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17B1 - 비누수납용기 - Google Patents

비누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17B1
KR100188817B1 KR1019970001293A KR19970001293A KR100188817B1 KR 100188817 B1 KR100188817 B1 KR 100188817B1 KR 1019970001293 A KR1019970001293 A KR 1019970001293A KR 19970001293 A KR19970001293 A KR 19970001293A KR 100188817 B1 KR100188817 B1 KR 10018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torage container
stored
storag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992A (ko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1997000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817B1/ko
Priority to RU97112694A priority patent/RU2178262C2/ru
Priority to CN 97114765 priority patent/CN1098664C/zh
Priority to CA 2211950 priority patent/CA2211950C/en
Priority to DE1997615581 priority patent/DE69715581T2/de
Priority to ES97113142T priority patent/ES2184016T3/es
Priority to EP19970113142 priority patent/EP0853915B1/en
Priority to JP32648497A priority patent/JPH10201658A/ja
Publication of KR1998006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47K5/03Soap boxes or receptables separate from wall or wash-st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 수납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비누가 세워지면서 수납되는 비누수납부를 가진 비누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누가 세워져서 수납되어 비누의 양쪽 넓은 면에 가파른 기울기가 생기도록 상기 수납부의 폭은 비누의 단변폭보다 좁게 제한되어 있고, 비누의 좁은 측면들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벽면과 테두리부와 바닥면은 비누를 일부러 세워 수납하지 않더라도 비누가 스스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게 하는 한편 수납된 비누가 수납부의 벽면 및 바닥면과 점접촉하게 하는 연속적인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누에 묻은 물이 비누 표면을 빨리 흘러내리는 한편 비누 주위의 공기유통이 원활하게 되어 비누는 빨리 마르며, 또한 수납부의 벽면 및 바닥면과 비누 사이에 물이 머금어지지 않으므로 비누가 물에 녹아 물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비누수납용기
본 발명은, 비누를 세워서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진 비누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 비누가 세워져서 수납될 수밖에 없는 기하학적인 공간이며,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게 유도하고 또 일단 수납된 비누는 비누수납용기와 점접촉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 의도적인 곡면상의 벽면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이기도 한, 수납부를 구비한 비누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누수납용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는데, 도 1에 종래의 비누수납용기의 한 실시예를 보였다. 이는 수평의 바닥면을 가진 공간부(11) 자체를 비누(100)가 수납되는 본체(12)로 하여 구성되었는데, 바닥면에 물배출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비누수납용기(10)에는 비누가 그 일측 넓은 면이 본체(12)의 바닥면과 맞닿은 채 수평으로 수납된다. 따라서 이런 비누수납용기(10)에는 첫째, 비누의 넓은 윗면에 묻은 물이 빨리 흘러내리지 못하고, 둘째, 비누 아랫면과 용기 바닥면과의 접촉면에 많은 물이 머금어져서 비누의 아랫면이 물에 녹아 물러지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여러 고안이 이루어졌으나, 그것들은 문제점의 근본적 해결에 미흡하였거나 사용하기에 불편하였다.
그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85-3772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개소 51-11241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개소 51-13975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90-11529호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번호 특개평 1-171289호 등을 보면, 첫째, 여전히 비누의 넓은 면이 위로 향해 있고 또 용기 바닥면과 넓게 접촉하고 있어서 문제점 해결에 있어 미흡하거나, 둘째, 비누를 세워 수납하기는 해도 인위적으로 조심해서 세워야 하거나, 셋째, 비누가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게 잡아 주는 뚜렷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비누가 쉽게 넘어지거나, 넷째, 비누를 삐뚤게 넣더라도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게 유도하는 기능이 없어 불편하거나 하였다. 또 한 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했던 대한민국 특허 번호 제107887호에도 비누가 세워져 수납되게 하는 수납부를 가진 비누수납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소정의 장단변 폭(Wa, Wb)과 두께(Ta)를 가진 비누(200)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22)가 마련된 비누수납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납부(22)는 비누의 두께(Ta)보다는 넓고 비누의 단변폭(Wb)보다는 좁은 폭을 가졌으며, 그 바닥면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었고, 수납부(22)의 측벽은 상당한 깊이를 가졌다. 이것은 비누(200)가 그 양측의 넓은 면(201)이 수납부(22)의 양 측벽을 향한 채 세워져 수납되게 하고 수납된 비누가 안정되게 서 있게 하며 비누의 좁은 측면(202)도 소정각도 경사지게 한다. 따라서, 비누의 좁은 측면(202)과 양측 넓은 면(201)에 묻은 물이 빨리 흘러 내려서 배출되므로 비누가 빨리 마르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 경우도, 수납된 비누가 수납용기의 측벽 또는 바닥면과 부분적으로 면접촉이나 선접촉을 하므로, 다소 녹아 물러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 비누가 삐뚤게 넣어지면 수납부 측벽 코너에 걸리는 불편함이 있다. 즉,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게 유도하는 기능이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첫째, 비누의 넓은 면 및 좁은 측면의 물이 빨리 흘러내리게 비누가 세워져서 수납되게 하고, 둘째, 수납된 비누가 안정되게 서 있도록 잡아 주는 수단을 마련하고, 셋째,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게 유도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넷째, 수납된 비누가 수납부의 벽면이나 바닥면과 점접촉하게 하고, 다섯째, 수납부의 벽면 또는 바닥면과 비누와의 사이에 물이 머금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비누를 세워 수납하는 것이 용이하고 비누가 빨리 마르며 나아가 녹아 물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비누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누 케이스와 비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비누 케이스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실시예의 비누수납용기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를 따라 절취한 비누가 비누수납용기에 수납 완료된 상태를 보이는 수납부의 종단면도 및 도 4b는 도 3의 B-B를 따라 절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비누가 도 3의 비누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이는 수납부의 수직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비누가 도 3의 비누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이는 수납부 벽면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비누가 도 3의 비누수납용기에 수납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이는 수납부 측벽면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수납부 폭의 개념을 설명한 수납부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누수납용기에 비누 끝부분에서 물방울 맺힘을 방지한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비누수납용기에 공기 유통통로를 형성한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수납용기에 공기 유통공을 형성한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비누수납용기 300 : 비누
32 : 비누수납부 34 : 물배출공
35 : 수납부의 테두리부 36 : 수납부의 측벽면
37 : 수납부의 바닥면 38 : 수납부의 앞벽면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누수납용기는, 비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비누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비누가 그 한쌍의 넓은 면들이 상기 수납부 양 측벽을 향한 채 세워져서 수납될 수 있게 비누의 두께보다는 넓고 비누의 단변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수납된 비누가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상기 비누가 수납되면서 실제 접촉하게 되는 유효접촉부분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면을 가지는 양 측벽면, 상기 수납된 비누를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앞벽면, 상기 측벽면 및 앞벽면의 상부를 구성하는 곡면 형상의 테두리부, 상기 비누의 수납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곡면형상의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 측벽면, 상기 앞벽면,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수납된 비누가 상기 양측벽면, 상기 앞벽면,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바닥면과 바람직하게는 점접촉을 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수납용기의 한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비누수납용기(30)의 수납부(32)는 소정의 폭(W)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었으며, 수납부(32)의 벽면(36, 38)과 테두리부(35)와 바닥면(37)은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었고 바닥면(37)은 비누의 수납방향 즉 앞벽면(38)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32)의 하부에는 물배출공(34)이 마련되었다. 수납부(32)의 폭(W)은, 소정 형상의 비누,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장단변 폭(W1, W2)과 두께(T)를 가진 입방체형의 비누(300)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도록, 비누 두께(T)보다는 크고 비누의 단변폭(W2)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32)의 테두리부(35)는 측벽면(36)과 함께 물배출공(34) 혹은 앞벽면(38)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의도적인 곡선 및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양 측 벽면(36)은 비누가 수납되면서 실제 접촉하게 되는 유효접촉부분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벽면(38)은 수납된 비누가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테두리부(35)는 상기 측벽면으로부터 연장된 곡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비누수납용기(30)는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수납용기의 일부분을 연장형성한 지지부(L)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a-b는 도 3에서의 수납부(32)의 종단면 A-A와 종단면 B-B를 보인 것으로, 비누(300)는 입체적인 모습으로 수납완료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a에서 보면 수납부(32)의 측벽면(36)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의도적인 곡면을 가지고 있으며, 비누와는 A 점에서 점접촉하고 있다. 도 4b에서 보면 수납부(32)의 바닥면(37)은, 앞벽면(38) 방향 즉 비누의 수납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으며 의도적인 곡면에 의해 비누와는 B 점에서 점접촉을 하고 있다. 또한 물배출공(34) 방향의 앞벽면(38)과도 비누가 역시 한개의 점 C 에서 점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비누와 측벽면(36)의 접촉점 A 의 위치도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누는 상기 수납부와 3개의 점에서 점접촉하여 지지되고 있다. 한편, 비누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B점과 C점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 비누가 상기 A점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측벽면의 곡면을 형성하더라도, 비누는 B점과 C점의 2개의 점만으로도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비누는 상기 수납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점에서 접촉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다음에는, 비누가 수납되는 도중의 상태를 분석하면서 의도적인 곡면으로 형성된 수납부(32)의 벽면과 바닥면의 모양과 작용을 살펴 본다.
도 5는 수납 도중의 상태에 있는 비누(300)가 수납부(32)의 바닥면(37)과 접촉하는 점에서의 수납부(32)의 종단면도이다. 편이상, 도면에는 비누는 입체적으로 표현되었으며 수납부의 앞벽면(38)과 바닥면(37)의 단면이 나타나 있으며 바닥면은 비누수납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졌다. 입체적인 모습의 비누(300)는 바닥면(37)과 D 점에서 점접촉하고 또한 여기서는 표현이 생략된 수납부(32)의 측벽면(36)과 E점과 F점에서 점접촉하고 있다. 그림에서 비누(300)는 자중에 의해, 앞벽면 방향 즉 궁극적으로 비누 수납방향이 되는 D1 방향으로, 자발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E는 접촉점 E를 포함하는 수평면을 나타내고 F-F는 F를 포함하는 수평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수납 도중의 상태에 있는 비누(300)가 수납부(32)의 측벽면(36)과 접촉하는 각각의 점(E, F)에서의, 수납부의 벽면(36,38)의 부분 횡단면도이며 비누는 입체적으로 표현되었다. 여기서 Se는 도 5의 E-E에 의해 잘라지는 수납부의 벽면의 부분 횡단면이고 Sf는 도 5의 F-F에 의해 잘라지는 벽면의 부분 횡단면이다. 도 3에서의 수납부(32)에 대한 설명처럼 단면 Se와 Sf도 비누의 두께(T)보다는 크고 비누의 단변폭(W2)보다는 작은 폭(W)을 가지고 있다. 측벽(36)간의 거리 즉 수납부(32)의 폭(W)은 도 5에서 설명된 앞벽면(38)의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E와 F는 각각 비누(300)와 수납부(32)의 측벽면(36)과의 접촉점이다. 도 5에서 보았듯이 비누는 수납부(32)의 앞벽면(38)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비누는 E점에서는 E1 방향으로 F점에서는 F1 방향으로 각각 미끄러질 것이다. 이때 비누는, E점에서 Eh1의 방향으로 F점에서는 Fh1의 방향으로, 측벽면(36)으로부터 반발력을 받을 것이다. 그런데 도 5에서 보듯이 E점은 F보다 훨씬 아래의 점이므로 Eh1 방향의 반발력과 Fh1 방향 반발력에 의해 비누는 자발적으로 세워지려고 할 것이다. 그림의 D 점과 D1은 도 5에서 설명된 것을 참고로 표시한 것이다.
도 7은, 수납 도중의 상태에 있는 비누(300)가 수납부(32)의 측벽면(36)과 접촉하는 각각의 점(E, F)에서의, 수납부 측벽면(36)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측벽면(36)과 바닥면(37)은 연속된 곡면으로 이어졌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편이상 비누는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비누는 도 5 및 도 6에서의 위치와 같은 위치에 있다. 비누(300)는 E점에서는 E2 방향으로 F점에서는 F2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각각 Eh2와 Fh2 방향으로 반발력을 받는다. 따라서 비누는 자발적으로 세워지려 한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수납부(32)가 앞벽면(38) 쪽에서 상당한 깊이를 가졌으므로, 비누의 단벽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 수납부에 수납 완료된 비누는 그 양 측벽(36)에 의해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처럼 양 측벽면(36) 혹은 테두리부가 앞벽면(38) 방향 즉 비누의 수납방향 쪽으로 좁아져 있으면 수납부의 폭이 더욱 좁아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비누는 더욱 확실하게 서 있도록 구속되어진다. 따라서 이때는, 수납부가 상기와 같은 상당한 깊이를 가지지 않아도 비누는 안정되게 서 있게 되며, 나아가 앞벽면(38)의 윗부분이 웬만큼 없어져도 비누는 안정되게 서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보인 것처럼 측벽(36) 간의 거리 혹은 테두리부가 비누의 수납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있지 않더라도, 도 5와 도 7에서 설명된 작용만으로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도 6에서 설명된 작용은 비누를 더욱 확실하게 자발적으로 세워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의 의도적인 곡면의 설명에 있어서, 측벽면 전체 부위 또는 테두리부의 전체 부위가 아래로 갈수록 또는 비누의 수납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져 있을 필요는 없다. 다만, 비누를 자발적으로 세워 주는데 있어서 비누와 유효하게 접촉하는 부분만 좁아져 있어도 된다.
이상, 도 4a-b, 도 5, 도 6, 도 7을 통하여,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고, 수납 완료되면 비누수납용기와 점접촉하면서 안정되게 서 있게 되는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설명에 언급된 수납부(32)의 폭(W)에 대한 개념을 도 8을 통하여 좀더 명확히 하기로 한다.
도 8은 수납부(32)의 폭(W)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수납부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측벽면(36) 간의 거리가 W인 측벽부분과 W보다 훨씬 큰 측벽부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누(300)가 세워진 채 수납되게 하는데 있어 유효한 측벽부분은 측벽 간의 거리가 W인 측벽부분이다. 즉 본 발명의 설명에서 비누가 세워져 수납되게 하는 수납부의 폭이라 함은, 비누를 세우는데 있어서 유효한 측벽부분에서의 수납부의 폭(W)을 의미한다.
한편,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게 유도되면서 수납되게 하고, 수납된 뒤에는 안정되게 서 있게 하고, 수납부와 점접촉하게 하는, 의도적으로 계획된 곡면을 가지는 벽면과 테두리부 그리고 바닥면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보인 것 외에도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그 몇 가지 예를 다음에서 살펴 본다. 도 9-10에서도 비누는 편이상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9는 비누 끝부분에서의 물방울 맺힘을 방지한 수납부의 종단면도로, 수납부의 측벽면(36)과 바닥면(37)이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모습으로 변형된 형상이다. 비누의 몸체를 흘러내린 마지막 물이 비누의 끝부분(G)에 물방울로 맺히지 않고, 변형된 벽면 또는 바닥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도 10은 공기유통통로가 형성된 수납부의 종단면도로서, 수납부의 한쪽 측벽(36)과 바닥면(37)을 상기 실시예와는 또 다르게 변형시켜서 공기유통통로(39)를 형성시킨 형상이다. 도 4에서 설명된 물배출공(34)을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공기 유통통로(39)를 통하여 원활하게 유통된다.
도 11은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수납부의 종단면도이다. 수납부의 측벽면(36)에 비누는 자발적으로 미끄러지게 하면서도 공기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유통공(40)을 형성시킨 형상이다. 이같은 공기유통공은 도 4에서 설명된 바닥면(37)에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몇 가지 예로 살펴 본 바 그 다양성은 다 열거를 못할 것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비누가 수납되면서 실제 접촉하는 벽면과 테두리부와 바닥면의 유효접촉 부분에,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도록 유도되게 하며 또 수납된 비누가 수납용기와 점접촉하게 하는데 있어서 유효한 곡면이 갖추어지는데 있다. 그 외의 부분의 형상은 디자인 상의 미적 감각이나 기능 향상을 위해 상기 실시예와 다른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는 하나의 비누수납용기에 하나의 수납부를 형성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즉, 하나의 수납용기에 복수개의 수납부(22a,22b)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앞벽면(38)을 마주보게 방사상으로, 또는 수납부의 측면끼리 나란하게, 그 외 다양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납부들의 테두리부 사이사이를 부드러운 곡면으로 서로 연결하면, 비누를 임의의 방향으로 수납용기에 놓더라도, 비누는 자연스럽게 어느 하나의 수납부로 수납되어 들어가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비누수납용기에는 뚜껑이나 손잡이(60)를 마련할 수도 있고, 수납용기를 벽에 부착하는 수단(70)을 마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납용기의 일부에 콘택트렌즈, 수세미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용기(5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누수납용기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수납용기(30)는 그 수납부(32)의 폭(W)이 비누(300)의 두께(T)보다는 넓고 비누의 단변폭(W2)보다는 좁게 형성되었고 바닥면(37)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비누가 그 장변폭(W1)이 소정 각도 경사진 채 세워져서 수납된다. 따라서 비누의 모든 표면의 물이 빨리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수납부(32)의 벽면(36, 38)과 테두리부(35) 그리고 바닥면(37)은 비누가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게 하는 의도적이고 계산된 곡면을 가지고 있어서, 비누수납용기에 비누를 조심해서 세워 넣지 않아도, 비누는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미끄러져 수납부(32)에 수납된다. 수납 완료된 비누는 수납부(32)의 벽면(36, 38)과 바닥면(37) 또는 테두리부(35)와 점접촉의 상태로 서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수납용기에 비누를 수납하면, 첫째, 비누의 표면의 물이 빨리 흘러 내려서 비누가 빨리 마르며, 둘째, 비누가 삐뚤게 놓여져도 자발적으로 세워지면서 수납되므로 비누를 세워 수납하기가 용이하며, 셋째, 비누가 수납용기와 점접촉하기 때문에 비누가 짓물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위의 공기 유통이 좋아져서 더욱 빨리 마르게 된다.

Claims (8)

  1. 비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비누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비누가 그 한쌍의 넓은 면들이 상기 수납부 양 측벽을 향한 채 세워져서 수납될 수 있게 비누의 두께보다는 넓고 비누의 단변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수납된 비누가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상기 비누가 수납되면서 실제 접촉하게 되는 유효접촉부분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면을 가지는 양 측벽면, 상기 수납된 비누를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앞벽면, 상기 측벽면 및 앞벽면의 상부를 구성하는 곡면 형상의 테두리부, 상기 비누의 수납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곡면형상의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 측벽면, 상기 앞벽면,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수납된 비누가 상기 양측벽면, 상기 앞벽면,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바닥면과 바람직하게는 점접촉을 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양측벽면에서 비누가 수납되면서 실제로 접촉하게 되는 유효접촉 부분이 비누의 수납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양측벽면, 앞벽면, 또는 바닥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물 빠짐 및 공기유통을 원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수납부가 한 수납용기내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수납용기를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비누수납용기의 외부 일부분에 벽부착수단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수납용기에 상기 수납부와 함께 콘택트렌즈, 수세미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용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수납용기의 일부에 이동용 손잡이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수납용기가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수납용기의 일부분에 전체적으로 비누수납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용기.
KR1019970001293A 1997-01-17 1997-01-17 비누수납용기 KR10018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293A KR100188817B1 (ko) 1997-01-17 1997-01-17 비누수납용기
RU97112694A RU2178262C2 (ru) 1997-01-17 1997-07-16 Мыльница
CN 97114765 CN1098664C (zh) 1997-01-17 1997-07-30 肥皂盒
CA 2211950 CA2211950C (en) 1997-01-17 1997-07-30 Soap case
DE1997615581 DE69715581T2 (de) 1997-01-17 1997-07-30 Seifenschale
ES97113142T ES2184016T3 (es) 1997-01-17 1997-07-30 Jabonera.
EP19970113142 EP0853915B1 (en) 1997-01-17 1997-07-30 Soap case
JP32648497A JPH10201658A (ja) 1997-01-17 1997-11-27 石鹸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293A KR100188817B1 (ko) 1997-01-17 1997-01-17 비누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992A KR19980065992A (ko) 1998-10-15
KR100188817B1 true KR100188817B1 (ko) 1999-06-01

Family

ID=1949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293A KR100188817B1 (ko) 1997-01-17 1997-01-17 비누수납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853915B1 (ko)
JP (1) JPH10201658A (ko)
KR (1) KR100188817B1 (ko)
CN (1) CN1098664C (ko)
CA (1) CA2211950C (ko)
DE (1) DE69715581T2 (ko)
ES (1) ES2184016T3 (ko)
RU (1) RU2178262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37752C1 (ru) * 2016-10-10 2017-12-06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Черниченко Мыльница
RU2638246C1 (ru) * 2016-10-10 2017-12-12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Черниченко Мыльница
KR20190099813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수세미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8108B2 (en) * 2011-08-16 2015-09-22 Henry D. PIXLEY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WO2014019823A1 (en) 2012-07-30 2014-02-06 Unilever N.V. A container for a detergent bar
CN104337442A (zh) * 2013-08-07 2015-02-11 常委 便携肥皂
HU4607U (en) * 2015-05-19 2016-05-30 Andrea Szokács Soap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5940C (ko) *
FR39476E (fr) * 1930-12-19 1931-10-20 Porte-savon
US2606393A (en) * 1949-08-12 1952-08-12 Fleming Lawrence Soap dish
CH598797A5 (ko) * 1976-01-03 1978-05-12 Heinrich Aebli
KR960007172B1 (ko) * 1993-06-21 1996-05-29 박영근 비누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37752C1 (ru) * 2016-10-10 2017-12-06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Черниченко Мыльница
RU2638246C1 (ru) * 2016-10-10 2017-12-12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Черниченко Мыльница
KR20190099813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수세미 거치대
KR102106832B1 (ko) * 2018-02-20 2020-05-07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수세미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1950C (en) 2005-07-12
ES2184016T3 (es) 2003-04-01
DE69715581T2 (de) 2003-03-20
DE69715581D1 (de) 2002-10-24
CA2211950A1 (en) 1998-07-17
RU2178262C2 (ru) 2002-01-20
CN1187979A (zh) 1998-07-22
CN1098664C (zh) 2003-01-15
JPH10201658A (ja) 1998-08-04
EP0853915B1 (en) 2002-09-18
KR19980065992A (ko) 1998-10-15
EP0853915A1 (en) 199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272A (en) Soap case
KR100188817B1 (ko) 비누수납용기
KR20120102656A (ko) 식재 용기
US4339051A (en) Silverware basket
JPH08224204A (ja) コップ受け付水切りかご
US7726471B2 (en) Soapbox
US7690516B1 (en) Vehicle rack
JP2747284B1 (ja) 水洗トイレ用洗浄芳香剤容器
JP3892896B1 (ja) 直方体のスポンジの水切りラック
JPH0710178A (ja) 保冷箱
CN220557671U (zh) 搁板以及搁架
JP2007054137A (ja) 遊技媒体収容容器
JP3227731U (ja) 石鹸スタンド
KR200296670Y1 (ko) 다용도 비누대
JPH1077040A (ja) パレット
JP3715530B2 (ja) 石鹸容器
JPH10129661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H0668587U (ja) 浴室収納棚の棚板構造
JPH0732584Y2 (ja) 工事用安全コーン
JP4499869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H07303583A (ja) 浴室用多段ラック
KR200415253Y1 (ko) 케이크 상자
JP4277994B2 (ja) 屋外用の流し
JP2000211626A (ja) 食器用合成樹脂製容器
JPS62275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