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670Y1 - 다용도 비누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비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670Y1
KR200296670Y1 KR2020020027252U KR20020027252U KR200296670Y1 KR 200296670 Y1 KR200296670 Y1 KR 200296670Y1 KR 2020020027252 U KR2020020027252 U KR 2020020027252U KR 20020027252 U KR20020027252 U KR 20020027252U KR 200296670 Y1 KR200296670 Y1 KR 200296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oap bar
present
shelf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대
Original Assignee
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대 filed Critical 한종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670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비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본체의 내부에 각종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측면에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물품을 손쉽게 사용하고, 항시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비누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비누대 {A multiusable soapcase}
본 고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비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본체의 내부에 각종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측면에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다수개의 선반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물품을 손쉽게 사용하고, 항시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비누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누대는 개별적으로 보관하는 기구, 예를 들어 칫솔꽂이대, 비누대, 컵걸이 등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데 중점을 두고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보관하는 기구는 물품들을 임의 위치에 놓게 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않고, 서로 접촉이 되어 비위생적이며, 쉽게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밖에 설치비용의 부담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누대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본체의 내부에 각종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측면에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다수개의 선반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물품을 손쉽게 사용하고, 항시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선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선반
3: 지지판 4: 받침대
5: 고정공 10: 본체 배수공
20: 선반 배수공 30: 상부판
40: 구획판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2)으로 구성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샴프병, 칫솔, 면도기, 솔 및 그 밖에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비누와 수세미 및 목욕타월 및 그 밖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2)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1)에 형성된 수납공간과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2)이 일체형으로 되어 화장실 및 세면대에 놓여있는 여러가지 물건들을 한 곳에 보관함으로서 사용자가 필요물품을 손쉽게 사용하고, 항시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구조는 도1의 경우와 동일하되, 상기 본체(1)의 수납공간이 두부분으로 구획되도록 구획판(40)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수납공간의 중앙부에 구획판을 설치하여 두 개의 수납공간을 만들어 각종 물품들을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상부는 개구된 것이다.
즉, 상기 본체(1)의 상부는 물품을 넣을 수 있게 개구되어 형성되며, 이렇게 되면 물품을 넣을시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넣을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1의 경우와 동일하되, 본체(1)의 상면에는 타원형 형상으로 천공되어 수납용품 투입용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판(30)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삼푸병 사용자가 삼푸병을 사용하다 보면 바닥에 남아있는 샴프를 사용하기 위해 샴프병을 거꾸로 세워 놓거나 물을 넣어서 흔들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경우 샴프병을 거꾸로 세워놓다 보면 모양에 따라 똑바로 서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편을 보완하기 위해 본체(1)상면에 타원형 형상으로 천공되어 구멍이 형성된 상부판(30)을 설치하여 샴프병을 거꾸로 꽂아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한것이다.
물론 상기 상부판(30)의 타원형 형상의 구멍은 삼각형 또는 원형, 그 밖에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본체 배수공(10)이 천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수납공간 속에 물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수납공간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본체 배수공(10)을 통해 하방향으로 배수되어 물이 고여있지 않게 되어 항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선반 배수공(20)이 천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배수공(10)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상기 선반의 상면에도 물이 떨어지면 상기 선반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 배수공(20)을 통해 하방으로 배수되어 물이 고여있지 않아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배면에는 양쪽 바깥으로 연장되어 지지판(3)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3)에는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2)들이 가로방향으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3)은 상기 선반(2)의 바깥쪽 양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 및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3)에는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공(5)이 형성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의 양쪽 상부와 하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고정공은 벽면에 고정되어있는 못이나 그 밖에 돌출되어 있는 장치에 걸려서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대(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다수개의 받침대(4)로 인해서 비누대를 바닥에 놓고 사용해도 기울어지거나 흔들림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선반의 저면에 다수개의 받침대가 형성되어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본체(1)의 내부에 각종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측면에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다수개의 선반(2)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물품을 손쉽게 사용하고, 항시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용도 비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의 본체의 내부에 각종 물품등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본체 측면에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다수개의 선반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물품을 손쉽게 사용하고, 항시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 하단부와 선반 상부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본체의 수납공간과 선반의 상면에 물이 떨어져도 고여있지않고 배수되어 항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본체 배수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다수개의 선반 배수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는 양쪽 바깥으로 연장되어 지지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받침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는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누대.
KR2020020027252U 2002-05-30 2002-09-11 다용도 비누대 KR2002966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6645 2002-05-30
KR2020020016645 200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670Y1 true KR200296670Y1 (ko) 2002-12-05

Family

ID=7312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52U KR200296670Y1 (ko) 2002-05-30 2002-09-11 다용도 비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6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3248A2 (en) * 2010-06-01 2011-12-08 Top Shelf Designs, Inc. Shelf unit
KR20220043439A (ko) 2020-09-29 2022-04-05 김종오 청결위생 비누거치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3248A2 (en) * 2010-06-01 2011-12-08 Top Shelf Designs, Inc. Shelf unit
WO2011153248A3 (en) * 2010-06-01 2012-04-12 Top Shelf Designs, Inc. Shelf unit
KR20220043439A (ko) 2020-09-29 2022-04-05 김종오 청결위생 비누거치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294A (en) Travel soap dish assembly
US6109429A (en) Apparatus for storing toiletries
CA2204073A1 (en) Laundry basin
US7896153B2 (en) Toilet utensil kit
WO2007070557A2 (en) Drying storage rack
US20060060742A1 (en) Moveable soap dish for water drainage and accessories
US4538727A (en) Non-collapsible carrying kit
US5669085A (en) Water-resistant multifunctional bathroom fixture
US5238106A (en) Kitchen-sink organizer
US20090172876A1 (en) Pedestal sink towel holder, and towel holding method
US20110168581A1 (en) Sanitary bathroom item storage unit
KR200296670Y1 (ko) 다용도 비누대
US6343845B1 (en) Multiple bar soap storage dispenser
US20140231298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tackable Units with Drainage Means
KR200373499Y1 (ko) 컵과 이를 위한 컵행거 및 그 세트
KR102400972B1 (ko) 청결위생 비누거치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256506Y1 (ko) 컵걸이대용 컵꽂이
KR200346932Y1 (ko)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JP4526802B2 (ja) 洗面化粧台
KR200233130Y1 (ko) 컵 재치대
KR200437252Y1 (ko) 두루마리 화장지 보관함
JPH0529677Y2 (ko)
KR20220165083A (ko) 목욕 바구니
JP2003024233A (ja) 浴室用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164026Y1 (ko) 걸이홈이구비된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