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301B1 -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1301B1 KR100191301B1 KR1019960005523A KR19960005523A KR100191301B1 KR 100191301 B1 KR100191301 B1 KR 100191301B1 KR 1019960005523 A KR1019960005523 A KR 1019960005523A KR 19960005523 A KR19960005523 A KR 19960005523A KR 100191301 B1 KR100191301 B1 KR 100191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valve
- water supply
- ice making
- valve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내장되는 자동제빙장치의 제빙용기내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제빙장치용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량 물저장기의 물출구를 개폐하는 물출구 밸브기구 및 물저장 탱크의 급수구를 개폐하는 탱크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물출구 밸브기구를 개방하는 한편,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제 1 상태에서 물출구 밸브기구를 닫은 사애를 경유하고 나서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제 2 상태로 이행해서 물저장 탱크로부터 정량 물저장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그후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를 경유하고 나서 물출구 밸브기구를 닫은 제 1 상태로 복귀하고 정량 물저장기내의 물을 제빙용기로 급수하는 급수동작을 반복 실시하는 밸브 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이 밸브 조작수단이 제 1 상태에 위치하고 있는 원점을 검지하는 원점 검지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제빙용기로의 정량 급수 정밀도를 높게함과 동시에 정량 물저장기에 물때나 곰팡이 등이 부착하게 어렵고 또한 급수대기 상태가 장기간 계속되더라도 물출구 밸브기구에 동작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작축의 위치와, 출수밸브기구 및 탱크 밸브기구의 개폐와 홀소자로부터의 검출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낸 타임챠트.
제2도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제3도는 급수장치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출수밸브기구 및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제3도 상당도.
제5도는 제 2 상태를 나타낸 제3도 상당도.
제6도는 밸브구동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밸브구동장치의 측면도.
제8도는 밸브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캠의 사시도.
제10도는 블록도.
제11도는 자동제빙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챠트.
제12도는 제 1 흐름도.
제13도는 제 2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상당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상당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본체 2 : 냉장실
3 : 제빙실 5 : 제빙접시(제빙용기)
6 : 구동기구 8 : 제빙용 온도센서
10 : 급수장치 12 : 물받이 용기
13 : 정량 저수기 13a : 출수구
13b : 지지암 14 : 출수밸브기구
15, 30 : 밸브봉 16,31 : 밸브체
17 : 상부 밸브봉 18 : 하루 밸브봉
20, 21, 32 : 압축코일 스프링 22 : 고무제 패킹
26 : 저수 탱크 27 : 캡(Cap)
27a : 급수구 28 : 탱크 밸브기구
29 : 지지틀 33 : 탱크스위치
35 : 밸브 구동장치 36 : 케이스
37 : 조작축 38 : 밸브구동모터
38a : 회전축 39 : 캠기구
40 : 감속 치차기구 41 : 캠
41a : 캠면 41c : 최상위면
41d : 최하위면 42 : 밸브조작수단
43 : 패킹 44 : 원점검지수단
45 : 마그네트 46 : 홀IC
47 : 마이크로컴퓨터
본 발명은 냉장고에 내장된 자동제빙장치의 제빙용기내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제빙장치용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제빙장치용 급수장치는 종래부터 냉장실내에 설치된 물받이 접시에 저장된 물을 급수펌프에 의해 제빙실내에 설치된 제빙용기로서의 제빙접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구성은 물받이 접시 위에 저수탱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저수탱크의 바닥부에 설치된 탱크밸브를 통해 물받이 접시에 상기 물받이 접시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즉, 일정량의 물을 저수탱크로부터 급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성의 급수장치에서의 물받이 접시내에 물을 항상 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받이 접시의 내면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이 있고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고 제빙접시로의 급수중 급수펌프가 소음을 발생해서 귀에 거슬리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급수장치를 발명하고 먼저 출원하고 있다(예를들면 일본특허출원 94-205332호). 이 급수장치는 제빙용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바닥부에 물의 출구를 가지는 정량 저수기를 구비하고 이 정량 저수기의 위에 설치외어 정량 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를 가지는 저수탱크를 구비하고, 정량저수기의 출수구를 개폐하는 출수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저수 탱크의 급수구를 개폐하는 탱크밸브 기구를 구비하고 정량 저수기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제빙용기에 곱급하는 급수로를 구비하고, 출수밸브기구 및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로부터 탱크밸브 기구를 열음으로써 저수 탱크로부터 정량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주수하고, 그 후 탱크밸브기구를 닫고 출수밸브기구를 열음으로써 정량저수기내의 물을 제빙용기로 급수하고, 다시 출수밸브기구를 닫아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주기적으로 급수동작하는 밸브조작수단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우선 출수밸브기구에 의해 정량 저수기의 출수구를 닫은 상태로 탱크밸브 기구를 열면 저수 탱크로부터 정량 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후 탱크밸브 기구를 닫음과 동시에 출수밸브기구를 개방함으로써 정량 저수기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을 급수로를 통해 제빙용기에 급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제빙용기로의 급수시에는 탱크 밸브기구를 닫고 있기 때문에 제빙용기로의 정량급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정량 저수기를 제빙용기로 급수할 때외에는 비어있기 때문에 물때가 끼기 어렵고 곰팡이 등도 발생하기 어렵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경우 급수장치를 동작시키지 않은 급수대기상태에서는 수밸브기구 및 탱크 밸브기구가 함께 닫힌 상태에 있다. 여기서 출수밸브기구의 밸브본체 정량 저수기의출수구의 개부부에 부착된 고무제 패킹에 접속 분리함으로써 출수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수구가 닫힌 상태에서는 밸브체가 고무제 패킹에 강하게 눌려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는 통상 경질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질수지가 고무에 강하게 눌려져 있는 상태가 계속되면 경질수지와 고무가 서로 밀착되어 겉부분이 떨어져 나간다는 성질이 있다. 한편, 밸브조작수단은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개방시키기위한 조작력을 그다지 강하게 설정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출수밸브기구가 닫히 상태가 계속되면 급수장치를 동작시킬 때에 출수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급수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고무제 패킹은 장시간 강하게 압출 변형이 계속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출수밸브기구가 닫힌 상태가 계속되면 고무제 패킹, 나아가서는 출수밸브기구의 시일(seal)성능이 저하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장치에 의해 제빙용기로의 정량급수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정량 급수하기 위한 용기에 물때나 곰팡이 등이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급수대기 상태가 장기간 계속되더라도 출수밸브기구가 동작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제빙 장치용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제빙장치용 급수장치는 자동제빙장치의 제빙용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용기에 물을 유출하는 출수구를 바닥부에 가지는 정량 저수기; 상기 정량 저수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정량 저수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를 가지는 저수 탱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부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정량 저수기의 출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한 출수밸브기구; 상기 밸브봉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저수 탱크의 급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갖는 탱크 밸브기구; 상기 밸브봉을 캠기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축을 갖고, 이 조작축은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열고 또한 상기 탱크 밸브기구의 밸브체를 닫는 제 1 상태에서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탱크 밸브기구의 밸브체를 여는 제 2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저수 탱크로부터 상기 정량 저수기에 일저어량의 물을 공급하고, 그 후 상기 탱크 밸브기구의 밸브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여는 제 1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정량 저수기내의 물을 상기 제빙용기로 그수하는 밸브 조작수단; 및 상기 밸브 조작수단이 제 1 상태로 복귀한 것을 상기 캠기구의 원점위치에 의해 검지하여 밸브 조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원점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경우 상기 밸브 조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원점검지수단을 막드네트와 홀소자로 구성하고, 상기 홀소자가 상기 마그네트의접근을 검지해서 검지신호를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구동모터를 단전하여 정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조작수단이 급수동작을 실행하는 도중에, 상기 2개의 밸브기구가 닫힌 상태를 소정시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다.
또한 상기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중에 상기 저수 탱크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었을 때에는 그 급수동작 완료후의 급수판정에 있어서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도 급수불량을 검지하지 않고 상기 밸브조작수단을 다시 급수동작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급수불량의 검지를 실행하지 않음에 동시에 이빙동작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나서 상기 밸브조작수단을 다시 급수동작 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한층 바람직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의 통전시간이 설정시간을 넘을 때에 상기 구동모터를 단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은 구성이다. 또한 전원투입시에 상기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는 않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제빙용기가 수평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해서 상기 밸브조작수단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제빙용기로 급수하는 경우, 밸브조작수단이 동작되어 원점인 제 1 상태에서 출수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를 경유해서 제 2 상태로 이행하면, 출수밸브기구가 정량 저수기의 출수구를 닫은 후 탱크밸브기구가 열린다. 이것에 의해 저수탱크로부터 정량 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후 제 2 상태에서 탱크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를 경유해서 다시 제 1 ;상태로 돌아오면 탱크밸브기구가 저수탱크의 급수구부를 닫은 후, 출수밸브기구가 정량 저수기의 출수구를 개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정량 저수기에 저장된 일정량의 물이 출수구를 통해 제빙용기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빙용기로의 급수시에는 탱크밸브기구를 닫고 있기 때문에 정량 저수기내의 물만을 제빙용기로 급수할 수 있고 제빙용기로의 정량 급수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한 정량 저수기는 제빙용기로의 급수할 때 외에는 빈 상태이기 때문에 물때가 부착하기 어렵고 곰팡이 등도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급수장치의 밸브조작수단은 원점인 제 1 상태에 위치하여 급수대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상태에서는 탱크밸브기구는 닫혀 있고 출수밸브기구는 열려 있다. 따라서, 급수대기 상태가 장기간 계속하더라도 출수밸브기구가 열려 있기 때문에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와 패킹이 밀착하는 일이 없어짐과 동시에 패킹의 시일성능이 저하하거나 출수밸브기구에 동작부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밸브조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원점검지수단을 마그네트와 홀소자로 구성하고, 홀소자가 마그네트의 접근을 검지해서 검지신호를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구동모터를 단전정지시키는 구성의 간단한 구성으로서 실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모터를 통전개시할 때에 모터가 약간 역회전하는 것이 있더라도 홀소잘부터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검지신호가 확실히 계속 출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조작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도중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가 닫힌 상태를 미리 결정한 소정시간 유지하도록 구성하면 2개의 밸브기구의시일성능을 검사하는 검사시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의 시일성능을 검사하는 검사시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가 닫힌 상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검사를 실행하기 쉽게 된다.
한편,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중에 사용자에 의해 저수탱크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는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급수동작이 완료해도 제빙용기에 급수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급수동작 완료 후의 급수판정에 있어서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 급수불량이 통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저수 탱크에 물을 보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급수램프를 점등한다. 그리고 이 경우 사용자는 저수 탱크를 다시 세트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장치가 고장난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중에 저수탱크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었을 때에는 그 급수동작 완료후의 급수판정에 있어서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도 급수불량을 통지하지 않고 밸브조작수단을 다시 급수동작시키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해 급수불량을 통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급수장치가 고장난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급수동작이 다시 실행되기 때문에 제빙용기로 확실히 급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급수불량의 통지를 실행하지 않음에 더하여 이빙동작을 실행하지 않도록 해서 밸브조작수단을 다시 급수동작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 구성의 경우 이빙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즉 제빙용기를 상하 반전동작시키지 않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조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통전해서 급수동작을 개시한 후, 구동모터의 통전시간이 미리 결정된 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구동모터를 단전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구동모터가 계속 회전할 경우에 구동모터를 단전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투입시에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면, 그 후 급수동작명령이 발생해서 급수동작을 개시시킨 경우 급수동작의 도중, 즉 2개의 밸브기구의 개폐동작구의 도중에서 급수동작이 샐행된다. 이 경우 제빙용기내에 물이 완전히 급수되지 않거나, 소량밖에 급수되지 않거나 하는 급수불량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전원투입시에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음을 검지했을 때에 제빙용기가 수평상태에 있다는 것을 조건으로 구동모터를 구동해서 밸브조작수단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급수동작명령이 발생했을 때에는(급수동작의 개시전에는) 밸브조작수단이 확실하게 원점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급수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자동제빙장치를 부착한 냉장고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 제1도 내지 제 1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냉장고본체의 자동제빙장치 주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제2도에 있어서 냉장고본체(1)내에는 냉장실(2) 및 제빙실(3)이 칸막이벽(4)을 통해 상하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본체(1) 내에는 상기 냉장실(2) 및 제빙실(3) 이외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냉동실이나 야채실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빙실(3)내에는 제빙용기로서 예를들면 플라스틱제의 제빙접시(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빙접시(5)는 구동기구(6)에 의해 회전운동(상하 반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6)는 접시 구동용 모터(7)(제 10 도 참조) 및 감속장치(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접시(5)에 저장된 물은 제빙실(3)내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접시(5)의 외부바닥부에는 제빙접시(5)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로서 제빙용 온도센서(8)(제 10도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제빙용 온도센서(8)로부터의 온도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빙접시(5)내의 물의 제빙완료를 검지하면 구동기구(6)에 의해 제빙접시(5)가 수평상태로부터 상하 반전되고 또는 비틀어짐으로써 이빙동작이 실행한 후 수평상태로 돌아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접시(5)의 아래쪽에는 이빙되어 낙하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저빙용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저빙용기내에 얼음이 가득차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저빙검지레버(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빙실(3)의 윗쪽의 냉장실(2)내에는 상기 제빙접시(5)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10)가 설치되어 있고 이하 이 급수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냉장실(2)내의 바닥부에는 플라스틱제의 탑재대(11)가 설치되고 이 탑재대(11)와일체로 물받이 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받이 용기(12)의내부는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용기로서 예를들면 플라스틱제의 원형형상을 이루는 정량 저수기(1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정량 저수기(13)내에는 일정량인 예를들면 105cc의 물이 저장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105cc의 물은 제빙접시(5)내로의 최적급수량이다. 상기 정량 저수기(13)의 바닥부 중앙에는 출수구(1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출수구(13a)는 출수밸브기구(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수밸브기구(14)는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수구(13a)에 끼워져 정량 저수기(13)의 내부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된 지지암(13b)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밸브봉(15)과, 이 밸브봉(15)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출수구(13a)를 정량 저수기(13)의외측에서 개폐하는 밸브체(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봉(15)은 정량 저수기(13)측에 설치된 상부 밸브봉(17)과, 밸브체(16)측에 설치된 하부 밸브봉(18)을 격막(19)을 통해 맞닿게 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밸브봉(17)은 자신의 하부플랜지(17a)와 지지암(13b)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0)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밸브체(16) 및 하부 밸브봉(18)은 이 밸브체(16)와 하부 밸브봉(18)의 하단 플랜지(18a)와의 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21)에 의해 닫혀있는 방향인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13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밀봉부재로서 예를들면 고리형상의 연질고무제 패킹(2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량 저수기(13)내에 저장된 물은 출수구(13a)가 개방됨으로써 물받이 용기(12)내로 유출한다. 이 물받이 용기(12)의 바닥부에는 유출구(12a)가 형성되어 있고 유출구(12a)에 급수 파이프(23)의 상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 급수파이프(23)의 하단부는 제빙접시(5)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이 경우 물받이 용기(12)와 급수파이프(23)는 정량 저수기(13)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제빙접(5)에 급수하는 급수로(24)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물받이 용기(12)의 유출구(12a)는 구형상을 이루는 플로우트(25)(제2도 참조)에 의해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물이 물받이 용기(12)내로 들어가면 플로우트(float)(25)가 뜨게 되어 물이 유출구(12a)를 통과가능하게 되고 물받이 용기(12)내의 물이 없어지게 되면 플로우트(25)가 유출구(12a)를 닫아 제빙실(3)로부터의 냉기가 물받이 용기(12)내에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량 저수기(13) 위에는 탑재대(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저수탱크(26)가 놓여져 있다. 이 저수탱크(26)의 하부면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26a)가 돌출 설치되고 이 통부(26a)에 캡(27)이 착탈가능하게 나사 부착되어 있다. 이 캡(27)의 중심부에는 급수구(2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급수고(27a)는 탱크 밸브기구(28)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탱크 밸브기구(28)는 캡(27)의 내면(제3도중 상면)에 설치된 지지틀(29)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밸브봉(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급수구(27a)를 개폐하는 밸브체(3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봉(30)은 밸브체(31)의 상부와 지지틀(29)과의 사이에 상응된 압축코일 스프링(32)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통상을 밸브체(31)가 급수구(27a)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수 탱크(26)는 급수구(27a)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이외는 밀폐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수 탱크(26)의 캡(27)은 상기 정량 저수기(13)의 상면 개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정량 저수기(13)의 상단과 간격을 약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캡(27)은 부품개수를 줄이기 위해 정량 저수기(13)의 덮개부로서 겸용되고 정량 저수기(13)의 상면 개구부가 캡(27)에 막혀진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캡(27)의 하면측에는 통부(27b)가 정량 저수기(13)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정량 저수기(13)의내부둘려면과의사이에 간격을 약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정량 저수기(13)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봉(30)은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봉(15)과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2)에 대한 저수 탱크(26)의 오른쪽 부위에는 탱크 검지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탱크스위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탱크스위치(33)는 레버(34)를 통해 저수 탱크(26)가 탑재대(11)상에 놓여져 장착된 것을 검출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받이 용기(12)의외부바닥부측에는 출수밸브기구(14) 및 탱크 밸브기구(28)를 개폐구동하는 밸브 구동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구동장치(35)는 냉장실(2)의 바닥부의 칸막이벽(4)에 형성된 오목부(4a)내에 기워 맞춰져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탑재대(11)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부착 불록부(11a)에 예를들면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밸브 구동장치(35)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6)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조작부재로서의 조작축(37) 및 구도원인 예를들면 AC 동기모터로 이루어지는 밸브 궁동모터(38) 이외에, 이 밸브 구동모터(38)의 회전운동을 조작축(37)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왕복운동 변환수단으로서의 캠기구(39)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구동모터(38)는 예를들면 100V의 교류로 통전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동기모터, 소위 타이머모터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터이고 한 방향만으로만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기구(39)는 제 6 도 및 제 8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 구동모터(38)의 회전축(38a)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 치차기구(40)와, 이 감속 치차기구(4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전체로서 원판형상을 이루는 캠(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캠(41)은 제 9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면의 외부둘레부에 요철형상의 캠면(41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외부둘레부의 하단에 감속 치차기구(40)의 톱니바퀴와 맞물려 있는 톱니바퀴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37)의 하단이 상기 캠(41)의 캠면(41a)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축(37)은 캠(41)의 1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일회 왕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제 7 도 참조).
본 구성의 경우, 조작축(37)의 하단이 캠면(41a)의 최상위면(41c)에 맞닿으면 조작축(37)이 상한위치에 위치하고 조작축(37)의 하단이 캠면(41a)의 최하위면(41d)에 맞닿으면 조작축(37)이 하한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축(17)과 캠기구(39)로 밸브 조작수단(4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37)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스(36)의 상면부에 돌출 설치된 통부(36a)내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37)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받이 용기(12)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12a)을 삽입통과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구멍(12a)은 물유출 방지용의 패킹(43)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조작축(37)은 상기 패킹(43)의 신축성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봉(15)의 하부 밸브봉(18)이 상기 조작축(37)의 상단부에 패킹(43)을 통해 맞닿아 있다.
여기서 조작축(37)은 급수동작 개시전에 있어서는 상하로 움직이는 범위의 하한 위치에 정지한 제 1 상태, 즉 원점에 위치한 상태에 있다(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이 때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체(16)는 압축코일 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출수구(13a)를 개방함과 동시에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본체(31)는 압축코일 스프링(32)의 탄발력에 의해 저수 탱크(26)의 급수구(27a)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접시(5)로의 급수동작은 상기 캠(41)이 1회전함으로써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캠(41)의 1회전에 의해 조작축(37)이 일회 왕복하여 출수밸브 기구(14) 및 탱크 밸브기구(28)를 1주기(1사이클)분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동작전의 제 1 상태(밸브 초기상태)에서는 조작축(37)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의 하한위치에서 개시된다. 그리고 조작축(37)은 캠(41)의 회전에 따라 우선 하한위치에서 중간위치를 경유해서 상한위치까지 상승하고 다음으로 상한위치에서 중간위치를 하한위치까지 하강해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빙접시(5)로의 급수를 실시하기 위해 통전된 밸브구동 모터(38)는 조작축(37)이 하한위치(원점)에 되돌아 왔을 때, 단전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밸브 구동모터(38)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41)이 원점(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검지하는 원점검지수단(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점검지수단(44)은 캠(41)의 외부둘레부에 부착된 마크네트(45)와 케이스(36)측에 설치된 홀IC(46)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홀IC(46)는 도시하지 않은 홀소자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IC(46)는 캠(41)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 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그네트(45)가 근접해서 예를들면 로레벨의 검지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외일 때 하이레벨의 검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제 10 도에 있어서 제어장치인 예를들면 마이크로 컴퓨터(47)는 자동제빙장치의 제빙 및 급수운전과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컴퓨터(47)가 밸브제어수단의로서의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7)는 저빙 용기내가 얼음으로 가득찼음을 검지하는 저빙 검지레버(9)에 의해 작동하는 저빙 검지스위치(48)로부터의 검지스위치신호, 제빙접시(5)가 수평상태인 것을 검지하는 접시 수평스위치(49)로부터의 검지 스위치신호, 제빙용 온도센서(8)로부터의 검지신호, 제빙실(3)의 문이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문스위치(50)로부터의 검지스위치신호, 저수탱크(26)의 유무를 검지하는 탱크스위치(33)로부터의검지스위치 신호, 원점검지수단(44)의 홀IC(46)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47)는 구동기구(6)의 접시 구동용 모터(7)를 트랜지스터등의 스위칭소자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스위칭회로(51)를 통해 통단전 제어(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제어)하고, 급수이상통지(저수 탱크(26)에 급수가 필요하다는 통지)용의 예를들면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급수램프(52)를 점등제어하고 밸브 구동모터(38)를 구동회로(53)를 통해 통·단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회로(53)는 릴레이나 트라이액(TRIAC) 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구동모터(38)에는 교류전원(53)로부터 100V의 교류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시 구동용 모토(7)에는 직류전원(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예를들면 +12V의 직류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7)는 냉동실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냉동실 온도센서 및 냉장실(2)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냉장실 온도센서로부터의 온도검지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를 통단전 제어하고, 또한 냉각시에서 생서된 냉기를 각 실(제빙실(3), 냉장실(2), 냉동실, 야채실 등)내로 공급하는 팬장치의 팬모터를 통·단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제1도,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따라 출수밸브기구(14) 및 탱크 밸브기구(28)의 각 개폐동작과, 밸브 구동장치(35)의 조작축(37)의 상하방향의 이동(즉 캠(41)의 회전)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제1도에서는 조작축(37)의 하한위치를 PL, 중간위치를 PC, 상한위치를 PU로 나타내고 있다. 지금 캐매(41)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는 제1(대기)상태일 때는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에 위치하고 있고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수밸브기구(14)의밸브체(16)가 출수구(13a)를 개방하고 있음과 동시에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체(31)가 급수구(27a)를 닫고 있다. 그리고 이 때 원점 검지수단(44)의 홀IC(46)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은 제 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로레벨이다.
다음으로 밸브구동모터(38)가 통전되고 캠(41)이 회전되기 시작하면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로부터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봉(15)이 조작축(37)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이 때 밸브봉(15)은 압축코일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누르고 있다. 그리고 조작축(37) 나아가서는 밸브봉(15)이 소정량 상승하면 압축코일 스프링(21)이 압축되고 그 탄발력에 의해 밸브체(16)가 정량 저수기(13)의 바닥부에 눌려져 그 출수구(13a)를 닫는다. 이 출수구(13a)를 닫는 우치는 중간위치(PC)보다 조금 아래쪽 위치(PC1)이다. 또한 이 때에는 홀IC소자(46)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은 제 1(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레벨이 되어 있다.
그리고, 캠(41)이 다시 회전되어 조작축(37)이 중간위치(PC)보다 조금 위쪽위치(PC2)까지 상승하면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봉(15)이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봉(30)에 맞닿고 이것을 압축코일 스프링(32)의 탄발력에 저항해서 눌러 올려지도록 되고,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체(31)가 급수구(27a)를 연다. 그 후 조작축(37)이 상한위치(PU)에 이르고 상기 상한위치(PU)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급수(27a)가 열려 있다. 여기서,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봉(15)은 압축코일 스프링(20, 21)을 압축하면서 눌러 올리기 때문에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체(16)는 출수구(13a)를 닫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밸브봉(15)은 정지상태에 있는 밸브체(16)에 대해 슬라이드하면서 상승한다즉, 조작축(49)이 상한위치(PU)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탱크밸브기구(28)만 여는 제 2 상태이다.
이 후 캠(41)의 회전에 따라 조작국(37)이 상한위치(PU)로부터 하한위치(PL)까지 하강하는 행정으로 이행함녀 출수밸브기구(14) 및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봉(15, 30)이 압축코일 스프링(20, 21, 32)의탄발력에 따라 누름으로써 우선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체(31)가 급수구(27a)를 닫는다. 이 급수구(27a)를 닫는 위치는 조작축(37)이 중간위치(PC)보다 조금 위쪽 위치(PC2)이다. 이 때,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체(16)는 밸브봉(15)의 하강에도 불구하고 압축코일 스프링(21)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정량 저수기13)의 바닥부에 눌려진 채로 되고 출수구(13a)는 닫혀진 채로 유지된다.
그후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봉(15)이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봉(30)에서 분리되고 상기 밸브봉(15)이 다시 하강하면 압축코일 스프링(21)이 뻗어나와 밸브체(16)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발력을 잃기 때문에 밸브체(16)가 밸브봉(15)와 일체적으로 아래쪽에 이동하여 정량 저수기(13)의 바닥부로부터 떨어지고 그 출수구(13a)를 열게 된다.이 출수구(13a)를 여는 위치는 중간위치(PC)보다 조금 아래쪽의 위치(PC1)이다. 이후, 조작축(37)이 원래의 하한위치(PL)에 이르고 상기 하한위치(PL)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에 출수구(13a)가 열린다. 그리고 조작축(37)이 상기 하한위치(PL)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에 출수구(13a)가 열린다. 그리고 조작축(37)이 상기 하한위치(PL)로 돌아오고(제 1 상태로 돌아옴). 캠(41)이 1회전해서 원점(초기상태)으로 돌아오면 홀IC(46)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제 1(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레벨이 된다. 이것에 의해 원점으로 돌아온 것이 검지되어 밸브 구동모터(38)가 단전되어 정지하고(구체적으로 검출신호가 로레벨이 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설정시간(t), 예를들면 1.5초만 경과한 tlja에서 단전되고), 캠(41)의 회전 및 조작축(37)의 상하움직임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한 급수동작을 1사이클 실행하는데에 필요한 시간. 즉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하는 시간(ta0)은 교류전원의 주파수 50Hz의 경우, 예를들면 약 75.9초로 설정되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예를들면 약 63.3초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a) 동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사이클분의 급수동작에 있어서,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ta1)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25.7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21.4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로부터 상한위치(PU)로 상승하는데 필요한 시간(ta2)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23.4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19.5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이 상한위치(PU)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ta3)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10.4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8.7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의 상한위치(PU)는 하한위치(PL)에 비해 예를들면 약 13.3mm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흐름도는 마이크로컴퓨터(47)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있어서 자동제빙장치의 제빙동작(이빙동작) 및 급수동작의 제어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 흐름도에 따라 상기 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냉장고를 설치해서 그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끼우면 냉장고의 전원이 투입(온)된다(제12도의 스텝 S1참조).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47)에 의해 냉장고의 압축기가 통합되고(스템 S2). 냉장고의각 실(냉장실(2), 냉동실, 제빙실(3) 등)내의 냉각이 개시된다.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47)는 자동제빙장치의 접시 수평스위치(49)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제빙접시(5)가 수평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을 실시한다(스텝 S3). 여기서 제빙접시(5)가 수평상태가 아니면 스템 S3에서「NO」로 진행하고, 접시구동용 모터(7)를 통전구동해서 제빙접시(5)를 회전시켜수평상태로 위치시킨다(스템 S4). 이에 따라 스템 S3에서 「YES」로 진행한다. 이어서 급수장치(10)의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 경우 홀 IC(46)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로레벨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5에서 「NO」로 진행하고 캠(41) 및 조작축(37)을 원점으로 위치시키는 처리를 한다(스텝 S6).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구동하여 홀IC(46)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로레벨이 될 때까지 캠(41)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홀IC(46)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로레벨이 되면 그 시점에서 약 1.5초(오버런시간) 경과한 시점에 밸브구동모터(38)를 단전시켜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처리시스템(S1∼S6)까지의 처리가 전원투입시 초기동작의 제어이다. 이 초기동작제어에 의해 어떠한 원인으로 전원투입전에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해도 캠(41) 및 조작축(37)이 확실하게 원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빙접시(5)내의 제빙이 완료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한다(스텝 S7). 이 경우, 제비이접시(5)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가 제빙완료온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의 판단(구체적으로는 상기 검지온도가 -12.5℃ 이하가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 또는 -9.5℃이하의 상태가 2시간 계속하게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한다. 여기서 제빙접시(5)내의 물의제빙이 완료하고 제 1(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가 -12.5℃이하가 되는(혹은 -9.5℃이하의 상태가 2시간 계속하게 된다)곳에서, 그 시각 t0으로, 스텝 S7에서 「YES」로 진행하고 이빙동작을 실행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으로 이행한다(단계S8).
상기 스텝 S8에서는 저빙용기내가 얼음으로 가득찼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여기서 얼음으로 가득차면 스템S8에서 「YES」로 진행하고 이빙동작을 실해하지 않고 대기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저빙용기내가 얼음으로 가득차지 않으면 스텝S8에서 「NO」로 진행하고 이빙동작을 개신한다(스템 S9). 구체적으로는 제 11(b)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기구(6)의 접시 구동용 모터(7)를 정회전방향으로 통전구동함으로써 제빙접시(5)를 상하 반전하거나 비틀고, 제빙접시(5)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킨다. 그리고 제빙접시(5)가 반전위치에 도달한 후는 접시구동용 모터(7)를 반전방향으로 통전시킴으로써 제빙접시(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래의 수평위치로 돌아온다.
이어서, 접시 수평스위치(49)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이빙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즉, 제빙접시(5)가 수평으로 돌아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0), 제 11(b), (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1)에 있어서 이빙동작이 완료(수평위치에 도달)한다고 하면 이 시점에서 스텝S10에서 「YES」로 진행하고 접시 구동용 모터(7)를 단전하여 정지시켜 이빙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11). 이어서 급수장치(10)에 의해 제빙접시(5)내로의 급수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마이크로컴퓨터(47)는 캠(41) 및 조작축(37)(밸브조작수단(42))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한다(제13도의 스텝 S12). 여기서 원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면 스텝S12에서 「YES」로 진행하고, 마이크로컴퓨터(47)는 마이크로컴퓨터(47)에 내장된 타이머의 시간측정동작을 개시함(스텝 S13)과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개시한다(스텝S14). 상기 타이머는 밸브구동모터(38)의 통전시간을 급수동작 개시로부터 시간측정하기 위한 타이머이고, 상기 시간측정 동작을 개시할 때에는 측정시간을 재설정(0으로 함)하고 나서 시간 측정 동작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저수 탱크(26)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한다(스템 S15). 이 경우 저수 탱크(26)가 세트되어 있다고 하면, 스텝S15에서 「YES」로 진행하고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한다(스텝S16). 이 경우 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에 의해 캠(41)이 회전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마그네트(45)가 홀IC(46)에 접근하지 않게 되고(원점에 위치하지 않게 되고). 홀IC(46)로부터 추력되는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하이레벨이 되고 스텝S16에서 「NO」로 진행한다. 또한 타이머의 측정 시간이 예를들면 80초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S17), 상기 측정 시간이 예를 들면 80초 미만이면 스텝S17에서 「NO」로 진행한다. 즉, 저수 탱크(26)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캠(41)이 1회전하고 원점에 돌아올 때까지 또는 타이머의 측정시간이 80초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스텝S15에서 「YES」, 스텝S16에서 「NO」, 스텝 S17에서 「NO」로 진행하는 순환처리가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개시에 의해 캠(41)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우선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로부터 중간위치(PC)를 경유하고 상한위치(PU)까지 상승한다. 그러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체(16)가 정량 저수기(13)의 출수구(13a)를 닫은 후,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출수밸브기구(14)가 닫힌 상태에서 탱크 밸브기구(28)가 저수 탱크(26)의 급수구(27a)를 연다. 이것에 의해 저수 탱크(26)내의 물이 급수구(27a)를 통해 정량 저수기(13)내에 유출하고 상기 정량 저수기(13)내에 일정량(예를들면 105cc)의 물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구(27a)로부터의 물의 유출에 따라 정량 저수기(13)내의 수위가 상승하고, 이 수면에 의해 급수구(27a)의 하단부인 통부(27b)의 하단개구가 닫히면 급수구(27a)로부터의물의유출이 정지된다. 이때 통부(27b)는 항상 일정한 높이 위치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량 저수기(13)내에는 항상 일정수위 다시 말하면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정량 저수기(13)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됨과 동시에 저수 탱크(26)의 급수구(27a)의 아래측내에 물이 가득찬 후, 조작축(37)이 상한위치(PU)로부터 중간위치(PC)를 경유해서 하한위치(PL)까지 하강하는 행정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밸브 구동용 모터(38)는 저수 탱크(26)의 급수구(27a)를 개방하고 있는 시간이 정량 저수기(13)내에 상기한 바와같이 일정량으 물을 저장하는 데에 충분한 시간이 되도록 캠(41)을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축(37)의 하강에 따라 우선 탱크 밸브기구(28)의 밸브체(31)가 저수 탱크(26)의 급수구(27a)를 닫고 그 후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체(16)가 정량 저수기(13)의 바닥부로부터 떨어지고 그 출수구(13a)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량 저수기(13)내에 저장된 물 및 저수 탱크(26)의 급수구(27a)의 하측 안쪽에 존재하는 물이 출수구(13a)로부터 물받이 용기(12)에 유출하고, 그 낙차에 의해 유출구(12a)로부터 급수파이프(23)를 통해 제빙접시(5)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까지 하강한 시점에서 출수밸브기구(14)가 출수구(13a)를 완전회 개방한다.
그리고, 캠(41)이 다시 회전해서 캠(41)이 원점에 돌아오면(1회전한다), 마그네트(45)가 홀IC(46)에 접근한다. 이것에 의해 홀IC(46)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로레벨이 되기 때문에(즉, 원점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스텝S16에서 「YES」로 진행한다. 이 때문에 모터(38) 및 캠(4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한, 스텝S17에서 「YES」로 진행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텝S16에서 「YES」로 진행한 후 계속해서 제 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IC(46)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로레벨이 된 시점에서 설정시간(t)만큼 경과한 시점에서 밸브 구동용 모터(38)를 단전 정지한다(스텝S18, S19). 이 설정시간(t)이 오버런시간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들면 약 1.5초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오버런시간 처리(스텝S18)는 원점을 검출신호의 로레벨구간의 중간부분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실시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구동용 모터(38)의 단전에 의해 캠(41) 및 조작축(37)이 상기 위치, 즉 원점으로 돌아와 정지하고 상기 출수구(13a)가 닫힌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미리 결정된 급수 판정용의 시간(예를들면 5.5분)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S20). 또한 이 급수판정용의 시간은 제빙접시(5)내에 급수된 물에 의해 제빙접시(5)의 온도(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대기하는 시간이다.
이후, 상기 시간(5. 5분)이 경과하면 제빙접시(5)내에 실제로 급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를 실시한다(스텝S21).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47)는 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가 -9.5℃이상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물이 제빙접시(5)내에 실제로 급수되어 있지 않으면 제빙용 온도센서(8)의 검지 온도가 -9.5℃이상이 되었기 때문에 스텝S21에서 「YES」로 진행하고 급수동작을 완료한다. 이후, 제빙접시(5)내에 공급된 물이 제빙실(3)내에 공급된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제빙동작이 진행한다.
그리고 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에 기초하여 제빙완료온도에 도달했는지 아니지의 판단, 구체적으로는 상기 검지온도가 -12.5℃이하가 되었는지(또는 -9.5℃이하의 상태가 2시간 계속하게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한다(스텝 S22). 여기서 제빙이 완료하면 상기 스텝S22에서 「YES」로 진행하고 스텝S8로 복귀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제빙접시(5)로부터의 제빙동작을 실행해도 좋은지 아닌지의 판단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이빙동작을 실행해도 좋은 경우에는 다시 이빙동작 및 급수동작이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텝S21에 있어서, 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가 -9.5℃이상이 되지 않으면 제빙접시(5)내에 급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텝S21에서 「NO」의 진행하고 급수램프(급수LED)(52)를 점등한다(스텝S23). 이 급수램프(52)의 점등통지에 의해 사용자는 저수 탱크(26)에 급수를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저수 탱크(26)를 분리해서 이것에 급수하고, 다시 이 급수된 저수 탱크(26)를 다시 세트하면 스텝S24에서 「YES」로 진행하고 급수램프(52)를 소등한 후(스텝S25), 상기 스텝S13으로 돌아가서 급수동작을 다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급수장치(10)의 급수동작중, 즉 캠(41)의 회전중에 밸브 구동모터(38)가 록킹되어 캠(41)이 회전할 수 없게 되거나 홀IC(46)가 고장나서(또는 마그네트(45)가 분리되어) 원점을 검지할 수 없게 되는 고장이 발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47)의 타이머의 측정시간이 80초를 넘기 때문에 상기 스텝S17에 있어서 「YES」로 진행된다. 그리고 밸브 구동모터(38)를 단전(스텝S26)함과 동시에 부저를 울리거나 고장통지용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해서 고장을 통지하고(스텝S27), 급수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장이 통지된 경우에는 서비스맨을 불러 처리시킬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급수동작중, 즉 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구동중에 저수 탱크(26)가 분리된 경우의 동작(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경우에는 스텝S15에 있어서 「NO」로 진행하고 캠(41)의 원점으로 돌아왔느지(1회전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한다(스텝S28). 캠(41)이 원점으로 돌아오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28에서 마이크로 컴퓨터(47)의 타이머의 측정시간이 80초 미만이라고 판단되면(스텝S29에서는 「NO」가 된다) 스텝S28로 복귀한다.
이 경우 상기 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에 의해 캠(41)이 1회전하면 그것에 따라 조작축(37)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서 출수밸브기구(14)가 개폐동작한다(또한, 저수 탱크(26)가 다시 장착되면 탱크 밸브기구(28)도 개폐동작한다). 그리고 캠(41)이 원점으로 돌아오면 마그네트(45)가 홀IC(46)에 접근하고, 홀IC(46)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전압레벨이 로레벨이 되기 때문에 스텝S28에서 「YES」로 진행된다. 이어서 제 1(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 IC(46)로부터의 검출신호가 로레벨이 된 시점에서 설정시간(t)만큼 경과한(오버런시간 처리를 실시한) 시점에서 밸브 구동용 모터(38)가 단전되어 정지한다(스텝S30, S31). 또한 미리 결정된 급수 판정용의 시간(예를 들면 5. 5분)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한 후(스텝S32), 제빙용 온도센서(8)에 의한 검지온도에 기초하여 제빙접시(5)내에 실제로 급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를 실시한다(스텝S33).
여기서, 제빙용 온도센서(25)의 검지온도가 -9.5℃이상이 되면 급수가 완료했다고 판정하고, 스텝S33에서 「YES」로 진행하고 급수동작을 완료하지만 저수 탱크(26)가 분리되어 제빙접시(5)내에 물이 없으면 제빙용 온도센서(8)의 검지온도는 -9.5℃이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스텝S33에서는 「NO」로 판정하고 스텝S12로 돌아오고, 급수동작을 다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15에서 「YES」로 판정된 후에 급수동작의 도중에서 저수 탱크(26)가 분리된 경우 제빙접시(5)냉 급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S21에서는 급수가 완료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급수램프(52)가 점등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수 탱크가 다시 세트된 상태가 되면 급수펌프(52)의 점등은 정지하게 된다.
또한 급수동작중, 즉 캠(41)의 회전도중에 있어서 밸브 구동모터(38)가 록킹되어 캠(41)이 회전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홀IC(46)가 고장나서(또는 마그네트(45)가 분리되어) 원점을 검지할 수 없게 되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47)의 타이머의 측정시간이 80초를 넘기 때문에 상기 스텝S29에 있어서 「YES」로 진행한다. 그리고 밸브 구동모터(#*)를 단전(스텝S34)함과 동시에 부저를 울리거나, 고장통지용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켜 고장을 통지하고(스텝S34), 급수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장치(10)에 있어서 급수동작의 개시시점에 있어서 몇가지의 원인으로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2에서 「NO」로 진행하고 캠(41) 및 조작축(37)을 원점에 위치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47)는 타이머의 측정동작을 개시(스텝S36)함과 동시에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개시한다(스텝S37). 그리고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으로 돌아왔는지(1회전 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한다(스텝S28). 이 경우 캠(41)은 원점으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스텝S28에서 「NO」로 진행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7)의 타이머의 측정시간이 80초 미만이면 스텝S29에서 「NO」로 진행한다. 즉, 캠(41)이 1회전해서 원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도는 타이머의 측정시간이 80초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스텝S28에서 「NO」, 스텝S29에서 「NO」로 진행하는 순환처리를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후의 처리는 상기한 처리와 같이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구(27A)의 하측면내의 물도 포함해서 정량 저수기(13)에 저장된 일정량(105cc)의 물만이 제빙접시(5)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빙접시(5)로의 급수시에는 탱크밸브기구(28)를 닫고 있기 때문에 제빙접시(5)로의 급수시에 정량 저수기(13)내에 다른곳에서 물이 유입할 우려가 없게 되고 항상 일정량의 물을 제빙접시(5)에 공급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정량 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정량 저수기(13)내의 물은 급수파이프(24)내를 자연스럽게 낙하하으로써 제빙접시(5)에 공급되기 때문에 급수펌프에 의해 급수하는 것과 다르고 급수중에 큰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조용한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밸브 구동장치(35)의 구동원을 모터(밸브 구동모터(38))로 했기 때문에 밸브 구동장치(35)의 구동원으로서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구성에 비해 한층 조용한 급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정량 저수기(13)는 항상 빈 상태로 되어 있어 제빙접시(5)로의 급수시의 불과 몇 시간대만 물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정량 저수기(13)내에 제빙접시(5)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항상 저장해 두는 구성과는 달리, 정량 저수기(13)에 물때가 끼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냉장실(2)내에 수용된 식품의 냄새가 정량 저수기(13)내의 물에 흡수되거나 하지 않게 된다. 즉, 제빙접시(5)에서의 제빙이 완료할 때까지 소요시간이 2 ∼5시간이기 때문에 정량 저수기(13)에 항상 물을 저장해 둔 경우, 냉장실(2)내의 식품의 냄새가 그 물에 흡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량 저수기(13)는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장기 사용에 의해 오염된 경우에는 물받이 용기(12)로부터 분리해서 물세탁 등에 의해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수장치(10)의 밸브 조작수단(42)은 원점인 제 1 상태에 위치해서 급수대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상태에서는 캠(41) 및 조작축(37)이 원점인 하한위치(PL)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 밸브기구(28)가 닫혀 있음과 동시에 출수밸브기구(14)가 열려 있다. 따라서 급수대기상태가 장기간 계속하는 경우가 있어도 출수밸브기구(14)가 열려 있기 때문에 출수밸브기구(14)의 밸브체(16)와 고무제의 패킹(22)이 밀착하는 일이 없어짐과 동시에 패킹(22)의 시일성능이 저하하지 않게 되고 출수밸브기구(14)에 동작불량이 발생하는 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에의 밸브 조작수단(42)의 탱크 밸브기구(28)에 있어서, 그 밸브체(31)를 여는 힘은 조작축(37)의 눌러 올리리는 힘에 의해 부여되기 때문에 상당히 강한 힘이다. 따라서 탱크 밸브기구(28)가 닫힌 상태가 장기간 계속된다고 해도 밸브체(31)를 개방시킬 수 있고 밸브체(31)와 출수구(27a)가 밀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밸브 조작수단(42)의 캠(41) 및 조작축(37)을 밸브 구동모터(38)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캠(41) 및 조작축(37)의 원점을 검지하는 원점검지수단(44)을 캠(41)에 부착한 마그네트(45)와 홀IC(46)로 구성되고, 홀IC(46)가 마그네트(45)의 접근을 검지해서 검지신호(로레벨신호)를 출력한 시점에서 미리 결정된 설정시간(1.5초)이 경과한 시점에서 밸브 구동모터(38)를 단전하여 정지하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해 급수장치(10)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 개시할 때에 상기 모터(38)가 약간 역회전하는 경우가 있어도 홀IC(46)로부터 캠(41) 및 조작축(37)(밸브 조작수단(42))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검지신호(로레벨신호)가 확실하게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홀IC(46)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캠(41) 및 조작축(37)(밸브 조작수단(42))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장치(42) 나아가서는 급수장치(10)가 오동작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밸브 조작수단(42)의 급수동작의 실행중(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구동중)에 사용자에 의해 저수 탱크(26)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는 조작이 실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밸브 구동장치(35)가 동작하고, 급수동작이 외견상 완료해도 실제로는 제빙접시(5)에 급수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급수동작 완료후의 급수판정에 있어서,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 급수불량이 통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저수 탱크(26)에 물을 보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급수램프(52)를 점등한다(스텝S23).
상기 실시예에서는 밸브 조작수단(42)의 급수동작중의 실행중(즉, 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 구동중)에 저수 탱크(26)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었을 때에는 그 급수동작 완료후의 급수판정에 있어서(스텝S21)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도 스텝S24의 판정에 의해 급수램프(52)를 소등하기 때문에 급수불량을 결과적으로 통지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급수불량을 통지하지 않게 때문에 사용자는 급수장치(10)가 고장난 것은 아닌가하고 생각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저수 탱크(26)의 다시 세트된 상태에서 급수동작이 다시 실행하고, 제빙접시(5)로의 급수를 확인하고, 제빙완료의 판정을 통해 이방동작이 실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수불량의 잘못된 통지나 제빙이 완료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빙동작 즉 제빙접시(5)를 항하 반전동작시키지 않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밸브 조작수단(42)을 구동하는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하고 급수동작을 개시한 후, 밸브 구동모터(38)의 통전시간이 미리 결정된 설정시간(예를들면 80초)을 넘을 때에 밸브 구동모터(38)의 회전이 록킹되어 있는 경우에 밸브 구동모터(38)를 단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구동모터(38)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투입시에 밸브 조작수단(38)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면 그후 급수동작 지령이 발생해서 급수동작을 개시시킨 경우 급수동작의 도중, 즉, 2개의 밸브기구(14, 28)의 개폐동작의 도중에서 급수동작이 실행된다. 이 경우, 제빙접시(5)내에 물이 완전히 급수되거나 소량밖에 급수되지 않는 급수불량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전원투입시에 밸브 조작수단(42)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제빙접시(5)가 수평상태에 있음을 조건으로, 밸브 구동모터(38)를 통전구동하여 밸브 조작수단(42)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급수동작 명령이 발생했을 때에는 (급수동작의 개시전에는), 밸브 조작수단(42)이 확실하게 원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급수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밸브 조작수단(42)의 조작축(37)을 하한위치(PL)와 상항위치(PU)와의 사이에 1사이클만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37)을 상한위치(PU)로부터 하한위치(PL)로 하강시킬 때에 그 도중에 중간위치(PC)에 미리 결정된 소정시간(ta5)만큼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축(37)이 중간위치(PC)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2개의 밸브기구(14, 28)가 함께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소정시간(ta5)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예를 들면 약 7.1초로 설정되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예를들면 약 5.9초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축(37)을 중간위치(PC)에 소정시간(ta5) 위치시키기 위해서 캠(41)의 캠면(41a)에 있어서 최상위면(41c)으로부터 최상위면(41d)를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슬로프)의 중간부위에 상기 소정시간(ta5)에 대응하는 길이의 평탄한 중간면(도시하지 않았음)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조작수단(42)의 급수동작을 1사이클 만큼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ta0)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예를 들면 약 75.9초로 설정되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예를들면 약 63.3초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ta1)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18.6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15.5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에서 상한위치(PU)로 상승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ta2)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23.4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19.5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이 상한위치(PU)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ta3)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10.4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8.7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이 상한위치(PU)로부터 중간위치(PC)로 하강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ta4)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8.4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7.0초이다. 그리고 조작축(37)이 중간위치(PC)로부터 하한위치(PL)로 하강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ta6)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8.0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6.7초이다. 또한 조작축(37)의 상한위치(PU)는 하한위치(PL)에 비해 약 13.3mm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37)의 중간위치(PC)는 하한위치(PL)에 비해 약 6.5mm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실시예에서는 밸브 조작수단(42)의 급수동작의 실행도중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14, 28)가 닫힌 상태를 미리 결정한 소정시간(ta5)만큼 유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조공장의 검사라인 등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14, 28)의 시일성능을 검사할 때에 조작축(37)의 하단이 캠(41)의 캠면(42a)의 중간면에 맞닿는 위치(중간위치 PC)까지 캠(41)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좋다. 이 경우 중간위치(PC)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ta5)은 약 7.1초 또는 5.9초이기 때문에 홀IC(46)의 검지성능에 제조 불균형(최대에서도 4초정도)이 있다고 해도 조작축(37)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상기 중간위치(PC)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밸브기구(14, 28)를 함께 닫은 상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검사를 실시하기 쉽게 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37)을 하한위치(PL)에서 상한위치(PU)로 상승시킬 때에 그 도중에서 중간위치(PC)에 소정시간(ta7)만큼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소정시간(ta7)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예를들면 약 7.1초로 설정되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예를들면 약 5.9초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축(37)을 중간위치(PC)에 소정시간 (ta7)만큼 위치시키기 위해서 캠(41)의 캠면(41a)에 있어서 최하위면(41d)에서 최상위면(41c)를 향해 상승하는 경사면(슬로프)의 중간부위에 상기 소정시간(ta7)에 대응하는 길이의 평탄한 중간면(도시하지 않았음)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조작축(37)이 하한위치(PL)에서 중간위치(PC)로 상승하는 데에 필요한 시상(ta8)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11.4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9.5초이다. 그리고 조작축(37)이 중간위치(PC)에서 상한위치(PU)로 상승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ta9)은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의 경우, 약 12.0초이고,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의 경우, 약 10.0초이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제3실시예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라서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캠기구(39)에 의해 밸브 구동모터(38)의 회전운동을 조작축(37)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회전운동·직선운동 변환수단, 예를들면 나사기구 또는 크랭크기구 등을 사용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수구 밸브구를 열고 또한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제1상태에서 출수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를 경유하고 나서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제2상태로 이행해서 저수 탱크로부터 정량 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그후 탱크 밸브기구를 닫은 상태를 경유하고 나서 출수밸브 기구를 여는 제 1 상태로 복귀하고 정량 저수기내의 물을 제빙용기로 급수하는 급수동작을 반복하는 밸브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급수장치에 의한 제빙용기로의 정량 급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정량 급수하기 위한 기기에 물때나 곰팡이 등에 부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급수 대기상태가 장기간 계속되더라도 출수밸브기구에 동작불량이 발생하거나 시일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밸브 조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원저 검지수단을 마그네트와 홀소자로 구성하고 홀소자가 마그네트의접근을 검지해서 검지신호를 출력한 시점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구동모터를 단전 정지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터를 통전 개시할 때에 모터가 약간 역회전하더라도 홀소자로부터 밸브 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검지신호가 확실히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밸브 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조작장치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도중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가 닫힌 상태를 소정시간 유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2개의 밸브기구의 시일성능을 검사하는 검사시에 있어서 2개의 밸브기구가 닫힌 상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검사를 쉽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밸브 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저수탱크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는 저작이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급수동작이 완료해도 제빙용기에 급수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급수동작 완료후의 급수판정에 있어서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 급수불량이 통지되지만 저수탱크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었다고 검지되면 급수불량으로 통지하지 않고 밸브 조작수단을 다시 급수동작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급수장치가 고장이 난 것은 아니가 하고 생각되지 않는다.
또한 제빙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빙동작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제빙용기를 상하반전운전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조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통전해서 급수동작을 개시한 후 구동모터의 통전시간이 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구동모터를 단전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이 록킹된 경우 구동모터를 단전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투입시에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으면 그후, 급수동작 명령이 발생해서 급수동작을 개시시킨 경우 급수동작의 도중, 즉 2개의 밸브기구의 개폐동작의 도중에서 급수동작이 실행된다. 이 경우 제빙용기 내에 물이 완전히 급수되거나 소량씩 급수되는 급수불량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전원투입시에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음을 검지했을 때에 제빙용기가 수평상태에 있음을 조건으로 구동모터를 구동해서 밸브 조작수단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급수동작 명령이 발생했을 때에는(급수동작의 개시전에는) 밸브 조작수단이 확실하게 원점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급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 자동제빙장치의 제빙용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용기에 물을 유출하는 출수구를 바닥부에 가지는 정량 저수기; 상기 정량 저수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정량 저수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를 가지는 저수 탱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봉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정량 저수기의 출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한 출수밸브기구; 상기 밸브봉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저수 탱크의 급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갖는 탱크 밸브기구; 상기 밸브봉을 캠기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축을 갖고, 이 조작축은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열고 또한 상기 탱크 밸브기구의 밸브체를 닫는 제1상태에서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탱크 밸브 기구의 밸브체를 여는 제 2 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저수 탱크로부터 상기 정량 저수기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그 후 상기 탱크 밸브기구의 밸브체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밸브기구의 밸브체를 여는 제 1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정량 저수기내의 물을 상기 제빙용기로 급수하는 밸브 조작수단; 및 상기 밸브 조작수단이 제 1 상태로 복귀한 것을 상기 캠기구의 원점위치에 의해 검지하여 밸브조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원점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원점검지수단을 마그네트와 홀소자로 구성하고, 상기 홀소자가 상기 마그네트의 접근을 검지해서 검지신호를 출력한 시점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구동모터를 단전하여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도중에, 상기 2개의 밸브기구가 닫힌 상태를 소정시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중에 분리한 상기 저수 탱크가 다시 세트되었음을 판단하는 재설정 판정수단; 급수동작 완료후의 급수상태 판정하는 급수판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급수판정수단에 의해 급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어도 상기 재설정 판정수단에 의해 급수불량의 통지를 하지 않고 상기 밸브조작수단을 다시 급수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작수단의 급수동작의 실행도중에 상기 저수 탱크가 분리된 후 다시 세트되었을 때에는 상기 급수판정수단에 의해 급수되었다고 판정되어도 이빙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통전시간이 설정시간을 넘을 때에 상기 구동모터를 단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전원투입시에 상기 밸브조작수단이 원점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사익 제빙용기가 수평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해서 상기 밸브조작수단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043799 | 1995-03-03 | ||
JP07043799A JP3130755B2 (ja) | 1995-03-03 | 1995-03-03 | 自動製氷装置用の給水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4938A KR960034938A (ko) | 1996-10-24 |
KR100191301B1 true KR100191301B1 (ko) | 1999-06-15 |
Family
ID=1267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05523A KR100191301B1 (ko) | 1995-03-03 | 1996-03-04 |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130755B2 (ko) |
KR (1) | KR100191301B1 (ko) |
CN (1) | CN1122801C (ko) |
TW (1) | TW28908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8914A (ko) * | 2012-06-12 | 2013-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64916B2 (ja) | 2007-03-28 | 2009-11-18 |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 自動製氷装置 |
CN114812030B (zh) * | 2022-05-07 | 2023-03-21 | 青岛彭美创新科技有限公司 | 一种制冰模块及具有其的制冰机和冰箱 |
-
1995
- 1995-03-03 JP JP07043799A patent/JP313075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
- 1996-01-24 TW TW085100820A patent/TW289081B/zh active
- 1996-03-01 CN CN96104214A patent/CN112280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3-04 KR KR1019960005523A patent/KR1001913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8914A (ko) * | 2012-06-12 | 2013-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023412B1 (ko) * | 2012-06-12 | 2019-09-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130755B2 (ja) | 2001-01-31 |
TW289081B (ko) | 1996-10-21 |
CN1141417A (zh) | 1997-01-29 |
JPH08240366A (ja) | 1996-09-17 |
KR960034938A (ko) | 1996-10-24 |
CN1122801C (zh) | 2003-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7218069A (ja) |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 |
KR101994009B1 (ko) |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 |
US7429842B2 (en) | Control and alarm system for sump pump | |
US20060277937A1 (en) |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ing machine | |
EP1653170A2 (en) | Refrigerator with compact ice maker | |
EP1653171A2 (en) | A method for making ice in a compact ice maker | |
JPH0842950A (ja) | 製氷方法、アイスキューブ製造機、及び、その運転方法 | |
CA2355392C (en) |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 |
US5297939A (en) | Automatic control for bilge & sump pump | |
KR100191301B1 (ko) |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
US5562423A (en) | Automatic float control switch for a bilge and sump pump | |
KR100287474B1 (ko) | 냉장고의자동제빙장치 | |
KR100196530B1 (ko) |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
GB2275328A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king ice | |
US11559162B1 (en) | Beverage extraction device | |
JPH06185842A (ja) |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 |
KR0150859B1 (ko) |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 |
JPH08233420A (ja) | 自動製氷装置用の給水装置 | |
JP2898539B2 (ja) |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 |
JPH0842952A (ja) |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 |
JPH0842953A (ja) |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 |
JPH09250853A (ja) | 自動製氷装置用の給水装置 | |
JPH0868579A (ja) | 自動製氷装置 | |
JPH0842954A (ja) |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 |
KR0150858B1 (ko) |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