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18U - 비누케이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누케이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18U
KR20120002418U KR2020100010042U KR20100010042U KR20120002418U KR 20120002418 U KR20120002418 U KR 20120002418U KR 2020100010042 U KR2020100010042 U KR 2020100010042U KR 20100010042 U KR20100010042 U KR 20100010042U KR 20120002418 U KR20120002418 U KR 201200024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mber
soap
soap case
clea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987Y1 (ko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202010001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8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47K5/03Soap boxes or receptables separate from wall or wash-st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비누가 놓이는 부분에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비누케이스와, 물빠짐 구멍에 붙은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 및 비누케이스에 설치되어 청소부재를 거치하여 장착하기 위한 청소부재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비누케이스 조립체{A SOAP CASE ASSEMBLY}
본 고안은 비누케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를 거치 및 보관할 수 있는 비누케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 케이스는 비누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이 합성수지를 일정한 용기의 형태로 사출한 것이다.
이러한 비누 케이스는 대부분이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 바닥 또는 상부에 물빠짐 구멍이 형성되어 비누의 거품과 물기가 케이스의 하부 또는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된다.
비누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욕실의 세면대에 놓이기 때문에 세면을 하다 보면 물기가 비누 케이스 쪽으로 튀어 항상 물에 젖게 마련이다. 따라서 비누 케이스는 물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비누가 눅눅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물빠짐 구멍이 대부분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오랜 시간 비누 케이스에 비누를 올려놓거나 담아 놓고 사용하다 보면, 비누거품 찌꺼기나 비누가 물빠짐 구멍에 달라붙게 되어 물빠짐 구멍을 막거나, 물빠짐 구멍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된 비누 케이스 특히, 물빠짐 구멍을 청소하기 위해서 물을 이용하여 닦게 되는데, 비누 찌꺼기가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깨끗하게 청소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별도의 전용 청소도구가 없기 때문에 청소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누 케이스를 세면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다 보면, 비누 케이스가 세면대에서 미끄러져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비누 케이스의 청소작업이 용이하고,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비누 케이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누 케이스 조립체는, 비누가 놓이는 부분에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비누케이스와; 상기 물빠짐 구멍에 붙은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 및 상기 비누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부재를 거치하여 장착하기 위한 청소부재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는 상기 비누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가 끼워져 거치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는, 상기 비누케이스의 외측에서 내부로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비누케이스 내부로 끼워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는, 상기 비누케이스에 복수 설치되어, 복수의 청소부재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청소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피청소부와, 상기 피청소부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되며, 상기 피청소부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청소부재는, 일단에 브러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부재는, 일단에 확장형성된 피청소부를 가지며, 타단으로부터 장착부가 인입형성된 제1청소부재와; 일단에 브러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청소부재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한 제2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비누 케이스 조립체에 따르면, 비누케이스에 청소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청소부재를 비누케이스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비누케이스에 묻은 이물질 예를 들어, 비누케이스의 물빠짐 구멍에 붙은 비누나 이물질을 청소부재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청소부재를 마련하거나 준비할 필요 없이, 필요시에 비누케이스에 장착된 청소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누케이스의 하부에 빨판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비누케이스를 세면대 위에 올려놓고 세면대에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누케이스가 세면대에서 쉽게 떨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누케이스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누케이스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청소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누케이스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누케이스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누케이스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 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 조립체(100)는, 비누 케이스(110)와, 비누 케이스(110)를 세면대 등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빨판부재(120)와, 상기 비누 케이스(11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비누 케이스(110)는 하부케이스(111)와 상부케이스(113)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11)와 상부케이스(1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 즉, 하부케이스(111)의 상부에 상부케이스(113)가 놓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케이스(113)는 중앙 부분이 테두리부분에 비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비누(10)가 안정되게 놓일 수 있도록 테두리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3)에는 다수의 물빠짐 구멍(115)이 형성된다. 상기 물빠짐 구멍(115)은 슬릿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슬릿 구조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케이스(111)의 하부에는 상기 빨판부재(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7)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117)는 하부케이스(111)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7)에 빨판부재(120)의 체결부(121)가 끼워져 지지된다. 따라서 빨판부재(120)의 빨판부(122)를 세면대의 평평한 곳에 놓고, 누르게 되면, 빨판부(122)가 세면대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비누 케이스(110)가 세면대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되게 위치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소부재(130)는 상기 상부케이스(112)의 물빠짐구멍(115) 등에 끼인 비누성분이나 찌꺼기 등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청소부재(130)를 비누 케이스(110)에 보관하기 위해서, 비누 케이스(110)에는 청소부재 거치부(118)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118)는 도 1과 같이 하부케이스(111)의 측면에 고리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태의 청소부재 거치부(118)에 청소부재(130)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소부재(130)는 피청소부(131)와, 상기 피청소부(131)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된 손잡이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피청소부(131)는 손잡이부(133) 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청소부재 거치부(118)에서 빠지지 않게 거치 될 수 있으며, 물빠짐 구멍(115)을 포함하여 비누 케이스(110)에 묻은 비누찌꺼기 등을 긁어서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청소부재(130)를 비누케이스(110)에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별도의 청소부재를 찾거나 마련할 필요 없이, 비누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제공되는 청소부재(130)를 이용하여 오염된 비누케이스(110)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브러시(231)가 구비된 청소부재(230)를 비누케이스(110)에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청소부 손잡이부(232)의 일단부에 브러시(231)가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브러시(231)를 이용하여 물빠짐 구멍(115)의 내부 테두리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청소부재(230)도 도 1의 청소부재 거치부(118)에 끼워져 거치 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누케이스(110')에 한 쌍의 청소부재 거치부(118,119)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청소부재 거치부(118,119)에 상기 서로 다른 청소부재(130,230)를 각각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누케이스(110")가 개시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11")의 측면에서 내부 쪽으로 인입되게 청소부재 거치대(116)가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청소부재(330)를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청소부재 거치대(116) 내부로 삽입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누 케이스 조립체(100)에 따르면, 비누케이스(110,110',110")에 장착 가능한 청소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청소부재를 이용하여 비누케이스(110,110',110")의 오염된 부분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비누케이스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소부재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별도로 마련하여 보관할 필요 없이, 비누케이스(110,110',110")에 장착하여 보관하면 되므로, 보관이 용이하며 필요시에 비누케이스를 즉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재(430)의 경우에는, 일단에 확장형성된 피청소부를 가지며 타단으로부터 장착부(431a)가 인입형성된 제1청소부재와(431), 일단에 브러시(433a)가 설치되며 상기 제1청소부재(431)의 장착부(431a)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한 제2청소부재(43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청소부재(431)와 제2청소부재(143)는 비누케이스(110)의 청소부재 거치부(118)에 장착할 때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청소작업을 할 경우에는, 제1청소부재(431)와 제2청소부재(433)를 서로 분리하여 청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청소부재(431)에는 끈(435)을 묶기 위한 구멍(431b)이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끈(435)의 일단은 구멍(431b)을 통과시켜서 묶고, 타단은 상기 비누케이스(110)의 청소부재 거치부(118)에 묶게 되면, 청소부재(430)가 비누케이스(11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함께 따라다니므로,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비누케이스 조립체 110,110',110"..비누케이스
111..하부케이스 113..상부케이스
115..물빠짐 구멍 120..빨판부재
130,230,330,340..청소부재

Claims (7)

  1. 비누가 놓이는 부분에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비누케이스와;
    상기 물빠짐 구멍에 붙은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 및
    상기 비누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부재를 거치하여 장착하기 위한 청소부재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는
    상기 비누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가 끼워져 거치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는,
    상기 비누케이스의 외측에서 내부로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를 상기 비누케이스 내부로 끼워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 거치부는,
    상기 비누케이스에 복수 설치되어, 복수의 청소부재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된 피청소부와,
    상기 피청소부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되며, 상기 피청소부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일단에 브러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일단에 확장형성된 피청소부를 가지며, 타단으로부터 장착부가 인입형성된 제1청소부재와;
    일단에 브러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청소부재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한 제2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케이스 조립체.
KR2020100010042U 2010-09-29 2010-09-29 비누케이스 조립체 KR200466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42U KR200466987Y1 (ko) 2010-09-29 2010-09-29 비누케이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42U KR200466987Y1 (ko) 2010-09-29 2010-09-29 비누케이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18U true KR20120002418U (ko) 2012-04-06
KR200466987Y1 KR200466987Y1 (ko) 2013-05-22

Family

ID=4660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42U KR200466987Y1 (ko) 2010-09-29 2010-09-29 비누케이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467A (ko) * 2014-10-07 2016-04-18 김기열 비누 케이스
KR20190099813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수세미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51Y1 (ko) 2000-01-18 2000-06-01 변상복 개량 비누 용기
KR200292320Y1 (ko) 2002-08-01 2002-10-18 주식회사 유진양행 솔을 구비한 비누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467A (ko) * 2014-10-07 2016-04-18 김기열 비누 케이스
KR20190099813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수세미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987Y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562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275367A1 (en) dishwashing brush magnetically engaging a sink
US20150257611A1 (en) Soap holder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JP3915772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US20130043360A1 (en)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US9931638B2 (en) Garbage disposal cleaning system
US9795266B2 (en) Scourer having a shape-supporting body
JP2007056509A (ja) 水切り具
JP2009052348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2008030944A (ja) 三角コーナー、三角コーナーの保持具及び水切り袋の保持具
JP2008005948A (ja) 洗浄部材用スポンジ、洗浄部材用結合芯及び洗浄部材用組立装置
KR200466403Y1 (ko) 간이 화장실용 변기
KR102104939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200448923Y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1611961B1 (ko) 바닥면이 닿지 않는 거치대 일체형 비누
KR101174229B1 (ko) 걸레 패드의 세척장치
KR200485093Y1 (ko) 변기청소기
KR20180001172U (ko) 비누받침대
JP5924620B2 (ja) 石鹸載置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石鹸保持部材
KR20120000917U (ko) 비누 받침대
US9661955B1 (en) Drain plug kit with buoyant drain plug pull cord
KR20130000784U (ko) 수저통
JP3139149U (ja) 水切り具
KR200473356Y1 (ko) 비누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