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009B1 -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 Google Patents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009B1
KR101994009B1 KR1020177003067A KR20177003067A KR101994009B1 KR 101994009 B1 KR101994009 B1 KR 101994009B1 KR 1020177003067 A KR1020177003067 A KR 1020177003067A KR 20177003067 A KR20177003067 A KR 20177003067A KR 101994009 B1 KR101994009 B1 KR 10199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controller
chamber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177A (ko
Inventor
존 알렌 브로드벤트
Original Assignee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filed Critical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3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 F25C5/142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extrusion of ice crys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냉각 시스템, 물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갖는 제빙기. 냉각 시스템은 얼음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물 시스템은 상기 얼음 형성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고, 그리고 얼음으로 형성될 물을 유지하기 위한 물 레저보(예를 들어, 섬프 또는 플로트 챔버) 및 상기 물 레저보와 유체 연통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얼음 저장 용기의 얼음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레벨 센서, 및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찼을 때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물이 배수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물 레저보에 남아 있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제빙기가 제빙하지 않는 동안에 물 레저보가 물이 없도록 배수된다. 이것은 물 레저보에서의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Description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DRAINING THE SUMP OF AN ICE MAKER TO PREVENT GROWTH OF HARMFUL BIOLOGICAL MATERIAL}
관련출원의 교차 참조
이 출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2/040,456(2014년 8월 22일 출원, 제목 “Draining the Sump of an Ice Maker to Prevent Growth of Harmful Biological Material”)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전체로 참조에 의해서 여기에 포함된다.
이 발명은 대략적으로 자동 제빙 기계에 관한 것이고, 좀 더 구체적으로 제빙 장치의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차게 될 때 제빙 기계의 물 레저보(예를 들어, 섬프(sump) 및 플로트(float) 챔버)로부터 액체 물을 비우는 것을 허여하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방법을 적용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큐브(cube)-타입, 플레이크(flake)-타입 또는 너겟-타입(, 압축된 플레이크)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 기계, 또는 제빙기는 잘 알려져 있고 그리고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기계는 넓은 수용성을 수용하고 특히, 신선한 얼음에 대한 높고 계속되는 요구를 갖는 레스토랑, 바, 호텔, 헬스케어 시설 및 다양한 음료 소매업자와 같은 상업적 장치를 위해서 특히 바람직하다.
제빙기는 전형적으로 얼음 저장 용기의 상측에 장착된다. 제빙기에 의해서 생산되는 얼음은, 얼음이 사용을 위해서 제거될 때까지 얼음 저장 용기에 저장된다. 전형적으로 제빙기는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찼을 때 얼음을 생성하는 것을 중지한다. 따라서, 전형적인 제빙기의 냉각 시스템은 턴 오프(turn off)되고 그리고 제빙기의 물 레저보(예를 들어, 섬프 또는 플로트 챔버)에 남아 있는 임의의 물은 가열되기 시작할 수도 있다. 만약 얼음 저장 용기가 장기간 가득 찬 상태로 남아 있어 제빙기가 장시간 동안 턴 오프 상태로 남아있다면,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재료가 제빙기의 섬프에서 성장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간략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압축기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빙기에 지향된다. 제빙기는 얼음 형성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물 시스템은 얼음으로 형성될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저보(예를 들어, 섬프 또는 플로트 챔버) 및 물 레저보와 유체 연통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빙기는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레벨 센서 및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에 근거하여 상기 배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배수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갖는다. 제어기는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찰 때, 배출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 레저보에 남아 있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제빙기에서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제빙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제빙기는 압축기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빙기는 얼음 형성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시스템은 얼음으로 형성될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저보 및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빙기는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레벨 센서, 및 냉각 시스템 및 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방법은 (i)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가 오프(off) 되게 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배출 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제빙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제빙기는 압축기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빙기는 얼음 형성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시스템은 얼음으로 형성될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저보 및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빙기는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레벨 센서, 물 레저보의 물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벨 센서, 및 냉각 시스템 및 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방법은 (i)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배출 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단계; (iii)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가 비었다는 상기 물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iv)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가 비었다는 상기 물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한 후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배출 밸브가 폐쇄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특징, 양태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다음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수반되는 도면으로부터 더욱 충분하게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특징부를 도해하고, 그리고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제빙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기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물 레벨 측정 시시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캐비넷 내에 있는 제빙기의 오른쪽 사시도이며, 여기서 캐비넷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얼음 저장 용기 조립체 상에 있고;
도 4a는 캐비넷 내에 있는 제빙기의 오른쪽 단면도이며, 여기서 캐비넷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얼음 저장 용기 조립체 상에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제빙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 제빙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기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빙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도면의 몇 개의 도를 통해서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상세히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이 그 적용에 있어서 구성의 세부사항 및, 다음 설명에서 제공되는 또는 다음 도면에서 도시되는 구성요소의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고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어법 및 전문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그리고 한정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설명에서 "갖다",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및 이들의 변형형태의 사용은 이들 앞에 열거되는 아이템 및 이들의 균등물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아이템을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측정값 등을 나타내고 모든 숫자는 용어 "약"에 의해서 모든 경우에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후, 좌우, 상하 및 상측 및 하측에 대한 설명에서의 임의의 기준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것이지, 여기서 개시되는 발명 또는 발명의 구성요소를 임의의 어느 한 위치 또는 공간적 배향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주의된다.
전형적인 제빙기는 어떤 양의 물을 유지하기 위한 내측 레저보를 갖고, 이 물의 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빙기에 의해 냉동되어 얼음이 된다. 정육면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기에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물은 물 레저보(섬프(sump) 또는 트로프(trough)라고 함)를 통해서 그리고 제빙 동안에 냉각된 냉동 플레이트 위로 순환된다. 따라서, 순환되는 물의 온도가 약 32° F로 감소된다. 얼음 기계가 오프되면, 섬프에 남아 있는 어떠한 물도 더 이상 순환되거나 냉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섬프 내 물의 온도가 상승되고 물은 정체될 것이다. 플레이크 또는 너겟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기에 있어서, 물 레저보(또한 플로트 챔버라고 함)는 들어오는 물로 채워지고, 그리고 냉각되지 않는다. 제빙 동안에, 제빙기에 공급되는 물의 꾸준한 유동이 있으며, 이 물은 제빙 챔버 내에서 얼음으로 형성된다. 제빙기가 오프되면, 플로트 챔버 및 제빙 챔버에 남아 있는 어떠한 물도 냉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로트 챔버 및 제빙 챔버 내 물의 온도는 상승하고 그리고 물은 정체된다. 큐브-타입 제빙기 및 플레이크/너겟-타입 제빙기는 전형적으로 생산된 얼음을 얼음 저장 용기 안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제빙기의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차면, 냉각 시스템은 오프되고, 따라서 제빙기 내에서 물의 냉각 및 냉동이 중지된다. 제빙기에 남아 있는 임의의 물은 따라서 제빙기가 위치되는 주변 공기 온도로 데워질 수 있다.
얼음 저장 용기로부터 얼마나 자주 얼음이 제거되는지에 따라서, 액체 물이 연장된 기간 동안 전형적인 제빙기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형적인 제빙기에 남아 있는 따뜻하고, 정체된 물은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얼음 레벨이 전형적인 제빙기의 얼음 저장 용기 내에서 감소되면, 냉각 시스템이 다시 온(on)되고 얼음의 생산이 재개된다. 다음으로 제빙기에 남아 있던 물은 얼음을 생산하기 위해서 신선한 공급된 물과 함께 사용된다. 따라서,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하는 얼음이 생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물질은 얼음 안에 포함되고, 이에 의해서 얼음을 오염시킨다. 이러한 오염된 얼음은, 만약 소비된다면, 인간 및 다른 동물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유해 박테리아는 레지오넬라(Legionella)이며, 이것은 따뜻한 물에서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빙기가 얼음을 생산하는 동안, 제빙기 내 물은 전형적으로 차갑고 그리고 제빙기를 통해서 재순환되고, 그리고 레지오넬라가 이러한 조건에서 성장할 것 같지 않다. 그러나,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기 때문에, 제빙기가 오프되면, 제빙기에 남아 있는 물은 데워지고 정체된다. 이러한 조건은 레지오넬라의 성장에 매우 적합하다.
오염된 얼음의 생산은, 약해진 또는 감소된 면역 체계를 갖는 환자에 의해서 얼음이 종종 소비되는 병원, 요양원, 및 다른 건강 시설에서 특정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에 의한 오염된 얼음의 소비는 해롭고 그리고/또는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되는 제빙기의 실시형태는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차게 될 때 제빙기에 남아 있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배수한다.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배수함으로써, 제빙기의 냉각 시스템이 오프된 동안에 데워질 수 있는 물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다. 이것은, 제빙기가 얼음을 생산하지 않는 동안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이 성장하는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한다.
큐브-타입 제빙기
도 1은 냉각 시스템(12) 및 물 시스템(14)을 갖는 제빙기(10)의 일 실시형태의 어떤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제빙기(10)의 냉각 시스템(12)은 압축기(15), 열 방출 열 교환기(17),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낮추기 위한 냉매 팽창 디바이스(19), 얼음 형성 디바이스(20), 및 고온 가스 밸브(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 방출 열 교환기(17)는 압축기(15)로부터 방출되는 압축된 냉매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16)일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열 방출이 천임계인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하는 냉각 시스템에서, 열 방출 열 교환기(17)는 냉매를 응축하지 않고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얼음 형성 디바이스(20)는 증발기(21) 및 증발기(21)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냉동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증발기(21)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사행형 배관(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냉동 플레이트(22)는, 표면 위로 유동되는 물이 수집되는 표면 상에 복수의 포켓(일반적으로 격자 형태의 셀들)을 수용할 수 있다. 고온 가스 밸브(24)는, 얼음이 소정의 두께에 도달되면 냉동 플레이트(22)로부터 얼음 규브를 제거하거나 또는 수확하도록 더운 냉매를 압축기(15)로부터 직접적으로 증발기(21)로 지향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는 모세관, 온도식 자동 팽창 밸브(thermostatic expansion valve) 또는 전자식 팽창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9)가 온도식 자동 팽창 밸브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인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빙기(10)는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를 제어하도록 증발기(21)의 출구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26)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9)가 전자 팽창 밸브인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빙기(10)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를 제어하도록 증발기(21)의 출구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응축기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가스 냉각 매체(예를 들어, 공기)를 사용하는 어떤 실시형태에서, 응축기 팬(18)은 응축기(16)를 가로질러 가스 냉각 매체를 블로잉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 다른 곳에서 더욱 완전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 형태의 냉매는 냉매 라인(28a, 28b, 28c, 28d)을 거쳐서 이 구성요소를 통해서 사이클된다.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은 물 펌프(62), 물 라인(63), 물 분배기(66)(예를 들어, 매니폴드, 팬, 튜브 등), 및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냉동 플레이트(22) 아래에 위치되는 물 레저보 또는 섬프(70)를 포함한다. 제빙기(10)의 동작 동안에, 물이 섬프(70)로부터 물 펌프(62)에 의해서 물 라인(63)을 통해서 물 분배기(66) 외측으로 펌핑될 때, 물은 냉동 플레이트(22) 상에 충돌하고, 냉동 플레이트(22)의 포켓 위로 유동되고 얼음으로 냉동된다. 섬프(70)는 냉동 플레이트(22) 아래에 위치되어, 냉동 플레이트(22)로부터 나오는 물을 잡아 물이 물 펌프(62)에 의해서 재순환될 수도 있도록 한다. 물 분배기(66)는 동시계속되는(copending)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4/0208792 (발명자: Broadbent, 2014년 1월 29일 출원)에서 설명되는 물 분배기일 수도 있으며, 이 출원의 전체는 참조에 의해서 여기에 포함된다.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은 물 공급 라인(50) 및 물 소스(미도시)로부터의 물로 섬프(70)를 채우기 위해서 물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는 물 입구 밸브(52)를 더 포함하며, 공급된 물의 전부 또는 일부는 냉동되어 얼음이 될 수도 있다. 제빙기(10)의 물 시스템(14)은 배출 라인(54) 및 여기에 배치되는 배출 밸브(56)(예를 들어, 퍼지(purge) 밸브,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한다. 얼음이 형성된 후에 섬프(70)에 남아 있는 물 및/또는 임의의 오염물은 배출 라인(54) 및 배출 밸브(56)를 통해서 배출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배출 라인(54)은 물 라인(63)과 유체 연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섬프(70) 안의 물은, 물 펌프(62)가 동작될 때, 배출 밸브(56)를 개방함으로써 섬프(70)로부터 배수될 수도 있다. 여기 다른 곳에서 더욱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출 밸브(56)가 개방되고 물 펌프(62)가 턴 온(turn on)될 때,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채워져 있으면, 섬프(70) 내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제빙기(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제빙기(10)는 제어기(8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80)는 제빙 디바이스(20) 및 섬프(70)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제어기(80)는 물 시스템(14) 및 냉각 시스템(12)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제빙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8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80)의 프로세서(82)는 프로세서(82)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지시를 나태내는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특정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한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ASIC) 또는 ASIC의 조합,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8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 또는 다수의 회로의 조합일 수도 있다. 제어기(80)는 또한 제어기(80)에 의해서 검색가능한 형태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구성요소(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8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구성요소에 데이타를 저장하거나 또는 여기로부터 데이타를 검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80)는 제빙기(1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이들을 제어하는 입력/출력(I/O) 구성요소(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제어기(8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표시, 신호, 메시지, 커맨드, 데이타 및/또는 다른 정보와 같은 입력을 물 레저보 물 레벨 센서(84) 또는 시스템(도 3 참조), 얼음이 언제 수확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확 센서(미도시), 전기 파워 소스(미도시), 얼음 레벨 센서(74)(도 4a 참조), 및/또는, 압력 변환기, 온도 센서, 음향 센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센서 및/또는 스위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입력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제어기(8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표시, 신호, 메시지, 커맨드, 데이타 및/또는 다른 정보를 이러한 다음 구성요소에 보냄으로써 압축기(15), 응축기 팬(18), 냉매 팽창 디바이스(19), 고온 가스 밸브(24), 물 입구 밸브(52), 배출 밸브(56), 및/또는 물 펌프(62)를 제어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원격 공기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물 레벨 측정 시스템의 실시형태는 도 3을 참조하여 그러나,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플로트 센서, 음향 센서, 또는 전기 연속 센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타입의 물 레벨 측정 시스템 또는 센서가 제빙기(10)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물 레벨 측정 시스템은 섬프(70)에 배치되는 공기 피팅(90), 공기 피팅(90)과 유체 연통되는 공압 튜브(86), 및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제어기(80)는 섬프(70)의 바닥(72) 부근에서 물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는 공기 압력 센서(84)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섬프(70)의 바닥(72) 부근에서 물 압력은 섬프(70)의 물 레벨에 연관될 수 있다. 공기 압력 센서(84)로부터의 출력을 사용하여, 프로세서(82)는 섬프(70)의 물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80)는 섬프의 비어있는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제빙기(10)의 일반적인 제빙 동안에, 공기 압력 센서(84)는 또한 프로세서(82)가 얼음 수확 사이클을 시작할 적합한 시간을 결정하고, 충전 및 퍼지 기능을 제어하고, 그리고 제빙기(10)의 물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고장 모드를 감지하는 것을 또한 허여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공기 압력 센서(84)는 모놀리식 실리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압전저항형 변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변환기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A/D) 입력부를 갖는 제어기(80)에 아날로그 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기 압력 센서(84)는 섬프(70) 내 적용된 물의 압력에 비례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공기 압력 센서(84)는 저-비용이고, 고-신뢰성 공기 압력 변환기, 예를 들어 텍사스 오스틴의 Freescale Semiconductor로부터의 부품 번호 MPXV5004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80)는 공기 압력 센서(84)의 대체로 또는 이에 부가하여 섬프(70)에 물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압력 센서(84)는 근위 단부(86a) 및 원위 단부(86b)를 갖는 공압 튜브(86)에 의해서 섬프(7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공압 튜브(86)의 근위 단부(86a)는 공기 압력 센서(84)에 연결되고, 공압 튜브(86)의 원위 단부(86b)는 공기 피팅(90)과 유체 연통괴고 이에 연결된다. 공기 피팅(90)은 섬프(70)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 베이스 부분(90a), 제1 부분(90b), 제2 부분(90c), 및 상측 부분(90d)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섬프(70)의 바닥(72)의 물과 유체 연통된다. 공기 피팅(90)의 베이스 부분(90a), 제1 부분(90b), 제2 부분(90c), 및 상측 부분(90d)은 공기가 잡혀있을 수도 있는 챔버(92)를 정의한다. 하나 이상의 개구(98)가 베이스 부분(90a)의 둘레를 둘러싸, 섬프(70)의 바닥(72)에 근접한 물이 공기 피팅(90)의 챔버(92) 내의 공기와 유체 연통되는 것을 허여한다. 섬프(70)의 물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섬프(70)의 바닥(72) 부근의 물의 압력은 공기 피팅(90)의 하나 이상의 개구(98)를 통해서 챔버(92)의 공기에 연통된다. 챔버(92) 내부 공기 압력은 증가하고, 그리고 이 압력 증가는 공기 압력 센서(84)에 공압 튜브(86)를 통해서 공기에 의해서 연통된다. 제어기(80)는 따라서 섬프(70) 내 물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섬프(70) 내 물의 레벨이 감소함에 따라서, 챔버(92) 내 압력은 또한 감소한다. 이 압력 감소는 공기 압력 센서(84)에 공압 튜브(86)를 통해서 공기에 의해 연통된다. 제어기(80)는 따라서 섬프 내 물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 피팅(90)의 베이스 부분(90a)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도 있고, 그리고 챔버(92) 내부 물의 모세관 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큰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부분(90b)은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그리고 따라서 베이스 부분(90a)의 대경부와 제2 부분(90c)의 소경부 사이의 전이부일 수도 있다. 제2 부분(90c)은 제1 부분(90b)으로부터 상측 부분(90d)으로 테이퍼질 수도 있다. 공압 튜브(86)의 원위 단부(86b)가 연결되는 커넥터(94)가 상측 부분(90d)에 배치될 수도 있다. 커넥터(94)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타입의 공압 튜브 커넥터일 수도 있으며, 바브, 니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많은 실시형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10)는, 얼음 저장 용기 조립체(30)의 상부에 장착될 수도 있는 캐비넷(29)의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비넷(29)은 온도 단일성 및 격실적 접근을 제공하도록 적합한 고정된 그리고 제거가능한 패널들에 의해서 폐쇄될 수도 있다. 얼음 저장 용기 조립체(30)는 제빙기(10)에 의해서 생산되는 얼음이 통해서 떨어지는 얼음 구멍(미도시)을 갖는 얼음 저장 용기(31)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얼음은 회수될 때까지 공동(36)에 저장된다. 얼음 저장 용기(31)는, 공동(36) 및 여기에 저장된 얼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개구(38)을 더 포함한다. 공동(36), 얼음 홀(미도시) 미 개구(38)는 좌측 벽(33a), 우측 벽(33b), 전방 벽(34), 후방 벽(35) 및 바닥 벽(미도시)에 의해서 형성된다. 얼음 저장 용기(31)의 벽은, 얼음 저장 용기(31)에 저장된 얼음의 해빙을 느추기 위해서,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구성되는 개방- 또는 폐쇄-셀 발포체 또는 유리섬유 절연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절연 재료로 열적으로 절연될 수도 있다. 도어(40)는 공동(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10)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찬 때를 감지하는 얼음 레벨 센서(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얼음 레벨 센서(74)는 얼음 저장 용기(31) 내의 얼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타입의 센서 또는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온도식 스위치, 광학 스위치, 음향 스위치, 도어 또는 플랩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리드(reed) 스위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도어 또는 플랩은 얼음 형성 디바이스(20)의 아래에 위치되고, 얼음이 수확되고 냉동 플레이트(22) 외측으로 떨어질 때, 떨어지는 얼음은 도어 또는 플랩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도록 할 것이다. 만약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차면, 얼음 저장 용기(31) 내의 얼음은 도어 또는 플랩이 제2 위치로부터 다시 제1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따라서, 얼음 레벨 센서(74)는, 도어 또는 플랩의 회전 또는 근접성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 센서 또는 리드 스위치 각각과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80)는 따라서 도어 또는 플랩이 제2 위치에 남아 있는 점을 얼음 레벨 센서(74)가 감지할 때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얼음 레벨 센서(74)는 얼음이 얼음 형성 디바이스(20)로부터 수확되는 때를 감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얼음 레벨 센서(74)는, 예를 들어 얼음 저장 용기(31)에, 캐비넷(29) 상에, 또는 얼음 저장 용기(31)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얼음 레벨 센서(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결정할 때, 제어기(80)는 제빙기(10)가 얼음 만드는 것을 멈추도록 한다.
제빙기(10)의 일 실시형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각각을 설명하였으므로, 구성요소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호작용하고 동작하는 방식이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제빙 사이클의 제빙기(10) 동작 동안에, 압축기(15)는 흡입 라인(28d)을 통해서 증발기(21)로부터 실질적으로 가스상태의 저압 냉매를 수용하고, 이 냉매를 가압하고, 그리고 응축기(16)로 도시된 열 방출 열 교환기(17)에 배출 라인(28b)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기체상태의 고압 냉매를 방출한다. 응축기(16)에서, 열은 냉매로부터 제거되며, 실질적으로 가스상태 냉매가 실질적으로 액체 냉매로 응축되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액체 냉매는 약간의 가스를 포함할 수도 있어 냉매가 액체-가스 혼합물이다.
응축기(16)를 나간 후에, 실질적으로 액체인 고압 냉매는 냉매 팽창 디바이스(19)로 액체 라인(28c)을 통해서 경로지어 지고, 이 팽창 디바이스는 증발기(21) 안으로의 도입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액체인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저압의 팽창된 냉매가 증발기(21)의 배관을 통해서 이동될 때, 냉매는 증발기(21) 내에 수용된 튜브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그리고 냉매가 튜브를 통해서 이동할 때 증발된다. 실질적으로 가스상태의 저압 냉매는 흡입 라인(28d)을 통해서 증발기(21)의 출구로부터 배출되고, 그리고 압축기(15)의 입구 안으로 재도입된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빙 사이클의 시작 시에, 물 채움 밸브(52)는 섬프(70)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턴 온되고, 그리고 물 펌프(62)가 턴 온된다. 제빙기는 많은 양의 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얼음으로 냉동시킬 것이다. 소정의 양의 물이 섬프(70)에 공급된 후, 물 채움 밸브는 폐쇄될 수도 있다. 압축기(15)는 냉각 시스템(12)을 통해서 냉매의 유동을 시작하도록 턴 온된다. 물 펌프(62)는 물 라인(63) 및 물 분배기(66)를 통해서 냉동 플레이트(22) 위로 물을 순환시킨다. 물 펌프(62)에 의해서 공급되는 물은, 냉동 플레이트(22)에 접촉하면서, 다음으로 냉각되기 시작하고, 냉동 플레이트(22) 아래의 물 섬프(70)에 복귀되고, 그리고 물 펌프(62)에 의해서 냉동 플레이트(22)로 재순환된다. 물이 충분하게 차가우면, 냉동 플레이트(22)를 가로질러 유동하는 물은 얼음 큐브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얼음 큐브는 소정의 얼음 큐브 두께가 달성되도록 형성된 후, 물 펌프(62)는 턴 오프되고, 그리고 제빙 사이클의 수확 부분은 고온 가스 밸브(24)를 개방함으로써 시작된다. 이것은 압축기(15)로부터의 따뜻하고, 높은 압력의 가스가 증발기(21)에 들어가도록 고온 가스 바이패스 라인(28a)을 통해서 유동하는 것을 허여하여, 형성된 얼음이 냉동 플레이트(22)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고 그리고, 얼음이 임시적으로 저장되고 후에 꺼내질 수 있는 얼음 저장 용기(31) 안으로 떨어지는 정도로 얼음을 녹이기 위해 냉동 플레이트(22)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얼음을 수확한다. 다음으로, 고온 가스 밸브(24)는 폐쇄되어, 제빙 사이클의 수확 부분을 종결하고, 그리고 다음으로 제빙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다.
이 사이클은 얼음 레벨 센서(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얼음으로 가득 찬 것을 감지할 때(이 시점에 전형적인 제빙기의 냉각 시스템은 턴 오프된다)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제빙기(10)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섬프(70)는 얼음 저장 용기(31)가 얼음으로 가득 차게 될 때 섬프(70)에 남아있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배수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제빙기(10)를 동작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단계(500)에서, 얼음 레벨 센서(74)는 얼음 저장 용기(31) 내 얼음의 레벨을 감지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한다. 제어기(80)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다는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표시 또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어기(80)가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타로부터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결정할 때, 제어기(80)는 단계(501)에서 냉각 시스템(1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턴 오프하고, 그리고 제어기(80)는 단계(502)에서 배출 밸브(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며, 이 단계는 배출 밸브(56)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신호를 보낸다. 단계(504)에서, 제어기(80)는 표시 또는 신호를 물 펌프(62)에 보내어 턴 온한다. 다음으로 물 펌프(62)는 개방된 배출 밸브(56)를 통해서 섬프(70)로부터 물을 펌핑하거나 배수한다. 배출 밸브(56) 및 물 펌프(62)는, 섬프(70)가 빌 때까지 단계(506)에서 각각 개방되고 그리고 온(ON)으로 남아 있는다. 단계(506) 동안에, 제어기(80)는 배출 밸브(56) 및/또는 물 펌프(62)에 계속적으로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 개방하고 그리고 턴 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제어기(80)가 폐쇄 또는 턴 오프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낼 때까지 배출 밸브(56) 및/또는 물 펌프(62)는 개방되고 온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섬프(70)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섬프(70)로부터 배수되면 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섬프(70)가 비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은 계산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경험적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 밸브(56) 및 물 펌프(62)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섬프(70)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허여하는 시간의 양 동안 단계(506)에서 각각 개방되고 온이도록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섬프(70)가 비는 시간은 약 30초 내지 약 5분 (예를 들어, 약 30초, 약 1분, 약 1.5분, 약 2분, 약 2.5분, 약 3분, 약 3.5분, 약 4분, 약 4.5분, 약 5분)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물 레벨 센서(84)는 섬프(70)가 비는 때를 물 레벨 센서 또는 제어기(80)가 결정하도록 섬프(70)의 물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감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배출 밸브(56) 및 물 펌프(62)는, 물 레벨 센서(84)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바와 같이 섬프(70)가 빌 때까지 단계(506)에서 개방되고 온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섬프(70)가 비면, 시간이 종료되거나 또는 물 레벨 센서(84)가 섬프(70)가 비었다는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표시하는 것 중 어느 하나 후, 단계(508)에서, 제어기(80)는 물 펌프(6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턴 오프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폐쇄한다. 단계(512)에서, 얼음 레벨 센서(74)는 주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얼음 저장 용기(31) 내의 얼음의 레벨을 모니터한다. 제어기(80)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찬 것보다 더 적다는 표시 또는 신호를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 수용하거나, 또는 제어기(80)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찬 것보다 더 적다는 것을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타로부터 결정하면, 단계(514)에서 제어기(80)는 냉각 시스템(1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턴 온한다. 제빙기(10)는 다음으로 단계(516)에서 제빙을 재개한다. 이 방법은 다음으로 단계(500)로 다시 사이클될 수도 있다.
비록, 제빙기(10)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차면 섬프(70)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해 물 펌프(62) 및 배출 밸브(56)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배출 밸브가 섬프(70)의 최하측 부분에 위치된다.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차면, 제어기(80)는 배출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여 섬프(70) 내의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중력에 의해서 섬프(70)로부터 배수되도는 것을 허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빙기(10)는 하나 이상의 배출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배출 밸브는 섬프(70)의 최하측 부분에 위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제2 배출 밸브는 물 펌프(62)와 유체 연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물은 제1 배출 밸브를 거쳐서 배수될 수 있고 제2 배출 밸브를 거쳐서 외부로 펌핑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섬프(70) 내의 물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하나 이상의 배출 밸브를 통해서 물을 펌핑하고 그리고/또는 배수함으로써 제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배출 밸브(56)는 동력을 공급받지 않을 때 개방되는 밸브일 수도 있다. 즉, 냉각 시스템(12)이 꺼지면, 배출 밸브(56)는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동작의 대안적인 방법에 있어서, 얼음 레벨 센서(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감지하면, 제어기(80)는 배출 밸브(56)가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물이 섬프(70)로부터 배수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제어기(80)는 냉각 시스템(12)이 턴 오프되도록 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56)는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냉각 시스템(12)이 오프(OFF)일 때,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섬프(70)로부터 배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계(508)에서, 제어기(80)는 물 펌프(6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턴 오프 할 수도 있고, 그리고 배출 밸브(56)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개방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즉, 냉각 시스템(12) 및 물 펌프(62)가 턴 오프된 후에도, 배출 밸브(56)는 열려 있다. 배출 밸브(56)는 냉각 시스템이 단계(514)에서 다시 턴 오프될 때까지 개방되게 유지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으며, 이 시점에 제어기(80)는 또한 배출 밸브(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닫히게 하고 그래서 섬프(70)는 신선한 물로 재충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배출 밸브(56)는 냉각 시스템(12)이 턴 오프된 후 일정 시간 동안 개방 상태로 남아 있는 밸브일 수도 있다. 즉, 냉각 시스템(12)이 턴 오프되면, 배출 밸브(56)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섬프(70)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허여하는 시간 동안 개방으로 남아 있다. 따라서, 동작의 대안적인 방법에 있어서, 얼음 레벨 센서(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감지하면, 제어기(80)는 배출 밸브(56)가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물이 섬프(70)로부터 배수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제어기(80)는 냉각 시스템(12)이 턴 오프되도록 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56)는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냉각 시스템(12)이 오프(OFF)일 때,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섬프(70)로부터 배수될 수도 있다. 일정 시간이 종래된 후, 제어기(80)는 배출 밸브(56)가 닫히도록 한다.
따라서,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찰 때, 제빙기(10) 내 섬프(70)로부터 물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배수함으로써, 섬프(70) 내에 거의 또는 전혀 물이 남아 있지 않으며, 이 섬프는 제빙기(10)의 냉각 시스템(12)이 오프인 동안에 가열될 수 있다. 이것은,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레지오렐라(Legionella)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이 제빙기(10)가 얼음을 생성하지 않는 동안에 성장하는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한다. 따라서, 얼음 저장 용기(31)가 더 이상 가득 차지 않고, 그리고 제빙기(10)가 얼음 만드는 것을 재개할 때, 생성되는 얼음은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플레이크-타입 또는 너겟-타입 제빙기
도 6은 냉각 시스템(112) 및 물 시스템(114)을 갖는 제빙기(110)의 다른 실시형태의 몇몇 주요한 구성요소를 도해한다. 제빙기(110)는 플레이크 또는 너겟-타입 얼음을 생성한다. 제빙기(110)의 냉각 시스템(112)은 압축기(115), 열 방출 열 교환기(117), 냉매의 온도 및 압력을 낮추기 위한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 방출 열 교환기(117)는 압축기(115)로부터 방출되는 압축된 냉매 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16)일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열 방출이 천임계인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하는 냉각 시스템에서, 열 방출 열 교환기(117)는 냉매를 응축하지 않고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제빙기(110)에 의해서 생성되는 얼음은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되며, 얼음 생성 디바이스의 구조 및 동작이 여기 다른 곳에서 더욱 충분하게 설명된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는 모세관, 온도식 자동 팽창 밸브 또는 전자식 팽창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가 온도식 자동 팽창 밸브 또는 전자 팽창 밸브인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빙기(110)는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를 제어하도록 증발기(121)의 출구에 배치되는 온도 감지 벌브(126)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가 전자 팽창 밸브인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빙기(110)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를 제어하도록 얼음 형성 디바이스(121)의 출구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응축기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가스 냉각 매체(예를 들어, 공기)를 사용하는 어떤 실시형태에서, 응축기 팬(118)은 응축기(116)를 가로질러 가스 냉각 매체를 블로잉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 다른 곳에서 더욱 완전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 형태의 냉매는 냉매 라인(128b, 128c, 128d)을 거쳐서 이 구성요소를 통해서 사이클된다.
제빙기(110)의 물 시스템(114)은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플로트 챔버(170) 또는 물 레저보 및 물 라인(163)을 포함한다. 제빙기(110)의 물 시스템(114)은 물 공급 라인(150) 및 물 소스(미도시)로부터의 물로 플로트 챔버(17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물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는 물 입구 밸브(152)를 더 포함하며, 공급된 물의 전부 또는 일부는 얼음으로 냉동될 수도 있다. 플래트 챔버(170) 내의 플로트 밸브(172)(도 7 참조)는 제빙 챔버(122) 내 물 레벨을 제어한다. 제빙기(110)의 물 시스템(114)은 배출 라인(154) 및 이 배출 라인 상에 배치된 배출 밸브(156)를 더 포함한다. 얼음이 형성된 후에 플로트 챔버(170)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에 남아 있는 물 및/또는 임의의 오염물은 배출 라인(154) 및 배출 밸브(156)를 통해서 배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배출 라인(154)은 물 라인(163)과 유체 연통일 수도 있다. 따라서, 플로트 챔버(170)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 내 물은 배출 밸브(156)를 개방함으로써 플로트 챔버(170)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로부터 배수된다. 여기 다른 곳에서 더욱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출 밸브(156)가 개방될 때,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채워져 있으면, 플로트 챔버(170)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 내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제빙기(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서,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가 상세히 설명된다.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는 제빙 챔버(122) 둘레의 냉매 라인 코일로 형성된 증발기(미도시)에 의해서 둘러싸인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제빙 챔버(122)를 포함한다. 냉매 라인은 액체 라인(128c) 및 흡입 라인(128d)과 유체 연통된다. 냉매 라인은 제빙 챔버(122)의 하측 부분에 근접하게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에 들어가고, 제빙 챔버(122) 둘레를 위로 감고, 그리고 제빙 챔버(122)의 상측 부분에 근접하게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를 나간다. 따라서, 냉매 라인의 냉매는 제빙 챔버(122)에서 올라가면서 따뜻해진다. 제빙 챔버(122) 및 냉매 라인은 절연 하우징(120a) 또는 절연 발포체에 의해서 절연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제빙 챔버(122)는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일 수도 있다.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제빙 챔버(122) 내에 동축적으로 위치되는 오거(auger; 121)를 더 포함한다. 오거(121)는 제빙 챔버(122)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오거(121)가 오거 모터(123)에 의해서 회전될 때, 오거(121)는 제빙 챔버(122)의 내부 상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실질적인 양을 제거한다. 형성된 얼음은 제빙 챔버(120) 외측 얼음 출구(127)로 나간다. 오거 플라이트(121)의 회전 방향은 제빙 챔버(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얼음이 제빙 챔버(122)의 상측 부분을 향해서 올려지도록 한다. 얼음으로 냉동될 물은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의 하측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물 공급 입구(163a)에 의해서 제빙 챔버에 공급된다. 물 공급 입구(163a), 플로트 챔버(170), 및 배출 밸브(156)는 물 라인(163)에 의해서 유체 연통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제빙기(110)가 제어기(18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180)는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 및 플로트 챔버(170)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제어기(180)는 물 시스템(114) 및 냉각 시스템(112)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제빙기(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8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180)의 프로세서(182)는 프로세서(182)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지시를 나태내는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8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특정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한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주문형 반도체(ASIC) 또는 ASIC의 조합,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기(18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 또는 다수의 회로의 조합일 수도 있다. 제어기(180)는 또한 제어기(180)에 의해서 검색가능한 형태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구성요소(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18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구성요소에 데이타를 저장하거나 또는 여기로부터 데이타를 검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제어기(180)는 제빙기(11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이들을 제어하는 입력/출력(I/O) 구성요소(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제어기(180)는 전기 파워 소스(미도시), 얼음 레벨 센서(74), 및/또는, 압력 변환기, 온도 센서, 음향 센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센서 및/또는 스위치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제어기(180)는 선택적 물 레저보 물 레벨 센서(84) 또는 시스템(도 3 참조)로 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 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입력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제어기(18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표시, 신호, 메시지, 커맨드, 데이타,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다음 구성요소에 보냄으로써 압축기(115), 응축기 팬(118),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 물 입구 밸브(152), 및/또는 배출 밸브(156)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많은 실시형태에서 제빙기(110)는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빙기(10)에 유사한 방식으로 얼음 저장 용기 조립체(30)의 상측에 장착될 수도 있는 캐비넷(29)의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비넷(29)은 온도 단일성 및 격실적 접근을 제공하도록 적합한 고정된 그리고 제거가능한 패널들에 의해서 폐쇄될 수도 있다. 얼음 저장 용기 조립체(30)는 제빙기(10)에 의해서 생산되는 얼음이 통해서 떨어지는 얼음 구멍(미도시)을 갖는 얼음 저장 용기(31)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얼음은 회수될 때까지 공동(36)에 저장된다. 얼음 저장 용기(31)는, 공동(36) 및 여기에 저장된 얼음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개구(38)을 더 포함한다. 공동(36), 얼음 홀(미도시) 미 개구(38)는 좌측 벽(33a), 우측 벽(33b), 전방 벽(34), 후방 벽(35) 및 바닥 벽(미도시)에 의해서 형성된다. 얼음 저장 용기(31)의 벽은, 얼음 저장 용기(31)에 저장된 얼음의 해빙을 느추기 위해서,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구성되는 개방- 또는 폐쇄-셀 발포체 또는 유리섬유 절연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절연 재료로 열적으로 절연될 수도 있다. 도어(40)는 공동(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110)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찬 때를 감지하는 얼음 레벨 센서(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얼음 레벨 센서(74)는 얼음 저장 용기(31) 내의 얼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타입 및/또는 구성의 센서 또는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온도식 스위치, 광학 스위치, 음향 스위치, 도어 또는 플랩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리드 스위치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얼음 레벨 센서(74)는, 예를 들어 얼음 저장 용기(31)에, 캐비넷(29) 상에, 또는 얼음 저장 용기(31)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얼음 레벨 센서(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결정할 때, 제어기는 제빙기(110)가 얼음 만드는 것을 멈추도록 한다.
제빙기(110)의 많은 구성요소는 제빙기(10)의 많은 구성요소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빙기(110)의 다양한 구서요소가 상술된 바와 같은 제빙기(1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구성 및/또는 동작에서 유사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빙기(110) 및 제빙기(1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다른 종래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제빙기(110)의 일 실시형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각각을 설명하였으므로, 구성요소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호작용하고 동작하는 방식이 이제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도 있 다. 제빙 사이클의 제빙기(110) 동작 동안에, 압축기(115)는 흡입 라인(128d)을 통해서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로부터 실질적으로 가스상태의 저압 냉매를 수용하고, 이 냉매를 가압하고, 그리고 응축기(116)로 배출 라인(128b)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기체상태의 고압 냉매를 방출한다. 응축기(116)에서, 열은 냉매로부터 제거되며, 실질적으로 가스상태 냉매가 실질적으로 액체 냉매로 응축되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액체 냉매는 약간의 가스를 포함할 수도 있어 냉매가 액체-가스 혼합물이다.
응축기(116)를 나간 후에, 실질적으로 액체인 고압 냉매는 냉매 팽창 디바이스(119)로 액체 라인(128c)을 통해서 경로지어지고, 이 팽창 디바이스는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 안으로의 도입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액체인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저압의 팽창된 냉매가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의 증발기(미도시)의 배관을 통해서 이동되면서, 냉매는 튜브를 통해서 이동되며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그리고 증발된다. 이것은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의 제빙 챔버(122)를 냉각시킨다. 실질적으로 가스상태의 저압 냉매는 흡입 라인(128d)을 통해서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의 출구로부터 배출되고, 그리고 압축기(115)의 입구 안으로 재도입된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형태에서, 제빙하는 동안에, 물 채움 밸브(152)는 턴 온되어 플로트 챔버(170)에 물을 공급한다. 플로트 챔버(170)에 공급되는 물은 물 라인(163)을 통해서 그리고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의 제빙 챔버(122) 안으로 유동된다. 공급된 물은 전형적으로 중력 유동에 의해서 플로트 챔버(170)로부터 제빙 챔버(122)로 이동된다. 제빙 챔버(122)의 물 레벨은 플로트 챔버(170) 내 물의 높이와 전형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제빙 챔버(122) 내 물 레벨은 플로트 챔버(170) 내 플로트 밸브(172)에 의해서 제어된다. 차가운 냉매가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의 증발기(미도시)를 통해서 이동됨에 따라, 제빙 챔버(122) 내 물이 제빙 챔버(122) 내부에서 냉동된다. 오거(121)는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제빙 챔버(122)의 내측 벽 상에 형성되는 얼음 층을 긁고 그리고 형성된 얼음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형성된 얼음은 얼음 출구(127)를 거쳐서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를 나가며, 얼음 출구에서 얼음이 다음으로 얼음 저장 용기(31) 안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빙기(110)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플레이크 또는 너겟 타입의 얼음을 형성하기 위해서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빙기(110)의 실시형태는, 작은 통로를 통해서 형성된 얼음을 압착시키고 그리고 압출시키며 이로써 형성된 얼음의 물 함량을 감소시키고 압착하는 오거 플라이트(121)의 상측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너겟 형성 디바이스(미도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압착된 얼음이 얼음 형성 디바이스(120)를 나갈 때 압착된 얼음은 코너 둘레로 가압되어 얼음이 더 작은 얼음 조각(너겟)으로 깨지도록 한다.
제빙기(110)는 얼음 저장 용기(31)가 얼음으로 가득 찬 것을 얼음 레벨 센서(74)가 감지할 때까지 계속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이 시점에 전형적인 제빙기의 냉각 시스템이 턴 오프된다. 그러나, 제빙기(110)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얼음 저장 용기(31)가 얼음으로 가득 찰 때,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 내에 남아 있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배수한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제빙기(110)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도해된다. 단계(900)에서, 얼음 레벨 센서(74)는 얼음 저장 용기(31) 내 얼음의 레벨을 모니터하거나 또는 검지한다. 제어기(180)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다는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표시 또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어기(180)가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타로부터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결정할 때, 제어기(180)는 단계(910)에서 냉각 시스템(1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턴 오프하고, 그리고 제어기(180)는 단계(902)에서 물 입구 밸브(15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며, 이 단계는 물 입구 밸브(152)가 폐쇄되도록 하거나 또는 신호를 보낸다. 추가적으로, 단계(904)에서, 제어기(180)는 배출 밸브(1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며, 이는 배출 밸브(156)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물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수되기 시작한다. 배출 밸브(156)는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빌 때까지 단계(906)에서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단계(906) 동안, 제어기(80)는 배출 밸브(1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계속적으로 보내어 개방 상태로 남도록 할 수도 있거나, 또는 배출 밸브(156)는 제어기(80)가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 닫거나 또는 턴 오프할 때까지 개방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수될 때 빈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비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은 계산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경험적으로 측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 밸브(156)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허여하는 시간의 양 동안 단계(906)에서 각각 개방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비는 시간은 약 30초 내지 약 5분 (예를 들어, 약 30초, 약 1분, 약 1.5분, 약 2분, 약 2.5분, 약 3분, 약 3.5분, 약 4분, 약 4.5분, 약 5분)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선택적 물 레벨 센서(84)(도 3 참조)는 플로트 챔버(170)의 레벨을 모니터하거나 또는 감지하여 물 레벨 센서(84) 또는 제어기(80)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빌 때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배출 밸브(156)는, 물 레벨 센서(84)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바와 같이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비어질 때까지 단계(906)에서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비면, 시간이 종료되거나 또는 물 레벨 센서(84)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가 비었다는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표시하는 것 중 어느 하나 후, 단계(908)에서, 제어기(180)는 배출 밸브(1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폐쇄된다. 단계(912)에서, 얼음 레벨 센서(174)는 주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얼음 저장 용기(31)의 얼음의 레벨을 모니터한다. 제어기(80)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찬 것보다 적다는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표시 또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제어기(80)가 얼음 레벨 센서(74)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타로부터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찬 것 보다 적다는 것을 결정할 때, 제어기(180)는 단계(914)에서 냉각 시스템(1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턴 오프하고, 그리고 제어기(180)는 단계(915)에서 물 입구 밸브(152)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개방하여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를 재충전한다. 제빙기(110)는 다음으로 단계(916)에서 제빙을 재개할 것이다. 이 방법은 다음으로 단계(900)로 다시 사이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배출 밸브(156)는 동력을 공급받지 않을 때 개방되는 밸브일 수도 있다. 즉, 냉각 시스템(112)이 턴 오프되면, 배출 밸브(156)는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동작의 대안적인 방법에 있어서, 얼음 레벨 센서(1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감지하면, 제어기(180)는 물 입구 밸브(152)가 폐쇄되도록 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156)가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물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수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제어기(180)는 냉각 시스템(112)이 턴 오프되도록 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156)는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냉각 시스템(112)이 오프일 때,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계(908)에서, 배출 밸브(56)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개방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즉, 냉각 시스템(112)이 턴 오프된 후에도, 배출 밸브(156)는 개방되 있다. 배출 밸브(156)는 냉각 시스템이 단계(914)에서 다시 턴 온될 때까지 개방되게 유지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으며, 이 시점에 제어기(180)는 또한 배출 밸브(156)에 표시 또는 신호를 보내어 닫히게 하고 그래서 플로트 챔버(170)는 신선한 물로 재충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배출 밸브(156)는 냉각 시스템(112)이 턴 오프된 일정 시간 동안 개방 상태로 남아 있는 밸브일 수도 있다. 즉, 냉각 시스템(112)이 턴 오프되면, 배출 밸브(156)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허여하는 시간 동안 개방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동작의 대안적인 방법에 있어서, 얼음 레벨 센서(174)가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찼음을 감지하면, 제어기(180)는 물 입구 밸브(152)가 폐쇄되도록 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156)가 개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물은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수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제어기(180)는 냉각 시스템(112)이 턴 오프되도도록 하고, 그리고 배출 밸브(156)는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된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는 냉각 시스템(112)이 오프일 때,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 일정 시간이 종료된 후, 제어기(180)는 배출 밸브(156)가 닫히도록 한다.
따라서, 얼음 저장 용기(31)가 가득 찰 때, 제빙기(110) 내 플로트 챔버(170) 및 제빙 챔버(122)로부터 물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배수함으로써, 플로트 챔버(170) 또는 제빙 챔버(122) 내에 거의 또는 전혀 물이 남아 있지 않으며, 이 챔버는 제빙기(110)의 냉각 시스템(112)이 오프인 동안에 가열될 수 있다. 이것은,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레지오렐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이 제빙기(110)가 얼음을 생성하지 않는 동안에 성장하는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한다. 따라서, 얼음 저장 용기(31)가 더 이상 가득 차지 않고, 그리고 제빙기(110)가 얼음 만드는 것을 재개할 때, 생성되는 얼음은 해로운 박테리아, 기생충, 유기체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다양한 단계가 하나의 순서로 여기서 설명되나, 본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설명된 단계의 전부를 임의의 순서로 그리고/또는 전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얼음 수확 용기가 가득 찰 때, 물 시스템에 남아 있는 물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가 배수되는 제빙기의 신규한 장치 및 방법이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디바이스 및 방법에 대한 많은 변화, 변경, 수정 및 다른 사용 및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모든 이러한 변화, 변경, 수정 및 다른 사용 및 적용은 다음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커버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제빙기에 있어서,
    (i) 압축기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ii) 상기 얼음 형성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시스템으로서, 얼음으로 형성될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저보 및 상기 물 레저보와 유체 연통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상기 물 시스템; 및
    (iii)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레벨 센서, 물 레저보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벨 센서, 및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에 근거하여 상기 배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허여하고, 상기 배출 밸브가 물 레저보가 비어 있다는 상기 물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에 근거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물 레벨 센서는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와 유체 연통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피팅을 포함하고, 피팅은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물이 물 레저보의 바닥에 존재할 때 피팅에 의해 압력이 압력 센서로 연통되고,
    피팅은 원통형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피팅의 상측 단부 부분으로 상향 연장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베이스 부분은 소정 직경을 갖는 챔버의 하측 부분을 형성하고 테이퍼 부분은 소정 직경을 갖는 챔버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고, 챔버의 하측 부분의 직경은 챔버의 상측 부분의 직경보다 크고, 챔버의 상측 부분이 베이스 부분에 인접한 바닥(bottom)으로부터 피팅의 상측 단부 부분에 인접한 탑(top)으로 상향 연장함에 따라 챔버의 상측 부분의 직경이 감소하고, 피팅의 상측 단부 부분은 챔버의 상측 부분의 탑(top)을 압력 센서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부분은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과 접촉하는 바닥 에지 가장자리(margin)를 가지며, 바닥 에지 가장자리는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에 개방되는 복수의 개구들을 형성하여,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에서의 유체가 피팅의 챔버에 개구들을 통해 연통되는,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형성 디바이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냉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물 시스템은 물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 레저보, 상기 배출 밸브, 및 상기 물 펌프는 유체 연통되는, 제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물 펌프가 상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상기 물 레저보 외부로 물을 펌핑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시스템은 물 레저보 내 모든 물이 중력에 의해 물 레저보로부터 배수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부분은 바닥 테이퍼 부분과 상측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바닥 테이퍼 부분은 상측 테이퍼 부분보다 더 테이퍼되는, 제빙기.
  8. 제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i) 압축기 및 얼음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 (ii) 상기 얼음 형성 디바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시스템으로서, 얼음으로 형성될 물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저보 및 상기 물 레저보와 유체 연통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상기 물 시스템, 및 (iii)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얼음 레벨 센서, 상기 물 레저보의 물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물 레벨 센서 및 상기 냉각 시스템 및 상기 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찼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배출 밸브가 개방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가 비었다는 상기 물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레저보가 비었다는 상기 물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배출 밸브가 폐쇄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물 레벨 센서는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와 유체 연통하는 챔버를 형성하는 피팅을 포함하고, 피팅은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물이 물 레저보의 바닥에 존재할 때 피팅에 의해 압력이 압력 센서로 연통되고,
    피팅은 원통형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피팅의 상측 단부 부분으로 상향 연장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베이스 부분은 소정 직경을 갖는 챔버의 하측 부분을 형성하고 테이퍼 부분은 소정 직경을 갖는 챔버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고, 챔버의 하측 부분의 직경은 챔버의 상측 부분의 직경보다 크고, 챔버의 상측 부분이 베이스 부분에 인접한 바닥(bottom)으로부터 피팅의 상측 단부 부분에 인접한 탑(top)으로 상향 연장함에 따라 챔버의 상측 부분의 직경이 감소하고, 피팅의 상측 단부 부분은 챔버의 상측 부분의 탑(top)을 압력 센서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부분은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과 접촉하는 바닥 에지 가장자리(margin)를 가지며, 바닥 에지 가장자리는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에 개방되는 복수의 개구들을 형성하여, 물 레저보의 바닥의 평탄한 부분에서의 유체가 피팅의 챔버에 개구들을 통해 연통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 시스템은 물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밸브 및 상기 물 펌프는 유체 연통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물 펌프가 상기 배출 밸브를 통해서 상기 물 레저보로부터 물을 펌핑하도록 턴 온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가득 찼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가 턴 오프(turn off)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얼음 저장 용기가 얼음으로 가득 차지 않았다는 상기 얼음 레벨 센서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압축기가 턴 온되어 제빙을 재개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모든 물이 중력에 의해 물 레저보로부터 배수되는,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03067A 2014-08-22 2015-08-19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KR101994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0456P 2014-08-22 2014-08-22
US62/040,456 2014-08-22
PCT/US2015/045809 WO2016028846A1 (en) 2014-08-22 2015-08-19 Draining the sump of an ice maker to prevent growth of harmful biological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177A KR20170039177A (ko) 2017-04-10
KR101994009B1 true KR101994009B1 (ko) 2019-06-27

Family

ID=5534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067A KR101994009B1 (ko) 2014-08-22 2015-08-19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480844B2 (ko)
EP (1) EP3183517B1 (ko)
JP (1) JP6633051B2 (ko)
KR (1) KR101994009B1 (ko)
CN (1) CN106662387B (ko)
MX (2) MX2017001781A (ko)
WO (1) WO2016028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7538B2 (en) 2012-09-10 2018-10-23 Hoshizaki America, Inc. Ice cube evaporator plate assembly
JP6633051B2 (ja) 2014-08-22 2020-01-22 トゥル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rue Manufacturing Co., Inc. 有害な生物物質の増殖を防止するための、製氷機の水溜の排水
JP6506408B2 (ja) * 2015-04-06 2019-04-24 トゥル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rue Manufacturing Co., Inc. 自動脱スケール及び消毒機能を有する製氷機
WO2016205685A1 (en) * 2015-06-19 2016-12-22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ation of ice production and dispensing system
US10240842B2 (en) * 2016-07-13 2019-03-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ing appliance and apparatus
KR20180039987A (ko) * 2016-10-11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수 생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IT201700070746A1 (it) 2017-06-23 2018-12-23 Brema Group Spa Dispositivo di drenaggio per fabbricatore di ghiaccio
KR102036897B1 (ko) * 2017-12-08 2019-10-25 대영이앤비(주) 제빙장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73126B1 (ko) * 2017-12-08 2020-11-03 대영이앤비(주) 제빙장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4579B1 (ko) * 2017-12-08 2021-01-19 대영이앤비(주) 제빙장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9140495A1 (en) * 2018-01-17 2019-07-25 Hadziibrisevic Nurset Cylindrical chamber heat exchanger
US11506438B2 (en) 2018-08-03 2022-11-22 Hoshizaki America, Inc. Ice machine
KR20200072122A (ko) * 2018-12-12 202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머신
US11913699B2 (en) 2020-01-18 2024-02-2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02059B2 (en) 2020-01-18 2023-03-07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detachable electronics module
US11578905B2 (en) 2020-01-18 2023-02-14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ice disp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deploying ice maker
US11391500B2 (en) * 2020-01-18 2022-07-19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255589B2 (en) 2020-01-18 2022-02-22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56017B2 (en) 2020-01-18 2023-05-23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802727B2 (en) 2020-01-18 2023-10-31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519652B2 (en) 2020-03-18 2022-12-06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JP2022042145A (ja) * 2020-09-02 2022-03-14 アクア株式会社 製氷機
US11674731B2 (en) * 2021-01-13 2023-06-13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KR20220111672A (ko) 2021-02-02 2022-08-09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냉장 가전기기들의 지역적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가전기기들
US20220268504A1 (en) 2021-02-23 2022-08-25 True Manufacturing Co., Ltd. Ice maker
US11566831B2 (en) * 2021-06-29 2023-01-31 Thomas Mullenaux Water-dispensing system for use with an icemaker
US11686519B2 (en) 2021-07-19 2023-06-2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with pulsed fill routine
US20230281569A1 (en) 2022-03-04 2023-09-07 True Manufacturing 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frigeration appliances
US20230288117A1 (en) 2022-03-10 2023-09-14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an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ater filter of the ice maker
TWI828166B (zh) * 2022-05-27 2024-01-01 富臨國際開發有限公司 製冰機循環散熱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798A (ja) * 2003-06-24 2005-01-20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の運転方法
JP2005106448A (ja) * 2003-10-02 2005-04-2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JP2009002607A (ja) * 2007-06-22 2009-01-08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運転方法
US20100326093A1 (en) 2009-06-30 2010-12-30 Watson Eric K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for forming ice within an icemak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726A (en) 1960-06-14 1963-03-12 Revco Inc Temperature congelation apparatus
US3254501A (en) 1963-01-09 1966-06-07 Borg Warner Automatic ice cube maker
US3407621A (en) 1964-03-27 1968-10-29 Manitowoc Co Spray type icemaker with overflow drain
JPS5638277U (ko) * 1979-09-03 1981-04-10
JPS56162016A (en) * 1980-05-19 1981-12-12 Hoshizaki Electric Co Ltd Water level detector for ice making water tank in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JPS5785170U (ko) * 1980-11-13 1982-05-26
US4341087A (en) 1981-04-08 1982-07-27 Mile High Equipment Company Automatic ice cube making apparatus
US4459824A (en) 1982-08-26 1984-07-17 Reynolds Products Inc. Ice cube making apparatus
JPS59107172A (ja) * 1982-12-08 1984-06-21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ガ−式製氷機の洗浄装置
US4559979A (en) * 1983-12-08 1985-12-24 The Coca-Cola Company Ultrasound level detector
US4780861A (en) * 1984-12-20 1988-10-25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filling beverage containers
US4798232A (en) * 1984-12-20 1989-01-17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filling beverage containers
JPH0413585Y2 (ko) * 1985-08-12 1992-03-30
US4917155A (en) * 1987-02-25 1990-04-17 The Coca-Cola Company Ultrasound level detector and container counter
DE4006567A1 (de) * 1990-03-02 1991-09-05 Siemens Ag Messeinrichtung zur bestimmung der fuellstandshoehe einer nicht-leitenden fluessigkeit in einem behaelter
US5060484A (en) * 1990-06-12 1991-10-29 Scotsman Group, Inc. Bin level control circuit and transducer mounting system for an ice making machine
US5182925A (en) * 1991-05-13 1993-02-02 Mile High Equipment Company Integrally formed, modular ice cuber having a stainless steel evaporator and microcontroller
US5289691A (en) 1992-12-11 1994-03-01 The Manitowoc Company, Inc. Self-cleaning self-sterilizing ice making machine
US5477694A (en) 1994-05-18 1995-12-26 Scotsman Group,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machine and apparatus therefor
US5440892A (en) * 1994-08-29 1995-08-15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Auger-type ice making machine
JP2725239B2 (ja) * 1995-09-28 1998-03-11 阪神エレクトリック株式会社 水位検出方法
JPH09292272A (ja) * 1996-04-26 1997-11-11 Yamatake Honeywell Co Ltd 水田用水位計
JPH10160305A (ja) * 1996-11-28 1998-06-19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H10253209A (ja) * 1997-03-12 1998-09-25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製氷装置
US6000228A (en) 1997-12-23 1999-12-14 Morris & Associates Clear ice and water saver cycle for ice making machines
US7284391B2 (en) 1998-10-06 2007-10-23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Pump assembly for an ice making machine
US6324863B1 (en) 1999-03-05 2001-12-04 Imi Cornelius Inc. Sanitary ice making system
JP3712892B2 (ja) * 1999-06-08 2005-11-0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US6432568B1 (en) * 2000-08-03 2002-08-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Wat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chemical engine
US6405546B1 (en) * 2000-08-16 2002-06-18 Gregory M. Billman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JP2002295933A (ja) * 2001-03-30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
JP4771622B2 (ja) * 2001-07-09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ガ式製氷機
US20030010054A1 (en) * 2001-07-13 2003-01-16 Esch Willy Van Ice maker cooler
US6681580B2 (en) * 2001-09-12 2004-01-27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Ice machine with assisted harvest
US6725675B2 (en) 2001-10-09 2004-04-27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Flaked ice making machine
JP4017379B2 (ja) * 2001-10-29 2007-12-05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ガ式製氷機
US7638735B2 (en) * 2002-02-11 2009-12-29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Pulse electrothermal and heat-storage ice de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US6619051B1 (en) 2002-07-12 2003-09-16 Ecolab Inc. Integrated cleaning and sanitiz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chines
WO2004083971A2 (en) * 2003-03-13 2004-09-30 Imi Cornelius Inc. Icemaker control system
KR100518807B1 (ko) * 2003-03-31 2005-10-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제빙장치
US7059141B2 (en) 2003-04-29 2006-06-13 Imi Cornelius Inc. Combined ice and beverage dispenser and icemaker
US7082782B2 (en) 2003-08-29 2006-08-01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Low-volume ice making machine
US7032406B2 (en) * 2004-08-05 2006-04-25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Ice machine including a condensate collection unit, an evaporator attachment assembly, and removable sump
KR100729962B1 (ko) * 2005-10-21 2007-06-1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US7762092B2 (en) * 2005-12-08 2010-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743622B2 (en) * 2006-12-08 2010-06-29 Whirlpool Corporation Ice dispensing and detecting apparatus
US8122689B2 (en) 2007-01-24 2012-02-28 Schur International A/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agging and dispensing ice
US8713949B2 (en) * 2007-04-27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and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KR101396973B1 (ko) 2007-07-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9138962A (ja) * 2007-12-04 2009-06-25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WO2009078996A1 (en) 2007-12-17 2009-06-25 Mile High Equipment Llc Ice-making machine with water flow sensor
US20120031126A1 (en) 2010-08-06 2012-02-09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Llc Control system for an ice maker
KR101214460B1 (ko) * 2010-10-29 2012-12-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배수 자동제어방법
US9644879B2 (en) * 2013-01-29 2017-05-09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ce thickness and detecting failure modes of an ice maker
CN203163377U (zh) * 2013-03-28 2013-08-28 徐洪斌 引流负压虹吸排水装置
JP6633051B2 (ja) 2014-08-22 2020-01-22 トゥル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rue Manufacturing Co., Inc. 有害な生物物質の増殖を防止するための、製氷機の水溜の排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798A (ja) * 2003-06-24 2005-01-20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の運転方法
JP2005106448A (ja) * 2003-10-02 2005-04-2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JP2009002607A (ja) * 2007-06-22 2009-01-08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運転方法
US20100326093A1 (en) 2009-06-30 2010-12-30 Watson Eric K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for forming ice within an icemak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01781A (es) 2017-07-17
US10480844B2 (en) 2019-11-19
EP3183517C0 (en) 2023-11-22
CN106662387B (zh) 2019-12-06
EP3183517A1 (en) 2017-06-28
WO2016028846A1 (en) 2016-02-25
MX2021005712A (es) 2021-07-21
EP3183517A4 (en) 2018-03-28
US20200003471A1 (en) 2020-01-02
JP6633051B2 (ja) 2020-01-22
KR20170039177A (ko) 2017-04-10
JP2017525921A (ja) 2017-09-07
US20160054043A1 (en) 2016-02-25
CN106662387A (zh) 2017-05-10
EP3183517B1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009B1 (ko)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US11543161B2 (en) Ice maker with reversing condenser fan motor to maintain clean condenser
US108903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he harvest cycle of an ice maker using a harvest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US10982893B2 (en) Ice maker with automatic descale and sanitize feature
US6725675B2 (en) Flaked ice making machine
KR20170140412A (ko) 정비가 필요할 때를 나타내기 위한 푸시 통지를 갖는 제빙기
US6405546B1 (en)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US20070157636A1 (en) Icemaker control system
KR100636553B1 (ko) 자동 제빙기의 급수 제어 장치 및 급수 제어 방법
KR100661831B1 (ko) 제빙기의 급수감지방법
KR100281801B1 (ko) 제빙기의 이빙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711382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