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322B1 -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322B1
KR100193322B1 KR1019960041204A KR19960041204A KR100193322B1 KR 100193322 B1 KR100193322 B1 KR 100193322B1 KR 1019960041204 A KR1019960041204 A KR 1019960041204A KR 19960041204 A KR19960041204 A KR 19960041204A KR 100193322 B1 KR100193322 B1 KR 10019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intermediate lever
tension arm
adjustment memb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016A (ko
Inventor
도울링 패트릭
마나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미야무라 신페이
미쯔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무라 신페이, 미쯔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무라 신페이
Publication of KR97001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9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Y2201/236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 E05Y2201/238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reaction force or torq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2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 F16H3/40Gearings for reversal only

Abstract

본 발명의 텐션 기구는 베이스판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베이스판에 제1축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슬라이드 도어와 상기 와이어 드럼을 접속시키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제1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제1텐션 아암 및 제2텐션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각 텐션 아암은 그 선단측에 상기 와이어 케이블과 맞닿는 텐션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축에는 중간 레버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중간 레버와 제2텐션 아암 사이에는 텐션 스프링이 장착된다.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는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의 상대적 위치 각도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서로 고정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기구
본 발명은 텐션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를 모터의 동력에 의해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046,283호는 슬라이드 도어를 앞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에 접속된 제1 와이어 드럼과, 슬라이드 도어를 뒤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와이어 케이블에 접속된 제2와이어 드럼과, 양 드럼 사이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을 지니는 슬라이드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은 제1드럼을 시계 방향으로, 제2드럼을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여 와이어 케이블에 소정의 텐션압을 걸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텐션 스프링은 와이어 케이블의 길이에 변화가 생기면 그만큼 늘어나거나 압축된다. 또 제조시 와이어 케이블의 길이에 오차가 생겼을 때에도 종래의 텐션 스프링은 그 만큼 늘어나거나 압축된다. 이와 같이, 텐션 스프링의 길이에 변화가 생기면 와이어 케이블에 걸리는 텐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시에 와이어 케이블의 길이에 오차가 있더라도 와이어 케이블의 텐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텐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중에 와이어 케이블의 길이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와이어 케이블의 텐션압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텐션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슬라이드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폐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슬라이드 도어와 가이드 레일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슬라이드 도어의 연결 브래킷의 평면도.
제4도는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
제5도는 초기 텐션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횡단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전개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텐션 풀리를 해제한 경우의 부분 횡단 평면도.
제8도는 초기 텐션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횡단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전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텐션 풀리를 해제한 경우의 부분 횡단 평면도.
제11도는 가이드 레일의 부분 정면도.
제12도는 외측 리어 사이드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는 와이어 케이블과 슬라이드 유닛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
제13도는 슬라이드 유닛의 확대 정면도.
제14도는 단절된 상태의 클러치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5도는 연결된 상태의 클러치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로부터 T자형 요동체를 분리한 정면도.
제17도는 클러치 기구의 횡단 평면도.
제18도는 클러치체의 제2톱니 바퀴와 브레이크 슈를 나타낸 부분 절결 단면도.
제19도는 와이어 케이블의 최종 텐션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제20도는 최종 텐션 기구를 나타낸 횡단 평면도.
제21도는 동력 폐쇄 유닛의 정면도.
제22도는 후방측 래치 유닛의 종단 정면도.
제23도는 후방측 래치 유닛의 배면도.
제24도는 가이드 레일의 코너부를 나타낸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도어 2 : 차체
6 : 동력 슬라이드 유닛 7 : 와이어 케이블
8 : 가이드 레일 10 : 연결 브래킷
21 : 텐션 풀리 36 : 클러치 기구
41 : 요동체 55, 56 : 스프링
57, 58 : 브레이크 슈 66, 67 : 조절판
85 : 전방측 스트라이커 87 : 후방측 스트라이커
88 : 후방측 래치 유닛 89 : 동력 폐쇄 유닛
112, 113 : 래치 200 : 제어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차체(2)에 전후 방향으로 활주 자재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도어(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의 외측 리어 사이드 패널(쿼터 패널)(3)과 대면하는 개방 위치와, 승강구(4)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활주한다. 외측 리어 패널(3)의 내측 공간(5)에는 슬라이드 도어(1)를 활주시키기 위한 동력 슬라이드 유닛(6)이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6)은 와이어 케이블(7)을 구비하며, 와이어 케이블(7)의 절반은 상기 공간(5)내에 위치하며, 나머지의 절반은 사이드 패널(3)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8)내에 위치한다. 케이블(7)의 양단부(9)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1)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 연결 브래킷(10)에 연결된다. 연결 브래킷(10)에는 가이드 레일(8)에 활주 자재하게 걸어 맞춰지는 3개의 회전자(11)가 장착된다. 케이블(7)이 슬라이드 유닛(6)에 의해 견인되면, 연결 브래킷(10)은 가이드 레일(8)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도어(1)는 전후 방향으로 활주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8)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8)의 전방측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코너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8)의 전방 단부 부근에는 케이블(7)의 전방측 풀리(13)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8)의 후방 단부 부근에는 케이블(7)의 후방측 풀리(14)가 설치된다. 전방측 풀리(13)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7)의 탈락을 방지하는 홀더(15)내에 삽입된 후, 사이드 패널(3)에 고정된 브래킷(17)과 수직한 6측(16)에 의해 장착된다. 홀더(15)에 설치된 보스부(18)에는 텐션 플레이트(19)가 장착되며, 이 텐션 플레이트(19)에는 수직축(20)에 의해 텐션 풀리(21)가 지지된다.
상기 텐션 풀리(21)는 상기 케이블(7)에 초기 텐션을 부여하는 것으로, 케이블(7)을 상기 연결 브래킷(10) 및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6)에 장착할 때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풀리(21)를 해제 상태로 해 둔다. 케이블(7)의 장착이 종료되면 텐션 플레이트(19)를 손으로 밀어넣고, 텐션 플레이트(19)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2) 및 너트(23)를 이용하여 외부 사이드 패널(3)에 고정시킨다.
제8도 내지 제10도은 상기 텐션 풀리(2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텐션 플레이트(19)는 브래킷(17)에 활주 자재하게 장착된다.
상기 후방측 풀리(14)는 수직축(24)에 의해 리어 패널(3)에 지지되며, 또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 풀리(13)와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6)은 전방측 풀리(13)와 슬라이드 유닛(6) 사이의 케이블(7)과, 슬라이드 유닛(6)과 후방측 풀리(14) 사이에 케이블(7)이 각각 수평이 되도록, 전방측 풀리(13)와 후방측 풀리(14)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같이, 와이어 케이블(7)을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하면, 케이블(7)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의한 케이블(7)의 신축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케이블(7)이 수평이면, 케이블(7)의 외주를 둘러싸고 와이어 쉘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노출된 케이블(7)을 사용할 수 있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6)은 차제(2)에 고정되는 거의 수직한 베이스판(25)과, 베이스판(25)에 지지된 와이어 드럼(26)과, 한쌍의 카운터 풀리(27, 28)와, 한쌍의 아암(29, 30)에 장착된 텐션 롤러(31, 32)와, 상기 와이어 드럼(26)을 회전시키는 모터(33)를 구비한다. 상기 카운터 풀리(27, 28)는 상기 공간(5)내의 케이블(7)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 전방측 풀리(13) 및 후방측 풀리(14)와 같은 높이로 위치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드럼(26)은 수평축(34)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25)에 지지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26)에는 기어(35)가 고정되며, 기어(35)와 상기 모터(33) 사이에는 클러치 기구(36)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 기구(36)의 상세는 제14도 내지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모터(33)의 출력축(37)에는 출력 톱니 바퀴(38)가 고정된다. 출력 톱니 바퀴(38)의 양측에는 한쌍의 클러치체(39, 40)가 설치된다. 클러치체(39, 40)는 역 T자형의 요동체(41)에 축(42, 43)에 의해 지지된다. 요동체(41)는 베이스판(25)에 고정된 커버판(44)에 축(45)에 의해 지지된다. 축(45)의 축 중심은 상기 출력축(37)의 축 중심과 동일하다. 상기 요동체(41)는 커버판(44)의 굴곡부(46)와 요동체(41)의 굴곡부(47)를 좁혀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제14도의 중립 위치로 유지된다.
상기 클러치체(39, 40)는 상기 출력 톱니 바퀴(38)에 맞물리는 제1톱니 바퀴(49, 50)와, 베이스판(25)에 고정된 원호형 래크(51, 52)에 맞물리는 제2톱니 바퀴(53, 54)를 구비한다. 제2톱니 바퀴(53, 54)는 제1톱니 바퀴(49, 5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도록 제1톱니바퀴(49, 50)에 소정의 마찰 저항으로써 접촉된다.
제14도의 상태에서, 상기 출력 톱니 바퀴(38)에 의해 상기 제1톱니 바퀴(49, 50)가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톱니 바퀴(53, 54)도 상기 마찰 저항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되면, 제2톱니 바퀴(53,54)와 래크(51, 52)와의 맞물림에 의해 요동체(41)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의헤 제1좌측 톱니 바퀴(49)가 와이어 드럼(26)의 기어(35)에 맞물려 와이어 드럼(2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상기 제1톱니 바퀴(49, 50) 및 제2톱니 바퀴(53, 5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요동체(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의해 제1우측 톱니 바퀴(50)가 와이어 드럼(26)의 기어(35)에 맞물려 와이어 드럼(2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모터(33)의 회전이 정지되면, 요동체(41)는 복귀 스프링(48)의 탄력으로 중립 위치로 복귀되며, 이에 의해 모터(33)와 와이어 드럼(26) 사이의 연결이 해체된다.
상기 마찰 저항은 스프링(55, 56) 및 브레이크 슈(57, 58)에 의해 생긴다. 스프링(55, 56)은 제2톱니 바퀴(53, 54)와 단부 가장자리(59, 60)와 브레이크 슈(57, 58)사이에 설치되며, 브레이크 슈(57, 58)는 제1톱니 바퀴(49, 50)의 보스부(61, 62)에 강제적으로 압착되어 있다.
제19도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7)의 텐션 조절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텐션 조절 기구는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상기 텐션 풀리(21)에 의해 초기 텐션이 가해진 케이블(7) 텐션을 최종적으로 조절한다. 상기 텐션 롤러(31, 32)가 장착된 상기 아암(29, 30)은 상기 축(34)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다. 이 축(34)에는 한쌍의 조절판(63, 64)이 지지되며, 이 조절판(63, 64) 사이에는 텐션 스프링(65)이 설치된다.
상기 아암(29, 30)의 중앙부에는 조절 부재(66, 67)가 장착되어 있다. 조절 부재(66, 67)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9, 30)에 고정된 브래킷(68, 69)에 핀(70, 71)에 의해 지지된다. 조절 부재(66, 67)의 다수의 돌기(72, 73)는 스프링(74, 75)의 탄력에 의해 상기 아암(29, 30)의 구멍(76, 77)에 걸어 맞춰진다. 조절 부재(66, 67)에는 상기 조절판(63, 64)의 원호형 기어부(78, 79)에 맞물리는 기어부(80, 81)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아암(29)과 상기 주조절판(63)은 기어부(78)와 기어부(80)의 상호 걸어 맞춤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우측 아암(30)과 상기 우측 조절판(64)은 기어부(79)와 기어부(81)의 상호 걸어 맞춤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아암(29, 30)은 텐션 스프링(65)의 탄력에 의해 와이어 케이블(7)을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조절 부재(66, 67)에는 드라이버(82)가 걸어 맞춰지는 홈(83, 84)이 설치되며, 홈(83, 84)에 드라이버(82)를 걸어 맞춰 조절 부재(66, 67)를 회전시킴으로써 아암(29, 30)과 조절판(63, 64)사이의 각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7)에 상기 텐션 풀리(21)에 의한 초기 텐션이 가해지면, 케이블(7)이 긴장하여 아암(29, 30)은 텐션 스프링(65)의 탄력에 저항하여 회전한다. 이때, 케이블(7)의 길이에 제조상의 오차가 있다면, 스피링(65)이 잡아 당겨지는 양이 균일하지 않아 아암(29, 30)에 작용하는 탄력도 일정해지지 않는다. 즉, 스피링(65)의 잡아 당겨지는 길이가 설계한 길이보다 길어지면, 텐션 압력은 커지며, 반대로 스프링(65)의 잡아 당겨지는 길이가 설계한 길이보다 짧아지면, 텐션 압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7)에 텐션 풀리(21)에 의한 초기 텐션을 가한 후, 스피링(65)의 길이가 설계한 길이대로 되도록 아암(29, 30)과 조절판(63, 64) 사이의 각도를 조절 부재(66, 67)에 의해 변경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7)의 길이에 제조상의 오차가 있어도, 케이블(7)에 희망하는 텐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6)의 수평 방향의 두께는 종래의 슬라이드 유닛의 두께보다 얇게 된다. 종래에는, 드럼이 수직축에 의해 베이스판에 장착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유닛의 수평 방향의 두께는 드럼의 직경보다 커졌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유닛(6)의 와이어 드럼(26)이 수평축(34)에 의해 수직 베이스판(25)에 장착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유닛(6)의 수평 방향의 두께를 와이어 드럼(26)의 두께와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26)의 두께는 그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얇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유닛(6)의 수평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얇게 형성된 슬라이드 유닛(6)은 사이드 패널(3)의 내측 공간(5)내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다시 제1도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도어(1)에는 차체(2)에 고정된 전방측 스트라이커(85)에 걸어 맞춰지는 전방측 래치 유닛(86)과, 차체(2)에 고정된 후방측 스트라이커(87)에 걸어 맞춰지는 후방측 래치 유닛(88)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가 폐쇄 위치를 향해 활주하면, 최초에 전방측 래치 유닛(86)이 전방측 스트라이커(85)에 걸어 맞춰지며, 그후 후방측 래치 유닛(88)이 후방측 스트라이커(87)에 걸어 맞춰진다. 후방측 래치 유닛(88)이 후방측 스트라이커(87)에 걸어 맞춰지는 형태는 초기에 걸어 맞춰진 하프 래치 상태와, 완전히 걸어 맞춰진 하프 래치 상태의 2종류가 있다.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6)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1)의 폐쇄 방향으로의 활주는 하프 래치 상태가 달성될 때까지 수행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1)에는 하프 래치 상태를 달성시키는 동력 폐쇄 유닛(89)과, 전기 케이블(90)을 통해 동력 폐쇄 유닛(89)에 접속된 커넥터(91)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도어(1)가 폐쇄 방향으로 활주하며, 후방측 래치 유닛(88)이 후방측 스트라이커(87)에 걸어 맞춰지기 전에, 커넥터(91)가 차체(2)의 커넥터(92)에 접촉된다. 커넥터(92)는 배터리(93)에 접속되어 있으며, 커넥터(91)가 커넥터(92)에 접촉되면, 동력 페쇄 유닛(89)이 배터리(93)로부터 전기 동력을 공급 받는다.
상기 차체(2)에는 상기 동력 슬라이드 유닛(6) 및 동력 폐쇄 유닛(89)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00)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유닛(200)은 상기 후방측 래치 유닛(88)에 다수의 신호 케이블(94)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동력 폐쇄 유닛(89)과 후방측 래치 유닛(88) 사이에는 와이어 케이블(95)이 설치된다. 제어 유닛(200)은 신호 케이블(94)을 통해 후방측 래치 유닛(88)으로부터 하프 래치 신호를 수령할 경우 동력 폐쇄 유닛(89)을 작동시켜 와이어 케이블(95)을 통해 후방측 래치 유닛(88)을 하프 래치 상태로 만든다.
제21도는 동력 폐쇄 유닛(89)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베이스판(96)에는 모터(97)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97)의 출력 톱니 바퀴(99)에는 부채꼴 기어(99)가 맞물려 있다. 부채꼴 기어(99)는 측(100)에 의해 베이스판(96)에 지지된다. 상기 축(100)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95)의 일단부가 걸어 맞춰지는 윈치 레버(101)가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다. 윈치 레버(101)와 부채꼴 기어(99) 사이에는 연결 레버(102)가 설치된다. 연결 레버(102)에는 상기 축(100)이 삽입되어 장공(103)이 형성되며, 장공(103)과 축(100)의 여유분 만큼 연결 레버(102)가 활주한다.
상기 연결 레버(102)의 일단부에는 레버(102)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핀(104)이 설치되며, 핀(104)은 상기 부채꼴 기어의 U자형 글로브(105) 및 상기 윈치 레버(101)의 장공(106)에 걸어 맞춰진다. 상기 연결 레버(102)는 스프링(107)의 탄력에 의핸 핀(104)이 글로브(105)에 걸어 맞춰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후방측 래치 유닛(88)이 하프 래치 상태가 되면, 상기 모터(97)가 회전하며, 이에 의해 부채꼴 기어(99)가 제2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되면, 핀(104)이 글로브(105)와 장공(106)의 양측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윈치 레버(10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 케이블(95)을 견인한다. 이에 의해, 후방측 래치 유닛(88)에 모터(97)의 동력이 전달되어 래치 유닛(88)이 하프 래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개방 상태의 슬라이드 도어(1)가 동력 슬라이드 유닛(6)의 동력에 의해 하프 래치 상태까지 활주한 후 동력 폐쇄 유닛(89)의 동력에 의해 풀 래치 상태로 되어 완전한 폐쇄가 달성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단지 동력 슬라이드 유닛(6)을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의해 슬라이드 도어(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폐쇄 유닛(89)에는 모터(97)와 후방측 래치 유닛(88)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캔슬 레버(108)가 설치된다. 캔슬 레버(108)는 슬라이드 도어(1)의 외부 오픈 핸들 또는 내부 오픈 핸들(109)에 의해 회전하는 오픈 레버(110)에 연결된다. 모터(97)에 의해 부채꼴 기어(99)가 한창 회전하고 있을 때 오픈 핸들(109)에 의해 오픈 레버(110)를 거쳐 캔슬 레버(108)를 회전시키면, 캔슬 레버(108)가 연결 레버(102)의 단부에 걸어 맞춰져서 연결 레버(102)를 스프링(107)의 탄력을 거슬러 활주시킨다. 이에 의해, 핀(104)은 글로브(105)로부터 이탈되며, 모터(97)와 후방측 래치 유닛(88)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가 차단된다. 이러한 캔슬 조작은 슬라이드 도어(1)의 폐쇄를 중단하고자 할 때 또는 슬라이드 도어(1)와 차체(2)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깨워졌을 때 등에 실시된다.
제22도 및 제23도에는 후방측 래치 유닛(88)이 도시되어 있다. 래치 유닛(88)의 래치 본체(111)에는 후방측 스트라이커(87)에 걸어 맞춰지는 래치(112) 및 래치(112)에 걸어 맞춰져서 래치(112)와 스트라이커(87)의 걸어 맞춰진 상태를 유지하는 래칫(ratchet)(113)이 수납된다. 래치(112)가 스트라이커(87)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하프 래치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면, 래칫(113)이 래치(112)의 하프 래치 단부(114)에 걸어 맞춰진다.
상기 래치(112)를 지지하는 래치축(115)에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116)가 고정된다. 스위치 레버(116)는 래치(112)와 함께 회전하며, 래치(112)가 하프 래치 위치가 될 때 스위치(117)의 단자 아암(118)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117)는 하프 래치 신호를 신호 케이블(94)을 통해 상기 제어 유닛(200)에 송신한다.
상시 래치 본체(111)에는 축(119)에 의해 케이블 레버(120)가 지지된다. 케이블 레버(120)에는 상기 와이어 케이블(95)의 단부가 걸어 맞춰진다. 축(119)에는 회전 아암(121)이 고정되며, 회전 아암(121)에는 롤러(122)를 장착한 링크(123)가 연결된다. 롤러(122)는 케이블 레버(120)가 와이어 케이블(95)의 힘에 의해 회전할 때 래치 본체(111)의 가이드 글로브(124)에 안내되어 활주한다.
상기 래치(112)에는 하프 래치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 글로브(124)와 겹쳐지는 다리부(125)가 설치된다. 다리부(125)가 가이드 글로브(124)를 따라 활주하는 롤러(122)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래치(112)가 풀 래치 위치로 회전하며, 래칫(113)은 래치(112)의 풀 래치 단부(126)에 걸어 맞춰진다. 래치(112)가 하프 래치 위치로 되면, 스위치 레버(116)가 단자 아암(118)으로부터 떨어지며, 이에 의해 스위치(117)는 풀 래치 신호를 신호 케이블(94)을 통해 상기 제어 유닛(200)에 송신한다.
상기 래치 본체(111)에는 상기 래칫(113)에 핀(127)을 통해 연결된 래칫 레버(128)가 지지된다. 래칫 레버(128) 부근에는 상기 오픈 핸들(109)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129)가 설치된다. 래칫 레버(128)는 레버(129)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회전하며, 상기 래칫(113)을 상기 래치(112)로부터 이탈시킨다.
다시 제1도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8)의 상기 코너부(12)에는 와이어 케이블(7)이 강한 힘으로 접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케이블(7) 및 가이드 레일(8)의 마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의 코너부(12)에 롤러(130)가 장착된다. 롤러(130)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31)의 탄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코너부(12)에 설치된 롤러(130)는 또한 별도의 작용도 한다.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브래킷(10)에 연결된 케이블(7)의 단부(9)는 통상 상기 가이드 레일(8)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연결 브래킷(10)이 가이드 레일(8)의 직선부에 위치할 때 및 연결 브래킷(10)이 가이드 레일(8)의 코너부(12)에 위치할 때, 단부(9)와 와이어 드럼(26)과의 거리가 변하여 케이블(7)의 텐션압에 변화가 생긴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코너부(12)에 롤러(130)를 설치하면, 단부(9)와 와이어 드럼(26)과의 거리의 변화가 감소되어 케이블(7)의 텐션압에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로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베이스판에 제1축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슬라이드 도어와 상기 와이어 드럼을 접속시키며,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제1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제1텐션 아암 및 제2텐션 아암과; 이 각 텐션 아암의 선단측에 구비되는 와이어 케이블과 맞닿는 텐션 롤러와; 상기 제1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중간 레버와;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의 상대적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를 서로 고정시키는 조절 부재와; 상기 중간 레버와 제2텐션 아암 사이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의 다른 한쪽과 걸어 맞춰지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복수의 돌기를 지니며,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은 상기 돌기를 걸어 맞추는 복수의 계합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계합 구멍과의 계합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조절 부재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플러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워 맞추는 흠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8.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로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베이스판에 제1축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슬라이드 도어와 상기 와이어 드럼을 접속시키며, 상기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 도어를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와이어 케이블과; 상기 제1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제1텐션 아암과 제2텐션 아암과; 이 각 텐션 아암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케이블과 맞닿는 텐션 롤러와; 상기 제1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 제1중간 레버 및 제2중간 레버와;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제1중간 레버를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제1중간 레버의 상대적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고정하는 제1조절 부재와; 상기 제2텐션 아암과 상기 제2중간 레버의 상대적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텐션 아암과 상기 제2중간 레버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2조절 부재와; 상기 제1중간 레버 및 상기 제2중간 레버 사이에 설치한 텐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부재 및 상기 제2조절 부재는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제1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 및 상기 제2텐션 아암과 상기 제2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에 각각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부재 및 상기 제2조절 부재는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제1중간 레버의 다른 어느 한쪽 및 상기 제2텐션 아암과 상기 제2중간 레버의 다른 어느 한쪽과 걸어 맞춰지는 기어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부재 및 상기 제2조절 부재는 각각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제1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 및 상기 제2텐션 아암과 상기 제2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은 상기 돌기를 걸어 맞추는 복수의 계합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계합 구멍과의 계합은 각각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 아암과 상기 제1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 및 상기 제2텐션 아암과 상기 제2중간 레버의 어느 한쪽에느 상기 제1조절 부재 및 상기 제2조절 부재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핀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부재 및 상기 제2조절 부재에는 플러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워 맞추는 홈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기구.
KR1019960041204A 1995-09-20 1996-09-20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 KR100193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49995A JP3122353B2 (ja) 1995-09-20 1995-09-20 車両オートスライドドアのワイヤーケーブル緊張装置
JP95-266499 1995-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016A KR970016016A (ko) 1997-04-28
KR100193322B1 true KR100193322B1 (ko) 1999-06-15

Family

ID=1743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204A KR100193322B1 (ko) 1995-09-20 1996-09-20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7875A (ko)
JP (1) JP3122353B2 (ko)
KR (1) KR100193322B1 (ko)
GB (1) GB2305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563A (en) * 1996-04-04 1999-06-22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3294121B2 (ja) * 1996-10-25 2002-06-24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自動開閉装置
DE19814670B8 (de) * 1997-04-02 2007-02-08 Asmo Co., Ltd., Kosai 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Schiebetür
DE19819421C2 (de) * 1998-04-30 2001-11-08 Kiekert Ag Schiebetürantrieb für die Schiebetür eines Kraftfahrzeuges
JP3931065B2 (ja) * 2001-09-21 2007-06-1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テンション機構の初期テンション設定装置
KR20040039631A (ko) * 2002-11-04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
US7159930B2 (en) * 2004-03-31 2007-01-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Power slide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DE102005025088A1 (de) * 2005-01-14 2006-07-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chiebetür für ein Kraftfahrzeug
US20070296245A1 (en) * 2005-01-14 2007-12-27 Olaf Kriese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CN101139904B (zh) * 2007-08-22 2011-05-04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汽车中滑门电动传动系统
WO2009066652A1 (ja) * 2007-11-22 2009-05-2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DE102010035555A1 (de) * 2010-08-26 2012-03-01 Linrot Holding Ag Elektromotorischer Schwenkantrieb, insbesondere für Klappen, beispielsweise an Möbeln
CN102226360B (zh) * 2011-05-18 2012-11-07 闵浩 轴向驱动离合式电子门锁离合器
DE202011051748U1 (de) * 2011-10-25 2013-01-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Fensterheberseils
US9731581B2 (en) * 2013-01-29 2017-08-15 Magna Closures Inc. Vehicle door and door module with multi-portion door carrier
KR20150074806A (ko) * 2013-12-24 2015-07-0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JP6269342B2 (ja) * 2014-06-20 2018-01-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張力付与装置、ドラム装置及び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US9856688B2 (en) 2014-11-06 2018-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i-directional element drive system
CN105405345B (zh) * 2015-12-01 2018-12-07 马鞍山市新桥工业设计有限公司 新型火灾实验台
CN106114161B (zh) * 2016-06-24 2019-05-14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滑门中驱结构四轮拉索防脱防绞装置
WO2019152887A1 (en) 2018-02-01 2019-08-08 Oldcastle Building Envelope, Inc. Demountable wall system and method
DE102019121351A1 (de) 2019-08-07 2021-02-11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iebetür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US20220307291A1 (en) * 2021-03-29 2022-09-29 Shenzhen Oceanwing Smart Innovations Technology Co., Ltd. Motor Gearbox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5476A (en) * 1945-04-30 1947-08-12 Lade Frederick Leonard Clothesline tightener
GB1335737A (en) * 1971-03-04 1973-10-31 Westland Aircraft Ltd Winch mechanisms
JPS4925923A (ko) * 1972-06-29 1974-03-07
IT1064159B (it) * 1976-11-10 1985-02-18 Sessa T Alzacristallo a filo di tipo perfezionato
CH663608A5 (de) * 1984-05-28 1987-12-31 Inventio Ag Tuerantrieb mit einklemmsicherung fuer tueren von aufzugskabinen.
US4617757A (en) * 1984-11-02 1986-10-21 Ohi Seisakusho Co., Ltd. Sliding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DE3827359A1 (de) * 1988-08-12 1990-02-15 Bode & Co Geb Ausschwenkbare aussenschiebetuer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US5046283A (en) * 1990-04-25 1991-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sliding door closer
JPH0749746B2 (ja) * 1990-06-29 1995-05-3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US5323570A (en) * 1993-01-25 1994-06-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opening cable system with cable slack take-up
KR100218569B1 (ko) * 1995-09-01 1999-09-01 미야무라 신페이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래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88418A (ja) 1997-03-31
KR970016016A (ko) 1997-04-28
US5737875A (en) 1998-04-14
GB2305465B (en) 1997-10-08
GB9619438D0 (en) 1996-10-30
JP3122353B2 (ja) 2001-01-09
GB2305465A (en) 199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322B1 (ko) 차량 도어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텐션 기구
KR100202776B1 (ko)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동력 슬라이드 장치의 클러치 기구
US5832669A (en) Latch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S5819892B2 (ja) シヤリヨウブレ−キノユルミチヨウセツキコウ
CA2006137C (en)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s
JP3649843B2 (ja) 車両用座席のヒンジ機構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を含む座席
US7614670B2 (en) Door closing apparatus
JPH0749746B2 (ja) 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US5938251A (en) Powere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with a safety mechanism
US5520425A (en) Power closing door latch device for motor vehicle
PL114115B1 (en) Speed control system for combustion engines
KR100218569B1 (ko) 차량 슬라이드 도어용 래치 장치
KR20040043462A (ko) 루프캐리어의 크로스바 잠금장치
JPH06156251A (ja) ブレーキ用の調整装置
US4715655A (en) Reclining angle adjustment device
GB2309500A (en) A powered vehicle door sliding device having a final cable tension adjusting mechanism
JPH0314058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GB2162890A (en) Seat reclining angle adjustment device
FR2459511A1 (fr) Mecanisme de commande d'un dispositif de reglage, notamment ceux utilises sur un groupe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4719678B2 (ja) 質量補償装置を有する引っ張り係合機能を具備するベルト・テンショナ
JPH0245426Y2 (ko)
JP3884395B2 (ja) ケーブル張力装置
JPH07116037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852811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US6616091B2 (en) Cable winding 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