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813A - 수세미 거치대 - Google Patents

수세미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813A
KR20190099813A KR1020180019744A KR20180019744A KR20190099813A KR 20190099813 A KR20190099813 A KR 20190099813A KR 1020180019744 A KR1020180019744 A KR 1020180019744A KR 20180019744 A KR20180019744 A KR 20180019744A KR 20190099813 A KR20190099813 A KR 2019009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mounting groove
cradle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832B1 (ko
Inventor
박흥식
전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01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미와 함께 수세미를 수직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맞춤형 거치대를 세트로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 물기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적인 수세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의하면, 수세미를 수직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맞춤형 거치대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수세미에 남아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수세미의 위생과 청결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거치대를 구비하는 수세미 어셈블리 {DISH SPONGE ASSEMBLY WITH FIT TYPE CRADLE}
본 발명은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세미와 함께 수세미를 수직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맞춤형 거치대를 세트로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 물기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적인 수세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수세미는 일반적으로 각종 주방 용기 또는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수세미의 종류로서는 망체 형태로 이루어진 망체 타입 수세미와 내부에 스폰지를 포함하는 스폰지 타입 수세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망체 타입 수세미는 부분에 따라 성기거나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mesh)과 탄력성을 가지는 쉬운 망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폰지 타입 수세미는 내부에 스폰지가 배치되고, 스폰지를 감싸도록 위치하면서 성기거나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mesh)이 구비된 망체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이러한 망체 타입 수세미 또는 스폰지 타입 수세미를 세척제에 적신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의 용기 표면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수세미는 용기를 세척한 후 그 표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은 채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오랜 시간동안 물에 젖은 상태를 지속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할 염려가 많다. 특히, 이러한 상태로 다시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식기 등의 용기에 세균을 번식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세미를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종래 기술에서 제시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 10-1342233 호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는 그립이 마련된 스틱에 수세미를 부착시키고, 수세미가 부착된 스틱을 입구를 통해 삽입할 수 있는 거치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틱에 수세미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주방에서 이루어지는 식기 세척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스틱과 거치 용기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37321 호 (수세미 걸이장치) 는 수세미 보관함의 위쪽 끝부분에 걸이를 형성해서, 액체가 담기는 용기의 목 부분에 매달 수 있도록 한 수세미 걸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수세미 보관함은 수세미에 남아있는 수분이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세미에 대한 위생적인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342233 호 (2013.12.16)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37321 호 (2016.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세미와 함께 수세미를 수직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는 맞춤형 거치대를 세트로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 물기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위생적인 수세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세미 어셈블리는 수세미와 상기 수세미를 지지하기 위한 맞춤형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수세미는 상기 맞춤형 거치대의 상부에 삽입되는 거치부, 및 상기 맞춤형 거치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춤형 거치대는 상기 수세미의 거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홈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세미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모일 수 있는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의 재질은 상기 노출부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홈은 바닥 부분에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홈과 상기 거치부는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홈은 정방형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정방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하부는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세미는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는 측면에 형성된 보조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거치대는 상기 거치홈과 인접하는 측면에 상기 보조 거치부와 대응되는 보조 거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거치부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보조 거치홈은 상기 보조 거치부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거치대는 하부의 거치부와 상부의 노출부로 구분가능한 수세미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의 거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바닥 부분에 형성되어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세미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모일 수 있는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세미는 거치홈을 구비하는 맞춤형 거치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세미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거치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맞춤형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홈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의하면, 수세미를 수직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맞춤형 거치대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수세미에 남아있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수세미의 위생과 청결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수세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맞춤형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맞춤형 거치대의 대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세미와 맞춤형 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맞춤형 거치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세미와 맞춤형 거치대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세미와 맞춤형 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수세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세미(100)는 식기 등의 용기를 세척할 수 있는 스폰지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는 스폰지가 구비되고 스폰지의 상부 및 하부에는 성기거나 조밀하게 형성된 메쉬 구조의 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수세미(100)는 아래에서 후술할 맞춤형 거치대의 거치홈에 삽입되는 거치부(110)와 맞춤형 거치대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거치부(110)는 맞춤형 거치대에 형성된 거치홈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맞춤형 거치대의 거치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세미(100)의 거치부(110)가 맞춤형 거치대의 거치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맞춤형 거치대에 의해 수세미(100)가 지탱되기 때문에, 수세미(100)에 수분이 존재하더라도 수직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세미(100)가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수세미(100)에 남아있는 수분이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세미(100)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어 점차 건조한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노출부(120)는 맞춤형 거치대의 거치홈에 삽입되지 않고 상부로 노출된 부분으로서, 노출부(120)와 거치부(110)의 구분은 맞춤형 거치대에 형성되는 거치홈의 크기와 깊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노출부(120)는 나무나 동물, 다양한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거치부(110)와 노출부(120)를 구성하는 재질을 달리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단단한 재질을 거치부(110)에 사용함으로써 수세미(100)를 맞춤형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맞춤형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맞춤형 거치대(200)는 수세미(1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형성된 지지부(210)와 수세미(100)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모일 수 있는 몸체(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10)의 중앙 부분에는 수세미(100)의 거치부(110)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홈(212)이 형성되고, 거치홈(212)의 바닥 부분에는 수세미(100)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몸체(220)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2)은 정방형 구조로 이루어져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홈(212)에 거치된 수세미(100)는 거치홈(212)의 바닥 및 측벽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수세미(100)는 중력에 의하여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아래로 흘러서 관통홈(214)을 통해 맞춤형 거치대(200)의 몸체(220)에 모이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홈(212)은 수세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세미(100)의 거치부(110)가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20)는 상부에 지지대(210)가 결합되어 맞춤형 거치대(200)를 구성하며, 몸체(220)의 하부는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에 모인 수분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맞춤형 거치대(200)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세미(100)를 자주 사용하는 싱크대 주변에 배치할 수도 있고, 싱크대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공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맞춤형 거치대(200)는 수분이 모이는 몸체(220)가 밀폐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세미(100)에서 배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배치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맞춤형 거치대의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맞춤형 거치대(200)는 몸체(220)에 모인 수분을 하수구를 통해 버릴 수 있도록 상부의 지지부(210)와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부의 지지부(210)는 몸체(220)의 상부 원형보다 지름을 약간 크게 형성한 두껑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며, 지지홈(212)은 상부의 중앙에 수세미(100)의 거치부(110)가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의 테두리와 바닥 부분은 밀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세미와 맞춤형 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세미 어셈블리는 하부의 맞춤형 거치대(200)와 맞춤형 거치대(200)의 상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수세미(100)를 세트로 해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세미(100)의 거치부(110)는 맞춤형 거치대(200)의 상부 거치홈(212)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으므로, 거치홈(212)의 내부에서 수세미(100)의 거치부(110)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맞춤형 거치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세미(100)는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지탱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내부에 포함된 수분은 맞춤형 거치대(200)의 거치홈(212) 바닥부분에 형성된 관통홈(214)을 통해 몸체(22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수세미(100)가 맞춤형 거치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맞춤형 거치대(200)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장식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수세미(100)에 내재된 수분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거치부(110)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또는 오랜 기간 사용으로 수세미(100)의 지탱력이 약화된 경우 등은 맞춤형 거치대(200)에 수세미(100)가 삽입되더라도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지 않고,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맞춤형 거치대(200)에 형성하는 거치홈(212) 이외에 수세미(100)의 다른 부분을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보조홈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맞춤형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맞춤형 거치대(200)는 수세미(100)가 거치되는 거치홈(212)과 인접하는 측면에 추가적인 보조 거치홈(216)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거치홈(216)은 거치홈(212)과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의 정방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보조 거치홈(216)은 거치홈(212)과 마찬가지로, 여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구조의 보조 거치부가 수세미(100)에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보조 거치홈(216)은 수세미(100)의 보조 거치부와 쌍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거치홈(216)을 통해 수세미(100)의 보조 거치부를 추가적으로 지탱하는 경우에는 거침홈(212)에 의해 수세미(100)를 지탱하는 것보다 지지하는 힘이 향상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수세미(100)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세미와 맞춤형 거치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세미 어셈블리에서 맞춤형 거치대(200)는 수세미(100)가 거치되는 거치홈(212)과 인접하는 측면에 추가적인 보조 거치홈(216)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수세미(100)에는 맞춤형 거치대(200)의 거치홈(212)과 보조 거치홈(216)에 대응되는 형태로 거치부(110)와 보조 거치부(112)가 형성될 것이다. 수세미(100)의 거치부(110)는 맞춤형 거치대(200)의 거치홈(212)의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보조 거치부(112)는 보조 거치홈(216)에 의해 지탱될 수 있도록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거치홈(212)과 거치부(110), 보조 거치홈(216)과 보조 거치부(112)가 대응되는 2단 구조로 수세미(100)와 맞춤형 거치대(2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1단 구조의 수세미 어셈블리보다 강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세미와 맞춤형 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세미 어셈블리에서 맞춤형 거치대(200)는 거치홈(212)과 보조 거치홈(216)을 포함하는 2단의 지지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세미(100)의 거치부(110)와 보고 거치부(112)가 각각 거치홈(212)과 보조 거치홈(216)에 안착되는 형태로 수세미(100)와 맞춤형 거치대(200)가 결합될 수 있다. 거치홈(212)과 보조 거치홈(216)을 구성함으로써 2단으로 수세미(100)를 거치하는 경우에는, 맞춤형 거치대(200)에 거치되는 수세미(100)의 영역이 늘어나서 수세미(100)가 보다 안쪽으로 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수세미(100)가 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세미 110: 거치부
112: 보조 거치부 120: 노출부
200: 맞춤형 거치대 210: 지지부
212: 거치홈 214: 관통홈
216: 보조 거치홈 220: 몸체

Claims (10)

  1. 수세미; 및
    상기 수세미를 지지하기 위한 맞춤형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수세미는 상기 맞춤형 거치대의 상부에 삽입되는 거치부, 및 상기 맞춤형 거치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춤형 거치대는 상기 수세미의 거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홈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세미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모일 수 있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수세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재질은 상기 노출부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세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은 바닥 부분에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수세미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과 상기 거치부는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수세미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은 정방형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는 정방형 돌기로 형성되는 수세미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는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세미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는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는 측면에 형성된 보조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거치대는 상기 거치홈과 인접하는 측면에 상기 보조 거치부와 대응되는 보조 거치홈을 더 포함하는 수세미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거치부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보조 거치홈은 상기 보조 거치부에 대응되는 구조의 홈으로 형성되는 수세미 어셈블리.
  9. 하부의 거치부와 상부의 노출부로 구분가능한 수세미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의 거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바닥 부분에 형성되어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분리가능하고 상기 수세미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모일 수 있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맞춤형 거치대..
  10. 거치홈을 구비하는 맞춤형 거치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세미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거치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거치부; 및
    상기 맞춤형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홈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부로 이루어지는 수세미.
KR1020180019744A 2018-02-20 2018-02-20 수세미 거치대 KR10210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44A KR102106832B1 (ko) 2018-02-20 2018-02-20 수세미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44A KR102106832B1 (ko) 2018-02-20 2018-02-20 수세미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13A true KR20190099813A (ko) 2019-08-28
KR102106832B1 KR102106832B1 (ko) 2020-05-07

Family

ID=6777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44A KR102106832B1 (ko) 2018-02-20 2018-02-20 수세미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8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424U (ja) * 1995-07-12 1996-01-23 大黒工業株式会社 スポンジホルダー
KR100188817B1 (ko) * 1997-01-17 1999-06-01 박영근 비누수납용기
KR20120002418U (ko) * 2010-09-29 2012-04-06 이강호 비누케이스 조립체
JP2013059593A (ja) * 2011-09-12 2013-04-04 Towa Sangyo Kk スポンジホルダー
KR101342233B1 (ko) 2012-09-28 2013-12-16 안명준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160137321A (ko) 2015-11-02 2016-11-30 유슬기 수세미 걸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424B2 (ja) * 1994-12-06 2000-03-1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発泡成形品および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424U (ja) * 1995-07-12 1996-01-23 大黒工業株式会社 スポンジホルダー
KR100188817B1 (ko) * 1997-01-17 1999-06-01 박영근 비누수납용기
KR20120002418U (ko) * 2010-09-29 2012-04-06 이강호 비누케이스 조립체
JP2013059593A (ja) * 2011-09-12 2013-04-04 Towa Sangyo Kk スポンジホルダー
KR101342233B1 (ko) 2012-09-28 2013-12-16 안명준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160137321A (ko) 2015-11-02 2016-11-30 유슬기 수세미 걸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832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294A (en) Travel soap dish assembly
US9622621B2 (en) Support device
GB2268046A (en) A portable receptacle having a drip tray, suitable for holding cleansing utensils
US7854034B2 (en) Brush
US7524125B2 (en) Liquid soap dispensing and scrubbing tool
US20090242442A1 (en) Draining holder
US9138108B2 (en)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US9700178B2 (en) Brush bowl
KR101802208B1 (ko) 발 세척 매트
US20090238739A1 (en) Sanitizing and dampening container
KR101167115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20190099813A (ko) 수세미 거치대
US20120067749A1 (en) Container
JP6099229B1 (ja) 歯ブラシ保持具
US6095709A (en) Liquid soap dispenser and scrub brush
KR200331746Y1 (ko) 세면대용 선반
JP2008030944A (ja) 三角コーナー、三角コーナーの保持具及び水切り袋の保持具
KR101761659B1 (ko) 수저통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0467805Y1 (ko)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KR102592371B1 (ko) 항균성 위생 양치컵 거치세트
KR102440416B1 (ko) 양치질 전용 위생컵
KR200410400Y1 (ko) 물받이통이 부설된 스텐레스 수저통
KR200296670Y1 (ko) 다용도 비누대
JP2003024264A (ja) 食器や調理器具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