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815B1 - 플레시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플레시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815B1
KR100189815B1 KR1019960001400A KR19960001400A KR100189815B1 KR 100189815 B1 KR100189815 B1 KR 100189815B1 KR 1019960001400 A KR1019960001400 A KR 1019960001400A KR 19960001400 A KR19960001400 A KR 19960001400A KR 100189815 B1 KR100189815 B1 KR 10018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trol signal
voltage
unit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881A (ko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6000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815B1/ko
Priority to CNB971022755A priority patent/CN1164150C/zh
Priority to US08/787,600 priority patent/US5708878A/en
Priority to JP00920397A priority patent/JP4381488B2/ja
Publication of KR970060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시(Flash)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인가되는 발진 신호에 의하여 램프에 인가될 전압을 충전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부의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시스템 제어부에 승압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승압 감지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발진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압을 상기 발진 신호로 변환시키는 발진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발광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트리거 펄스(Trigger pulse)를 발생시키는 트리거부; 및 상기 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의 온(On)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하이(High) 상태가 되고, 시스템 전원의 오프(On)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에 로우(Low) 상태가 되는 오발광(誤發光) 방지부를 갖춘 것을 그 특징으로 하여,
간단한 하드웨어(Hardware)로써 오발광(誤發光) 방지를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하드웨어, 제어 프로그램, 및 검사 프로그램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레시(Flash) 제어 회로
제1도는 종래의 플레시 제어 회로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례시 제어회로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오발광 방지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램 프 202 : 승압부
203 : 승압 감지부 204 : 발진부
205 : 트리거부 206 : 오발광 방지부
본 발명은 플레시(Flash)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와 같은 카메라 또는 스트로브(Strobe) 조명장치 등에 사용되는 플레시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플레시 제어 회로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래의 플레시 제어 회로는, 인가되는 발진신호에 의하여 램프(101)에 인가될 전압을 충전하는 승압부(102), 상기 승압부(l02)의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승압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승압 감지부(103), 상기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발진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전압을 상기 발진 신호로 변환시키는 발진부(104), 상기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발광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트리거 펄스(Trigger pulse)를 발생시키는 트리거부(105), 상기 시스템 전원의 전압을 상기 발진부(104)의 인가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구동부(106),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구동부(106)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전원 제어부(107)를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램프(101)에 인가되는 수 백 볼트(Volt)의 충전 전압이 수천 볼트(Volt)의 트리거 펄스에 의하여 방전됨으로써 램프(101)가 발광된다.
제1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시스템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입력되는 승압 감지 신호로써 승압부(l02)의 전압값을 판단한 후, 발진 제어 신호로써 발진부(10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진 제어 신호가 로우(Low) 상태이면 발진부(104)가 동작하지 않고, 하이(High) 상태이면 동작하게 된다. 발진부(104)가 동작하는 경우, 전원 구동부(106)로부터의 입력 전압은 소정의 발진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전원 제시부(107)는 해당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구동부(106)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부(107)는, 전원 제어 신호가 하이(High) 상태이면 전원 구동부(106)의 출력 전압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로우(Low) 상태이면 인에이블(Enable) 시킨다. 승압부(102)에서는 발진부(104)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이 지속되고,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제어 과정에 의하여 승압부(102)의 충전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되어 램프(101)에 인가되는 수 백 볼트(Volt)의 충전 전압이 수 천 볼트(Volt)의 트리거 펄스에 의하여 방전됨으로써 램프(101)가 발광된다.
한편 시스템 전원이 온(On)/오프(Off)될 때에는, 발광 제어 신호에 전원 노이즈(noise)가 유기되어 트리거부(105)가 오동작(誤動作) 함으로써, 램프(101)가 오발광(誤發光)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시스템 전원이 온(On)/오프(Off)될 때에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전원제어부(107)로써 전원 구동부(106)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였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부(107)는 입력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하여, 시스템 전원의 온(On)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전원 구동부(106)의 출력전압을 인에이블(Enable)시키고, 시스템 전원의 오프(On) 완료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에 전원 구동부(106)의 출력 전압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킨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원의 온(On)/오프(Off)로 인하여 전원 노이즈(noise)가 유기될 때, 승압부(102)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므로 램프(101)의 오발광(誤發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레시(Flash) 제어 회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는다. 첫째, 별도의 전원 제어부 및 전원 구동부가 요구됨에 따라 하드웨어(Hardware)의 규모가 커지게 된다. 둘째, 상기 해당 시스템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한다. 그리고 셋째, 제조 공정에서 오발광(誤發光) 방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전원 제어부, 전원 구동부, 및 소프트웨어(Software)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하드웨어(Hardware)로써 오발광(誤發光) 방지를 수행할 수 있는 플레시(Flash)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시(Flash) 제어 회로는,
인가되는 발진 신호에 의하여 램프에 인가될 전압을 충전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부의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시스템 제어부에 승압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승압 감지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발진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압을 상기 발진 신호로 변환시키는 발진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발광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트리거 펄스(Trigger pulse)를 발생시키는 트리거부, 및
상기 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의 온(On)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하이(High) 상태가 되고, 시스템 전원의 오프(On)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에 로우(Low) 상태가 되는 오발광(誤發光) 방지부를 갖춘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시 제어 회로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도이다. 제2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시스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입력되는 승압 감지 신호로써 숭압부(202)의 전압값을 판단한 후, 발진 제어 신호로써 발진부(20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진 제어 신호가 로우(Low) 상태이면 발진부(204)가 동작하지 않고, 하이(High) 상태이면 동작하게 된다. 발진부(204)가 동작하는 경우, 시스템 전원은 소정의 발진 신호로 변환된다. 승압부(202)에서는 발진부(204)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충전이 지속되고,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제어 과정에 의하여 승압부(202)의 충전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되어 램프(201)에 인가되는 수 백 볼트(Volt)의 충전 전압이 수천 볼트(Volt)의 트리거 펄스에 의하여 방전됨으로써 램프(201)가 발광된다.
한편 시스템 전원이 온(On)/오프(Off)될 때에는, 발광 제어 신호에 전원 노이즈(noise)가 유인되어 트리거부(205)가 오동작(誤動作)함으로써, 램프(101)가 오발광(誤發光)하는 헌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의 온(On)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하이(High) 상태가 되고,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에 로우(Low) 상태가 되는 오발광(誤發光) 방지부(206)가 마련되어 있다. 즉 오발광(誤發光) 방지부(206)는, 시스템 전원의 온(On)/오프(Off)로 인하여 전원 노이즈(noise)가 유기되는 동안 발광 제어 신호를 접지시킴으로써, 전원 노이즈(noise)가 트리거부(205)에 입력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따라 트리거부(205)의 오동작(誤動作)으로 인한 램프(201)의 오발광(誤發光)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오발광 방지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발광 방지부(제2도의 206)에는 시스템 전원이 인가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가 상기 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 상기 시스템 전원 단자와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T)의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연결된 충방전용 콘덴서(C),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의 베이스(Base)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bias)용 다이오드(D), 및 상기 시스템 전원 단자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의 콜텍터(Collector)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전류제한용 저항(R)을 갖추고 있다.
제3도에서 시스템 전원의 온(On) 개시 시점으로부터 온(On) 완료시점까지의 동작 과정을 살펴 보기로 한다. 시스템 전원이 온(On)되기 시작하면, 시스템 전원으로부터 전류 제한용 저항(R)을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T)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충방전용 콘덴서(C)의 플러스(+) 단자에도 전원 전압이인가됨으로써, 충방전용 콘덴서(C)는 충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바이어스(bias)용 다이오드(D)의 양단 전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의 베이스(Base)와 에미터(Emitter) 사이에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T)는 턴-온(Turn-On)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된 발광 제어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를 통하여 접지된 상태가 된다. 즉, 시스템 전원의 온(On)으로 인하여 전원 노이즈(noise)가 유기되는 동안 발광 제어신호를 접지시킴으로써, 전원 노이즈(noise)가 트리거부(제2도의 205)에 입력되지 못하게 한다. 소정 시간이 흐르면서 충방전용 콘덴서(C)의 충전전압이 상기 다이오드(D)의 양단 전압보다 높아지게 되면, 충방전용 콘덴서(C)의 마이너스(-) 단자에 유기된 전압이 스위칭 트랜지스터(T)의 베이스(Base)에 작용함으로써, 스위칭 트랜지스터(T)가 턴-오프(Turn-Off)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T)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된 발광 제어 신호는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된다.
제3도에서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 개시 시점으로부터 오프(Off) 완료 시점까지의 동작 과정을 살펴 보기로 한다. 시스템 전원이 오프(Off)되기 시작하면, 충방전용 콘덴서(C)는 자체 특성상 빠른 속도로 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 전압이 상기 다이오드(D)의 양단전압보다 낮아지게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는 턴-온(Turn-On)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된 발광제어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를 통하여 접지된 상태가 된다. 즉,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로 인하여 전원 노이즈(noise)가 유기되기 전에 상기 발광 제어신호를 접지시킴으로써, 전원 노이즈(noise)가 트리거부(제2도의 205)에 입력되지 못하게 한다.
제4도는 제3도의 동작 타밍도이다. 제4도에서 T1은 시스템 전원의 온(On) 개시 시점으로부터 온(On) 완료 시점까지의 시간, T2는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온(On)을연속 동작으로 수행하는시간, 그리고 T3은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 개시시점으로부터 오프(Off) 완료 시점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의같이 시스템 전원의 전압이 1.4V(Volt)인 시점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제3도의 T)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이 인가됨을 알 수 있다. 시스템 전원의 온(On) 개시 시점으로부터 온(On) 완로 시점까지의 시간(Tl)에는, 오발광 방지부(제2도의 206)의 출력 파형이 전원 파형보다 Td만큼 지연(delay)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지연 시간 Td는 충방전용 콘덴서(C)의 용량에 비례하게 된다.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온(On)을 연속 동작으로 수행하는 시긴(T2)에는, 오발광 방지부(제2도의 206)의 출력 파형이 전원 파형보다 빠르게 오프(Off)되고, 늦게 온(On)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 개시 시점으로부터 오프(Off) 완료 시점까지의 시간(T3)에는, 오발광 방지부(제2도의 206)의 출력파형이 전원 파형보다 빠르게 오프(Off) 즉, 접지 상태로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된 오발광 방지부(제2도의 206)의 출력 파형이 전원 시스템 전원의 파형보다 늦게 온(On)되고 빠르게 오프(Off)됨에 따라, 온(On)/오프(Off)로 인하여 전원 노이즈(noise)가 유기되는 동안 발광 제어 신호를 접지시킬 수 있다. 즉, 전원노이즈(noise)가 트리거부(제2도의 205)에 입력되지 못하게 함에 따라 트리거부(205)의 오동작(誤動作)으로 인한 램프(제2도의 201)의 오발광(誤發光)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간단한 하드웨어(Hardware)로써, 오발광(誤發光) 방지를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하드웨어(Hardware), 제어 프로그램, 및 검사 프로그램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이용 및 개량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시(Flash) 제어 회로에 의하면, 간단한 하드웨어(Hardware)로써 오발광(誤發光) 방지를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하드웨어, 제어 프로그램, 및 검사 프로그램을 간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인가되는 발진 신호에 의하여 램프에 인가될 진압을 충전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부의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시스템 제어부에 승압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승압 감지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발진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압을 상기 발진 신호로 변환시키는 발진부,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의 발광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트리거 펄스(Trigger pulse)를 발생시키는 트리거부, 및 상기 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되어, 시스템 전원의 온(On) 완료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하이(High) 상태가 되고, 시스템 전원의 오프(Off) 완료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전에 로우(Low) 상태가 되는 오발광(誤發光) 방지부를 갖춘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레시(Flash)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승압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트리거 펄스에 의하여 방전됨으로써 발광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레시(Flash)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발광(誤發光) 방지부는, 콜렉터(Collector) 단자가 상기발광 제어 신호와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시스템 전원 단자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연결된 충방전용 콘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Base)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바이어스(bias)용 다이오드, 및 상기 시스템 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전류 제한용 저항을 갖춘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레시(Flash) 제어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전원의 온(On) 개시 시점으로부터 온(On) 완료 시점까지의 시간에는, 상기 오발광(誤發光) 방지부의 출력 파형이 상기 전원 파형보다 소정 시간만큼 지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레시(Flash) 제어 회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의 용량과 비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플레시(Flash) 제어 회로.
KR1019960001400A 1996-01-23 1996-01-23 플레시 제어 회로 KR10018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400A KR100189815B1 (ko) 1996-01-23 1996-01-23 플레시 제어 회로
CNB971022755A CN1164150C (zh) 1996-01-23 1997-01-21 闪光灯控制电路
US08/787,600 US5708878A (en) 1996-01-23 1997-01-22 Flash control circuit
JP00920397A JP4381488B2 (ja) 1996-01-23 1997-01-22 フラッシュ制御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400A KR100189815B1 (ko) 1996-01-23 1996-01-23 플레시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81A KR970060881A (ko) 1997-08-12
KR100189815B1 true KR100189815B1 (ko) 1999-06-01

Family

ID=1944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400A KR100189815B1 (ko) 1996-01-23 1996-01-23 플레시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08878A (ko)
JP (1) JP4381488B2 (ko)
KR (1) KR100189815B1 (ko)
CN (1) CN116415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88B1 (ko) 2006-04-27 2008-01-04 엠텍비젼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이용한 광원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430B1 (en) 2001-12-27 2003-06-03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871016B2 (en) 2001-12-27 2005-03-22 Eastman Kodak Company Recyclable camera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6768869B2 (en) 2002-04-23 2004-07-2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body, camera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101730363B (zh) * 2008-10-30 2013-02-20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闪光灯控制电路
CN111710061B (zh) * 2020-06-28 2021-04-1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图像采集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419A (en) * 1975-05-27 1976-08-10 Honeywell Inc. Electronic flash apparatus with inhibition of contact bounce false triggering
JPS596474B2 (ja) * 1977-10-06 1984-02-10 株式会社ニコン スピ−ド・ライト装置
US4240008A (en) * 1979-02-09 1980-12-16 Fuji Photo Optical Co., Ltd. Automatic electronic flash light device
JPH0516585Y2 (ko) * 1988-03-31 1993-04-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88B1 (ko) 2006-04-27 2008-01-04 엠텍비젼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이용한 광원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150C (zh) 2004-08-25
CN1164173A (zh) 1997-11-05
JPH09211581A (ja) 1997-08-15
US5708878A (en) 1998-01-13
KR970060881A (ko) 1997-08-12
JP4381488B2 (ja)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815B1 (ko) 플레시 제어 회로
US6828803B2 (en) Strobe charge apparatus
US5107292A (en) Electronic flash unit
US4259615A (en) Photographic flash device
US5752102A (en) Electronic flashing device
US4354750A (en) Flash unit having a flash output control device
US4301392A (en) Electronic flash system capable of automatic flash duration control
US4787087A (en) Circuit for driving a laser diode
JP3167353B2 (ja) 閃光発光装置
JP2506692B2 (ja) 写真用ストロボ装置
JP2570109Y2 (ja) 電子閃光装置の発光制御回路
US6150770A (en) Flash apparatus
US5053802A (en) Electric flash apparatus
JP2002078239A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0288216B1 (ko) 리셋 신호 발생 장치
JP2730631B2 (ja) オートストロボ装置
US6486484B1 (en) Pulsed optical couplers
JP2639824B2 (ja) 閃光放電発光器
JP3358087B2 (ja) 光電スイッチ
JP4368456B2 (ja) ストロボ装置
JPS6010042Y2 (ja) 光電スイッチの投光回路
JPS5933957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3338160B2 (ja) フラッシュ光通信装置
JPH0715551B2 (ja) 閃光装置
JP3611614B2 (ja) 排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