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13B1 - 접촉 핑거에 가요성 도체를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블레이드를 가지는 전기 접촉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촉 핑거에 가요성 도체를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블레이드를 가지는 전기 접촉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13B1
KR100188813B1 KR1019910012414A KR910012414A KR100188813B1 KR 100188813 B1 KR100188813 B1 KR 100188813B1 KR 1019910012414 A KR1019910012414 A KR 1019910012414A KR 910012414 A KR910012414 A KR 910012414A KR 100188813 B1 KR100188813 B1 KR 10018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elding
notch
strip
contact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360A (ko
Inventor
쟝-뽈파브르-띠쏘
페브리에 조르쥬
Original Assignee
리장딸레 쟈끄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장딸레 쟈끄,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리장딸레 쟈끄
Publication of KR92000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22Flexible connections between movable contact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9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metal fusion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속 핑거(10)에 브레이드 스트립을 용접에 의해서 접속하는 방법은 2개의 블레이드(12,14)의 측면 적층을 이루어진다. 제1블레이드(12)는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20)의 압축 단부(21)를 수납하는 하우징(25)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블레이드(14)의 병치 면과 협동하는 세미 - 오픈 노치(2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온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12,14)의 국부응력 없이, 압력으로 용접에 의해서 하우징(25)내에 넣어진다. 상기 제2블레이드(14)는 용접작업 동안 용접된 구리가 변환되도록 노치(24)에 면하여 위치한 구멍(26)을 구성하고, 상기 구멍(26)의 표면적은 노치(24)의 표면적 보다 작고, 조립은 땜납의 부가없이 단일 작업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접촉 핑거에 가요성 도체를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블레이드를 가지는 전기 접촉 조립체
제1도는 브레이드 접속 스트립에 접속된 2중 블레이드를 갖는 접촉 핑거의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
제3도는 브레이드 스트립의 용접전, 제1도에 있어서의 접촉 핑거의 후부의 부분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접촉 핑거의 제1 및 제2블레이드를 각각 나타낸도.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우측 형상도.
제7도 내지 제11도는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중 제1도 내지 제6도에 각각 동일한 도.
제12도는 접촉핑거에 대한 브레이드 스트립의 용접작업 전의 웰딩 프레스를 나타낸 도.
제13도는 웰딩 페이저의 초기에, 제12도에 있어서의 프레스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촉 핑거(contact finger)
12,14 : 기본 블레이드(elementary blades)
20 : 브레이드 스트립(braided strip)
21 : 압축단부(compacted end)
24 : 노치(notch) 25 : 하우징(housing)
26 : 구멍(aperture) 30,32 : 전극
본 발명은 공통 접촉 패드에 의해서 후부에 함께 결합된 동일한 외형을 갖는 2개의 기본 블레이드(elementary blaeds)의 측면 적층으로부터, 양호한 전도성을 갖는 재료, 특히 구리로 형성된 접촉 핑커의 후단에, 가요성 도체, 특히 브레이드 구리 스트립(braided copper strip)을 용접에 의해서 접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고 자료 FR - A - 2,556,515 는, 각 접촉 핑거가 측면에 인접하는 한쌍의 동일한 블레이드로 구성하고 있는 고전류 회로 차단기용의 다수의 전기 접촉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각 블레이드의 후단은 상기 브레이드를 고정시키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은, 첫 번째 핑거의 전체 폭을 통과하는 2개의 노치 내에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 단부의 고온의 기계적 삽입 동작에 의해서, 다음 두 번째 주석의부가에 의한 납땜 동작에 의해서 수행된다. 세번째 표면작업은 납땜으로 인한 바라지 않는 입자를 제거하는데에 필요하다. 다음의 작업은 2개의 접속의 대향면이 아직 고온일 때 납땜후에 즉시 크리닝 브러시(cleaning brush)를 수동으로 행해야 한다.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의 대향단부는 입력 전류 단자 패드의 노치 내에 삽입되고, 노치의 제한을 형성하는 이 (teeth) 의 국부 응력후에 용접된 저항부이다.
본 발명의 제1 의 목적은 접촉 핑거에 브레이드 스트립의 조립공정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의 단부가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된 세미 - 오픈 노치(semi-open noth)의 단부에 상보형(complementary shape) 의 단단한 단부를 얻기 위하여 압축되고, 상기 단부가 제1 블레이드의 두께 보다도 약간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 상기 접촉 핑거가 웰딩 프레스(welding press) 의 고정전극 위의 제2 블레이드 측에 평평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노치가 제2 블레이드의 병치 평면(juxtaposed flat face)을 갖는 하우징을 제거하며; - 상기 단부가 가동전극에 의해서 하우징 내에서 고온압축에 의해서 가열되고 피복된 저항부이고, 상기 접촉 핑거의 대향 가장자리부가 접속영역의 레벨에서 미리 폐쇄되고, 기계적 차단효과가 압축 및 용접전류 흐름의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저항용접에 의한 조립은 땜납의 부가 없이 단일 동작으로 수행된다. 평평한 방향의 면을 갖는 전극의 사용은, 블레이드 및 용접된 접속영역에 유동하는 소정 재료의 국부응력을 피하므로, 부가 표면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브레이드 스트립의 압축단부의 과두께로인한 초과된 구리는, 고온 피복 작업이 수행될 때 연결부에서 자동으로 상쇄된다. 초과 분의 저감음 브레이드 스트립의 압축단부의 회전에 의한 최대파쇄에 의해서, 또는 상기 제2 블레이드에 형성된 구멍에서 용융된 구리를 제거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고전류 회로 차단기를 위한 브레이드 접속 스트립과 다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접촉핑거를 얻는데 있다. 브레이드 스트립의 용접은 제1블레이드의 세미 - 오픈 노치에 의해서 제한된 세미 하우징(semi-housing) 및 제2블레이드의 병렬 평면에서 수행된다. 제1블레이드의 노치에 면하는 구멍이 제2블레이드 내에 존재하는 것은, 브레이드 스트립의 압축단부의 고온 피복이 하우징 내에서 수행될 때 초과 구리를 흡수하도록 하는데 있다. 구멍의 표면적은 노치의 표면적 보다 작다. 이것은 용접된 접속부의 강도를 증가시킨 결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첨부한 도면 및 그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백할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저전압 전류 차단 장치, 특히 고전류 회로 차단기의 가동 접촉핑거(10)는 동일한 외형을 갖는 2개의 기본 블레이드(12,14)를 측면 적층함으로 형성된다. 각 블레이드(12,14)는 약 2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구리 스트립으로 절단된다. 둥근 오리피스(circular orifice)(16)는 핑거(10)가 횡방향 피벗 스핀들(transverse pivoting spindle) 에 장착되도록 각각의 블레이드(12,14)에 배열된다. 제1 및 제2 의 기본 블레이드(12,14)의 조립은 접촉 패드(18)를 정면부에 고정함에 의해서, 가요성 브레이드 스트립(20)의 단부(21)를 핑거(10)의 후부에 연결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스트립(20)의 다른 단부(22)는 전류 입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은으로 형성된 접촉 패드(silver -based contact pad)(18)는, 프랑스 특허 제 2,541,520 호에 상세히 기술된 저항 납땜 작업 또는 저항 용접 작업에 의해서 블레이드(12,14) 의 밑면 가장자리부에 고정된다.
가요성 스트립(20)은 구리로 형성되고, 그 단부(21)는 주석으로 유리된 직각 단부를 얻기 위하여 압축 및 절단 동작에 의해서 형성된다. 스트립(20)의 압축 동작은 특수기계로 수행된다.
제1블레이드(12)의 후부는 접속된 단부(21)를 수납하는 하우징(25)을 한정하기 위하여 제2블레이드(14)의 병치 평면부와 협동하는 세미 오픈 노치(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치(24) 및 단부(21)는 켤레 직사각형을 갖고, 그 하우징(25)의 깊이는 블레이드의 두께에 상당하다(제6도 및 제11도를 참조). 스트립(20)의 압축단부(21) 의 두께(h)(제12도 참조)는, 한편으로 하우징(25)의 깊이, 예를 들면 블레이드(12)의 두께 보다 약간 크다.
제1도 내지 제6도와 제7도 내지 제11도는 다른 회로 차단기 정격에 대한 접촉핑거(10) 의 두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내지 제6도의 저 정격에 대하여, 스트립(20)은 축소된 단면을 갖고, 오리피스(16)를 초과한 제2블레이드(14)의 전후부는 굳어져 있다.
제7 내지 제11도의 고 정격에 대하여, 스트립(20)의 2중 단면은 제1블레이드(12)에 있어서의 보다 큰 노치(24)를 요구한다. 이 경우, 장방형의 구멍(26)(제8도 및 제9도 참조)은 용접 동작이 수행될 때 스트립(20)과 핑거사이의 접속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블레이드(14)의 후단과 오리피스(16) 사이에 배열된다. 이 구멍의 형태는 다를 수 있고, 또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다. 2개의 블레이드(12,14)의 인접위치에 있는(제8도 참조) 제2블레이드(14)의 구멍(26)은 제1블레이드(12)의 노치(24)의 저면을 관통한 평면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구멍(26)의 길이는 노치(24)의 폭과 상당히 일치한다.
특히, 제12도 및 제13도에는 접촉핑거(10)에서 스트립(20)의 용접공정의 초기 위상을 나타내고, 저항 용접 프레스(31)의 가동전극(30)과 핑거(10)의 제1블레이드(12)의 노치(24) 사이에 스트립(20)의 압축단부(21)가 위치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제2블레이드(14)는 고정 전극(32) 위의 평평한 면에 얹어져서, 오리피스(16)의 축이 가동전극(30)의 이동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단부(21)와 노치(24)의 상보형은 용접작업 전과 용접작업 동안에 냉각 또는 고온 피복(incrustation)을 가능하게 한다.
제12도의 예에서, 상기 단부(21)는 블레이드(12)와 병렬로 연장하고, 노치(24) 위에서 도출한다. 화살표 F1 에 따른 가동전극(30)의 하향 이동은 용접 전류의 유동에 의한 기계적 압축 및 전기 가열 영향에 의해서 하우징(25) 내의 단부(21)의 고온 피복에 따라서, 우선 접촉 핑거(10)의 가장자리 위에 있는 용접 프레스의 2개의 클램핑조우(clamping jaws)(34,36)와 함께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용접작업 동안 블레이드(12,14)의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12,14)의 대향 가장자리부 위의 클램핑조우(34,36)의 작동에 의한 접촉핑거(10)의 차단은(화살표 F2, 제13도) 핑거(10)의 후부에서 수행된다. 조우(34,36)의 차단력(F2)은 가동전극(30)의 이동과 수직 방향으로 가로로 가해진다. 구리 접촉 핑거(10)에 블레이드 구리 스트립(20)에 대한 저항 용접은, 납땜 금속(주석)의 첨가 없이, 그리고 어닐링(annealing)하지 않고 수행된다. 2개의 전극(30,32)의 평평한 구조는 접속 영역 레벨에서 용접한 후 스무우드한 측면을 얻도록 제공되고, 접촉 핑거(10)에 대한 다른 부가 표면 피복 또는 크리닝 동작이 필요없다.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20)의 압축 단부(21)의 과두께로 인한 초과된 구리는,고온 피복이 웰딩 프레스에 의해서 수행될 때 : -압축 스트립 단부(21) 의 회전으로 인한 최대 파쇄에 의해서(제1도 내지 제6도의 경우; -또한 부가 그립핑 효과(gripping effect)가 용접된 접속부의 장력을 향상시키도록 제2 의 병치된 블레이드(14)(제7도 내지 제11도의 경우)의 구멍(26)에서 용융된 구리를 제거함에 의해서 자동으로 저감된다.
웰딩 프레스의 클램핑 조우(34,36)는 몰리브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전극(30,32)에 흐르는 전류가 분기되도록 배열된다.
소정의 납땜 금속을 첨가함없이, 구리 접촉부에서의 브레이드 구리 스트립의 용접 공정율 1000A 이상의 다극 접촉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Claims (7)

  1. 공통 접촉 패드(18)에 의해서 후부에 함께 결합된 동일한 외형을 갖는 2개의 기본 블레이드(12,14)의 측면 적층으로부터, 양호한 전도성을 갖는 재료, 특히 브레이드 구리 스트립(20)을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20)의 단부가 상기 제1 블레이드(12)에 형성된 세미-오픈 노치(24)의 단부에 상보형의 강성 단부(21)를 얻도록 압축되고, 상기 단부(21)가 상기 제1 블레이드(12)의 두께 보다 약간 두껍고; - 상기 접촉 핑거(10)가 웰딩 프레스(31)의 고정 전극(32) 위의 제2 블레이드(14) 측면에 평평하게 위치하고; - 제1 블레이드(12)의 노치(24)는 제2 블레이드(14)의 병치된 평면도로 하우징(25)을 제한하며; - 상기 단부(21)가 가동 전극(30)에 의하여 하우징(25) 내에서 고온 압축에 의해서 가열, 피복된 저항부이고, 상기 접촉 핑거(10)의 대향 가장자리부는 접촉 영역의 레벨에서 미리 차단되고, 상기 기계적 차단 효과가 압축 및 용접 전류의 유동 방향에 수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평평한 면을 갖는 전극(30,32)이, 납땜의 부가 없이 용접 동작이 수행된 후에 재료의 여분없이 접속 영역 레벨에서 상보 측면을 얻도록 사용되고, 상기 브레이드 스트립(20)의 상기 압축단부(21) 의 과두께로 인한 초과된 구리가, 고온 피복 작업을 수행할 때 접속부에서 자동으로 보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된 구리가 상기 압축단부(21)의 회전에 의한 최대 파쇄에 의해 저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된 구리가 상기 제2 의 병치된 블레이드(14)의 구멍(26)에서 제거됨에 의해서, 상기 용접된 접속부의 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 그립핑 효과를 일으킴에 의해서 보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5.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양호한 전도체로 형성되며, 접촉 패드(18)에 의해서 후부에 조립되고, 그리고 연결 스트립(20)에 의해서 상기 후단에 조립된 2개의 기본 블레이드(12,14)의 측면 적층으로 구성되는 고전류 회로 차단기용 전기 접촉 핑거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12)가 상기 블레이드 스트립(20)의 압축단부(21)를 수납하는 하우징(25)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블레이드(14)의 병치된 평면과 협동하는 세미 - 오픈 노치(2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온인 단부가, 상기 블레이드(12,14)의 국부응력 없이 압력으로 용접에 의해서 하우징(25) 내에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핑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14)가, 용접작업 동안 용융된 구리를 변형시키도록 노치(24)와 면하여 위치한 구멍(26)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6) 의 표면적이 상기 노치(24)의 표면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핑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용접된 접속부에서 부가의 굳은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노치(24)의 밑면에 근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 핑거.
KR1019910012414A 1990-07-19 1991-07-19 접촉 핑거에 가요성 도체를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블레이드를 가지는 전기 접촉 조립체 KR100188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09359A FR2665026B1 (fr) 1990-07-19 1990-07-19 Procede de connexion par soudage d'un conducteur flexible a un doigt de contact, et structure de contact electrique a plusieurs lamelles.
FR9009359 1990-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360A KR920003360A (ko) 1992-02-29
KR100188813B1 true KR100188813B1 (ko) 1999-06-01

Family

ID=939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414A KR100188813B1 (ko) 1990-07-19 1991-07-19 접촉 핑거에 가요성 도체를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블레이드를 가지는 전기 접촉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63221A (ko)
EP (1) EP0467798B1 (ko)
JP (1) JP3020664B2 (ko)
KR (1) KR100188813B1 (ko)
CA (1) CA2046781C (ko)
DE (1) DE69106963T2 (ko)
ES (1) ES2070469T3 (ko)
FR (1) FR2665026B1 (ko)
MX (1) MX9100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783B1 (ko) 2019-07-11 2019-11-22 김종욱 액정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6237A1 (de) * 1996-06-21 1998-01-02 Siemens Ag Schaltkontaktsystem eines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s mit biegsamen Leitern
DE19627324A1 (de) * 1996-06-26 1998-01-02 Siemens Ag Verfahren zur Verbindung eines starren Leiterstückes mit biegsamen Leitern
DE19902836A1 (de) * 1999-01-20 2000-07-27 Siemens Ag Verfahren zur Verbindung eines Kontaktkörpers und eines flexiblen Leiters sowie Preßfor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6474435B1 (en) 2000-09-07 2002-11-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an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components in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ITMI20020789A1 (it) 2002-04-12 2003-10-13 Abb Service Srl Elemento di connessione di un conduttore flessibile e metodo per connettere un conduttore flessibile ad un terminale di collegamento
DE20211681U1 (de) * 2002-07-25 2003-12-04 Siemens Ag Schaltkontaktanordnung mit einem Kontakthebel und einem biegsamen Leiter
DE10352325B4 (de) * 2003-11-06 2013-1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u. Kontaktteil mit einer derart hergestellten elektrischen Verbindung
DE102008039704A1 (de) * 2008-08-26 2010-03-04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anordnung mit gebogener Litze, Relais mit Kontakt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Relais
FR2942069B1 (fr) 2009-02-06 2012-02-10 Schneider Electric Ind Sas Contact electrique, procede d'assemblage par soudure d'une pastille de contact sur un support metallique pour realiser un tel contact.
US8816242B2 (en) * 2010-03-31 2014-08-26 Advanced Neuromodulation Systems, Inc. Method of fabricating implantable pulse generator using wire connections to feedthrough structures and implantable pulse generators
JP5646916B2 (ja) 2010-08-25 2014-12-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部の成形方法及び電線端部成形用型
FR2987220B1 (fr) * 2012-02-17 2016-10-28 Tresse Metallique J Forissier Dispositif de conduction therm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WO2014077144A1 (ja) * 2012-11-16 2017-01-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付き電線
CN103358002B (zh) * 2013-06-25 2015-09-09 欧托凯勃汽车线束(太仓)有限公司 用于焊接扁平编织铜带端部的电阻焊设备及方法
DE102014109173B4 (de) * 2014-07-01 2023-06-0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und elektrische Schweißverbind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ntakteinrichtung und zum Einrichten einer Schweißverbindung
JP6597212B2 (ja) * 2015-11-12 2019-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導電部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58377B (de) * 1964-01-10 1967-11-27 Aga Ab Kontaktverbindung
US3648014A (en) * 1969-07-15 1972-03-07 Gen Electric Method of joining copper braid to aluminum and the joint formed thereby
US4315175A (en) * 1975-06-30 1982-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Aluminum-to-copper transition member for aluminum wound motors and aluminum wound motor equipped with the same
US4317277A (en) * 1978-09-15 1982-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resistance electric joint between conductive members, at least one member having an insulation coating thereon, and the method of making such joint
FR2556515B1 (fr) * 1983-12-13 1987-01-16 Merlin Gerin Procede et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fixe de tresses sur des plages d'amenee de courant
FR2617632A1 (fr) * 1987-07-01 1989-01-06 Telemecanique Electrique Levier de contact pour appareil electrique interrupte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783B1 (ko) 2019-07-11 2019-11-22 김종욱 액정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6963D1 (de) 1995-03-09
US5163221A (en) 1992-11-17
FR2665026B1 (fr) 1992-09-18
FR2665026A1 (fr) 1992-01-24
MX9100170A (es) 1992-02-28
EP0467798A1 (fr) 1992-01-22
JP3020664B2 (ja) 2000-03-15
CA2046781A1 (en) 1992-01-20
KR920003360A (ko) 1992-02-29
DE69106963T2 (de) 1995-08-10
ES2070469T3 (es) 1995-06-01
JPH04248283A (ja) 1992-09-03
CA2046781C (en) 2001-07-03
EP0467798B1 (fr) 199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813B1 (ko) 접촉 핑거에 가요성 도체를 용접에 의하여 접속하는 방법 및 블레이드를 가지는 전기 접촉 조립체
US5344343A (en) Solder-bearing lead
DE19651513C2 (d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Drähten mit einem Anschlußstück
DE4445343A1 (de)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CA1234857A (en) Electric connection of braids of a circuit breaker terminal
US6103986A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bridging contact with magnetic structure
RU2304331C2 (ru) Соединение между гибким проводником и клеммой и способ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S59191274A (ja) 遠隔通信装置の分配器内で電気導体を絶縁除去自在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端子
DE3146787C2 (ko)
US5895885A (en) Air vent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JP3783874B2 (ja) 可撓性導電線を有する低電圧遮断器の開閉接点装置
TW201805984A (zh) 保護元件
US2116562A (en) Soldering iron
JP3799468B2 (ja) 回路板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回路板および該回路板を備えた電気接続箱
EP0897183A2 (de) Hochstrom-Schaltvorrichtung
US4141028A (en) Contact clip
EP0258664A2 (de) Baugruppe zum Sichern von elektrischen Leitungen in Telekommunikationsanlagen
EP1003190B1 (de) Durchlauferhitzer zum Erwärmen von Wasser
EP1658629B1 (de) Prüftastermodul
CA1231996A (en) Electrical contact pad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075235C (zh) 机电继电器及其制造方法
JP3081155B2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810001417Y1 (ko) 반도체장치
US2429847A (en) Electric contact brush and connector
DE19715115C2 (de) Schalt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