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115B1 -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 Google Patents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115B1
KR101167115B1 KR1020110081702A KR20110081702A KR101167115B1 KR 101167115 B1 KR101167115 B1 KR 101167115B1 KR 1020110081702 A KR1020110081702 A KR 1020110081702A KR 20110081702 A KR20110081702 A KR 20110081702A KR 101167115 B1 KR101167115 B1 KR 10116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leaning
pad member
head bod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보민
금 이
Original Assignee
금 이
권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 이, 권보민 filed Critical 금 이
Priority to KR102011008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본체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척패드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고, 헤드 본체와 세척패드의 분리 보관을 통해 세척패드의 오염 방지와 노후화된 세척패드의 주기적인 교체를 통해 안정된 위생상태의 확보와 함께 간편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하는 한편, 헤드본체에 세척패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사면의 개방 상태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패드를 통한 안정된 세척과, 세정수의 안정된 분사를 통한 원활한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SHOWER NOZZLE HAVING A BRUSH}
본 발명은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본체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를 통한 세정기능과 함께, 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샤워기 헤드는 우선 물줄기를 이용해 몸을 적신 후, 다시 비누나 바디 클렌져로 몸을 씻은 후, 마지막으로 다시 세정수를 이용해 몸을 씻어내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샤워 과정에 몸에 묻은 때나 각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샤워기 헤드에 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전용의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세척 솔이나 세척 타올 등의 별도의 세척구를 이용하여 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세척구들을 별도 구입하여 보관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도 하고, 또 이러한 세척구들은 손이 닿지 아니하는 등 부위를 세척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당분야에서는 헤드 본체에 형성된 분사면에 세척솔을 일체로 형성하여, 세정수의 분사를 통한 세정과, 세척솔을 통한 몸에 묻은 이물질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헤드 본체에 세척솔을 설치하면, 샤워기 헤드를 통해 세정수의 분사를 통한 세정과 세척솔을 통한 몸에 묻은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샤워기 헤드는 세척솔이 헤드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세정수의 분무를 통한 세정과정에 세척솔에 묻은 이물질이나 비누액이 함께 분사되어서 안정된 세정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 보관과정에 헤드 본체에 잔류된 세정수가 세척솔에 서서히 유입되어, 다량의 수분에 의해 세척솔에 곰팡이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세척솔이 노후화되거나 곰팡이 등의 오염들이 발생되면 샤워기 헤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위생적 측면이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본체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척패드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고, 헤드 본체와 세척패드의 분리 보관을 통해 세척패드의 오염 방지와 노후화된 세척패드의 주기적인 교체를 통해 안정된 위생상태의 확보와 함께 간편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하는 한편, 헤드본체에 세척패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분사면의 개방 상태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패드를 통한 안정된 세척과, 세정수의 안정된 분사를 통한 원활한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는,
분사면에 급수경로와 연통하는 분사공들이 형성된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의 분사면에 설치되는 세척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패드는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압입돌기, 및 상기 패드부재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세척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부재의 압입돌기들이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홈들이 형성되어서, 압입을 통해 헤드 본체에 설치되는 세척패드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세척패드는 압입돌기를 압입홈에 압입시켜 헤드 본체의 분사면 가장자리에 패드부재의 배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상기 패드부재는 탄성 재질의 호형, 또는 환형의 중공몸체로 이루어지며 내경면에는 손잡이편이 설치되어서,
상기 압입을 통해 헤드 본체의 분사면 가장자리에 배면 가장자리를 고정시켜 분사면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분사면을 폐쇄한 패드부재는, 분사면의 전면에 솔부재들을 형성하여 안정된 세척을 도모하고,
내경면에 설치된 손잡이편을 협지하여 외측방향으로 당겨 패드부재를 외측방향으로 뒤집으면, 패드부재에 의해 폐쇄된 헤드 본체의 분사면을 개방되어 개방된 분사면을 통해 세정수의 안정된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헤드 본체에 세척패드를 설치하여, 헤드 본체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를 통한 세정기능과 세척패드를 통한 세척기능이 겸비된 샤워기 헤드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본체와 세척패드를 일체로 성형하지 아니하고, 이들 헤드본체와 세척패드를 분리 제작한 다음 이들이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세척패드의 비 사용시 분리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분 노출에 따른 세척패드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 향상된 위생성을 갖고, 또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세척패드의 노후화가 발생되면 세척패드의 간편한 교체를 통해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하며, 또 다양한 형태의 세척패드를 헤드본체에 조립하여 적합한 형태의 세척을 도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세척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부재가 외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탄성 전개되므로, 세척패드를 헤드 본체에 분리할 필요없이 패드부재를 외측방향으로 전개시켜 헤드 본체의 분사면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안정된 분사경로를 확보할 수 있어서, 세정수의 안정된 배출과, 세척패드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세정수가 오염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샤워기 헤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샤워기 헤드의 단면 구성, 및 사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샤워기 헤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샤워기 헤드의 단면 구성, 및 사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샤워기 헤드(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면(12)에 급수경로(11)와 연통하는 복수의 분사공(12a)들이 형성된 헤드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급수경로(11)를 따라 유입되는 세정수를 분사면(12)에 형성된 각 분사공(12a)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샤워기 헤드(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에 세척패드(20)를 부가하여, 분사공(12a)들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를 통한 세정기능과, 세척패드(20)를 통해 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기능이 구현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헤드 본체(10)와 세척패드(20)를 일체로 성형하지 아니하고, 분리 제작한 다음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에 세척패드(20)가 간편하게 조립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패드(20)의 분리 보관을 통해 향상된 위생상태를 확보하는 한편, 세척패드(20)의 교체를 통해 간편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세척패드(20)는, 패드부재(21)와; 상기 패드부재(21)의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압입돌기(23), 및 상기 패드부재(21)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솔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 본체(10)의 가장자리에 세척패드(20)의 압입돌기(23)들이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홈(13)들이 형성되어, 압입홈(13)과 압입돌기(23)의 압입을 통해 세척패드(20)를 구성하는 패드부재(21)의 배면 가장자리가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 가장자리에 압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헤드(1)는 헤드 본체(10)와 세척패드(20)의 분리 보관이 가능하고, 또 세척패드(20)의 별도 구입 및 교체를 통해 노후화된 세척패드(20)를 장착한 샤워기 헤드(1)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본체(10)에 형성된 분사면(12)에 배치되는 세척패드(20)의 패드부재(21)를, 외력에 의해 뒤집혀져 분사면(12)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탄성 전개되는 탄성 패드형으로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패드(20)를 구성하는 패드부재(21)를 실리콘, 고무 등 탄성 재질의 호형, 또는 환형의 중공몸체로 구성한다.
따라서, 도 2a와 도 2b와 같이 헤드본체(10)에 내측방향으로 전개되어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을 폐쇄하는 세척패드(20)를, 사용자가 도 3a와 도 3b와 같이 패드부재(21)의 내경면을 협지하여 외측방향으로 당겨 뒤집으면, 외측방향으로 뒤집혀진 패드부재(21)를 포함하는 세척패드(20)는 분사면(12) 외측방향으로 탄성 전개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내측방향으로 전개된 세척패드(20)의 패드부재(21)에 의해 폐쇄된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은 개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헤드 본체(10)는 분사면(12)에 형성된 각 분사공(12a)을 통해 세정수를 안정되게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부재(21)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압입돌기(23)는 패드부재(21)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패드(20)를 구성하는 패드부재(21)의 내경면에 손잡이편(21b)을 형성하여, 사용자는 손잡이편(21b)을 통해 패드부재(21)를 외측으로 당기거나 내측으로 당겨, 패드부재(21)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세척패드(20)의 외측 탄성 전개, 또는 내측 탄성 전개를 간편하게 도모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 헤드(1)는 세척과정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면(12)에 솔부재(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솔부재(22)를 통한 안정된 세척이 가능하고, 세정과정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면(12)에서 외측으로 전개되어 분사면(12)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척패드(20)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세정수를 통한 안정된 세정기능의 발휘가 가능하다.
그리고, 세척패드(20)를 상부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호형으로 구성하여 기립된 상태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헤드 본체(10) 분사면(12)에 세척패드(20)에 묻은 이물질이 떨어져, 헤드 본체(10) 분사면(12)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세척패드(20)가 압입되는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에 외력에 의해 공회전하는 회전링(14)을 배치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정과정에 헤드 본체(10)가 기울어지면 하부에 무게 중심이 형성된 세척패드(20)의 자중에 의해 회전링(14)이 공회전하여 세척패드(20)가 항시 지면과 직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세정과정 중에 헤드 본체(10)가 기울어지더라도 세척패드(20)의 개방된 상부는 기울어지지 아니하므로, 세척패드(20)에 묻은 이물질이 헤드 본체(10)의 분사면(12)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보다 안정되게 해소될 수 있다.
1. 샤워기 헤드
10. 헤드 본체 11. 급수경로
11a. 급수구 12. 분사면
12a. 분사공 13. 압입홈
14. 회전링
20. 세척 패드 21. 패드부재
21a. 개구부 21b. 손잡이편
22. 솔부재 23. 압입돌기

Claims (2)

  1. 분사면에 급수경로와 연통하는 분사공들이 형성된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의 분사면에 설치되는 세척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패드는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압입돌기, 및 상기 패드부재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세척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부재의 압입돌기들이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홈들이 형성되어서, 압입을 통해 헤드 본체에 설치되는 세척패드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세척패드는 압입돌기를 압입홈에 압입시켜 헤드 본체의 분사면 가장자리에 패드부재의 배면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상기 패드부재는 탄성 재질의 호형, 또는 환형의 중공몸체로 이루어지며 내경면에는 손잡이편이 설치되어서,
    상기 압입을 통해 헤드 본체의 분사면 가장자리에 배면 가장자리를 고정시켜 분사면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분사면을 폐쇄한 패드부재는, 분사면의 전면에 솔부재들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안정된 세척을 도모하고,
    상기 패드부재의 내경면에 설치된 손잡이편을 협지하여 외측방향으로 당겨 패드부재를 외측방향으로 뒤집으면, 패드부재에 의해 폐쇄된 헤드 본체의 분사면을 개방되어 개방된 분사면을 통해 세정수의 안정된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2. 삭제
KR1020110081702A 2011-08-17 2011-08-17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KR10116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02A KR101167115B1 (ko) 2011-08-17 2011-08-17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02A KR101167115B1 (ko) 2011-08-17 2011-08-17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115B1 true KR101167115B1 (ko) 2012-07-20

Family

ID=4671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702A KR101167115B1 (ko) 2011-08-17 2011-08-17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1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5900A (zh) * 2016-12-28 2019-03-0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清洁花洒
US10660429B2 (en) 2017-11-13 2020-05-26 Water Pik, Inc. Cleansing system
USD898374S1 (en) 2018-07-02 2020-10-13 Water Pik, Inc. Skin cleansing brush
KR20220118812A (ko) * 2021-02-19 2022-08-26 최용식 목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154A (ja) * 1996-09-11 1998-04-07 Mitsue Shinohara シャワー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5131352A (ja) * 2003-10-31 2005-05-26 Tadao Hara マッサージ・シャワーヘ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154A (ja) * 1996-09-11 1998-04-07 Mitsue Shinohara シャワー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5131352A (ja) * 2003-10-31 2005-05-26 Tadao Hara マッサージ・シャワーヘッド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5900A (zh) * 2016-12-28 2019-03-0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清洁花洒
CN109395900B (zh) * 2016-12-28 2021-03-16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清洁花洒
US10660429B2 (en) 2017-11-13 2020-05-26 Water Pik, Inc. Cleansing system
USD898374S1 (en) 2018-07-02 2020-10-13 Water Pik, Inc. Skin cleansing brush
KR20220118812A (ko) * 2021-02-19 2022-08-26 최용식 목욕기
KR102505796B1 (ko) * 2021-02-19 2023-03-06 최용식 목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033B2 (en) Grill brush
US6490753B1 (en) Steam cleaner
KR101167115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US4417826A (en) Liquid driven rotary brush with liquid soap feeder
US7434287B1 (en) Removable wall-mounted back scrubber
US11779103B2 (en) Cleaner dispensing toilet bowl brush and holder
KR101863070B1 (ko) 교체형 애완동물용 털 정리기
JP2008055139A (ja) 清掃用両用ブラシ
TWM467428U (zh) 具有電動清潔裝置的蓮蓬頭
JP4248247B2 (ja) 形態転換可能な表面接触器具
KR20210147854A (ko) 애완동물을 위한 세정장치
KR101410838B1 (ko) 고형세제 그라인더
CN108498306B (zh) 一种洁面美容仪
JP2019201925A (ja) 洗浄ヘッド及び洗浄装置
US10258847B2 (en) Golf club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472528Y1 (ko) 휴대용 칫솔
KR200467805Y1 (ko)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JP2007185462A (ja) 頭皮洗浄シャワーヘッド
KR20170000725U (ko) 핸드비데의 착탈식 국부 세정도구
US20220265100A1 (en) Toilet scrubber
KR20200001721U (ko) 세제 분사형 솔
KR20220160771A (ko) 손잡이가 달려있는 브러쉬
KR200462561Y1 (ko) 변기 세척 브러쉬
US20090056770A1 (en) Cleaning arrangement for toothbrushes with vibration and filter
KR200268337Y1 (ko) 신체 청정용품을 구비한 샤워기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