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363B1 -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363B1
KR100187363B1 KR1019950034223A KR19950034223A KR100187363B1 KR 100187363 B1 KR100187363 B1 KR 100187363B1 KR 1019950034223 A KR1019950034223 A KR 1019950034223A KR 19950034223 A KR19950034223 A KR 19950034223A KR 100187363 B1 KR100187363 B1 KR 10018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outer panel
reinforcement
qua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559A (ko
Inventor
정호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3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363B1/ko
Publication of KR97002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내외측패널 사이에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는 멤버 브라켓의 일끝단부는 일체로 하향 절곡 성형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재차 하향 절곡 성형되어 도어 내측패널과 연접하게 설치되는 쿼터 아웃터 패널의 저면에는 수납부를 형성하는 보강 패널을 융착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절곡부가 별도의 관통홀이 형성된 쿼터 아웃터 패널을 관통하여 보강패널의 수납부에 슬라이드 삽입되어지게 하므로써, 차체의 횡방향 강성을 보완한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자동차 도어부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의 도어 보강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제1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1, 21 : 도어 외측패널
12, 22 : 도어 임팩트 멤버 13, 23 : 멤버 브라켓
14, 24 : 도어 내측패널 15, 25 : 쿼터 아웃터 패널
23' : 절곡부 26 : 보강패널
27 : 수납부 28 : 패널 접합부
29 : 쿼터 인너 패널 30 : 수평판
31a, 31b : 관통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외측패널의 저면에 설치되는 멤버 브라켓의 일측 끝단부를 하향 절곡하여 멤버 브라켓과 일체로 절곡부를 형성하고, 재차 하향 절곡 성형되는 쿼터 아웃터 패널의 저면에는 상기 절곡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를 가지는 보강패널을 설치하므로써, 차량 측면 충돌시 실내로 밀려들어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주로 차량 정면 충돌시에 대비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제작되었던 연고로 상대적으로 차량 측면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 측면 충돌시에 발생하는 피해가 늘어나고 그 피해 정도가 커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이에 대한 관계 법규가 강화되고, 또한 수출용 차량에 대한 대외적인 법규 규제 등으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실정인 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자동차의 차체 측면 구조 특히, 승용차 섀시의 도어부에 대한 구조 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도어 보강구조는,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외측패널(11)과 도어 내측패널(14)의 일끝단부에 멤버 브라켓(13)이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고, 멤버 브라켓(13)의 하부에는 도어 임팩트 멤버(12)가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 되며, 또한 재차 차량 하향 절곡 성형되는 쿼터 아웃터 패널 (15)의 하단부는 쿼터 인너 패널(29)과 융착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도어 내측패널(14)과 연접하여 이웃하게 설치되므로써, 도어 외측패널(11)과 쿼터 아웃터 패널 (15)의 상부가 서로 일직선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도어 보강 구조는 차량 측면 충돌시 충분한 지지 강성을 갖기에는 매우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 바, 측면 충돌시 도어 내외측패널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멤버 브라켓의 접합부위 및 이와 연접하는 쿼터 아웃터 패널이 내부 공간으로 심하게 밀리게 되는 등의 손상을 받게 됨에 의하여 도어의 지지 기능을 잃어 버리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내외측 패널 사이에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는 멤버 브라켓의 일끝단부는 일체로 하향 절곡 성형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재차 하향 절곡 성형되어 도어 내측패널과 연접하게 설치되는 쿼터 아웃터 패널의 저면에는 수납부를 형성하는 보강 패널을 융착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절곡부가 별도의 관통홀이 형성된 쿼터 아웃터 패널을 관통하여 보강패널의 수납부에 슬라이드 삽입되어지게 하므로써, 차체의 횡방향 강성을 보완한 자동의 도어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강 구조는 제2도에 타나낸 바와 같이, 도어 외측패널(11)과 도어 내측패널(14)의 패널 접합부(28) 사이에 멤버 브라켓(13)의 상부가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고, 멤버 브라켓(13)의 하부에는 도어 임팩트 멤버(12)가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며, 쿼터 아웃터 패널(15)의 상단부는 도어 내측패널(14)과 연접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측패널(24)과 외측패널(21) 사이의 패널 접합부(28)에 일측 끝단부가 하향 절곡 성형되는 절곡부(23')를 가지는 도어 임팩트 멤버 브라켓(23)이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도어 내측패널(24)과 연접한 쿼터 아웃터 패널(25)에 절곡부(23')가 삽입되게 한 관통홀(31b)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31b) 주위의 쿼터 아웃터 패널(25) 저면에 보강 패널(26)이 용접 등으로 융착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패널(26)은 쿼터 아웃터 패널 (25)의 두께 보다는 더 두꺼운 구조로 설정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서, 상기 도어 외측패널(21)의 일측 끝단부는 소정의 길이로 반형을 형성하면서 반대편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하향 굴곡 성형되는 도어 내측패널(24)의 일끝단부는 별도의 관통홀(31a)을 형성하면서 이 구부러진 부위에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도어 내측 패널(24) 보다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하향 절곡 성형되는 멤버 브라켓(23)이 패널 접합부(28)에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멤버 브라켓(2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별도의 관통홀(31a)이 형성된 도어 내측패널(24)을 관통하는 절곡부(23')가 수직으로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또한 멤버 브라켓(24)의 하부는 도어 내측패널(21)과 함께 수평으로 절곡되고, 이 수평 절곡부위의 외측면에는 도어 임팩트 멤버(22)가 융착 고정 설치된다.
이때 쿼터 아웃터 패널(25)의 제1차 하향 절곡된 수평판(30)에는 멤버 브라켓(23)과 일체로 수직 절곡된 절곡부(23')가 슬라이드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쿼터 아웃터 패널 (25)의 저면에는 쿼터 아웃터 패널 (25)의 절곡부를 따라 형성되는 보강패널(26)이 상기 멤버 브라켓(23)의 수직 절곡부(23')가 수납 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수납부(27)를 형성하면서 쿼터 아웃터 패널 (25)의 두께 보다는 다소 두껍게 융착되어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멤버 브라켓(23)에는 멤버 브라켓(23)과 일체로 하향 수직 절곡된 절곡부(23')를 형성시키고, 쿼터 아웃터 패널 (25)의 저면에는 상기 절곡부(23')가 수납되어 체결되어질 수 있는 수납부(27)를 가지는 보강 패널(26)을 추가 삽입시키므로써, 차체의 측면 충격시 도어 외측패널(21)이 직접적으로 쿼터 아웃터 패널 (25)에 수납되어 걸리게 되므로써, 보강패널(26)이 강화된 지지 강성에 의해서 도어(10)가 내부 공간으로 밀려들어오는 정도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외측패널과 쿼터 아웃터 패널 사이에 보강패널을 설치하므로써,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켜 차량 측면 충돌시 도어부의 실내로 들어오는 밀림 정도를 최소화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 외측패널(11)과 도어 내측패널(14)의 패널 접합부(28) 사이에 멤버 브라켓(13)의 상부가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고, 멤버 브라켓(13)의 하부에는 도어 임팩트 멤버(12)가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며, 쿼터 아웃터 패널(15)의 상단부는 도어 내측패널(14)과 연접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측패널(24)과 외측패널(21) 사이에 패널 접합부(28)에 일측 끝단부가 하향 절곡 성형되는 절곡부(23')를 가지는 도어 임팩트 멤버 브라켓(23)이 삽입되어 융착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도어 내측패널(24)과 연접한 쿼터 아웃터 패널(25)에 절곡부(23')가 삽입되게 한 관통홀(31b)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31b) 주위 쿼터 아웃터 패널(25) 저면에 보강 패널(26)이 용접 등으로 융착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KR1019950034223A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KR10018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223A KR100187363B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223A KR100187363B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559A KR970020559A (ko) 1997-05-28
KR100187363B1 true KR100187363B1 (ko) 1999-04-01

Family

ID=1942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223A KR100187363B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3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559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363B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 구조
KR0142925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012053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JP366392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012044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0142928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20018747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0120428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100395126B1 (ko) 센터 필러 로워부 박스 지지 구조
KR100231554B1 (ko) 차량용 대쉬판넬의 보강구조
KR200158272Y1 (ko) 자동차의 카울 패널 보강구조
KR200150434Y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어셈블리
KR100199413B1 (ko) 자동차 사이드씰과 리어도어의 결합 구조
KR100187361B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멤버 설치구조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880000183Y1 (ko) 자동차의 후부 체체 구조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970002214Y1 (ko) 자동차용 센터필라의 내부설치구조
KR0120537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200161669Y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 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enter pillar)
KR19980064357U (ko) 측면 충격 대응을 위한 자동차의 b 필라 구조
KR19980046920A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바 고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