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897B1 -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897B1
KR100186897B1 KR1019950008460A KR19950008460A KR100186897B1 KR 100186897 B1 KR100186897 B1 KR 100186897B1 KR 1019950008460 A KR1019950008460 A KR 1019950008460A KR 19950008460 A KR19950008460 A KR 19950008460A KR 100186897 B1 KR100186897 B1 KR 10018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function
line
visual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602A (ko
Inventor
타카시 코바야시
히로후미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73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839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73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83986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선검출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제1도(a) 및 제1도(b)는 시선검출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2도(a) 및 제2도(b)는 시선검출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요소적 특징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데오카메라의 파인더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데오카메라의 개략구성도.
제6도는 제6도(a)및 제6도(b)로 구성되어 상기 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의 시스템제어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제7도는 비데오카메라의 개략구성도.
제8도는 비데오카메라의 파인더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비데오카메라의 시스템제어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1도는 상기 제3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의 구성의 블럭도.
제12도는 파인더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시스템제어회로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제14도는 시스템제어회로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 : 시선스위치 2 : 판정수단
3 : 영역변경수단 4 : 표시상태제어수단
101,301 : 렌즈촬상계 102,302 : 파인더화면
103,303 : 파인더광학계 104,304 : 접안렌즈
105,305 : 조작자의 눈 106,306 : 시선검출수단
107,307 : 표시회로 108,308 : 시스템제어회로
130 : 보정회로 132 : 지표표시상태제어회로
133 : 메모리 160,360 : 적외발광다이오드
161,361 : 다이크로익미러 162,362 : 집광렌즈
163,363 : 광전변환기 164,364 : 주시점검출회로
309 : 제1메모리 310 : 제2메모리
311 : 일시기억메모리
본 발명은 시선검출장치를 사용해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데오카메라 등의 비데오기기를 포함하는 화상취급분야에 있어서의 진보는 현저하고, 각종 기기에 대해 상을 이용해서 동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공통적이다. 시선입력을 사용해서 동작 및 제어를 행하여, 화면에 표시되어 조작자가 수동적인 키동작없이 주시한 지표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선을 이용하는 입력수단이 예를 들면 미국특허공보 제4,946,271호 및 제4,109,14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조작자가 화면에 표시된 마크 또는 범위를 보고, 이 마크에 대응하는 기능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시선스위치의 기능을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시선을 이동함이 없이 잠시동안 지표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지표가 위치된 범위가 작을 경우, 조작자는 피로를 느끼기 쉽다.
이때, 조작자가 좁은 범위를 주시함으로써 생기는 피로를 피하기 위하여 지표의 범위를 확대하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작동해버릴 수도 있다.
또, 파인더화면내에 있어서, 시선스위치의 기능으로서 동작하는 지표와 시선스위치의 기능으로서 동작하지 않는 지표가 공존할 경우에는, 조작자가 이들 양 지표를 한눈에 구별해낼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부주의하게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볼 수도 있어, 의도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어 버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시선스위치의 기능을 작동시킬 경우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선스위치의 오동작을 적게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시선스위치의 지표와 그밖의 지표를 조작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된 상이한 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중 1개의 지표를 조작자가 소정시간 주시한 경우에, 그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와, 상기 조작자가 상기 지표를 주시하는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파인더화면상에 있어서 상기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영역의 경계선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영역변경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된 지표를 조작자가 소정시간 주시한 경우에 그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와, 상기 조작자가 파인더화면상에서 주시하는 주시점위치를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시선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주시점이 상기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영역내에 소정시간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영역의 경계선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영역변경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지표중, 상기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상기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지 않는 지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표시상태제어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상의 주시점을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시선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화면상의 소정영역을 소정시간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될 때, 소정의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과,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간에 상기 소정영역의 경계선을 변경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시선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시점을 소정주기에서 샘플링하고, 상기 소정영역을 연속해서 소정횟수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을 온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은 온상태와 오프상태간에 상기 소정영역의 표시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비데오카메라의 동작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시선스위치의 기능은 줌기능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시선스위치의 기능은 페이드(fading)기능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시선스위치의 에러없는 온/오프동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상의 주시점을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시선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화면상의 소정영역을 제1기간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시선검출수단에 의해서 상기 소정영역을 상기 제1기간과는 다른 제2기간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정지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을 구비한 시선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시점을 소정주기에서 샘플링하고, 상기 소정영역을 연속해서 소정횟수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을 온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기간이 상기 제2기간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특징 등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각종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실명한다.
먼저, 시선검출장치의 원리를 설명한다.
종래, 비데오카메라의 파인더화면상에, 예를 들면 줌, 페이드 등의 각종 기능을 의미하는 지표를 표시하고, 이들 지표중 1개를 시선으로 선택함으로써 지시를 부여하도록 한 소위 시선 입력기능이 제안되어 있다. 이하에, 이 시선입력기능의 원리를 설명한다.
제1도(A)는 시선검출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시선입력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시선검출수단및 안구의 평면도이다. 제1도(b)도 시선검출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시선검출수단 및 안구의 측면도이다.
제1도(a)및 제1도(b)에 있어서, (806a),(806b)는 발광다이오드(IRED)등의 광원이며, 관찰자가 볼 수 없는 적외광을 방사한다. 제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광원(806a),(806b)은 결상렌즈(811)의 광축에 대해서 x축방향(수평방향)으로 대략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광원(806a),(806b)은 y축방향(수직방향)으로 광축의 약간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 광원 (806a),(806b)은, 이와 같은 배치하에, 관찰자의 안구를 발산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그리고, 각 광원(806a),(806b)으로부터 방사되어 안구에 의해 반사된 조명광의 일부는, 결상렌즈(811)에 의해서 집광되어 이미지센서(광전변환기)(812)에 결상된다.
제2도(a)는 이미지센서(812)에 투영되는 안구(808)의 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b)는 이미지센서(812)의 출력강도의 분포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1도(a), 제1도(b) 및 제2도(a), 제2도(b)를 참조해서 시선의 검출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도(a)및 제1도(b)에 도시한 평면도에 대해서 고려한다. 광원(806b)으로부터 방사된 적외광은 안구(808)의 각막(810)을 조명한다. 이때, 각막(810)의 표면에서 반사된 적외광에 의해 형성되는 각막반사상(허상)d는, 결상렌즈(811)에 의해서 집광되어, 이미지센서(812)상의 위치d'에 결상된다.
마찬가지로, 광원(806a)으로부터 방사된 적외광은 안구(808)의 각막(810)을 조명한다. 이 때, 각막(810)의 표면에서 반사된 적외광에 의해 형성되는 각막반사상(허상)e는, 결상렌즈(811)에 의해서 집광되어, 이미지센서(812)상의 위치e'에 결상된다.
또, 홍채(804)의 단부a,b로부터의 광속은, 결상렌즈(811)를 통해서 이미지센서(812)상의 위치a',b'에 투영되고, 이 위치에 상기 홍채의 단부a,b의 상이 결상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홍채(804)의 단부a,b의 x좌표를 각각 xa,xb라 하고, 각막반사상d,e의 x좌표를 각각 xd,xe라 한다.
이와 같이 해서, 홍채(804)의 단부a,b의 상 및 각막반사상d,e가 이미지센서(812)에 결상되면, 이미지센서(812)에 의해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이 얻어진다. 또, 제2도(b)에 있어서, xa',xb'는 제2도(a)에 도시한 홍채(804)의 단부a,b의 상이 이미지센서(812)상에 결상되는 위치a',b'의 x좌표를 표시하고, xd',xe'는 상기 각막반사상d,e의 이미지센서(812)상에 있어서의 결상위치d',e'의 x좌표를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결상렌즈(811)의 광축에 대한 안구(808)의 회전각 ex가 작을 경우, 제2도(a)의 X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홍채(804)의 단부a,b의 x좌표 xa,xb는 이미지센서상에서 다수점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다수의 x좌표 xa,xb를 이용해서, 최소자승법에 의해 동공중심c의 x좌표인 xc를 산출한다.
한편, 각막(810)의 곡률중심o의 x좌표를 xo라 하면, 안구(808)의 광축에 대한 수평방향의 회전각ex로부터
oc*sinex=xc-xo ... [1]
을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oc는 상기 곡률중심o와 동공중심c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각막반사상d와 각막반사상e와의 사이의 증점k의 x좌표 xk에 대해서 소정의 x축방향의 보정치x를 고려해서 좌표xo를 구하면,
xk=(xd+xe)/2
xo=(xd+xe)/2+x ...[2]
가 된다. 여기에서, 보정치x는 장치의 배치방법 및 장치와 안구와의 거리로부터 기하학적으로 구해지는 값이나, 여기에서는 그 산출방법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식[1]을 식[2]에 대입해서 안구(808)의 광축에 대한 회전각ex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ex=sin-1[[xc -{(xd+xe)/2+x}]/oc] ... [3]
또, 이미지센서(812)상에 투영되는 각각의 특징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식[3]중의 각 특징점의 x좌표에 대시(')를 붙여서 식[4]를 얻는다.
ex=sin-1[[xc' -{(xd'+xe')/2+x'}]/oc/β] ... [4]
여기에서, β는 결상렌즈(811)와 안구(808)간의 거리sze에 의해 결정되는 배율을 나타내며, 실제는 각막반사상da와 e간의 거리 |xd'-xe'|의 함수로서 구해질 수 있다.
다음에, 제1도(b)에 도시한 수식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2개의 광원(806a),(806b)에 의해 생기는 각막반사상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 각막반사상을 i로 표시하고, 그 y좌표를 yi라 한다. 또, 안구(808)의 광축에 대한 회전각ey의 산출방법은 수평면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나, 식[2]만이 약간 다르다.
즉, 각막(810)의 곡률중심o의 y좌표를 yo라 하면,
yo=yi+y ... [5]
가 된다. 여기에서 y축방향의 보정치y는 장치의 배치방법 및 안구에 대한 거리로부터 기하학적으로 구해지는 값이나, 여기서는 그 산출방법은 생략한다.
따라서, 식[1]을 y좌표에 치환한 식과 식[5]를 이용해서 안구(808)의 광축에 대한 수직방향의 회전각ey를 구하면, 식[6]과 같이 된다.
ey=sin-1[{yc'-(yi+y)}/oc/β] ... [6]
또, 비데오카메라의 파인더화면상의 위치좌표(xn,yn)은, 수평면상에서는
xn=m*sin-1[{xc'-(xd'+xe')/2-x'}/oc/β] ... [7]
수직면상에서는,
yn=m*sin-1[{yc'-(xi'+y')}/oc/β] ... [8]
이 된다.
그래서, 제2도(a)및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공에지의 검출은, 이미지센서(812)의 위치xb'에 있어서의 출력파형의 상승부 및 위치xa'에 있어서의 하강부를 이용해서 행한다. 또 각막반사상d,e의 좌표는, 샤프한 상승부(xe'및 xd')를 이용해서 구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시선의 검출을 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비데오카메라의 줌, 페이드 등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종래의 시선스위치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는 시선스위치기능을 가진 비데오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7도에 도시한 비데오카메라는, 줌렌즈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렌즈(촬상)계(301)와, 이 렌즈촬상계(301)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를 파인더화면(502)을 통해서 관찰하는 파인더(503)와, 이 파인더(503)의 앞에 배치된 접안렌즈(304)와, 조작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306)과, 조작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파인더화면(502)에 표시하는 표시회로(307)와, 이 비데오카메라의 각부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수단(508)과, 파인더화면(502)상에 있어서의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좌표를 기억해 놓는 메모리(50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파인더화면(502)상에 표시되는 정보란, 예를 들면 포커스에어리어의 개략을 표시하는 AF프레임, 시선스위치의 지표, 테이프카운트나 촬영모드 등 조작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또, 상기 시선검출수단(306)은, 적외발광다이오드(360)와, 가시광을 투과해서 적외광을 반사하는 다이크로익 미러(361)와, 이 다이크로익미러(361)에 의해 반사된 적외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362)와, 이 집광렌즈(362)에 의해 집광된 적외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기(363)와, 조작자의 파인더화면(502)상의 주시점을 구하는 주시점검출회로(364)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크로익 미러(361)는 가시광을 투과하므로, 조작자는 접안렌즈(304)를 통해서 파인더화면(502)을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이크로익 미러(361)는 적외광을 반사하므로, 적외발광다이오드(36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광에 의한 눈(305)의 반사상을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다이크로익 미러(361)에 의한 반사광은 집광렌즈(362)에 의해 집광되어서 광전변환기(363)상에 결상된다.
또, 상기 주시점검출회로(364)는, 광전변환기(363)상의 조작자의 눈의 상에 의거해서, 상기 설명한 원리나, 일본국 특개평 1-241511호및 동 특개평 2-32312호 공보에 개시된 알고리즘에 따라, 조작자의 파인더화면(502)상의 주시점을 검출한다.
제8도는 파인더화면(502)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인더화면(502)상에는, 알파벳문자 W,T,F로 표시되는 서로 다른 동작기능을 의미하는 지표로 이루어진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표W는 광각쪽에의 줌기능을 나타내고, 지표T는 망원쪽에의 줌기능을 나타내며, 지표F는 페이드기능을 나타낸다. 그래서, 조작자가 이들 지표중 하나를 보면, 그 시선이 시선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시스템제어수단(508)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오른쪽 밑의 숫자(602)는 시선스위치의 지표가 아니라 날짜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 시선스위치의 각 지표 W,T,D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에 있어서의 좌표군은, 각각 메모리(509)의 각 기억영역(509a), (509b), (509c)에 기억되어 있다. 상기 각 좌표군은, 각 지표 W,T,F를 포함하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범위(601a), (601b), (601c)의 좌표를 전부 포함한다. 이하, 광각기능의 지표W를 포함하는 범위의 좌표군을 α, 망원기능의 지표T를 포함하는 범위의 좌표군을 β,페이드기능의지표F
를 포함하는 범위의 좌표군을라 한다.
다음에, 시스템제어수단(508)의 동작예를, 제9도에 도시한 순서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텝P101에서 비데오카메라의 전원을 온으로 하면, 스텝P102에서 변수1,m,n이 각각 0으로 리세트되어,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준비된다.
상기 변수1,m,n은 각각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군 α중 어느 하나의 좌표, 좌표군β중 어느 하나의 좌표, 좌표군γ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 일치한 횟수의 계수치를 의미한다.
시스템제어수단(508)은, 조작자가 파인더화면(502)을 주시함으로써 시선검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동안 조작자의 파인더화면(502)상의 주시점의 좌표정보를 연속해서 수취한다.
이제, 조작자가 광각기능의 지표W를 본 때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스텝P103에서, 조작자의 시선(즉, 주시점)을 검출한다. 이 검출한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144,P145에 의한 처리에 의해서 좌표군α중의 어느 하나의 좌표와 대략 일치한다고 판단될 때는, 시스템제어수단(508)은 스텝P136에서 광각기능이외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105에서 변수m,n을 0으로 리세트한다.
다음에, 스텝P106에서 변수1에 의해서 표시되는 계수치가 소정 횟수(예를 들면, 5회)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5회보다 적으면, 스텝P108에서 변수1를 1만큼 증분시킨다. 그리고, 변수 1의 계수치가 5회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하여, 5회보다 적으면 스텝P103으로 귀환하여 시스템제어수단(508)은 시선검출수단(306)으로부터 주시점의 좌표정보를 다시 수취한다.
또, 스텝P105 또 P109에 있어서의 판단에서, 변수1의 계수치, 즉 내용이 5이상이면, 스텝 P111에서 렌즈촬상계(301)의 줌렌즈군을 광각쪽으로 구동시켜서 줌기능을 실행한다. 그 후, 스텝P103으로 귀환하여, 시선검출수단(306)으로부터 주시점의 좌표정보를 수취한다.
한편, 조작자의 망원기능의 지표T 또는 페이드기능의 지표F를 주시한 때에도, 상기동작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스텝P103에서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144및 P145에서 좌표군β중 어느 하나와 대략 일치한다고 판단된 때는, 시스템제어수단(508)은 스텝P137에서 망원기능이외의 동작은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113에서 변수1,m을 0으로 리세트한다. 그리고, 스텝p114내지 p117에서 변수m의 계수치가 5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P119에서 망원기능을 수행한다.
또, 스텝P103에서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144및 P145에서 좌표군중 어느 하나와 대략 일치한다고 판단된 때는,시스템제어수단(508)은스텝P138에서 페이드기능이외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121에서 변수1,m을 0으로 리세트한다. 그리고, 스텝P122 내지 P125에서 변수n의 내용이 5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P127에서 페이드기능을 실행한다.
스텝P103에서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144에서 각 좌표군 α, β,중 어느 좌표와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시스템제어수단(508)은 스텝P139에서 광각기능, 망원기능 및 페이드기능전체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128에서 변수1, m, n을 0으로 리세트한다.
이와 같이 해서, 좌표군 α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일치해도, 일치한 횟수가 5회에 이르기 전에 좌표군 α의 범위로부터 시선이 1회라도 벗어나면 스텝P113,P121 및 P128의 어느 하나의 처리에서 변수1은 0으로 리세트된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조작자가 시선스위치의 기능을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자는 잠깐동안 그 지표를 계속해서 주시하여 시선이 그 지표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지표가 있는 범위가 작을 경우에는, 조작자가 피로를 느낀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조작자가 좁은 범위를 계속해서 주시함으로써 생기는 피로를 경감하기 위하여 지표의 범위를 크게 하면, 이번에는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작동해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파인더화면내에 있어서, 시선스위치의 기능으로서 동작하는 지표와 시선스위치의 기능으로서 동작하지 않는 지표가 공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양자의 지표를 한눈에 구별할 수 없으므로, 부주의하게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주시해버릴 수도 있어, 조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이 실행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시선스위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요소적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시선스위치이며, 파인더화면(302)상에 표시된 복수의 지표중 어느 한개의 지표를 조작자가 소정시간 주시한 경우에, 그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4)는 표시상태제어수단이며, 파인더화면(302)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지표중,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지 않는 지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이 표시상태제어수단(4)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표시회로(307)에 전송되어, 파인더화면(302)상에 지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파인더화면(302)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지표중,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지표와 그 밖의 지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그 밖의 지표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306)은 파인더화면(302)상에 있어서 조작자의 주시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이다. (309)는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 영역에 있어서, 조작자가 지표를 주시하지 않을 때에 설정되는 비교적 좁은 제 1영역의 좌표군을 기억하는 제1메모리이다. (310)은 조작자가 지표를 소정시간 주시한 때에 설정되는 제 1영역보다 넓은 제2영역의 좌표군을 기억하는 제2메모리이다.
(2)는, 상기 시선검출수단(306)에 의해 검출되는 조작자의 주시점이 상기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 영역내에 소정시간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이다. 또, (3)은, 상기 판정수단(2)에 의한 판정결과에 따라서, 상기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 영역을, 제1영역과 제2영역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영역변경수단이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지표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동안 파인더화면(302)상에서 조작자의 주시점이 제1영역에 들어오면, 영역변경수단(3)은 제2메모리(310)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정보를 이용해서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부터 제2영역으로 넓힌다.
또, 조작자가 지표를 주시하고 있는 동안 파인더화면상에서 조작자의 주시점이 제2영역으로부터 벗어나면, 영역변경수단(3)은 제1메모리(309)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정보를 이용해서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영역을 제2영역으로부터 제1영역으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조작자가 어느 하나의 지표를 주시해서 시선스위치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그 지표를 최초에 정확히 보면, 그 후에는, 시선스위치(1)로서 기능하는 지표의 영역이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시선이 그 넓은 범위내에 있으면, 조작자의 시선이 다소 벗어나더라도 시선스위치(1)의 기능이 오동작하지 않게 된다.
상기 표시제어수단(4)은 판정수단(2)에 의한 판정결과에 따라서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주시한 후 그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는 그 지표를 점멸표시시키도록 한다. 또, 실제로, 그 기능이 실행되고 있을 때는, 그 지표를 강도반전시킴으로써, 조작자가 시선스위치(1)의 동작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시선스위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시선검출의 원리는 제1도(a), 제1도(b)및 제2도(a), 제2도(b)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시선스위치기능을 지닌 비데오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제7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요소는 종래예와 동일한 기능을 지닌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는, 시스템제어회로(308)에는, 파인더화면(302)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좌표군이 기억되어 있는 제1메모리(309)와 제2메모리(310)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시스템제어회로(308)에는 시선스위치의 좌표군을 일시 기억하기 위한 일시기억메모리(311)가 접속되어 있다.
제4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인더화면(302)의 표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파인더화면(302)에는, 제7도에 도시한 종래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알파벳문자 W,T,F로 표시되는 서로 다른 동작기능을 의미하는 지표로 이루어진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표W는 광각쪽에의 줌기능을 나타내고, 지표T는 망원쪽에의 줌기능을 나타내며, 지표F는 페이드기능을 나타낸다. 그래서 조작자가 이들 지표중 하나를 보면, 그 시선이 시선검출수단(306)에 의해서 검출되어, 시스템제어회로(308)에 의해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오른쪽밑의 숫자(205)는 시선스위치의 지표가 아니라 날짜를 표시하는 것이다.
점선(203a),(203b),(203c) 및 점선(204a),(204b),(204c)은 시스템제어회로(308)에서의 처리에 있어서의 파인더화면(302)상의 좌표의 경계선이며, 파인더화면(302)상에는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 제1메모리(309)내의 첫 번째기억영역(309a)에는, 파인더화면(302)상의 광각기능의 지표 W를 포함하는 점선(203a)으로 둘러싸인 영역(201a)에 있어서의 좌표군이 기억되어 있다. 또, 두 번째 기억영역(309b)에는 망원기능의 지표T를 포함하는 점선(203b)으로 둘러싸인 영역(201b)에 있어서의 좌표군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세 번째 기억영역(309c)에는 페이드기능의 지표F를 포함하는 점선(203c)으로 둘러싸인 영역(201c)에 있어서의 좌표군이 기억되어 있다. 또, 이들 영역(201a),(201b),(201c)에 있어서의 좌표군은, 각각 상기 좌표군 α,β,와 일치하는 것이다.
한편, 제2메모리(310)내의 첫 번째 기억영역(310a)에는, 파인더화면(302)상의 광각기능의 지표W를 포함하는 점선(204a)으로 둘러싸인 영역(202a)에 있어서의 좌표군 α'가 기억되어 있다. 즉, 이 영역(202a)의 좌표군 α'는 점선(203a)으로 둘러싸인 영역(201a)의 좌표군 α를 포함하고 있다.
또, 두 번째 기억영역(301b)에는, 망원기능의 지표 T를 포함하는 점선(204b)으로 둘러싸인 영역(202b)에 있어서의 좌표군 β'가 기억되어 있다. 즉, 이 영역(202b)의 좌표군 β'는 점선 (203b)으로 둘러싸인 영역(201b)의 좌표군 β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 기억영역(310c)에는, 페이드기능의 지표F를 포함하는 점선(204c)으로 둘러싸인 영역(202c)에 있어서의 좌표군'는 점선(203c)으로 둘러싸인 영역(201c)의 좌표군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시스템제어회로(308)의 동작예를, 제6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스텝P201에서 비데오카메라의 전원이 온으로 되면, 스텝P202에서 변수1,m,n이 0으로 리세트된다.
스텝P229에서 제1메모리(309)의 각각의 기억영역(309a),(309b),(309c)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 α,β,의 내용이 일시기억메모리(311)의 각각의 (311a),(311b),(311c)에 격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준비된다.
변수1,m,n은, 각각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첫 번째 기억영역(311a)에 격납되는 좌표군 α'중 어느 하나의 좌표, 두 번째 기억영역(311b)에 격납되는 좌표군 β'중 어느 하나의 좌표, 세 번째 기억영역(311c)에 격납되는 좌표군또는'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 일치한 횟수의 계수치를 의미한다.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조작자가 파인더화면(302)를 주시함으로써 시선검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동안, 조작자의 파인더화면(302)상에 있어서의 주시점의 좌표를 계속해서 수취한다. 그래서,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스텝P230에서 변수1,m,n중 어느 하나가 1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어느 변수도 1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텝P232로 진행하여, 제1메모리(309)의 각 기억영역(309a),(309b),(309c)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 α,β,의 내용을 일시기억메모리(311)의 각기억영역(311a),(311b),(311c)에 각각 격납한다.
한편, 변수1,m,n중 어느 하나가 1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스텝P231에서 그에 대응하는 변수를 확인한다. 그래서, 변수1이 1이상인 때는, 스텝P233에서 제2메모리(310)내의 첫 번째 기억영역(310a)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 α'의 내용을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첫 번째 기억영역(311a)에 격납한다.
또, 변수m이 1이상인 때는, 스텝P234에서 제2메모리(310)내의 두 번째 기억영역(310b)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 β'의 내용을,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두 번째 기억영역(311b)에 격납한다. 또한, 변수n이 1이상인 때는, 스텝P235에서 제2메모리(310)내의 세 번째 기억영역(311c)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의 내용을,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세 번째 기억영역(311c)에 격납한다.
이상과 같이, 스텝P231,P233,P234및 P235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 일시기억메모리(311)의 기억영역(311a),(311b) 또는 (311c)에 제1메모리(309) 또는 제2메모리(310)로부터 좌표군의 내용을 격납하면, 스텝P203으로 진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작자가 광각기능의 지표W를 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즉, 스텝P203에서 파인더화면(302)상에 있어서의 조작자의 시선, 즉 주시점을 검출한다.
그래서, 그 검출한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244및 P245에 의한 처리에 의해서 일시기억메모리(311)의 첫 번째 기억영역(311a)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 α, 또는 α'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 대략 일치한다고 판단된 때는,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스텝P236에서 광각기능이외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205에서 변수m,n을 0으로 리세트한다.
다음에, 스텝P206에서 변수1에 의해서 표시되는 계수치가 소정횟수(본 실시예에서는 5회)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5회보다 적으면, 스텝P207에서 지표W의 표시를 점멸시킨다.
이와 같이 점멸시킴으로써, 변수1에 1을 증분한 후, 스텝P209에서 변수1이 5이상인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하여, 5보다 작으면 스텝P230으로 귀환한다.
한편, 스텝P209에서 변수 1이 5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때는, 스텝P240에서 지표W를 강도반전시킴과 동시에, 스텝P211에서 렌즈촬상계(301)의 줌렌즈군을 광각쪽으로 구동시켜서 줌기능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지표W의 강도반전에 의해, 줌기능이 실행된 것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그 후, 스텝P230으로 귀환하여 상기 스텝을 반복한다.
또, 스텝P206에 있어서의 판단에서 변수1이 5이상인 때는, 스텝P207∼P209및 P240은 이미 행해져있으므로 스텝P211로 점프한다.
또,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첫 번째 기억영역(311a)에 격납되어 있는 좌표군중 어느 하나의 좌표가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일치해도, 일치한 횟수가 5회에 이르기 전에 상기 첫 번째 기억영역(311a)에 격납되어 있는 좌표군의 범위로부터 한번이라도 벗어나면 스텝P213,P221및 P228의 어느 하나의 처리에서 변수1은 0으로 리세트된다.
즉, 조작자가 지표W를 주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한 파인더화면(302)상에서 조작자의 주시점이 지표W를 포함하는 영역(201a)에 들어오면,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조작자가 지표W를 주시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래서 ,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W를 포함하는 영역을, 점선(203a)으로 둘러싸인 영역(201a)으로부터 점선(204a)으로 둘러싸인 영역(202a)으로 확대한다.
또, 조작자가 지표W를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한 파인더화면(302)상에서 조작자의 주시점이 지표W를 포함하는 점선(204a)으로 둘러싸인 넓은 영역(202a)으로부터 벗어나면,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조작자가 지표W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래서 ,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W를 포함하는 영역을, 점선(204a)으로 둘러싸인 영역(202a)으로부터 점선(203a)으로 둘러싸인 영역(201a)으로 복귀시킨다.
조작자가 그 밖의 지표T 또는 F를 주시한 때에도 동작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스텝P203에서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두 번째 기억영역(311b)에 격납되어 있는 좌표군 β및 β'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 대략 일치한다고 판단된 때는,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스텝P237에서 망원기능이외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213에서 변수1,n을 0으로 리세트한다.
다음에, 스텝P214에서 변수m이 5보다 작다고 판단된 때는, 스텝P215에서 지표T의 표시를 점멸시킨다. 또, 스텝P216에서 변수m에 1을 증분시킨 후, 스텝P217에서 변수m이 5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래서 , 그 값이 5이상이면, 스텝P241에서 지표 T를 강도반전 시킴과 동시에 스텝P219에서 망원기능을 실행한다.
또, 스텝P203에서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245에서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세 번째기억영역(311c)에 격납되어 있는 좌표군'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 일치한다고 판단된 때에는,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스텝P238에서 페이드기능이외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221에서 변수1,m을 0으로 리세트한다.
다음에, 스텝P222에서 변수n이 5보다 작다고 판단된 때는, 스텝P223에서 지표F의 표시를 점멸시킨다. 또, 스텝P224에서 변수n에 1을 증분시킨 후, 스텝P225에서 변수n이 5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래서, 그 값이 5이상이면, 스텝P242에서 지표F를 강도반전시킴과 동시에, 스텝P227에서 페이드기능을 실행한다.
또, 스텝P203에서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의 좌표가, 스텝P244에서 일시기억메모리(311)내의 각 기억영역(311a),(311b),(311c)에 격납되어 있는 좌표군중 어느 하나의 좌표와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시스템제어회로(308)는 스텝P243에서 파인더화면(302)을 통상의 표시상태로 한다. 그래서, 스텝P239에서 광각기능, 망원기능 및 페이드기능 전체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텝P228에서 변수1,m,n을 모두 0으로 리세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가 어느 하나의 지표를 주시함으로써 시선스위치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조작자는 그 지표를 최초에만 정확히 주사하면, 그 후는 파인더화면상에 있어서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의 영역이 넓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시선이 그 넓은 영역내에 있으면, 조작자의 주시점이 벗어나더라도 조작자가 지표를 주시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그 만큼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시선에 의해서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한 피로를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의 영역이 초기부터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의 기능을 작동시킬 위험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조작자가 지표W를 주시해서 그 광각기능이 실행되기까지의 동안, 조작자가 그 지표부근을 주시하는 한 지표W를 점멸시킴과 동시에, 광각기능을 실행시키고 있는 동안은, 지표W를 강도반전해서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조작자는 시선스위치의 동작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한 파인더화면(302)상의 지표W를 포함하는 점선(203a)으로 표시한 경계내의 영역(201a)은, 좌표군 α의 영역보다도 좁게 설정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를 동작시킬 위험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로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파인더화면(302) 상에 표시되는 W,T,F 등의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아닌 지표(예를 들면, 날짜)와는 다른 색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자는 파인더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중,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그 밖의 지표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보아 버린다고 하는 오조작을 적게할 수 있다.
상기 제1및 제 2실시예에서는, 제2메모리(310)에 기억되어 있는 좌표군의 내용이 일시기억메모리(311)에 격납되는 것은, 스텝P233,P234및 P235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변수1,m,n의 값이 1이상으로 된 때로서 설명했으나, 이 값은 2 또는 임의의 수이어도 된다.
또한, 시선스위치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타이밍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5회로 하였으나, 이것도 임의의 횟수이어도 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의도하디 않은 지표를 보아 버린다고 해도, 그 지표를 직접 점멸표시 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시선의 이동에 따라서 각종 지표가 무턱대고 점멸해 버리는 일을 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자가 시선스위치의 동작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표의 표시를 점멸시키거나, 강도반전시켰으나, 그 지표의 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예의 시선스위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에 의하면, 조작자가 파인더화면상의 지표를 주시하는 상태에 변화에 따라서,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영역의 경계를 다른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기능시키고자 하는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포함하는 영역만을 자동적으로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가 작동해버리는 시선스위치의 오조작을 적게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자의 시선이 다소 지표로부터 벗어나더라도 시선스위치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조작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시선스위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특징에 의하면,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지표중,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그 밖의 지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시선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그 밖의 지표와의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어, 시선스위치의 지표를 부주의하게 보는 일을 적게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시선제어장치에 의하면, 화면내의 소정영역을 소정시간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된 시선스위치수단의 온상태와 오프상태에 의해 상기 소정영역의 경계를 변경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시선스위치수단이 오프상태일 때, 상기 화면내의 소정영역은 비교적 좁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조작자의 시선의 이동에 따라서 시선스위치수단이 부주의하게 온상태로 되어 버리는 일을 적게할 수 있는 동시에, 시선스위치수단이 조작자의 의도에 의해 온상태로 된 때에는, 상기 소정영역이 오프상태일 때보다 넓게 되므로, 조작자의 시선이 다소 이동하더라도 시선스위치의 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선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의 시선제어장치의 특징에 의하면, 조작자가 상기 소정영역을 연속해서 소정횟수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이 온상태로 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소정횟수이하에서 불과 단시간만 조작자가 상기 소정영역을 보아도, 시선스위치수단이 온상태로 되지 않아,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부주의하게 시선스위치가 온상태로 되어버리는 일을 적게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시선제어장치의 다른 특성에 의하면, 시선스위치수단의 온상태와 오프상태간에 상기 소정영역의 표시를 다르게 하였으므로, 화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영역의 표시상태의 차이에 의해서, 시선스위치가 온상태인지 오프상태인지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어, 시선스위치수단의 오조작을 보다 적게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의 시선제어장치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화면내의 상기 소정영역을 제1기간 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시선스위치수단의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소정영역을 제2기간주시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기능의 실행을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제1기간이하에서 단시간동안 상기 소정영역을 조작자가 보더라도 시선스위치수단이 온상태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2기간이하에서 단시간 동안 상기 소정영역으로부터 조작자가 시선을 벗어나더라도 시선스위치수단이 오프상태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수단이 온상태로 되거나 오프상태로 되는 일을 적게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선스위치수단을 온상태로하지 않기위하여, 소정영역을 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거나, 시선스위치수단을 오프상태로 하지 않기 위하여 소정영역을 계속 주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선스위치수단의 조작에 따른 조작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동시에 시선스위치수단의 오조작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의 시선제어장치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기간을 상기 제2기간보다도 길게 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조작자의 의도에 반해서 시선스위치가 온상태로 되어 버리는 일을 더욱 적게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원의 출원인은 이전에 비데오카메라의 파인더화면에, 줌, 페이드 등의 기능을 의미하는 지표를 표시해놓고, 그것을 시선에 의해 선택하는 기능을 제안한 바 있다(일본국 특개평 4-202호).
그러나, 검출한 좌표와 실제로 조작자가 보고 있는 좌표간에는 어느 정도 오차가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작자가 어느 지표를 주시하고자 해도, 시선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지표가 상기 조작자가 주시하는 지표에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그 결과, 조작자가 시선스위치의 목적으로 하는 지표를 주시하고자 해도, 검출된 지표와 목적으로 지표가 일치하지 않아,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조작자가 지표를 보려고 하지 않아도, 지표에 대응하는 기능이 어쩔 수 없이 작동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상의 문제점에 비추어,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지표를 주시해서 행하는 기능선택조작을 용이하게 또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하면,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된 상이한 동작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중 1개의 지표에 조작자의 시선이 머문 경우에는, 그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과, 상기 조작자의 시선이 머문 때에는 그 지표의 표시상태를 다른 표시상태로 변화시키는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을 구비한 비데오카메라가 제공된다.
또,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시선스위치의 지표에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횟수 또는 소정시간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표시상태를 다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시선스위치의 지표에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획수 또는 소정시간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를 점멸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시선스위치의 지표에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횟수 또는 소정시간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색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시선스위치의 지표에 조작자의 시선이 머무르는 것에 의해서 해당하는 기능이 작동한 때에는 상기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들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된 시선입력의 지표중 한개에 조작자의 시선이 머문 때에는 그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므로, 조작자는 자신의 시선의 주시상태를 확인하면서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제3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는, 파인더광학계(103)와, 시선검출수단(106)과, 표시회로(107)와, 보정회로(130)와, 시선스위치(131)와, 지표표시상태제어회로(132)와, 메모리(13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이더광학계(103)는 비데오카메라에 의해서 촬영할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시선검출수단(106)은 상기 파인더광학계(103)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시선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보정수단(130)은, 상기 시선검출수단(106)으로부터 도출되는 검출출력P1에 시선축방향과 주시점방향을 따른 오차에 해당하는 보정을 행하여 관찰자의 눈의 주시점방향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132)은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되는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는, 상기 검출출력P1에 응해서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132)이 파인더화면상의 지표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의 시선이 머문 때에는, 그 지표의 표시상태를 다른 표시상태로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비데오카메라의 상세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촬상계(101), 파인더화면(102), 파인더광학계(103), 접안렌즈(104), 시선검출수단(106), 표시회로(107) 및 시스템제어회로(10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렌즈촬상계(101)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줌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또, 파인더광학계(103)는 렌즈촬상계(101)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파인더화면(10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안렌즈(104)는 상기 파인더광학계(103)의 앞에 배치되어 있어서, 조작자는 상기 접안렌즈(104)를 통해서 파인더화면(102)을 보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시선검출수단(106)은 조작자의 눈(105)의 시선E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회로(107)는 포커스에어리어를 표시하는 AF프레임, 후술하는 시선스위치의 지표 및 기타의 테이프카운트나 촬영모드 등의 조작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파인더화면(102)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또, 시스템제어회로(108)는 이 카메라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상기 시선검출수단(106)은, 조작자의 눈(105)에 적외광을 조사하는 적외발광다이오드(160)와, 가시광을 투과해서 적외광을 반사하는 다이크로익 미러(161)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161)에 의해 반사된 적외광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62)와, 상기 집광렌즈(162)에 의해 집광된 적외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기(163)와, 상기 광전변환기(163)상의 조작자의 눈(105)의 상에 의거해서, 조작자의 파인더화면상의 주시점을 구하는 주시점 검출회로(164)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크로익 미러(161)는 가시광을 투과하므로, 조작자는 접안렌즈(104)를 통해서 파인더화면(102)을 관찰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이크로익 미러(161)는 적외광을 반사하므로, 적외발광다이오드(160)에 의해 조사되는 눈(105)의 반사상을 반사시킨다. 이 반사상이 집광렌즈(162)에 의해 집광되어서 광전변환기(163)상에 결상된다.
또한, 상기 주시점검출회로(164)는, 광전변환기(163)상의 조작자의 눈(105)의 상에 의거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241511호 및 동 특개평 2-3231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 조작자가 파인더화면(102)상을 주시하고 있는 주시점을 구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비데오카메라의 파인더광학계(103)에 탑재되어 있는 시선스위치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는 파인더화면(102)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파벳문자W,T 및 F로 표시된 서로 다른 동작기능을 의미하는 지표(121a),(121b),(121c)로 이루어진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제13도 및 제14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시스템제어회로(108)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시선스위치의 각 지표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의 좌표는, 각각 판독전용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예를 들면, 광각기능은 좌표α, 망원기능은 좌표β, 페이드기능은 좌표).
먼저, 스텝P301에서, 비데오카메라의 전원이 온상태로 되면, 변수1,m,n이 0으로 리세트되어(스텝P302),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준비된다. 또, 변수1,m,n은 각각 조작자의 주시점이 좌표α,β,와 일치한 횟수를 나타낸다.
시스템제어회로는, 조작자가 파인더화면(102)을 주시하여 시선검출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조작자의 파인더화면(102)상의 주시점좌표를 시선검출수단으로 부터 수취하고 있다(스텝P303,P311 및 P319).
이제, 조작자가 광각기능의 지표W를 본 때를 예로 설명한다. 스텝P303에서의 판단결과, 주시점의 좌표가 좌표α와 대략 일치하면, 시스템제어회로(108)는 변수m,n을 0으로 리세트한다 (스텝P304).
다음에, 변수1이 소정횟수(본 실시예에서는 5회)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P305), 적으면 지표W의 표시를 점멸시킨다(스텝P306). 그래서, 변수1에 1을 증분시켜(스텝P307), 변수1이 5보다 많은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스텝P308).
스텝P308에서의 판정결과 변수1이 5보다 적으면, 스텝P303으로 귀환하여 재차 시선검출수단으로부터 주시점좌표를 수취한다. 스텝P308의 판정결과 5이상이면, 지표W를 강도반전해서 표시하여, 광각쪽으로 줌렌즈군을 구동시킨다. 그 후, 스텝P303으로 귀환하여 재차 주시점좌표를 수취한다.
한편, 스텝P305의 판정결과 변수1이 5이상이면, 스텝P309까지 직접 점프한다. 또, 스텝P303의 판정결과, 시선의 좌표α로부터 벗어나면, 스텝P311로 이행한다. 즉, 좌표α와 시선좌표가 일치해도, 일치한 횟수가 5회에 이르기 전에 시선이 좌표α로부터 한번이라도 벗어나면 변수1은 0으로 리세트된다(스텝P312,P320및 P327). 다른 지표, 즉 망원기능을 의미하는 T 또는 페이드기능을 의미하는 F를 조작자가 주시한 때에도, 마찬가지 순서로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표의 표시를 점멸시키거나 강도반전했으나, 다른색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지표는 그림이나 일러스트이어도 되고, 강도반전대신에 지표의 형상을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기능이 실제로 실행되었을 때에,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경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자는 파인더화면(102)을 주시하는 것만으로 소망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선택된 기능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파인더화면상에 표시된 시선입력의 지표중 1개에 조작자의 시선이 머문 때에는, 그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조작자는 자신의 시선의 주시상태를 확인하면서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주시점좌표와 시선스위치의 좌표가 정확히 일치하고 있는 것과, 시선스위치의 기능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용이하게 알릴 수 있으며, 주시점좌표와 시선스위치의 좌표가 부주의하게 일치해버림으로써 생기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8)

  1. 화면상에 소정의 기능을 의미하는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화면상의 조작자의 주시점 위치를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지표를 표시하고, 또한 주시점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소정의 영역을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의 시간동안 응시하는 것을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화면상에 상기 소정영역의 경계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검출수단은 소정주기에서 주시점위치를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표가 표시되는 상기 소정영역을 주시함으로써 해당기능을 작동시키기 전과 후사이에 상기 소정영역의 경계선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표가 표시되는 상기 소정영역을 주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작동시켜 상기 소정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표의 표시크기를 변화시킴이 없이 상기 소정영역의 경계선만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표를 포함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지표를 화면내에서 다른 표시색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화면상에 소정의 기능을 의미하는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화면상의 조작자의 주시점 위치를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의 시간주기동안 지표를 주시하는 것을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상태 또는 비작동상태로 시프트시키는 기능제어수단과, 기능이 비작동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시프트되는 경우 및 기능이 작동상태로 부터 비작동상태로 시프트되는 경우 사이의 소정시간주기를 변경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검출수단은 소정주기에서 주시점위치를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표가 표시되는 소정영역을 주시하고 있는 것이 소정의 샘플링횟수동안 연속해서 검출된 경우 상기 기능을 작동상태로 변경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능이 비작동상태에서 작동상태로 변경된 때와 작동상태에서 비작동상태로 변경된 때간에 상기 소정의 샘플링횟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섬검출영역및 지표의 표시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지표를 포함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지표를 화면내에서 다른 표시색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시선스위치를 가지는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모니터화면상에 표시된 상이한 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중 한 개의 지표를 조작자가 소정시간주기동안 주시하는 경우에 상기 한개의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과; 조작자에 의해 지표를 주시하는 상태가 변화함에 따라, 모니터화면상의 상기시선스위치수단에 의한 시선의 검출영역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의 경계선을 다른 위치로 변경시키는 영역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시선검출영역과는 다른 표시영역을 가지고, 상기 시선검출영역만의 경계선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변경수단은 상기 기능이 작동될 때와 작동되지 않을 때의 사이에 상기 경계선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변경수단은, 상기 기능이 작동될 때 상기 경계선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지표중,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지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표시상태제어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19. 조작자에 의해 상기 지표를 소정의 시간동안 응시할 때 모니터화면상에 표시된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과; 모니터화면상에서 조작자의 주시점 위치를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시선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주시점이, 소정의 시간주기동안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검출영역으로서 기능하는 영역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시선검출영역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의 경계선을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따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영역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시선검출영역과는 다른 표시영역을 가지고, 상기 시선검출영역만의 경계선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변경수단은 상기 기능이 작동될 때와 작동되지 않을 때의 사이에 상기 경계선의 위치를 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변경수단은 상기 기능이 작동될 때 상기 경계선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지표중,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지표와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지표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표시상태제어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면은 EVF로 구성되고, 이 EVF에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26. 화면상의 주시점을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화면상의 소정영역을 소정시간주기동안 응시하고 있는 것을 상기 시선 검출수단이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소정의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과;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간에 상기 소정영역의 경계선을 변경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점을 소정주기에서 샘플링하고, 상기 소정영역을 연속해서 소정횟수 주시하고 있는 때에,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을 온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은 온상태와 오프상태간에 상기 소정영역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기능이 줌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기능이 페이드기능(fading fun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31. 화면상의 주시점을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제1시간주기동안 화면상의 소정영역을 응시하는 것을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소정기능을 실행하고, 또한 제 1시간주기와는 다른 제 2시간주기동안 소정영역을 응시하는 것을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능의 실행을 중지하는 시선스위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점을 소정주기에서 샘플링하고, 상기 소정영역을 연속해서 소정횟수 지시할 때에, 상기 시선검출수단이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을 온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주기가 상기 제2시간주기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제어장치.
  34. 화면상의 주시점을 검출하는 시선검출수단과; 상기 시선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조작자의 주시점이 제1기간동안 한개의 지표상에 남아 있는 경우 모니터화면상에 표시된 상이한 동작기능을 의미하는 복수의 지표중 한개의 지표가 의미하는 기능을 작동시키는 시선스위치수단과; 조작자의 주시점이 제1기간보다 짧은 제2기간동안 상기 한개의 지표상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표시상태를 초기상태로부터 제1표시상태로 변화시키고, 또한 조작자의 주시점이 제1기간동안 상기 한 개의 지표상에 남아있는 경우에는 상기 한개의 지표의 표시상태를 제1표시상태로부터 제2표시상태로 변화시키는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지표에 상기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횟수 또는 소정시간주기동안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표시상태를 다른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지표에 상기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횟수 또는 소정시간주기동안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표시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지표에 상기 조작자의 시선이 소정횟수 또는 소정시간기간동안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표시상태제어수단은, 상기 시선스위치수단의 지표에 상기 조작자의 시선이 대응기능이 동작하기 위해 머문 경우에는 상기 지표의 표시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
KR1019950008460A 1994-04-12 1995-04-12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KR100186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73640A JPH07283974A (ja) 1994-04-12 1994-04-12 視線検出装置を備えたビデオカメラ
JP94-73647 1994-04-12
JP6073647A JPH07283986A (ja) 1994-04-12 1994-04-12 視線スイッチ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および視線制御装置
JP94-73640 1994-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02A KR950030602A (ko) 1995-11-24
KR100186897B1 true KR100186897B1 (ko) 1999-05-01

Family

ID=2641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460A KR100186897B1 (ko) 1994-04-12 1995-04-12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90954A (ko)
EP (1) EP0677953B1 (ko)
KR (1) KR100186897B1 (ko)
CN (1) CN1145353C (ko)
DE (1) DE69522029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896B1 (ko) 2009-10-13 2012-0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및 시선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KR101242531B1 (ko) 2009-09-30 2013-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735A (ja) * 1999-12-27 2001-07-06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方法
US7206022B2 (en) * 2002-11-25 2007-04-1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system with eye monitoring
US20040212695A1 (en) * 2003-04-28 2004-10-28 Stavely Donal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ost-processing of a digital image
US7259785B2 (en) * 2003-04-28 2007-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ye-tracking control
US20090232834A1 (en) * 2005-07-18 2009-09-17 Al-Harbi Saleh A Methods and Agents to Treat Autoimmune Diseases
CN104395857A (zh) * 2012-05-09 2015-03-04 英特尔公司 显示器的部分的基于眼球追踪的选择性强调
US11317028B2 (en) * 2017-01-06 2022-04-26 Appsure Inc. Captur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145A (en) * 1974-05-20 1978-08-22 Honeywell Inc.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eye
US4595980A (en) * 1983-07-27 1986-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Interactive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concurrent multi-lingual inputs
SE453959B (sv) * 1986-06-04 1988-03-21 Gote Palsgard Anordning for mojliggorande for i synnerhet handikappade personer utan talformaga och rorelseformaga i armarna att kommunicera med omgivningen
US4836670A (en) * 1987-08-19 1989-06-06 Center For Innovative Technology Eye movement detector
JP2505854B2 (ja) * 1988-03-23 1996-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視線検出手段を備えるカメラ
JP2632941B2 (ja) * 1988-07-20 1997-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2872292B2 (ja) * 1989-08-31 1999-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視線検出手段を有する機器
FR2637386A1 (fr) * 1988-10-04 1990-04-06 Asahi Optical Co Ltd Dispositif de changement de mode pour appareil photographique
JPH04202A (ja) * 1990-04-13 1992-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
JPH0423027A (ja) * 1990-05-17 1992-01-27 Fujitsu Ltd ウインドウ選択方式
US5245371A (en) * 1991-02-08 1993-09-14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provided with a visual axis direction detecting portion
US5541655A (en) * 1991-11-05 1996-07-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JPH05183798A (ja) * 1992-01-06 1993-07-23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JP3266293B2 (ja) * 1992-01-13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H05191683A (ja) * 1992-01-14 1993-07-30 Canon Inc 撮影記録装置
JPH0743804A (ja) * 1993-07-30 1995-02-14 Canon Inc 機能選択装置
US5559943A (en) * 1994-06-27 1996-09-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customizing a dual actuation setting of a computer input device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31B1 (ko) 2009-09-30 2013-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시선 인식을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휴대단말
KR101119896B1 (ko) 2009-10-13 2012-0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휴대단말 및 그의 거리 및 시선 인지를 이용한 객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7953B1 (en) 2001-08-08
US5990954A (en) 1999-11-23
EP0677953A3 (en) 1996-03-20
DE69522029D1 (de) 2001-09-13
CN1145353C (zh) 2004-04-07
KR950030602A (ko) 1995-11-24
EP0677953A2 (en) 1995-10-18
CN1115860A (zh) 199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395B2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交換レンズ
US827931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228613B1 (ko)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조정장치
KR100186897B1 (ko) 시선검출장치를사용하는전자기기
US6191819B1 (en) Picture-taking apparatus having viewpoint detecting means
JPH09116792A (ja) 撮像装置
JP5113237B2 (ja) 電子カメラ
US5692222A (en) Camera having focus detection device
US916715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KR100224538B1 (ko) 시선검출장치(viewpoint detecting device)
EP0848272B1 (en) Camera provided with focus detecting device
KR0177186B1 (ko) 화면크기를 절환가능한 촬상장치
JP6834988B2 (ja) 制御装置
JP201622579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774118B2 (ja) 電子カメラ
US5752090A (en) Optical device having a line of sight detection apparatus
JPH11352570A (ja) カメラ
JP2006157154A (ja) 情報入力装置、カメラ
JP2003189136A (ja) カメラ
JPH05183798A (ja) ビデオカメラ
JPH04221944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564061A (ja) ビデオカメラ
US20230305368A1 (en) Optical apparatus, lens apparatus and camera apparatus
US20230179854A1 (en) Contro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0266835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