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932Y1 -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 Google Patents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932Y1
KR200346932Y1 KR20-2004-0000496U KR20040000496U KR200346932Y1 KR 200346932 Y1 KR200346932 Y1 KR 200346932Y1 KR 20040000496 U KR20040000496 U KR 20040000496U KR 200346932 Y1 KR200346932 Y1 KR 200346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main body
cutlery
stan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삼보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0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본체에 배수공을 구비하여, 설거지를 마친 수저에서 나오는 물기를 본체에서 배출시키고, 배출된 물기는 물받이에 집수되게하므로써 본체에 보관되는 수저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omitted}
본 고안은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수저통은 식탁 등에세워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립형 수저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으며 덮개가 있는 박스형 수저통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기립형 수저통은 수저를 보관하는 수납실이 구비되며, 박스형 수저통은 수납실의 내부에 별도의 받침대가 더 포함되어 있어, 이 받침대상에 수저를 놓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기존의 기립형 수저통은 본체의 상부면이 개방되는 원통형태 또는 사각통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설거지를 마친 수저를 보관함에 있어, 수저에 존재하는 물기를 모두 건조시킨 상태에서 보관해야 한다. 즉, 수저를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저통에 보관하면, 수저에 존재하는 물기가 수저통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물은 다른 수저를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기립형 수저통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물받이를 포함시켜 보관되는 수저의 물기를 본체로부터 분리저장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수저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립형 수저통 2 : 본체
3 : 분할대 4 : 거치대
5 : 물받이 21 : 스토퍼
22 : 배수공 31 : 탈착손잡이
41 : 수용부 42 : 물받이거치부
43 : 지지다리 411 : 손잡이
421 : 고정바 51 : 인출손잡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분할대가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기립형태로 수용되는 수용부의 하부에 물받이거치부가 마련되는거치대; 및
상기 물받아거치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에 인출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을 구비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태 본체(2)의 내부에는 분할대(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2)가 수용되는 거치대(4)에는 물받이(5)를 설치하기 위한 물받이거치부(42)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2)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되는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테두리에는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써 스토퍼(21)가 구비되고, 그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22)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대(3)는 상기 본체(2)의 내부를 사방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소정 굵기를 갖는 철사를 십자형태로 절곡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의 외둘레면에는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대(3)에는 본체(2)에서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탈착손잡이(31)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4)는 다수의 환형태 철사를 직선형태 철사로 연결하여 상기 본체(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1)를 마련하고, 상기 수용부(41)의 하부에는 물받이거치부(42)를 마련므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용부(4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거치대(4)를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411)를 대향형성하고, 상기 물받이거치부(42)에는 후술하는 물받이(5)를 받침하는 다수의 고정바(421)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거치부(42)의 하부에는 지지다리(4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물받이(5)는 상기 본체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원판형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그 전방에는 인출손잡이(51)가 돌출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물받이(5)는 상기 본체(2)와 동일재질로써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2)는 그 내부에 분할대(3)를 설치한 상태로써 거치대(4)의 수용부(41)에 기립형태로 설치되고, 물받이(5)는 물받이거치부(42)에 서랍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본체(2)는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는 스토퍼(21)에 의해 수용부(41)를 구성하는 환형태 철사에 걸림고정되며, 물받이(5)는 본체(2)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4)에 기립형태로 설치된 본체(2)에는 수저(숟가락 또는 젓가락 등)를 세워서 보관하되, 본체(2)에 설치되는 분할대(3)에 의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보관할 수 있다. 이때, 설거지를 마친 수저를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에 보관할 경우, 수저에 존재하는 물기는 본체(2)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수공(22)을 통해 물받이(5)에 집수된다. 이에 따라, 기존과 같이 본체(2)의 바닥면에 물이 고이므로써 발생되는 수저오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이 집수된 물받이(5)는 거치대(4)의 묻받이거치부(42)에서 탈착하여 집수된 물을 버린 후 재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은 본체에 배수공을 구비하여, 설거지를 마친 수저에서 나오는 물기를 본체에서 배출시키고, 배출된 물기는 물받이에 집수되게하므로써 본체에 보관되는 수저의 위생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분할대가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기립형태로 수용되는 수용부의 하부에 물받이거치부가 마련되는 거치대; 및
    상기 물받아거치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에 인출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KR20-2004-0000496U 2004-01-08 2004-01-08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KR200346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96U KR200346932Y1 (ko) 2004-01-08 2004-01-08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96U KR200346932Y1 (ko) 2004-01-08 2004-01-08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932Y1 true KR200346932Y1 (ko) 2004-04-01

Family

ID=4934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96U KR200346932Y1 (ko) 2004-01-08 2004-01-08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9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8933A (en) Bathroom accessory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US20100059460A1 (en) Dish rack with removable grate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US20100065517A1 (en) Dish drainer
KR200346932Y1 (ko) 물받이를 갖는 기립형 수저통
KR200424268Y1 (ko) 수저통
KR20130129522A (ko) 차 스푼 세척 및 보관 컵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KR200296670Y1 (ko) 다용도 비누대
KR200172549Y1 (ko) 욕실청소용 브러쉬 보관함
KR200258078Y1 (ko) 수저통
KR20240079512A (ko) 음료용기 건조대
KR200233130Y1 (ko) 컵 재치대
KR200411374Y1 (ko) 배수가이드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102106832B1 (ko) 수세미 거치대
KR100678511B1 (ko)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200315828Y1 (ko) 신발장에 적용된 우산 물받이
JP4700134B1 (ja) 容器保持具
KR200245978Y1 (ko) 착탈식 칸막이가 구비된 수저통
KR101269567B1 (ko) 싱크대용 수납 받침구
KR940001880Y1 (ko) 수저통
KR200346146Y1 (ko) 수납장 식기건조대
KR200383859Y1 (ko)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KR101268684B1 (ko) 식기 세척기의 하부 커버의 수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