치하는 유압 시스템(H)에 연결되어 있어서 오일 압력을 조절한다. 조절 가능한 유압 시스템(H)에 의하여, 성형하는 동안 용융 수지를 보내는 플런저(16)의 압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5도에서 수지 압력 조절 기구가 등압 유니트(80)의 유니트 블록(84)에 결합되어 있다. 즉 유니트 블록(84)은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호 연결되어 있고 그 각각에서 피스톤 로드(82)와 피스톤 헤드(82a)가 수직으로 움직이는 실린더; 모든 실린더(82b)와 연결되어 있는 조절 실린더(84e); 그리고 조절 실린더(82e)에서 수직으로 움직일수 있는조절 피스톤(84c).모든 실린더(82b)에서 오일 압력은 전기 모터,오일 압력 등에 의하여 조절 피스톤(84c)을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실린더(82b)에서 오일 압력을 조절 하므로써 성형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 압력이 조절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피스톤(84c)은 전기 모터, 오일 압력 등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드(84b)에 의하여 밀리고 따라서 동압 유니트(80)는 쉽게 교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핑 기구와 플런저 구동 기구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등압 유니트(80)은 유압 시스템(H)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수지 성형 기계는 전기 압축기구와 유압 시스템의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성형 기계에서 최상의 성형 조건이 실현 될 수 있다. 즉 클램핑 기구와 플런저 구동 기구가 전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고속으로 정밀하게 구동될수 있고 클램핑 력 또는 구동 속도의 변화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등압 유니트(80)가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모든 포트(12)에서 수지 압력이 완전히 동일 할 수 있다.
동공에 용융 수지를 충진하기 시작할 때 등압 유니트(80)는 높은 압력을 인가하여 수지 정제를 빠르게 녹이고 따라서 동공 게이트에서의 수지 속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동공을 모두 채우기 직전에 수지 압력은 정밀한 성형을 위하여 상기한 작업으로 감소되고 따라서 용융 수지에 의한 워터 햄머(액체 햄머)와 얇은 플래쉬의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등압 유니트(80)에 의하여 인가되는 균일한 수지 압력은 주 이송 압력보다 낮다. 반도체 소자의 선 변형, 보이드 형성 등을 피하기 위하여 어떤 성형 조건 즉 등압 유니트(80)에 인가되는 구동력, 압력 변화의 시기가 생산품을 따라서 결정된다. 최상의 조건은 실험적 성형에 의해 알려진다.
본 실시예의 수지 성형 기게는 성형 다이(10)로부터 성형품을 배출하는 단계에서 정밀하게 조절될수 있다.
성형된 제품은 동공의 내표면으로 부터 배출 핀을 돌출 시킴에 의하여 성형 다이(10)로 부터 배출된다. 배출 핀이 성형된 제품을 배출할 때 포트(12)에서 굳어진 수지 컬은 플런저(16)에 의하여 포트(12)로부터 동시에 밀어내어 진다. 배출 작용이 제16동에 나타나 있다. 리드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성형품(102)이 배출 핀(110)에 의하여 배출되고; 수지 컬(104)이 플런저(16)에 의하여 배출된다.
성형이 완료되면 소량의 수지가 포트(12)에 남게되고 플런저(16)의 상단부가 포트(12)에 여전히 남아있는 수지 컬(104)의 하단부에 접촉한다. 포트(12)로부터 수지 컬(104)를 배출하기 위하여 플런저(16)는 수지 컬(104)로 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한번 아래로 움직이고 그리고 플런저(16)는 수지 컬(104)을 배출하기 위하여 위로 이동한다. 플런저(16)의 이동은 서보 모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플런저(16)가 아래로 이동하기전에 플런저(16)의 상단부가 수지 컬(104)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는 위치(상부위치)가 기억된다. 수지 컬(104)을 배출하기 위하여 플런저(16)가 상부 위치로 올라가고 그리고 플런저(16)는 더욱 위로 이동하여 성형 제품(102)과 함께 수지 컬(104)를 배출하게 된다. 플런저 구동 기구는 등압 유니트(80)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플런저(16)를 이동하고 따라서 플런저(16)의 상단 위치를 저장하는 것이 유니트(80)의 상부 위치를 저장하는 것과 같다.
플런저(16)가 아래로 한번 이동될 때 클램핑 기구는 성형 다이(10)를 동시에 개방한다. 성형 다이(10)가 거의 완전히 열렸을 때 개방 동작은 한번 정지되고 하부 다이(10a)와 상부 다이(10b)사이의 공간에 언로더가 도입된다. 이 단계에서 플런저(16)는 하부 위치로 되돌아 가고 하부 다이(10a)는 또한 가장 아래의 위치에 닫을때 까지 하강하여 동공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배출 핀(110)을 배출하고 포트(12)로 부터 플런저(16)를 배출하며 따라서 성형 제품(102)와 수지 컬(104)은 하부 다이 (10a)로 부터 배출된다.
플런저(16)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따라서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기구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또한 구동되어 배출 핀(110)의 배출이 플런저(16)에 의하여 수지 컬(104)을 배출하는 것과 동시에 완전하게 실행 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등압 유니트(80)는 오일 압력에 의하여 수지 압력과 동일하고 따라서 각 플런저(16)의 상부 위치로 돌아 왔을 때 포트(12)에 남겨져 있는 굳어진 수지의 양에 따라 결정 된다.
스프링 등압 유니트를 가지는 종래의 성형 기계에서 포트에 남아있는 굳어진 수지의 양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프링의 압축 정도가 각 포트에서 다르기 때문에 수지 컬을 배출하는 각 플런저의 배출력이 일정하지 않다. 비 균일한 배출력에 의하여 수지 컬은 동시에 배출될 수 없다. 다른 본 실시예에서 등압유니트(80)가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포트(12)에서 배출력은 포트(12)에 남아있는 수지량에 관계없이 완전히 동일하고 따라서 모든 포트(12)에서 수지 컬(104)은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플런저(16)에 의하여 수지 컬(104)을 배출하는 시기와 배출 핀(110)에 의하여 성형품(102)을 배출하는 시기가 달라지면 굳어진 수지가 수지 게이트와 다른 위치에서 우연히 부서지고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수지가 성형품 위에 남게 된다. 즉 플런저(16)과 배출 핀(110)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부 다이(10a)와 상부 다이(10b)사이의 공간에 도입되는 언로더는 이들이 하부 다이(10a)로부터 배출 될 때 수지 컬(104)과 성형품(102)을 밀기 위하여 수지컬(104)과 성형 품(102)를 미는 지그를 갖는다. 각 포트(12)에 남은 수지의 양이 서로 다른 경우에, 모든 플런저(16)를 밀기 시작하는 시기는 다르지 않으나 임의의 플런저(16)ml 돌출이 완료되는 시기는 달라진다. 그곳으로 부터 굳어진 수지가 배출되는 빈 포트에서 임의의 플런저(16)는 언로더가 지그를 가지지 않으면 포트(12)로부터 뜻하지 않게 밀어낼 것이다.
배출 핀(110)에 의하여 동공으로부터 성형품(102)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 핀(110)은 성형품(102)의 성형된 부분을 민다. 성형된 부분이 매우 얇은 경우에 배출 핌(110)이 얇은 성형 부분을 밀수가 없고 따라서 배출 핀(110)은 성형 품 (102)의 프레임 부분(110)을 민다.
제17도에서 배출 핀(110)은 하부 다이(10a)로 부터 성형품(102)을 배출하기 위하여 프레임 부분(100)을 민다. 플런저(16)와 배출 핀(110)은 상술한 것과 동일 한 기구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17도은 플런저(16)가 플런저(16)로부터 수지 컬(104)을 분리하기 위하여 아래로 한번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배출 핀(110)으로 성형 부분을 미는 것에 의하여 얇은 성형부를 가지는 성형품(100)을 배출하기 위하여, 성형품(10)에대하여 배출 핀(110)의 상단의 준비 위치가 성형 부분의 바닥면 아래 작은 거리 즉 0.05 - 0.1mm에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배출 핀(110)은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하고 또한 플런저(16)는 배출 핀(110)과 동시에 조절된다. 따라서 배출 단계는 매우 정밀하게 실행된다. 정밀한 조정은 모터 구동 클램핑 기구와 모터 구동 플런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안전하게 실행될수 있다. 더하여 유압식 등압 유니트(80)는정밀한 조정을 도와준다.
본 실시예의 수지 성형 기계에서 클램핑 기구와 이송 기구는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등압 유니트(80)가 그 측면을 통하여 가동 테이블(22)에 삽입되는 등압 유니트의 교환 기구가 수지 성형 기계에 채용될수 있고, 그 클램핑 기구와 이송 기구는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 된다.
클램핑 기구와 이송 기구가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지 성형 기게는 등압 유니트(80)의 정면을 나타내는 제18도에 나타나 있다. 유니트 판(200)이 이송 피스톤(6)에 상단에 제공된다. 가이드 로드(202)는 유니트 판(200)의 수직 이동을 유도 한다. 덮개(204)는 이송 피스톤(6)을 감싸고 유니트 판(200)의 바닥면을 덮는다. 덮개(204)는 유니트 판(200)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제18도는 유니트 판(200)이 그 수직 행정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판(200)은 두 개의 등압 유니트(80)를 지지 하므로 가동 테이블(22)에서 조립되는 각 체이스에 등압 유니트(80)가 각각 제공된다. 등압 유니트(80)와 가동 체이블(22)에 있는 플런저를 연결하기 위하여 관통홀(22a)가 뚫려 있다. 등압 유니트(80)를 접촉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유니트 판(200)이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되어 등압 유니트(80)로부터 위로 신장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82)를 관통홀(22)아래에 위치시킨다. 등압 유니트(80)를 유니트 판(2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먼저 접촉 블록(206)이 유니트 판(200)에 고정되고 각각 등압 유니트(80)엡 접촉되어 있는 유니트 블록(208)(제19도 참조)이 각각 접촉 블록(206)에 고정되어 있다.
제19도는 결합 블록 (208)이 등압 유니트(8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오일 파이프는 결합 블록에 연결되어 유압 시스템과 등압 유니트(80)를 연결한다.
제20도는 유니트 블록(200)에 접촉되어 있는 등압 유니트(8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접촉 블록(206) 은 유니트 판(200)의 전단에 고정되어 있다. 등압 유니트(80)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유니트 판(200)에 접촉된다.;등압 유니트(8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홈(84a)을 유니트 판(200)의 T-슬롯에 결합하고; 바르게 자리잡도록 L-형 결합 블록(208)의 내부면과 접촉블럭(206)의 전단과의 접촉을 이루고; 그리고 접촉 블럭(206)에 결합 블럭(208)을 고정한다. 등압 유니트(80)가 접촉된 다음 오일 파이프는 결합 블록(208)과 연결되고 따라서 등압 유니트(80)는 유압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등압 유니트(80)가 유니트 판(200)에 접촉된 다음 플런저를 상술한 실시예에서 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82a)에 각각 연결된다.
클램핑 기구와 이송 기구가 유압 시스템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지 성형 기계에서 등압 유니트(80)는 그 클램핑 기구와 이송 기구가 전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지 성형 기계와 마찬가지로 그 측면을 통하여 가동 테이블(22)에 접촉하고 분리될수 있으므로, 등압 유니트(80)는 성형 제픔이 바뀌는 등의 경우에 쉽게 교환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상이나 본질적 특징으로부터 벚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상으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실례로서 그리고 한정되지 않는 모든 점에서 고려되며,따라서 앞의 설명에서 보다 첨부되는 청구항에 의하여 인식되는 발명의 범위와 청구항의 균등한 범위와 의미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이 거기에 포함되기를 의도한다.

Claims (13)

  1. 수지 성형 기계에 있어서, 상부 다이(10b) 및 성형 부재를 클램프 하도록 움직일수 있는 하부 다이 (10a)를 포함하는 클램핑 기구; 상기 부재가 성형될 때 용융 수지를 보내도록 포트(12)에서 용융 수지에 압력을 가하며, 상기 하부 다이(10a)에 형성되는 상기 포트(12)에 제공되는 플런저(16); 용융수지를 보내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16)를 움직이기 위한 플런저 구동 기구; 동일 압력으로 모든 상기 플런저(16)를 밀수 있고 유압 시스템에 의해 조정되는 등압 유니트(80); 그리고 상기 클램핑 기구와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 (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가동 테이블(22)과 베이스(24)를 연결하는 비녀장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녀장 기구는 베이스(24)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고 수직으로 제공되는 스크류 샤프트(44); 상기 스크류 샤프트(44)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52); 상기 너트(52)와 맞물려져 베이스(24)를 가동 테이블(220에 연결하는 연결 기구; 그리고 그 축선 주위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44)를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그 한 단부가 상기 너트(52)와 맞물리는 제 1 연결 조각(54a); 그 한 단부가 베이스(24)에 선회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 2 연결 조각(54b); 그리고 그 한 단부가 가동 테이블(22)에 선회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 3연결 조각(54c)으로 구성되며,상기 제2연결 조각(54b)의 따른 단부는 상기 제 1연결 조각(54a)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2연결 조각(54b)의 양단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2연결 조각(54b)에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형성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 하부 다이(10a)의 포트(12)아래에 제공되는 상기 등압 유니트(80)를 지지하는 스크루 샤프트(60);상기 스크루 샤프트(60)에 나사를 결합되어 너트(62);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60)를 수직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너트(62)를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 (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가동 테이블(22)의 측면에 개구되어있는 상기 부재가 성형될 때 상기 등압 유니트(80)가 수직으로 움직일수 있게 하는 유니트 홀(90)을 가지는 가동 테이블(22)을 또한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등압 유니트(80)는 유니트 홀(90)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 유니트 홀(90)에서 상기 등압 유니트(80)을 지지하고, 이를 유니트 홀(9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한 유니트 판(85)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등압 유니트(80)는 유니트 판(85)에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려서 거기에서 상기 등압 유니트(8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등압 유니트(80)는 유니트 홀(90)의 개구단을 통하여 유니트 판(85)과 맞물리고 유니트 판(8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툭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압 유니트(80)는 플런저(16)에 대응하여 이동가능하제 제공되는 피스톤 헤드(82a)를 각각에 가지고 있는 다수의 실린더 (82b)를 가지는 유니트 블록(84)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니트 블록(84)은 상기 유압 시스템에 연결 되고, 모든 실린더(82b)의 오일 챔버는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압 유니트(80)는 다수의 실린더(82b)를 가지는 유이트블록(84)을 포함하고 그 각 실린더에는 각 플런저(16)에 대응하는 피스턴 헤드(82a)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유니트 블록(84)은 상기 유압 시스템에 연결되고 모든 실린더(82b)의 오일챔버는 상호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유니트 블록(84)은 피스턴 헤드(82a)에 작용하는 유압을 조절 할 수 있는 조절 피스톤(84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판(85)의 전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고정 브래킷(86);그리고 상기 유니트 블록(84)의 전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유압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87)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브래킷(87)의 위치는 상기 고정 브래킷(86)에 대하여 상기 등압 유니트(80)의 위치를 형성하도록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11. 제8항에 있어서, 피스톤 헤드(82a)의 상부 단부는 그 축 주위로 플런저(1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각 플런저(16)의 하부 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12. 수지 성형 기계에 있어서, 상부 다이(10b) 및 성형되는 부재를 클램프하도록 움직일 수 있는 하부 다이 (10a)를 포함하는 클램핑 기구;상기 부재가 성형될 때 용융 수지를 보내도록 포트(12)에서 용융 수지에 압력을 가하는 플런저(16);용융 수지를 보내기 위한 상기 플런저(16)를 움직이기 위한 플런저 구동 기구;동입 압력으로 상기 모든 플런저(16)를 밀수 있는 등압 유니트(80);각 플런저(16)에 대응하여 피스톤 헤드(82a)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어있는 다수의 실린더(82b)를 가지는 유니트 블록(82);그리고 부재가 성형될 때 상기 등압 유니트(80)를 수직으로 이동항 수 있게 하며 그 측면에 개구된 유니트 홀(90)을 가지는 가동 테이블(22)로 구성되고,상기 플런저(16)는 하부 다이 (10a)에 성형되는 상기 포트(12)에 제공되어있으며, 상기 유니트 블록(84)은 상기시스템과 연결되며, 모든 실린더(82b)의 오일 챔버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등압 유니트(80) 유니트 홀 (90)에 제공되고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구동 기구는 유니트 홀(90)에서 등압 유니트(80)를 지지하고 유니트 홀(90)의 종 방향으로 이를 배열하기 위하여 유니트 판(85)를 또한 포함하고,상기 등압 유니트판(80)과 미끄럼 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등압 유니트(80)가 그 종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상기 등압 유니트(80)가 유니트 홀(90)의 개구 단부를 통하여 상기 등압 유니트 판(85)과 맞물리고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기계.
KR1019960061467A 1995-12-05 1996-12-04 수지 성형 기계 KR100195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6396 1995-12-05
JP7316409A JPH09155911A (ja) 1995-12-05 1995-12-05 樹脂モールド装置の等圧ユニット交換構造
JP7316396A JPH09155910A (ja) 1995-12-05 1995-12-05 電動プレス機構を用いた樹脂モールド装置
JP96-316409 1995-12-05
JP95-316396 1995-12-05
JP95-316409 1995-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708A KR970033708A (ko) 1997-07-22
KR100195848B1 true KR100195848B1 (ko) 1999-06-15

Family

ID=2656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467A KR100195848B1 (ko) 1995-12-05 1996-12-04 수지 성형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778116B1 (ko)
KR (1) KR100195848B1 (ko)
SG (1) SG869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5124A (en) * 1985-02-13 1988-07-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lastic molding device for a semiconductor element
US4793785A (en) * 1986-04-11 1988-12-27 Michio Osada Apparatus of multiplunger type for enclosing semiconductor elements with resin
JPH0622346Y2 (ja) 1987-09-14 1994-06-15 松下電工株式会社 エアーマット
JPH0422975Y2 (ko) 1987-09-17 1992-05-27
DE68925820T2 (de) * 1989-11-24 1996-07-11 Fico Bv Einzelband-Formvorrichtung
JPH05261753A (ja) * 1992-03-19 1993-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プランジャー式樹脂射出機構とその樹脂タブレット挿入ミス検出方法及び射出成形圧力制御方法
JPH05285978A (ja) * 1992-04-15 1993-11-02 Apic Yamada Kk 樹脂モールド装置
JP2591082Y2 (ja) 1992-04-20 1999-02-24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可動式受座装置
JP2931715B2 (ja) * 1992-05-12 1999-08-09 三菱電機株式会社 樹脂封止方法、樹脂封止装置、及びガススプ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708A (ko) 1997-07-22
EP0778116A1 (en) 1997-06-11
EP0778116B1 (en) 2002-04-03
SG86988A1 (en) 200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425B2 (en) Resin sealing mold and resin sealing method
JP3287669B2 (ja) 縦型射出成形機
KR100195848B1 (ko) 수지 성형 기계
US20030219509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EP1154465B1 (en) Device for encapsulating electronic components
JPH09155910A (ja) 電動プレス機構を用いた樹脂モールド装置
JP3947607B2 (ja) トランスファモールド装置
JP3368242B2 (ja) 樹脂封止方法及び樹脂封止装置
JP2686761B2 (ja) インサート物ベンド機構を有する金型装置
JP5093809B2 (ja) ディスク基板成形機およびディスク基板成形方法
JPH09155911A (ja) 樹脂モールド装置の等圧ユニット交換構造
CN220576510U (zh) 一种耐用防变形的模具
CN212422021U (zh) 一种带衬套固定架的注塑模具
JPH11333852A (ja) 金型試験仕上げ装置
JPH0994856A (ja) 射出成形用金型
CN110605372B (zh) 金属热压成型装置
JP4476874B2 (ja) トランスファ成形装置及びトランスファ成形方法
JPS6382716A (ja) トランスフア−成形型の金型装置
JPH09267372A (ja) 射出成形機
CN117584057A (zh) 砂轮磨头生产用卧式开合模
JPS6011325A (ja) 成形機
CN117103583A (zh) 一种薄壁制件成型模具及成型方法
CN115230085A (zh) 一种新能源汽车传感器塑料配件生产用注塑模具
CN113334840A (zh) 多层热压单腔排模及液压机
CN117445304A (zh) 塑封模具和塑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